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214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214A
KR20240057214A KR1020220137686A KR20220137686A KR20240057214A KR 20240057214 A KR20240057214 A KR 20240057214A KR 1020220137686 A KR1020220137686 A KR 1020220137686A KR 20220137686 A KR20220137686 A KR 20220137686A KR 20240057214 A KR20240057214 A KR 20240057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ball rolling
axis direction
carrier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7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214A/ko
Priority to US18/129,236 priority patent/US20240134249A1/en
Priority to CN202321658272.1U priority patent/CN220121068U/zh
Priority to CN202310771958.XA priority patent/CN117930453A/zh
Publication of KR20240057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캐리어;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1 볼구름부 및 제2 볼구름부;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볼구름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단차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차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일측 상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단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AF), 손떨림 보정 기능(OIS) 및 줌 기능(Zoom) 등이 부가되고 있다.
자동 초점 조정을 위해 렌즈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렌즈모듈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볼 부재가 사용될 수 있고, 이때 복수의 볼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구름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에는 복수의 볼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에 형성되는 돌기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성형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자동 초점 기능(AF)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동 초점 조정 성능의 안정화 및 제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캐리어;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1 볼구름부 및 제2 볼구름부; 상기 캐리어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볼구름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단차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차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일측 상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단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수용되고,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상기 캐리어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볼구름부 및 제2 볼구름부;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볼구름부에 포함된 볼의 개수보다 상기 제1 볼구름부에 포함된 볼의 개수가 더 적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볼구름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단차부와, 상기 제2 볼구름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볼구름부와 마주보는 상기 단차부의 일면은 상기 제2 볼구름부와 마주보는 상기 홈부의 일면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자동 초점 조정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제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렌즈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렌즈 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및 제3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마그네트, 제2 마그네트 및 제3 마그네트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I-I'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1의 Ⅱ-Ⅱ'의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1의 Ⅲ-Ⅲ'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하우징과 볼구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광축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케이스(100), 렌즈 모듈(200), 가이드부재(300), 캐리어(400), 하우징(600) 및 볼구름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광축 방향(Z)을 기준으로, 광이 입사하는 방향을 상부로 표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렌즈 모듈(200)은 렌즈 배럴(210), 렌즈 배럴(210)과 결합하는 홀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21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배럴(210)은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210)에 장착될 수 있다.
홀더(220)는 렌즈 배럴(210)과 결합할 수 있다. 렌즈 배럴(210)은 홀더(220)와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300)는 홀더(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렌즈 모듈(210)과 함께 광축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캐리어(400)는 렌즈 모듈(200)과 가이드부재(300)를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캐리어(400)에 수용된 렌즈 모듈(200)과 가이드부재(300)는 광축 방향(Z)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캐리어(400)는 볼구름부(7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410)을 포함할 수 있다.
볼구름부(700)는 하우징(600) 내에 수용되며, 렌즈 모듈(200)이 광축 방향(Z)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볼구름부(700)는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는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는 광축 방향(Z)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는 하우징(600), 또는 캐리어(400)의 대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볼구름부(710)에 포함된 볼 개수와 제2 볼구름부(720)에 포함된 볼 개수가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볼구름부(710)에 포함된 볼 개수가 제2 볼구름부(720)에 포함된 볼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하우징(600)은 캐리어(400)와 볼구름부(700)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600)은 일측 상단의 높이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600)의 광축 방향(Z) 높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우징(600)에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통홀에는 복수의 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코일은 기판(800)에 배치되고, 기판(800)은 하우징(600)과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하우징(600)의 외부면을 감싸면서 하우징(600)과 결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렌즈 배럴(210)이 수용되도록 중공홀을 포함할 수 있고, 단차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단차부(110)는 케이스(10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단차부(110)는 케이스(100)에서 볼구름부(700)와 광축 방향(Z)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스(100)에서 단차부(110)는 제1 볼구름부(710)와 광축 방향(Z)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케이스(100)의 모서리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차부(110)는 케이스(100)의 모서리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홈부(12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100)에서 홈부(120)는 제2 볼구름부(720)와 광축 방향(Z)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는 이격 배치될 수 있으므로, 단차부(110)와 홈부(120)도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상부면은 