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454A -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454A
KR20240054454A KR1020220134133A KR20220134133A KR20240054454A KR 20240054454 A KR20240054454 A KR 20240054454A KR 1020220134133 A KR1020220134133 A KR 1020220134133A KR 20220134133 A KR20220134133 A KR 20220134133A KR 20240054454 A KR20240054454 A KR 2024005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ruit
parts
cosmetic composition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찬성
김소희
김미애
고미선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신비 filed Critical ㈜브이에스신비
Priority to KR102022013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454A/ko
Publication of KR2024005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4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물 7,000 내지 9,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9MPa의 압력 및 115 내지 140℃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추출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노화방지, 주름개선, 및/또는 미백효과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A Preparation Methods of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ubcritical Water Extracts of Idesia Polycarpa Fruit}
본 발명은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나무 열매를 분쇄한 분쇄물을 아임계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학의 진보와 사회, 경제, 문화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 수명을 100세 혹은 그 이상까지 기대할 수 있는 시대에서, 성별과 나이를 불문하고 어떻게 하면 더 젊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듯 식생활, 미용,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항노화(Anti-aging)에 대한 이슈들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것도 시대적 현상이다.
한편, 피부는 그 자체로서 외부 자극 인자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미적 및 감정적으로도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피부는 교환 기관으로서, 시각적 및 촉각적 양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피부는 다양한 세포 유형을 포함하며,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는 어두운 멜라닌 색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멜라닌은 멜라노솜으로 불리는 작은 소낭을 통해 인근의 케라틴 세포로 보내지고, 이로 인해 피부의 태닝(tanning)을 유발한다.
또한, 피부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외부 자극인자, 예를 들어 자외 복사선, 오염 등의 대상이 되어, 외관이 변하기 쉽다.
특히, 태양 복사선, 구체적으로 자외 복사선은 멜라닌 합성을 야기하여, 피부의 "암화(darkening)" 또는 착색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양에서는 수십 년 동안, 선탠을 한 피부 색조 및/또는 태닝된 피부의 "멋진(radiant)" 외관에 대해 남성 및 여성 모두 양호한 건강 상태 및/또는 매력으로 인식했다.
따라서 특정 가게에서 UV 태닝용 베드로 연중 지속적으로 태닝하는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해 피부노화 및/또는 피부에서의 증가된 색소 침착으로 인한 피부 반점의 형성을 유발하기 용이한바, 이는 불규칙한 색소 침착을 유발하여 태양 노출 중 또는 이후에 반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피부의 불규칙적인 색소 침착이 이루어져 매력적이지 않은 외모를 형성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부의 색소 침착 과잉의 경우에는 광감작 및/또는 상처를 치유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으며, 이 또한 매력적이지 않은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임신한 여성의 호르몬 변화, 특히 여성 성 호르몬 수준의 증가로 인해 멜라닌 세포에 의한 멜라닌 합성이 매우 증가하는바, 이러한 경우, 임신 색소 침착 과잉 또는 기미가 성 호르몬의 높은 생산으로 인한 멜라닌 세포의 과다 활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임신 기간에 피부가 태양에 노출되면, 피부의 색소 침착 과잉, 예를 들면 "임신 마스크(mask of pregnancy)"로 불리는 반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색소 반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출산 및 여성 성 호르몬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온 후에도 잔존하거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줄어들 수는 있지만 태양/자외선에 노출될 때 마다 자연스럽게 재출현하고, 이로 인하여 얼굴 피부에 불규칙적인 색소 침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색소 반점은 노인성 흑색점 또는 검버섯 등과 같이 노인을 대상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색소 침착의 불규칙성은 피부 표면에서 멜라닌의 국소화된 농도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그 발생 원인과 상관없이, 피부 침착의 결함, 즉 호르몬 변화, 자외선 및/또는 태양에의 노출 과다, 또는 피부 노화로 인한 멜라닌 생산의 증가를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 또는 생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해 지고 있다.
