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005A -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005A
KR20240057005A KR1020220137208A KR20220137208A KR20240057005A KR 20240057005 A KR20240057005 A KR 20240057005A KR 1020220137208 A KR1020220137208 A KR 1020220137208A KR 20220137208 A KR20220137208 A KR 20220137208A KR 20240057005 A KR20240057005 A KR 20240057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lothes dryer
plate
clamp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풍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풍산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풍산기
Priority to KR102022013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005A/ko
Publication of KR2024005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0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과정에서 의류건조기(또는 세탁건조기)에 결합되어 있는 레그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사방에 서포터로 지지되는 4개의 클램프고정판과; 상기 각 클램프고정판에 고정 설치되어 의류건조기의 하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으로 결합된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하부승강대판과; 상기 하부승강대판에 지지대로 지지되도록 결합된 상부승강대판과; 상기 상부승강대판의 전방 좌우에 설치되어 의류건조기의 전방 좌우측 레그를 클램핑 분리하는 전방 레그분리구 및 상부승강대판의 후방 좌우에 설치되어 의류건조기의 후방 좌우측 레그를 클램핑 분리하는 후방 레그분리구와; 상기 전방 레그분리구와 후방 레그분리구에서 분리된 레그를 유도 배출하는 레그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Leg Separation Device of 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과정에서 의류건조기(또는 세탁건조기)에 결합되어 있는 레그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의류건조기(세탁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해서 건조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기기로서, 수분을 흡수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습공기의 처리방식에 따라 크게 배기식 의류건조기와 응축식 의류건조기로 분류된다.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와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캐비넷과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캐비넷과 뒷면을 이루는 백커버와 프론트 캐비넷과 사이드 캐비넷과 백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커버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건조대상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상기 프론트 캐비넷의 직후방에 설치되어 그 드럼의 전방을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의류건조기는 다양한 구성의 제품들이 개발 출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983737호(2010.09.24.)의 의류건조기,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A)10-2021-0028486호(2021.03.12.)의 의류건조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21-0157273호(2021.12.28.)의 의류건조기 등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들 의류건조기(세탁건조기)의 경우 단독 또는 세탁기에 적층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의류건조기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의류건조기의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레그가 반드시 필요하나, 세탁기에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 레그를 제거하여 사용해야 하나, 의류건조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는 단독생산라인을 이용하여 생산하므로 레그를 결합한 상태로 생산하게 된다.
한편 세탁기에 올려 사용하는 경우에는 레그를 분리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제조라인에서 수작업으로 레그를 분리하거나 또는 설치현장에서 수작업으로 레그를 분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작업으로 레그를 분리하는 경우 분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분리하는 과정에서 의류건조기의 외관이 손상될 염려가 있어 제조과정에서 기계적으로 레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가 요구되어 있다.
KR 100983737 B1 2010.09.24. KR 1020210028486 A 2021.03.12. KR 1020210157273 A 2021.12.28.
이에 본 발명자는 의류건조기를 세탁기와 적층 사용코자 하는 경우 의류건조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미 결합되어 있는 레그를 분리해야 작업을 행하는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작업성 저하와 함께 완성된 의류건조기의 외관 손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바, 이를 개선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완성된 의류건조기가 올려지면 의류건조기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4개의 레그를 동시에 클램핑한 상태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의류건조기의 외관 손상 등의 염려 없이 신속하게 4개의 레그를 동시에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베이스플레이트의 사방에 서포터로 지지되는 4개의 클램프고정판과; 상기 각 클램프고정판에 고정 설치되어 의류건조기의 하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으로 결합된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하부승강대판과; 상기 하부승강대판에 지지대로 지지되도록 결합된 상부승강대판과; 상기 상부승강대판의 전방 좌우에 설치되어 의류건조기의 전방 좌우측 레그를 클램핑 분리하는 전방 레그분리구 및 상부승강대판의 후방 좌우에 설치되어 의류건조기의 후방 좌우측 레그를 클램핑 분리하는 후방 레그분리구와; 상기 전방 레그분리구와 후방 레그분리구에서 분리된 레그를 유도 배출하는 레그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와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는, 상부승강대판 위에 배치되는 분리구지지대와; 상기 분리구지지대에 구비된 축지부 및 축지부에 축결합되며, 회전실린더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하단이 결합되는 핑거작동용 실린더와; 상기 핑거작동용 실린더에 의해 레그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는, 