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202A -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202A
KR20240054202A KR1020230139365A KR20230139365A KR20240054202A KR 20240054202 A KR20240054202 A KR 20240054202A KR 1020230139365 A KR1020230139365 A KR 1020230139365A KR 20230139365 A KR20230139365 A KR 20230139365A KR 20240054202 A KR20240054202 A KR 20240054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xed window
profile
extending
over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 궬렉
안드레 ?쓿?
Original Assignee
허친슨 실링 시스템즈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친슨 실링 시스템즈 아이엔씨. filed Critical 허친슨 실링 시스템즈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40054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20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7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sashless windows, i.e. for frameless windows forming a seal directly with the vehicle body
    • B60J10/777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sashless windows, i.e. for frameless windows forming a seal directly with the vehicle body the sealing arrangement being between the edges of adjacent 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9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flush-glass windows, i.e. for windows flush with the vehicle body or the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7Mounting of windows received in frames to be attached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fixed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window sashes; for glass run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8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adjacent to corner pieces, mirror supports or quarte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로서,
고정형 창유리,
가동형 창유리에 구비된 안내 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길이방향 그루브를 획정하고 고정형 창유리 내면에 마주하는 외벽을 갖는 제1 분할 포스트 프로파일, 및
상기 제1 분할 포스트 프로파일을 상기 고정형 창유리에 고정하는 오버몰딩된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상기 분할 포스트 외벽과 상기 고정형 창유리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제1 오버몰딩된 부분 및 상기 측벽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제2 오버몰딩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버몰딩된 부분은 상기 제1 오버몰딩된 부분의 주요 부분을 따라 일정한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오버몰딩된 부분은 상기 제1 분할 포스트 프로파일 상의 공압출 특징 또는 "치형부"로 인해 상기 제2 부분의 주요 부분을 따라 일정한 제2 두께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Encapsulated fixed window module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및 이와 같은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자동차에서, 도어 어셈블리는 가동형 창유리를 탑재하는 제1 개구, 예를 들면, 전방 창 개구 및 고정형 창유리를 구비하는 제2 개구, 예를 들면, 후방 개구가 존재하도록 설계된다. 물론, 전방 창유리는 고정형이고, 후방 창유리는 가동형일 수 있다. 종래 설계의 고정형 창은 창 패널, 인접한 가동 창의 트랙으로서 기능하는 포스트 및 다양한 구성의 몰딩 또는 트림 부재 또는 분할 포스트, 가장 구체적으로는 인터로킹 채널 등을 사용하여 창 모듈 어셈블리에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압출 헤더/B 필러 트림 부재를 포함하는 개별 요소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설계에서 분할 포스트는 미리 형성된 탄성 밴드의 성질의 물품을 포함한다. 이들 설계에서, 창은 창유리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트림 밴드의 채널 내에 삽입되지만 많은 경우에 확실하게 결합되지 않는다. 종래의 설계는 누수, 외부로부터의 소음 또는 내부 소음, 및 일반적으로 핏(fit) 및 마감 문제 등 개별 컴포넌트로부터 조립에 기인하는 다수의 결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모듈의 어셈블리는 어려운 경우가 많고, 특히 개별 컴포넌트를 2 개 이상의 공급업체가 제작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종래의 설계의 몇몇 문제는 사출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폴리머로 창 주변을 캡슐화함으로써 창유리를 둘러싸는 트림 또는 포스트의 일부를 제작하는 오버몰딩 프로세스를 통해 극복된다. 본질적으로, 창유리는 창유리 연부에 둘레방향 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몰드 캐비티 내에 배치된다. 분할 포스트 프로파일 및 헤더 프로파일도 이 몰드 캐비티 내에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추가의 마진 시일(margin seal) 압출을 몰드 캐비티에 추가할 수 있다. 사출 성형된 트림이 접착되는 창유리의 연부는 접착을 촉진하고 형성된 물품에 방수 시일을 생성하기 위해 세정 및 프라이밍(primming)된다. 다음에 몰드가 폐쇄되고, 창유리 연부가 캡슐화되어 원하는 트림 형상을 형성하도록 재료가 사출된다.
