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210A - 전동기의 고정자 - Google Patents
전동기의 고정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5210A KR20240055210A KR1020220135047A KR20220135047A KR20240055210A KR 20240055210 A KR20240055210 A KR 20240055210A KR 1020220135047 A KR1020220135047 A KR 1020220135047A KR 20220135047 A KR20220135047 A KR 20220135047A KR 20240055210 A KR20240055210 A KR 202400552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coil block
- electric motor
- line portion
- ro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7—Air-gap windings, i.e. iron-free wind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ity of som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의 고정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롯리스 전동기에서 코일 블록 모듈과 요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동기 구동시에도 코일 블록 모듈이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전동기의 안정적 출력 및 전동기의 회전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기의 고정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기의 고정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롯리스 전동기에서 코일 블록 모듈과 요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동기 구동시에도 코일 블록 모듈이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전동기의 안정적 출력 및 전동기의 회전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기의 고정자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기계적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모터(motor)를 말한다.
일반적인 전동기에서 고정자는 전기자 코일을 감기 위한 치 구조와 슬롯오프닝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치는 자속의 통로 역할을 하도록 철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철심으로 이루어진 치 구조는 퍼미언스(permeance)가 공기에 비해 커서 높은 공극 자속 밀도를 얻게 해주지만 슬롯오프닝에 의한 코깅토크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이에, 근래에는 슬롯이 없는 슬롯리스 전동기가 코깅토크 및 토크리플이 거의 없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슬롯리스 전동기는 진동, 소음이 적어 고정밀 제어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서보 및 구동 전동기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슬롯리스 전동기의 경우, 치 및 슈 구조가 존재하지 않고 고정자 권선을 고정자 요크측에 본딩하거나 고정자 비자성체 요크에 감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롯리스 전동기의 고정자(9)에서는 요크(7)와 코일 블록 모듈(5)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동기 구동시에 발생되는 카운터 토크에 의해 코일 블록 모듈(5)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자속의 공간적인 기준점이 이동하게 되어 전동기 회전 제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도 1 참고).
본 발명의 목적은 슬롯리스 전동기에서 코일 블록 모듈과 요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동기 구동시에도 코일 블록 모듈이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전동기의 안정적 출력 및 전동기의 회전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기의 고정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코일 블록 구조가 전동기의 회전자를 둘러싸도록 서로 중첩 연결되어 형성되는 코일 블록 모듈; 및 상기 코일 블록 모듈에 외삽되어 고정되는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결합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 블록 모듈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 돌부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고정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코일 블록 구조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자의 외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코일 블록; 및 상기 제1 코일 블록에 일부가 중첩되어 안착되는 제2 코일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 블록의 내면은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을 따라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 블록은 외측으로 절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코일 블록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에 인접 배치되는 제1 코일 라인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의 외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코일 라인부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코일 라인부; 상기 제1 코일 라인부 및 상기 제2 코일 라인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코일 라인부 및 상기 제2 코일 라인부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동일면상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코일 블록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회전자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1 코일 라인부 및 상기 제2 코일 라인부의 간격에 삽입되는 제3 코일 라인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의 외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코일 라인부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 코일 라인부; 상기 제3 코일 라인부와 상기 제4 코일 라인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코일 라인부와 상기 제4 코일 라인부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제3 코일 라인부 및 상기 제4 코일 라인부의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은 상기 코일 블록 구조의 상기 제2 코일 블록과 상기 제1 코일 블록이 접촉하는 경계부에 