상부승강대판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이동수단에 의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부승강대판의 하측에 설치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블록이 결합된 너트고정판과; 상기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측 나사축과; 상기 좌우측 나사축을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너트고정판에 고정된 상태로 좌우측 나사축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으로 상부승강대판에 형성된 제1작동공을 통해서 분리구지지대에 고정한 좌우이동용 너트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는, 상부승강대판에 형성된 제2작동공의 하측에 배치되는 전후이동대판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이동수단에 의해 가변되며; 상기 전후이동대판은 하부승강대판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이동수단에 의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전후이동대판의 하측에 설치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블록이 결합된 너트고정판과; 상기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측 나사축과; 상기 좌우측 나사축을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전후이동대판에 고정된 모터설치판과; 상기 너트고정판에 고정된 상태로 좌우측 나사축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으로 전후이동대판에 형성된 제3작동공을 통해서 분리구지지대에 고정한 좌우이동용 너트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후이동수단은, 하부승강대판의 상측에 설치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모터설치판에 고정된 블록과; 상기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을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모터설치판에 고정된 상태로 나사축에 나사 결합한 전후이동용 너트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레그배출수단은,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와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부승강대판에 설치한 경사배출슈트와; 상기 상부승강대판과 하부승강대판의 측방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한 수직배출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를 사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완성된 의류건조기의 제조라인 말미에 설치하여 의류건조기에서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레그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와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의 이동을 통해서 다양한 규격의 의류건조기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계적으로 레그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어 의류건조기의 외형 손상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으면서도 제거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의류건조기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레그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의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의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
도 13은 도 10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의류건조기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레그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레그(110)를 분리하는 의류건조기(100)의 경우 주로 세탁기에서 세탁된 세탁물을 투입하여 건조하는 것으로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세탁기와 듀얼타입으로 사용하게 된다.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의류건조기(100)의 하부에 레그(110)를 결합한 상태에서 포장 출고하게 되나, 세탁기와 듀얼타입으로 사용하는 경우 세탁기 상부에 의류건조기(100)를 적층하며, 이를 위해서는 의류건조기(100) 하부에 위치하는 레그(110)를 분리해야 한다.
레그(110)의 분리는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행할 수도 있으나, 이는 작업과정에서 의류건조기(100)의 외관이 손상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제조라인에서 미리 레그(110)를 분리하여 포장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라인에서 레그(110)를 미리 제거하기 위한 장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그 분리장치(1)는 하측으로 베이스플레이트(2)가 지지체(2a)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2)의 하측으로는 배출컨베이어(200)가 배치되고 배출컨베이어(200)의 바깥쪽에는 분리 배출되는 레그(110)가 수집되는 레그수집통(300)이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사방에 서포터(3)를 세우고 서포터(3) 상측에 클램프고정판(4)을 고정하며, 클램프고정판(4)에는 의류건조기(100)를 클램핑하는 클램프(5)를 설치한다.
상기 클램프(5)는, 클램프고정판(4)에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클램프용 레일(6)을 설치하고, 클램프용 레일(6) 사이에는 클램프고정판(4)에 지지되는 축지부(7)에 클램프용 나사축(8)을 결합하여 각각 클램프용 모터(9)에 의해 정회전과 역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클램프용 나사축(8)에는 의류건조기(100)의 전후면과 양쪽 측면을 가압 고정하는 클램핑부재(11)와 결합된 클램프용 너트부재(10)를 결합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측에는 승강실린더(12)가 배치되며, 승강실린더(12)의 상측으로는 하부승강대판(13)을 결합하여 승강실린더(12)에 의해 승강되도록 한다. 이때 승강실린더(12)는 후술할 전방 레그분리구(20)와 후방 레그분리구(20')가 레그(110)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분리할 수 있는 높이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면 된다.
상기 하부승강대판(13)에는 복수의 지지대(14)를 수직방향으로 세우고 지지대(14)의 상단에는 상부승강대판(15)을 고정하여 하부승강대판(13)과 사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하부승강대판(13)과 함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승강대판(15)의 전방 좌우에는 의류건조기(100)의 전방 좌우측 레그(110)를 클램핑 분리하는 전방 레그분리구(20)가 설치되며, 상부승강대판(15)의 후방 좌우에는 의류건조기(100)의 후방 좌우측 레그(110)를 클램핑 분리하는 후방 레그분리구(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방 레그분리구(20)와 후방 레그분리구(20')에서 분리된 레그(110)는 하부승강대판(13)과 상부승강대판(15)의 측방에 설치한 레그배출수단(16)을 통해서 유도 배출되게 구성한다.
