KR20240063807A - 유지 부재 및 육아 기구 - Google Patents

유지 부재 및 육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3807A
KR20240063807A KR1020237039653A KR20237039653A KR20240063807A KR 20240063807 A KR20240063807 A KR 20240063807A KR 1020237039653 A KR1020237039653 A KR 1020237039653A KR 20237039653 A KR20237039653 A KR 20237039653A KR 20240063807 A KR20240063807 A KR 20240063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aist
shoulder
child
be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코 미쓰이
도루 미야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6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38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uckl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유지 부재(51, 52)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가랑이 벨트(11),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10)의, 허리 벨트(12, 13)의 단부 및 어깨 벨트 (14, 15)의 단부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유지 부재 및 육아 기구
본 발명은, 어린이용 벨트에 장착되는 유지 부재, 및 유지 부재를 구비한 육아 기구(器具)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모차나 요동의자 등의 육아 기구에 장착되는 어린이용 벨트가 알려져 있다. 육아 기구는 어린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어린이용 벨트는, 지지부에 장착되어 어린이를 지지부에 구속한다. JP2020-163887A에는, 한 쌍의 어깨 벨트와 한 쌍의 허리 벨트와 가랑이 벨트를 포함하는 5점식 벨트로서 형성된 어린이용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5점식 벨트는, 5개의 벨트를 서로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육아 기구에 어린이를 태울 때 편리하다. 즉, 육아 기구에 어린이를 태울 때는, 5개의 벨트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지지부 위에 어린이를 태운다. 그 후, 5개의 벨트를 각각 어린이의 어깨의 위쪽, 허리의 측방 또는 가랑이 사이로부터 어린이의 복부 위로 통과시키고, 복부 위에서 5개의 벨트의 단부(端部)를 결합시킴으로써, 어린이를 구속한다. 따라서, 벨트를 어린이에 장착할 때, 어린이의 팔을 벨트의 루프에 통과시킬 필요가 없다.
JP2020-163887A
그러나, 전술한 5점식 벨트는, 육아 기구의 사용자가 벨트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나 어린이의 성장 단계에 따라서는, 벨트를 결합할 때, 분리한 5개의 벨트를 적절하게 또한 신속하게 조합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5점식 벨트로서 형성된 어린이용 벨트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지 부재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가랑이 벨트, 허리 벨트 및 어깨 벨트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의, 상기 허리 벨트의 단부 및 상기 어깨 벨트의 단부를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육아 기구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가랑이 벨트, 허리 벨트 및 어깨 벨트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가 장착된 육아 기구 본체와,
상기 허리 벨트의 단부 및 상기 어깨 벨트의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5점식 벨트로서 형성된 어린이용 벨트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형태에 의한 유지 부재를 구비한 육아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유지 부재가 장착된 어린이용 벨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어린이용 벨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버클의 폭 방향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어린이용 벨트의 허리 벨트 텅(tongue)과 어깨 벨트 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허리 벨트 텅과 어깨 벨트 텅을, 서로 조합한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버클과 허리 벨트 텅과 어깨 벨트 텅을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유지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유지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유지 부재가 장착된 어린이용 벨트의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육아 기구는, 어린이용 벨트가 장착된 육아 기구 본체와, 어린이용 벨트에 장착된 유지 부재를 가진다. 육아 기구는, 유모차, 자동 차량이나 자전거 등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카 시트, 베이비 랙, 요동의자 등의 기구이며, 전형적으로는 어린이(영아, 유아, 아동 등의 연소자)를 양육하는 과정에 있어서 어린이를 돌보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어린이용 벨트는, 육아 기구 상의 어린이에 장착되어, 어린이를 육아 기구에 구속하는 것이다.
이하,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유지 부재(51, 52)를 구비한 육아 기구(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에는, 유지 부재(51, 52)가 장착된 어린이용 벨트(10)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일실시형태에서는, 유지 부재(51, 52)가 육아 기구(1)로서의 유모차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지 부재는, 그 외의 육아 기구에 적용되어도 된다.
