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406A - 복수층 구조체 - Google Patents

복수층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406A
KR20240057406A KR1020247006373A KR20247006373A KR20240057406A KR 20240057406 A KR20240057406 A KR 20240057406A KR 1020247006373 A KR1020247006373 A KR 1020247006373A KR 20247006373 A KR20247006373 A KR 20247006373A KR 20240057406 A KR20240057406 A KR 20240057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polarizing plate
thicknes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이나가키
케이스케 사토
료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5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4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복수층 구조체는, 편광 플레이트와, 접착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의 한쪽에 적층된 유리층과, 접합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의 다른 한쪽에 적층된 광학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층의 두께는 10㎛ 이상 300㎛ 이하이고, 상기 접합층의 두께 x와 상기 접합층의 85℃에서의 탄성율 y는 y≥(299/60)x-296/3을 충족한다.

Description

복수층 구조체
본 발명은 복수층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2 이상의 층을 적층시킨 복수층 구조체가 알려져 있다. 일 예로서, 점착제층, 수지층, 접착제층, 유리층의 순서로 적층시킨 복수층 구조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복수층 구조체에서 유리층의 두께는 30㎛~300㎛임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층 구조체에서는 점착제층의 두께, 탄성율 등에 대해 광범위하게 규정되어 있다.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19/087938호
그러나, 상기와 같이 판 두께가 얇은 유리층은 매우 깨지기 쉽고 미세한 크랙이 잘 발생한다. 그리하여 가령 유리층에 미세한 크랙이 생겼다 하더라도 크랙이 확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 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리층에 크랙이 생겼다 하더라도 크랙이 확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복수층 구조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복수층 구조체는, 편광 플레이트와, 접착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의 한쪽에 적층된 유리층과, 접합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의 다른 한쪽에 적층된 광학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층의 두께는 10㎛ 이상 300㎛ 이하이고, 상기 접합층의 두께 x와 상기 접합층의 85℃에서의 탄성율 y는 y≥(299/60)x-296/3을 충족한다.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유리층에 크랙이 생긴 경우에도 크랙이 확대되는 것을 억제 가능한 복수층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층 구조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 플레이트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접합층의 두께 및 탄성율과 유리층의 크랙 확대율 간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층 구조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층 구조체(1)는 광학 디스플레이(10), 접합층(20), 편광 플레이트(30), 접착제층(40), 유리층(50)을 구비한다. 유리층(50)은 접착제층(40)을 사이에 두고 편광 플레이트(30)의 한쪽에 적층되며, 광학 디스플레이(10)는 접합층(20)을 사이에 두고 편광 플레이트(30)의 다른 한쪽에 적층되어 있다.
다만, 복수층 구조체(1)는 접합층(20), 편광 플레이트(30), 접착제층(40), 유리층(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접합층(20), 편광 플레이트(30), 접착제층(40), 유리층(50)의 적층체를 입수한 자가 적층체의 접합층(20) 쪽을 광학 디스플레이(10)의 상면(10a)에 부착함으로써 표시 장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복수층 구조체(1)의 평면 형상(광학 디스플레이(10) 상면(10a)의 법선 방향에서 본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복수층 구조체(1)의 평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이들의 복합, 그 밖의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층 구조체(1) 각 부의 재료 등에 대해 설명한다.
[광학 디스플레이]
광학 디스플레이(10)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광학 디스플레이(10)로는, 예를 들어, 액정,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무기 EL(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LED(Light Emitting Diode), 양자 도트 중의 어느 소자를 갖는 디스플레이를 들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LED에는 마이크로 LED도 포함된다.
광학 디스플레이(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4mm~0.7mm이다. 광학 디스플레이(10)의 탄성율은, 예를 들어, 50GPa~100GPa이다.
예를 들어 광학 디스플레이가 액정 디스플레이라면, 광학 디스플레이(10)는 2개의 투명 기판 사이에 끼워진 액정층을 구비한다. 액정층은, 예를 들어,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균일(homogeneous) 배향된 액정 분자를 포함한다. 액정층으로는, 예를 들어, IPS 방식의 액정층이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바, TN형, STN형, π형, VA형 등의 액정층이 사용될 수 있다. 액정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5㎛~4㎛ 정도이다. 2개의 투명 기판은, 예를 들어, 같은 두께이다. 2개의 투명 기판은, 예를 들어, 유리로 이루어진 것이다.