광축 방향(Z)의 높이가 다른 단차부(110)와 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10)의 일면과 홈부(120)의 일면은 케이스(100)에서 각각 케이스(100)의 상부면보다 광축 방향(Z)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100)의 상부면은 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차부(110)는 케이스(100) 상부면의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100)의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홈부(120)는 케이스(100) 상부면의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케이스(100)의 모서리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홈부(120)와 단차부(110)는 케이스(100)에서 대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홈부(120)와 단차부(110)는 폭과 높이를 달리하여 케이스(10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단차부(110)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홈부(120)는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차부(110)의 단면적은 홈부(12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차부(110)의 일면은 상기 홈부(120)의 일면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단차부(110)의 바닥면은 상기 홈부(120)의 바닥면보다 광축 방향(Z)으로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렌즈 모듈과 가이드부재 및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렌즈 모듈과 가이드부재 및 캐리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은 렌즈 배럴(210), 홀더(220), 가이드부재(300), 캐리어(400) 및 복수의 볼 부재(B1, B2)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400)는 홀더(220)와 렌즈 배럴(210)을 수용할 수 있으며, 렌즈 모듈(200)을 광축 방향(Z)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을 광축 방향(Z)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캐리어(400)에는 제1 구동부(510)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구동부(510)는 제1 마그네트(511)와 제1 코일(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1)는 캐리어(4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캐리어(400)에는 볼구름부(7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410)이 구비될 수 있고, 제1 마그네트(511)는 가이드홈(410)이 구비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511)는 가이드홈(4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제1 마그네트(511)들은 각각 캐리어(4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511)들은 캐리어(400)의 측면 중 제2 방향(Y)으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대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513)은 제1 마그네트(5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600)에는 제1 코일(513)이 배치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고, 제1 코일(513)은 관통홀에 배치되어 제1 마그네트(511)와 제2 방향(Y)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513)은 하우징(600)에 결합되는 기판(800)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구동부(520)는 제2 마그네트(521)와 제2 코일(5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521)는 홀더(22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마그네트(521)는 홀더(2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523)은 제2 마그네트(5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600)에는 제2 코일(523)이 배치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고, 제2 코일(523)은 관통홀에 배치되어 제2 마그네트(521)와 제1 방향(X)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구동부(530)는 제3 마그네트(531)와 제3 코일(5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마그네트(531)는 가이드부재(30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마그네트(531)는 가이드부재(3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코일(533)은 제3 마그네트(5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600)에는 제3 코일(533)이 배치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고, 제3 코일(533)은 관통홀에 배치되어 제3 마그네트(531)와 제1 방향(X)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홀더(220), 가이드부재(300) 및 캐리어(400)가 광축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홀더(220)와 가이드부재(300) 사이에는 제1 볼부재(B1)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220) 하면에는 제1 구름홈(S1)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재(300) 상면에도 홀더(220)의 제1 구름홈(S1)에 대응하여 제1 구름홈(S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볼부재(B1)는 제1 구름홈(S1)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름홈(S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제1 방향(X)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 부재(B1)는 제1 방향(X)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다. 즉, 홀더(220)는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홀더(220)와 결합된 렌즈 배럴(210)도 같이 제1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이드부재(300)와 캐리어(400) 사이에는 제2 볼 부재(B2)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300)의 하면에는 제2 구름홈(S2)이 형성될 수 있고, 캐리어(400)에는 가이드부재(300)의 제2 구름홈(S2)에 대응하여 제2 구름홈(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볼부재(B2)는 제2 구름홈(S2)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름홈(S2)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제2 방향(Y)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볼 부재(B2)는 제2 방향(Y)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300)는 제2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렌즈 모듈(200)과 가이드부재(3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므로, 렌즈 모듈(200)도 같이 제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300)의 상부와 하부에는 서로 수직한 제1 구름홈(S1)과 제2 구름홈(S2)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가이드부재(300)의 상부에서 제1 구름홈(S1)을 따라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고, 가이드부재(300)가 캐리어(400)의 상부에서 제2 구름홈(S2)을 따라 제2 방향(Y)으로 이동함에 따라 렌즈 모듈(200)은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렌즈 모듈(200)은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카메라 모듈(1)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은 제1 요크 부재(550)와 제2 요크 부재(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크 부재(550)는 제1 코일(513)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511), 제1 코일(513) 및 제1 요크 부재(550)가 순차적으로 제2 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요크 부재(550)와 제1 마그네트(511)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고, 제1 코일(513)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요크 부재(560)는 캐리어(400)의 사이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요크 부재(560)는 캐리어(400)의 제1 방향(X) 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 요크 부재(560)는 캐리어(400)에 배치되어 렌즈 모듈(200), 가이드부재(300) 및 캐리어(400)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렌즈 모듈(200)과 캐리어(400) 사이에는 연결마그네트(54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400)에는 렌즈 모듈(200) 및 가이드부재(300)가 수용될 수 있고, 연결마그네트(310)는 렌즈 모듈(200), 가이드부재(300) 및 