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59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597A
KR20240058597A KR1020220139488A KR20220139488A KR20240058597A KR 20240058597 A KR20240058597 A KR 20240058597A KR 1020220139488 A KR1020220139488 A KR 1020220139488A KR 20220139488 A KR20220139488 A KR 20220139488A KR 20240058597 A KR20240058597 A KR 20240058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member
locking member
terminals
bas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9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597A/ko
Priority to PCT/KR2023/014226 priority patent/WO2024090795A1/ko
Priority to US18/382,351 priority patent/US20240145963A1/en
Publication of KR2024005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다수의 제1 단자가 마련된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제2 단자가 마련된 베이스와, 일단이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단자가 마련된 록킹부재와, 일단이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이 록킹부재에 고정된 제1 작동부재 및 제2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제1 작동부재 및 제2 작동부재는 케이블의 선단부에 의해 가압되면 록킹부재를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회전시켜 케이블의 선단부를 베이스와 록킹부재 사이에 록킹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개시는 케이블이 양호한 자세로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예를 들면, 텔레비전)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예를 들면, 영상 보드) 간 신호 통신을 위해 FFC(flat flexible cables))를 사용한다. FFC는 작업자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커넥터에 접속된다. 커넥터는 접속된 FFC가 커넥터로부터 분리되거나 접속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탑 록킹(top locking) 구조물이 제공된다.
그런데 FFC는 하네스(Harness) 타입의 케이블과는 다르게 커넥터에 정확한 자세로 체결되지 않아도 커넥터의 탑 록킹 구조물이 작동하여 클로징 될 수 있다. 이 경우 FFC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불안정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로 전자기기가 조립되는 경우 케이블 접속 불량으로 인한 제품 불량 대수 및 재 작업 건수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케이블이 양호한 자세로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는 다수의 제1 단자가 마련된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다. 커넥터는, 다수의 제2 단자가 마련된 베이스;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단자가 마련된 록킹부재;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록킹부재에 고정된 제1 작동부재 및 제2 작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록킹부재를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를 상기 베이스와 상기 록킹부재 사이에 록킹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록킹부재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록킹부재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와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에 의해 가압되면 장력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의 타단을 상기 베이스 측으로 당길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수의 제2 단자 및 상기 다수의 제3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부도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수의 제2 단자 중 하나 및 상기 다수의 제3 단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수의 제2 단자 중 다른 하나 및 상기 다수의 제3 단자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도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와 상기 제2 작동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작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작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록킹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록킹부재에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작동부재의 일 부분이 삽입되는 제1 수용홈과,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일 부분이 삽입되는 제2 수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제1 작동부재의 다른 부분이 삽입되는 제3 수용홈과, 상기 제2 작동부재의 다른 부분이 삽입되는 제4 수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수의 제2 단자 및 상기 다수의 제3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수의 제2 단자 중 하나 및 상기 다수의 제3 단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는 부도체일 수 있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도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스트링(string)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스트랩(strap)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록킹부재 중 하나는 마그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록킹부재 중 나머지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에 케이블을 접속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의 한 쌍의 작동부재가 케이블에 의해 가압되어 록킹부재가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에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에 작동부재가 추가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의 한 쌍의 작동부재가 도체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커넥터가 기판에 마련된 그라운드 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의 한 쌍의 작동부재가 각각 도체 및 부도체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에 마그네트와 자성체가 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동일하다'는 표현은 완전하게 일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가공 오차 범위를 감안한 정도의 상이함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 구조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기판(1)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10)는 케이블(3)의 선단(4)이 안착되는 베이스(20)와, 베이스(20)와 함께 케이블(3)의 선단(4)을 록킹 및 언록킹 하는 록킹부재(30)와, 케이블(3)이 커넥터(10)에 접속되는 동작에 의해 록킹부재(30)를 작동시키는 제1 작동부재(41)와 제2 작동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는 케이블(3)은 예를 들면, FFC(flat flexible cables)일 수 있다. 