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06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068A
KR20240058068A KR1020240052226A KR20240052226A KR20240058068A KR 20240058068 A KR20240058068 A KR 20240058068A KR 1020240052226 A KR1020240052226 A KR 1020240052226A KR 20240052226 A KR20240052226 A KR 20240052226A KR 20240058068 A KR20240058068 A KR 20240058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holder
clothing
processing devi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김근주
채교순
정재용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7130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13888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7130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138881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7130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13888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7298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53188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5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06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2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with liquid-extract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6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 제1개구부를 구비한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의류수용부, 상부에 제2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비닛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의류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이하에서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하고,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기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를 여러 번 사용하게 괸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 의류처리장치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 또는 이너터브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
그리고,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 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적합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은다.
속옷류나 아기 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 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종래 대형 의류처리장치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의류처리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의류처리장치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탑로터 타입의 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상기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에 상부에 구비되어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으면서 공간활용도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프론트 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와 일체로 구비되어, 종래 프론트 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와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프론트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한 가정의 경우 프론트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에 탑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탑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탑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분리할 경우,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널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상부패널이나 탑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가 결합되는 경우 결합력을 강화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탑로드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에 결합되었을 때만 구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방에 제1개구부를 구비한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의류수용부, 상부에 제2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비닛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의류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의류수용부는 상기 기 제1개구부와 연통하는 제1투입구를 구비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 상기 제1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의류수용부는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하는 제2투입구를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제1캐비닛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캐비닛의 하부 또는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를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1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전방패널과, 상기 전방패널의 양측면에서 배면으로 연장되는 측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면패널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제2캐비닛 또는 상기 상부패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부패널의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리브와, 상기 결합리브에서 상기 상부패널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수용리브와, 상기 수용리브를 관통하거나, 상기 수용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어 구비되어 상기 홀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홀더수용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수용부는 상기 홀더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수용부는 상기 홀더가 안착될 수 있는 수용안착부, 상기 안착부에서 배면으로 일정거리 연장되어 상기 홀더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수용안내부, 상기 안내부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수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캐비닛의 측면 하부에서 상기 제2캐비닛 내부를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슬라이드리브와, 상기 슬라이드리브를 관통하거나, 상기 슬라이드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어 구비되어 상기 홀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홀더고정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고정부는 상기 홀더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고정부는 상기 홀더고정부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안착될 수 있는 홀더안착부, 상기 안착부에서 배면으로 일정거리 연장되어 상기 홀더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홀더안내부, 상기 안내부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홀더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부패널 또는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패널의 배면 또는 상기 제2캐비닛의 배면과 상기 제1캐비닛의 배면을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패널의 배면 또는 상기 제2캐비닛의 배면과 상기 제1캐비닛의 배면에 모두 접촉하는 체결바디와, 상기 체결바디와 상기 