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924A -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924A
KR20240060924A KR1020220142003A KR20220142003A KR20240060924A KR 20240060924 A KR20240060924 A KR 20240060924A KR 1020220142003 A KR1020220142003 A KR 1020220142003A KR 20220142003 A KR20220142003 A KR 20220142003A KR 20240060924 A KR20240060924 A KR 20240060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part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9356B1 (ko
Inventor
김의원
임지영
Original Assignee
김의원
임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원, 임지영 filed Critical 김의원
Priority to KR102022014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9356B1/ko
Publication of KR2024006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9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수(水)상 복합성분과 유(油)상 복합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수상 복합성분은, 따나카(Thanakha) 추출물;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 및 장미수(Rose wat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PROVIDING UV PROTECTION, WHITENING, ANTIBACTERIAL FUNCTION USING NATURAL MATERIALS}
본 발명은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50~100㎛ 두께의 표피와 바로 아래 2~3mm 두께를 가진 진피로 구분되며, 이 중 표피는 표면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된다.
멜라닌을 만드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는 표피의 맨 밑에 있는 기저층에 있기 때문에 자외선 지수가 높은 여름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가 자극을 받으면 티로시나아제 효소가 멜라노사이트 안에 있는 단백질인 티로신을 산화시킨다.
이와 같이 산화된 티로신은 멜라닌을 만들고, 이 멜라닌이 각질층으로 올라오면 피부가 검게 보이게 하는데, 이와 같은 원리를 기저로 저자극 천연 화장품으로 만들어진 자외선 차단제를 수시로 꾸준히 바르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자극을 예방하여 피부를 투명하고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피부와 깨끗한 모공관리를 위해 미백 성능의 제공 역시 중요한데, 화장품이 자외선 차단 기능을 통해 멜라닌을 만드는 자외선을 차단한다면, 미백 기능을 통해서는 자외선을 받은 피부세포에 멜라닌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억제한다.
이와 같은 자외선 차단, 미백 또는 항균 등의 기능성을 갖춘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은 점차 화학성분을 기반으로 한 조성에서 벗어나 천연 성분들을 이용하여 조성을 구성하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천연의 자외선차단 성분으로서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3201호의“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관련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 성분의 사용이 여전히 전체 조성 내에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자외선 차단 기능 외에 부가되는 피부 개선 관련 기능이 미미하거나 균형적으로 개선된 수준을 갖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한 많은 천연소재 기반의 성분과 최소한의 화학성분의 이용을 통해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되, 자외선 차단 기능 외의 미백 및 항균 등의 추가 기능들이 균형적으로 고도화된 수준에서 발현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수(水)상 복합성분과 유(油)상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 복합성분은, 따나카(Thanakha) 추출물;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 및 장미수(Rose water);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상 복합성분은, 상기 따나카 추출물 23 내지 30 부피부; 상기 황기 추출물 14 내지 21 부피부;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 1.5 부피부; 및 상기 장미수(Rose water) 5 부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상 복합성분은, 이산화 타이타늄(TiO2, Titanium Dioxide) 5 내지 7 부피부; 및 산화아연(ZnO, Zinc Oxide) 5 내지 7 부피부;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수상 복합성분은, 닥나무(Broussonetia)추출물 5 부피부; 연자방(Lotus Seedpod) 추출물 7 부피부; 및 바다포도(Caulerpa Lentillifera) 추출물 3 부피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상 복합성분은, 올리브(Olea Europaea) 오일 7 부피부; 마룰라 씨(Sclerocarya Birrea Seed) 오일 4 부피부; 코포아수 씨(Cupuacu Seed) 버터 6 부피부; 올리브 유화 왁스(Olive Wax) 5 부피부; 및 세틸알코올 (Cetyl alcohol) 2 부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리피듀어(Lipidure PMB) 1 부피부, 스쿠알렌(Squalene) 0.5 부피부, 트라넥사모일다이펩타이드-23(Tranexamoyl Dipeptide-23) 1.5 부피부 및 아데노신(Adenosine) 0.5 부피부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최대한 많은 천연소재 기반의 성분과 최소한의 화학성분의 이용을 통해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관련 물성의 수준이 모두 균형적으로 매우 고도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해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수(水)상 복합성분, 유(油)상 복합성분 그리고 첨가제를 주요 조성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수(水)상 복합성분은 따나카(Thanakha) 추출물,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 장미수(Rose water), 이산화 타이타늄(TiO2, Titanium Dioxide) 및 산화아연(ZnO, Zinc Oxide)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水)상 복합성분 중 따나카(Thanakha) 추출물은 따나카(Thanakha, 학명: Limonia Acidissima) 나무를 이용해 추출과정을 거쳐 수득되는 물질로서, 기존의 피부 쿨링효과 및 보호, 모공 수축, 탑티 제거 등의 효과에 더 나아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주요 성분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따나카(Thanakha) 추출물은 따나카(고형 또는 분말형) 300g을 70 부피%의 농도를 갖춘 에탄올 수용액에 투입하여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이어 냉침작업 후 여과지를 이용한 여과작업을 진행한다.