캐리어(4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연결마그네트(310)는 홀더(220)와 캐리어(400) 사이에 배치되어, 홀더(220)와 캐리어(40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및 제3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제1 마그네트, 제2 마그네트 및 제3 마그네트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마그네트(511)는 제1 극성(511a), 중립영역(511b) 및 제2 극성(511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511)는 제1 코일(513)과 마주보는 면이 광축 방향(Z)을 따라 제1 극성(511a), 중립영역(511b) 그리고 제2 극성(511c)을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521)는 제1 극성(521a), 중립영역(521b), 제2 극성(521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마그네트(521)는 제2 코일(523)과 마주보는 면이 제2 방향(Y)을 따라 제1 극성(521a), 중립영역(521b) 그리고 제2 극성(521c)을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제3 마그네트(531)는 복수의 제1 극성(531a), 복수의 중립영역(531b) 및 복수의 제2 극성(531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마그네트(531)는 제3 코일(533)과 마주보는 면이 제2 방향(Y)을 따라, 제1 극성(531a), 중립영역(531b), 제2 극성(531c), 중립영역(531b), 제1 극성(531a), 중립영역(531b) 그리고 제2 극성(531c)을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렌즈 모듈(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 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모듈(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위치감지센서(515), 제2 위치감지센서(525) 및 제3 위치감지센서(535)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위치감지센서(515)는 하우징(600)의 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코일(51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감지센서(515)는 제1 마그네트(51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위치감지센서(515)는 제1 마그네트의 중립영역(511b)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감지센서(525)는 하우징(600)의 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코일(52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감지센서(525)는 제2 마그네트(52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위치감지센서(525)는 제2 마그네트의 제1 극성(521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위치감지센서(535)는 하우징(600)의 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코일(53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코일(533)은 복수 개 제공될 수 있고, 제3 위치감지센서(535)는 복수의 제3 코일(53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위치감지센서(535)는 제3 마그네트(53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위치감지센서(535)는 제3 마그네트의 중립영역(531b)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a는 도 1의 I-I'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1의 Ⅱ-Ⅱ'의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1의 Ⅲ-Ⅲ'의 단면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렌즈 모듈(200), 하우징(600), 케이스(100) 및 볼구름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400)는 렌즈 배럴(210), 홀더(220) 및 가이드부재(300)를 수용할 수 있다. 캐리어(400)는 광축 방향(Z)으로 렌즈 배럴(210), 홀더(220) 및 가이드부재(300)를 수용할 수 있고, 광축 방향(Z)으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구름부(700)는 캐리어(400)와 접하며, 렌즈 모듈(200)이 광축 방향(Z)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볼구름부(700)는 하우징(600)과 캐리어(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캐리어(400)는 볼구름부(700)를 따라 광축 방향(Z)으로 구름이동 가능할 수 있다.
캐리어(400)는 볼구름부(700)를 따라 광축 방향(Z)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400)의 광축 방향 위치(H2)는 변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캐리어(400)가 광축 방향(Z)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놓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즉, 캐리어(400)의 광축 방향 위치(H2)는 도 8a에 도시된 경우보다 높거나 같을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0)에는 단차부(110)가 구비될 수 있고, 단차부(110)와 광축 방향(Z)으로 마주보는 하우징(600)의 일측 상단은 광축 방향 높이(H1)가 주변부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캐리어(400)의 광축 방향 위치(H2)는 도 8a에 도시된 경우에 가장 낮게 형성되므로, 캐리어(400)의 광축 방향 위치(H2)가 변하더라도 캐리어(400)의 광축 방향 위치(H2)는 하우징(600) 일측 상단의 광축 방향 위치(H1)보다 크도록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단차부(110)와 광축 방향(Z)으로 마주보는 하우징(600) 일측 상단은 캐리어(400)의 상단보다 광축 방향(Z)으로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볼구름부(700)에서 광축 방향(Z)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단차부(110)와 홈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볼구름부(710)에서 광축 방향(Z)으로 연장된 위치에 단차부(110)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볼구름부(720)에서 광축 방향(Z)으로 연장된 위치에 홈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볼구름부(710)에 포함된 볼의 개수가 제2 볼구름부(720)에 포함된 볼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고, 단차부(110)의 바닥면이 홈부(120)의 바닥면보다 광축 방향으로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볼구름부(700)는 캐리어(400)와 하우징(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400)는 렌즈 모듈(200)을 수용하며 광축 방향(Z)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캐리어(400)는 광축 방향(Z)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캐리어(400)의 광축 방향(Z) 위치는 렌즈 배럴(210)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 때, 캐리어(400)는 케이스(100)로 인해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고, 캐리어(400)의 상단은 단차부(110)와 광축 방향(Z)으로 마주보는 하우징(600) 일측 상단보다 광축 방향(Z)으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하우징과 볼구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광축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는 하우징(600)의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는 하우징(600)에 대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볼구름부(710)에 인접한 하우징(600)에서, 하우징(600) 일측 상단의 광축 방향(Z) 높이는 인접한 하우징(600)의 광축 방향(Z)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600)의 측면에는 각각 관통홀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에는 제1 코일(513), 제2 코일(523) 및 제3 코일(53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에는 제1 위치감지센서(515), 제2 위치감지센서(525) 및 제3 위치감지센서(535)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일에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회로소자(Driver IC)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600)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는 각각 하우징(600)의 코너부에 대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캐리어(400)의 가이드홈(410)과 하우징(600) 사이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하우징(60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1 볼구름부(710)와 제2 볼구름부(7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모듈(200)의 중심(예컨대, 광축)은 제1 볼구름부(710)의 양끝단과 제2 볼구름부(720)의 양끝단을 서로 연결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므로,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할 것이다.