<육아 기구>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육아 기구(1)로서의 유모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유모차의 구체예의 전체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유모차(1)는, 한 쌍의 전각(前脚)(3) 및 한 쌍의 후각(後脚)(4)을 가지는 본체 프레임(2)과, 본체 프레임(2)에 접속된 핸들(5)을 가지고 있다. 이 중, 본체 프레임(2) 및 핸들(5)이 유모차 본체(육아 기구 본체)(6)를 구성하고 있다. 유모차 본체(6)는, 어린이를 지지하는 지지부(7)를 포함한다. 유모차 본체(6)에 있어서, 지지부(7)는 좌석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7)는, 한 쌍의 전각(3) 사이 그리고 한 쌍의 후각(4) 사이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6)에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7)는, 어린이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부(座部)(7a)와, 어린이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부(7b)를 포함한다. 지지부(7)에는, 쿠션성을 가진 좌석재(8)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어린이는, 이 좌석재(8) 위에 착석 또는 횡와(橫臥)한다.
그런데,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의 용어는, 특별한 지시가 없는 경우, 유모차의 지지부에 착석하는 어린이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이란, 도 1에서의 지면(紙面)의 좌하(左下)와 우상(右上)을 연결하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전」과는, 승차한 어린이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서의 지면의 좌하측이 앞쪽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유모차의 주행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주행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연직(沿直)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폭 방향」이란 가로 방향이며, 「전후 방향」및 「상하 방향」 중 어디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된 유모차(1)는, 전체적으로, 가로 방향 중심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란 넓어지는 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가랑이 벨트(11),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서로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어린이용 벨트(10)에 유지 부재(51, 52)는 장착되어 있지 않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7)에는, 어린이용 벨트(10)가 장착되어 있다. 어린이용 벨트(10)에 의해, 지지부(7)에 올라탄 어린이의 신체가, 지지부(7) 위에 구속된다. 어린이용 벨트(10)는, 가랑이 벨트(11)와, 한 쌍의 허리 벨트(12, 13)와, 한 쌍의 어깨 벨트(14, 15)를 가지는 5점식 벨트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가랑이 벨트(11)는, 가랑이 벨트재(11a)를 가지고 있다. 가랑이 벨트재(11a)의 일단은, 좌부(7a)의 대략 중앙에 장착되어 있다.
허리 벨트(12, 13)는, 각각, 허리 벨트재(12a, 13a)를 가지고 있다. 허리 벨트재(12a, 13a)의 일단은, 등부(7b) 중 좌부(7a) 측의 단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허리 구역 내에, 서로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되어 있다. 허리 벨트재(12a)의 일단은, 등부(7b)의 폭 방향의 일측 영역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허리 벨트재(13a)의 일단은, 등부(7b)의 폭 방향의 타측 영역에 접속하고 있다.
어깨 벨트(14, 15)는, 각각, 어깨 벨트재(14a, 15a)를 가지고 있다. 어깨 벨트재(14a, 15a)의 일단은, 등부(7b)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어깨 구역 내에, 서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되어 있다. 어깨 벨트재(14a)의 일단은, 등부(7b)의 폭 방향의 일측 영역에 접속하고 있다. 어깨 벨트재(14b)의 일단은, 등부(7b)의 폭 방향의 타측 영역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허리 벨트재(12a, 13a)의 일단은,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허리 벨트재(12a, 13a)는, 연속된 1개의 벨트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어깨 벨트재(14a, 15a)의 일단은,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어깨 벨트재(14a, 15a)는, 연속된 1개의 벨트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어깨 벨트재(14a, 15a)의 일단은, 지지부(7)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가랑이 벨트재(11a)의 일단은, 허리 벨트재(12a, 13a) 또는 어깨 벨트재(14a, 15a)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가랑이 벨트재(11a)의 일단은, 지지부(7)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랑이 벨트재(11a), 허리 벨트재(12a, 13a) 및 어깨 벨트재(14a, 15a)는, 각 벨트재와 등부(7b)의 접속 위치에 대응하여 좌석재(8)에 형성된 5개의 관통공(8a)을 통과하여, 좌석재(8)의 표면측에 연장 돌출하고 있다.