한편, 아시아 지역, 특히 중국, 일본 및 한국에서는 피부의 외관을 사회 경제적 척도로 간주하기도 한다. 실제로, 이 지역에서는 썬텐한 피부가 상대적으로 열등한 사회적 직업, 예를 들어 건설현장 또는 야외에서 일하는 사람, 농부 등으로 인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생활 방식이 태양 노출의 양을 결정하고 사회 경제적 수준을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몇 세기 동안 아시아 지역에서는, 백색 피부가,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게이샤(geisha)의 경우, 아름다움 및/또는 부유한 사회적 등급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결국, 주름 및 잔주름, 색소 반점 등은 아시아인의 피부에 대해서는 피부 노화의 주요 임상적 징후 중 하나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멜라닌 생산을 감소시키거나 이것의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윤광을 가능하게 만드는 조성물 또는 생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120355호에는 메도스위트 추출물, 하나 이상의 뽕나무 잎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피부과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20355(공개일자 2016.10.1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이나무 열매를 분쇄한 분쇄물을 아임계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구성함으로써, 피부노화방지, 주름개선, 및/또는 미백효과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물 7,000 내지 9,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9MPa의 압력 및 115 내지 140℃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추출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노화방지, 주름개선, 및/또는 미백효과 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의 항염활성을 나타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물 7,000 내지 9,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9MPa의 압력 및 115 내지 140℃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추출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물 7,000 내지 9,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9MPa의 압력 및 115 내지 140℃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추출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오일 5 내지 40중량부를 혼합하는 화장품 조성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이란 인체를 청결 및/또는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등의 건강을 유지 및/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조성물로 세정제(detergents) 및 화장품(cosmetics)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supercritical fluid)란 물질이 액체와 기체의 두 상태가 서로 분간할 수 없게 되는 임계상태에서의 온도와 이때의 증기압 즉, 그의 임계점보다 높은 온도와 압력하에 있을 때 즉, 초임계점 이상의 상태에 있는 유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아임계 유체(sub-supercritical fluid)란 초임계 유체와 거의 비슷한 성격을 가진 유체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아임계 추출법이란 상기 아임계 유체를 이용한 추출법을 지칭한다.
이때, 상기 아임계 유체는 물, 이산화탄소, 에틸렌, 에탄, 프로판, 아세틸렌 또는 암모니아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경제적이고, 유해성분이 없으며, 안전하게 폐기할 수 있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여 추출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확인한 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임계 수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아임계 수란 아임계 조건의 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이나무 열매 추출물, 특정적으로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물 7,000 내지 9,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8,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9MPa, 바람직하게는 약 7MPa의 압력 및 115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약 135℃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20분, 바람직하게는 약 15분 동안 추출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은 일반적인 물 또는 증류수일 수 있고, 상기 증류수는 1차 증류수 또는 2차 증류수 또는 3차 증류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나무(Idesia polycarpa)는 이나무과(Flacourt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높이가 약 15m에 달하고, 한국,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교목으로 의나무, 위나무라고도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전라도 등에 자라며,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포도송이처럼 달리며 10 내지 11월에 황적색으로 익는다.
이러한 이나무의 잎은 산동엽이라고 하고 종자의 기름을 산동자라 하며, 이뇨작용과 신경통, 류마티스 관절염에도 효능이 있으며 타박상이나 골절로 인한 통증을 완화 시켜준다.
또한, 이나무 종자는 리놀산과 리놀렌산이 풍부하며 독성이 없어서 먹을 수 있고 페놀이 많이 들어 있어서 뛰어난 항산화 작용을 하며, 이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항염, 뿌리에서 미백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한방에서는 이나무의 씨를 산동자라 하여 살충제로 쓰였고, 산동엽이라 불리는 잎은 지혈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Kim et al., 2005). 이나무의 성분으로 페놀성 글리코시드(phenolic glycoside) 계열의 이데신(idesin), 살리레핀(salirepin), 페나진(phenazine) 유도체 계열, 및 특히 이나무 열매에서 이데솔리드(idesolide), 카르팔리드(carpalide), 이데솔리딘(idesolidine) 등의 성분들이 분리 및 보고되었다. 이들의 활성과 관련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Baek et al., 2006), 해마의 존성 재인 기억 향상 효과(Lee et al., 2008), C2C12 근육세포주에서 세포내 HSP 70의 유도를 통한 세포사멸 저해 활성(Jung et al., 2010)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나무 열매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이나무 열매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나무 열매를 분쇄한 분쇄물, 추천하기로는 평균입경이 0.5 내지 3mm인 분쇄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이나무 열매 분쇄물을 제조하는 것은 상기 이나무 열매를 통상의 육상식물 분쇄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분쇄물 제조과정에 앞서 이나무 열매의 건조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이나무 열매 분쇄물을 제조하는 것은 상기 이나무 열매를 건조하는 과정 및 상기 건조된 이나무 열매를 분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이나무 열매 건조는 통상의 식물 또는 육상식물 건조방법, 한 가지 양태로 자연건조법, 열풍건조법, 