상부패널의 배면 또는 상기 제2캐비닛의 배면과,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제1캐비닛 배면을 모두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의류수용부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안착된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시키는 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는 하우징 관통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 상기 하우징 관통홀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 관통홀의 외부에 위치되는 스위치바디, 일단은 상기 하우징 관통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 바디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상기 스위치 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접점(contac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압부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는 상기 캐비닛 관통홀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물체가 접촉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에 의해 상기 하우징 관통홀의 내부에서 왕복하되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와 상기 하우징 관통홀에 노출된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와 상기 슬라이더가 접촉되는 면을 형성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탑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탑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분리할 경우,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널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상부패널이나 탑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가 결합되는 경우 결합력을 강화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탑로드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에 결합되었을 때만 구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분리된 경우 상부패널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상기 상부패널이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상부패널이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에 결합되면 고정하는 체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7,8은 상부에 구비되는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구조와, 탑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가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었을 때만 작동할 수 있는 결합감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하부의 프론트 타입 의류처리장치(100)와, 상기 프론트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200)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처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의미하며,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프론트 타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하며, 상기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200)는 제2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와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에 제1개구부(117)를 구비한 제1캐비닛(110)과,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의류수용부(120,140), 상부에 제2개구부(211)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비닛(11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캐비닛(210), 상기 제2캐비닛(210)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의류수용부(220,2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캐비닛(110)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2캐비닛(210)는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캐비닛(110)과 상기 제2캐비닛(210)은 서로 결합되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캐비닛(110)과 상기 제2캐비닛(210)은 일체로 구비되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10)의 전방에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195)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제1입력부(191)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캐비닛(110)의 상부에는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295)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200)의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제2입력부(291)와,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에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결합되거나,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와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부(190)와 상기 제2제어부(29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와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입력부(191)로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와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 모두를 작동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상기 제2입력부(292)로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와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에 작동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표시부(195)와 상기 제2표시부(295)는 LCD, LED 등의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고,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표시부(195)와 상기 제2표시부(295)는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알림사항이 있을 때 알람을 울릴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를 세제와 물로 세탁하는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의류를 열풍 등에 의해 건조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의류수용부(120,140)는 상기 제1개구부(117)와 연통하는 제1투입구(121)를 구비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120)와, 상기 제1터브(1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의류수용부(120,140)는 상기 제1캐비닛(110)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1,2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장치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가 건조장치로 구비된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는 의류를 세제와 물로 세탁하는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의류를 열풍 등에 의해 건조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의류수용부(220,240)는 상기 제2개구부(211)와 연통하는 제2투입구(221)를 구비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220)와, 상기 제2터브(2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의류수용부(220,240)는 상기 제2캐비닛(210)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1,2는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세탁장치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건조장치로 구비된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개구부(110)를 개폐하는 제1도어(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130)는 상기 제1개구부(110)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1개구부(110)에서 상기 