가랑이 벨트재(11a)의 타단에는, 제1 접속구(接續具)로서의 버클(20)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허리 벨트재(12a, 13a)의 타단에는 제2 접속구로서의 허리 벨트 텅(30)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어깨 벨트재(14a, 15a)의 타단에는, 제3 접속구로서의 어깨 벨트 텅(40)이 장착되어 있다.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이 버클(20)에 걸리는 것에 의해, 가랑이 벨트(11),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가 서로 접속된다. 도 4에는, 버클(20)의 폭 방향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6에는,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는, 버클(20)과 허리 벨트 텅(30)과 어깨 벨트 텅(40)을 나타내고 있다. 도 5∼7에서는, 도시한 명확화를 위해, 유지 부재(51, 52)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그런데,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어린이용 벨트(10)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의 용어는, 특별한 지시가 없을 경우, 어린이용 벨트(10)가 장착된 어린이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어린이용 벨트(10)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이면」 및 「표면」의 용어는, 어린이에 장착된 어린이용 벨트(10)를 관찰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 「이면」 및 「표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린이용 벨트(10)가 어린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어린이 측을 향한 면이 「이면」이며, 「이면」에 대향하는 면이 「표면」이다.
도 3∼7을 참조하여, 버클(20),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20)은, 가랑이 벨트재(11a)가 접속되는 버클 본체(21)와, 록 부재(25)를 가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 본체(21)는, 록 부재(25)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21a)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클 본체(21)의 이면을 형성하는 바닥벽(22)과, 버클 본체(21)의 표면을 형성하는 천장벽(23)과, 바닥벽(22)과 천장벽(23)을 접속하는 측벽(24)을 가진다. 내부 공간(21a)은, 천장벽(23)의 중앙에 형성된 버튼용 개구(23a) 및 측벽(24)에 형성된 삽입구(24a, 24b)와 연통되어 있다. 삽입구(24a, 24b)는, 각각, 측벽(24)의 폭 방향의 일측을 향한 부분 및 타측을 향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측벽(24)의 상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부재(25)는, 록 부재(25)과 바닥벽(22)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29)에 의해, 천장벽(23)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록 부재(25)는, 버클 본체(21) 내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록 부재(25)의 중앙에는, 해제 버튼(26)을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해제 버튼(26)은, 천장벽(23)의 버튼용 개구(23a) 내로 돌출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튼용 개구(23a) 내의 해제 버튼(26)을 버클 본체(21) 내에 밀어넣음으로써, 록 부재(25)와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록 부재(25)의 양 단부에는, 허리 벨트 텅(30)을 거는 걸림용 볼록부(27a, 27b)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용 볼록부(27a, 27b)는, 천장벽(23)의 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허리 벨트 텅(3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 벨트재(12a 또는 13a)가 접속되는 베이스부(31)와, 베이스부(31)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하는 연출부(延出部)(32)를 가지고 있다. 연출부(32)에는, 걸림용 볼록부(27a 또는 27b)를 받아들이는 걸림용 개구(32a)가 형성되어 있다. 연출부(32)가 록 부재(25)와 천장벽(23) 사이에 삽입되어, 걸림용 개구(32a)에 걸림용 볼록부(27a 또는 27b)가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허리 벨트 텅(30)은 버클(20)에 걸린다. 허리 벨트 텅(30)의 이면에는, 상기 허리 벨트 텅(30)에 대응하는 어깨 벨트 텅(40)을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출부(32)의 상단 및 하단에는, 허리 벨트 텅(30)의 이면을 향하여 연장 돌출하는 벽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어깨 벨트 텅(4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깨 벨트재(14a 또는 15a)가 접속되는 베이스부(41)와, 베이스부(4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 돌출하는 연출부(42)를 가진다. 베이스부(41)에는, 버클 본체(21)의 돌출부(28)를 위쪽 또한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오목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어깨 벨트 텅(40)의 연출부(42)는, 상기 어깨 벨트 텅(40)에 대응하는 허리 벨트 텅(30)의 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받아들여진다. 연출부(42)에는,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연출부(42)가 허리 벨트 텅(30)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면, 돌출부(43)는, 연출부(42)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벽부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허리 벨트 텅(30)을 버클(20)에 걸면, 연출부(42)는, 허리 벨트 텅(30)의 베이스부(31)와 버클 본체(2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돌출부(43)가 록 부재(25)와 바닥벽(2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부(41)의 오목부(41a)에, 버클 본체(21)의 돌출부(28)가 삽입된다. 이로써, 어깨 벨트 텅(40)의 버클(20)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고, 어깨 벨트 텅(40)은 버클(20)에 걸린다.