냉동건조법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자연건조법은 20℃ 내지 30℃의 온도조건 및 통풍이 가능한 통기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물 7,000 내지 9,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8,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9MPa, 바람직하게는 약 7MPa의 압력 및 115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약 135℃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20분, 바람직하게는 약 15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아임계수 추출물은 상기 아임계 추출 후에 여과공정, 농축공정 또는 건조공정을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공정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농축공정은 감압농축 등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공정은 열풍건조 또는 냉동건조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이거나 주름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또는 항주름용 화장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이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40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즉,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의 함량은 피부 관련 기능성, 구체적으로 주름 방지, 미백, 및/또는 피부노화방지 효과 등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소치 이상의 함량이어야 하나, 피부자극 여부 및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 이내에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유효성분의 함량 및 추가 성분의 함량은 제형 및/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의 일 양태는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물 7,000 내지 9,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8,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9MPa, 바람직하게는 약 7MPa의 압력 및 115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약 135℃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20분, 바람직하게는 약 15분 동안 추출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오일 5 내지 40중량부를 혼합하는 화장품 조성물 혼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정제수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정제수 외 나머지 성분은 상기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해바라기오일, 코코넛 오일, 피마자 오일, 라벤더 오일, 아보카도 오일, 카놀라 오일, 포도씨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 외의 기타 다양한 오일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식물성 오일은 전체 식물성 오일 사용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해바라기 오일 및 코코넛 오일을 1.5중량% 및 0.5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특정적으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화장품 조성물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연고,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또는 면도용 화장품 등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의 예로는 파운데이션,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메이크업 베이스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이 있을 수 있고,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다른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린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화장품 조성물과 혼합한 화장품 조성물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추가로 주름개선 효과나 미백 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이나 다른 기능성 한 가지 양태로, UV차단 또는 보습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이나 물성 개선을 위한 부형제, 희석제 등의 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가지 양태로,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는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또는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 유지성분,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pH 조정제, 알콜,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또는 정제수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타이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이외의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에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특정적으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하기의 특정 양태의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특정적으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항암, 항콜레스테롤, 혈액응고 저해, 혈압조절 등의 혈류 개선 및 지질대사 개선을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미역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역은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는 갈조류로서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며 연해주, 중국, 일본 등 극동지방 특산의 해조류로서,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황 등의 무기질, 식이섬유소, 리놀산 및 비타민 등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특히, 상기 미역은 우수한 보습력과 항산화능 및 항염증능으로 다양한 화장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특정적으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항산화 작용, 해독 작용, 항염증 활성 등의 여러 생리적 활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어성초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 약초로써 약모밀 혹은 삼백초라고도 불리며,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이다. 어성초는 잎에서 특유의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이뇨, 진통, 지혈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생약재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비타민 C와 플라보노이드가 등을 부가하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황금하귤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황금하귤은 운향과에 속하는 늘푸른나무로 제주에 분포한다. 당도가 높은 편이며, 과육은 부드럽고 즙이 많다. 높이는 3m까지 자라며 입사귀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이 밋밋하다. 