제1터브(120)의 제1투입구(121)를 실링하는 도어가스켓(1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터브(130)에 물을 급수하는 제1급수부(160)와, 상기 제1터브(130)의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부(160)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161)과, 상기 제1급수관(161)에 공급된 물을 저장된 세제와 희석하여 제1터브(130)로 공급할 수 있는 세제박스(120), 상기 세제박스(120)에서 상기 제1터브(130)와 연통하여 물과 세제가 이동하는 제1공급관(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부(170)는 상기 제1터브(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관(172)과, 상기 제1배수관(172)의 물을 상기 제1캐비닛(210)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17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터브(130)를 상기 제1캐비닛(110)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1터브(130)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제1캐비닛(11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감쇄하는 지지감쇄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감쇄부(180)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댐퍼와 스프링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도 있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감쇄부(180)는 상기 제1터브(1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상부와 하부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드럼(130)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50)는 제1터브(120) 배면에 구비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스테이터(151)와, 상기 제1스테이터(151)의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로터(152), 일단이 상기 제1로터(15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터브(120)를 관통하여 상기 제1드럼(140)에 연결되는 회전축(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53)은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지면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제1드럼(140)은 상기 제1드럼(140)이 회전할 때 의류를 상부로 들어올리고 낙하시켜 세탁성능을 향상하는 리프터(141)를 포함할 수 있고, 내주면에 상기 제1터브(130)의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다수의 중공(14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는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에 구비되므로 그 높이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즉,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의 높이가 높게 구비되면 구비될수록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의 세탁용적은 증가하지만, 상기 제2개구부(211)에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터브(220)의 높이도 상대적으로 낮게 구비될 수 밖에 없고, 상기 제2터브(220)에 수용된 물이나 의류가 상기 제2터브(220) 외부로 토출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기 제2터브(220)는 제2투입구(221)를 개폐하는 터브도어(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브도어(230)는 상기 제2투입구(221)를 폐쇄하여 상기 제2터브(220)에 수용된 물이나 의류가 상기 제2터브(220)의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10)는 상기 제2개구부(211)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도어(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도어(216)은 상기 제2캐비닛(21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캐비닛(210)의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터브(220)은 상부에 상기 제2개구부(211)와 연통하는 제2투입구(22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투입구(221)를 개폐하는 터브도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도어(230)는 상기 제2터브(2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도어(23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캐비닛(210)은 상기 커버도어(216)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도어(230)가 상기 제2투입구(221)를 회전가능하게 개폐하면서 상기 제2개구부(21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도어(230)는 힌지(23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231)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윈도우(233), 상기 프레임(231)을 상기 제1터브(220)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어핸들(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233)는 사용자가 상기 제2터브(22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도어(230)는 상기 제2투입구(221)을 통해 상기 제2터브(220)의 물이 제2터브(2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231)과 상기 제2투입구(221)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터브도어(230)가 상기 제2투입구(221)를 폐쇄한 때 상기 프레임(231)과 상기 제2투입구(221)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터브(220)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부(260)와 상기 제2터브(220)의 물을 배수하는 제2배수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부(260)는 외부급수원에서 상기 제2터브(220)로 물을 급수하는 제2급수관(261)과, 상기 제2급수관(261)의 유량을 조절하는 급수밸브(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부(270)는 상기 제2터브(2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220)의 물이 배출되는 제2배수관(272)과, 상기 제2배수관(272)과 연통하여 상기 제2배수관(272)의 물을 상기 제2캐비닛(210) 외부로 배수하는 제2배수펌프(2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급수부(260)와 상기 제2배수부(270)는 상기 제1급수부(150)와 상기 제1배수부(17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부(260)와 상기 제2배수부(270)는 상기 제1급수부(150)와 상기 제1배수부(170)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급수부(150)와 상기 제1배수부(170)와 분지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가 독자적으로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가 독자적으로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드럼(240)은 상기 제2투입구(211)와 연통하는 드럼투입구(2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240)은 내주면에 상기 제2터브(220)의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다수의 중공(24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드럼(240)을 상기 제2터브(220)에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250)는 상기 제2터브(220)의 하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스테이터(251)와, 상기 제2스테이터의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252), 일단이 상기 제2로터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터브(220)를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240)에 연결되는 회전축(2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터브(220)을 상기 제2캐비닛(210)에 지지하는 지지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80)는 상기 제2캐비닛(210)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281)와, 상기 제2터브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282)와, 상기 제1지지부(281)와 상기 제2지지부(282)를 연결하는 연결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81)는 상기 제2지지부(282)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283)는 