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487A - 접이식 광선반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광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487A
KR20240054487A KR1020220134511A KR20220134511A KR20240054487A KR 20240054487 A KR20240054487 A KR 20240054487A KR 1020220134511 A KR1020220134511 A KR 1020220134511A KR 20220134511 A KR20220134511 A KR 20220134511A KR 20240054487 A KR20240054487 A KR 20240054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elf
rotation axis
frame
light
sol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소원
정수연
황지영
이행우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3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487A/ko
Publication of KR2024005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4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태양광의 조사각도에 따라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의 경사각도를 조절해줌에 따라 실내측에 조사되는 채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태양광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접이식 광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광선반장치{Folding Light Shelf Device}
본 발명은 접이식 광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태양광의 조사각도에 따라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의 경사각도를 조절해줌에 따라 실내측에 조사되는 채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태양광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접이식 광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축 공간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자연광을 실내에 도입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자연광을 실내에 도입하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밝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거주자의 생활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거주자에게 심리적,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도입하기 위해 종래에는 건물에서 필요한 곳에 창호를 설치하여 자연광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그쳤다. 창호를 통하여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경우 창호와 가까운 곳의 주광 조도는 높아지는 반면, 창호와 먼 곳의 주광 조도는 낮아 불균형이 생긴다.
이와 같이 단순히 창호만을 통해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선반(Light Shelf)이 사용되고 있다. 광선반은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을 천장으로 반사시켜 실내조명으로 활용하기 위한 선반형태의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광선반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실내형 광선반과 실외형 광선반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실외형 광선반은 자연광을 보다 많이 건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지만, 고정된 형태를 가지므로 외부 조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따라서 최적의 채광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21-0059520호에 광선반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광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태양광 발전 광선반은 창틀(1)의 하단에 회전힌지(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선반(10)과, 상기 광선반(10)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힌지(12)에 의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모듈(13)과,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3)에 연결된 와이어(W)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상기 광선반(10) 및 태양광 발전모듈(1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30)과,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3)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36)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힌지(12)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3)이 상기 광선반(10)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구조가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광 발전 광선반은 광선반의 접힘동작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에 의해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펼침동작 이후에 강풍이 발생하는 경우 광선반이 접힘동작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선반이 와이어 동작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회동동작이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광선반의 정밀한 각도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21-005952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태양광의 조사각도에 따라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의 경사각도를 조절해 줌에 따라 실내측에 조사되는 채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태양광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접이식 광선반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광선반 장치는, 창호 또는 창호프레임에 설치되는 광선반프레임과,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반사판과,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반사판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태양광패널과, 상기 반사판 또는 태양광패널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 또는 태양광패널을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안내하는 광선반회동축과, 상기 광선반회동축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광선반회동축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선반회동축의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 및 상기 태양광패널이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된다.
상기 광선반프레임은,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창호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로 길게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되고, 상기 광선반회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광선반회동축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면에서 상기 가이드홈까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면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광선반회동축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회동축안내홀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에는, 상기 광선반회동축의 상승 동작시 상기 광선반회동축을 상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쉬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푸쉬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 상기 광선반회동축이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광선반회동축을 자력으로 끌어당기는 자력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광선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광선반장치는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태양광의 조사각도에 따라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의 경사각도를 조절해줌에 따라 실내측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향상시켜 실내의 채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태양광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선반프레임에 푸쉬부재가 설치되어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의 초기 접힘동작시 광선반회전축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내줌에 따라 회동부재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회동부재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푸쉬부재의 하부에 자력부재가 설치되어, 가이드홈에 위치되는 상기 광선반회동축을 자력으로 끌어 당겨줌에 따라 광선반회동축의 정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광선반회동축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광선반장치가 창호 또는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광선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광선반장치의 반사판 및 태양광패널이 펼침 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이 접힘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이 펼침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광선반회동축에 회동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개의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이 펼침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개의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이 접힘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의 접힘 및 펼침각도에 따라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반사광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광선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광선반장치가 창호 또는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광선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광선반장치의 반사판 및 태양광패널이 펼침 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이 접힘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이 펼침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광선반회동축에 회동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개의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이 펼침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개의 반사판과 태양광패널이 접힘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광선반장치(10)는,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 설치되는 광선반프레임(12)과,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반사판(38)과,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반사판(38)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태양광패널(40)과, 상기 반사판(38) 또는 태양광패널(4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38) 또는 태양광패널(40)을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안내하는 광선반회동축(42)과,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44)를 포함하며,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의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38) 및 상기 태양광패널(40)이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의 내부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됨이 특징으로 제시되어 있다.