케이블(3)은 선단부(4)를 따라 다수의 제1 단자(5)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베이스(20)는 케이블(3)의 선단부(4)가 안착되는 안착면(23)과, 케이블(3)의 선단부(4)를 안착면(23)으로 가이드 하는 경사면(2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케이블(3)의 선단부(4)에 마련된 다수의 제1 단자(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2 단자(22)가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단자(22)는 베이스(20)의 안착면(23)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단자(22)는 케이블(3)이 커넥터(10)에 체결된 경우 케이블(3)의 다수의 제1 단자(5)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제2 단자(22)는 록킹부재(30)의 후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록킹부재(30)의 후단은 록킹부재(30)가 오픈 위치(도 2 참조)에서 베이스(20)의 안착면(23)에 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베이스(20)의 안착면(23)에는 제1 작동부재(41)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수용홈(211)과, 제2 작동부재(42)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수용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홈(211) 및 제2 수용홈(212)은 다수의 제2 단자(22)가 배치된 영역의 바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수용홈(211)은 다수의 제2 단자(22) 중에서 가장 좌측에 배치된 제2 단자(221)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용홈(212)은 다수의 제2 단자(22) 중에서 가장 우측에 배치된 제2 단자(222)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용홈(211)과 제2 수용홈(2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용홈(211)과 제2 수용홈(212)은 다수의 제2 단자(2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용홈(211)과 제2 수용홈(212)의 길이는 다수의 제2 단자(2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는 양측에 각각 케이블(3)이 커넥터(10)에 체결되는 동안 케이블(3)의 양측면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벽(271)과 제2 가이드 벽(272)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 벽(271)은 제1 작동부재(4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벽(272)은 제2 작동부재(4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벽(271)은 록킹부재(30)의 일측과 마주하는 면에 록킹부재(30)의 제1 힌지축(33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가이드홈(281)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벽(272)은 록킹부재(30)의 타측과 마주하는 면에 록킹부재(30)의 제2 힌지축(33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가이드홈(282)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281) 및 제2 가이드홈(282)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홈(281) 및 제2 가이드홈(282)은 안착면(23)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281) 및 제2 가이드홈(282)은 록킹부재(30)가 회전하는 동안 록킹부재(30)의 제1 힌지축(331)과 제2 힌지축(332)을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록킹부재(30)는 오픈 위치(도 2 참조)에서 클로즈 위치(도 7 참조) 또는 클로즈 위치에서 오픈 위치로 회전하도록 베이스(20)에 연결될 수 있다.
록킹부재(30)는 케이블(3)의 선단부(4)에 마련된 다수의 제1 단자(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3 단자(32)가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제3 단자(32)는 내측면(39)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록킹부재(30)의 내측면(39)은 록킹부재(30)가 클로즈 위치(도 7 참조)에서 베이스(20)의 안착면(23)과 마주할 수 있다.
다수의 제3 단자(32)는 케이블(3)이 커넥터(10)에 체결된 경우 케이블(3)의 다수의 제1 단자(5)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제3 단자(32)는 록킹부재(30)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다수의 제2 단자(22)와 함께 다수의 제1 단자(5)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록킹부재(30)는 내측면(39)에 제1 작동부재(41)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 수용홈(311)과, 제2 작동부재(42)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4 수용홈(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용홈(311) 및 제4 수용홈(312)은 다수의 제3 단자(32)가 배치된 영역의 바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수용홈(311)은 다수의 제3 단자(32) 중에서 가장 좌측에 배치된 제3 단자(321)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수용홈(312)은 다수의 제3 단자(32) 중에서 가장 우측에 배치된 제3 단자(322)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수용홈(311)과 제4 수용홈(3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수용홈(311)과 제4 수용홈(312)은 다수의 제3 단자(3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수용홈(311)과 제4 수용홈(312)의 길이는 다수의 제3 단자(3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수용홈(311)은 베이스(20)의 제1 수용홈(2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수용홈(312)은 베이스(20)의 제2 수용홈(2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부재(30)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제3 수용홈(311)은 케이블(3)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20)의 제1 수용홈(211)과 대응하고, 제4 수용홈(312)은 케이블(3)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20)의 제2 수용홈(212)과 대응할 수 있다.
제1 작동부재(41)와 제2 작동부재(42)는 케이블(3)의 선단부(4)에 의해 가압되면 오픈 위치(도 2 참조)에 있는 록킹부재(30)를 클로즈 위치(도 7 참조)로 변경하도록 록킹부재(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록킹부재(30)는 오픈 위치에서 케이블(3)을 언록킹할 수 있고, 클로즈 위치에서 케이블(3)을 록킹할 수 있다.
