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668A -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668A
KR20240059668A KR1020220138085A KR20220138085A KR20240059668A KR 20240059668 A KR20240059668 A KR 20240059668A KR 1020220138085 A KR1020220138085 A KR 1020220138085A KR 20220138085 A KR20220138085 A KR 20220138085A KR 20240059668 A KR20240059668 A KR 2024005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s
trapping
trap device
panel
pherom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수
조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난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난
Publication of KR2024005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Abstract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는 해충을 유인하는 페로몬체, 페로몬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페로몬체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비행 중 접촉하여 낙하하도록 하는 낙하 패널, 낙하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낙하 패널에 의해 낙하하는 해충이 유입되는 포획관, 포획관의 하부에 장착되고, 포획관을 통해 유입되는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TRAP DEVICE FOR CATCHING HARMFUL INSECTS}
본 발명은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페르몬을 이용하여 유리알락하늘소를 포함한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알락하늘소(Anoplophora glabripennis)는 하늘소과의 해충으로, 주로 중국이나 한국의 강원도 등지에서 서식한다. 최근에는 인천, 부산 등의 항구도시에서도 유리알락하늘소가 발견되고 있다.
유리알락하늘소는 나무 줄기를 갉아낸 후 그 안에 알을 낳고, 유충은 나무껍질 아래의 매끈매끈한 수피 내부를 파먹으면서 점점 자라 나무 중심까지 파고 들어간다. 유리알락하늘소에 의해, 나무는 속이 썩어 가게 되고, 생장에 방해를 받아 결국에는 말라 죽게 되는 현상으로 이어진다.
다양한 하늘소가 존재하지만, 큰나무, 어린나무 할 것 없이 무차별적으로 가해를 하는 종은 유리알락하늘소가 거의 유일하다. 특히, 유리알락하늘소는 나무에 구멍을 내 속을 파먹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나무가 다른 해충 및 해충으로부터의 침입에도 무방비 상태가 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유리알락하늘소 암컷 한마리가 한 철에 35개 내지 90개 정도의 알을 낳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리알락하늘소에 의해 긴 기간동안 성장해 온 푸른 나무들이 견디지 못하고 죽어가고 있다.
유리알락하늘소는 주로 한국, 중국, 및 일본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미국 및 유럽에서도 유리알락하늘소가 유입된 사실이 보고되고 있다.
세계자연보호연맹(IUCN)에서는 유리알락하늘소를 세계 100대 유해 외래 생물로 지정하고 있을 정도이지만, 국내에서는 유리알락하늘소를 수목에 큰 피해를 끼치지 않는 해충으로 분류하고 있다.
유리알락하늘소의 발견 지역이 증가하고 있고, 유리알락하늘소에 의한 수목 피해가 점점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8399호(2016. 05. 25.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친환경적인 페르몬을 이용하여 유리알락하늘소를 포함한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함으로써, 해충 방제를 친환경적으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는 해충을 유인하는 페로몬체, 페로몬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페로몬체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비행 중 접촉하여 낙하하도록 하는 낙하 패널, 낙하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낙하 패널에 의해 낙하하는 해충이 유입되는 포획관, 포획관의 하부에 장착되고, 포획 관을 통해 유입되는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망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페로몬체는, 하이드로겔 성분으로 제작된 파우치에 페로몬을 담은 형태, 및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페로몬을 수용하고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페로몬이 분비되는 케이스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입구는 낙하 패널의 하부에 연결되고, 출구는 포획망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낙하 패널의 하부는, 포획관의 입구 상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낙하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고, 낙하 패널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낙하 패널은, 4개의 패널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십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낙하 패널 및 포획망에는 해충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성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페르몬을 사용하여 유리알락하늘소를 포함한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손쉽게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의 모식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에 사용되는 페로몬체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이하 '트랩장치'라 한다)(100)는 낙하패널(110), 지지프레임(120), 포획관(130), 포획망(140), 덮개(150), 거치용부재(160) 및 페로몬체(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상부에는 덮개(150), 중앙부에는 낙하 패널(110), 하부에는 포획관(130)과 포획망(140)으로 구성된다.
낙하패널(110)은 페로몬체(200)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비행 중 접촉하여 낙하하도록 하는 장치로, 직물(Fabric)의 종류이면 어떠한 종류로든 낙하패널(110)을 제작할 수 있다.
낙하패널(110)은 4개의 패널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십자형태를 가지고 다방향으로 해충의 접촉을 가능하게 구성하며, 낙하패널(110)의 하부는 포획관(13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낙하패널(110)과 포획망(140)에는 해충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성 물질을 도포할 수 있으며, 접착성 물질은 어느 것이든 무관하나, 친환경적인 곤충 트랩을 제공하기 위해 천연수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은 낙하패널(110)을 고정하는 용도로, 금속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일정한 강도를 가진 물질이면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트랩장치(100)에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하부에는 포획관(130)과 포획망(140)이 포함되어 있으며, 포획관(130)의 하부에는 포획망(140)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해충의 통과가 용의하도록 포획관(130)의 형상을 일반적인 깔대기 형태로 설계하였고, 경사를 가지며 해충이 내벽면을 타고 위로 올라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방제할 수 있다.