하귤에는 비타민 C와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강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녹나무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녹나무는 목련목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베트남, 대만, 일본 등에 분포하고 제주도에 자생한다. 키는 20 m 정도이고 어린 가지는 황록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광택이 나며 3개의 잎맥이 나란히 나 있고, 어린잎은 약간 붉은색이 돈다. 목재, 가지, 잎, 뿌리를 수증기에 증류하여 만드는 장뇌(樟腦)는 강장제나 흥분제로 사용하는데, 주사약으로 만들어 호흡중추, 혈관, 신경, 중추, 심장 등의 자극제로 쓴다. 방충제, 방부제, 향료의 재료로도 이용하며 목재는 건축재나 가구재로 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노화에 따른 피부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녹차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녹차는 탄닌 성분에 의한 해독작용과 살균작용, 폴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한 악취성분에 대하여 강한 소취효과를 제고하여 항균효과 등이 있으며, 노화에 따른 피부 기능성 향상을 제공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유해 물질로부터 피부 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브로콜리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Broccoli))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항산화 작용을 갖는 베타-카로틴, 루틴, 아스코르빈산, 셀레늄, 케르세틴, 글루타티온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칼슘, 비타민C, 엽산 등의 영양 성분을 함유한다. 브로콜리는 피부 속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고 피부 노화를 방지하며, 유해 물질로부터 피부 저항력을 향상시키는데 관여하며, 피부에 긴장감을 부여하고 모공 수렴 작용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하고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건강한 피부로 개선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알로에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글리세린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항암, 혈압강하, 항균, 및 항염증 등의 여러 생리적작용을 부가하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연교 발효추출 원액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교 발효추출 원액은 연교 100중량부 기준으로, 올리고당 5 내지 50중량부, 설탕 5 내지 50중량부 및 발효미생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발효하고 숙성시켜 연교 발효액을 제조한 뒤 이를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노와 방지를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솔잎 발효추출 원액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솔잎 발효추출 원액은 솔잎 100중량부 기준으로, 올리고당 5 내지 50중량부, 설탕 5 내지 50중량부 및 발효미생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발효하고 숙성시켜 솔잎 발효액을 제조한 뒤 이를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솔잎은 소나무의 잎과 새순으로,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A,B,K,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안 등을 함유하고 있어, 고혈압, 중풍, 당뇨, 노화방지, 빈혈, 숙취해소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의 혈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당귀 발효추출 원액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당귀 발효추출 원액은 당귀 100중량부 기준으로, 올리고당 5 내지 50중량부, 설탕 5 내지 50중량부 및 발효미생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발효하고 숙성시켜 당귀 발효액을 제조한 뒤 이를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고삼 발효추출 원액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삼 발효추출 원액은 고삼 100중량부 기준으로, 올리고당 5 내지 50중량부, 설탕 5 내지 50중량부 및 발효미생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발효하고 숙성시켜 고삼 발효액을 제조한 뒤 이를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삼(Sophora angustifolia SIEB. et Zucc)은 다년생 초본으로 다 자라면 높이 1m에 달하는 콩과의 다년생초본이다. 잎 모양이 회화나무(괴화)와 비슷하여 지괴, 수괴, 야괴라는 별명이 있다. 가을에 뿌리를 캐어 씻어 말리며, 맛이 쓰지만 인삼과 같은 효과가 있다하여 고삼이라 한다. 고삼의 성분으로는 식물전체에 알칼로이드가 있다. 뿌리의 총 알칼로이드는 1.1%이며, 알칼로이드의 성분은 마트린(소포카르피딘), 옥시마트린, 소포라놀, 아나기린, 메틸시티진, 바브티플린, 소포카르핀, 알로마트린 등이 있다. 이 밖에 약 13%의 당분이 있으며, 뿌리에서 플라보놀화합물인 이소안히드로이카리딘, 노르안히드로이카리딘 등이 분리되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윈터그린 발효추출 원액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터그린 발효추출 원액은 윈터그린 100중량부 기준으로, 올리고당 5 내지 50중량부, 설탕 5 내지 50중량부 및 발효미생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발효하고 숙성시켜 위터그린 발효액을 제조한 뒤 이를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윈터그린(잎)은 통상 감각 특성(향 및 맛)이 따뜻하고, 달콤하여, 그 추출물은 향수, 식품, 음료수, 캔디, 츄잉 껌 등에 사용되었으며, 달인 즙은 인후염을 진정시키기 위해 가글제로 쓰였으며, 피부 염증을 다스리기 위해서도 쓰였다.
한편, 전술한 발효추출 원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효미생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발효미생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Bacillus), 마이크로코쿠스 콘글로메라터스(Micrococcus conglomeratus), 마이크로코쿠스 에피메테우스(Micrococcus epimetheus), 마이크로코쿠스섭플라베센스(Micrococcus subflavescens), 마이크로코쿠스 베리아너스(Micrococcus varianus), 락틱산 균(Lactic acid bacteria), 부트릭산 균(Butyric acid bacteria), 류코노스톡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리조푸스 트리티시(Rhizopus tritici), 리조푸스 타마리(Rhizopus tamari), 리조푸스 치넨시스(Rhizopus chinensis), 리조푸스 아리주스(Rhizopus arrhizus), 리조푸스 오리제(Rhizopus oryzae), 리조푸스 델레마(Rhizopus delemar), 리조푸스 페카(Rhizopus peka), 리조푸스 노도서스(Rhizopus nodosus), 모나스쿠스 푸루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 페네시륨 그라우컴(Penicillium glaucum), 뮤코 뮤세도(Mucor mucedo), 뮤코 플룸베우스(Mucor plumbeus),무코라세모수스(Mucorracemosus), 뮤코 자바니쿠스(Mucor javanicus)의 곰팡이균(Fungi)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보습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프로필렌글라이콜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은 지방족 알코올로서, 조성물의 용해를 도와주며, 화장품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분 운반체이며, 글리세린 보다 피부 흡수력이 높고 끈적거림이 적다.