제1 작동부재(41)는 일단(411)이 베이스(20)에 고정되고 타단(412)이 록킹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작동부재(41)의 일단(411)은 베이스(20)의 제1 수용홈(211) 내측에 본딩될 수 있다. 제1 작동부재(41)의 타단(412)은 록킹부재(30)의 제3 수용홈(311) 내측에 본딩될 수 있다. 제2 작동부재(42)의 일단(421)은 베이스(20)의 제2 수용홈(212) 내측에 본딩될 수 있다. 제2 작동부재(42)의 타단(422)은 록킹부재(30)의 제4 수용홈(312) 내측에 본딩될 수 있다.
제1 작동부재(41)와 제2 작동부재(42)는 스트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작동부재(41) 및 제2 작동부재(42)는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작동부재(41)와 제2 작동부재(42)는 케이블(3)의 선단부(4)에 의해 가압될 때 쉽게 벤딩될 수 있다. 제1 작동부재(41)와 제2 작동부재(42)는 록킹부재(30)가 클로즈 위치에서 오픈 위치로 회전 시 형상이 복원될 수 있다.
제1 작동부재(41) 및 제2 작동부재(42)는 탄성이 없고 가늘게 형성된 부도체일 수 있다. 제1 작동부재(41) 및 제2 작동부재(42)는 케이블(3)의 선단부(4)에 의해 가압될 때 끊어 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작동부재(41) 및 제2 작동부재(42)는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넓고 얇은 두께를 가지는 스트립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1 작동부재(41) 및 제2 작동부재(42)는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넓고 얇은 두께를 가지는 스트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작동부재(41) 및 제2 작동부재(42)의 두께가 록킹부재(30)가 클로즈 위치를 유지하는데 간섭되지 않을 정도이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베이스(20)의 제1 및 제2 수용홈(211, 212)과 록킹부재(30)의 제3 및 제4 수용홈(311, 312)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작동부재(41) 및 제2 작동부재(42)는 탄성을 가지는 부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작동부재(41) 및 제2 작동부재(42)는 탄성이 없는 부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제1 작동부재(41) 및 제2 작동부재(42)의 길이를 더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10)에 케이블(3)이 접속되는 과정에서 제1 작동부재(41) 및 제2 작동부재(42)에 의해 록킹부재(30)가 작동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에 케이블을 접속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의 한 쌍의 작동부재가 케이블에 의해 가압되어 록킹부재가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에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3)에 케이블(4)을 체결하기 위해, 록킹부재(30)가 오픈 위치에 있을 때 케이블(3)의 선단부(4)를 다수의 제2 단자(22) 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케이블(3)의 선단부(4)는 안착면(23)을 따라 제1 및 제2 작동부재(41, 42)를 향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3)의 선단부(4)의 좌측부분(6) 및 우측부분(7)이 각각 제1 및 제2 작동부재(41, 42)를 가압하면서 다수의 제2 단자(22) 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작동부재(41)는 케이블(3)의 선단부(4)의 좌측부분(6)에 의해 가압되면서 베이스(20)에 가까운 부분이 벤딩되어 제1 수용홈(211)으로 수용된다. 제2 작동부재(42)는 케이블(3)의 선단부(4)의 우측부분(7)에 의해 가압되면서 베이스(20)에 가까운 부분이 벤딩되어 제2 수용홈(212)으로 수용된다.
이에 따라, 록킹부재(30)는 제1 및 제2 작동부재(41, 42)의 장력에 의해 베이스(20)의 안착면(23)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록킹부재(30)는 제1 및 제2 힌지축(331, 33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힌지축(331, 332)은 제1 및 제2 가이드홈(281, 282)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부재(30)의 후단은 록킹부재(30)의 반시계 방향 회전 동작과 함께 베이스(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블(3)의 선단부(4)가 다수의 제2 단자(22)가 위치한 부분까지 이동하면, 제1 및 제2 작동부재(41, 42)는 케이블(3)의 선단부(4)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작동부재(41)는 록킹부재(30)에 가까운 부분이 벤딩되어 제3 수용홈(311)으로 수용된다. 제2 작동부재(42)는 록킹부재(30)에 가까운 부분이 벤딩되어 제4 수용홈(312)으로 수용된다.