이와 같은 5점식 벨트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벨트를 서로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육아 기구에 어린이를 태울 때 편리하다. 즉, 육아 기구에 어린이를 태울 때는, 5개의 벨트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킨 후, 육아 기구의 지지부 위에 어린이를 태운다. 그 후, 5개의 벨트를 각각 어린이의 어깨의 위쪽, 허리의 측방 또는 가랑이 사이로부터 어린이의 복부 위로 통과시키고, 복부 위에서 5개의 벨트의 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어린이를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를 어린이에 장착할 때, 어린이의 팔을 벨트의 루프로 통과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나, 전술한 5점식 벨트는, 육아 기구의 사용자가 벨트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나 어린이의 성장 단계에 따라서는, 벨트를 결합할 때, 분리한 5개의 벨트를 적절하게 또한 신속하게 조합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의 육아 기구(1)는,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에 장착되는 유지 부재(51, 52)를 가진다.
유지 부재(51, 52)는, 허리 벨트(12, 13)의 단부와 어깨 벨트(14, 15)의 단부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지 부재(51)는, 지지부(7)의 폭 방향의 일측 영역에 접속된 허리 벨트(12) 및 어깨 벨트(14)의 단부를 유지한다. 또한, 유지 부재(52)는, 지지부(7)의 폭 방향의 타측 영역에 접속된 허리 벨트(13) 및 어깨 벨트(15)의 단부를 유지한다. 이로써,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가 가랑이 벨트(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도, 허리 벨트(12)의 허리 벨트 텅(30)과 어깨 벨트(14)의 어깨 벨트 텅(40)이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허리 벨트(13)의 허리 벨트 텅(30)과 어깨 벨트(15)의 어깨 벨트 텅(40)이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허리 벨트(12, 13)의 허리 벨트 텅(30)과 어깨 벨트(14, 15)의 어깨 벨트 텅(40)을 적절한 조합으로 조합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허리 벨트 텅(12 또는 13)의 단부와 어깨 벨트(14 또는 15)의 단부의 서로에 대한 이동이 억제되므로, 조합된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가 서로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유지 부재(51, 52)는, 각각,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53)와, 지지 부재(53)에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장착하는 장착 부재(54)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 부재(53)는, 제1 포재(布材) 및 제2 포재와, 제1 포재와 제2 포재 사이에 배치된 쿠션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부재(53)는,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와 어린이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53)가 쿠션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유지 부재(51, 52)가 장착된 어린이용 벨트(10)는, 어린이용 벨트(10)가 장착된 어린이에게 양호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53)는,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을, 그 이면 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여기서,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은, 허리 벨트 텅(30)의 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어깨 벨트 텅(40)의 연출부(42)가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서로 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합된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을 그 이면 측으로부터 지지 부재(53)가 지지함으로써, 어깨 벨트 텅(40)이 허리 벨트 텅(30)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 부재(53)는, 전체적으로 부채꼴을 이룬다. 