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451B1 - 플렉시블 케이블 조립불량 개선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케이블 조립불량 개선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451B1
KR102057451B1 KR1020180103201A KR20180103201A KR102057451B1 KR 102057451 B1 KR102057451 B1 KR 102057451B1 KR 1020180103201 A KR1020180103201 A KR 1020180103201A KR 20180103201 A KR20180103201 A KR 20180103201A KR 102057451 B1 KR102057451 B1 KR 102057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able
receptacle
actuator
ca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래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래닛
Priority to KR1020180103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리셉터클이 개시된다. 개시된 리셉터클은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지정된 클로즈 위치에서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액츄에이터, 하우징에 결합되어 액츄에이터의 회전축을 고정하며,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터미널 및 하우징에 결합되고,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면 슬라이드되어 액츄에이터를 기지정된 오픈 위치에서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포함한다.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의 미삽입 또는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이 이탈로 인한 제조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케이블 조립불량 개선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RECEPTACLE FOR IMPROVING INCOMPLETE ASSEMBLY OF FLEXIBLE CABLE}
본 발명은 리셉터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케이블 조립불량 개선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플렉시블 인쇄 케이블(Flexible Printed Circuit: FPC)과 같은 플렉시블 케이블은 정보 통신용 제품 등에서 설계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쉽게 휘고 회복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플렉시블 케이블을 회로기판에 접속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전기 커넥터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커넥터를 말한다.
종래의 전기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져 상호 결합되며,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과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이 서로 접촉하여 도통되었을 때, 케이블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플러그 커넥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플렉시블 케이블을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리셉터클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은 플렉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과 플렉시블 케이블의 삽입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하우징에 삽입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다수의 터미널 및 하우징과 다수의 터미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츄에이터는 회전 종료 시점에서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눌러 고정하게 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을 리셉터클에 결합한다. 그러나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정할 때, 플렉시블 케이블이 리셉터클의 지정된 위치까지 충분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츄에이터를 회전시킴으로 인해 커넥터가 파손되거나,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자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이 리셉터클의 지정된 위치까지 충분하게 삽입된 상태일지라도 플렉시블 케이블의 특성상, 액츄에이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삽입된 위치를 이탈하여 여전히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기존에도 플렉시블 케이블을 리셉터클에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고려되었다.
도1 은 종래의 리셉터클에 삽입 고정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플렉시블 케이블이 리셉터클에 충분하게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종래의 플렉시블 케이블(20)은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일단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마킹된 마킹 영역(21)이 형성된다.
플렉시블 케이블(20)에 마킹 영역(21)이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이 리셉터클에 충분하게 삽입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20)이 균일하게 삽입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된 리셉터클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 구조(22)를 형성하여 플렉시블 케이블(20)이 리셉터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마킹 영역(21)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삽입 상태 판별은 작업자의 따라 균일하게 판별되기 어려워 작업자의 숙련도를 요구하며, 돌출 구조(22)를 이용한 고정 방식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20)이 리셉터클에 정상적으로 삽입된 상태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플렉시블 케이블(20)이 리셉터클에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않는 불량이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불량은 플렉시블 케이블(20)이 리셉터클의 파손을 유발하게 되며, 파손 되지 않은 경우에도 재작업을 필요로 하여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8-0093524호 (2018.08.2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플렉시블 케이블의 정상 삽입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리셉터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는 리셉터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은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속하기 위한 리셉터클로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지정된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축을 고정하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터미널;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면 슬라이드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기지정된 오픈 위치에서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캠; 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지정된 정상 삽입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부 일부 영역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하부 나머지 영역은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정상 삽입 위치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부면이 상기 오픈 위치의 상기 액츄에이터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부면 일부가 상기 오픈 위치의 상기 액츄에이터에 용이하게 닿을 수 있도록 "ㄱ"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면,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이 액츄에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플렉시블 케이블의 삽입 상태를 액츄에이터의 회전으로부터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플렉시블 케이블의 미삽입으로 인한 제조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캠이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리셉터클과 플렉시블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리셉터클과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시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줄여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1 은 종래의 리셉터클에 삽입 고정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정상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터미널이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어 액츄에이터가 회전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9 및 도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정상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11 및 도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정상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2 및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정상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터미널이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 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100)는 하우징(120), 다수의 터미널(120), 액츄에이터(130) 및 적어도 하나의 캠(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절연체 재질로 형성되어 리셉터클(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때 하우징(110)의 상부면 일부에는 액츄에이터(13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다수의 터미널(120) 및 적어도 하나의 캠(140)이 삽입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홀들은 다수의 터미널(120) 및 적어도 하나의 캠(140)의 하우징과의 결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회로기판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다수의 터미널(120)은 하우징(110) 내에 삽입된다.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터미널(120)은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하우징(11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터미널(12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플렉시블 케이블(200)의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다수의 터미널(120)은 하우징(110)이 고정되는 회로 기판 상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플렉시블 케이블과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터미널(120)은 하우징(110)에 삽입된 액츄에이터(130)가 하우징(110)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의 터미널(120)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ㄷ"자 형의 다수의 터미널(120)에서 제1 연장부(124)는 액츄에이터(130)와 결합된다. 제1 연장부(124)의 끝단 외측은 터미널(120)이 하우징(1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끝단 내측은 결합된 액츄에이터(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홈이 형성된다. 걸림홈에는 후술하는 액츄에이터(130)의 회전축(132)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액츄에이터(13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액츄에이터(130)가 걸림홈에 삽입된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연장부(126)는 리셉터클(100)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제2 연장부(126)의 끝단 내측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자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접점 돌기(128)가 형성된다.
