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354A - 모터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354A
KR20240062354A KR1020220142798A KR20220142798A KR20240062354A KR 20240062354 A KR20240062354 A KR 20240062354A KR 1020220142798 A KR1020220142798 A KR 1020220142798A KR 20220142798 A KR20220142798 A KR 20220142798A KR 20240062354 A KR20240062354 A KR 20240062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witch element
motors
bridge circuit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솔준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354A/ko
Publication of KR2024006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3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02P5/6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controlling two or more dc dynamo-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Abstract

모터 구동 장치는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단 및 음극단 사이에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1 모터; 상기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2 모터; 및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직류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거나, 상기 직류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 장치{MOTOR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회로를 통합하는 모터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 구동 장치는 차량의 공조 시스템(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등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공조 시스템(HVAC)은 차량의 실내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및 흐름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내부의 블로어가 송풍하는 공기를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유로 상의 공기를 가열 혹은 냉각시켜 냉온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분배하는 여러 개의 도어들이 장착된다. 이러한 공조 시스템의 도어들은 인테이크(intake), 모드(mode) 및 템프(temp)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공조 시스템의 공조 제어기는 구동 회로를 통해 도어 액추에이터의 모터를 구동하여 해당 도어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 액추에이터에 사용되는 구동 회로는 모터 하나당 하나의 H-브리지(H-bridge) 회로를 구비하나, 이러한 방식은 도어 액추에이터의 수가 증가할수록 구동 회로에 소모되는 면적 및 소자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공조 시스템 등과 같이 복수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회로에 소모되는 면적 및 소자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회로를 통합함으로써, 구동 회로에 소모되는 면적 및 소자를 줄이는 모터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모터 구동 장치는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단 및 음극단 사이에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1 모터; 상기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2 모터; 및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직류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거나, 상기 직류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모터 구동 장치는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단 및 음극단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및 상기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직류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중 인접한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터 중 상기 인접한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의 출력단들 사이에 연결된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 회로를 통합함으로써, 구동 회로에 소모되는 면적 및 소자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모터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기(Controller)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구동 장치는 구동 회로(10), 복수의 모터(M1, M2, M3) 및 컨트롤러(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터(M1, M2, M3) 각각은 서로 다른 도어 액추에이터(21, 22, 23)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는 공조 시스템(HVAC)에서 도어 액추에이터의 모터를 구동하는 장치에 해당하나, 본 발명은 복수의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한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구동 회로에 소모되는 면적 및 소자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구동 회로(10)를 통해 복수의 모터(M1, M2, M3)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장치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회로(10)는 직류 전압(V_DC)이 인가되는 양극단(P) 및 음극단(N)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Q1-Q2, Q3-Q4, Q5-Q6, Q7-Q8)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 전압(V_DC)은 배터리로부터 인가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Q1-Q2, Q3-Q4, Q5-Q6, Q7-Q8) 각각은 양극단(P) 및 음극단(N)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탑-스위치 소자(Q1, Q3, Q5, Q7) 및 바텀-스위치 소자(Q2, Q4, Q6, Q8)를 포함하고, 탑-스위치 소자와 바텀-스위치 소자 각각의 일단들이 상호 연결된 출력단(O1, O2, O3, O4)을 가질 수 있다. 