특히, 상기 프로필렌글라이콜은 조성물이 높은 온도에서 녹아내리거나 추위에 얼지 않도록 보호해주며, 다른 활성 성분들이 피부 속까지 침투하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향료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향료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허브 오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로즈마리, 오레가노, 베르가못, 야로우, 바질, 민트, 세이지 또는 레몬밤, 제스민, 보리지, 아니카, 스파티움, 클라리세이지, 페퍼민트 등의 허브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항진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플루코나졸을 더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유해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조성물의 유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 컨디셔닝을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주름개선 등을 위하여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뱀독 펩타이드(dipeptide diaminobutyroy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에 안착된 먼지, 미세 광물질 등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화장품의 사용감 및 미백기능을 향상을 위하여 일라이트 용출액을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라이트는 SiO2, MgO, H2O가 많은 수백운모 등과 같은 계열의 광물로서, 굳기 1~2, 비중 2.6~2.9로 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 또는 응회암질 퇴적암 중에 산출되고, 열수성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서 산출되며, 중금속 흡착, 탈취,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효과가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바, 이러한 일라이트를 직접 사용하는 것 보다는 유효성분을 추출한 일라이트 용출액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바, 일라이트 용출액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라이트 용출액의 제조방법은 분쇄단계, 용출단계 및 응축단계로 이루어진다.
분쇄단계에서는 일라이트 광물을 분쇄하여, 용출단계에서 일라이트의 유효성분 추출이 더욱 잘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분쇄된 일라이트의 크기는 0.1-0.5mm가 적당하다. 일라이트의 크기가 0.1mm 미만이면 분쇄비용 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고, 0.5mm 초과하면 용매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져서 용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일라이트의 분쇄는 통상적인 광물의 분쇄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용출단계는 일라이트 광물의 유효성분을 용출하는 단계로서, 다음과 같다.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일라이트와 정제수를 가열로에 넣고 열을 가하여 분쇄된 일라이트 광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용출해 낸다.
여기서, 용출시 가열로 온도는 185 내지 40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85℃는 일라이트와 정제수가 혼합된 혼합물이 끓기 시작하는 온도로서 185℃ 미만에서는 추출되는 미네랄의 추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400℃를 초과하면 일라이트가 변성되는 문제가 있어 좋지 않다.
응축단계는 용출단계에서 증기상태로 용출된 일라이트 용출액을 포집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응축시키는 것으로 진행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작업시간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30분 내지 2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 탄력도 및 항산화 향상 및 피부미용 개선 및 피부 노화 예방 등을 위하여 검정콩 추출물을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정콩은 안토시아닌 색소, 단백질, 불포화 지방산 등이 풍부하여, 피부 탄력도 및 항산화 향상 및 피부미용 개선, 피부 노화 예방 등에 좋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검정콩은 기존의 열수 추출 등으로만 추출하면 안토시아닌 등의 유효 성분들이 제대로 추출되지 않는바, 본원 발명은 다음의 공정을 통하여 검정콩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정콩을 100 내지 130℃의 온도 및 2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2 내지 5분 동안 증숙하는 증숙공정; 상기 증숙된 검정콩을 2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40 내지 150초 동안 로스팅하는 로스팅공정; 상기 로스팅된 검정콩을 5 내지 20중량배의 물로 20 내지 30℃에서 60 내지 100분 동안 냉추출하는 냉추출공정; 상기 냉추출이 완료된 후, 검정콩 고형분에 20 내지 30 중량배의 물로 80 내지 95℃의 온도로 5 내지 20분 동안 열수추출하는 열수추출공정; 및, 상기 냉추출이 완료된 냉추출물과 열수추출이 완료된 열수추출물을 혼합하는 검정콩 추출물 생성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100 내지 130℃의 온도 및 2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2 내지 5분 동안의 증숙공정을 통하여 검정콩 자체에 포함된 불포화 지방이 방출되어 검정콩의 표면을 코팅시키고, 로스팅 시 검정콩 내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열화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바, 압력이 2kgf/cm2보다 미만이면 검정콩 자체에 포함된 불포화 지방이 제대로 방출되지 않을 수 있고, 4kgf/cm2보다 초과하면 불포화지방이 과량으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시간이 2분 보다 미만이면 호화가 덜 되어 텍스처가 단단한 문제가 있고, 5분 보다 초과하면 텍스처가 너무 물러져 흐물거리고, 쉰내와 내용물 용출의 문제가 있으며, 로스팅 공정은 상기 온도 및 시간의 범위에서 생취, 변색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냉추출은 20 내지 30℃의 차가운 물로 로스팅된 검정콩을 천천히 흘려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상기의 온도 및 시간 범위에서 검정콩의 고형분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기존의 열수추출에서 얻을 수 없는 신선함을 유지하면서 유효 성분들을 추출하는 잇점이 있으며, 열수추출공정은 상기의 온도 및 시간 범위에서 검정콩 고형분으로부터 보다 많은 안토시아닌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 미용 및 항염증 향상을 위하여 백복령 추출물을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복령은 빛깔이 흰, 담지균류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땀을 적당히 조절해 주어 피부 미용에 좋고 피부염 억제 작용 등이 있는 것인데, 상기 백복령은 베타-파치만(β-pachyman)을 포함하고, 다수의 단백질, 포도당 등이 함유되어 있어, 혈당강화 및 접촉성 피부염 억제 작용 등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그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백복령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다, 그 다음, 백복령을 중탕기에 넣어 80℃의 온도범위에서 18시간 동안 중탕가열한다. 