그리고 리드부(122)는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로기판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다수의 터미널(120)는 제2 연장부(126)의 끝단 내측에 형성된 접점 돌기(128)와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되는 리드부(122)에 의해 플렉시블 케이블(200)과 회로 기판 상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터미널(120)이 "ㄷ"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다수의 터미널(120)은 액츄에이터(130)가 하우징(110)에 삽입된 이후,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다수의 터미널(120)이 "ㄷ"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다수의 터미널(1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터미널(120) 각각은 단일 구조물이 아닌 복수 구조물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130)는 하우징(110)과 마찬가지로 절연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및 다수의 터미널(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클로즈 위치와 오픈 위치 범위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130)가 오픈 위치일 때, 리셉터클(100)에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130)가 클로즈 위치로 회전되면 액츄에이터(130)가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0)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다시 액츄에이터(130)를 오픈 위치로 이동시키면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은 리셉터클(100)에서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클로즈 위치는 액츄에이터(130)가 하우징(110)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 상태를 의미하며, 오픈 위치는 액츄에이터(130)가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클로즈 위치에 대해 최대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의미한다. 액츄에이터(130)의 회전축(132)은 터미널(120)에서 제1 연장부(124)의 걸림홈에 의해 클로즈 위치 또는 오픈 위치로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32)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면, 액츄에이터(130)는 클로즈 위치 또는 오픈 위치가 아닌 경우, 제1 연장부(124)의 반력에 의해 클로즈 위치 또는 오픈 위치로 회전되고자 하는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30)는 클로즈 위치에 대한 오픈 위치에서의 각도가 증가되도록 상부면 일부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13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클로즈 위치의 액츄에이터(130)를 용이하게 오픈 위치로 회전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돌출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34)는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캠(140) 또한 절연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에서 정상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의 일단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즉 적어도 하나의 캠(140)의 하단은 리셉터클(100)의 하우징(110)에서 플렉시블 케이블이 도달하는 최후단에 위치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캠(140)의 상단은 오픈 위치의 액츄에이터(130)에 맞닿도록 결합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캠(140) 각각은 상단이 용이하게 액츄에이터(130)에 맞닿을 수 있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ㄱ"자 형태의 캠(140)의 상단은 액츄에이터(130)의 계단형 구조의 대응하는 위치에 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캠(140)은 리셉터클(100)에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되면,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0)에 의해 캠(140)의 상부면 방향, 즉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며, 슬라이드된 적어도 하나의 캠(140)은 액츄에이터(130)를 오픈 위치로부터 회전시킨다. 이때 "ㄱ"자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캠(140)의 하단부는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됨에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여 일부가 기지정된 경사를 갖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캠(140)의 하단부 전체가 아닌 일부에만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은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캠(140)의 다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적어도 하나의 캠(140)이 플렉시블 케이블(200)의 삽입 상태에 따라 슬라이드되어 액츄에이터(130)를 오픈 위치에서 회전시키므로, 플렉시블 케이블(200)를 리셉터클(100)에 삽입할 때, 작업자는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 상태를 액츄에이터(130)의 움직임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플렉시블 케이블(200)의 정상 삽입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캠(140)이 슬라이드되어 액츄에이터(130)를 회전시키면, 터미널(120)의 반력에 의해 액츄에이터(130)는 오픈 위치로 이동하고자 하는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30)가 오픈 위치로 이동하고자 하는 힘은 적어도 하나의 캠(140)으로 전달되어 플렉서블 케이블(200)을 가압한다. 즉 적어도 하나의 캠(140)은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리셉터클(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100)는 적어도 하나의 캠(140)을 포함함으로써,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액츄에이터(130)에 의해 고정될 때까지 리셉터클(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일예로 하우징(110)의 양측에 2개의 캠(140)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5 내지 도12 는 리셉터클(100)에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 및 도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200)은 리셉터클(100)에 삽입된다. 이때 캠(140)의 상단은 액츄에이터(130)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영역에 맞닿아 액츄에이터(130)의 오픈 위치를 지지한다. 그리고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리셉터클(100)의 캠(140)의 하부에 경사면으로 형성된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캠(140)은 슬라이드되지 않는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30) 또한 회전하지 않는다. 즉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정상 위치까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액츄에이터(130)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7 및 도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어 액츄에이터(130)가 회전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6 및 도8 을 비교하면,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리셉터클(100)의 캠(140)의 하부에 경사면으로 형성된 영역에 도달한 후 추가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캠(140)의 하부에 경사형으로 형성된 영역이 플렉시블 케이블(200)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인 캠(140)의 상부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즉 캠(140)의 하부에 경사면으로 형성된 영역은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200)에 의해 캠(140)이 용이하게 슬라이드 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영역이다.