1: 카메라 모듈
100: 케이스
110: 단차부
120: 홈부
200: 렌즈 모듈
220: 홀더
300: 가이드부재
400: 캐리어
510: 제1 구동부
520: 제2 구동부
530: 제3 구동부
600: 하우징
710: 제1 볼구름부
720: 제2 볼구름부

Claims (16)

  1.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캐리어;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1 볼구름부 및 제2 볼구름부;
    상기 캐리어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볼구름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단차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차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일측 상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단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구름부에 포함된 볼의 개수와 제2 볼구름부에 포함된 볼의 개수가 다른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1 볼구름부와 상기 제2 볼구름부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수용되며, 상기 렌즈 모듈과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부재;
    상기 홀더와 마주보며, 상기 렌즈 모듈이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
    상기 가이드부재와 마주보며, 상기 렌즈 모듈이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가이드부재는, 각각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 구름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캐리어는, 각각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 구름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제2 마그네트와 제2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구동부는 제3 마그네트와 제3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제3 마그네트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결합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1 볼구름부와 상기 제2 볼구름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제1 마그네트와 제1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캐리어에서 상기 가이드홈이 배치되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수용되고,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상기 캐리어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볼구름부 및 제2 볼구름부;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볼구름부에 포함된 볼의 개수보다 상기 제1 볼구름부에 포함된 볼의 개수가 더 적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볼구름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단차부와, 상기 제2 볼구름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볼구름부와 마주보는 상기 단차부의 일면은 상기 제2 볼구름부와 마주보는 상기 홈부의 일면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단면적은 상기 홈부의 단면적보다 큰 카메라 모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일면과 상기 홈부의 일면은 각각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220137686A 2022-10-23 2022-10-24 카메라 모듈 KR20240057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686A KR20240057214A (ko) 2022-10-24 2022-10-24 카메라 모듈
US18/129,236 US20240134249A1 (en) 2022-10-23 2023-03-30 Camera module
CN202321658272.1U CN220121068U (zh) 2022-10-24 2023-06-28 相机模块
CN202310771958.XA CN117930453A (zh) 2022-10-24 2023-06-28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686A KR20240057214A (ko) 2022-10-24 2022-10-2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214A true KR20240057214A (ko) 2024-05-02

Family

ID=8891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686A KR20240057214A (ko) 2022-10-23 2022-10-2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34249A1 (ko)
KR (1) KR20240057214A (ko)
CN (2) CN220121068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20121068U (zh) 2023-12-01
US20240134249A1 (en) 2024-04-25
CN117930453A (zh)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386B1 (ko) 줌렌즈용 구동장치
KR102497828B1 (ko) 카메라 모듈
US11635630B2 (en) Camera lens module
KR20180116965A (ko) 카메라 모듈 엑추에이터
KR20160121298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653762B1 (ko) 볼 거리 유지부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KR101668720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491569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71892A (ko) 렌즈구동모터
KR101666087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584980B1 (ko) 카메라 모듈
US10101558B2 (en) Lens driving device
KR101694881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20240057214A (ko) 카메라 모듈
KR20230152557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05083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385206B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중간 가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JP615804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撮像レンズの位置決め方法
KR101691161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597173B1 (ko)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16966B1 (ko) Ois 카메라 모듈
KR102597174B1 (ko)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97171B1 (ko)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60194B1 (ko) Ois 카메라 모듈
KR102597177B1 (ko)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