건물(C)의 외벽에는 자연광의 유입 및 통풍을 위해서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이 설치된다. 상기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는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채광창(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의 내부에는 접이식 광선반장치(10)가 설치된다. 상기 접이식 광선반장치(10)는 크게 광선반프레임(12)과 반사판(38) 그리고 태양광패널(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선반프레임(12)은 수평프레임(14)과 측면프레임(1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4)은 단면이 사각형태를 가지는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양단은 각각 상기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의 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양측에는 각각 측면프레임(16)이 설치된다. 상기 측면프레임(16)은 단면이 사각 형상을 가지는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16)은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전방측으로 고정 설치된다. 서로 다른 상기 측면프레임(16) 사이에는 후술할 복수개의 반사판(38)과 태양광패널(40)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측면프레임(16)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0)은 상기 측면프레임(16)의 중앙을 따라 전후로 길게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0)의 내부에는 후술할 광선반회동축(42)이 삽입되어, 광선반회동축(42)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프레임(16)의 상부면에는 회동축안내홀(22)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안내홀(22)은 상기 측면프레임(16)의 상부면에서 상기 가이드홈(20)까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안내홀(22)은 상기 측면프레임(16)의 상부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회동축안내홀(22)의 양측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24)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4)은 상기 회동축안내홀(22)의 양측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어, 후술할 반사판(38)과 태양광패널(40)이 접힘 및 펼침 동작되는 경우 후술할 광선반회동축(42)이 상기 가이드홈(20) 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4와 도 5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0)의 하부에는 푸쉬부재(26) 및 자력부재(36)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푸쉬부재(26)와 자력부재(36)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20)의 하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푸쉬부재 수용홈(28)이 형성된다. 상기 푸쉬부재 수용홈(28)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축안내홀(22)과 동일 축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푸쉬부재 수용홈(28)의 내부에는 후술할 푸쉬부재(26)와 자력부재(36)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푸쉬부재 수용홈(28)의 내부에는 푸쉬부재(26)가 설치된다. 상기 푸쉬부재(26)는 크게 푸쉬몸체(30)와 가이드몸체(32) 그리고 탄성체(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쉬몸체(30)는 상기 푸쉬부재 수용홈(28)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푸쉬부재 수용홈(28)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푸쉬몸체(30)는 상기 푸쉬부재 수용홈(28)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후술할 광선반회동축(42)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푸쉬몸체(30)의 내부에는 가이드몸체(32)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몸체(32)는 상기 푸쉬몸체(30)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푸쉬몸체(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몸체(32)는 상기 푸쉬몸체(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쉬몸체(30)의 승강 동작시 상기 푸쉬몸체(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몸체(32)의 내부에는 탄성체(34)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34)는 일반적인 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체(34)의 상단부는 상기 푸쉬몸체(30)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몸체(32)에 밀착되어 상기 푸쉬몸체(30)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몸체(32)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체(34)에 의해 상기 푸쉬몸체(30)가 상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됨에 따라 후술할 반사판(38)과 태양광패널(40)의 접힘 동작시 상기 푸쉬몸체(30)가 후수할 광선반회동축(42)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냄에 따라 보다 원활한 후술할 반사판(38)과 태양광패널(40)의 접힘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할 회동부재(44)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재(26)의 하부에는 자력부재(36)가 설치된다. 상기 자력부재(36)는 일반적인 자석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력부재(36)는 상기 푸쉬부재(2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을 자력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푸쉬부재(26)의 상측에 후술할 광선반회동축(42)이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자력부재(36)가 자력을 통해 후술할 광선반회동축(42)을 끌어당김으로써, 후술할 회동부재(44)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후술할 광선반회동축(42)의 상측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부재(36)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20)과 인접한 위치에 후술할 광선반회동축(42)이 위치되는 경우에 자력에 의해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을 정위치로 끝어 당겨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후술할 광선반회동축(42)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측면프레임(16) 사이에는 반사판(38)과 태양광패널(40)이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38)은 일반적인 반사판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반사판(38)의 상부면에는 경면(鏡面)이 구비되어, 태양광의 조사 각도에 따라 창호(W)를 통해 건물(C)의 실내측으로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판(38)의 일측에는 태양광패널(40)이 설치된다. 상기 태양광패널(40)은 일반적인 태양광패널(40)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태양광패널(40)은 상기 반사판(38)의 전단 또는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은 서로 다른 측면프레임(16) 사이에 서로 번갈아가며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광선반회동축(42)이 설치된다.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홈(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부분은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결합부위에 관통 고정된다.
