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350A - 자동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350A
KR20240056350A KR1020220136910A KR20220136910A KR20240056350A KR 20240056350 A KR20240056350 A KR 20240056350A KR 1020220136910 A KR1020220136910 A KR 1020220136910A KR 20220136910 A KR20220136910 A KR 20220136910A KR 20240056350 A KR20240056350 A KR 20240056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ducts
stacked
transfer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승규
정명준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220136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350A/ko
Publication of KR2024005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35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6Gates f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B65G2814/0307Adding to the top the loading platform being lowered during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된 낱개 제품을 연속하여 이송 공급하는 이송부와, 이송부로부터 공급된 낱개 제품을 설정 개수의 복수열에 맞춘 적재제품으로 적재하고 적재제품을 정렬시켜 공급하는 정렬부와, 정렬부에 의하여 정렬되어 공급된 적재제품을 다층으로 적층시키는 적층부와, 적층부에 의하여 다층으로 적층된 적재제품들을 배출 이송하는 배출부와, 이송부와, 정렬부와, 적층부와, 배출부를 각각 구동 제어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적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정렬된 상태로 적재제품이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적재 안정성과 이송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적재장치 {Automatic load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낱개 제품을 복수열 및 다층으로 자동 정렬 후 적재하여 안정성 및 이송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동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코타일은 PVC 계열의 바닥재로서, 나무, 대리석 등의 원하는 모양으로 다양하게 디자인을 표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재나 장판재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데코타일은 베이스층 위에 원하는 디자인을 인쇄한 인쇄층을 부착하고, 그 위를 코팅면으로 감싸서 보호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상태로 생산되며, 이렇게 생산된 데코타일은 이송장치를 통하여 낱장으로 이송되면서 여러 단으로 쌓아져 포장된다.
한편, 이렇게 제품이 포장되어 있는 제품은 물류 및 운송의 편의를 위하여 파레트에 다층으로 적재가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다층 적재 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작업자의 노동을 최소화하고 운반 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적재함으로써 적재상태의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적재장치는 일부 적재기능만 있을 뿐 제품을 적재할 시 가지런히 정렬시키지는 못하기 때문에 적재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불안한 적재는 이후 이송되는 과정에서도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성확보 및 원활한 이송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25631호
본 발명은, 정렬된 상태로 제품이 적재되도록 하여 적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성확보는 물론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장된 낱개 제품을 연속하여 이송 공급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낱개 제품을 설정 개수의 복수열에 맞춘 적재제품으로 적재하고 상기 적재제품을 정렬시켜 공급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에 의하여 정렬되어 공급된 상기 적재제품을 다층으로 적층시키는 적층부와; 상기 적층부에 의하여 다층으로 적층된 상기 적재제품들을 배출 이송하는 배출부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정렬부와, 상기 적층부와, 상기 배출부를 각각 구동 제어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적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포장부에 의하여 포장되어 이송된 상기 낱개 제품을 설정 적재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승강이송부와, 상기 승강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낱개 제품을 이송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이송부는, 상기 낱개 제품이 상면으로 공급되어 안착되는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낱개 제품을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시유닛과, 상기 작동제어부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승하강 시키는 이송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상면으로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낱개 제품들이 적재된 상기 적재제품이 안착되고, 상기 적층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재제품을 상기 적층부로 낙하시켜 상기 적재제품이 상기 적층부의 상면에 적층되게 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낱개 제품의 이송을 차단하여 연속 공급되는 상기 낱개 제품들이 밀려 설정 개수 열의 상기 적재제품으로 적재되게 하는 스토퍼부재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적재제품의 측면을 정렬시키는 정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부는, 파레트가 안착되며 상기 파레트의 상면으로 상기 적재제품들이 적층되는 승하강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파렛트의 상면으로 상기 적재제품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승하강플레이트를 