그 다음, 침출액을 추출기에 넣어 150℃의 온도범위 및 4kgf/cm2의 압력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백복령을 물로 세척하는 것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며, 백복령을 중탕 및 추출시켜 백목령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은 백복령의 유효성분들을 농축하여 추출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파라아미노 벤조산을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 보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알루론산을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히알루론산은 생체 구성물질로서, 피부 보습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에 활력을 주어 피부탄력을 높여주며 피부주름 개선을 위하여 아데노신을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아데노신은 피부 섬유아세포의 DNA합성을 촉진하고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키며, 세포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핵산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대사를 활발히 하여 죽거나 기능저하가 일어나는 피부세포의 항장성 유지에 도움을 주고, 세포기능을 향상시키며, 세포크기를 팽창시켜 진피 세포의 파괴와 노화로 인해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지분비를 감소시키고, 피부의 피지선에서 생성되는 오일의 균형을 유지시켜 자극 받은 피부를 진정 시키고 피부 결을 부드럽게 하며 과다색소침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니아신(niacin)에 아마이드기가 붙어있는 구조로 수용성 비타민 B3를 구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표피의 최하단층인 기저층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된 멜라닌 색소가 각질생성세포(케라티노사이트)로 전이되는 것을 막아 멜라닌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원료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의 수분결합력을 증대시켜 각질층을 유연하게 하고, 피부의 멜라닌 합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락틱애씨드를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락틱애씨드(lactic acid)는 우유의 발효과정에서 추출한 젖산으로 카복시기·하이드록시기·메틸기·수소의 네원자단이 결합한 비대칭 탄소원자를 가지는 유기화합물이며, 주류 발효 초기의 부패 방지되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g과 물 8,000g을 혼합한 뒤 약 5MPa 및 약 120℃의 온도에서 약 15분 동안 추출하여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얻어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이나무 열매 분쇄물은 제주자원식물연구소에서 구입한 이나무 열매를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약 120℃의 온도 대신 약 135℃의 온도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g과 물 8,000g을 혼합한 뒤 약 7MPa 및 약 120℃의 온도에서 약 15분 동안 추출하여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얻어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이나무 열매 분쇄물은 제주자원식물연구소에서 구입한 이나무 열매를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약 120℃의 온도 대신 약 135℃의 온도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g과 물 8,000g을 혼합한 뒤 약 7MPa 및 약 135℃의 온도에서 약 15분 동안 추출하여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추출한 뒤 정제수 100g, 상기 추출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 3g, 및 해바라기 오일 7.5g, 코코넛 오일 3.75g, 피마자 오일 13.75g으로 이루어진 식물성 오일 25g을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이나무 열매 분쇄물은 제주자원식물연구소에서 구입한 이나무 열매를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미역 추출물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어성초 추출물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황금하귤 추출물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녹나무 추출물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녹차 추출물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브로콜리 추출물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로에 추출물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글리세린 3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연교 발효추출 원액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솔잎 발효추출 원액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당귀 발효추출 원액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고삼 발효추출 원액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윈터그린 발효추출 원액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프로필렌글라이콜 3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로즈마리 오일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플루코나졸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토코페릴아세테이트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카퍼트리펩타이드-1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뱀독 펩타이드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일라이트를 직경이 0.2mm가 되도록 분쇄하고, 분쇄된 일라이트 200g과 정제수 400g을 가열로에 넣은 다음, 2기압, 25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증기를 1시간 동안 포집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응축시켜 제조한 일라이트 용출액 2.5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검정콩 100g을 115℃의 온도 및 3kgf/cm2의 압력에서 4분 동안 증숙한 후 30℃의 온도까지 냉각시킨 다음, 증숙된 검정콩을 250℃의 온도에서 90초 동안 로스팅 한 후, 로스팅된 검정콩을 7중량배의 물과 혼합하여 순환식 추출기에 넣고 25℃의 온도에서 90분 동안 냉추출한 다음, 냉추출이 종료된 검정콩 고형분에 26중량배의 물과 혼합하여 90℃의 온도에서 15분동안 열수추출한 후, 냉추출된 추출물과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검정콩 추출물 4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백복령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백복령을 중탕기에 넣어 80℃의 온도범위에서 18시간 동안 중탕가열한 다음, 침출액을 추출기에 넣어 150℃의 온도범위 및 4kgf/cm2의 압력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여 제조한 백복령 추출물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파라아미노 벤조산 2.5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히알루론산 3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데노신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2]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나이아신아마이드 1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3]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락틱애씨드 1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33의 부가물들을 모두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이나무 열매 분말 4g에 증류수 80mL를 넣은 후 약 80℃의 수욕 상태에서 약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다음, 5μm 여과종이(filter paper)로 여과하여 걸러진 여액을 감압 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여 이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이나무 열매 분말 4g에 70% 에탄올 80mL를 넣고 실온에서 약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에탄올 추출하였다.
