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435A - 퓨즈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퓨즈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435A
KR20240059435A KR1020220140679A KR20220140679A KR20240059435A KR 20240059435 A KR20240059435 A KR 20240059435A KR 1020220140679 A KR1020220140679 A KR 1020220140679A KR 20220140679 A KR20220140679 A KR 20220140679A KR 20240059435 A KR20240059435 A KR 20240059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older
clip
stra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희무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435A/ko
Publication of KR2024005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 홀더에서 퓨즈 탈거 시에 별도의 퓨즈 풀러(Fuse Puller)가 없이도 퓨즈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퓨즈 교체용 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형 퓨즈(10)의 양단이 삽입되는 퓨즈 클립(111)과; 상기 퓨즈 클립(111)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홀더 브라켓(112)(113)과; 상기 통형 퓨즈(10)의 하단을 감싸게 되는 스트랩(130)과; 상기 스트랩(13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홀더 브라켓(110)에 끼움 고정이 가능한 퓨즈 교체용 클립(1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퓨즈 홀더장치{Fuse holder}
본 발명은 퓨즈 홀더에서 퓨즈 탈거 시에 별도의 퓨즈 풀러(Fuse Puller)가 없이도 퓨즈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퓨즈 교체용 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전기 회로로 장착되어 회로 상에서 규정된 전류보다 더 큰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규정된 시간 내에 전류를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전기 접속 장치이며, 특히, 고압회로나 고압기기에서 과전류나 단락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퓨즈 홀더에 삽입된 퓨즈의 탈거 시에는 퓨즈 교체용 장비인 퓨즈 풀러(Fuse Puller)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퓨즈 풀러는 크기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여 현장에 퓨즈 풀러가 없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퓨즈를 제거하고 있고 있으나 퓨즈의 제거 과정에서 퓨즈 또는 퓨즈 홀더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10773호(공개일자: 2009.10.22.)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퓨즈 홀더에서 퓨즈 탈거 시에 별도의 퓨즈 풀러가 없이도 퓨즈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퓨즈 교체용 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홀더장치는, 통형 퓨즈의 양단이 삽입되는 퓨즈 클립과; 상기 퓨즈 클립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홀더 브라켓과; 상기 통형 퓨즈의 하단을 감싸게 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홀더 브라켓에 끼움 고정이 가능한 퓨즈 교체용 클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 브라켓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퓨즈 클립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제1홀더 브라켓과 제2홀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퓨즈 교체용 클립은 상기 제1홀더 브라켓과 상기 제2홀더 브라켓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퓨즈 교체용 클립은 상기 제1홀더 브라켓에 끼움 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은 난연성 재질이다.
본 발명의 퓨즈 홀더장치는, 상기 퓨즈 클립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홀더 브라켓과, 통형 퓨즈의 하단을 감싸게 되는 스트랩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홀더 브라켓에 끼움 고정이 가능한 퓨즈 교체용 클립을 포함하여, 별도의 퓨즈 풀러가 없이도 퓨즈 홀더장치에 마련된 퓨즈 교체수단을 사용하여 퓨즈를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장치의 퓨즈 탈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들의 크기나 구성 간의 결합은 과장되거나 생략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장치는, 통형 퓨즈(10)가 삽입되는 퓨즈 클립(111)과, 퓨즈 클립(111)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홀더 브라켓(112)(113)과, 통형 퓨즈(10)의 하단을 감싸게 되는 스트랩(130)과, 스트랩(130)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홀더 브라켓(112)(113)에 끼움 고정이 가능한 퓨즈 교체용 클립(120)을 포함한다.
퓨즈 클립(111)은 2개로 구성되어 통형 퓨즈(10)의 양단이 탄성적으로 삽입뇐다.
바람직하게는, 홀더 브라켓(112)(113)은 서로 일정 거리(L)만큼 이격되어 퓨즈 클립(111)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제1홀더 브라켓(112)과 제2홀더 브라켓(113)을 포함하며, 퓨즈 교체용 클립(120)은 제1홀더 브라켓(112)과 제2홀더 브라켓(113)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퓨즈 교체용 클립(120)은 홀더 브라켓(112)(113)에 끼움 고정이 가능한 요홈(121)이 형성되며, 각 퓨즈 교체용 클립(120)의 요홈(121) 안쪽으로 스트랩(130)이 고정되어 스트랩(130)의 양단은 퓨즈 교체용 클립(120)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랩(130)은 고온의 퓨즈에도 견딜 수 있는 난연성 재질이며, 유연한 재질의 천(texture)일 수 있으며, 형태를 갖는 부재(shaped body)로써 난연성의 수지일 수 있다. 스트랩(130)은 그 폭(w)이 제1홀더 브라켓(112)과 제2홀더 브라켓(113) 사이의 거리(L) 보다는 짧다.
이와 같이 구성된 퓨즈 홀더장치는 스트랩(130)이 통형 퓨즈(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스트랩(130)의 양단이 고정된 두 개의 퓨즈 교체용 클립(120)이 대응되는 제1홀더 브라켓(112)과 제2홀더 브라켓(113)에 고정된 상태이다.
도 4 내지 도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장치의 퓨즈 탈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퓨즈의 교체가 필요가 경우에 두 개의 퓨즈 교체용 클립(120) 중 어느 하나를 들어 올리면 퓨즈 하단의 스트랩(130)이 같이 올라가면서 퓨즈(10)는 퓨즈 클립(111)에서 자연스럽게 빠지게 되며, 이때 좌측과 우측 어느 퓨즈 교체용 클립(120)을 들어 올려도 무방하다.
도 6을 참고하면, 퓨즈 풀러(20)를 사용하여 퓨즈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퓨즈 교체용 클립(120)을 홀더 브라켓(112)(113)에서 제거하여 스트랩(130)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종래의 퓨즈 풀러(20)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통형 퓨즈 111 : 퓨즈 클립
112, 113 :홀더 브라켓 120 : 퓨즈 교체용 클립
130 : 스트랩