즉,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의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홈(20)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전후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의 일부분이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결합부위에 관통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시 회동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의 일측에는 회동부재(4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44)는 일반적인 모터 또는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동부재(44)는 상기 광선반회동축(42)과 직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판(38)과 태양광패널(40)의 접힘 및 펼침동작시에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회동부재(44)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44)와 직결로 연결된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이 회전운동되고, 이에 따라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38)과 태양광패널(40)이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을 기준으로 접힘 및 펼침동작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은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판(38)의 경우에는 태양광의 조사각도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44)에 의해 실내측 방향으로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실내측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광량을 증가되어 실내의 채광 효과를 높일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패널(40)의 경우에는 태양광의 조사각도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44)에 의해 실외측 방향으로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태양광패널(40)의 태양광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상기 태양광패널(40)의 전기에너지 생산 효율을 한층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접이식 광선반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 접이식 광선반장치(10)가 설치된다. 상기 접이식 광선반장치(10)이 상기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 배치되는 설치 높이는 실내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대략 180cm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이식 광선반장치(10)의 측면프레임(16) 사이에는 복수개의 반사판(38)과 태양광패널(40)의 번갈아가며 설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은 광선반회동축(42)의 의해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광선반회동축(42)과 직결로 연결되는 회동부재(44)에 의해 접힘 및 펼침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38)의 경우에는 실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태양광패널(40)의 경우에는 실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44)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경사배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간대 별로 변화하는 태양광의 조사각도에 따라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경사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반사판(38)에 의해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태양광패널(40)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집광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은 도 8과 같이 완전히 접힘 동작될 수 있으며, 이는 날씨에 따라 외부에 강풍이 부는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회동부재(44)를 동작시켜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을 완전히 접힘 동작시킴으로써 접이식 광선반장치(10)는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프레임(16)의 내부에는 푸쉬부재(26)가 설치된다. 상기 푸쉬부재(26)는 가이드홈(2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재(26)는 도 4와 같이,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접힘 동작시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초기 접힘동작시 회동부재(44)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44)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푸쉬부재(26)의 하부에는 자력부재(36)가 설치된다. 