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676A - 오일가이드 - Google Patents

오일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676A
KR20240054676A KR1020220134927A KR20220134927A KR20240054676A KR 20240054676 A KR20240054676 A KR 20240054676A KR 1020220134927 A KR1020220134927 A KR 1020220134927A KR 20220134927 A KR20220134927 A KR 20220134927A KR 20240054676 A KR20240054676 A KR 20240054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lutch housing
oil
guide body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준기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676A/ko
Publication of KR2024005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67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52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6Lubrication 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13/7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드럼을 감싸면서, 클러치하우징의 벽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바디에 형성되는 배출홈; 상기 가이드바디에,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오일가이드{OIL GUIDE}
본 발명은 습식 다판 클러치를 구비한 장치에서 오일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습식 다판 클러치는 허브에 회전이 구속되는 다수의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감싸는 드럼에 회전이 구속되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서로 교번하여 중첩된 상태에서 디스크와 플레이트를 가압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와 플레이트를 가압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디스크와 플레이트는 서로 상대 회전하게 되며, 이들 사이에는 오일이 공급되어 서로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드래그가 최소화될 수 있고, 적절한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습식 다판 클러치(이하 단순히 '클러치"라 칭하기로 함)를 탑재한 장치에서는 허브를 통해 클러치에 오일을 공급하여, 상기 클러치를 윤활 및 냉각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클러치를 윤활 및 냉각한 오일은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비산된 후, 다시 포집되어, 상기 허브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81399 B1 JP 6531132 B2
본 발명은 습식 다판 클러치를 탑재한 장치에서, 클러치의 드럼 외측으로 비산되는 오일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원활한 오일의 순환으로 클러치의 윤활 및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일가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변형 가공이 곤란한 클러치 하우징에 손쉽게 결합하여, 클러치로부터 비산되는 오일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가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오일가이드는,
드럼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드럼을 감싸면서, 클러치하우징의 벽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바디에 형성되는 배출홈;
상기 가이드바디에,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은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동일한 폭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은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는 부분에서, 동일한 폭을 유지하면서, 이격된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졌다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 입구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에 고정되는 제1클립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디의 타단 쪽에는 상기 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홈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에 고정되는 제2클립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는 상기 드럼을 감싸는 원호 형상을 형성하면서 상기 클러치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클립부와 제2클립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호 형상의 가이드바디가 직선 형상으로 펼쳐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클립부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클립부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에 밀착되면서, 저절로 상기 가이드바디가 상기 클러치하우징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는,
클러치를 형성하는 드럼;
상기 드럼이 이격된 상태로 수용되는 클러치하우징;
상기 드럼을 감싸면서, 클러치하우징의 벽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바디에 형성되는 배출홈;
상기 가이드바디에,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은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동일한 폭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은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는 부분에서, 동일한 폭을 유지하면서, 이격된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졌다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 입구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에 고정되는 제1클립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디의 타단 쪽에는 상기 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홈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에 고정되는 제2클립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는 상기 드럼을 감싸는 원호 형상을 형성하면서 상기 클러치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클립부와 제2클립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호 형상의 가이드바디가 직선 형상으로 펼쳐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클립부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클립부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에 밀착되면서, 저절로 상기 가이드바디가 상기 클러치하우징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습식 다판 클러치를 탑재한 장치에서, 클러치의 드럼 외측으로 비산되는 오일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원활한 오일의 순환으로 클러치의 윤활 및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변형 가공이 곤란한 클러치 하우징에 손쉽게 결합하여, 클러치로부터 비산되는 오일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가이드가 설치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오일가이드가 설치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의 클러치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서, 오일가이드에 제1클립부 및 제2클립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오일가이드를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도 3의 