그 후, 여과작업을 거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추출용매인 에탄올을 제거한 뒤 동결 건조 작업을 통해 고형화하여 따나카(Thanakha) 추출물을 수득한다.
구체적으로, 따나카(Thanakha) 추출물은 23 내지 30 부피부의 적정 부피수준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 또한 따나카(Thanakha) 추출물과 같이 작용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를 부여하고 해당 기능의 수준을 고도화하기 위해 첨가되는 주요 성분에 해당된다.
여기서,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은 건조된 황기 300g을 70 부피%의 농도를 갖춘 에탄올 수용액 3000g에 투입하여 37℃의 온도환경을 갖춘 인큐베이터(Jeio Tech, Korea) 내에서 100rpm의 속도로 72시간동안 추출을 진행한다.
그 후, 추출작업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의 상층액을 정제하고, 추출용매인 에탄올을 감압 농축을 통해 제거한 뒤, 동결 건조작업을 통해 고형화하여 황기 추출물을 수득한다.
구체적으로, 고형화된 황기 추출물의 최초 이용된 건조된 상태의 황기의 무게 대비 수율은 18.45%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황기 추출물은 14 내지 21 부피부의 적정 부피수준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실시에 따라 이산화 타이타늄(TiO2, Titanium Dioxide) 5 내지 7 부피부와 산화아연(ZnO, Zinc Oxide) 5 내지 7 부피부가 추가로 첨가되어 자외선 차단 기능을 확실히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나, 피부 질환 유발의 위험이 있는 이산화 타이타늄 및 산화하연은 최소한으로 이용됨이 바람직하고, 이에 부족한 부분은 앞 서 설명한 따나카 추출 및 황기 추출물에 의해 상당 부분 보완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은 EWG 1등급 (Green 그린 등급)으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안료, 피그먼트 분산 등에 매우 뛰어난 성능으로 분산제(Dispersing agent, dispersant)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은 초미세 (Ultra fine)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TiO2, 이산화티타늄), 초미세 (Super fin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ZnO, 산화아연) 등 화장품에 사용되는 나노(Nano) 무기 입자들의 분산에도 매우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분산제로서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을 사용할 시, 우수한 분산력으로 무기 자차원료들을 더욱 높은 함량으로 첨가할 수 있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화장품의 자외선 차단 성능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백탁현 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산액의 점도도 낮출 수 있고, 분산된 제형을 부드럽게 해주며, 미세 무기 입자의 표면에 바인딩하여 입자 서로간의 입체 반발력 Steric repulsion 또는 정전기적 Electrostatic 반발력을 통해 입자를 분리하여 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로서의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은 1.5 부피부의 적정 부피수준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장미수(Rose water)는 수(水)상 복합성분을 구성하는 조성간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용매에 해당한다.