도 1은 자동차의 인접한 창유리(1, 2)의 단면도이다. 창유리(1)는 고정되어 있고, 창유리(2)는 이동가능하다. 고정형 창유리(1)는 상기 외면(1a)과 내면(1b)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주연부(1c)를 갖는다. 분할 포스트(3)는 주연부(1c)를 따라 연장하여 이것에 오버몰딩된 재료(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분할 포스트(3)는 U형 단면이고, 외벽(3a), 내벽(3b), 및 상기 외벽(3a) 및 내벽(3b)을 연결하는 측벽(3c)을 갖는다. 이 분할 포스트(3)에는 가동형 창유리(2)의 일부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길이방향 그루브(5)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 포스트(3)의 측벽(3c)은 고정형 창유리(1)의 주연부(1c)에 접촉해 있고,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4)는 측벽(3c)과 외면(1a) 사이에 연장하는 제1 부분(4a), 및 측벽(3c)과 내면(1b) 사이에 연장하는 제2 부분(4b)을 포함한다.
이 구성은 내벽(3b)과 내벽(3b) 사이에 작은 오프셋(O)을 생성하고, 고정형 창유리(1)의 양면 상에 제한된 양의 오버몰딩된 재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싱크마크(sink mark)로 인한 외관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위험이 낮다.
창 모듈의 외관은 고객, 즉 자동차의 사용자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창 모듈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해결책은 자동차의 외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마감 패널을 창유리의 주변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 패널은, 예를 들면, 창 모듈에 고정되는 미적 금속 컴포넌트이다.
고정형 창유리의 외면을 인접한 가동형 창유리의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함으로써 창 모듈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도 알려져 있다.
도 2는 인접하여 동일 평면상에 있는 자동차의 창유리(1, 2)의 단면도이다. 분할 포스트(3)는 주연부(1c)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오버몰딩된 재료(4)에 의해 내면(1b)에 고정되어 있다.
분할 포스트(3)에는 가동형 창유리(2)에 구비된 안내 수단(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길이방향 그루브(5)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 포스트(3)의 외벽(3a)은 내면(1b)과 마주하여 이것에 오버몰딩된 재료(4)에 의해 고정된다.
오버몰딩된 재료(4)는 외벽(3a)과 내면(1b) 사이에 연장된 제1 부분(4a) 및 측벽(3c)과 내면(1b) 사이에 연장된 제2 부분(4b)을 포함한다. 도 2는 제1 부분(4a)이 일정한 두께(E1)를 갖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두께(E1)은 내면(1b) 및/또는 외벽(3a)에 수직인 방향(D1)에서 측정된 것임). 대조적으로, 제2 부분(4b)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더 두꺼운 두께(E2)를 갖는다(두께(E2)는 측벽(3c)에 수직인 방향(D2)에서 측정된 것임). 제2 부분(4b)의 두께(E2)는 내벽(3b)에 근접한 반대측 단부보다 내면(1b)에 근접한 측이 더 두껍다.
오버몰딩된 재료(4)는 측벽(3c)과 내면(1b) 사이에 연장되어 내면(1b)에 대해 경사진 주요 부분(4c1)을 포함하는 외면(4c)을 포함한다. 실현가능성의 이유로 인해, 오버몰딩 프로세스 중에 주요 부분(4c1)을 내면(1b)에 수직으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플러시(flush) 구성에서는 큰 오프셋(O)이 내면(1b)과 내벽(3b) 사이에 큰 오프셋(O)이 생성되고, 이 오프셋(O)을 채우기 위해 다량의 오버몰딩된 재료(4)가 필요하다. 따라서 싱크마크(sink mark)로 인한 외관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위험이 높다. 실제로, 탈형 후에 오버몰딩된 재료(4)는 냉각되어 경화된다. 다량의 오버몰딩된 재료는 외면(4c)에 싱크마크 및 표면 결함의 형성을 촉진한다. 이 외면(4c)은 자동차 사용자가 볼 수 있으므로 이 싱크마크 및 표면 결함은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플러시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고 전술한 오버몰딩된 재료의 외관 문제를 방지하는 적어도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이 제공되며, 이것은:
외면, 내면, 및 상기 외면과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주연부를 갖는 고정형 창유리,
상기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 포스트 - 상기 분할 포스트는 외벽, 내벽, 및 상기 외벽과 내벽을 연결하는 측벽을 갖는 U형 단면의 제1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파일에는 가동형 창유리에 구비된 안내 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길이방향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은 상기 내면과 마주함 -, 및
상기 제1 프로파일을 상기 고정형 창유리에 고정하는 오버몰딩된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상기 외벽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측벽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주요 부분을 따라 일정한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측벽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외면을 가지며, 또한 상기 내면에 대해 경사진 주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주요 부분을 따라 일정한 제2 두께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내부", "내측", "내부" 등의 단어는 자동차의 내측을 참조한다. "외부", "외측", "외부" 등의 단어는 자동차의 외측을 참조한다. 