상기 전방 레그분리구(20)와 후방 레그분리구(20')는 상부승강대판(15) 위에 배치되는 분리구지지대(21)에 축지부(22)를 구비하고, 축지부(22)에는 회전축(24)을 축결합된 축지부(22)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실린더(23)에 의해 90도 각도로 회전하는 동작이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24)에는 핑거작동용 실린더(25)를 고정하며, 핑거작동용 실린더(25)에는 양측으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핑거부재(26)를 결합하여 레그(110)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좌우이동수단(30)에 의해 좌우 폭이 조절되며,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부(20)는 좌우이동수단(30)에 의한 좌우 폭 조절과 함께 전후이동수단(40)에 의한 전후 폭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규격의 의류건조기(100)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의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구지지대(21)에 구비된 축지부(7)에 회전실린더(23)와 결합된 회전축(24)을 결합하고, 회전축(24)과 결합된 핑거작동용 실린더(25)에 핑거부재(26)를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좌우이동수단(30)에 의해 좌우 폭이 조절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좌우이동수단(30)은, 상부승강대판(15)의 하면에 한 쌍의 레일(31)을 설치하고, 레일(31)에는 너트고정판(32)에 결합된 블록(33)을 결합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양측 레일(31) 사이에는 나사축(34)을 결합한다. 이때 후방 좌측 레그분리구(20')의 나사축(34)은 왼나사 후방 우측 레그분리구(20')는 오른나사를 결합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양측 나사축(34)은 연결축(35)으로 연결 구성되며, 연결축(35)에는 하부승강대판(13)에 설치되며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36)와 벨트등의 동력전달수단(37)으로 연결하여 나사축(3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나사축(34)에는 너트고정판(32)에 고정된 좌우이동용 너트부재(38)가 나사결합되며, 좌우이동용 너트부재(38)는 상부승강대판(15)에 형성된 제1작동공(15a)을 통해서 분리구지지대(21)와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를 통해서 의류건조기(100)의 후방 레그(110)를 클램핑할 수 있으며, 또한 의류건조기(100)의 크기에 따라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를 내향 또는 외향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의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 도 13은 도 10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구지지대(21)에 구비된 축지부(7)에 회전실린더(23)와 결합된 회전축(24)을 결합하고, 회전축(24)과 결합된 핑거작동용 실린더(25)에 핑거부재(26)를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좌우이동수단(30)에 의해 좌우 폭이 조절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전후이동수단(40)에 의해 전후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상부승강대판(15)에 형성된 제2작동공(15b)의 하측에 배치되는 전후이동대판(17)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이동수단(30)에 의해 가변되며, 상기 전후이동대판(17)은 하부승강대판(13)에서 설치되어 있는 전후이동수단(40)에 의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우이동수단(30)은, 전후이동대판(17)의 하측에 한 쌍의 레일(31)을 설치하고, 레일(31)에는 너트고정판(32)에 결합된 블록(33)을 결합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양측 레일(31) 사이에는 나사축(34)을 결합한다. 이때 전방 좌측 레그분리구(20)의 나사축(34)은 왼나사, 전방 우측 레그분리구(20)는 오른나사를 결합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양측 나사축(34)은 연결축(35)으로 연결 구성되며, 연결축(35)에는 상기 전후이동대판(17)에서 내려진 설치판고정대(17a)에 지지되는 모터설치판(18)에 설치되어 있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36)와 벨트등의 동력전달수단(37)으로 연결하여 나사축(3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나사축(34)에는 너트고정판(32)에 고정된 좌우이동용 너트부재(38)가 나사결합되며, 좌우이동용 너트부재(38)는 전후이동대판(17)에 형성된 제3작동공(17b)을 통해서 분리구지지대(21)와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수단(40)은, 하부승강대판(13)의 상측에 설치한 한 쌍의 레일(41)을 따라 이동하도록 모터설치판(18)에 블록(42)을 결합하고, 상기 양측 레일(41) 사이에는 나사축(43)을 배치하되, 나사축(43)은 하부승강대판(13)에 고정된 구동모터(44)와 벨트 등의 동력전달수단(45)으로 연결하여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나사축(43)에는 모터설치판(18)에 고정된 전후이동용 너트부재(46)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전후이동대판(17)과 함께 모터설치판(18)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를 통해서 의류건조기(100)의 전방 레그(110)를 클램핑할 수 있으며, 또한 의류건조기(100)의 크기에 따라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를 내향 또는 외향 이동시킴과 동시에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좌우이동수단(30)에 의해 좌우 폭이 조절되며,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부(20)는 좌우이동수단(30)에 의한 좌우 폭 조절과 함께 전후이동수단(40)에 의한 전후 폭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규격의 의류건조기(100)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그배출수단(16)은, 경사배출슈트(16a)와 수직배출슈트(16b)로 대분된다.