포획망(140)은 해충이 수용된 경우에 외부로 탈출할 수 없도록 방지하는 용도로, 외부에서 내부에 해충의 유무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그물망 형태를 가진다. 하지만, 그물망형태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투명한 플라스틱, 유리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불투명한 플라스틱, 목재,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의 유무를 확인이 가능한 재질로 포획망(140)을 설계하면 일일이 해충의 유무를 확인해야하는 불필요한 인력의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포획관(130)에서 쉽게 탈거가 가능하여 수거하기가 쉽다는 편의성을 가진다.
덮개(150)는 낙하패널(11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나뭇잎 그리고 우천시에 막아주는 형태로 설계하도록 한다.
거치용 부재(16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물체(나무, 전봇대 등)에 배치하면 어디든 거치가 용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알락하늘소의 포획을 위해 본 트랩장치(100)를 유리알락하늘소가 주로 서식하는 나무에 거치할 수 있다.
페로몬체(200)는 지지프레임(120)에 거치할 수 있으며, 해충의 접근을 유도하도록 하는 페로몬 성분의 유인제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에 사용되는 페로몬체를 예시한 도면이다.
페로몬체(200)는 해충의 종류에 알맞은 성분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하이드로겔 성분으로 제작된 파우치(210a) 형태 및 케이스 형태(210b)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며, 페로몬 성분을 가진 유인제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형태를 가진다.
하이드로겔 성분으로 제작된 파우치(210a)는 그 내부에 페로몬체(200)를 수용한 형태를 가진다.
복수개의 홀을 가진 케이스 형태(210b)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이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변경하는 것이 용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랩장치(100)는 유리알락하늘소의 포획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지만, 반드시 유리알락하늘소의 포획에만 사용되지는 않는다. 유리알락하늘소 이외에 다른 하늘소도 나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특히 솔잎혹파리와 같은 해충도 나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랩장치(100)를 사용하면, 나무 등에 악영향을 주는 해충들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110 : 낙하패널
120 : 지지프레임
130 : 포획관
140 : 포획망
150 : 덮개
160 : 거치용 부재

Claims (7)

  1. 해충을 유인하는 페로몬체;
    상기 페로몬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페로몬체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비행 중 접촉하여 낙하하도록 하는 낙하 패널;
    상기 낙하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낙하 패널에 의해 낙하하는 해충이 유입되는 포획관; 및
    상기 포획관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포획 관을 통해 유입되는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몬체는, 하이드로겔 성분으로 제작된 파우치에 페로몬을 담은 형태, 및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페로몬을 수용하고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페로몬이 분비되는 케이스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관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입구는 상기 낙하 패널의 하부에 연결되고, 출구는 상기 포획망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패널의 하부는, 상기 포획관의 입구 상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낙하 패널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패널은, 4개의 패널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십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패널 및 상기 포획망에는 상기 해충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성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KR1020220138085A 2022-10-25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KR20240059668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668A true KR20240059668A (ko) 2024-05-0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576B1 (ko) 해충 포획기
KR102040486B1 (ko) 시각, 후각과 온도습성을 이용한 말벌유인 포획기
CN1179697A (zh) 捕捉昆虫装置
KR200381866Y1 (ko) 다목적 곤충 포획기
KR102029064B1 (ko)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KR20180033014A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Weinzierl et al. Insect attractants and traps
US6772556B1 (en) Insect trap
KR100990838B1 (ko) 곤충유인트랩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40086469A (ko) 유해곤충류 유인 친환경 포획기
US10076108B2 (en) Insect trap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GB2426196A (en) A method and device for dissemination of entomopathogens involving a temporary trap with an insect attractant & an entomopathogen
KR20160143161A (ko) 소나무 재선충병 방지용 통발구조 해충 포획트랩
KR20240059668A (ko) 해충 포획을 위한 트랩장치
JP2005013232A (ja) 田・畑の飛翔性害虫捕獲器
KR100984632B1 (ko) 해충 유인 포획기
CN209995179U (zh) 一种果树害虫诱捕装置
JP4129673B2 (ja) 害虫誘引捕獲器
KR20160139865A (ko) 스프링 코일 타입 나선형 해충 포획장치
JPH09140310A (ja) 害虫誘引捕獲器
CN101564025A (zh) 松墨天牛成虫诱捕器
CN200966278Y (zh) 昆虫诱捕器
CN213819475U (zh) 一种扇片式诱捕装置
KR200294954Y1 (ko) 과수해충 나무좀 유인트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