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486A - 광선반장치 - Google Patents

광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486A
KR20240054486A KR1020220134510A KR20220134510A KR20240054486A KR 20240054486 A KR20240054486 A KR 20240054486A KR 1020220134510 A KR1020220134510 A KR 1020220134510A KR 20220134510 A KR20220134510 A KR 20220134510A KR 20240054486 A KR20240054486 A KR 20240054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s
frame
wire
light shelf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송이
이현민
박지온
이행우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3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486A/ko
Publication of KR2024005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48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반사판이 연속적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되고, 복수개의 반사판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실내측으로 태양광의 난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광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선반장치{LIGHT SHELF DEVICE}
본 발명은 광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반사판이 연속적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되고, 복수개의 반사판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실내측으로 태양광의 난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광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축 공간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자연광을 실내에 도입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자연광을 실내에 도입하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밝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거주자의 생활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거주자에게 심리적,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도입하기 위해 종래에는 건물에서 필요한 곳에 창호를 설치하여 자연광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그쳤다. 창호를 통하여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경우 창호와 가까운 곳의 주광 조도는 높아지는 반면, 창호와 먼 곳의 주광 조도는 낮아 불균형이 생긴다.
이와 같이 단순히 창호만를 통해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선반(Light Shelf)이 사용되고 있다. 광선반은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을 천장으로 반사시켜 실내조명으로 활용하기 위한 선반형태의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광선반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실내형 광선반과 실외형 광선반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실외형 광선반은 자연광을 보다 많이 건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지만, 고정된 형태를 가지므로 외부 조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따라서 최적의 채광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21-0059520호에 광선반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광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태양광 발전 광선반은 창틀(1)의 하단에 회전힌지(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선반(10)과, 상기 광선반(10)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힌지(12)에 의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모듈(13)과,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3)에 연결된 와이어(W)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상기 광선반(10) 및 태양광 발전모듈(1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30)과,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3)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36)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힌지(12)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3)이 상기 광선반(10)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구조가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광 발전 광선반은 광선반의 접힘동작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펼침동작 이후에 강풍이 발생하는 경우 광선반이 접힘동작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선반이 한방향으로만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태양광의 굴절각도가 제한적인 뿐만 아니라 실내측으로 반사되는 태양광이 실내측에 다양한 방향으로 조사되지 못함에 따라 채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21-005952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반사판이 연속적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되고, 복수개의 반사판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실내측으로 태양광의 난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광선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광선반장치는,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 설치되는 광선반프레임과,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안쪽 방향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는 복수개의 반사판과, 서로 다른 반사판의 맞닿는 부위에 고정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반사판이 안쪽 방향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되도록 안내하는 경첩부재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판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을 펼침 동작시키는 펼침와이어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판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을 접힘 동작시키는 접힘와이어와, 상기 펼침와이어 또는 상기 접힘와이어에 결합되며, 상기 펼침와이어 또는 상기 접힘와이어를 감김 또는 풀림 동작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은, 상기 펼침와이어 또는 상기 접힘와이어의 당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이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되어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반사판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행사변형 형태로 이루어져, 일면에 경면(鏡面)이 구비된다.