지지 부재(53)는, 원호형의 제1 가장자리부(53a)와, 제1 가장자리부(53a)의 한쪽의 단부에 접속하는 제2 가장자리부(53b)와, 제1 가장자리부(53a)의 다른 쪽의 단부에 접속하는 제3 가장자리부(53c)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51, 52)가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2 가장자리부(53b)는, 어깨 벨트(14, 15)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가장자리부(53b)는, 유지 부재(51, 52)를 어깨 벨트(14, 15)에 장착할 때, 지지 부재(53) 상에서의 어깨 벨트(14, 15)의 배치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제2 가장자리부(53b)가 어깨 벨트(14, 15)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한쪽 유지 부재(51)와 다른 쪽 유지 부재(52)가 간섭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유지 부재(51, 52)가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3 가장자리부(53c)는, 허리 벨트(12, 13)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3 가장자리부(53c)는, 유지 부재(51, 52)를 허리 벨트(12, 13)에 장착할 때, 지지 부재(53) 상에서의 허리 벨트(12, 13)의 배치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것에 기여한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지 부재(51)의 장착 부재(54)는, 허리 벨트(12) 및 어깨 벨트(14)의 한쪽을 지지 부재(53)에 장착하는 제1 장착 부재(55)와, 허리 벨트(12) 및 어깨 벨트(14)의 다른 쪽을 유지 부재에 장착하는 제2 장착 부재(56)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유지 부재(52)의 장착 부재(54)는, 허리 벨트(13) 및 어깨 벨트(15)의 한쪽을 지지 부재(53)에 장착하는 제1 장착 부재(55)와, 허리 벨트(13) 및 어깨 벨트(15)의 다른 쪽을 유지 부재에 장착하는 제2 장착 부재(56)를 포함한다. 제1 장착 부재(55)는, 지지 부재(53)의 제2 가장자리부(53b)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장착 부재(56)는, 지지 부재(53)의 제3 가장자리부(53c)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지 부재(51, 52)는,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부재(54)는,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지지 부재(5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다. 이로써, 육아 기구(1)의 사용자는, 유지 부재(51, 52)를 사용할지 사용하지 않을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지 부재(51, 52)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장착 부재(55) 및 제2 장착 부재(56)는, 각각, 지지 부재(53)에 고정된 벨트재(57)와, 벨트재(57)의 양 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구(58)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접속구(58)는 스냅 버튼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구(58)로서는, 면 지퍼나 훅 등, 임의의 접속구를 채용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장착 부재(55) 및 제2 장착 부재(56)는, 지지 부재(53)에 고정된 환형(環形)의 고무 벨트(59)라도 된다. 이 경우에, 고무 벨트(59)를 신장시켜서 고무 벨트(59)에 허리 벨트(12, 13) 또는 어깨 벨트(14, 15)를 삽통(揷通)함으로써, 허리 벨트(12, 13) 또는 어깨 벨트(14, 15)를 지지 부재(53)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고무 벨트(59)를 신장시켜서 고무 벨트(59)로부터 허리 벨트(12, 13) 또는 어깨 벨트(14, 15)를 뽑아내는 것에 의해, 허리 벨트(12, 13) 또는 어깨 벨트(14, 15)를 지지 부재(5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유지 부재(51, 52)는, 지지 부재(53)에 수직한 축선의 둘레에서 90°회전시킴으로써, 각각, 허리 벨트(13) 및 어깨 벨트(15), 및 허리 벨트(12) 및 어깨 벨트(14)에 장착 가능하다. 이 경우에, 지지 부재(53)의 제3 가장자리부(53c)가 어깨 벨트(14, 15)를 따라 연장되고, 제2 가장자리부(53b)가 허리 벨트(12, 13)에 따라 연장된다.