일단이 상기 제1지지부(28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지지부(282)를 지지하여 상기 제2터브(220)는 상기 제2캐비닛(210)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81)는 상기 제2캐비닛(210)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제1브라켓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282)는 상기 제2터브(220)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제2브라켓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부(283)는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연결하되 지면과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연결부(283)를 포함한 지지부(280)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 함으로써 상기 제2터브(220)의 세탁용적을 더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83)는 상기 제1지지부(281)를 관통하여 안착되는 제1연결부(283a)와 상기 제2지지부(282)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제2연결부(283b)와 상기 제1연결부(283a)와 상기 제2연결부(283b)을 연결하는 연결바(28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83a)와 상기 제2연결부(283b)는 상기 연결바(283c)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원판, 반구 및 구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283)가 상기 제1지지부(281) 및 상기 제2지지부(282)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만 독자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는 독자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도 있어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에 호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만을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소량세탁 등의 필요성이 있거나, 세탁부하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제2의류처리장치(200)를 추가로 구입하여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가 결합된 의류처리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3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가 독자적으로 구비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캐비닛(110)은 상기 제2캐비닛(210)이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부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캐비닛(11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털(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부는 상기 제2캐비닛(210)이 분리되면 내부에 제1터브(220) 등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3(a)와 같이, 상기 상부패널(112)은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1터브(220) 등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1캐비닛(110)이 상기 제2캐비닛(210)이 없어도 독자적인 의류처리장치(100)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10)은 상기 제1개구부(117)를 개폐하는 제1도어(130)를 구비하는 전방패널(111)과, 상기 전방패널(111)의 양측면에서 배면으로 연장되는 측면패널(113)과, 상기 양 측면패널의 배면을 연장하는 배면패널(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패널(111)은 전술한 컨트롤패널(190) 및 표시부(195)가 구비되므로 상기 측면패널(113)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패널(112)은 상기 제1캐비닛(110) 배면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4는 상기 상부패널(112)이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측면패널(113)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제2캐비닛(210) 또는 상기 상부패널(112)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3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301)는 상기 측면패널(113)의 상단에 돌출된 홀더지지부(301a)와, 상기 홀더지지부(301a)의 외주면에 구비된 접촉부(30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지지부(301a)는 상기 측면패널(1130)에서 돌출된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접촉부(302)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제2캐비닛(210)과 상기 상부패널(112)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상부패널(112)의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리브(311)과, 상기 연장리브에서 상기 상부패널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수용리브(312)와, 상기 수용리브(312)를 관통하거나 상기 수용리브(312)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어 구비되어 상기 홀더(30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홀더수용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리브(311)는 상기 상부패널(112)에서 상기 측면패널(113)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홀더(30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301)의 외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리브(313)는 상기 연장리브(31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패널(113)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홀더(301)의 접촉부(301b) 하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수용부(313)는 상기 홀더(301)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수용부(313)는 상기 수용리브(313)에서 일정길이를 구비하도록 상기 수용리브(313)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용리브(313)의 일부를 절개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수용부(313)의 일단에 상기 홀더(301)가 안착되고, 상기 홀더수용부(3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301)가 이동하며, 상기 홀더수용부(313)의 말단에 상기 홀더(301)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상부패널(301)이 상기 제1캐비닛(110)에 슬라이드 이동하며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수용부(313)는 상기 홀더(301)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수용안착부(313a)와, 상기 수용안착부(313a)에서 배면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홀더(301)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수용안내부(313b)와, 상기 수용안내부(313b)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301)가 고정되는 수용고정부(31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안착부(313a)는 상기 수용안내부(313b)를 따라 완만한 경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용고정부(313c)는 상기 홀더(301)와 결합하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상부패널(112)을 상기 제1캐비닛(110)에 결합할 때, 사용자는 상기 수용안착부(313a)에 상기 홀더(301)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패널(11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상부패널(112)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홀더(301)는 상기 수용안내부(313b)를 따라 상기 수용고정부(313c)에 고정될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4(b)는 상기 홀더수용부(313)가 상기 수용리브(312)에 만입되어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4(b)와 달리, 상기 홀더수용부(313a)가 상기 수용리브(312)에 상기 홀더(301)의 상기 접촉부(301b)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이동부(313b)가 상기 홀더(301)의 홀더지지부(301a)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슬릿으로 구비되며, 상기 수용고정부(313c)가 상기 슬릿의 끝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홀더수용부(313)는 