실시에 따라서 수(水)상 복합성분은 항산화 및 항균성의 부여 및 해당 물성의 제공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닥나무(Broussonetia)추출물 5 부피부, 연자방(Lotus Seedpod) 추출물 7 부피부 및 바다포도(Caulerpa Lentillifera) 추출물 3 부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다포도(Caulerpa Lentillifera) 추출물의 경우 DDPH 라디칼 소거능의 우수하여 항산화 활성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내 수(水)상 복합성분은 따나카(Thanakha) 추출물 23 내지 30 부피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 14 내지 21 부피부, 장미수(Rose water) 5 부피부,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 1.5 부피부, 닥나무(Broussonetia)추출물 5 부피부, 연자방(Lotus Seedpod) 추출물 7 부피부 및 바다포도(Caulerpa Lentillifera) 추출물 3 부피부를 기본 조성으로 포함하되, 실시에 따라 최소한으로 이산화 타이타늄(TiO2, Titanium Dioxide) 5 내지 7 부피부와 산화아연(ZnO, Zinc Oxide) 5 내지 7 부피부가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유(油)상 복합성분은 올리브(Olea Europaea) 오일 7 부피부, 마룰라 씨(Sclerocarya Birrea Seed) 오일 4 부피부, 코포아수 씨(Cupuacu Seed) 버터 6 부피부, 올리브 유화 왁스(Olive Wax) 5 부피부의 조성 및 적정 부피수준을 갖추어 마련된다.
여기서, 올리브(Olea Europaea) 오일은 고형성분 용해제로서 볍고 매끄러운 질감으로 피부를 부드럽고 윤택하게 해주고, 밀폐제로 수분차단제 기능을 함과 동시에 무엇보다 자외선 차단 기능과 관련하여 부스팅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마룰라 씨(Sclerocarya Birrea Seed) 오일은 중요한 항산화제를 높은 농도로 함유하고 있어 세포재생에 도움을 주며, 외부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성분으로,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피부를 통한 수분의 손실) 감소에 도움을 주고, 피부의 부드러움 향상 시켜주며, 피부에 쉽게 흡수됨으로써 피부 지질층 형성에 도움을 준다.
또한, 코포아수 씨(Cupuacu Seed) 버터는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균형 잡힌 조성을 갖추며, 낮은 융점(약 30℃)이 특징이며 피부에 발랐을 때 부드럽고 빠르게 흡수되는 소프트 Solid 타입의 버터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올리브에서 추출한 천연 유화제로서, 천연 계면활성제로서 피부개선에 필요한 각종 성분들의 흡수를 돕고, 주름 및 미백의 기능성을 더욱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첨가제는 리피듀어(Lipidure PMB) 1 부피부, 스쿠알렌(Squalene) 0.5 부피부, 트라넥사모일다이펩타이드-23(Tranexamoyl Dipeptide-23) 1.5 부피부 및 아데노신(Adenosine) 0.5 부피부의 조성 및 적정 부피수준을 갖추어 마련된다.
여기서, 리피듀어(Lipidure PMB)은 보습 지속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고보습제로서 Polyquaternium-51 성분을 기반으로 인공 세포막, 인공 혈관등의 의료 분야로부터 태어난 신폴리머 성분으로 사람의 세포막을 만드는 단백질의 일종을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스쿠알렌(Squalene)은 상어간유, 올리브, 아마란스 씨, 쌀겨, 맥아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불포화 탄화수소로서,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세포 손방을 막아 항산화 및 항균 효과의 부가와 관련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트라넥사모일다이펩타이드-23(Tranexamoyl Dipeptide-23)은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와 다이펩타이드-23(Dipeptide-23)의 반응을 통해 얻어지며, 기미 개선효과가 뛰어난 트라넥사민 산을 펩타이드 말단에 도입시킨 성분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아데노신(Adenosine)은 주름 개선 기능성 성분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켜 피부 재생을 도우며, 이 외에도 항염 효과가 뛰어나다.
2.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 시험 결과에 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실험 방법들을 통해 자외선 차단, 미백, 항균 등과 관련한 물성의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수단에 의한 성질 등을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 실험 방법들을 이용하였다.
(1) 따나카 추출물의 농도 및 황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자외선 차단기능 관련 물성평가
우선, 따나카(고형 또는 분말형) 300g을 70 부피%의 농도를 갖춘 에탄올 수용액에 투입하여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이어 냉침작업 후 여과지를 이용한 여과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후, 여과작업을 거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추출용매인 에탄올을 제거한 뒤 동결 건조 작업을 통해 고형화하여 따나카(Thanakha) 추출물을 수득한 뒤, 장미수(Rose water)에 각각 10, 30, 50, 70, 100 부피%의 농도를 갖추도록 수득된 따나카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실시예를 마련하여 SPF(Sun Protection Factor)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1과 같다.