상기 광선반프레임은, 상기 창호프레임(W)에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로 길게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이 접힘 및 펼침동작되는 경우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판의 일측에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삼각 판재로 이루어져,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는 안내판이 더 구비되고,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판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반사판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이동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는, 도르레 형태로 이루어져, 복수개가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펼침와이어의 당김 및 풀림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도르레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선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반사판이 연속적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되고, 복수개의 반사판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복수개의 반사판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이 난반사됨으로써 실내측에 조사되는 채광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반사판의 반사각도를 다변화하여 실내측 빛의 유입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펼침와이어와 상기 접힘와이어의 당김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반사판의 반사각도가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복수개의 반사판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반사판의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가이드홈을 따라 복수개의 반사판이 접힘 및 펼침 동작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반사판의 안정적인 접힘 및 펼침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선반장치가 창호 또는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광선반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의 반사반이 접힘 및 펼침 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반사판이 경첩부재에 의해 서로 접힘 및 펼침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끝단에 위치하는 반사판에 펼침와이어와 당김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광선반프레임에 펼침도르레와 접힘도르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홈의 내부에 슬라이딩이동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반사판이 펼침 및 접힙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선반장치가 창호 또는 창호프레임에 설치되어 태양광이 반사판에 의해 난반사로 실내에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선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선반장치가 창호 또는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광선반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의 반사반이 접힘 및 펼침 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반사판이 경첩부재에 의해 서로 접힘 및 펼침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끝단에 위치하는 반사판에 펼침와이어와 당김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광선반프레임에 펼침도르레와 접힘도르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홈의 내부에 슬라이딩이동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반사판이 펼침 및 접힙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선반장치가 창호 또는 창호프레임에 설치되어 태양광이 반사판에 의해 난반사로 실내에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선반장치(10)는,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 설치되는 광선반프레임(12)과,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안쪽 방향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는 복수개의 반사판(22)과, 서로 다른 반사판(22)의 맞닿는 부위에 고정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반사판(22)이 안쪽 방향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되도록 안내하는 경첩부재(24)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판(22)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을 펼침 동작시키는 펼침와이어(32)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판(22)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을 접힘 동작시키는 접힘와이어(34)와, 상기 펼침와이어(32) 또는 상기 접힘와이어(34)에 결합되며, 상기 펼침와이어(32) 또는 상기 접힘와이어(34)를 감김 또는 풀림 동작시키는 구동부재(36)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은, 상기 펼침와이어(32) 또는 상기 접힘와이어(34)의 당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내부를 따라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이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되어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개시하고 있다.
건물(C)의 외벽에는 자연광의 유입 및 통풍을 위해서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이 설치된다. 상기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채광창(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의 내부에는 광선반장치(10)가 설치된다. 상기 광선반장치(10)는 크게 광선반프레임(12)과 반사판(2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은 수평프레임(14)과 측면프레임(1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4)은 단면이 사각형태를 가지는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양단은 각각 상기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의 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양측에는 각각 측면프레임(16)이 설치된다. 상기 측면프레임(16)은 단면이 사각 형상을 가지는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16)은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전방측으로 고정 설치된다. 서로 다른 상기 측면프레임(16) 사이에는 후술할 복수개의 반사판(22)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평프레임(14)과 상기 측면프레임(16)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1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8)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프레임(14)과 상기 측면프레임(16)을 중앙을 따라 좌우 또는 전후로 길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8)의 내부에는 후술할 슬라이딩이동부재(6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좌우 또는 전후 이동이 안내된다.