하강시키고, 상기 적재제품들이 적층완료되면 하강되어 상기 배출부로 이송되게 하며, 상기 적제제품이 상기 배출부로 이송되면 상기 정렬부의 하부로 상승시키는 적층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작동부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절첩에 의하여 상기 승하강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링크와, 상기 승하강링크와 연결되어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승하강링크를 절첩시키는 이동로드와, 상기 이동로드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승하강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부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상기 파렛트에 적재된 상기 적재제품을 상기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동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컨베이어와 대응되는 수평선상의 상기 파렛트의 배출 방향에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파레트에 적재된 상기 적재제품을 이송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이동컨베이어와 대응되는 수평선상의 상기 파렛트의 배출 방향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컨베이어로 상기 파레트를 공급하는 파레트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적재장치는 이송된 낱개 제품들을 정렬부를 통해 다열로 적재된 적재제품으로 정렬하고, 이렇게 정렬된 상태의 적재제품을 낙하시켜 적층부에 의하여 적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과 달리 정렬된 상태로 적재제품이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적재 안정성과 이송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적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적재장치에서 정렬부와 적층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적재장치의 이송부에서 이동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적재장치에서 정렬부와 적층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적재장치에서 작동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적재장치는, 제품공급부(50)에 의하여 포장되어 공급된 낱개 제품(1)들을 복수열의 적재제품(20)으로 적재하고, 상기 적재제품(20)들을 다시 다층으로 자동으로 적층하는 장치로서, 제품들을 정렬하면서 적재 및 적층되도록 하여 적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품은 바닥재와 같이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여러개가 적층된 후 포장박스에 의하여 포장된 제품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제품은, 이러한 바닥재뿐만 아니라 다열다층으로 적재하는 제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적재장치는, 이송부(100)와, 정렬부(200)와, 적층부(300)와, 배출부(400)와, 작동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송부(100)는, 제품공급부(50)로부터 공급된 포장된 낱개 제품(1)을 상기 정렬부(200)로 연속하여 이송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의 자동 적재장치는, 제품을 다층으로 정렬하면서 적재하는 것으로서, 설정 적재높이까지 적층부(300)가 올라간 상태에서 낱개 제품(1)들을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상기 적층부(300)에 적층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이송부(100)는 낱개 제품(1)들을 상기 적층부(300)의 적재높이에 대응하여 제푸들을 설정 적재높이까지 이송시켜야 한다.
이에, 상기 이송부(100)는, 낱개 제품(1)들을 설정 적재높이로 상승시켜 이송할 수 있도록 승강이송부(110)와, 승강이송된 상기 낱개 제품(1)들을 연속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이송부(110)는, 이송된 상기 낱개 제품(1)을 설정 적재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이송컨베이어(120)로 이송하며, 이송플레이트(111)와, 푸시유닛(112)과, 이송작동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플레이트(11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면으로 이송 공급된 낱개 제품(1)들이 안착되고, 상기 이송작동부(113)에 의하여 승하강되어 하부에서 상기 제품공급부(50)로부터 낱개 제품(1)이 공급되어 안착되면 상승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120)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유닛(112)은, 상기 이송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낱개 제품(1)을 상기 이송컨베이어(12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상기 푸시유닛(112)은, 상기 이송플레이트(111)에 안착된 낱개 제품(1)이 이송되는 이송방향이 이송플레이트(111)의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이송플레이트(111)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플레이트(111)가 설정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이송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안착된 낱개 제품(1)을 밀어 이송컨베이어(120)로 옮겨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푸시유닛(112)은, 낱개 제품(1)을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낱개 제품(1)의 후면과 접촉하는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와 결합되고 작동제어부(500)로부터 작동제어되어 상기 푸시부재를 이송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푸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푸시유닛, 상기 작동제어부(500)로부터 수신된 작동신호에 의하여 상기 푸시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면 유압실린더와 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식 또는 LM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작동부(113)는, 상기 