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472A - 차량의 히든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의 히든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472A
KR20240061472A KR1020220143167A KR20220143167A KR20240061472A KR 20240061472 A KR20240061472 A KR 20240061472A KR 1020220143167 A KR1020220143167 A KR 1020220143167A KR 20220143167 A KR20220143167 A KR 20220143167A KR 20240061472 A KR20240061472 A KR 20240061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vehicle
cover
sp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태욱
오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4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472A/ko
Publication of KR2024006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4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히든박스가 개시된다. 개시된 히든박스는 차량의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내장부재에 마련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방으로 개폐되는 제1커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방으로 개폐되는 제2커버, 프레임에 연결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이 마련되되 공간의 일면이 제1커버 또는 제2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되는 제1수납유닛 및 제1수납유닛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는 제2수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히든박스{HIDDEN BOX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히든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에 귀중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차량의 히든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및 트렁크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패널과, 패널에 조립되도록 사출물로 마련되는 내장용 트림(이하, ‘인테리어 트림’이라 함.)을 구비한다.
통상적인 인테리어 트림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패널의 내면을 덮어 가림으로써 인테리어의 장식효과를 높이면서도, 차량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서 승객과 수하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요즘은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소지 물품이 다양해지고 또한 많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인테리어 트림의 역할은 단순히 차량 내부의 장식이나 승객 및 수화물의 보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승객의 다양한 소지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적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테리어 트림은 승객의 소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특히 승객의 귀중품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에 승객들의 소지품을 보다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56371호(2022. 05. 06. 공개)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탑승객의 귀중품을 수용할 수 있는 차량 내 수납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귀중품을 수납할 수 있는 차량 내 수납 공간이 집약적으로 마련되어 차량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공정의 효율성 및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차량의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내장부재에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방으로 개폐되는 제1커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방으로 개폐되는 제2커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이 마련되되 공간의 일면이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되는 제1수납유닛; 및 상기 제1수납유닛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는 제2수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2수납유닛은 개폐를 위해 상기 제1수납유닛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유닛은 개폐를 위해 상기 제1수납유닛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유닛은 회전축이 중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유닛은 회전축이 측단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유닛은 전면의 일부가 폐쇄되는 상기 제1커버에 가려지고, 전면의 또 다른 일부가 폐쇄되는 상기 제2커버에 가려지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히든박스.
상기 내장부재는 도어 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탑승객의 귀중품을 수용할 수 있는 차량 내 수납 공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귀중품을 수납할 수 있는 차량 내 수납 공간이 집약적으로 마련되어 차량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킨 차량 내 수납 공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공정의 효율성 및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차량 내 수납 공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제2수납유닛에 있어서 제1커버와 제2커버가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제2수납유닛에 있어서 제1커버는 폐쇄되고 제2커버는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제2수납유닛에 있어서 제1커버와 제2커버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제2수납유닛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개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개방된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제2수납유닛이 횡방향 회전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회전축이 제2수납유닛의 측단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회전축이 제2수납유닛의 중심에 마련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제2수납유닛(320)에 있어서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가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제2수납유닛(320)에 있어서 제1커버(210)는 폐쇄되고 제2커버(220)는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제2수납유닛(320)에 있어서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히든박스는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100) 및 커버(200)와 내부에 수납 공간을 마련하는 수납유닛(3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차량의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내장부재에 마련된다. 이때 차량의 내장부재는 차량의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승객이 접근 가능하거나, 적재된 수하물과 접촉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내장부재는 승객이 머무르는 캐빈룸(Cabin room)의 도어 트림이 될 수 있고, 수화물이 위치하는 러기지룸(Luggage room)의 트렁크 트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실내공간에서 접근 가능한 모든 곳을 포함한다.
커버(200)는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방 및 폐쇄가 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100)은 사각 틀로 형성되고, 제1커버(210)는 프레임(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커버(220)는 프레임(1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커버(200)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커버(200)의 상면이 수직 방향에 상응하게 배치되도록 제1커버(210)는 하방으로 회전하고 제2커버(220)는 상방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커버(200)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커버(200)의 상면이 수평 방향에 상응하게 배치되도록 제1커버(210)는 하방으로 회전하고 제2커버(220)는 상방으로 회전한다.
수납유닛(300)은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수납유닛(310)은 제1커버(210) 또는 제2커버(220)가 공간의 일면이 되고, 나머지 면은 후방에서 커버(200)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벽,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 공간의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이 된다. 따라서 제1수납유닛(310)은 승객의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직육면체의 공간을 구비한다. 다만 수납유닛(300)은 이러한 외벽과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면이 상기 커버(200)가 되면서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모든 공간 형태를 포함한다.
제2수납유닛(320)은 승객의 귀중품을 보관하는 히든박스로써 제1수납유닛(310)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으로 마련된다.
제2수납유닛(320)은 전면의 일부가 폐쇄되는 상기 제1커버(210)에 가려지고, 전면의 또 다른 일부가 폐쇄되는 상기 제2커버(220)에 가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서와 같이 제2커버(220)만 개방된 경우에는 제2수납유닛(320)의 일부가 제1커버(210)에 가려져 제2수납유닛(320)을 개방할 수 없고, 반대로 제1커버(210)만 개방되는 경우에는 제2수납유닛(320)의 일부가 제2커버(220)에 가려져 제2수납유닛(320)을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제2수납유닛(320)은 도 3에서와 같이 제1커버(210) 및 제2커버(220)를 모두 개방하여 제1수납유닛(310)을 온전하게 개방한 이후에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3자가 제2수납유닛(320)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2수납유닛(320)은 제1수납유닛(310)과 연결된 부분에 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탑승객이 제1수납유닛(310)을 통해 소지품을 용이하게 수납하면서도 귀중품이 보관된 제2수납유닛(320)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수납유닛(320)이 개방되고 폐쇄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제2수납유닛(320)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개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개방된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수납유닛(320)은 개폐를 위해 제1수납유닛(310)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탑승객이 도 4(a)와 같이 폐쇄된 제2수납유닛(320)의 손잡이를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도 4(b)와 같이 제2수납유닛(320)이 슬라이드 이동을 하여 개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제2수납유닛(320)이 횡방향 회전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회전축이 제2수납유닛(320)의 측단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회전축이 제2수납유닛(320)의 중심에 마련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수납유닛(320)은 개폐를 위해 제1수납유닛(310)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탑승객이 도 4(a)와 같이 패쇄된 제2수납유닛(320)의 손잡이를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도 5와 같이 제2수납유닛(320)이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2수납유닛(320)이 회전하는 회전축은 도 5(a)와 같이 제2수납유닛(320)의 측단에 마련되거나 도 5(b)와 같이 제2수납유닛(320)의 중심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이 측단인 경우에는 제2수납유닛(320)의 수납공간이 넓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제2수납유닛(320)이 개방하기 위해 제1수납유닛(310)의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회전축이 중심인 경우에는 제2수납유닛(320)의 수납공간이 좁아지는 단점이 있으나 제2수납유닛(320)이 개방하기 위해 제1수납유닛(310)의 넓은 공간이 확보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제2수납유닛(320)이 개방되고 폐쇄되는 방식에 있어서 슬라이드 방식이나 횡방향의 회전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수납유닛(310)을 개방한 이후에 별도의 개폐가 요구되는 모든 접근 방식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히든박스는 제1수납유닛(310)이 마련되어 차량 승객들의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으면서도 제1수납유닛(310)의 내부에 별도로 제2수납유닛(320)이 마련되어 귀중품을 수납할 수 있고,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커버(200)를 포함하여 승객이 소지품을 수납하기 위한 편의를 도모하면서 소지품의 수납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커버(200)를 후방으로 밀어 차량 내부의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또한 인테리어 미감을 높여 차량의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수납유닛(320)의 개폐방식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횡방향 이동을 위한 구성이 마련되어 차량 내 수납 공간을 집약적으로 마련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의 히든박스는 구성과 구성 간의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공정의 효울성 및 제품의 생산성을 높여 차량의 상품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프레임 200: 커버
210: 제1커버 220: 제2커버
300: 수납유닛 310: 제1수납유닛
320: 제2수납유닛