[접합층]
접합층(20)은 광학 디스플레이(10)와 편광 플레이트(30) 사이에 배치된다. 접합층(20)으로는 임의의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합층(20)에 있어 필요에 따라 적절한 두께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탄성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점착제라 함은, 상온에서 접착성을 가지며 가벼운 압력으로 피접착체에 접착되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점착제에 부착된 피접착제를 박리한 경우에도, 점착제는 실용적인 점착력을 유지한다. 한편, 접착제라 함은, 물질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물질을 결합시키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접착제에 부착된 피접착제를 박리시킨 경우에, 접착제는 실용적인 접착력을 갖지 않는다.
접합층(20)에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가 사용된다. 접합층(20)에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습윤성, 응집성,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어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탄소수가 4~12인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접합층(20)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접착제가 열경화형 접착제인 경우에는, 가열하여 경화(고화)시킴으로써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자외선 경화형 등과 같이 광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에는,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照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가 습기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에는, 공기 중의 수분 등과 반응하여 경화시킬 수 있는 바, 방치함으로써 경화되어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편광 플레이트]
편광 플레이트(30)는 접합층(20)을 사이에 두고 광학 디스플레이(10)의 상면(10a)에 적층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 플레이트(30)는, 예를 들어, 편광자(301), 제1 보호 필름(302), 제2 보호 필름(303)을 구비한다. 제1 보호 필름(302)은 편광자(301)의 접착제층(40) 쪽에 배치되며, 제2 보호 필름(303)은 편광자(301)의 접합층(20) 쪽에 배치된다. 편광 플레이트(30)는 제1 보호 필름(302)과 제2 보호 필름(303) 중 어느 한쪽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편광 플레이트(3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3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5㎛~20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100㎛이다.
편광 플레이트(30)의 탄성율은 바람직하게는 1GPa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GPa~10GPa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GPa~7GPa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GPa~5GPa이다.
편광 플레이트(30)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형상을 채택할 수 있는 바, 일 예로서 장변과 단변을 갖는 방형(方形)을 들 수 있다.
편광 플레이트(30)가 방형인 경우에, 편광 플레이트(30)가 구비하는 편광자(301)의 흡수축 방향과, 편광 플레이트(30)의 장변 또는 단변은 대략 평행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 "대략 평행"이라 함은 엄밀하게 평행인 경우뿐 아니라, 두 선이 이루는 각이 ±10°(바람직하게는 ±5°)인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편광자]
편광자(301)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두께를 채택할 수 있다. 편광자(301)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1㎛~80㎛ 정도이다. 편광자(301)로는 박형의 편광자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편광자(30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이하이며,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다.
편광자(301)는 바람직하게는 380nm~780nm 범위 내의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吸收二色性)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單體)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2.0% 이상,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43.0% 이상이다. 편광자(301)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99.95% 이상이다.
편광자(301)는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계 편광자이다. 요오드계 편광자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이하,"PVA계 수지"라 함)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PVA계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PVA계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수지를 채택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제1 및 제2 보호 필름]
제1 보호 필름(302) 및 제2 보호 필름(303)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수지 필름을 채택할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302) 및 제2 보호 필름(303)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노르보넨계 수지 등과 같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올레핀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등이다. 한편, "(메타)아크릴계 수지"라 함은 아크릴계 수지 및/또는 메타크릴계 수지를 말한다.
제1 보호 필름(302) 및 제2 보호 필름(30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2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10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0㎛이다.
제1 보호 필름(302) 및 제2 보호 필름(303)의 탄성율은 1GPa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GPa~10G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GPa~7GPa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GPa~5GPa이다.