상기 홀더(30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를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에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1캐비닛(110)에서 상기 상부패널(112)을 분리하고 상기 제2캐비닛(210)을 상기 제1캐비닛(11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112)을 분리하는 경우 전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2캐비닛(220)을 상기 제1캐비닛(110)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를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와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2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캐비닛(110)에 결합하도록 상기 결합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2캐비닛(210)의 측면 하부에서 상기 제2캐비닛(210) 내부를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슬라이드리브(321)와, 상기 슬라이드리브(321)를 관통하거나, 상기 슬라이드리브(321)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어 구비되어 상기 홀더(30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홀더고정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고정부(322)는 상기 홀더수용부(313)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캐비닛(220)의 측면은 상기 홀더(30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301)의 외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리브(321)는 상기 제2캐비닛(210)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패널(113)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홀더(301)의 접촉부(301b) 하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고정부(322)는 상기 홀더(301)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고정부(322)는 상기 슬라이드리브(321)에서 일정길이를 구비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리브(321)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리브(321)의 일부를 절개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고정부(322)의 일단에 상기 홀더(301)가 안착되고, 상기 홀더고정부(3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301)가 이동하며, 상기 홀더고정부(322)의 말단에 상기 홀더(301)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캐비닛(210)이 상기 제1캐비닛(110)에 슬라이드 이동하며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고정부(322)는 상기 홀더(301)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홀더안착부(322a)와, 상기 홀더안착부(322a)에서 배면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홀더(301)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홀더안내부(322b)와, 상기 홀더안내부(322b)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301)가 고정되는 홀더고정부(3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안착부(322a)는 상기 홀더안내부(322b)를 따라 완만한 경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홀더고정부(322c)는 상기 홀더(301)와 결합하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캐비닛(210)을 상기 제1캐비닛(110)에 결합할 때, 사용자는 상기 홀더안착부(322a)에 상기 홀더(301)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캐비닛(2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캐비닛(2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홀더(301)는 상기 홀더안내부(322b)를 따라 상기 홀더고정부(322c)에 고정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5는 상기 홀더고정부(322)가 상기 슬라이드리브(321)에 만입되어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5와 달리, 상기 홀더안착부(322a)가 상기 슬라이드리브(312)에 상기 홀더(301)의 상기 접촉부(301b)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로 구비되고, 상기 홀더이동부(322b)가 상기 홀더(301)의 홀더지지부(301a)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슬릿으로 구비되며, 상기 홀더고정부(322c)가 상기 슬릿의 끝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홀더고정부(322)는 상기 홀더(30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상부패널(112) 또는 상기 제2캐비닛(210)이 상기 제1캐비닛(110)과 결합할 때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력이 약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캐비닛(110)에서 진동이 발생하거나, 상기 제2캐비닛(210)이 상기 제1캐비닛(110)과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캐비닛(210)의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상부패널(112)이나 상기 제2캐비닛(210)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캐비닛(110)에서 분리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패널(112)이나 상기 제2캐비닛(210)이 상기 제1캐비닛(110)에 결합되었을 때 이를 고정하는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도6은 상기 상부패널(112) 또는 상기 제2캐비닛(210)과 상기 제1캐비닛(11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체결부(33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상부패널(112) 또는 상기 제2캐비닛(210)이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부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패널(112)의 배면 또는 상기 제2캐비닛(210)의 배면과 상기 제1캐비닛(110)의 배면을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30)는 상기 상부패널(112)의 배면 또는 상기 제2캐비닛(210)의 배면과 상기 제1캐비닛(110)의 배면에 모두 접촉하는 체결바디(331)와, 상기 체결바디(331)와 상기 상부패널(112)의 배면 또는 상기 제2캐비닛(210)의 배면과, 상기 체결바디(331), 상기 제1캐비닛(110) 배면을 모두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6은 상기 상부패널(112)과 상기 제1캐비닛(110)에 상기 체결부(33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2캐비닛(210)과 상기 제1캐비닛(110)에 상기 체결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331)은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상부패널(112) 또는 상기 제2캐비닛(210)의 배면과, 상기 제1캐비닛(110)의 배면에 모두 접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332)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바디(331)에는 상기 체결부재(332)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관통홀(331a)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332)가 볼트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관통홀(331a)는 내주면에 상기 볼트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바디(331)와 상기 체결부재(332)는 상기 상부패널(112) 또는 상기 제2캐비닛(210)의 배면과, 상기 제1캐비닛(110)의 배면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2캐비닛(210)은 하부면이 개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보다 소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보다 중량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독자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는 진동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상기 제1캐비닛(11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작동하기 시작하거나, 상기 제2터브(220)의 다량의 의류 및 물이 수용되면 상기 제2캐비닛(210)이 상기 제1캐비닛(110)에서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에 완전히 안착되어 결합할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이 유도될 필요성이 있다.