그러면, 외부 요소는 자동차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외부 요소, 부분 또는 표면은 자동차의 사용자가 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 요소를 덮는 제2 외부 요소, 부분 또는 표면에 의해 숨겨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렬된" 및 "실질적으로 정렬된"은 2 개의 요소가 엄밀하게 정렬되어 있거나, 또는 0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mm,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mm 범위 내에서 정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고정형 창 모듈의 미적 외관을 향상시키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은 오버몰딩된 재료의 두께를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오버몰딩된 재료의 제2 부분은 고정형 창유리의 내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 제2 부분의 주요 부분을 따라 일정하다. 오버몰딩된 재료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두께는 유사할 수 있다. 두께가 일정하면 성형된 영역의 전체가 동일한 속도로 냉각될 수 있고, "싱크마크" 및 기타 외관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은 단독으로 또는 상호 조합으로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내면에 평행한 제1 표면 및 상기 내면에 대해 경사진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고;
- 상기 제1 프로파일은 압출되고;
- 상기 치형부는 상기 제1 프로파일과 공압출되고;
- 상기 제1 표면은 평면이고, 상기 제2 표면은 평면이거나 만곡면이고;
- 상기 제2 표면은 오목면 또는 볼록면이고;
-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외면에 주로 평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표면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인 경우에 일정한 오프셋을 제공하고;
- 상기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은 단면이 V형이고;
- 상기 치형부는 2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각도를 갖는 선단부를 갖고;
-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V형상이고;
-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상기 내면 상에 연장되는 돌출 리브(rib)를 포함하고;
- 상기 외벽은 상기 측벽의 반대측에 길이방향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외벽에 수직이고 또한 상기 주연부에 접하는 돌출 레그(leg)를 포함하고;
- 상기 돌출 레그는 상기 가동형 창유리의 주연부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1 실링 립(sealing lip)을 구비하고;
- 상기 길이방향 단부 및/또는 상기 외벽은 상기 내면에 접하고 또한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와 접촉하는 돌출 립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 립은 고정형 창유리와 제1 프로파일 사이에 몰드 셧오프(mold shut off)로서 사용되므로 유리하고;
- 한편의 상기 고정형 창유리와 다른 한편의 상기 돌출 레그 및 립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 0.8.E1 ≤ E2 ≤ 1.2.E1; 바람직하게는 0.9.E1 ≤ E2 ≤ 1.1.E1;, 더 바람직하게는 E1 = E2이고; E1 및 E2는 각각 상기 제1 두께 및 제2 두께이고;
- 상기 제1 프로파일은 매립된 금속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매립된 금속 레일은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주연부와 마주하는 레그를 포함하고;
-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두께는 제1 프로파일의 길이의 주요 부분을 따라 일정하고;
- 제1 부분의 두께는 고정형 창유리의 내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되고; 이 방향은 상기 외벽에 또는 상기 외벽의 표면에 수직일 수 있고;
- 제2 부분의 두께는 상기 측벽에 또는 상기 측벽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되고;
- 제1 부분의 두께는 제1 프로파일을 단면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 제 2 부분의 두께는 제1 프로파일을 단면으로 볼 때 일정하고;
-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상기 제1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주연부를 덮고 있지 않고;
-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외벽은 상기 내면 상에 부착되고;
- 상기 외벽은 단면이 L형상이고, 서로 수직인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측벽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연장해 있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내면 상에 직접 부착되고;
-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로 채워지는 상기 내면을 갖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적어도 상기 외벽 및 측벽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되고;
- 상기 내벽은 상기 안내 수단과 상기 가동형 창유리의 내면과 마주하고;
- 상기 내벽은 상기 안내 수단과 밀봉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실링 립을 구비하고;
- 상기 내벽은 상기 가동형 창유리와 밀봉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3 실링 립을 구비하고;
- 상기 외벽은 상기 길이방향 그루브 내측에 마찰방지 층으로 코팅되고,
- 상기 측벽은 상기 길이방향 그루브 내측에 마찰방지 층으로 코팅되고;
- 상기 내벽은 상기 길이방향 그루브 내측에 마찰방지 층으로 코팅되고;
- 상기 모듈은 단면이 U형상이고 또한 2 개의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외벽을 갖는 제2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에는 자동차의 금속 플랜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길이방향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외벽은 상기 내면에 평행하고, 이것에 오버몰딩된 재료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측벽들 중 하나는 상기 고정형 창유리에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주연부의 일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측벽의 다른 하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내면에 마주하고;