Claims (4)

  1. 통형 퓨즈의 양단이 삽입되는 퓨즈 클립과;
    상기 퓨즈 클립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홀더 브라켓과;
    상기 통형 퓨즈의 하단을 감싸게 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홀더 브라켓에 끼움 고정이 가능한 퓨즈 교체용 클립을 포함하는 퓨즈 홀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브라켓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퓨즈 클립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제1홀더 브라켓과 제2홀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퓨즈 교체용 클립은 상기 제1홀더 브라켓과 상기 제2홀더 브라켓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교체용 클립은 상기 제1홀더 브라켓에 끼움 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난연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장치.
KR1020220140679A 2022-10-27 2022-10-27 퓨즈 홀더장치 KR20240059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679A KR20240059435A (ko) 2022-10-27 2022-10-27 퓨즈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679A KR20240059435A (ko) 2022-10-27 2022-10-27 퓨즈 홀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435A true KR20240059435A (ko) 2024-05-07

Family

ID=9107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679A KR20240059435A (ko) 2022-10-27 2022-10-27 퓨즈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4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5299U (ja) 過熱・過電流の保護機能を具えた安全ソケット
US9437986B2 (en) Shockless plug and socket assembly for safe interconnection of live circuits
JP2009146880A (ja) コンセント
DE10152584A1 (de) Kompakter schmelzgesicherter Trennschalter
KR20240059435A (ko) 퓨즈 홀더장치
KR100659023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JP2009110855A (ja) 電源装置
CN102447252B (zh) 保护装置
KR20140145416A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KR200441145Y1 (ko) 차단기의 아크런너와 고정단자의 결합구조
JP4906088B2 (ja) 充電部保護カバーの取り付け構造
CN203839303U (zh) 便拆装式漏电断路器
CN213562042U (zh) 一种捋线工具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ES2161614A1 (es) Dispositivo de proteccion de terminales para aparatos de baja tension.
KR101493201B1 (ko) 부스바 클램프
JP2018092868A (ja) 端子箱絶縁具
CN219801441U (zh) 新能源汽车用电子线束
JP5680575B2 (ja) ヒューズホルダ
CN210430182U (zh) 一种通用插座
JP2013102630A (ja) 引留クランプ
CN212136387U (zh) 一种可防止张力拉断的保险丝
JP2013222668A (ja) 電線接続用圧縮スリーブ及び圧縮位置決め治具
KR20190001716U (ko) 퓨즈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트랜스포머
CN220021029U (zh) 一种熔断器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