탑-스위치 소자(Q1, Q3, Q5, Q7) 및 바텀-스위치 소자(Q2, Q4, Q6, Q8) 각각은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하프 브리지 회로(Q1-Q2)는 양극단(P) 및 출력단(O1) 사이에 연결된 탑-스위치 소자(Q1) 및 음극단(N) 및 출력단(O1) 사이에 연결된 바텀-스위치 소자(Q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는 양극단(P) 및 출력단(O2) 사이에 탑-스위치 소자(Q3) 및 음극단(N) 및 출력단(O2) 사이에 연결된 바텀-스위치 소자(Q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프 브리지 회로(Q5-Q6) 및 제4 하프 브리지 회로(Q7-Q8)의 구성은 제1 하프 브리지 회로(Q1-Q2)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모터(M1)는 제1 하프 브리지 회로(Q1-Q2)의 출력단(O1)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의 출력단(O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터(M2)는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의 출력단(O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Q5-Q6)의 출력단(O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3 모터(M3)는 제3 하프 브리지 회로(Q5-Q6)의 출력단(O3) 및 제4 하프 브리지 회로(Q7-Q8)의 출력단(O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2 및 제3 모터(M1, M2, M3)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지는 일극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모터의 음극(-)은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의 출력단(O2)에서 제2 모터의 양극(+)과 연결되며, 제2 모터의 음극(-)은 제3 하프 브리지 회로(Q5-Q6)의 출력단(O3)에서 제3 모터(M3)의 양극(+)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회로(10)는 제1, 제2 및 제3 모터(M1, M2, M3)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제1, 제2 및 제3 모터(M1, M2, M3)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10)는 직류 전압(V_DC)을 기반으로, 제1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1-Q2, Q3-Q4)를 통한 제1 모터(M1)의 구동,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Q3-Q4, Q5-Q6)를 통한 제2 모터(M2)의 구동 또는 제3 및 제4 하프 브리지 회로(Q5-Q6, Q7-Q8)를 통한 제3 모터(M3)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는 두 개의 모터가 하나의 하프 브리지 회로를 공유함으로써, 구동 회로(10)에 소모되는 면적 및 소자를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터(M1)와 제2 모터(M2)는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를 공유하며, 제2 모터(M2)와 제3 모터(M3)는 제3 하프 브리지 회로(Q5-Q6)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및 제2 모터(M1, M2)가 동시에 구동될 경우,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에서 암쇼트로 인한 과전류로 스위칭 소자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및 제3 모터(M1, M3)가 동시에 구동될 경우,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Q3-Q4, Q5-Q6)에 의해 제2 모터(M2)가 구동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탑-스위치 소자(Q1, Q3, Q5, Q7) 및 바텀-스위치 소자(Q2, Q4, Q6, Q8)를 스위칭하여 구동 회로(10)가 제1, 제2 및 제3 모터(M1, M2, M3)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30)는 펄스 폭 변조(PWM) 제어를 통해 탑-스위치 소자(Q1, Q3, Q5, Q7) 및 바텀-스위치 소자(Q2, Q4, Q6, Q8)를 상보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30)는 펄스 폭 변조(PWM) 제어를 통해 탑-스위치 소자(Q1)와 바텀-스위치 소자(Q2)를 교번하여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0)는 제1, 제2 및 제3 모터(M1, M2, M3) 각각의 회전자 위치 피드백을 입력받아 제1, 제2 및 제3 모터(M1, M2, M3) 각각의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제1 모터(M1)를 제1 회전 방향(예컨대, 정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제1 하프 브리지 회로(Q1-Q2)의 탑-스위치 소자(Q1)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의 바텀-스위치 소자(Q4)를 턴-온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컨트롤러(30)는 제1 모터(M1)를 제2 회전 방향(예컨대, 역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제1 하프 브리지 회로(Q1-Q2)의 바텀-스위치 소자(Q2)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의 탑-스위치 소자(Q3)를 턴-온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0)는 제2 모터(M2)를 제1 회전 방향(예컨대, 정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의 탑-스위치 소자(Q3)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Q5-Q6)의 바텀-스위치 소자(Q6)를 