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065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065A
KR20240058065A KR1020240050123A KR20240050123A KR20240058065A KR 20240058065 A KR20240058065 A KR 20240058065A KR 1020240050123 A KR1020240050123 A KR 1020240050123A KR 20240050123 A KR20240050123 A KR 20240050123A KR 20240058065 A KR20240058065 A KR 2024005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ing module
light emitting
lighting devic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50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065A/ko
Publication of KR2024005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7Details of housings or case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base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housings or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21S45/48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with means for conducting hea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lighting devices, e.g. with fi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발광 소자가 구비된 플렉시블 재질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결합 부재와, 상기 기판을 수용하는 수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홀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후크 타입의 결합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일부가 벤딩 형성된 기판의 형상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조명 모듈을 브라켓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실시예는 차량용 램프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조명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명은 디스플레이 및 간판용 백라이트 뿐만 아니라, 차량용 조명에도 사용되고 있다.
발광 소자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 등의 장점이 있다. 특히, 차량용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하는 램프는 다른 광원에 비해 고출력이 가능하고 소비 전력이 작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차량용 조명 장치는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LED 조명 모듈이 결합되고, 플렉시블 재질의 LED 조명 모듈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한다.
이러한 LED 조명 모듈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 브라켓에 접착되고, LED 조명 모듈을 폭 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브라켓에는 걸림턱이 더 형성된다.
하지만, LED 조명 모듈을 일정 영역이 벤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LED 조명 모듈의 특정 영역에서는 브라켓과의 접착력이 약해지게 되어 LED 조명 모듈이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LED 조명 모듈의 폭 방향을 고정 시키는 걸림턱은 전면에서 보았을 때 암부 영역으로 보이게 되어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실시예는 LED 조명 모듈을 브라켓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발광 소자가 배치된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과, 상기 조명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결합 부재와, 상기 조명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 홀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발광 소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 가이드 부재, 제1 광학부재 및 제2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발광 소자와 상하로 중첩되어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부재는 다수의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부재의 일면에는 차광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발광 소자의 광 출사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학부재는 상기 제1 광학부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가 배치된 영역 외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결합부재가 안착되는 안착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모듈은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일부가 벤딩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가이드 부재는 상기 발광 소자를 매립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레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후크 타입의 결합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일부가 벤딩 형성된 기판의 형상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조명 모듈을 브라켓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조명 모듈의 일부를 덮는 걸림턱을 제거함으로써, 걸림턱에 의해 암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결합 부재를 발광 소자의 하부에 배치시킴으로써, 기판의 휘어짐에 따른 발광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결합 부재를 금속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의 결합 부재는 플렉시블한 기판이 휘어질 시 발광 소자의 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발광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 구비된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과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과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과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과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램프장치, 이를테면 차량용 램프, 가정용 조명장치, 산업용 조명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차량용 램프에 적용되는 경우, 헤드 램프, 차폭등, 사이드 미러등, 안개등, 테일등(Tail lamp), 제동등, 차폭등, 주간 주행등, 차량 실내 조명, 도어 스카프(door scar),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백업 램프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실내, 실외의 광고장치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조명관련 분야나 광고관련 분야 등에 적용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0)는 차량(Vehicle, V)의 후미등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V)의 후미등은 다수의 조명 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조명 장치(1000)는 방향 지시등, 차폭등 또는 제동등의 역할을 하는 광원일 수 있다.
조명 장치(1000)는 조명 모듈(100)과 조명 모듈(100)을 수납하는 하우징(H)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장치(1000)는 조명 모듈(100)이 차량의 후방에 결합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H)은 차량(V) 몸체의 디자인에 따라 굴곡을 가질 수 있으며, 조명 모듈(100)은 하우징(H)의 형상에 따라 곡면을 가지는 면 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하우징(H)을 하나의 유닛으로 설명하였지만, 아우터 렌즈, 이너 렌즈, 베젤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차량(V)의 조명 장치의 안전 기준으로 보면, 전면광을 기준으로 측정할 경우, 테일등은 배광 기준이 4 내지 5 칸델라(cd)의 범위이며, 제동등은 배광 기준이 60 내지 80 칸델라(cd) 범위이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100)은 차량 안전 기준 이상의 칸델라를 가지는 광도로 배광되므로 제동등이나 테일 등과 같은 램프의 차량 안전 기준 내의 광도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가 차량의 후미등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의 전방의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 구비된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과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0)는 조명 모듈(100)과 상기 조명 모듈(100)을 수납하는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모듈(100)은 제1 방향(D1)으로 일부가 벤딩된 제1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모듈(100)은 제2 방향(D2)으로 일부가 벤딩된 제2 영역(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조명 모듈(100)은 'ㄴ'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1)은 수직 방향일 수 있으며, 제2 방향(D2)은 수평 방향일 수 있다.