오일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오일가이드가 적용되지 않은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의 오일 유동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허브 토출 오일 유량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오일가이드(1)의 실시예는, 드럼(3)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드럼(3)을 감싸면서, 클러치하우징(5)의 벽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디(7); 상기 클러치하우징(5)의 작동유드레인홀(9)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바디(7)에 형성되는 배출홈(11); 상기 가이드바디(7)에, 상기 배출홈(11)을 우회하여 상기 드럼(3)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홈(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바디(7)는 상기 클러치하우징(5)의 오일포집부(15) 입구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상기 클러치하우징(5)의 내벽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오일가이드(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하우징(5)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3)의 외측으로 비산되는 오일이 상기 가이드홈(13)을 타고 용이하고 원활하게 상기 오일포집부(15)로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오일포집부(15)에 포집된 오일은 다시 상기 드럼(3) 내측의 허브(17)를 통해 클러치(19)의 내측으로 토출되어, 상기 클러치(19)를 윤활 및 냉각시킨 후, 다시 상기 드럼(3)을 통해 드럼(3)의 주변으로 비산되게 된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13)은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동일한 폭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13)은 상기 배출홈(11)을 우회하는 부분에서, 동일한 폭을 유지하면서, 이격된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졌다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배출홈(11)을 우회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13)을 타고 이동하던 오일은 대부분 상기 배출홈(11)을 우회하게 되어, 상기 클러치하우징(5)의 작동유드레인홀(9)에는 약간의 오일만이 공급되고, 대부분의 오일은 상기 오일포집부(15)로 회수되어, 상기 클러치(19)를 순환하면서 윤활 및 냉각시키는 오일의 양이 항상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축방향은 상기 클러치(19)의 회전축 방향으로서, 상기 드럼(3)이나 허브(17)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작동유드레인홀(9)로 공급되는 오일은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며, 이 용도의 오일은 실질적으로 많은 양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극히 일부만 상기 배출홈(11)을 통해 상기 작동유드레인홀(9)로 공급되도록 하고, 대부분의 오일은 상기 오일포집부(15)로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바디(7)의 일단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5)의 오일포집부(15)에 고정되는 제1클립부(2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디(7)의 타단 쪽에는 상기 배출홈(11)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홈(11)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5)의 작동유드레인홀(9)에 고정되는 제2클립부(23)가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바디(7)는 상기 드럼(3)을 감싸는 원호 형상을 형성하면서 상기 클러치하우징(5)에 결합되고; 상기 제1클립부(21)와 제2클립부(2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호 형상의 가이드바디(7)가 직선 형상으로 펼쳐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클립부(21)는 상기 클러치하우징(5)의 오일포집부(15)에 밀착되고, 상기 제2클립부(23)는 상기 클러치하우징(5)의 작동유드레인홀(9)에 밀착되면서, 저절로 상기 가이드바디(7)가 상기 클러치하우징(5)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참고로, 도 2와 도 3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1클립부(21)와 제2클립부(23)가 구비된 오일가이드(1)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고, 도 1에서는 상기 제1클립부(21)와 제2클립부(23)는 생략되고, 오일가이드(1)를 클러치하우징(5)의 내벽에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상기 오일가이드(1)를 관통하여 상기 클러치하우징(5)에 체결되는 고정나사 등과 같은 기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바디(7)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13)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25)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13)은 상기 베이스부(25)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25)는 상기 가이드홈(13)에 의해 오일가이드(1)가 여러 조각으로 나뉘는 것을 방지하고 하나의 단일체를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홈(13)이 일정한 형상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오일가이드(1)의 기능을 수행하고, 오일가이드(1) 자체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클러치하우징(5)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5는 상기 오일가이드(1)가 설치되지 않은 클러치하우징(5) 내의 클러치(19)에서 오일이 드럼(3)을 통해 비산되어 유동하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서, 클러치(19)를 형성하는 플레이트(27)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하여 드럼(3)을 통해 방사상으로 비산되는 오일은 클러치하우징(5)의 내벽을 타고 회전하면서 유동하여, 작동유드레인홀(9)과 오일포집부(15)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5) 내에 별다른 구조가 없으므로, 상당량의 오일이 상기 작동유드레인홀(9)을 통해 빠져나가고, 상기 오일포집부(15)로 포집되어 순환되는 오일의 양이 적어지게 되며, 상기 클러치하우징(5) 내벽을 유동하는 오일의 흐름이 별도로 가이드되지 못하므로, 새로이 비산되는 오일과 만나면서 오일의 흐름 방향성이 교란되고, 오일의 유속이 저하되어 오일의 원활한 순환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오일가이드(1)가 상기 클러치하우징(5)의 내벽에 설치되면, 상기 드럼(3)을 통해 비산되는 오일은 상기 오일가이드(1)의 가이드홈(13)을 타고 원활하게 유동하게 되며, 새로 비산되는 오일이 가이드홈(13)을 유동하는 오일과 만나도, 그 오일의 유동 방향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오일의 유속은 상대적으로 저하되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하여, 상기 오일포집부(15)로 향하게 되며, 상기 배출홈(11)을 통해 작동유드레인홀(9)로 빠져나가는 오일의 양도 크게 축소되어, 상기 오일포집부(15)에는 보다 원활하게 오일이 포집되어, 클러치(19)의 허브(17)로 순환될 오일이 항상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6은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에 본 발명의 오일가이드(1)를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허브 토출 오일 유량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에, 오일포집부(15)로 포집되어 허브(17)로 토출되는 오일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 오일가이드(1)의 효과만을 판단하기 위해, 클러치하우징(5)의 내벽과 드럼(3)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조건을 적용하여 실험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오일가이드
3; 드럼
5; 클러치하우징
7; 가이드바디
9; 작동유드레인홀
11; 배출홈
13; 가이드홈
15; 오일포집부
17; 허브
19; 클러치
21; 제1클립부
23; 제2클립부
25; 베이스부
27; 플레이트