여기서, 제조된 각 실시예의 자외선차단 SPF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in-vitro SPF 측정 방법은 샘플 홀더에 부착한 트랜스포어 테잎에(Transpore tape) 전면의 6회 스캔이 되는 위치 에 3×5 cm2의 사각형을 표시하고 그 위치에만 실시예 2 ㎕/cm2를 국소 도포하여 1회 측정할 때마다 총 3회 스캔하였다.
이 3회의 스캔하는 과정을 1회 측정으로 보고, 실시예마다 3회 반복 측정하여 값의 평균을 산출하며, 또한 트랜스포어 테잎은 안정적인 결과값을 줄 수 있는 범위인 약 40 내지 45회 사용 범위 내의 길이까지만 사용하였으며, 기기는 30분 정도의 워밍업 후 사용하였다.
SPF(Sun Protection Factor)의 in-vivo 임상시험은 Solar simulator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실시예의 자외선차단 SPF 효과는 식약처 고시 방법을 기준으로 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농도(부피%) 10 30 50 70 100
SPF 17 19 22 25 25
이어, 건조된 황기 300g을 70 부피%의 농도를 갖춘 에탄올 수용액 3000g에 투입하여 37℃의 온도환경을 갖춘 인큐베이터(Jeio Tech, Korea) 내에서 100rpm의 속도로 72시간동안 추출을 진행하였다.
그 후, 추출작업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의 상층액을 정제하고, 추출용매인 에탄올을 감압 농축을 통해 제거한 뒤, 동결 건조작업을 통해 고형화하여 황기 추출물을 수득한 뒤, 앞 서 따나카(Thanakha) 추출물을 70 부피%의 농도로 첨가한 장미수(Rose water)인 실시예4에 각각 10, 20, 30, 40, 50 부피%의 농도를 갖추도록 수득된 황기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실시예를 마련하여 SPF(Sun Protection Factor)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2과 같다.
여기서, 제조된 각 실시예의 자외선차단 SPF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앞 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농도(부피%) 10 20 30 40 50
SPF 24 26 29 31 28
이와 같은 표1 및 표2를 통해, 실시예4 및 실시예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내 수(水)상 복합성분에 포함되는 따나카(Thanakha) 추출물은 장미수(Rose water)와 혼합될 시 70 부피%의 농도를 갖추고, 이와 같은 따나카 추출물과 장미수의 혼합액을 기준으로 황기 추출물은 추가로 혼합될 시 40부피%의 농도를 갖춤이 자외선차단 SPF 효과의 증대를 고려하여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2)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의 농도 및 따나카 추출물 내 따나카 분말 입자의 크기에 따른 자외선 차단기능 관련 물성평가
다음으로, 실시예9에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의 분산제를 농도별로 구분하여 첨가하며, 각 실시예 별로 따나카 추출물 내 포함된 따나카 분말의 입자 크기를 달리 설정하였으며, 이산화 타이타늄(TiO2, Titanium Dioxide)과 산화아연(ZnO, Zinc Oxide) 첨가 유무를 달리하여 각 경우에 따른 실시예별 자외선차단 SPF 효과 및 자외선차단 PA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중, 이산화 타이타늄(TiO2, Titanium Dioxide)과 산화아연(ZnO, Zinc Oxide) 첨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의 결과는 하기 표3과 같고, 이산화 타이타늄(TiO2, Titanium Dioxide)과 산화아연(ZnO, Zinc Oxide) 첨가가 각각 5 부피부만큼 첨가 처리된 경우의 결과는 하기 표4와 같다.
여기서, 제조된 각 실시예의 자외선차단 SPF 효과 및 PA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in-vitro 측정 방법은 샘플 홀더에 부착한 트랜스포어 테잎에(Transpore tape) 전면의 6회 스캔이 되는 위치 에 3×5 cm2의 사각형을 표시하고 그 위치에만 실시예 2 ㎕/cm2를 국소 도포하여 1회 측정할 때마다 총 3회 스캔하였다.