브라켓(200)은 조명 모듈(100)을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00)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상부에는 조명 모듈(100)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조명 모듈(100)은 브라켓(200)과 후크 타입의 결합 부재(3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200)에는 결합 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조명 모듈(100)이 브라켓(200)과 결합되는 구조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모듈(100)은 기판(110)과, 상기 기판(100) 상의 다수의 발광 소자(120)와, 상기 발광 소자(120)를 감싸는 광 가이드 부재(130)와, 상기 광 가이드 부재(130)의 상부에 배치된 광학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120)의 주위 영역의 기판(110) 상에는 반사 부재(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0)은 연성(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0)은 수지 계열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FR-4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이 바닥에 금속층이 배치된 메탈 코아 PCB로 배치될 경우, 발광 소자(120)의 방열 효율은 개선될 수 있다.
발광 소자(120)는 기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120)는 기판(110) 상에 길이 방향으로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20)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소자로서, LED 칩이 패키징된 패키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칩은 청색, 적색, 녹색, 자와선(UV)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20)는 백색, 청색, 적색, 녹색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20)는 바닥 부분이 상기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뷰 타입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광 가이드 부재(130)는 발광 소자(120)를 매립하는 구조로 적층될 수 있다. 광 가이드 부재(130)는 반도체 소자의 외부 표면상 광 가이드 부재()와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부재(130)는 레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레진층은 올리고머(oligomer)를 포함하는 고내열성 자외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경화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ther Acrylate),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Polybutadiene Acrylate), 실리콘 아크릴레이트(Silicon Acrylate)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올리고머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를 사용하는 경우, 두가지 타입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기 다른 물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레진층은 추가적으로 모노머(monomer) 및 광개시제(photo initiat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레진층은 고내열성을 갖는 열경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진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수지, 아크릴 폴리올(Acryl Polyol) 수지, 탄화수소계 또는/및 에스테르계의 용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경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열경화 수지에는 도막강도 향상을 위해 열경화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광학 부재(140)는 제1 광학부재(141)와 제2 광학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부재(141)는 광의 집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광학부재(141)는 다수의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부재(141)의 일면에는 차광 패턴(142)이 형성될 수 있다. 차광 패턴(142)은 발광 소자(120)의 광 출사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학부재(141)는 폴리에스테르(PET), 이산화 타이타늄(TiO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학부재(143)는 제1 광학부재(141)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학부재(143)와 제1 광학부재(141)의 이격 간격은 광이 분산 거리를 통해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광학부재(143)와 제1 광학부재(141)의 이격 간격은 5mm 내지 7mm일 수 있다. 제2 광학부재(143)는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광학부재(143)는 폴리 카보네이트(PC, Poly Carbon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부재(140)는 광의 균일도(uniformity)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균일한 면발광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반사 부재(150)는 발광 소자(120)가 배치된 영역 외의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부재(150)는 필름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150)는 백색의 발포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150)는 광을 반사시켜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 부재(150)의 상부에는 반사 패턴(1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반사 패턴(160)은 입사되는 광을 산란 및 분산시킴으로써 상부에 광이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반사 패턴(160)은 발광 소자(12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사 패턴(160)은 TiO2, CaCo3, BaSo4, Al2O3, Silicon, P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잉크를 이용하여 반사 부재(160) 표면에 인쇄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 모듈(100)의 하부에는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3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300)는 발광 소자(120)와 상하로 중첩되는 기판(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300)는 발광 소자(120)와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발광 소자(1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결합 부재(3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300)는 플렉시블한 조명 모듈(100)이 휘어질 시 발광 소자(120)의 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발광 소자(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300)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로부터 하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320)와, 상기 돌출부(320)로부터 대향 배치되어 상부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330)와, 상기 걸림부(330)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 형상, 반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20)는 몸체부(310)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30)는 제1 걸림부(332)와 제2 걸림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332)는 돌출부(320)의 끝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332)의 외측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걸림부(332)는 텐션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334)는 제1 걸림부(332)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2 걸림부(334)는 제1 걸림부(332)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30)의 상부에는 지지부(3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40)는 다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340)는 제1 지지부(342)와 제2 지지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42)는 제1 걸림부(33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42)는 제1 걸림부(332)의 상부 일부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42)의 내측면은 제1 걸림부(332)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제2 지지부(344)는 제2 걸림부(334)의 상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44)는 제1 지지부(342)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10)는 발광 소자(120)의 폭과 동일하거나 발광 소자(12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부터 몸체부(310)는 발광 소자(120)가 벤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광 소자로부터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10)는 돌출부(320) 및 걸림부(33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부터 몸체부(310)는 걸림부(330)가 브라켓(200)과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300)는 브라켓(200)에 형성된 결합 홀(22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부(332)와 제2 걸림부(334)는 텐션을 가지기 때문에 브라켓(200)에 형성된 결합 홀(220)에 끼워지는 동안 제1 걸림부(332)와 제2 걸림부(334)는 돌출부(320)를 향해 벤딩된다.