그 다음, 5μm 여과종이(filter paper)로 여과하여 걸러진 여액을 감압 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여 이나무 열매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 1]
실시예 1에 따른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과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 따른 이나무 열매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추출수율을 측정하여 다음 표 1로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온도 120℃ 135℃ 120℃ 135℃ 열수 70% EtOH
수율 27% 27% 27% 29% 16% 26%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른 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수율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보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른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추출물의 항염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PS[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대식세포의 NO 생성량 및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항염 활성 실험은 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cell을 ATCC[American Type Cell Culture]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의 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100U/mL 페니실린(penicillin), 100μ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과 10%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사용하였고, 37℃, 5% 이산화탄소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는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그 다음, 48웰플레이트(well plate)에 RAW264.7 cell을 1.0 × 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이산화탄소 조건하에서 24시간 전 배양하였다.
그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100 ng/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포함하는 배지로 교환하고 시료를 각각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이후 생성된 NO(Nitric Oxide)의 양은 세포 배양 상등액 100μL와 Greiss 시약(1% sulfanilamide, 0.1% napthylethylene-diamine in 2.5% phosphoric acid) 100μL를 혼합하여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 형태로 측정하며, sodium nitrite (NaNO2)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작성한 표준검정곡선을 통해 정량화하였다.
한편, 세포독성 평가는 MTT assay를 통해 실시하였는바, 이는 세포를 1.0 × 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이산화탄소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24시간 전 배양하였다.
그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100ng/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포함하는 배지로 교환하고 시료를 각각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500μg/mL의 농도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첨가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MTT 용액이 첨가된 배지를 제거한 후, DMSO[dimethyl sulfoxide]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확인된 NO 생성률, NO 저해율 및 세포독성 평가 결과를 표 2 및 도 1로 나타내었다.
NO 생성률 (%) NO 저해율 (%) 세포생존률 (%)
대조군 LPS (-) 6.6 93.4 110.1
LPS (+) 100.0 0.0 100.0
아임계 수 추출 실시예 1 31.4 68.6 102.5
실시예 2 29.7 70.3 101.1
실시예 3 29.3 70.7 110.0
실시예 4 23.5 76.5 94.6
용매 추출 비교예 1 32.3 67.7 101.8
비교예 2 29.6 70.4 105.5
표 2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를 처리한 대조군인 비교예 1 (열수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아임계 수 추출물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항염 효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 중 135℃ 및 7 MPa 조건인 실시예 4에서 추출된 이나무 열매 아임계 수 추출물은 50μg/mL의 농도에서 NO의 생성을 76.5% 저해하여 가장 높은 항염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 3]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탄력성, 피부윤광, 세포막 보호 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냈다.
여기서, 피부에 대한 탄력성은 20세∼55세의 여성층으로서 정상, 지성, 건성, 복합성 피부의 소유자 20명에게 왼쪽 눈 가장자리에 오른쪽 눈 가장자리에 하루에 두 번 도포 하도록 하였다. 각각 처리하고 난 14일 후 피부 표면의 피부 탄력성을 쿠토미터(Cutometer) SEM 47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쿠토미터(Cutometer) SEM 474에 의한 피부 탄력도 측정은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값이 적을수록 탄력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며, 탄력도 값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내었다.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기 전의 측정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피부윤광은 시료 도포 전/후의 외관을 관찰하여 20명에 대한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세포막 보호는 박(Park)의 방법(Park, S. N, 대한화장품학회지, 23(1), pp75-132, 1997)에 따라 세포막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적혈구(백혈구 제거된 상태)는 뉴질랜드산 알비노(Albino) 토끼로부터 채혈하여 사용하였으며, 적혈구 현탁액은 700nm에서 O.D가 0.6이었고, 적혈구 수는 1.5 × 107 세포/㎖ 이었다. 추출물 50㎕을 적혈구 현탁액에 첨가하고, 암소에서 30분간 전-배양(pre-incubation)시킨 다음, 광증감제(rose-bengal)를 가하여 광조사하였다. 15분간 광조사한 후, 후-배양(post-incubation)에 의한 적혈구의 파괴정도를 15분 간격으로 700nm에서 투광도(% transmittance)로부터 구하였다. 추출물의 광용혈에 미치는 효과는 후-배양 시간과 용혈 정도를 나타내는 τ50으로 나타냈으며, τ50값은 적혈구 세포가 50% 용혈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분)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1,3-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다.