이 3회의 스캔하는 과정을 1회 측정으로 보고, 실시예마다 3회 반복 측정하여 값의 평균을 산출하며, 트랜스포어 테잎은 안정적인 결과값을 줄 수 있는 범위인 약 40 내지 45회 사용 범위 내의 길이까지만 사용하였으며, 기기는 30분 정도의 워밍업 후 사용하였다.
SPF 및 PA 효과의 in-vivo 임상시험은 Solar simulator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실시예의 자외선차단 SPF 효과 및 PA 효과는 식약처 고시 방법을 기준으로 하였다.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분산제
농도
0.1
부피%
0.3
부피%
0.5
부피%
0.7
부피%
0.9
부피%
1.2
부피%
1.5
부피%
입자
크기
54㎛ 52㎛ 48㎛ 40㎛ 31㎛ 30㎛ 28㎛
SPF 31 34 34 35 35 38 39
PA PA+ PA+ PA+ PA++ PA++ PA+++ PA+++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분산제
농도
0.1
부피%
0.3
부피%
0.5
부피%
0.7
부피%
0.9
부피%
1.2
부피%
1.5
부피%
입자
크기
54㎛ 52㎛ 48㎛ 40㎛ 31㎛ 30㎛ 28㎛
SPF 37 39 37 40 43 42 43
PA PA++ PA++ PA++ PA+++ PA+++ PA+++ PA+++
따라서 표3 및 표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내 수(水)상 복합성분에 포함되는 실시예17 및 실시예24와 같이 따나카 추출물을 70 부피%의 농도로 첨가하고, 황기 추출물을 40부피%의 농도로 첨가한 장미수(Rose water)에 1.5 부피%의 농도를 갖추도록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의 분산제가 첨가되고, 따나카 추출물의 따나카 분말의 입자크기는 28㎛로 마련됨이 자외선 차단 기능의 고도화를 위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표3과 표4를 통해 실시예16과 실시예17의 결과값과 실시예23과 실시예24 간의 물성시험 결과를 비교해보면, 수치적으로 실시예23과 실시예24와 같이 이산화 타이타늄(TiO2, Titanium Dioxide)과 산화아연(ZnO, Zinc Oxide) 첨가가 이루질 경우 자외선 차단 기능과 관련한 물성의 개선이 확실히 나타나나, 그 개선 수준을 고려할 시 미첨가시에도 부족하지 않은 물성 수준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바다포도 추출물의 첨가 및 농도에 따른 항산화 관련 물성평가
바다포도(Caulerpa Lentillifera)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할 시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을 검사하여 항산화 수준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5와 같다.
구체적으로, Blois(1958) 방법을 기준으로 실시예별 최종농도가 0.1, 0.5, 1.5, 2.5, 3, 5%가 되도록 에탄올에 희석한 후 10mM DPPH (Sigma-Aldrich) 용액 180㎕와 시료액 20㎕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여 37℃에서 30 min 동안 반응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 (Synergy HT, BioTek Instruments, USA)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양성 대조군으로는 0.01, 0.1, 1% 농도의 ascorbic acid (Sigma-Aldrich)를 사용하였다.
실시예25 실시예26 실시예27 실시예28 실시예29 실시예 30 실시예31 실시예32
농도
(부피%)
0 0.1 0.5 1.5 2.5 3 4 5
DPPH 라디칼 소거능(%) 67.23 70.78 72.11 77.81 80.36 82.95 82.15 81.35
이러한 표5의 결과와 같이 바다포도(Caulerpa Lentillifera) 추출물은 실시예30과 같이 3 부피%의 농도 수준을 갖춤이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과 관련한 항산화 성능의 개선을 최대로 제공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4) 화장료 조성물 전체의 자외선 차단, 미백, 항균성 관련 물성 평가
우선,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6과 같은 조성 및 부피 수준을 갖추어 혼합되어 마련된다.