도7은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에 완전히 안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작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캐비닛(210)이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부에 안착된 경우에만 상기 제2제어부(290)가 상기 제2구동부(2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접속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400)는 상기 제2캐비닛(210)이 상기 제1캐비닛(110)에 안착되지 않으면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 작동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400)는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에 완전히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400)의 기능은 접속부(400)가 제어부(290)와 제어대상들(제2구동부(250), 제2급수부(260), 제2배수부(270), 제2표시부(295)) 사이의 통신회로 (communication ciruit)를 개폐하도록 구비되거나, 접속부(400)가 제어부(290) 및 제어 대상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회로(power cuircuit)를 개폐하도록 구비되거나, 접속부(400)가 제어대상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8은 상기 접속부(400)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접속부(400)는 제2캐비닛(210) 내부에 고정되는 하우징(410), 상기 하우징(410)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관통홀(411), 상기 제어부(290)와 제어대상들을 연결하는 회로를 개폐하되 상기 하우징 관통홀(411)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위치(420), 상기 하우징 관통홀(411)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의류처리장치(200)가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스위치(420)를 작동시키는 가압부(430)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스위치(420)는 상기 하우징(410)에 고정되는 스위치 바디(421), 일단은 상기 하우징 관통홀(411)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바디(421) 내부에서 왕복하는 슬라이더(422), 상기 스위치 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422)에 의해 회로(통신회로나 전력회로)를 개폐하는 접점(423a, 423b)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가압부(430)는 상기 하우징관통홀(411)에 위치하여 상기 제2캐비닛(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캐비닛(110)이 접촉되는 지지면(431), 상기 하우징 관통홀(411)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면(431)에 연결된 바디(43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432)는 지지면(431)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하우징 관통홀(411)에 삽입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434)를 통해 지지면(43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지지면(431)이 상기 제1캐비닛(110) 의해 가압되면, 상기 바디(432)는 하우징 관통홀(4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위치의 슬라이더(422)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422)가 상기 바디(432)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관통홀(411)에 노출된 슬라이더(422)의 일단을 가압하는 바디(432)의 일면은 경사면(432a)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경사면(432a)은 상기 하우징 관통홀에 노출된 슬라이더(422)의 일단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 관통홀에 노출된 슬라이더(422) 및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바디(432)의 일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더(422)는 탄성지지부(440)를 통해 스위치 바디(421)에 지지되므로, 제2캐비닛(210)가 제1캐비닛(110)에서 분리되면 슬라이더(422)의 일단이 바디(432)를 가압할 것이므로 가압부(430)는 초기위치(도 7 (b))로 복귀하게 될 것이다.
제2캐비닛(210)가 제1캐비닛(110)에서 분리된 경우, 가압부(43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 관통홀(411)에는 바디(432)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 7의 접속부(9)는 바디(432)가 하우징 관통홀(411)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압부 가이더(4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 가이더(450)는 바디(432)와 하우징 관통홀(411) 중 어느하나에 구비되는 돌기(451), 바디(432)와 하우징 관통홀(41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451)가 수용되는 수용홈(452)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7은 상기 돌기(451)는 하우징 관통홀(4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관통홀(41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고, 수용홈(452)은 바디(432)의 외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제1의류처리장치 110 제1캐비닛 111 컨트롤패널 117 제1개구부
112 상부패널 113 측면패널 114 배면패널
120 제1터브 121 제1투입구
130 제1도어 131 도어가스켓
140 제1드럼 141 리프터
150 제1구동부 151 제1스테이터 152 제1로터 153 제2회전축
160 제1급수부 161 제1급수관 162 세제박스 163 제1공급관
170 제1배수부 171 제1배수펌프 172 제1배수관
180 지지감쇄부
200 제2의류처리장치 210 제2캐비닛 211 개구부 216 커버도어
212 전면패널 213 측면패털 212a 컨트롤패널
214 배면패널 214a개방면 215 감지수용부
220 제2터브 221 투입구 222 터브커버 223 터브바디
230 제2도어 231 프레임 232 힌지
233 윈도우 234 도어핸들 235 실링부
240 제2드럼 241 드럼투입구 242 밸런서
250 제2구동부 251 스테이터 252 로터 253 회전축
260 제2급수부 261 제2급수관
270 제2배수부 271 배수펌프 272 배수관
280 지지부 281 제1지지부 282 제2지지부
283 연결부 283a 제1연결부 283b 제2연결부 283c 연결바
290 제어부 295 표시부
300결합부 301 홀더 301a 홀더지지부 301b 접촉부
310 패널결합부 311 연장리브 312 수용리브
313 홀더수용부
320 패널체결부 321 슬라이드리브 322 홀더고정부
330 체결부 331 체결바디 332 체결부재
400 접속부 410 하우징 411 하우징관통홀
420 스위치 421 스위치바디 422 슬라이더
423 접점(423a,423b)
424 바디관통홀
430 가압부 431 지지면 432 바디 432a 경사면 434 연결바
440 탄성지지부
450 가압부가이더 451 돌기 452수용홈

Claims (16)

  1. 전방에 제1개구부를 구비한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의류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의류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부;