형성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코일 블록 구조의 상기 제2 코일 블록과 다른 하나의 상기 코일 블록 구조의 상기 제2 코일 블록이 접촉하는 경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코일 블록 모듈과 요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동기 구동시에도 코일 블록 모듈이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전동기의 안정적 출력 및 전동기의 회전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의 고정자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의 고정자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10)의 고정자(70)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10)의 고정자(7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10)의 고정자(70)는, 코일 블록 모듈(40) 및 요크(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기(10)는 회전자(20) 및 고정자(70)를 포함하며, 회전자(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자(20) 코어와 회전자(20) 코어에 결합된 복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고정자(70)는 회전자(20) 외부에 회전자(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권선이 고정된 코일 블록 모듈(40) 및 요크(5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블록 모듈(40)은 복수의 코일 블록 구조(30)가 전동기(10)의 회전자(20)를 둘러싸도록 서로 중첩 연결되어 형성되며, 코일 블록 구조(30)는 제1 코일 블록(31) 및 제2 코일 블록(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 블록(31)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며 전동기(10)의 회전자(20)의 외주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자(20)의 외주면과 제1 코일 블록(31) 사이에는 공극이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코일 블록(35)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며 제1 코일 블록(31)에 일부가 중첩되어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코일 블록(35)이 제1 코일 블록(31)에 중첩되는 면적은 제2 코일 블록(35)의 면적의 1/2일 수 있으며, 인접하는 다른 제2 코일 블록(35)이 제1 코일 블록(31)의 나머지 부분(중첩되는 면적을 제외한 부분)이 다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코일 블록(31)과 제1 코일 블록(31)에 일부가 중첩되는 제2 코일 블록(35)이 코일 블록 구조(30)를 형성하고, 이러한 코일 블록 구조(30)가 서로 중첩 연결되어 코일 블록 모듈(40)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제1 코일 블록(31)의 내면은 회전자(20)의 외주면을 따라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제2 코일 블록(35)은 외측으로 절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코일 블록(31)은, 제1 코일 라인부(32-1), 제2 코일 라인부(32-2), 제1 연결부(33-1) 및 제2 연결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 라인부(32-1)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회전자(2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코일 라인부(32-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회전자(2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제1 코일 라인부(32-1)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3-1)는 제1 코일 라인부(32-1) 및 제2 코일 라인부(32-2)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제2 연결부(33-2)는 제1 코일 라인부(32-1) 및 제2 코일 라인부(32-2)의 타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 코일 블록(31)은 중앙부(34)가 개구된 직사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된 중앙부(34)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코일 블록(35)은, 제3 코일 라인부(36-1), 제4 코일 라인부(36-2), 제3 연결부(37-1) 및 제4 연결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코일 라인부(36-1)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회전자(20)에 인접 배치되며, 제1 코일 라인부(32-1) 및 제2 코일 라인부(32-2)의 간격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3 코일 라인부(36-1)가 제1 코일 블록(31)의 개구된 중앙부(34)에 삽입되며, 이때 제3 코일 라인부(36-1)의 폭은 제1 코일 블록(31)의 개구된 중앙부(34)의 폭의 1/2일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33-1) 및 제2 연결부(33-2)는 동일면상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코일 라인부(36-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회전자(2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제3 코일 라인부(36-1)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코일 라인부(32-1)를 사이에 두고 제3 코일 라인부(36-1) 및 제4 코일 라인부(36-2)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부(37-1)는 제3 코일 라인부(36-1)와 제4 코일 라인부(36-2)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제4 연결부(37-2)는 제3 코일 라인부(36-1) 및 제4 코일 라인부(36-2)의 타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3 연결부(37-1) 및 제4 연결부(37-2)는 제3 코일 라인부(36-1) 및 제4 코일 라인부(36-2)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코일 블록(31)의 내면을 회전자(20)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됨이 없이 아치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코일 블록(31)의 단부와 회전자(20)의 간섭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제1 코일 블록(31)의 내면이 회전자(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 코일 블록(31)과 회전자(20)가 겹쳐지는 부분이 없게 되어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일 블록(31)과 회전자(20)의 간섭이 제거됨으로써, 전동기(10)의 출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전동기(10)의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열적 안정도 확보가 가능하다.