단위 : ㎖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유상 복합성분 올리브 오일 7 7 7
마룰라 씨 오일 4 4 4
코포아수 씨 버터 6 6 6
올리브 유화 왁스 5 5 5
세틸 알코올 2 2 2
수상복합성분 따나카 추출물 30 25 23
황기 추출물 21 16 14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 1.5 1.5 1.5
장미수 5 5 5
이산화 타이타늄 0 5 7
산화아연 0 5 7
닥나무 추출물 5 5 5
연자방 추출물 7 7 7
바다포도 추출물 3 3 3


리피듀어 1 1 1
스쿠알렌 0.5 0.5 0.5
트라넥사모일다이펩타이드-23 1.5 1.5 1.5
아데노신 0.5 0.5 0.5
표6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1 내지 제조예3을 이용해 앞 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자외선차단 SPF 효과 및 PA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7과 같다.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SPF 39 43 48
PA PA+++ PA+++ PA+++
표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1 내지 제조예3 모두 적정 부피수준을 갖추어 제조되는 만큼 충분히 우수한 자외선차단 SPF 효과 및 PA 효과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6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2를 이용해 균별 Reduction Rate(%)의 측정을 기반으로 한 항균성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8과 같다.
pH 6.5 Reduction Rate
3일차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접종 97% 사멸
폐렴구균 (Streptococcus pneumoniae) 접종 95% 사멸
7일차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접종 98% 사멸
폐렴구균 (Streptococcus pneumoniae) 접종 98% 사멸
14일차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접종 98.5% 사멸
폐렴구균 (Streptococcus pneumoniae) 접종 99% 사멸
Reduction Rate(%) =
A : 접종 후 일정 접촉시간을 통하여 배양된 시험편으로부터 재생된 세균 수
B : 접종 후 접촉시간 [0] (접촉 후 즉시)의 시험편으로부터 재생된 세균 수
C : 접종 후 접촉시간 [0] (접촉 후 즉시)의 대조편으로부터 재생된 세균 수
마지막으로, 추가적인 제조예를 하기 표9와 같이 제조하여 제조예별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의 물성 검사를 통해 미백 성능을 검증하였다.
단위 : ㎖ 제조예4 제조예5 제조예6 제조예7
유상 복합성분 올리브 오일 7 7 7 7
마룰라 씨 오일 4 4 4 4
코포아수 씨 버터 6 6 6 6
올리브 유화 왁스 5 5 5 5
세틸 알코올 2 2 2 2
수상복합성분 따나카 추출물 - 25 25 25
황기 추출물 16 - 16 16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 1.5 1.5 1.5 1.5
장미수 5 5 5 5
이산화 타이타늄 5 5 5 -
산화아연 5 5 5 -
닥나무 추출물 5 5 - 5
연자방 추출물 7 7 7 7
바다포도 추출물 3 3 3 3


리피듀어 1 1 1 1
스쿠알렌 0.5 0.5 0.5 0.5
트라넥사모일다이펩타이드-23 1.5 1.5 1.5 1.5
아데노신 0.5 0.5 0.5 0.5
구체적으로, 시중에 출시된 A경쟁사의 자외선차단 크림 제품과 제조예2, 제조예4 내지 제조예7에 대해 Tyrosine을 수산화 (hydroxylation)시켜3,4-dihydroxyphenylalanine (DOPA)로 변화하는 tyrosinase의 활성 저해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10과 같다.