    상부에 제2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비닛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의류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제1캐비닛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널과, 상기 제1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전방패널과, 상기 전방패널의 양측면에서 배면으로 연장되는 측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패널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제2캐비닛 또는 상기 상부패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상부패널의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리브와, 상기 연장리브에서 상기 상부패널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수용리브와, 상기 수용리브를 관통하거나, 상기 수용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어 구비되어 상기 홀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홀더수용부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류수용부는
    상기 제1개구부와 연통하는 제1투입구를 구비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
    상기 제1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의류수용부는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하는 제2투입구를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수용부는 상기 홀더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수용부는
    상기 홀더가 안착될 수 있는 수용안착부,
    상기 수용안착부에서 배면으로 일정거리 연장되어 상기 홀더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수용안내부,
    상기 수용안내부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수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캐비닛의 측면 하부에서 상기 제2캐비닛 내부를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슬라이드리브와,
    상기 슬라이드리브를 관통하거나, 상기 슬라이드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어 구비되어 상기 홀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홀더고정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고정부는 상기 홀더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고정부는
    상기 홀더고정부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안착될 수 있는 홀더안착부,
    상기 홀더안착부에서 배면으로 일정거리 연장되어 상기 홀더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홀더안내부,
    상기 홀더안내부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홀더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부패널 또는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패널의 배면 또는 상기 제2캐비닛의 배면과 상기 제1캐비닛의 배면을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패널의 배면 또는 상기 제2캐비닛의 배면과 상기 제1캐비닛의 배면에 모두 접촉하는 체결바디와, 상기 체결바디와 상기 상부패널의 배면 또는 상기 제2캐비닛의 배면, 상기 체결바디, 상기 제1캐비닛 배면을 모두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류수용부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안착된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시키는 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는 하우징 관통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
    상기 하우징 관통홀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 관통홀의 외부에 위치되는 스위치바디;
    일단은 상기 하우징 관통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 바디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상기 스위치 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접점(contac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압부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 관통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캐비닛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1캐비닛이 접촉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에 의해 상기 하우징 관통홀의 내부에서 왕복하되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하우징 관통홀에 노출된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와 상기 슬라이더가 접촉되는 면을 형성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40052226A 2016-06-08 2024-04-18 의류처리장치 KR20240058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301A KR20170138882A (ko) 2016-06-08 2016-06-0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60071300A KR20170138881A (ko) 2016-06-08 2016-06-0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60071302A KR20170138883A (ko) 2016-06-08 2016-06-0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662420575P 2016-11-11 2016-11-11
US62/420,575 2016-11-11
KR1020160172986A KR20180053188A (ko) 2016-11-11 2016-12-16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986A Division KR20180053188A (ko) 2016-06-08 2016-12-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068A true KR20240058068A (ko) 2024-05-03

Family

ID=5903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2226A KR20240058068A (ko) 2016-06-08 2024-04-1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544532B2 (ko)
EP (2) EP3255198B1 (ko)
KR (1) KR20240058068A (ko)
CN (1) CN107475990A (ko)
AU (2) AU2017203834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088B1 (ko) * 2015-03-02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632054B1 (ko) * 2016-12-23 2024-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639680B1 (ko) * 2016-12-23 202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D825871S1 (en) * 2017-03-23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O2018190488A1 (en) 2017-04-11 2018-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66277B1 (ko) * 2017-09-07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DE102018105667A1 (de) * 2018-03-12 2019-09-12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aschmaschine und Waschmaschine