턴-온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컨트롤러(30)는 제2 모터(M2)를 제2 회전 방향(예컨대, 역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제2 하프 브리지 회로(Q3-Q4)의 바텀-스위치 소자(Q4)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Q5-Q6)의 탑-스위치 소자(Q5)를 턴-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30)가 제3 모터(M3)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1 및 제2 모터(M1, M2)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구동 장치는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Q1-Q2, Q3-Q4, Q5-Q6, Q7-Q8, Q9-Q10, Q11-Q12, Q13-Q14, Q15-Q16, Q17-Q18, Q19-Q20, Q21-Q22, 이하 도면 부호 생략)를 포함한 구동 회로(10), 복수의 모터(M1-M10) 및 컨트롤러(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터(M1-M10) 각각은 서로 다른 도어 액추에이터(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모터와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모터의 개수가 'N'으로 설정될 경우,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의 개수는 'N+1'로 설정될 수 있다. ('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은 직류 전압(V_DC)이 인가되는 양극단(P) 및 음극단(N)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은 양극단(P)과 출력단(O1-O11) 사이에 연결된 탑-스위치 소자(Q1, Q3, Q5, Q7, Q9, Q11, Q13, Q15, Q17, Q19, Q21, 이하 도면 부호 생략) 및 음극단(N)과 출력단(O1-O11) 사이에 연결된 바텀-스위치 소자(Q2, Q4, Q6, Q8, Q10, Q12, Q14, Q16, Q18, Q20, Q22, 이하 도면 부호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탑-스위치 및 바텀 스위치 소자 각각은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모터(M1-M10)는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출력단(O1-O1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모터(M1-M10) 중 인접한 모터들(예컨대, M2 및 M3)은 각각의 일극이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중 소정의 하프 브리지 회로(예컨대, Q5-Q6)의 출력단(예컨대, O3)에서 연결되되, 인접한 모터들 중 하나(예컨대, M2)의 일극은 인접한 모터들 중 다른 하나(예컨대, M3)의 일극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질 수 있다.
구동 회로(10)는 직류 전압(V_DC)을 기반으로,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중 인접한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예컨대, Q5-Q6 및 Q7-Q8)를 통해, 복수의 모터(M1-M10) 중 인접한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의 출력단들(예컨대, O3 및 O4) 사이에 연결된 모터(예컨대, M3)를 구동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탑-스위치 소자 및 바텀-스위치 소자를 스위칭하여 구동 회로(10)가 복수의 모터(M1-M10) 중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30)는 펄스 폭 변조(PWM) 제어를 통해 탑-스위치 소자 및 바텀-스위치 소자를 상보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복수의 모터(M1-M10) 중 두 개 이상의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모터(M1-M10) 중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모터들에 대해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모터들'이라 함은 소정의 하프 브리지 회로의 출력단에서 상호 연결되지 않으며, 구동 시 각 일극 사이에 위치한 모터의 구동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모터들을 의미한다. 예컨대, 모터(M1)과 모터(M2)는 하프 브리지 회로(Q1-Q2)의 출력단(O1)에서 상호 연결되므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모터들이 아니며, 모터(M1)과 모터(M3)는 구동 시 각 일극 사이에 위치한 모터(M2)의 구동 상태에 영향을 미치므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모터들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모터(M1)과 모터(M4)는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모터들에 해당한다.
또한, 컨트롤러(30)는 복수의 모터(M1-M10) 각각의 회전자 위치 피드백을 입력받아 복수의 모터(M1-M10) 각각의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인접한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 사이에 연결된 모터를 제1 회전 방향(예컨대, 정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 중 하나의 탑-스위치 소자 및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 중 다른 하나의 바텀-스위치 소자를 턴-온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컨트롤러(30)는 인접한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 사이에 연결된 모터를 제2 회전 방향(예컨대, 역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 중 하나의 바텀-스위치 소자 및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 중 다른 하나의 탑-스위치 소자를 턴-온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모터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모터(M1-M10) 각각을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Q1-Q22)의 상태 조건이 도시되어 있다. 'ON'은 해당 스위치 소자가 턴-온 상태일 것을 조건으로 함을 나타내고, 'OFF'는 해당 스위치 소자가 턴-오프 상태일 것을 조건으로 함을 나타내며, '-'는 해당 조건과 관련 없음(Don't care)을 나타낸다.