유지 부재(51, 52)를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에 장착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지 부재(51, 52)의 제1 장착 부재(55)의 벨트재(57)의 양 단부를 분리한다. 또한, 유지 부재(51, 52)의 제2 장착 부재(56)의 벨트재(57)의 양 단부를 분리한다. 다음으로, 유지 부재(51)의 지지 부재(53) 위에, 지지부(7)의 폭 방향의 일측 영역에 접속된 허리 벨트(12) 및 어깨 벨트(14)를 배치한다. 또한, 유지 부재(52)의 지지 부재(53) 위에, 지지부(7)의 폭 방향의 타측 영역에 접속된 허리 벨트(13) 및 어깨 벨트(15)를 배치한다. 이 때, 지지 부재(53)의 장착 부재(54)가 장착된 면과 허리 벨트 텅(30)의 이면이 대면하도록, 허리 벨트(12 또는 13)를 제2 장착 부재(56)의 벨트재(57) 위에 배치한다. 그리고, 각 벨트재(57)의 양 단부를, 허리 벨트(12 또는 13) 위에서 접속한다. 이로써, 환형의 벨트재(57)에 의해, 허리 벨트(12 또는 13)가 지지 부재(53) 위에 유지된다. 또한, 지지 부재(53)의 장착 부재(54)가 장착된 면과 어깨 벨트 텅(40)의 이면이 대면하도록, 어깨 벨트(14 또는 15)를, 제1 장착 부재(55)의 벨트재(57) 위에 배치한다. 그리고, 각 벨트재(57)의 양 단부를, 어깨 벨트(14 또는 15) 위에서 접속한다. 이로써, 환형의 벨트재(57)에 의해, 어깨 벨트(14 또는 15)가 지지 부재(53) 위에 유지된다.
유지 부재(51, 52)가 장착된 어린이용 벨트(10)의 장착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51)에 유지된 허리 벨트(12) 및 어깨 벨트(14)의 허리 벨트 텅(30)과 어깨 벨트 텅(40)을, 서로 조합한다. 또한, 유지 부재(52)에 유지된 허리 벨트(13) 및 어깨 벨트(15)의 허리 벨트 텅(30)과 어깨 벨트 텅(40)을, 서로 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허리 벨트 텅(30)의 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어깨 벨트 텅(40)의 연출부(42)를 끼워넣는다. 허리 벨트 텅(30)에 조합된 어깨 벨트 텅(40)은, 유지 부재(51 또는 52)의 지지 부재(53)에 의해 그 이면측으로부터 지지되므로, 허리 벨트 텅(30)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51)에 유지된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이 서로 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허리 벨트 텅(30)의 연출부(32)를, 버클 본체(21)의 폭 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구(24a)을 통하여, 버클 본체(21)의 천장벽(23)과 록 부재(25) 사이에 꽂아넣는다. 동시에, 유지 부재(51)에 유지된 어깨 벨트 텅(40)의 베이스부(41)에 형성된 오목부(41a)에, 버클 본체(21)의 돌출부(28)의 폭 방향의 일측 부분을 삽입한다. 마찬가지로, 유지 부재(52)에 유지된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이 서로 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허리 벨트 텅(30)의 연출부(32)를, 버클 본체(21)의 폭 방향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구(24b)을 통하여, 버클 본체(21)의 천장벽(23)과 록 부재(25) 사이에 꽂아넣는다. 동시에, 유지 부재(52)에 유지된 어깨 벨트 텅(40)의 베이스부(41)에 형성된 오목부(41a)에, 버클 본체(21)의 돌출부(28)의 폭 방향의 타측 부분을 삽입한다. 버클 본체(21)의 천장벽(23)과 록 부재(25) 사이에 허리 벨트 텅(30)의 연출부(32)가 꽂아지면, 탄성 부재(29)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록 부재(25)이 바닥벽(22)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허리 벨트 텅(30)의 걸림용 개구(32a)가 록 부재(25)의 걸림용 볼록부(27a, 27b)와 대면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걸림용 볼록부(27a, 27b)가 걸림용 개구(32a)에 끼워넣어진다. 이로써,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이 버클(20)에 걸린다.