결합 홀(220)이 형성된 브라켓(200)의 내측면은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구조물의 내측면 일부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결합 부재(300)를 효과적으로 브라켓에 체결할 수 있게 해준다.
결합 부재(300)가 브라켓(200)에 형성된 결합 홀(220)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제1 걸림부(332)와 제2 걸림부(334)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고, 브라켓(200)은 제1 걸림부(332)의 상부와 제1 지지부(342)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제1 걸림부(332)는 결합 홀(220)이 형성된 브라켓(200)의 하부 일부를 지지하게 되고, 제1 지지부(342)는 결합 홀(220)이 형성된 브라켓(200)의 측면 일부를 지지하게 된다.
브라켓(200)에는 결합 부재(300)의 몸체부(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 홈(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230)은 몸체부(310)의 측면 및 하부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200)에 형성된 안착 홈(230)에 의해 기판(110)과 브라켓(200) 사이의 간격은 최소가 되어 기판(110)이 브라켓(2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는 기판의 하부에 다수개가 이격 배치되기 때문에 일부가 벤딩 형성된 기판의 형상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브라켓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조명 모듈의 일부를 덮는 걸림턱을 제거함으로써, 암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과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00)는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로부터 하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420)와, 상기 돌출부(420)로부터 대향 배치되어 상부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에서 지지부가 삭제된 구조 외에는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 부재(400)는 브라켓(200)에 형성된 결합 홀(22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부(432)와 제2 걸림부(434)는 텐션을 가지기 때문에 브라켓(200)에 형성된 결합 홀(220)에 끼워지는 동안 제1 걸림부(432)와 제2 걸림부(434)는 돌출부(420)를 향해 벤딩된다.
결합 부재(400)가 브라켓(200)에 형성된 결합 홀(220)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제1 걸림부(432)와 제2 걸림부(434)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고, 브라켓(200)은 제1 걸림부(432)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 걸림부(432)는 결합 홀(220)이 형성된 브라켓(200)의 하부 일부를 지지하게 된다.
브라켓(200)에는 결합 부재(400)의 몸체부(4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 홈(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230)은 몸체부(410)의 측면 및 하부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200)에 형성된 안착 홈(230)에 의해 기판(110)과 브라켓(200) 사이의 간격은 최소가 되어 기판(110)이 브라켓(2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결합 부재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브라켓과 결합되므로, 결합 부재의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과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500)는 몸체부(510)와, 상기 몸체부(510)로부터 하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520)와, 상기 돌출부(520)로부터 대향 배치되어 상부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530)와, 상기 걸림부(530)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540)와, 상기 지지부(540)로부터 돌출부(52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부(550)를 제외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수평부(550)는 제1 수평부(552)와 제2 수평부(5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부(552)는 제1 지지부(542)의 상부로부터 돌출부(52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부(542)는 제1 걸림부(532)의 상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지지부(542)는 제1 수평부(552)와 제1 걸림부(532) 사이를 연결하게 되며, 제1 걸림부(532)와 제1 수평부(552) 사이에는 일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평부(554)는 제1 수평부(55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500)가 브라켓(200)에 형성된 결합 홀(220)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제1 걸림부(532)와 제2 걸림부(534)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고, 브라켓(200)은 제1 걸림부(532)와 제1 수평부(552) 사이에 형성된 일정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걸림부(532)는 결합 홀(220)이 형성된 브라켓(200)의 상부 일부를 지지하게 된다. 제1 지지부(542)는 결합 홀(220)이 형성된 브라켓(200)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제1 수평부(552)는 결합 홀(220)이 형성된 브라켓(200)의 상부 일부를 지지하게 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는 브라켓의 상부 일부를 지지하는 수평부를 구비함으로써, 브라켓과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과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600)는 몸체부(610)와, 상기 몸체부(610)로부터 하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620)와, 상기 돌출부(620)로부터 대향 배치되어 상부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630)와, 상기 걸림부(630)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620)를 제외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돌출부(620)는 제1 돌출부(622)와 제2 돌출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622)는 몸체부(610)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24)는 제1 돌출부(62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622)와 제2 돌출부(624)는 텐션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632)는 제1 돌출부(622)로부터 상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632)는 텐션을 가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634)는 제2 돌출부(634)로부터 상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632) 및 제2 걸림부(634)는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600)가 브라켓(200)에 형성된 결합 홀(220)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제1 걸림부(632)와 제2 걸림부(634)에 의해 눌려진 제1 돌출부(622)와 제2 돌출부(624)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브라켓(200)은 제1 걸림부(632)의 상부와 제1 지지부(642)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제1 걸림부(632)는 결합 홀(220)이 형성된 브라켓(200)의 하부 일부를 지지하게 되고, 제1 지지부(642)는 결합 홀(220)이 형성된 브라켓(200)의 측면 일부를 지지하게 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는 텐션을 가지는 돌출부를 다수개로 배치하여 기판과 브라켓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명 모듈 110: 기판