10: 구동 회로
21, 22, 23: 도어 액추에이터
M: 모터
30: 컨트롤러

Claims (20)

  1.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단 및 음극단 사이에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1 모터;
    상기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2 모터; 및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직류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거나, 상기 직류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의 일극은,
    상기 제2 하프 브리지 회로의 출력단에서 상기 제2 모터의 일극과 연결되되, 상기 제2 모터의 일극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지는, 모터 구동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모터는,
    서로 다른 도어 액추에이터에 구비되는, 모터 구동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은,
    상기 양극단 및 상기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음극단 및 상기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바텀-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 각각은,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구현되는, 모터 구동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상기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를 스위칭하여 상기 구동 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펄스 폭 변조 제어를 통해 상기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를 상보적으로 스위칭하는, 모터 구동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자 위치 피드백을 입력받아 상기 제1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자 위치 피드백을 입력받아 상기 제2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모터 구동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모터를 제1 회전 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상기 제1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1 모터를 제2 회전 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상기 제1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탑-스위치 소자를 턴-온시키는, 모터 구동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모터를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상기 제2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3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2 모터를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상기 제2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3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탑-스위치 소자를 턴-온시키는, 모터 구동 장치.
  11.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단 및 음극단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및
    상기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직류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중 인접한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터 중 상기 인접한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의 출력단들 사이에 연결된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터는,
    상기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중 소정의 하프 브리지 회로의 출력단에서 각각의 일극이 상호 연결된 제1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터의 일극은,
    상기 제2 모터의 일극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지는, 모터 구동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터의 개수는,
    'N'으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의 개수는,
    'N+1'로 설정되되,
    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설정되는, 모터 구동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은,
    상기 양극단 및 상기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음극단 및 상기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바텀-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 각각은,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구현되는, 모터 구동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프 브리지 회로 각각의 상기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를 스위칭하여 상기 구동 회로가 상기 복수의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모터 중 두 개 이상의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모터 중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모터들에 대해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 구동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펄스 폭 변조 제어를 통해 상기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를 상보적으로 스위칭하는, 모터 구동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모터 각각의 회전자 위치 피드백을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모터 각각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모터 구동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하프 브리지 회로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제1 및 제2 하프 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를 제1 회전 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상기 제1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탑-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를 턴-온시키고,
    상기 모터를 제2 회전 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상기 제1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바텀-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하프 브리지 회로의 상기 탑-스위치 소자를 턴-온시키는, 모터 구동 장치.
KR1020220142798A 2022-10-31 2022-10-31 모터 구동 장치 KR20240062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798A KR20240062354A (ko) 2022-10-31 2022-10-31 모터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798A KR20240062354A (ko) 2022-10-31 2022-10-31 모터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354A true KR20240062354A (ko) 2024-05-09

Family

ID=9107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798A KR20240062354A (ko) 2022-10-31 2022-10-31 모터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23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7295A (en) Motor drive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series connected H-bridges
US6614194B2 (en) Motor fan control apparatus
US9548683B2 (en) Motor controller
US11378300B2 (en) Energy recovery ventilator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JP4556833B2 (ja) ゲートドライバおよびそのゲートドライバを含むモータ駆動装置
US7508146B2 (en) Multi-speed dual fan module system for engine cooling applications
JP3999672B2 (ja) 駆動装置
KR20240062354A (ko) 모터 구동 장치
US20020185991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3039328B2 (ja) 空気調和機
JP3815463B2 (ja) 分離型空気調和機
US10073473B2 (en) Indoor digital centralized controller system,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heating/cool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3669201B2 (ja) 風量制御装置
KR101043194B1 (ko) 차량의 냉각 팬용 직류 모터를 단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장치
KR0115358Y1 (ko) 이중 블로위 휀 모터장치
JP2001158222A (ja) 改善された制御により、自動車の暖房、換気、または空調設備のフラップを移動させるためのモータ
JP2783061B2 (ja) 車両のファンモータ制御装置
KR100207925B1 (ko) 전기 자동차의 hvac 제어 장치
JPS6233250A (ja) 空調ドアの制御装置
JPH0677220B2 (ja) モ−タアクチュエ−タの多段停止位置制御装置
JP2613353B2 (ja) 複数空調ユニットの制御方式
JPH0560197U (ja) Dcモータ駆動装置
JP2000350494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装置
JPH04136909U (ja) 送風量切換制御装置
JPH05196287A (ja) 空調機の送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