작동제어부(500)로부터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플레이트(111)를 적재높이까지 상승시키거나 상승 후 제품공급부(50)에서 낱개 제품(1)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이송플레이트(111)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작동부(113)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송플레이트(111)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적재높이와 공급높이 상에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작동제어부(500)에 의하여 양방향 회전하는 한 쌍의 스프로켓들과, 상기 스프로켓들에 감겨져 상기 스프로켓들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111)와 연결되어 상기 스프로켓들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 이동하여 상기 이송플레이트(111)를 승하강시키는 이송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20)는, 상기 승강이송부(110)가 상승하는 적재높이 상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작동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어 낱개 제품(1)들을 연속 공급하며, 상기 정렬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이송부(110)로부터 낱개 제품(1)들을 공급받아 상기 정렬부(2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이송부(100)는, 이송컨베이어(120)에 의하여 연속 이송되는 낱개 제품(1)들을 분리하여 설정 개수의 다열의 적재제품(20)으로 적재하고 분리된 적재제품(20)을 상기 정렬부(200)로 이송하여 낱개 제품(1)들이 서로 밀착정력되어 적재제품(20)이 되게 하는 이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130)는, 이동가이드(131)와, 유압실린더부(132)와, 이동부재(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회동되어 내려졌을 때 낱개 제품(1)을 분리한 후 후면을 지지하여 정렬부(200)로 밀어 적재 이송시킬 수 있으며, 다시 회동 복원하여 낱개 제품(1)이 연속 이송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부(132)는, 로드의 단부가 이동부재(133)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이동부재(133)의 양방향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재(133)를 회전 구동시키며, 이때 로드의 양방향 직선이동을 이동부재(133)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로드의 단부와 회전축과 연결되는 크랭크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131)는 상기 유압실린더부(132)와 이동부재(133)가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가이드(131)는 유압실린더부(132)와 연결되는 LM가이드를 적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정렬부(200)와 적층부(3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이송부(100)로부터 공급된 상기 낱개 제품(1)의 이송위치를 제한하여 설정 개수의 복수열에 맞춘 적재제품(20)으로 적재되게 하고, 상기 적재제품(20)을 정렬시켜 상기 적층부(3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렬부(200)는, 안착부(210)와, 스토퍼부재(220)와, 정렬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1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20)와 대응되는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상면으로 상기 이송컨베이어(120)로부터 이송된 상기 낱개 제품(1)들이 적재된 적재제품(20)이 안착되며, 상기 적층부(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안착된 상기 적재제품(20)을 하부의 상기 적층부(300)로 낙하시켜 상기 적재제품(20)이 상기 적층부(300)의 상면에 적층되게 한다.
세부적으로, 상기 안착부(2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면으로 안착된 상기 적재제품(20)을 안착 또는 낙하시키기 위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개폐에 따라 상기 적재제품(20)을 안착 또는 낙하시키는 개폐부재(211)들과, 상기 개폐부재(211)들을 작동시키는 안착구동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개폐부재(211)들은, 한 쌍으로 각각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면으로 적재제품(20)이 안착되며,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고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하부가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개폐부재(200)들은, 서로 모아지는 차폐 시에는 상면으로 상기 적재제품(20)이 안착되며, 서로 멀어지는 개방 시에는 상면에 안착된 적재제품(20)을 하부의 적층부(300)로 낙하시켜 상기 적층부(300)에 적재제품(20)이 적층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안착구동부(222)는, 한 쌍의 개폐부재(211)들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211)들을 서로 대칭되게 왕복 수평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착구동부(222)는, 작동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되는 LM가이드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스토퍼부재(220)는, 상기 안착부(210)의 상부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부(210)에 안착되는 낱개 제품(1)의 이송을 차단하여 연속 공급되는 낱개 제품(1)들이 밀려 설정 개수 열의 상기 적재제품(20)으로 적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220)는, 상기 낱개 제품(1)의 이송방향에 대한 전방에 위치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내측면에 상기 낱개 제품(1)의 전면이 접촉되어 낱개 제품(1)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정렬수단(230)은, 상기 안착부(210)에 상기 적재제품(20)이 안착되면 상기 적재제품(20)의 측면을 정렬시키는 역할을 하며, 정렬플레이트(231)와, 정렬구동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플레이트(231)는, 상기 적재제품(20)의 상하 양측면들에 각각 위치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내측면으로 