각 제조예들을 멸균증류수로 녹이고 0.1 M phosphate buffer(pH 7.0)에 희석하여 100, 500, 1,000μg/㎖의 시험액을 각각 준비한 뒤, 96 well plate에 0.1M phosphate buffer(pH 7.0) 170㎕, 희석한 시험액 10㎕, 2,000 unit/㎖ mushroom tyrosinase(sigma, USA) 10㎕ 및 10mM L-DO PA(sigma, USA) 10㎕를 순차적으로 넣은 후 혼합하여 37 ℃에서 15 min 동안 반응시킨 후 47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액의 흡광도는 시험액 대신 0.1 M phosphate buffer (pH 7.0)를 넣어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하여 측정하였으며, 효소 활성 억제율은 ‘효소 활성 억제율 (%)=(A-B)/A×100(A:공시험액의 반응 후 흡광도, B:시험액의 반응 후 흡광도)’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시제품 제조예2 제조예4 제조예5 제조예6 제조예7
Tyrosinase 활성 억제능(%)
(1,000㎍/㎖기준)
100 131 122 125 128 120
표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2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기존 제품에 비해서는 큰 차이를 보이며 매우 고도화된 미백성능을 보이며, 나머지 제조예와의 비교를 통해서도 가장 바람직하게 수상복합성분의 조성 상 따나카 추출물, 황기 추출물, 닥나무 추출물 등의 성분이 만드시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조예2와 제조예6의 비교를 통해 이산화 타이타늄(TiO2, Titanium Dioxide)과 산화아연(ZnO, Zinc Oxide) 첨가가 이루질 경우 미백 성능과 관련한 물성의 개선이 확실히 나타나나, 그 개선 수준을 고려할 시 미첨가시에도 부족하지 않은 물성 수준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수(水)상 복합성분과 유(油)상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 복합성분은,
    따나카(Thanakha) 추출물;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Polyhydroxyoctadecanoic acid); 및
    장미수(Rose wa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복합성분은,
    상기 따나카 추출물 23 내지 30 부피부;
    상기 황기 추출물 14 내지 21 부피부;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익 산 1.5 부피부; 및
    상기 장미수(Rose water) 5 부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복합성분은,
    이산화 타이타늄(TiO2, Titanium Dioxide) 5 내지 7 부피부; 및
    산화아연(ZnO, Zinc Oxide) 5 내지 7 부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복합성분은,
    닥나무(Broussonetia)추출물 5 부피부;
    연자방(Lotus Seedpod) 추출물 7 부피부; 및
    바다포도(Caulerpa Lentillifera) 추출물 3 부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복합성분은,
    상기 유상 복합성분은,
    올리브(Olea Europaea) 오일 7 부피부;
    마룰라 씨(Sclerocarya Birrea Seed) 오일 4 부피부;
    코포아수 씨(Cupuacu Seed) 버터 6 부피부;
    올리브 유화 왁스(Olive Wax) 5 부피부; 및
    세틸알코올 (Cetyl alcohol) 2 부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리피듀어(Lipidure PMB) 1 부피부, 스쿠알렌(Squalene) 0.5 부피부, 트라넥사모일다이펩타이드-23(Tranexamoyl Dipeptide-23) 1.5 부피부 및 아데노신(Adenosine) 0.5 부피부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42003A 2022-10-31 2022-10-31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8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003A KR102689356B1 (ko) 2022-10-31 2022-10-31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003A KR102689356B1 (ko) 2022-10-31 2022-10-31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924A true KR20240060924A (ko) 2024-05-08
KR102689356B1 KR102689356B1 (ko) 2024-08-05

Family

ID=9107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003A KR102689356B1 (ko) 2022-10-31 2022-10-31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935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3056A (ja) * 2001-06-07 2002-12-18 Tokiwa Corp 化粧料
KR101830860B1 (ko) * 2010-07-13 2018-02-21 (주)아모레퍼시픽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0098A (ko) *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대한바이오위드 다량의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는 연자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8988B1 (ko) * 2017-04-05 2018-12-13 에이앤펩주식회사 기능성 펩타이드와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9356B1 (ko) 202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8202B2 (ja) 皮膚組成物
WO2018073714A1 (fr) Extrait d'anigozanthos flavidus pour son utilisation cosmétique
KR20140048258A (ko) 자연 성분의 복합을 내포하는 피부 관리 조성물
CN113041172B (zh) 用于肌肤屏障修护的皮脂膜仿生组合物及其应用和化妆品
KR20130088912A (ko) 텐저레틴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3102181B1 (fr) Complexe actif pour un produit cosmé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é
KR101716489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796024B (zh) 用于皮肤屏障修复的仿生皮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15655B1 (ko) 드래곤블러드수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1008B1 (ko) 피탄트리올과 헥사미딘디이세치오네이트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89356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해 자외선 차단, 미백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9327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034667A1 (fr)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contre l'acne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35551B1 (ko) 포름오노네틴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레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3437A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475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9399B1 (ko)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68538B1 (ko)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이 함유되어 항산화, 미백 및 항염효능이 우수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KR102689489B1 (ko) 편백잎 추출물, 천심련 추출물 및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760184B1 (en) Composition comprising stabilized phycocyanin and its uses
KR101720740B1 (ko) 까치박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95381A (ko) 다래열매추출물, 다래꽃추출물 및 다래줄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