한편, 요크(5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코일 블록 모듈(40)에 외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요크(50)의 내주면에는 결합 돌부(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 블록 모듈(40)의 외주면에는 결합 돌부(51)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전동기(10)의 회전 제어성의 안정적 제어를 위해 요크(50)와 코일 블록 모듈(40)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는데, 종래 기술의 경우 별도의 고정 구조가 존재하지 않아 전동기(10) 구동시에 발생되는 카운터 토크에 의해 코일 블록 모듈(40)이 요크(50)로부터 회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요크(50)의 내주면에는 결합 돌부(51)를 형성하고, 코일 블록 모듈(40)의 외주면에는 결합 돌부(51)에 대응되는 결합홈(41)을 형성하여 서로 치합되게 함으로써, 요크(50)와 코일 블록 모듈(40)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요크(50)와 코일 블록 모듈(40)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전동기(10) 구동시에도 코일 블록 모듈(40)과 요크(50)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동기(10)의 안정적 출력 및 전동기(10)의 회전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결합홈(41)은 코일 블록 구조(30)의 제2 코일 블록(35)과 제1 코일 블록(31)이 접촉하는 경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요크(50)와 코일 블록 모듈(4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결합 돌부(51)와 결합홈(41)의 개수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므로, 제한된 제2 코일 블록(35) 및 제1 코일 블록(31)의 영역에서 결합홈(41)의 개수를 늘리기 위해 제2 코일 블록(35)의 측단부 및 제1 코일 블록(31)의 측단부에 결합홈(41)의 폭의 1/2에 해당하는 홈을 각각 형성하여, 제2 코일 블록(35)이 제1 코일 블록(31)에 안착되어 제2 코일 블록(35)과 제1 코일 블록(31)이 서로 인접하여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2 코일 블록(35) 및 제1 코일 블록(31)이 접촉하는 경계부에 결합홈(4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4 참고).
또한, 결합홈(41)은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코일 블록 구조(30)의 제2 코일 블록(35)과 다른 하나의 코일 블록 구조(30)의 제2 코일 블록(35)이 접촉하는 경계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블록 모듈(40)은 코일 블록 구조(30)가 서로 중첩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코일 블록 구조(30)의 제2 코일 블록(35)의 측단부 및 어느 하나의 코일 블록 구조(30)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코일 블록 구조(30)의 제2 코일 블록(35)의 측단부에 결합홈(41) 폭의 1/2에 해당하는 홈을 각각 형성하여, 인접하는 제2 코일 블록(35)이 접촉하는 경계부에 결합홈(4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4 참고). 이와 같이 제2 코일 블록(35) 및 제1 코일 블록(31)이 접촉하는 경계부 뿐 아니라 인접하는 제2 코일 블록(35)이 접촉하는 경계부에도 결합홈(41)을 형성함으로써, 요크(50)와 코일 블록 모듈(4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의 고정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기의 고정자는 요크와 코일 블록 모듈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전동기 구동시에도 코일 블록 모듈과 요크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동기의 안정적 출력 및 전동기의 회전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자의 코일 블록과 회전자의 간섭을 제거함으로써 슬롯리스 전동기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고정자의 코일 블록과 회전자의 간섭을 제거하여 전동기의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열적 안정도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동기
20: 회전자
70: 고정자 30: 코일 블록 구조
31: 제1 코일 블록 32-1: 제1 코일 라인부
32-2: 제2 코일 라인부 33-1: 제1 연결부
33-2: 제2 연결부 34: 중앙부
35: 제2 코일 블록 36-1: 제3 코일 라인부
36-2: 제4 코일 라인부 37-1: 제3 연결부
37-2: 제4 연결부 40: 코일 블록 모듈
41: 결합홈 50: 요크
51: 결합 돌부
70: 고정자 30: 코일 블록 구조
31: 제1 코일 블록 32-1: 제1 코일 라인부
32-2: 제2 코일 라인부 33-1: 제1 연결부
33-2: 제2 연결부 34: 중앙부
35: 제2 코일 블록 36-1: 제3 코일 라인부
36-2: 제4 코일 라인부 37-1: 제3 연결부
37-2: 제4 연결부 40: 코일 블록 모듈
41: 결합홈 50: 요크
51: 결합 돌부
Claims (6)
- 복수의 코일 블록 구조가 전동기의 회전자를 둘러싸도록 서로 중첩 연결되어 형성되는 코일 블록 모듈; 및
상기 코일 블록 모듈에 외삽되어 고정되는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결합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 블록 모듈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 돌부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고정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록 구조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자의 외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코일 블록; 및