-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외벽은 상기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 상기 모듈은 제1 길이방향 프로파일과 제2 길이방향 프로파일 사이를 연결하는 제3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더 포함하고;
- 상기 모듈은 상기 고정형 창유리의 주연부의 적어도 상부를 따라 연장하고 또한 상기 프로파일에 인접하는 제3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더 포함하고;
- 상기 제3 길이방향 프로파일은 제1 U형 부분 및 제2 U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U형 부분은 자동차의 금속 플랜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제2 U형 부분은 상기 가동형 창유리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제1 U형 부분 및 제2 U형 부분에는 각각 서로 수직인 2 개의 길이방향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제1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레그와 상기 주연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하고;
-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주연부 상에 연장하고;
-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고정형 창유리의 외면과 동일평면에 있는 단부를 포함하고;
- 상기 치형부의 (공압출된) 재료는 상기 제1 길이방향 프로파일의 (공압출된) 재료와 다르고;
- 상기 돌출 립의 (공압출된) 재료는 제1 길이방향 프로파일의 (공압출된) 재료와 다르고;
- 상기 돌출 레그의 (공압출된) 재료는 제1 길이방향 프로파일의 (공압출된) 재료와 다르고;
- 치형, 및/또는 돌출 레그, 및/또는 돌출 립의 재료(들)은 제1 길이방향 프로파일의 재료, 특히 제1 길이방향 프로파일의 피복 재료보다 연질이거나 경도가 낮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정의한 적어도 하나의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안한다.
상기 자동차는 도어 프레임, 가동형 창유리, 및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형 창유리는 외면, 내면, 및 상기 외면과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주연부를 가지며, 상기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및 상기 가동형 창유리의 외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에 있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 실시례로서 주어진 이하의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으면 보다 잘 이해되고,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 특징 및 장점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분할 포스트를 구비하는 고정형 창유리 및 분할 포스트의 그루브 내로 안내되는 가동형 창유리를 포함하는 인접한 창유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분할 포스트를 구비하는 고정형 창유리 및 분할 포스트의 그루브 내에 결합된 안내 수단을 구비하는 가동형 창유리를 포함하는 인접한 플러시 창유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1-A1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2-A2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3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7는 도 3의 B- B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 및 도 7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9a는 도 8의 확대 상세도이고;
도 9b는 도 8의 다른 확대 상세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i는 도 8의 도면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이미 설명한 것으로서, 종래기술을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10)의 일 실시례를 도시하고 있다.
자동차 도어는 가동형 창유리(12)에 인접할 수 있는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10)을 구비한 도어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례에서, 차량의 후방 도어가 도시되어 있고, 이 경우 창유리(12)는 전방 창유리이고, 모듈(10)은 후방 모듈이다. 다른 구성은 전방 도어 상에 있고, 그 경우에 가동형 창유리(12)는 모듈(10)의 후방에 배치된다.
모듈(10)은 최대 4 개의 말단부 또는 4 개의 연부를 따라 성형된 적어도 고정형 창유리(14)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 또는 각각의 성형은 캡슐화부(16)를 형성한다.
각각의 창유리(12, 14)는 자동차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외면(12a, 14a), 자동차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내면(12b, 14b), 및 상기 외면과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주연부(12c, 14c)(도 4 및 도 6을 참조할 것)를 갖는다.
각각의 창유리(12, 14)는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표면(12a, 14a,12b, 14b)는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물론, 창유리(12, 14)와 그 표면은 모듈의 예상되는 설계에 따라 약간 만곡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연부(12c, 14c)은 단면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각각의 창유리(12, 14)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또한 4 개의 길이방향 연부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주연부(12c, 14c)는 상연부(12ca, 14ca), 전연부(12cb, 14cb), 하연부(12cc, 14cc), 및 후연부(12cd, 14cd)(도 3을 참조할 것)를 포함한다. 도어는 아플리케(1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가동형 창유리(12)는 고정형 창유리(14)와 이 아플리케(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창유리(12)의 외면(12a)은 유리하게는 창유리(14a)의 외면(14a) 및 아플리케(13)의 외면(13a)과 동일 평면에 있다.