상기 경사배출슈트(16a)는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와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부승강대판(15)에 설치한 것으로, 레그분리구(20)(20') 쪽에서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6a-1)을 가지며, 경사면(16a-1)의 양측으로 이탈방지편(16a-2)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배출슈트(16b)는 경사배출슈트(16a)를 통해 배출되는 레그(110)를 베이스플레이트(2) 하측에 위치하는 배출컨베이어(200)로 유도 배출하는 것으로, 상부승강대판(15)과 하부승강대판(13)에 고정되며, 이들 쪽으로 개구된 ㄷ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1)를 사용코자 할 시에는 먼저 의류건조기(100) 제조라인에서 완성된 의류건조기(100)를 본 발명 레그 분리장치(1) 상부에 올린다.
상기와 같이 의류건조기(100)가 올려지면 좌우측 및 전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클램프(5)에 의헤 의류건조기(100)가 클램핑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미리 좌우이동수단(30) 및 전후이동수단(40)에 의해 이동되어 세팅된 전방 레그분리구(20)와 후방 레그분리구(20')가 레그(110) 쪽으로 상승하여 핑거작동용 실린더(25)에 의해 작동하는 핑거부재(26)에 의해 레그(110)가 클램핑되면 승강실린더(12)를 하강시켜 의류건조기(100)에서 4개의 레그(110)를 동시에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4개의 레그(110)가 동시에 분리되면 회전실린더(23)를 작동시킨 후 핑거작동용 실린더(25)를 역 구동시켜 클램핑을 해제하면 분리된 레그(110)가 레그배출수단(16)를 통해서 배출컨베이어(200)로 낙하되어 레그수집통(300)에 수집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 의류건조기(100)에서 레그(110)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고,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와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의 이동을 통해서 다양한 규격의 의류건조기(100)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계적으로 레그(11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어 의류건조기(100)의 외형 손상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2:베이스플레이트
3:서포터 4:클램프고정판
5:클램프 6:클램프용 레일
7:축지부 8:클램프용 나사축
9:클램프용 모터 10:클램프용 너트부재
11:클램핑부재 12:승강실린더
13:하부승강대판 14:지지대
15:상부승강대판 15a:제1작동공
15b:제2작동공 16:레그배출수단
16a:경사배출슈트 16a-1:경사면
16a-2:이탈방지편 16b:수직배출슈트
17:전후이동대판 17a:설치판고정대
17b:제3작동공 18:모터설치판
20: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 20':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
21:분리구지지대 22:축지부
23:회전실린더 24:회전축
25:핑거작동용 실린더 26:핑거부재
30:좌우이동수단 31,41:레일
32:너트고정판 33,42:블록
34,43:나사축 35:연결축
36,44:구동모터 37,45:동력전달수단
38:좌우이동용 너트부재 40:전후이동수단
46:전후이동용 너트부재
100:의류건조기 110:레그
200:배출컨베이어 300:레그수집통

Claims (5)

  1. 베이스플레이트(2)의 사방에 서포터(3)로 지지되는 4개의 클램프고정판(4)과;
    상기 각 클램프고정판(4)에 고정 설치되어 의류건조기(100)의 하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프(5)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측으로 결합된 승강실린더(12)에 의해 승강하는 하부승강대판(13)과;
    상기 하부승강대판(13)에 지지대(14)로 지지되도록 결합된 상부승강대판(15)과;
    상기 상부승강대판(15)의 전방 좌우에 설치되어 의류건조기(100)의 전방 좌우측 레그(110)를 클램핑 분리하는 전방 레그분리구(20) 및 상부승강대판(15)의 후방 좌우에 설치되어 의류건조기(100)의 후방 좌우측 레그(110)를 클램핑 분리하는 후방 레그분리구(20')와;
    상기 전방 레그분리구(20)와 후방 레그분리구(20')에서 분리된 레그(110)를 유도 배출하는 레그배출수단(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와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상부승강대판(15) 위에 배치되는 분리구지지대(21)와;
    상기 분리구지지대(21)에 구비된 축지부(7) 및 축지부(7)에 축결합되며, 회전실린더(2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4)과;
    상기 회전축(24)에 하단이 결합되는 핑거작동용 실린더(25)와;
    상기 핑거작동용 실린더(25)에 의해 레그(110)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상부승강대판(15)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이동수단(30)에 의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좌우이동수단(30)은, 상부승강대판(15)의 하측에 설치한 레일(31)을 따라 이동하는 블록(33)이 결합된 너트고정판(32)과,
    상기 레일(31)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측 나사축(34)과;
    상기 좌우측 나사축(34)을 연결하는 연결축(35)과;
    상기 연결축(35)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6)와;
    상기 너트고정판(32)에 고정된 상태로 좌우측 나사축(34)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으로 상부승강대판(15)에 형성된 제1작동공(15a)을 통해서 분리구지지대(21)에 고정한 좌우이동용 너트부재(38)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는, 상부승강대판(15)에 형성된 제2작동공(15b)의 하측에 배치되는 전후이동대판(17)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이동수단(30)에 의해 가변되며;