상기 적재제품(20)의 양측면이 접촉되게 하여 상기 적재제품(20)들의 상하 양측면이 내측면을 따라 서로 일직선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정렬플레이트(231)는, 종방향에 대하여 ㄱ자형태로 절곡되어 적재제품(20)의 측면과 상면을 동시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구동부(232)는, 상기 정렬플레이트(231)와 결합되어 상기 작동제어부(500)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정렬플레이트(231)들이 적재제품(20)을 향하여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구동부(232)는, LM가이드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적층부(300)는, 상기 정렬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정렬부(200)에 의하여 정렬되어 낙하 공급되는 상기 적재제품(20)을 다층으로 적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적층부(300)는, 승하강플레이트(310)와, 적층작동부(320)와, 이동컨베이어(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면에 파레트(10)가 안착되고, 상기 정렬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파레트(10)의 상면으로 상기 적재제품(20)들이 낙하되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는, 상기 적재제품(20)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다층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강하고, 하강하여 상기 배출부(400)로 상기 적재제품(20)들이 이송되면 다시 원위치로 상승하여 상기 정렬부(2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의 상면에 파레트(10)가 미리 안착되어, 낙하하는 적재제품(20)이 파레트(10)의 상면으로 바로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배출부(400)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적층작동부(320)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제품(20)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를 하강시키고, 상기 적재제품(20)들이 적층완료되면 하강되어 상기 배출부(400)로 이송되게 하며, 상기 적제제품이 상기 배출부(400)로 이송되면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를 상기 정렬부(200)의 하부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적층작동부(320)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를 승하강시킬 수 있으며, 적재제품(2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구조로 절첩에 의하여 상부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링크(321)와, 상기 승하강링크(321)를 절첩시키는 승하강작동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승하강링크(321)는, x자 형태로 교차되게 연결되어, 절첩에 따라 상단부 높이가 승하강되는 링크구조로 형성되며, 링크 상단부가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의 양측 하면에 각각 연결되어 절첩에 의하여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를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승하강링크(3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형태로 교차되고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한 쌍의 링크부재들은 승하강높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들은 2개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승하강높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승하강작동부(322)는, 상기 승하강링크(321)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제어부(500)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승하강링크(321)를 절첩시켜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가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상기 승하강작동부(3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링크(321)와 연결되어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승하강링크(321)를 절첩시키는 이동로드(323)와, 상기 작동제어부(500)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로드(323)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하강작동부(3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링크(321)와 연결되는 결합부재(325)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드(323)가 상기 결합부재(32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층부(300)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가 하강하면 상기 파렛트(10)에 적재된 상기 적재제품(20)을 상기 배출부(400)로 이송하는 이동컨베이어(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컨베이어(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승하강플레이트(310)가 하강하여 파레트(10)에 적층된 적재제품(20)을 배출부(400)로 이송 시 작동제어부(500)의 작동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적재제품(20)을 배출부(4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정렬부(200)와 적층부(3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5의 (a)와 같이 개폐부재(211)가 차폐되고, 승하강플레이트(310)가 상승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적재제품(20)이 이송되어 상기 개폐부재(211)의 상면에 안착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플레이트(231)가 이동하여 적재제품(20)의 양측면을 정렬시킨다.
이렇게 개폐부재(211)의 상면에 안착된 적재제품(20)의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부재(211)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하부를 개방시키고, 이에 상기 적재제품(20)은 하부의 승하강플레이트(310)로 낙하되어 적층된다.