상기 측면프레임(16)과 상기 수평프레임(14)의 내부에는 가이드도르레(2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도르레(20)는 일반적인 도르레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도르레(20)는 수평프레임(14) 및 측면프레임(16)의 끝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도르레(20)는 상기 수평프레임(14) 및 측면프레임(16)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후술할 펼침와이어(32)의 당김 및 풀림 동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서로 다른 측면프레임(16) 사이에는 복수개의 반사판(22)이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22)은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경면(鏡面)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판(22)은 태양광을 반사시켜 창호(W)를 통해 건물(C)의 실내측으로 태양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서로 다른 반사판(22)의 맞닿는 부위에는 경첩부재(24)가 설치된다. 상기 경첩부재(24)는 일반적인 경첩(hinge)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경첩부재(24)는 서로 다른 반사판(22)이 맞닿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22)을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반사판(22)은 행과 열로 각각 복수개가 나란하게 설치되며, 각 반사판(22)의 맞닿는 부위에 상기 경첩부재(24)가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22)이 연속적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판(22)이 연속적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됨에 따라 상기 반사판(22)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반사판(22)에 의해 태양광의 난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복수개의 반사판(22)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이 난반사됨으로써 실내측에 조사되는 채광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반사판의 반사각도를 다변화하여 실내측 빛의 유입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반사판(22) 중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배치되는 반사판(22)에는 안내판(26)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판(26)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삼각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판(22)에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내판(26)과 상기 반사판(22)의 맞닿는 부위에는 경첩부재(24)가 설치되어, 상기 안내판(26)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판(26)의 하부면에는 회동블럭(50)이 설치된다. 상기 회동블럭(50)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볼삽입홈(52)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블럭(50)은 상기 안내판(26)의 하부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판(26)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4)과 상기 측면프레임(16)의 가이드홈(18) 내부에는 슬라이딩이동부재(60)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이동부재(6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홈(18)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4) 또는 수평프레임(16)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몸체부(62)와, 볼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몸체부(62)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볼삽입홈(52)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블럭(50)의 회동 동작을 안내하는 볼결합부(6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몸체부(62)는 상기 가이드홈(18)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볼결합부(64)는 상기 회동블럭(50)의 볼삽입홈(5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안내판(26)의 전방향 회동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이동부재(60)는 상기 회동블럭(50)에 의해 상기 안내판(26)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몸체부(62)의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홈(18)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안내판(26)과 상기 반사판(22)의 전후 이동 또는 좌우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22)의 끝단에는 연결고리(3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고리(30)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판(22)의 끝단부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연결고리(30)에는 후술할 펼침와이어(32)와 접힘와이어(34)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고리(30)에는 펼침와이어(32)와 접힘와이어(34)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펼침와이어(32)와 상기 접힘와이어(34)는 일반적인 와이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펼침와이어(32)는 상기 연결고리(30)에 고정 설치되어 복수개의 반사판(22)이 펼침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반사판(22)을 바깥쪽 방향으로 당김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힘와이어(34)는 상기 연결고리(30)에 고정 설치되어 복수개의 반사판(22)이 접힘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반사판(22)을 안쪽 방향으로 당김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4)과 상기 측면프레임(16)의 내부에는 구동부재(36)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재(36)는 와이어감김도르레(38)와 구동모터(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감김도르레(38)는 일반적인 도르레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와이어감김도르레(38)에는 도 5와 같이, 상기 펼침와이어(32) 또는 접힘와이어(34)가 감겨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감김도르레(38)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펼침와이어(32) 또는 상기 접힘와이어(34)의 당김 및 풀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감김도르레(38)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구동모터(4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40)는 일반적인 모터(moto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와이어감김도르레(38)에 직결로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감김도르레(38)를 정,역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반사판(22)의 펼침동작시에는 상기 구동부재(36)에 의해 상기 펼침와이어(32)는 당김 동작됨과 동시에 상기 접힘와이어(34)는 풀림 동작됨으로써 상기 반사판(22)의 펼침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반사판(22)의 접힘동작시에는 상기 구동부재(36)에 의해 상기 접힘와이어(34)는 당김 동작됨에 동시에 상기 펼침와이어(32)는 풀림 동작됨으로써 상기 반사판(22)의 접힘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양측에는 회동브라켓(4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브라켓(42)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동브라켓(42)의 후단부는 상기 창호(W) 또는 건물(C)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동브라켓(42)의 일측에는 회동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재에는 일반적인 모터 또는 실린더가 적용됨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동브라켓(4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광선반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 광선반장치(10)가 설치된다. 상기 광선반장치(10)가 상기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 배치되는 설치 높이는 실내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대략 180cm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선반장치(10)의 측면프레임(16) 사이에는 복수개의 반사판(22)이 설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은 행과 열로 각각 복수개가 나란하게 설치되며, 각 반사판(22)의 맞닿는 부위에 상기 경첩부재(24)가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22)이 연속적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판(22)이 연속적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됨에 따라 상기 반사판(22)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반사판(22)에 의해 태양광의 난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복수개의 반사판(22)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이 난반사됨으로써 실내측에 조사되는 채광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반사판(22)의 반사각도를 다변화하여 실내측 빛의 유입량을 최대화할 수 다.