상기 제1 코일 블록에 일부가 중첩되어 안착되는 제2 코일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 블록의 내면은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을 따라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 블록은 외측으로 절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고정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블록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에 인접 배치되는 제1 코일 라인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의 외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코일 라인부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코일 라인부;
상기 제1 코일 라인부 및 상기 제2 코일 라인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코일 라인부 및 상기 제2 코일 라인부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동일면상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고정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 블록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회전자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1 코일 라인부 및 상기 제2 코일 라인부의 간격에 삽입되는 제3 코일 라인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의 외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코일 라인부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 코일 라인부;
상기 제3 코일 라인부와 상기 제4 코일 라인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코일 라인부와 상기 제4 코일 라인부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제3 코일 라인부 및 상기 제4 코일 라인부의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고정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코일 블록 구조의 상기 제2 코일 블록과 상기 제1 코일 블록이 접촉하는 경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고정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코일 블록 구조의 상기 제2 코일 블록과 다른 하나의 상기 코일 블록 구조의 상기 제2 코일 블록이 접촉하는 경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고정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5047A KR20240055210A (ko) | 2022-10-19 | 2022-10-19 | 전동기의 고정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5047A KR20240055210A (ko) | 2022-10-19 | 2022-10-19 | 전동기의 고정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5210A true KR20240055210A (ko) | 2024-04-29 |
Family
ID=9088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5047A KR20240055210A (ko) | 2022-10-19 | 2022-10-19 | 전동기의 고정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5210A (ko) |
-
2022
- 2022-10-19 KR KR1020220135047A patent/KR2024005521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87295C1 (ru) | Статорный узел | |
JP5248751B2 (ja) | スロットレス永久磁石型回転電機 | |
US8760027B2 (en) | Stator | |
US7859164B2 (en) | Armature laminations | |
WO2011007694A1 (ja) |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 | |
CN106972668B (zh) | 定子 | |
US20180351417A1 (en) | Rotating electric machine stator,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tating electric machine stator | |
CN104659937A (zh) | 旋转电机的转子 | |
JP2017188982A (ja) | ステータ、その製造方法、およびブラシレスモータ | |
JP2017163825A (ja) | モータ及びそのステータ | |
JP2002291191A (ja) | 固定子 | |
JP2008312318A (ja) | 回転電機の回転子及び回転電機 | |
KR100706193B1 (ko) | 모터 고정자용 인슐레이터 | |
KR101079050B1 (ko) | 분할 스큐 코어 구조의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bldc 모터 및 배터리 쿨링장치 | |
JP2006288042A (ja) | 永久磁石形モータ | |
JP4002451B2 (ja) | 回転電機 | |
JP4726526B2 (ja) | ブラシレスモータ | |
KR20240055210A (ko) | 전동기의 고정자 | |
JP6824348B2 (ja) | 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の製造方法、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を備えた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の製造方法 | |
US11025106B2 (en) | Stator winding for motor | |
KR20240050559A (ko) | 전동기 고정자의 코일 블록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의 고정자 | |
CN203722367U (zh) | 旋转电机 | |
JP2014107993A (ja) | 電動アクチュエータ | |
WO2011036723A1 (ja) | 同期発電機 | |
KR102425813B1 (ko) | 코깅 토크를 최소화하는 고정자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