이에 따라, 록킹부재(30)는 제1 및 제2 작동부재(41, 42)의 장력에 의해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로즈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힌지축(331, 332)은 계속해서 제1 및 제2 가이드홈(281, 282)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록킹부재(30)의 후단은 록킹부재(30)의 반시계 방향 회전 동작과 함께 계속해서 베이스(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블(3)의 선단부(4)는 록킹부재(30)에 의해 베이스(20)에 록킹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3)의 선단부(4)에 마련된 다수의 제1 단자(5)는 베이스(20)의 제2 단자(22)와 록킹부재(30)의 제3 단자(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작동부재(41, 42)는 케이블(3)의 선단부(4)에 의해 동시에 가압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부재(30)를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작동시킨다. 예들 들어, 제1 및 제2 작동부재(41, 42) 중 어느 하나만 케이블(3)의 선단부(4)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록킹부재(30)는 클로즈 위치로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및 제2 작동부재(41, 42)에 의해 케이블(3)의 선단부(4)를 정확한 자세로 커넥터(10)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케이블(3)과 커넥터(10) 간 체결 불량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에 작동부재가 추가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제3 작동부재(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작동부재(43) 전술한 제1 및 제2 작동부재(41, 42)와 형상 및/또는 재질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작동부재(43)는 제1 작동부재(41)와 제2 작동부재(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작동부재(41)와 제2 작동부재(42) 간 거리의 약 1/2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작동부재(43)는 일단(431)이 베이스(20)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이 커버(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작동부재(43)의 일단(431)은 다수의 제2 단자에 간섭되지 않도록 인접한 한 쌍의 제2 단자(도 8의 223, 2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작동부재(43)의 타단(432)은 다수의 제3 단자에 간섭되지 않도록 인접한 한 쌍의 제3 단자(도 8의 323, 3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0)의 안착면(23)에는 제3 작동부재(43)의 일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5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록킹부재(30)의 내측면(39)에는 제3 작동부재(43)의 나머지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6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도 8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 작동부재(41, 42) 사이에 제3 작동부재(43) 외에 적어도 1개의 작동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의 한 쌍의 작동부재가 도체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커넥터가 기판에 마련된 그라운드 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제1 작동부재(141) 및 제2 작동부재(142)가 모두 도전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작동부재(141)는 다수의 제2 단자 중 가장 좌측에 배치된 제2 단자(221)와 다수의 제3 단자 중 가장 좌측에 배치된 제3 단자(3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작동부재(142)는 다수의 제2 단자 중 가장 우측에 배치된 제2 단자(222)와 다수의 제3 단자 중 가장 우측에 배치된 제3 단자(3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록킹부재(30)가 클로즈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작동부재(141)는 대응하는 제2 단자(221) 및 제3 단자(3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작동부재(142)는 대응하는 제2 단자(222) 및 제3 단자(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작동부재(141, 142)는 록킹부재(30)가 클로즈 위치를 유지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은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작동부재(141) 또는 제2 작동부재(142)는 연결 배선(61)을 통해 기판(1)에 마련된 그라운드 층(60)에 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0)는 내측을 따라 제1 작동부재(141) 또는 제2 작동부재(142)가 연결 배선(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추가 연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그라운드 패스를 확장함으로써 기판(1)에 실장된 회로에 대하여 전기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의 한 쌍의 작동부재가 각각 도체 및 부도체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제1 작동부재(241)가 부도체로 이루어지고, 제2 작동부재(242)가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작동부재(241)는 인접한 제2 단자(221) 및 제3 단자(32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도록 다수의 제2 및 제3 단자가 배치된 영역의 바깥에 배치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작동부재(242)는 대응하는 제2 단자(222)와 제3 단자(322)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작동부재(242)는 기판(1)에 마련된 그라운드 층(60, 도 10 참조)에 접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에 마그네트와 자성체가 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록킹부재(30)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외부 충격에 의해 록킹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그네트(71)와 자성체(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71)는 베이스(20)의 안착면(23)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72)는 록킹부재(30)의 내측면(39)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트(71)와 자성체(72)의 위치는 록킹부재(30)의 클로즈 위치에서 케이블(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기판 3: 케이블
5: 제1 단자 10: 커넥터
20: 베이스 211: 제1 수용홈
212: 제2 수용홈 22: 제2 단자
30: 록킹부재 311: 제3 수용홈
312: 제4 수용홈 32: 제3 단자
41: 제1 작동부재 42: 제2 작동부재

Claims (15)