유지 부재(51, 52)가 장착된 어린이용 벨트(10)를 어린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버클(20)의 버튼용 개구(23a)를 통하여, 해제 버튼(26)을 버클 본체(21) 내에 밀어넣어진다. 이로써, 록 부재(25)의 걸림용 볼록부(27a, 27b)가 허리 벨트 텅(30)의 걸림용 개구(32a)로부터 빠져나가, 버클(20)과 허리 벨트 텅(30) 및 어깨 벨트 텅(40)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51)를 파지하여, 유지 부재(51)와 함께 허리 벨트(12)의 단부 및 어깨 벨트(14)의 단부를 폭 방향의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허리 벨트(12)와 어깨 벨트(14) 사이로부터, 어린이의 팔을 빼낸다. 또한, 유지 부재(52)를 파지하여, 유지 부재(52)와 함께 허리 벨트(13)의 단부 및 어깨 벨트(15)의 단부를 폭 방향의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허리 벨트(13)와 어깨 벨트(15) 사이로부터, 어린이의 팔을 빼낸다. 이로써, 어린이용 벨트(10)가 어린이로부터 분리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51, 52)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가랑이 벨트(11),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10)의, 허리 벨트(12, 13)의 단부 및 어깨 벨트(14, 15)의 단부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유지 부재(51, 52)에 의하면, 5점식 벨트로서 형성된 어린이용 벨트(1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51, 52)는,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53)와, 지지 부재(53)에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장착하는 장착 부재(54)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장착 부재(54)는,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 중 한쪽을 지지 부재(53)에 장착하는 제1 장착 부재(55)와,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 중 다른 쪽을 지지 부재(53)에 장착하는 제2 장착 부재(5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유지 부재(51, 52)에 의하면,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51, 52)는,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로써, 육아 기구(1)의 사용자는, 유지 부재(51, 52)를 사용할지 사용하지 않을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지 부재(51, 52)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51, 52)에 있어서, 장착 부재(54)는,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지지 부재(5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51, 52)에 있어서, 장착 부재(54)는, 지지 부재(53)에 고정된 벨트재(57)와, 벨트재(57)의 양 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구(58)를 포함한다. 혹은, 장착 부재(54)는, 지지 부재(53)에 고정된 환형의 고무 벨트(59)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53)는, 어깨 벨트(14, 15)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53b 또는 53c)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유지 부재(51, 52)에 의하면, 유지 부재(51, 52)를 어깨 벨트(14, 15)에 장착할 때, 지지 부재(53) 상에서의 어깨 벨트(14, 15)의 배치를, 가장자리부(53b 또는 53c)에 의해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51, 52)에 있어서, 지지 부재(53)는, 전체적으로서 부채꼴을 이루고, 원호형의 가장자리부(53a)와, 원호형의 가장자리부(53a)의 한쪽 단부에 접속하고 어깨 벨트(14, 15)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53b 또는 53c)와, 원호형의 가장자리부(53a)의 다른 쪽의 단부에 접속하고 허리 벨트(12, 13)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53c 또는 53b)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유지 부재(51, 52)에 의하면, 유지 부재(51, 52)를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에 장착할 때, 지지 부재(53) 상에서의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의 배치를, 가장자리부(53b 또는 53c)에 의해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유지 부재(51, 52)는, 지지 부재(53)에 수직한 축선의 주변에서 90°회전시킴으로써, 허리 벨트(12) 및 어깨 벨트(14) 및 허리 벨트(13) 및 어깨 벨트(15) 중 어디에도 장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육아 기구(1)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가랑이 벨트(11), 허리 벨트(12, 13) 및 어깨 벨트(14, 15)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10)가 장착된 육아 기구 본체(6)와, 허리 벨트(12, 13)의 단부 및 어깨 벨트(14, 15)의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51, 5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육아 기구(1)에 의하면, 5점식 벨트로서 형성된 어린이용 벨트(10)의 조작이 용이하다.