120: 발광 소자 200: 브라켓
210: 수용 홈 220: 결합 홀
300: 결합 부재 310: 몸체부

Claims (15)

  1. 발광 소자가 배치된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
    상기 조명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방열 부재; 및
    상기 조명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 홀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발광 소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 가이드 부재, 제1 광학부재 및 차광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패턴은 상기 제1 광학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 소자의 광 출사면과 상하로 중첩되고,
    상기 방열 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발광 소자와 상하로 중첩되어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은 TiO2 물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은 제2 광학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부재는 상기 제1 광학부재와 일정 간격 이격 되도록 배치되는 조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돌출부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조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부재는 다수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8. 발광 소자가 배치된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
    상기 조명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방열 부재; 및
    상기 조명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 홀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발광 소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 가이드 부재와 상기 광 가이드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광학부재 및 제2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안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홈 상에는 상기 방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발광 소자와 상하로 중첩되어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조명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부재는 다수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부재의 일면에는 차광 패턴이 형성되는 조명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발광 소자의 광 출사면 상에 형성되는 조명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부재는 상기 제1 광학부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조명 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가 배치된 영역 외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부재는 상기 발광 소자를 매립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레진층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조명 장치.
KR1020240050123A 2016-09-09 2024-04-15 조명 장치 KR20240058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0123A KR20240058065A (ko) 2016-09-09 2024-04-15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301A KR102659092B1 (ko) 2016-09-09 2016-09-09 조명 장치
KR1020240050123A KR20240058065A (ko) 2016-09-09 2024-04-15 조명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301A Division KR102659092B1 (ko) 2016-09-09 2016-09-09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065A true KR20240058065A (ko) 2024-05-03

Family

ID=619112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301A KR102659092B1 (ko) 2016-09-09 2016-09-09 조명 장치
KR1020240050123A KR20240058065A (ko) 2016-09-09 2024-04-15 조명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301A KR102659092B1 (ko) 2016-09-09 2016-09-09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9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6674B (zh) * 2018-04-13 2023-09-26 无锡市东鹏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与拆卸的汽车前灯支架
KR20200143928A (ko) 2019-06-17 2020-1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7106B2 (ja) * 2007-02-14 2011-07-2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KR101023790B1 (ko) * 2009-04-27 2011-03-21 주식회사 피플웍스 나사형 엘이디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JP5320609B2 (ja) * 2009-04-30 2013-10-23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110011333A (ko) * 2009-07-28 2011-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2160759B1 (ko) * 2014-04-04 2020-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2288773B1 (ko) * 2014-06-02 2021-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655740B1 (ko) * 2014-11-05 2016-09-08 김정열 엘이디 모듈과 케이스 일체형 엘이디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684A (ko) 2018-03-19
KR102659092B1 (ko) 202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58065A (ko) 조명 장치
US10436404B2 (en)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including same
US20110180832A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10260702B2 (en) Lamp unit and vehicle lamp device using same
KR102660451B1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CN114599914B (zh) 照明装置
KR20240012590A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US20210372594A1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comprising same
KR101934427B1 (ko) 조명 장치
KR102125679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US11287114B2 (en) Lighting device
KR102611955B1 (ko) 조명 장치
KR102292690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47847B1 (ko) 조명 장치
KR101724699B1 (ko) 발광 장치 및 조명 시스템
KR102672280B1 (ko) 조명 장치
CN117605970A (zh) 照明装置
KR102160759B1 (ko) 조명 장치
CN113632251B (zh) 照明模块及包括其的照明装置
KR102523496B1 (ko) 조명 모듈의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KR202200520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0779B1 (ko) 발광소자 모듈
KR102222649B1 (ko) 조명 장치
KR102034081B1 (ko) 조명 장치
KR20200112221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