  1. 다수의 제1 단자가 마련된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다수의 제2 단자가 마련된 베이스;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단자가 마련된 록킹부재;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록킹부재에 고정된 제1 작동부재 및 제2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록킹부재를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를 상기 베이스와 상기 록킹부재 사이에 록킹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록킹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록킹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작동부재와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에 의해 가압되면 장력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의 타단을 상기 베이스 측으로 당기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수의 제2 단자 및 상기 다수의 제3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부도체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수의 제2 단자 중 하나 및 상기 다수의 제3 단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수의 제2 단자 중 다른 하나 및 상기 다수의 제3 단자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도체인, 커넥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와 상기 제2 작동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작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록킹부재에 고정되는, 커넥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록킹부재에 내측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작동부재의 일 부분이 삽입되는 제1 수용홈과,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일 부분이 삽입되는 제2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제1 작동부재의 다른 부분이 삽입되는 제3 수용홈과, 상기 제2 작동부재의 다른 부분이 삽입되는 제4 수용홈이 마련되는,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수의 제2 단자 및 상기 다수의 제3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수의 제2 단자 중 하나 및 상기 다수의 제3 단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는 부도체이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도체인,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스트링(string)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스트랩(strap)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록킹부재 중 하나는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록킹부재 중 나머지는 상기 록킹부재가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220139488A 2022-10-26 2022-10-26 커넥터 KR20240058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488A KR20240058597A (ko) 2022-10-26 2022-10-26 커넥터
PCT/KR2023/014226 WO2024090795A1 (ko) 2022-10-26 2023-09-20 커넥터
US18/382,351 US20240145963A1 (en) 2022-10-26 2023-10-20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488A KR20240058597A (ko) 2022-10-26 2022-10-26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597A true KR20240058597A (ko) 2024-05-03

Family

ID=9083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488A KR20240058597A (ko) 2022-10-26 2022-10-26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45963A1 (ko)
KR (1) KR20240058597A (ko)
WO (1) WO20240907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796Y2 (ja) * 1991-08-06 1995-10-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離脱機構付コネクタ
JP2003297465A (ja) * 2002-03-26 2003-10-17 Molex Inc Fpc用コネクタ
TWI251378B (en) * 2005-06-30 2006-03-11 Benq Corp Connector to fasten signal line
JP6039511B2 (ja) * 2013-07-17 2016-12-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057451B1 (ko) * 2018-08-31 2019-12-19 주식회사 트래닛 플렉시블 케이블 조립불량 개선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45963A1 (en) 2024-05-02
WO2024090795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95323B (zh) 提供接觸支撐和阻抗匹配特性之包覆成型導線架
US20230238745A1 (en)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KR100639560B1 (ko) 차동 신호 전기 커넥터용 인쇄회로기판
US6315616B1 (en) Plug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CN102460849B (zh) 低串扰电连接器
CN105680233B (zh) 具有导引框架的插头连接器
US7686618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MXPA05011617A (es) Acoplador para cables planos y montaje de conector electrico.
KR10257956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6721845B2 (ja)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用コネクタ、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用アダプタ、及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
CA2493566A1 (en) Patch cord connector
US20110151709A1 (en) Cable, cable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CN102771014B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装体
US20220320775A1 (en) Connector and wiring structure
CN103078209B (zh) 连接器
US20110021052A1 (en) Stacked fpc connector
US6951476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40058597A (ko) 커넥터
JP2010056066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2522644B (zh) 安装在印刷电路上的插座连接器
US6722905B2 (en) Board connector
JP2516100Y2 (ja) 電気機器の信号伝送線路
US6568944B1 (en) Circuit board with increased edge connection capacity
WO202016827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1064004A (zh) 移相电路、移相器及电调天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