그리고, 이상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개의 변형예를 설명했으나, 당연하게,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0)

  1.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가랑이 벨트, 허리 벨트 및 어깨 벨트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의, 상기 허리 벨트의 단부(端部) 및 상기 어깨 벨트의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벨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지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벨트를 장착하는 장착 부재를 구비한, 유지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벨트를 상기 지지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유지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된 벨트재와, 상기 벨트재의 양 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구(接續具)를 포함하는, 유지 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된 환형(環形)의 고무 벨트인, 유지 부재.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어깨 벨트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있는, 유지 부재.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전체적으로 부채꼴을 이루고, 원호형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원호형의 가장자리부의 한쪽 단부에 접속하고 상기 어깨 벨트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와, 상기 원호형의 가장자리부의 다른 쪽 단부에 접속하고 상기 허리 벨트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있는, 유지 부재.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벨트 중 한쪽을 상기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제1 장착 부재와,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벨트 중 다른 쪽을 상기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제2 장착 부재를 포함하는, 유지 부재.
  10.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가랑이 벨트, 허리 벨트 및 어깨 벨트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가 장착된 육아 기구 본체와,
    상기 허리 벨트의 단부 및 상기 어깨 벨트의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를 구비한 육아 기구(器具).
KR1020237039653A 2021-09-14 2021-09-14 유지 부재 및 육아 기구 KR202400638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33634 WO2023042240A1 (ja) 2021-09-14 2021-09-14 保持部材および育児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807A true KR20240063807A (ko) 2024-05-10

Family

ID=8560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653A KR20240063807A (ko) 2021-09-14 2021-09-14 유지 부재 및 육아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42240A1 (ko)
KR (1) KR20240063807A (ko)
CN (1) CN117500413A (ko)
WO (1) WO202304224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3887A (ja) 2019-03-28 2020-10-08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ルトカバーおよび座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763A (ja) * 1998-12-24 2000-07-11 Sunhyon Cho 幼児用安全椅子
JP6525604B2 (ja) * 2014-09-16 2019-06-05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座席付き育児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3887A (ja) 2019-03-28 2020-10-08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ルトカバーおよび座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00413A (zh) 2024-02-02
WO2023042240A1 (ja) 2023-03-23
JPWO2023042240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641B1 (ko) 유아 운반 하네스
US10631664B2 (en) Two-piece baby carrier
US10369906B2 (en) Child safety seat
JP2016528091A (ja) 子供キャリア合体ベビーカー
US9113721B2 (en) Restraint system for child support
US20220015552A1 (en) Child carrier sling
JP7285109B2 (ja) ベルトカバーおよび座席装置
KR20240063807A (ko) 유지 부재 및 육아 기구
JP6525604B2 (ja) 座席付き育児器具
CN213262057U (zh) 儿童安全座椅
JP3077992U (ja) 乳児用パッドおよび縦抱き・横抱き兼用ベビーキャリア
CN105411275B (zh) 带肩带的儿童保持具与带座位的育儿器具的组合构造
JP2016120842A (ja) ベルト固定装置、ベビーシート及びベビーカー
CN209888700U (zh) 儿童装置
JP2007001559A (ja) ベビーカー乳幼児拘束用肩ベルト
JP2006101976A (ja) 座席
CN111137382B (zh) 自行车用幼儿座椅以及带幼儿座椅的自行车
CN214524029U (zh) 肩带组件以及婴儿车
KR20180082155A (ko) 유아용 안전시트의 버클
KR200440146Y1 (ko) 유아운반용 띠
JP2003182418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24058902A (ja) ベビーキャリア
JP2022126614A (ja) ベビーキャリア
CN115593494A (zh) 座椅的肩带高度调整机构及其儿童载具
JP3084817U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