그리고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캠(140)은 상부면에 맞닿은 액츄에이터(130)를 밀어 올림으로써, 액츄에이터(130)는 회전축(13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리셉터클(100)의 정상 위치에 근접하게 삽입되었음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9 및 도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정상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9 및 도10 에서는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리셉터클(100)의 캠(140)의 하부에 경사형으로 형성된 영역을 지나 정상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로서, 캠(140)은 더 이상 슬라이드 되지 않는다. 만일 캠(140)의 하부 전체가 경사형으로 형성된다면,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정상 위치까지 삽입되더라도, 캠(140)에 의해 다시 밀려나오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캠(140)은 일부만이 경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정상 위치에 근접하여 삽입되면 캠(140)이 슬라이드 되는 반면, 정상 위치까지 삽입되면, 캠(140)은 더 이상 슬라이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30)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정상 위치에 근접하여 삽입되면 회전하게 되고, 정상 위치까지 삽입되면 회전을 멈추게 된다. 다라서 액츄에이터(130)가 일부 회전하고 멈추게되면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리셉터클(100)에 정상 삽입되었음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캠(140)의 하부면 일부만이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은 평면을 유지하고 있으며, 캠(140)의 상부면이 액츄에이터(130)에 맞닿아 있으므로, 액츄에이터(130)에 의한 압력이 캠(140)을 통해 플렉시블 케이블(200)을 가압하여,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도11 및 도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정상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리셉터클(100)에 정상 삽입되었음을 용이하게 판별하고,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30)을 회전시켜 플렉시블 케이블(200)을 리셉터클(100)에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과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시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줄여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리셉터클 200: 플렉시블 케이블
110: 하우징 120: 터미널
130: 액츄에이터 140: 캠
122: 리드부 124: 제1 연장부
126: 제2 연장부 128: 접점 돌기
132: 회전축 134: 돌출부

Claims (5)

  1.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속하기 위한 리셉터클로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지정된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축을 고정하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터미널;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면 슬라이드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기지정된 오픈 위치에서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캠;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지정된 정상 삽입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부 일부 영역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리셉터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하부 나머지 영역은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정상 삽입 위치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는 리셉터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부면이 상기 오픈 위치의 상기 액츄에이터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리셉터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부면 일부가 상기 오픈 위치의 상기 액츄에이터에 용이하게 닿을 수 있도록 "ㄱ"자 형으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KR1020180103201A 2018-08-31 2018-08-31 플렉시블 케이블 조립불량 개선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KR102057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201A KR102057451B1 (ko) 2018-08-31 2018-08-31 플렉시블 케이블 조립불량 개선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201A KR102057451B1 (ko) 2018-08-31 2018-08-31 플렉시블 케이블 조립불량 개선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451B1 true KR102057451B1 (ko) 2019-12-19

Family

ID=6905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201A KR102057451B1 (ko) 2018-08-31 2018-08-31 플렉시블 케이블 조립불량 개선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795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885A (ja) * 1998-07-28 2000-02-18 Nec Tohoku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101142084B1 (ko) 2011-04-05 2012-05-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록킹 구조를 갖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2015198021A (ja) 2014-04-01 2015-11-09 Smk株式会社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885A (ja) * 1998-07-28 2000-02-18 Nec Tohoku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101142084B1 (ko) 2011-04-05 2012-05-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록킹 구조를 갖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2015198021A (ja) 2014-04-01 2015-11-09 Smk株式会社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795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592B2 (en) Connector having a rotatable press member
US9160101B2 (en) Electric connector
US9362642B2 (en) Flexible cable connector
KR102057451B1 (ko) 플렉시블 케이블 조립불량 개선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KR101786594B1 (ko) 커넥터
JP2017152335A (ja) 電気コネクタ
JP4883592B2 (ja) 電気コネクタ
JP6929546B2 (ja) コネクタ
JP2017188409A (ja) コネクタ
JP2014199826A (ja) コネクタ
JP2014082223A (ja) コネクタ
JP2014239072A (ja) コネクタ
JP5057537B2 (ja) コネクタ
JP2020024944A (ja) コネクタ
JP2020038851A (ja) コネクタ
JP2020009775A (ja) コネクタ
JP2019179766A (ja) コネクタ
JP2017188422A (ja) コネクタ
JP2017188425A (ja) コネクタ
JP2016146360A (ja) コネクタ
JP2017188418A (ja) コネクタ
JP2017188416A (ja) コネクタ
JP2017188413A (ja) コネクタ
JP2016122669A (ja) コネクタ
JP201718841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