[접착제층]
접착제층(40)은 편광 플레이트(30)와 유리층(50)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제층(40)은 가시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4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 이상 25㎛ 이하이다. 접착제층(40)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유리층]
유리층(50)은 접착제층(40)을 사이에 두고 편광 플레이트(30)에 적층되어 있다. 유리층(50)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유리층(50)은, 조성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 붕산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알칼리 성분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무알칼리 유리, 저알칼리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유리의 알칼리 금속 성분(예를 들어, Na2O, K2O, Li2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유리층(50)의 두께는, 유리가 갖는 표면 경도, 기밀성, 내부식성 등을 고려할 때 10㎛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리층(50)은 필름과 같은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유리층(50)의 두께는 300㎛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유리층(50)의 두께는,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2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150㎛ 이하이다.
유리층(50)의 파장 550nm에서의 광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유리층(50)의 파장 550nm에서의 굴절율은, 바람직하게는 1.4~1.65이다. 유리층(50)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3g/cm3~3.0g/cm3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3g/cm3~2.7g/cm3이다.
유리층(50)의 성형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유리층(50)은, 실리카, 알루미나 등과 같은 주원료와, 황산나트륨이나 산화안티몬 등과 같은 소포제(消泡劑)와, 카본 등의 환원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400℃~1600℃ 정도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박판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냉각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유리층(50)의 성형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슬롯 다운 드로(slot down draw)법, 퓨젼(fusion)법, 플로팅(floating)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플레이트 형상으로 성형된 유리층은 박형화하거나 평활성을 높이는 등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불산 등의 용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연마할 수도 있다.
한편, 유리층(50)의 상면(접착제층(40)이 형성되지 않은 쪽의 면)에 오염 방지층, 반사 방지층, 도전층, 반사층, 장식 부가층 등과 같은 기능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복수층 구조체 제조방법]
먼저, 접착제층(40)을 사이에 두고 편광 플레이트(30)와 유리층(50)을 적층한다. 적층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롤 투 톨 프로세스를 채택할 수 있다. 즉, 롤에 감긴 편광 플레이트(30)와 롤에 감긴 유리층(50)을 같은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롤 사이에 접착제층(40)을 끼워 가압하여 접착제층(40)을 사이에 두고 편광 플레이트(30)와 유리층(50)을 적층한다.
이어서,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편광 플레이트(30)와 접착제층(40)과 유리층(50)의 적층체를 절단함으로써 개별 조각화한다. 그리고, 개별 조각화된 편광 플레이트(30)와 접착제층(40)과 유리층(50)의 적층체를, 접합층(20)을 사이에 두고 광학 디스플레이(10)의 상면(10a)에 적층함으로써, 복수층 구조체(1)가 완성된다.
[유리층의 크랙 확대 억제]
복수층 구조체(1) 제조 공정에서 편광 플레이트(30)와 접착제층(40)과 유리층(50)의 적층체를 개별 조각화할 때에는, 유리층(50)에 크랙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조건에 따라 절단이 행해진다. 그러나, 절단 공정에서 유리층(50)에 미세한 크랙이 생기면, 광학 디스플레이(10)와 접합된 후에 복수층 구조체(1)가 고온 환경(예를 들어, 85℃)에 놓여진 경우에 유리층(50)의 크랙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어느 층에 온도차 ΔT가 생긴 경우에 열 팽창에 의해 그 층에 발생하는 면방향(도 1에서의 좌우 방향) 인장력(F)에 대해 검토해 본다. σ를 응력, E를 탄성율, ε를 열 변형, α를 선팽창 계수, A를 단면적, W를 폭, d를 두께라 하면, σ=Eε=EαΔT, F=σA=σdW로 되는 바, 그 결과 F=EαdWΔT가 얻어진다.