도 4는 가동형 창유리의 상연부(12c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고정형 창유리의 상연부(14c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고정형 창유리의 후연부(14cd)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고정형 창유리의 전연부(14cb) 및 가동형 창유리(12)의 후연부(12cd)에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는 캡슐화부(16)가 창유리(14)의 연부(14ca, 14cb, 14cd)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유리 연부(14ca), 및 (14cb)에 인접한 유리의 인보드 측(inboard side)은 캡슐화되어 있다. 유리 연부(14cd, 14cc)의 캡슐화는 선택사항이다.
따라서, 캡슐화부(16)는 도시된 실시례에서 창유리(14)의 적어도 2 개의 연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연부를 반드시 피복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캡슐화부(16)는 창유리(14)의 길이방향 연부의 일부를 따라 각각 연장해 있는 세그먼트 또는 프로파일 또는 분할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포스트의 각각의 프로파일은 길이 및 너비를 가지며, 이 길이는 너비보다 크고, 창유리(14)의 길이방향 연부의 상기 부분을 따라 연장해 있다.
도 4는 "제3" 프로파일(18)이라고 하는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제3 프로파일(18)은 상기 연부(14ca, 12ca)를 따라 연장해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로파일(18)의 부분은 연부(12ca)를 따라 연장해 있는 것으로서 오버몰딩되어 있지 않다.
가동형 유리 연부(12cb)를 안내하기 위해 모듈(10)의 일부인 프로파일(18)에는 실질적으로 수직 프로파일(미도시)이 성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3 프로파일(18)은 제1 U형 부분 및 제2 U형 부분(18a, 18b)의 단면을 갖는다.
제1 U형 부분(18a)은 내측으로 배향되어 자동차의 금속 플랜지(2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길이방향 그루브(24)를 획정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금속 플랜지는 중첩되어 그루브(26) 내에 삽입된 실질적으로 수평인 2 개의 패널을 포함한다. 제1 부분(18a)은 2 개의 측벽(18ab, 18ac)을 연결하는 외벽(18aa)을 포함하고, 측벽들 사이에는 그루브(26)가 획정되어 있다.
제2 U형 부분(18b)은 창유리(12, 14)에 평행한 평면에서 하방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그루브(24)가 획정되어 있고, 이것은 가동형 창유리(12)의 상부를 슬라이딩에 의해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부분(18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8ac)과 통합될 수 있는 측벽에 의해 연결된 내벽(18ba) 및 외벽(18bb)을 포함한다. 제2 부분(18b)은 상기 그루브(28)를 획정한다.
두 부분(18a, 18b)은 창유리(12) 및/또는 차량의 부품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실링 립을 포함한다.
제3 프로파일(18)은 이 프로파일(18)을 따라 연장하여 두 부분(18a, 18b) 상에 고정되는 세장형 미적 컴포넌트(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컴포넌트(30)는 미적 외면(30a) 및 내면(30b)을 포함한다. 컴포넌트(30) 면(30a, 30b) 및 이 내면(30b)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길이방향 후크(30c)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한다. 후크(30c)는 컴포넌트(30)를 프로파일(18) 상에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컴포넌트(30)는 스냅 피팅(snap fitting)에 의해 후크(30c)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그루브를 포함하는 상기 외벽(18aa, 18bb)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의도된다.
도 5는 여전히 제3 프로파일(18)을 도시하며, 특히 연부(14ca)를 따라 연장하는 부분은 오버몰딩되어 있다.
프로파일(18)의 이 부분은 내벽(18ba)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 및 오버몰딩된 재료(50)에 의해 고정형 창유리(12)에 고정된다는 점에서 도 2의 부분과 다르다.
이 오버몰딩된 재료(50)는 외벽(18bb)의 내면, 측벽(18ac)의 하방 표면, 및 연부(14ca) 및 고정형 창유리(14)의 표면(14a, 14b)의 일부에도 연장되어 있다. 이 오버몰딩된 재료(50)는 차량의 부품에 접하도록 의도된 립 또는 레그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제2" 프로파일(20)이라고 하는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제2 프로파일(20)은 연부(14cd)를 따라 연장하며 오버몰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2 프로파일(20)은 단면이 U형상이며, 내측으로 배향되어 자동차의 금속 플랜지(3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길이방향 그루브(32)를 획정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금속 플랜지(34)는 중첩되어 그루브(32) 내에 삽입된 실질적으로 수직인 2 개의 패널을 포함한다.
제2 프로파일(20)은 외벽(20a) 및 상기 외벽(20a)에 의해 연결된 2 개의 측벽(20b, 20c)을 포함한다. 외벽(20a)은 통상 고정형 창유리(14)의 내면(14b)에 평행하며, 이것에 오버몰딩된 재료(3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외벽(20a)은 내면(14b)과 마주하고 그것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공간(S)은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36)로 채워져 있다.