CN109440400B (zh) * 2018-11-28 2022-12-06 佛山市顺德海尔电器有限公司 洗衣机泡沫处理方法
US11680359B2 (en) * 2019-12-12 2023-06-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tub with a closure
US11982035B2 (en) * 2020-11-16 2024-05-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of using image recognition processes for improved operation of a laundry appliance
CN112575507A (zh) * 2020-11-23 2021-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泡沫控制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07319A (en) * 1984-02-29 1988-02-12 Fisher & Paykel Clothes washing machine, control of spin cycle and of washing during water entry
US5890247A (en) * 1997-12-22 1999-04-06 Maytag Corporation Automatic washing machine incorporating a suds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CN1548607A (zh) * 2003-05-12 2004-11-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洗涤控制方法
JP4282461B2 (ja) * 2003-12-15 2009-06-24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1034198B1 (ko) * 2005-02-02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KR101095555B1 (ko) 2005-05-04 2011-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거품제거방법
JP4600221B2 (ja) * 2005-09-06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US7934281B2 (en) * 2005-11-14 2011-05-03 Whirlpool Corporation Stain removal process control method using BPM motor feedback
EP1971714B1 (en) * 2005-12-29 2019-05-08 Arç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and a control method
JP2008055016A (ja) 2006-09-01 2008-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KR101463809B1 (ko) * 2007-11-29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KR20090061464A (ko) 2007-12-11 2009-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KR101448626B1 (ko) * 2007-12-31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DE102009027933A1 (de) * 2009-07-22 2011-01-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rkennen von Schaum für eine programmgesteuerte Wäschebehandlungsmaschine
JP2011035190A (ja) * 2009-08-03 2011-02-17 Ricoh Co Ltd マルチビームレーザ光量制御回路および該マルチビームレーザ光量制御回路を具備する光走査装置
DE112011106122B9 (de) 2010-04-30 2023-07-13 Lg Electronics Inc. Wäschevorrichtung
JP2012170694A (ja) * 2011-02-23 2012-09-10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2013090736A (ja) * 2011-10-25 2013-05-16 Sharp Corp 洗濯機
EP2849008B1 (en) * 2013-09-11 2019-04-0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Foam-reducing procedure in a washing machine during a spinning cycle
CN103668860B (zh) * 2013-12-24 2016-06-01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防止泡沫产生的方法
KR102255385B1 (ko) * 2014-05-30 202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87095B1 (ko) 2014-05-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204343050U (zh) * 2014-11-20 2015-05-20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式洗衣机
CN104762789B (zh) 2015-03-30 2018-10-23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脱水控制方法
EP3235939B1 (en) * 2016-04-21 2021-06-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the detection of foam in a laundry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5198A1 (en) 2017-12-13
AU2020200011B2 (en) 2021-06-24
AU2017203834A1 (en) 2018-01-04
EP3553221B1 (en) 2021-03-31
AU2020200011A1 (en) 2020-01-30
US11066770B2 (en) 2021-07-20
US20200149203A1 (en) 2020-05-14
AU2017203834B2 (en) 2019-10-03
EP3255198B1 (en) 2019-05-29
US10544532B2 (en) 2020-01-28
US20170356115A1 (en) 2017-12-14
CN107475990A (zh) 2017-12-15
EP3553221A1 (en)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5806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97821B1 (ko) 의류처리장치
US10604879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604688B1 (ko) 세탁장치
CN101451294B (zh) 洗衣机
KR102244839B1 (ko) 의류처리장치
US20050172678A1 (en) Pedestal assembly of washing machine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KR20180074458A (ko) 세탁기
US9487900B2 (en) Washing machine
US11680359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tub with a closure
US20200024786A1 (en) Washing machine
KR10214865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5443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KR20090057792A (ko) 의류 처리장치
EP2065507B1 (en) Laundry machine
KR20240075636A (ko) 의류처리시스템
KR201800522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75644A (ko) 의류처리시스템
KR20110088954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