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030A - 도료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도료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030A
KR20240056030A KR1020220136157A KR20220136157A KR20240056030A KR 20240056030 A KR20240056030 A KR 20240056030A KR 1020220136157 A KR1020220136157 A KR 1020220136157A KR 20220136157 A KR20220136157 A KR 20220136157A KR 20240056030 A KR20240056030 A KR 20240056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discharged
paint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완
손희성
공의석
김승현
김승훈
황향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태웅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태웅물산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030A/ko
Publication of KR2024005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08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the liquid being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ating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1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supplied from inside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16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료 도포 장치는, 도장 재료를 도장 대상물에 전달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가 둘레면에 마련되며, 유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로 유체를 배출하되, 압축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가 상승된 더운 공기가 배출되는 제1 출구와,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가 하강된 찬 공기가 배출되는 제2 출구를 포함하는 볼텍스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유입공으로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롤러부의 중공으로 공급된 더운 공기 또는 찬 공기가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은, 도장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료 도포 장치{CO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료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전세계 물자수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운송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강판이나 형강 등과 같은 소재로 부품을 조립하고 이들 부품으로부터 선체블록을 조립한 후 조립된 선체블록들을 결합하는 공정 등을 거쳐서 건조된다.
선박 건조 공정은 선체블록을 세척하는 세척공정 및 선체 블록에 대한 부식방지를 위한 도장공정이 수행된다. 선체블록의 도장 상태에 따라 선박의 수명이 달라지는 만큼 도장공정이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도장공정은 선체블록의 표면을 도장하는 1차 도장 단계, 1차 도장 단계에서 도장상태가 불완전한 미도장부를 확인하는 도장상태 검사단계, 도장상태 검사단계에서 확인된 미도장부를 수정하기 위해 선체블록의 표면을 연삭하는 그라인딩 단계 및 그라인딩 단계가 수행된 미도장부를 최종적으로 도장하는 2차 도장 단계가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장 작업은 수동작업이 포함될 수 있는데, 도료의 점도가 높은 경우 도장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도료가 쉽게 굳을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장 작업이 용이할 수 있고, 도포부에 도료가 잔여하여 굳지 않도록 감소/방지할 수 있는 도료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료 도포 장치의 일 면(aspect)은, 도장 재료를 도장 대상물에 전달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가 둘레면에 마련되며, 유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로 유체를 배출하되, 압축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가 상승된 더운 공기가 배출되는 제1 출구와,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가 하강된 찬 공기가 배출되는 제2 출구를 포함하는 볼텍스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유입공으로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롤러부의 중공으로 공급된 더운 공기 또는 찬 공기가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롤러부가 축회전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출구 또는 상기 제2 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제1 출구 또는 상기 제2 출구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포부는, 제1 길이와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브러쉬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1 도포 유닛,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길이가 긴 제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제2 두께를 가지는 제2 브러쉬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제2 도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포 유닛과 상기 제2 도포 유닛이 번갈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포 유닛과 상기 제2 도포 유닛은, 나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은, 상기 롤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도포 장치는,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을 감소시켜 도장 작업이 용이할 수 있고, 도포부에 도료가 남아 굳지 않도록 감소/방지할 수 있어, 도료 작업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료 도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료 도포 장치의 볼텍스 튜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료 도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료 도포 장치의 볼텍스 튜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 도포 장치(100)는, 도포부(111), 롤러부(113), 연장부(115) 및 볼텍스 튜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부(111)는 도장 재료를 도장 대상물(SB)에 전달할 수 있다.
도포부(111)는 길이와 두께가 상이한 2가지 타입의 모가 서로 번갈아 마련될 수 있다. 예시로 도포부(111)는 제1 도포 유닛(111A) 및 제2 도포 유닛(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포 유닛(111A)과 제2 도포 유닛(111B)이 번갈아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포 유닛(111A)은 제1 길이와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브러쉬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포 유닛(111B)은 제1 길이보다 길이가 긴 제2 길이를 가지며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제2 두께를 가지는 제2 브러쉬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로 제1 도포 유닛(111A)과 제2 도포 유닛(111B)은 나선형으로 심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롤러부(113)가 회전할 때 고르게 도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점도가 높은 도료를 터치업(수동 도장) 작업시, 일반적인 브러쉬는 모의 길이와 강성이 동일하여, 축 회전이 용이하지 않으나, 본 실시예는 점도 높은 도료를 사용하더라도 2가지 타입의 모가 마련되어 점도에 관계 없이 터치업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장 대상물(SB)인 도장표면에 브러쉬 자국이 남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브러쉬의 표면적을 줄이면서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 도료를 고르게 바를 수 있도록 브러쉬의 모 길이, 굵기(rigid, soft)가 상이한 제1 도포 유닛(111A)과 제2 도포 유닛(111B)이 마련되어, 작업이 개선될 수 있다.
롤러부(113)는 도포부(111)가 둘레면에 마련되며, 유입공(부호 도시하지 않음)과 배출공(113B)이 형성되고 중공(113C)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113B)은 롤러부(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중공(113C)의 둘레면이나 단부에 외부로 관통되는 구조로 유입공과 배출공(113B)이 형성되어,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볼텍스 튜브(120)에서 유입된 더운 공기 또는 찬 공기)가 중공(113C)을 경유한 배출공(113B)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볼텍스 튜브(120)를 이용한 더운 공기 및/또는 찬 공기의 유출입으로 롤러부(113)에 도료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롤러부(113)에 도료가 고착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포부(111)의 모에 묻은 도료의 히팅/쿨링이 이루어져, 도료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게다가 롤러부(113)와 연장부(115) 사이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점도가 높은 도료를 수동도장 작업시, 연장부(115)를 축으로 롤러부(113)의 축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115)는 롤러부(113)가 축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115)는 제1 출구(122) 또는 제2 출구(123)와 연결되고, 롤러부(113)의 유입공과 제1 출구(122) 또는 제2 출구(123) 사이에 유로(115A)를 형성할 수 있다.
볼텍스 튜브(120)는, 작업 현장에 마련되며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매니폴드(10)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또는 볼텍스 튜브(120)는, 이동 가능한 에어 탱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게다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매니폴드와 에어 탱크의 하류에 에어 레귤레이터가 마련되어 압축 공기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볼텍스 튜브(120)는, 매니폴드(10) 또는 에어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가 공기 유입구(121)로 유입된 이후 내부 공간(120S)에서 압축공기에 볼텍스/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볼텍스 튜브(120) 내부에서 압축공기는 더운 공기와 찬 공기로 분리되어, 분리된 찬 공기와 더운 공기가 각각 배출될 수 있다.
예로 볼텍스 튜브(120) 내부에는 방사상으로 호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에 의해 공기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가 와류되어, 제1 출구(122)와 제2 출구(123) 방향 각각으로 찬 공기와 더운 공기가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찬 공기는, 볼텍스 튜브(120)의 제1 출구(1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공기 유입구(121)에서 유입 받은 압축공기의 와류에서 분리되는 찬 공기가 제1 출구(12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더운 공기는 제2 출구(123)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부호 도시하지 않음) 내를 경유하여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볼텍스 튜브(120)의 관의 단부에는 제2 출구(123)가 마련되어, 관을 경유한 더운 공기가 제2 출구(12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출구(123)에는 유량조절 밸브(1234)가 구비될 수 있다. 유량조절 밸브(1234)는 관을 통하여 전달된 더운 공기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볼텍스 튜브(120)는 실시예에 따라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인입 라인이 별도로 구비되거나 매니폴드(10)에서 연장되는 라인(11)이 연결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도료 도포 장치(100)는,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장표면에 브러쉬 자국이 남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료 작업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도료 도포 장치 111: 도포부
113: 롤러부 115: 연장부
120: 볼텍스 튜브