피부 탄력도(주름깊이 감소) 효과(%) 피부윤광 세포막 보호작용
(τ50 : 분)
15(일) 30(일)
실시예 1 10.6 13.3 좋음 284
실시예 2 6.5 7.9 좋음 253
실시예 3 6.7 8.3 좋음 243
실시예 4 6.8 8.4 좋음 256
실시예 5 6.4 7.6 좋음 233
실시예 6 6.5 7.5 좋음 246
실시예 7 6.6 7.9 좋음 224
실시예 8 6.7 7.6 좋음 246
실시예 9 6.5 7.8 좋음 234
실시예 10 6.7 7.5 좋음 243
실시예 11 6.8 8.2 좋음 232
실시예 12 6.6 8.5 좋음 234
실시예 13 6.8 8.9 좋음 238
실시예 14 6.8 7.9 좋음 236
실시예 15 6.7 8.1 좋음 247
실시예 16 6.9 7.9 좋음 245
실시예 17 6.8 8.3 좋음 243
실시예 18 6.7 8.0 좋음 234
실시예 19 6.6 8.5 좋음 257
실시예 20 6.5 8.3 좋음 246
실시예 21 6.6 8.1 좋음 265
실시예 22 6.7 7.8 좋음 257
실시예 23 6.8 7.9 좋음 267
실시예 24 6.9 8.0 좋음 238
실시예 25 6.5 8.1 좋음 229
실시예 26 6.6 7.9 좋음 238
실시예 27 6.7 7.8 좋음 237
실시예 28 6.8 8.3 좋음 245
실시예 29 6.6 8.1 좋음 246
실시예 30 6.8 7.9 좋음 238
실시예 31 6.9 8.1 좋음 236
실시예 32 6.5 7.9 좋음 253
실시예 33 6.7 8.3 좋음 243
실시예 34 6.8 8.4 좋음 256
비교 3.6 4.2 보통 25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 탄력도 효과, 피부윤광 및 세포막 보호효과가 좋은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물 7,000 내지 9,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9MPa의 압력 및 115 내지 140℃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추출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이나무 열매 분쇄물은 평균입경이 0.5 내지 3mm인 것을 포함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나무 열매 분쇄물은 열매를 자연건조, 열풍건조 또는 냉동건조 방법으로 건조한 이나무 열매를 분쇄한 것을 포함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4.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이나무 열매 분쇄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물 7,000 내지 9,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9MPa의 압력 및 115 내지 140℃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추출한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오일 5 내지 40중량부를 혼합하는 화장품 조성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은 해바라기오일, 코코넛 오일, 피마자 오일, 라벤더 오일, 아보카도 오일, 카놀라 오일, 포도씨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포함하는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20134133A 2022-10-18 2022-10-18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KR20240054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133A KR20240054454A (ko) 2022-10-18 2022-10-18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133A KR20240054454A (ko) 2022-10-18 2022-10-18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454A true KR20240054454A (ko) 2024-04-26

Family

ID=9088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133A KR20240054454A (ko) 2022-10-18 2022-10-18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4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355A (ko) 2014-03-06 2016-10-17 라보라뚜아르 엠앤엘 에스.에이.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355A (ko) 2014-03-06 2016-10-17 라보라뚜아르 엠앤엘 에스.에이.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41927B1 (ko)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04784507A (zh) 一种具有多重美容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997827A (zh) 复方山茶油保湿液及其制备方法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58B1 (ko)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676B1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6150B1 (ko)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4013549B (zh) 一种含中华金丝提取物的护肤品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720B1 (ko) 피부진정, 피지억제, 가려움 완화 또는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1233727A (ja) 化粧品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24556B1 (ko) 청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54454A (ko) 이나무 열매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KR20240054455A (ko) 스테비아 잎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KR20190020946A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054100B1 (ko)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TW202102239A (zh) 抗老化劑、抗氧化劑、抗炎症劑、及美白劑、以及化妝品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