탄성율 E[GPa] 선팽창 계수 α[ppm/℃] 두께 d[mm] Eαd
광학 디스플레이(10) 70 4 0.4~0.7 112~196
필름 3 50 0.1~0.2 15~30
광학 디스플레이(10)와 일반적인 필름을 비교하면, E, α, d가 대략 표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값으로 된다. 한편, 편광 플레이트(30)는 일반적인 필름에 상당하는 특성을 가진다. 복수층 구조체(1)에 있어 광학 디스플레이(10)와 편광 플레이트(30)의 W와 ΔT는 같으므로, Eαd의 값이 보다 큰 광학 디스플레이(10)의 인장력(F)이 편광 플레이트(30)의 인장력(F)에 비해 큼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복수층 구조체(1)가 고온 환경(예를 들어, 85℃)에 놓여진 경우에 유리층(50)의 크랙이 확대되는 주요 원인은, 열 팽창에 의해 광학 디스플레이(10)에 발생하는 인장력(F)이라고 추정된다.그리하여, 발명자들은, 유리층(50)의 크랙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접합층(20)을 박형화 및 고탄성화함으로써 유리층(50)이 광학 디스플레이(10)의 열 팽창에 추종하기 어렵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복수층 구조체 샘플은,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며 세로 150mm×가로 210mm로 하였다. 또한, 광학 디스플레이(10) 대신에, 광학 디스플레이(10)를 상정한 두께 400㎛의 판유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편광 플레이트(30)의 두께를 85㎛, 접착제층(40)의 두께를 1.5㎛, 유리층(50)의 두께를 100㎛로 하였다. 또한, 광학 디스플레이(10)를 상정한 판유리의 탄성율을 70GPa, 편광 플레이트(30)의 탄성율을 3GPa, 접착제층(40)의 탄성율을 7GPa, 유리층(50)의 탄성율을 70GPa로 하였다.
그리고, 접합층(20)의 두께 및 탄성율 값을 변경한 복수 개의 복수층 구조체 샘플을 제작하고서, 미리 유리층(50)에 대해, 평면시(平面視)로 보았을 때에 길이가 약 15mm이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크랙을 형성해 두었다. 그리고, 복수층 구조체 샘플을 85℃ 환경에서 15분 동안 보관한 후, 평면시로 보았을 때의 크랙 확대율을 측정하였다. 한편, 평면시라 함은 유리층(50) 상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크랙 확대율이라 함은 확대된 크랙의 갯수/형성된 크랙의 갯수이다. 예를 들어, 100개의 크랙을 형성하여 19개의 크랙이 확대된 경우에는 크랙 확대율은 19%이다. 크랙 확대율이 10% 이하이면, 복수층 구조체(1)를 표시 장치 등에 사용한 경우에 실용상의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므로, 크랙 확대율이 10% 이하이면 합격으로 하였다.
한편, 탄성율은 나노인덴터(Hysitron Inc.社 제조의 TriboIndenter)를 이용하여 나노 인덴테이션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사용 압자로는 Conical(구형(球形) 압자: 곡률 반경 10㎛)을 사용하며, 실온 및 85℃에서의 단일 인덴테이션법에 의해 인덴테이션 깊이가 약 2㎛인 측정 조건에서 탄성율을 측정하였다.
접합층 두께[㎛] 접합층 탄성율[104Pa] 크랙 확대율[%]
1 700,000 0
20 446 6
20 48 10
30 35 50
40 48 19
50 11.9 100
60 48 33
크랙 확대율의 측정 결과를 표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2 및 도 3에서의 탄성율은 나노 인덴테이션법에 의해 측정한 것이며 85℃에서의 탄성율이다. 한편, 표 2에서 두께 1㎛의 접합층(2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한 것이며 그 밖의 두께를 갖는 접합층(20)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 결과, 두께 1㎛의 접합층(20)의 탄성율은 다른 두께의 접합층(20)의 탄성율보다 많이 큰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원의 직경이 클수록 크랙 확대율이 큼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3에서 두께 1㎛의 접합층(20)의 탄성율은 다른 두께의 탄성율보다 많이 큰 값이므로 편의상 그래프 바깥에 나타내었다.표 2 및 도 3에 나타낸 결과에 있어, 도 3의 경사진 직선보다 화살표 쪽이면 크랙 확대율이 10% 이하이어서 그 복수층 구조체는 실용상 사용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접합층(20)의 두께를 x[㎛], 접합층(20)의 탄성율을 y[104Pa]라 하면, y≥(299/60)x-296/3을 충족시킴으로써 유리층(50)의 크랙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접합층(20)의 탄성율은, 예를 들어, 모노머의 조성(분자량, 가교 밀도, 유리 전이 온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접합층(20)으로서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20㎛ 이상 50㎛ 이하, 탄성율이 500×104Pa 이하인 범위이면 비교적 조정하기 용이하며, 탄성율이 60×104Pa 이하인 범위이면 더 조정하기 용이하다. 또한, 접합층(20)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를 0.1㎛ 이상 5㎛ 이하, 탄성율을 1GPa 이상의 범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발명자들은 면밀히 검토를 거듭한 결과, 편광 플레이트(30)의 치수 변화율이 소정 % 이하이면, 유리층(50)에 크랙이 생긴 경우에도 크랙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편광 플레이트(30)의 치수 변화율을 억제하려면, 예를 들어, 편광 플레이트(30) 단체(單體)를 소정 조건에서 어닐링(annealing)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실시형태 등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형태 등에 여러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
본 국제출원은, 2021년 8월 3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21-141383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출원 2021-141383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 복수층 구조체