Claims (14)

  1. 드럼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드럼을 감싸면서, 클러치하우징의 벽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바디에 형성되는 배출홈;
    상기 가이드바디에,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가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은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동일한 폭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가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은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는 부분에서, 동일한 폭을 유지하면서, 이격된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졌다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가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 입구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가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에 고정되는 제1클립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디의 타단 쪽에는 상기 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홈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에 고정되는 제2클립부가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가이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는 상기 드럼을 감싸는 원호 형상을 형성하면서 상기 클러치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클립부와 제2클립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호 형상의 가이드바디가 직선 형상으로 펼쳐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클립부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클립부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에 밀착되면서, 저절로 상기 가이드바디가 상기 클러치하우징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가이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가이드.
  8. 클러치를 형성하는 드럼;
    상기 드럼이 이격된 상태로 수용되는 클러치하우징;
    상기 드럼을 감싸면서, 클러치하우징의 벽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바디에 형성되는 배출홈;
    상기 가이드바디에,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은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동일한 폭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은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는 부분에서, 동일한 폭을 유지하면서, 이격된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졌다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배출홈을 우회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 입구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에 고정되는 제1클립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디의 타단 쪽에는 상기 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홈에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에 고정되는 제2클립부가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는 상기 드럼을 감싸는 원호 형상을 형성하면서 상기 클러치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클립부와 제2클립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호 형상의 가이드바디가 직선 형상으로 펼쳐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클립부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오일포집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클립부는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작동유드레인홀에 밀착되면서, 저절로 상기 가이드바디가 상기 클러치하우징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KR1020220134927A 2022-10-19 2022-10-19 오일가이드 KR20240054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927A KR20240054676A (ko) 2022-10-19 2022-10-19 오일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927A KR20240054676A (ko) 2022-10-19 2022-10-19 오일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676A true KR20240054676A (ko) 2024-04-26

Family

ID=9088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927A KR20240054676A (ko) 2022-10-19 2022-10-19 오일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67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132A (ja) 1988-07-20 1990-02-0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グラビア印刷用インキ粘度測定装置
KR101981399B1 (ko) 2017-09-26 2019-05-22 현대위아 주식회사 처닝오일 순환시스템을 갖는 습식다판 클러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132A (ja) 1988-07-20 1990-02-0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グラビア印刷用インキ粘度測定装置
KR101981399B1 (ko) 2017-09-26 2019-05-22 현대위아 주식회사 처닝오일 순환시스템을 갖는 습식다판 클러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1640C2 (ru)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и жидкостная рубашка для него
CN101356389B (zh) 具有强制油引导装置的变换器
US20080173512A1 (en) Fluid transmission device
JP5735715B2 (ja) テスラポンプを備えるメカニカルシールアセンブリ
KR101958457B1 (ko) 냉각유로를 가지는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JPS60159424A (ja) 潤滑および冷却について改善された多板クラツチ
US6789992B2 (en) Washer having oil-bearing holes
CN107975544A (zh) 用于车辆的离合器
EP3029343B1 (en) Tilting pad bearing and turbo compressor
CN108884860B (zh) 轴承装置及旋转机械
US20080121483A1 (en)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WO2012147433A1 (ja) 摩擦部材、クラッチプレート、クラッチ装置、及びトルクコンバータ
KR20240054676A (ko) 오일가이드
US20040172936A1 (en) Torque converter
JP6440516B2 (ja) 軸受装置および回転機械
US6869221B2 (en) Washer having oil-bearing holes
KR20150017500A (ko) 토크 컨버터
JP2000081115A (ja) 自動変速機の潤滑構造
CN215634379U (zh) 动压止推轴承
KR20200122496A (ko) 축하중 지지 장치
CN108884861B (zh) 轴承装置及旋转机械
KR20200122498A (ko) 반경하중 지지 장치
KR20110046151A (ko) 차량용 클러치 장치
JP6460818B2 (ja) 軸受装置および回転機械
US2888302A (en) Turbine driven fluid circulating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