Claims (5)

  1. 도장 재료를 도장 대상물에 전달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가 둘레면에 마련되며, 유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로 유체를 배출하되, 압축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가 하강된 찬 공기가 배출되는 제1 출구와,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가 상승된 더운 공기가 배출되는 제2 출구를 포함하는 볼텍스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유입공으로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롤러부의 중공으로 공급된 더운 공기 또는 찬 공기가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도료 도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가 축 회전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출구 또는 상기 제2 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제1 출구 또는 상기 제2 출구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도료 도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제1 길이와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브러쉬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1 도포 유닛;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길이가 긴 제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제2 두께를 가지는 제2 브러쉬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제2 도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포 유닛과 상기 제2 도포 유닛이 번갈아 마련되는, 도료 도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 유닛과 상기 제2 도포 유닛은,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도료 도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롤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도료 도포 장치.
KR1020220136157A 2022-10-21 2022-10-21 도료 도포 장치 KR20240056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157A KR20240056030A (ko) 2022-10-21 2022-10-21 도료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157A KR20240056030A (ko) 2022-10-21 2022-10-21 도료 도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030A true KR20240056030A (ko) 2024-04-30

Family

ID=9088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157A KR20240056030A (ko) 2022-10-21 2022-10-21 도료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0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1390C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rehabilitating conduits
US20090220703A1 (en) Operating method for an atomiser and a corresponding coating apparatus
US8322632B2 (en) Internal mixing spray gun
WO2008081634A1 (ja) 塗装装置
KR20240056030A (ko) 도료 도포 장치
KR100997943B1 (ko) 관체의 2액형 도장장치
JP5330761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2007144289A (ja) 塗装装置およびその洗浄方法
KR101206096B1 (ko) 직관 및 곡관의 2액형 도장장치
JP3536769B2 (ja) 二液型発泡ポリウレタン樹脂塗料塗装用エアスプレーガン
EP1633492A1 (en) Dispensing apparatus
CN101497217A (zh) 直通式水泥搅拌器
JP2009262094A (ja) 筒体の塗装方法
JP2005238169A (ja) 塗膜形成装置
JP4402941B2 (ja) 塗布機とその配管ユニット
JP2889525B2 (ja) パイプ内面のライニング方法
JP6598829B2 (ja) 塗装ノズルヘッド
KR102405291B1 (ko) 이액형 코팅제의 수중 코팅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코팅시스템
KR102370968B1 (ko)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JP3886671B2 (ja) 流動体混合装置
JP2018091087A (ja) 高圧液剤注入プラグ
KR200402106Y1 (ko) 3층 피복 이형강관의 분말융착식 코팅장치
JP6754000B2 (ja) 塗装装置及び方法
CN210614064U (zh) 一种腻子、涂料喷涂装置
KR20120031114A (ko) 접착제의 도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