복수개의 반사판(22) 중 끝단에 배치된 반사판(22)에는 펼침와이어(32)와 접힘와이어(34)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광선반프레임(1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의 펼침 동작시에는, 상기 펼침와이어(32)가 당김동작되어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반사판(22)이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펼침와이어(32)의 당김 동작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이 펼침 동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반사판(22)의 반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광선반프레임(1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의 접힘 동작시에는, 상기 접힘와이어(34)가 당김동작되어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반사판(22)이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동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접힘와이어(34)의 당김동작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22)이 접힘 동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반사판(22)의 반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펼침와이어(32)와 상기 접힘와이어(34)의 당김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반사판(22)의 반사각도가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반사판(22)이 상기 경첩부재(24)에 의해 접힘 및 펼침 동작됨으로써,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의 난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광선반장치의 구조에 의해 시간대 별로 변화하는 복수개의 반사판(22)이 접힘 및 펼침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반사판(22)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실내측으로 반사되는 태양광이 난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반사판(22)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실내측에 조사되는 채광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반사판(22)의 반사각도를 다변화하여 실내측 빛의 유입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반사판(22)의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가이드홈(18)을 따라 복수개의 반사판(22)이 접힘 및 펼침 동작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반사판(22)의 안정적인 접힘 및 펼침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도르레(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펼침와이어(32)의 당김 및 풀림 동작시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내부에서 상기 펼침와이어(32)의 당김 및 풀림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광선반장치 12. 광선반프레임
14. 수평프레임 16. 측면프레임
18. 가이드홈 20. 가이드도르레
22. 반사판 24. 경첩부재
26. 안내판 30. 연결고리
32. 펼침와이어 34. 접힘와이어
36. 구동부재 38. 와이어감김도르레
40. 구동모터 42. 회동브라켓
50. 회동블럭 52. 볼삽입홈
60. 슬라이딩이동부재(60) 62. 슬라이딩몸체부
64. 볼결합부

Claims (5)

  1.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 설치되는 광선반프레임과;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안쪽 방향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는 복수개의 반사판과;
    서로 다른 반사판의 맞닿는 부위에 고정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반사판이 안쪽 방향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되도록 안내하는 경첩부재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판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을 펼침 동작시키는 펼침와이어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판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을 접힘 동작시키는 접힘와이어와;
    상기 펼침와이어 또는 상기 접힘와이어에 결합되며, 상기 펼침와이어 또는 상기 접힘와이어를 감김 또는 풀림 동작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은,
    상기 펼침와이어 또는 상기 접힘와이어의 당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이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되어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이 다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행사변형 형태로 이루어져, 일면에 경면(鏡面)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반프레임은,
    상기 창호프레임(W)에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로 길게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이 접힘 및 펼침동작되는 경우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광선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일측에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삼각 판재로 이루어져,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는 안내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안내판의 하부면에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볼형상의 볼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판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블럭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는,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몸체부와, 볼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몸체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볼삽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블럭의 회동 동작을 안내하는 볼결합부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판과 안내판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이동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는,
    도르레 형태로 이루어져, 복수개가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펼침와이어의 당김 및 풀림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도르레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반장치.
KR1020220134510A 2022-10-19 2022-10-19 광선반장치 KR20240054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510A KR20240054486A (ko) 2022-10-19 2022-10-19 광선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510A KR20240054486A (ko) 2022-10-19 2022-10-19 광선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486A true KR20240054486A (ko) 2024-04-26

Family

ID=9088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510A KR20240054486A (ko) 2022-10-19 2022-10-19 광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4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520A (ko) 2019-11-15 2021-05-2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광선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520A (ko) 2019-11-15 2021-05-2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광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3201A1 (en) A shading apparatus for glazed facade or roof elements
US20110011009A1 (en) Deformable slat system
WO200613581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olar control
KR101400993B1 (ko) 광선반 장치
KR20210059520A (ko) 태양광 발전 광선반
KR20240054486A (ko) 광선반장치
US8885255B2 (en) Daylight harvesting shelf and method of improving interior natural light
CN111576630B (zh) 一种遮阳、反光、导风一体化建筑构造
KR101591077B1 (ko) 태양광 발전 광선반
JP2006222011A (ja) 建築物
KR20240054487A (ko) 접이식 광선반장치
KR101090972B1 (ko) 접이식 창문
KR10205693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광선반
CN210105707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卷取式天幕帘
JP2005530067A (ja) 室内の日除け装置
JP2005166456A (ja) 照明効果を高める採光方法および採光器具
KR20110012970A (ko)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RU22366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щения солнечным светом помещений многоэтажного жилого дома
KR200198720Y1 (ko) 자연광 유입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절곡형 날을가진 블라인드
JP2013165000A (ja) 可動庇システム
KR20160116073A (ko) 태양광 패널이 구비되는 차광 전환형 광선반 장치 및 상기 광선반 장치가 구비된 건축물
JP4172956B2 (ja) 光ダクト装置
CN216197739U (zh) 一种高层办公楼遮阳采光装置
CN113338766B (zh) 一种具有高效采光功能的窗架系统
JP2023130024A (ja) 窓用の太陽光発電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