    상기 전후이동대판(17)은 하부승강대판(13)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이동수단(40)에 의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좌우이동수단(30)은, 전후이동대판(17)의 하측에 설치한 레일(31)을 따라 이동하는 블록이 결합된 너트고정판(32)과;
    상기 레일(31)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측 나사축(34)과;
    상기 좌우측 나사축(34)을 연결하는 연결축(35)과;
    상기 연결축(35)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6) 및 구동모터(36)가 설치되고 전후이동대판(17)에 고정된 모터설치판(18)과;
    상기 너트고정판(32)에 고정된 상태로 좌우측 나사축(34)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으로 전후이동대판(17)에 형성된 제3작동공(17a)을 통해서 분리구지지대(21)에 고정한 좌우이동용 너트부재(38)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후이동수단(40)은, 하부승강대판(13)의 상측에 설치한 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모터설치판(18)에 고정된 블록(42)과;
    상기 레일(41) 사이에 배치되는 나사축(43)과;
    상기 나사축(43)을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44)와;
    상기 모터설치판(18)에 고정된 상태로 나사축(43)에 나사 결합한 전후이동용 너트부재(46)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배출수단(16)은, 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와 후방 좌우측 레그분리구(2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부승강대판(15)에 설치한 경사배출슈트(16a)와;
    상기 상부승강대판(15)과 하부승강대판(13)의 측방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한 수직배출슈트(1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KR1020220137208A 2022-10-24 2022-10-24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KR20240057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208A KR20240057005A (ko) 2022-10-24 2022-10-24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208A KR20240057005A (ko) 2022-10-24 2022-10-24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005A true KR20240057005A (ko) 2024-05-02

Family

ID=9107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208A KR20240057005A (ko) 2022-10-24 2022-10-24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00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737B1 (ko) 2008-04-23 201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210028486A (ko) 2019-09-04 2021-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210157273A (ko)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737B1 (ko) 2008-04-23 201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210028486A (ko) 2019-09-04 2021-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210157273A (ko)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34527B1 (en) Crate dryer
CN207926392U (zh) 一种转子铆压机
CN101885189B (zh) 用于切割木板的机器
CN104070558A (zh) 全自动单只冲裁机械手
US9616539B2 (en) Machine tool
CN105216079B (zh) 一种地板芯板切槽机构
KR20240057005A (ko) 의류건조기의 레그 분리장치
KR101832208B1 (ko) 통나무 가공장치
CN109291188A (zh) 一种纤维原料加工设备
EP2098344B1 (en) Method and machine for machining wood components or the like
ITFI20110111A1 (it) "sistema di supporto e movimentazione di tavoli porta-pezzo per centri di lavoro o macchine utensili e centro di lavoro comprendente detto sistema" (caso b)
CN107813266A (zh) 一种便于除屑的机械零部件加工台
CN116237853A (zh) 一种劳保鞋鞋底处理机
CN110013078A (zh) 一种鞋子加工用中底板抓料机构
CN108745970A (zh) 一种pcb板加工装置
CN213889466U (zh) 一种金属板件打磨装置
CN213673265U (zh) 一种电器开关生产用具有限位防偏机构的毛边去除装置
CN209902867U (zh) 一种双工位磨边机
CN109789597A (zh) 具有加工空间的机床和方法
CN108100650B (zh) 一种自动化上料装置
CN107186484B (zh) 一种新材料圆边修整设备
KR101272428B1 (ko) 집진 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라우팅 장치
KR101196002B1 (ko) 면취용 철판 클램핑장치
KR100670839B1 (ko) 미역 줄거리 세절기
CN208051685U (zh) 用于夹持刀剑玩具的夹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