상기 자력부재(36)는 상기 푸쉬부재(26)의 상측에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이 배치되는 경우에 자력을 통해 상기광선반회동축(42)을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회동부재(44)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의 상측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부재(36)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20)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이 위치되는 경우에 자력에 의해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을 정위치로 끝어 당겨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이식 광선반장치의 구조에 의해 시간대로 별로 변화하는 태양광의 조사각도에 따라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경사각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해 줌에 따라 실내측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향상시켜 실내의 채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패널(40)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태양광패널(40)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생산량 및 생산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프레임(16)에 상기 푸쉬부재(26)가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38)과 상기 태양광패널(40)의 초기 접힘동작시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내줌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44)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44)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부재(26)의 하부에 자력부재(36)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20)에 위치되는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을 자력으로 끌어 당겨줌에 따라 상기 광선반회동축(42)의 정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광선반회동축(4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접이식 광선반장치 12. 광선반프레임
14. 수평프레임 16. 측면프레임
20. 가이드홈 22. 회동축안내홀
24. 경사면 26. 푸쉬부재
28. 푸쉬부재 수용홈 30. 푸쉬몸체
32. 가이드몸체 34. 탄성체
36. 자력부재 38. 반사판
40. 태양광패널 42. 광선반회동축
44. 회동부재

Claims (5)

  1. 창호(W) 또는 창호프레임(W)에 설치되는 광선반프레임과;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반사판과;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반사판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태양광패널과;
    상기 반사판 또는 태양광패널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 또는 태양광패널을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안내하는 광선반회동축과;
    상기 광선반회동축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광선반회동축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선반회동축의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반사판 및 상기 태양광패널이 상기 광선반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광선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반프레임은,
    상기 창호프레임(W)에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로 길게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되고, 상기 광선반회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광선반회동축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접이식 광선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면에서 상기 가이드홈까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면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광선반회동축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회동축안내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광선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에는,
    상기 광선반회동축의 상승 동작시 상기 광선반회동축을 상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쉬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광선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 상기 광선반회동축이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광선반회동축을 자력으로 끌어당기는 자력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광선반장치.
KR1020220134511A 2022-10-19 2022-10-19 접이식 광선반장치 KR20240054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511A KR20240054487A (ko) 2022-10-19 2022-10-19 접이식 광선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511A KR20240054487A (ko) 2022-10-19 2022-10-19 접이식 광선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487A true KR20240054487A (ko) 2024-04-26

Family

ID=9088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511A KR20240054487A (ko) 2022-10-19 2022-10-19 접이식 광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4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520A (ko) 2019-11-15 2021-05-2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광선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520A (ko) 2019-11-15 2021-05-2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광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552B1 (ko) 태양광 발전 광선반
CN110725483B (zh) 一种圆柱形建筑顶部采光系统及方法
KR101400993B1 (ko) 광선반 장치
CN111576630B (zh) 一种遮阳、反光、导风一体化建筑构造
KR20240054487A (ko) 접이식 광선반장치
KR101591077B1 (ko) 태양광 발전 광선반
WO2023226447A1 (zh) 一种环保玻璃幕墙结构
KR20000065915A (ko) 태양광 적응형 블라인더장치
KR101090972B1 (ko) 접이식 창문
KR20240054486A (ko) 광선반장치
CN202214917U (zh) 太阳能光伏发电外遮阳装置
CN214117290U (zh) 一种太阳光跟踪调节遮阳板
CN114775924A (zh) 绿色建筑的天窗结构以及绿色建筑
CN114439285A (zh) 一种采光遮阳一体化教室模块
CN113863830A (zh) 一种应用光伏阵列实现住宅建筑节能装置及使用方法
KR10205693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광선반
CN219826613U (zh) 一种具有导光中空玻璃
CN218449955U (zh) 一种写字楼玻璃外接太阳能板
CN113338766B (zh) 一种具有高效采光功能的窗架系统
KR100474814B1 (ko) 빛의 굴절각도조절 및 투명차단기능을 구비한 벽체
CN216197739U (zh) 一种高层办公楼遮阳采光装置
CN211950121U (zh) 一种节能隔热型窗框
JP2023130024A (ja) 窓用の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14402471U (zh) 一种采光通风天窗系统
KR200198720Y1 (ko) 자연광 유입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절곡형 날을가진 블라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