이러한 적재제품(20)의 정렬 및 낙하는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의 상면에 적재제품(20)이 설정 개수로 적층될 때까지 반복되며, 이때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는 적재제품(20)의 높이만큼 순차적으로 하강하여 적재제품(20)이 다층으로 적층되게 하며, 적층이 완료되어 적재제품(20)의 배출부(400)이송이 완료되면 승하강플레이트(310)는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승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정렬부(200)와 적층부(300)에 의하여 적재제품(20)을 정렬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다층으로 적층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하며, 적재 적층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적층부(300)에 의하여 다층으로 적층된 상기 적재제품(20)들을 배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적재제품(20)들을 파레트(10)에 적재된 상태로 배출 이송하며, 배출컨베이어(410)와, 파레트공급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컨베이어(410)는, 상기 이동컨베이어(330)와 대응되는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적재제품(20)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파렛트(10)의 배출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컨베이어(330)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파레트(10)에 적재된 상기 적재제품(20)을 이송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레트공급부(420)는, 상기 이동컨베이어(330)와 대응되는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컨베이어(330)로 파레트(10)가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하고, 상기 파렛트(20)의 배출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컨베이어(330)로 새로운 파레트(10)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레트공급부(420)는, 파레트(10)가 연속공급되면 이러한 새로운 파레트(10)를 상기 이동컨베이어(330)로 이동하는 파레트공급컨베이어(4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적층부(300)에서 상기 배출부(400)를 통해 상기 적재제품(20)이 배출 이송되는 과정은,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10)가 배출높이까지 하강하면, 상기 이동컨베이어(330)와 상기 배출컨베이어(410)와 상기 파레트공급컨베이어(421)가 각각 연동되게 작동하여 상기 파레트(10)와 함께 적재제품(20)이 승하강플레이트(310)에서 배출컨베이어(410)로 배출 이송되며, 이와 동시에 새로운 파레트(10)가 상기 파레트공급컨베이어(421)를 통해 이동컨베이어로 공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작동제어부(500)는,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정렬부(200)와, 상기 적층부(300)와, 상기 배출부(400)를 각각 구동 제어하여 낱개 제품(10)이 이송 후 적재제품(20)으로 정렬된 후 배출 이송될 수 있도록 일련의 적재 및 배출과정이 서로 연계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작업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패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작동제어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작동부(113)를 작동제어하여 포장된 낱개 제품(1)을 상승시켜 이송컨베이어(120)로 이송시키고, 안착구동부(22)를 작동제어하여 상기 개폐부재(211)의 상면으로 적재제품(20)이 적재 및 적층부(300)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고, 정렬구동부(232)를 작동제어하여 적재제품(20)을 정렬시킬 수 있으며, 승하강작동부(322)를 제어하여 승하강플레이트(31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낱개 제품 10 : 파레트
20 : 적재제품 50 : 제품공급부
100 : 이송부 110 : 승강이송부
111 : 이송플레이트 112 : 푸시유닛
113 : 이송작동부 120 : 이송컨베이어
130 : 이동부 131 : 이동가이드
132 : 유압실린더부 133 : 이동부재
200 : 정렬부 210 : 안착부
211 : 개폐부재 222 : 안착구동부
220 : 스토퍼부재 230 : 정렬수단
231 : 정렬플레이트 232 : 정렬구동부
300 : 적층부 310 : 승하강플레이트
320 : 적층작동부 321 : 승하강링크
322 : 승하강작동부 323 : 이동로드
324 : 이동실린더 325 : 결합부재
330 : 이동컨베이어 400 : 배출부
410 : 배출컨베이어 420 : 파레트공급부
421 : 파레트공급컨베이어 500 : 작동제어부

Claims (7)

  1. 포장된 낱개 제품을 연속하여 이송 공급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낱개 제품을 설정 개수의 복수열에 맞춘 적재제품으로 적재하고 상기 적재제품을 정렬시켜 공급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에 의하여 정렬되어 공급된 상기 적재제품을 다층으로 적층시키는 적층부와;
    상기 적층부에 의하여 다층으로 적층된 상기 적재제품들을 배출 이송하는 배출부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정렬부와, 상기 적층부와, 상기 배출부를 각각 구동 제어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포장부에 의하여 포장되어 이송된 상기 낱개 제품을 설정 적재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승강이송부와,
    상기 승강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낱개 제품을 이송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적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이송부는,
    상기 낱개 제품이 상면으로 공급되어 안착되는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낱개 제품을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시유닛과,