Claims (7)

  1. 차량의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내장부재에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방으로 개폐되는 제1커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방으로 개폐되는 제2커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이 마련되되 공간의 일면이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되는 제1수납유닛; 및
    상기 제1수납유닛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는 제2수납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히든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유닛은
    개폐를 위해 상기 제1수납유닛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량의 히든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유닛은
    개폐를 위해 상기 제1수납유닛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량의 히든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유닛은
    회전축이 중심에 마련되는 차량의 히든박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유닛은
    회전축이 측단에 마련되는 차량의 히든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유닛은
    전면의 일부가 폐쇄되는 상기 제1커버에 가려지고,
    전면의 또 다른 일부가 폐쇄되는 상기 제2커버에 가려지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히든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부재는
    도어 트림을 포함하는 차량의 히든박스.
KR1020220143167A 2022-10-31 2022-10-31 차량의 히든박스 KR20240061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67A KR20240061472A (ko) 2022-10-31 2022-10-31 차량의 히든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67A KR20240061472A (ko) 2022-10-31 2022-10-31 차량의 히든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472A true KR20240061472A (ko) 2024-05-08

Family

ID=9107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167A KR20240061472A (ko) 2022-10-31 2022-10-31 차량의 히든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4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371A (ko)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컵홀더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371A (ko)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컵홀더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146B2 (en) Vehicle cargo sidewall structure
US6102463A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hidden storage compartment
CA2455272C (en) Under-seat storage bin for extended cab pickup trucks
US20070257501A1 (en) Vehicle cargo retention system
WO1999038727A1 (en) Pick-up load body with lockable storage compartment
US10434955B2 (en)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of vehicle
CN105564514A (zh) 尾门厢释放机构装置
US20050052045A1 (en) Vehicle side storage box
JP4992390B2 (ja) 車両用の収納構造
US9511701B2 (en) Utility vehicle
JP5760645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20240061472A (ko) 차량의 히든박스
KR100812451B1 (ko) 차량의 보조 테일 게이트구조
US20220097615A1 (en) Vehicle storage system
JP5075844B2 (ja) 車両の荷室構造
KR20240061473A (ko) 차량의 접이식 포켓
JP2975226B2 (ja) 自動車のボディ構造
KR20150039617A (ko) 차량 도어 보관부
GB2436817A (en) Movable floor for the load space of a vehicle
US20100301626A1 (en) Cargo cage for an automobile
KR20220095274A (ko) 차량용 루프박스
KR100535761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조립구조
JP2000052871A (ja) 車両の荷室構造
JP2005186848A (ja) デッキフロア構造
KR102000913B1 (ko)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