10 광학 디스플레이
10a 상면
20 접합층
30 편광 플레이트
40 접착제층
50 유리층
301 편광자
302 제1 보호 필름
303 제2 보호 필름

Claims (5)

  1. 편광 플레이트와,
    접착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의 한쪽에 적층된 유리층과,
    접합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의 다른 한쪽에 적층된 광학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층의 두께는 10㎛ 이상 300㎛ 이하이고,
    상기 접합층의 두께 x와 상기 접합층의 85℃에서의 탄성율 y는 y≥(299/60)x-296/3을 충족하는 것인 복수층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은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합층의 두께는 50㎛ 이하인 복수층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의 탄성율은 500×104Pa 이하인 복수층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은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합층의 두께는 5㎛ 이하인 복수층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은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합층의 탄성율은 1GPa 이상인 복수층 구조체.
KR1020247006373A 2021-08-31 2022-08-24 복수층 구조체 KR202400574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41383 2021-08-31
JP2021141383 2021-08-31
PCT/JP2022/031857 WO2023032783A1 (ja) 2021-08-31 2022-08-24 複層構造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406A true KR20240057406A (ko) 2024-05-02

Family

ID=8541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373A KR20240057406A (ko) 2021-08-31 2022-08-24 복수층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3032783A1 (ko)
KR (1) KR20240057406A (ko)
CN (1) CN117897752A (ko)
TW (1) TW202317680A (ko)
WO (1) WO202303278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938A (ko) 2018-01-17 2019-07-2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미세조류를 이용한 고농도 불포화 지방산 오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116A (ja) * 2005-08-01 2007-02-15 Fujifilm Corp 画像表示装置
JP2014206702A (ja) * 2013-04-16 2014-10-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7403209B2 (ja) * 2016-07-28 2023-12-2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CN116030719A (zh) 2017-10-30 2023-04-28 日东电工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用层叠体
JP6732089B2 (ja) * 2018-12-27 2020-07-29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2376554B1 (ko) * 2019-04-08 2022-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7198946B2 (ja) * 2019-12-05 2023-0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画像表示装置、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及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7457283B2 (ja) 2020-03-03 2024-03-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を表示するための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938A (ko) 2018-01-17 2019-07-2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미세조류를 이용한 고농도 불포화 지방산 오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032783A1 (ko) 2023-03-09
WO2023032783A1 (ja) 2023-03-09
TW202317680A (zh) 2023-05-01
CN117897752A (zh)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8274B2 (en) Optical laminate having thin glass, polarizer, and protective film with specified modulus of elasticity
US20210107252A1 (en) Optical laminate roll
KR20240057406A (ko) 복수층 구조체
WO2022113652A1 (ja) 複層構造体
WO2021095516A1 (ja) 光学フィルムセット、液晶パネル
WO2021060107A1 (ja) 光学フィルム
EP3785901A1 (en) (glass film)-resin complex
EP4245523A1 (en) Layered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0203124A1 (ja) ガラス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TWI736968B (zh) 光學薄膜組及光學積層體
WO2023054282A1 (ja) 複層構造体
WO2022030239A1 (ja) 複層構造体
WO2020179376A1 (ja) センサー装置
JP2024051583A (ja) 複層構造体
TW202226608A (zh) 多層結構體及其製造方法
TW202138183A (zh) 複數層構造體
JP2024051582A (ja) 複層構造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