    상기 작동제어부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승하강 시키는 이송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적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면으로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낱개 제품들이 적재된 상기 적재제품이 안착되고, 상기 적층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재제품을 상기 적층부로 낙하시켜 상기 적재제품이 상기 적층부의 상면에 적층되게 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낱개 제품의 이송을 차단하여 연속 공급되는 상기 낱개 제품들이 밀려 설정 개수 열의 상기 적재제품으로 적재되게 하는 스토퍼부재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적재제품의 측면을 정렬시키는 정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적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는,
    파레트가 안착되며 상기 파레트의 상면으로 상기 적재제품들이 적층되는 승하강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파렛트의 상면으로 상기 적재제품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승하강플레이트를 하강시키고, 상기 적재제품들이 적층완료되면 하강되어 상기 배출부로 이송되게 하며, 상기 적제제품이 상기 배출부로 이송되면 상기 정렬부의 하부로 상승시키는 적층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적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작동부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절첩에 의하여 상기 승하강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링크와,
    상기 승하강링크와 연결되어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승하강링크를 절첩시키는 이동로드와, 상기 이동로드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승하강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적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상기 파렛트에 적재된 상기 적재제품을 상기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동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컨베이어와 대응되는 수평선상의 상기 파렛트의 배출 방향에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파레트에 적재된 상기 적재제품을 이송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이동컨베이어와 대응되는 수평선상의 상기 파렛트의 배출 방향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컨베이어로 상기 파레트를 공급하는 파레트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적재장치.
KR1020220136910A 2022-10-21 2022-10-21 자동 적재장치 KR20240056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10A KR20240056350A (ko) 2022-10-21 2022-10-21 자동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10A KR20240056350A (ko) 2022-10-21 2022-10-21 자동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350A true KR20240056350A (ko) 2024-04-30

Family

ID=9088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910A KR20240056350A (ko) 2022-10-21 2022-10-21 자동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3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631B1 (ko) 2020-07-24 2022-07-26 주식회사 삼영지관 지관 자동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631B1 (ko) 2020-07-24 2022-07-26 주식회사 삼영지관 지관 자동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02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allets
US6201203B1 (en) Robotic containerization system
US3491901A (en) Brick stacker
US20080019819A1 (en) Palletizer apparatus and method
US7798763B2 (en) Conveyor system apparatus for stacking arrayed layers of objects
KR101569468B1 (ko) 팔레트 자동 적층 장치
US5951238A (en) Auto pallet stacking/loading device
JP5671910B2 (ja) 積込装置および積込システム
CN112919143A (zh) 一种用于罐头瓶的新型自动化卸瓶装置
KR101210231B1 (ko) 로터리식 연탄적재기 및 그 연탄적재기를 포함하는 연탄 자동 포장 시스템
US4030618A (en) Semi-automatic palletizer
US3007585A (en) Pallet loading machines
CN214569166U (zh) 一种用于罐头瓶的新型自动化卸瓶装置
EP4039602B1 (en) Fully automated unpacking, sealing, and palletizing all-in-one machine
KR20240056350A (ko) 자동 적재장치
US5791865A (en) Bag palletizer
US3329286A (en) Stabilizer arm arrangement for a case palletizer
US3303942A (en) Concrete block stacking machine
US3203560A (en) Article layer stacking apparatus
JPH072532B2 (ja) ピッキング方法
KR102353815B1 (ko) 계란판 적층 장치
KR102383605B1 (ko) 적층 계란판 분리 장치
KR102653523B1 (ko)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KR102710421B1 (ko) 물품 박스의 클로저 시스템
JPH05254662A (ja) パレット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