측벽(20b)은 고정형 창유리(14)에 수직인 평면(P1)에서 상기 주연부(14c)의 일부(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후연부(14cd))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측벽(20c)은 내면(14b)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이 내면(14b)과 마주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오버몰딩된 재료(36)는 측벽(20c) 및 전연부(14cd) 상으로 더 연장되어 있다. 측벽(20b)에는 이러한 오버몰딩된 재료(36)가 없다.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36)는 후연부(14cd)의 전방에서 V형상(90° 미만의 각도)이며, 외면(14a)과 정렬된 제1 평면(36a), 및 제1 표면(36a)과 프로파일(20)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평면(P1)에 대해 경사진 제 2 평면(36b)을 획정하고 있다.
제2 프로파일(20)은 차량의 부품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실링 립 또는 고정 립을 포함한다.
도 7은 "제1" 프로파일(22)로 불리고 또한 분할 포스트로 알려져 있는 다른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제1 프로파일(22)은 상기 연부(12cd, 14cb)를 따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또한 오버몰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1 프로파일(22)은 단면이 U형상이고, 전방으로 배향되어 가동형 창유리(12)에 고정되는 안내 수단(4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길이방향 그루브(38)를 획정하고 있다.
제1 프로파일(22)은 측벽(22c)에 의해 함께 연결된 외벽(22a) 및 내벽(22b)을 포함하여 이들 사이에 그루브를 획정하고 있다. 외벽(22a)은 고정형 창유리(14)의 내면(14b)에 평행하고, 이것에 오버몰딩된 재료(4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외벽(22a)은 내면(14b)과 마주하고, L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외벽(22a)은 서로 수직인 제1 부분(22aa) 및 제2 부분(22a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22aa)은 내면(14b)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측벽(22c)과 상기 제2 부분(22ab)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 부분(22ab)은 상기 내면(14b) 상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 부분(22ab)은 상기 내면(14b)과 함께 공간(S)을 획정하며, 이것은 오버몰딩된 재료(42)로 채워져 있다.
오버몰딩된 재료(42)은 상기 측벽(22c)의 적어도 일부 위로 더 연장되어 있다. 오버몰딩된 재료(42)는,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제1 프로파일(22), 즉 전연부(14cb)를 따라 주연부(14cb)를 피복하지 않는다.
외벽(22a)은 고정형 창유리(14)에 수직인 평면(P2)에서 상기 전연부(14cb)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측벽(22c)의 반대측에 있는 길이방향 연부(22a1)를 갖는다.
이 길이방향 연부(22a1)에는 두 연부(14cb, 12cd)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1 실링 립(44)이 구비되어 있다. 실링 립(44)은 상기 연부(14cb, 12cd) 사이에 연장하는 유일한 부재이다. 실링 립(44)은 만곡되어 있고(오목면 또는 볼록면), 내측으로 배향되는 그루브를 획정하고 있다. 이 립(44)은 평면(P2)에서 연장하여 길이방향 연부(22a1)에 고정되는 길이방향 연결 연부(44a)를 포함하고, 또한 창유리(12)의 후연부(12cd)에 접하는 반대측의 길이방향 실링 연부(44b)를 더 포함한다. 두 연부(44a, 44b) 사이에 연장하는 실링 립(44)의 길이방향 부분은 상기 외면(14a, 12a)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외면(44c)을 갖는다.
제1 프로파일(22)의 내벽(22b)에 관한 한, 이것은 상기 평면(P2)을 횡단하고, 상기 안내 수단(40)과 마주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형 창유리(12)의 내면(12b)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이 내벽(22b)에는 안내 수단(40)과 밀봉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실링 립(46)이 구비되어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제1 실링 립 및 제3 실링 립만이 제공될 수 있다(따라서 안내 수단(40) 상에는 실링이 제공되지 않음).
안내 수단(40)은 창유리(12)의 내면(12b) 상에, 예를 들면, 접착이나 오버몰딩에 의해 고정되는 단일의 길이방향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평면(P2)를 횡단하고 슬라이딩 움직임을 위해 그루브(38) 내에 수용되는 안내 레그(40a)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38)의 표면은 슬라이딩에 의해 안내 수단(40)과 특히 그 레그(40a)와 협력하는 데 적합한 마찰방지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22a, 22b, 22c)은 그루브(38) 내부에 마찰방지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파일(18, 20, 22)은 폴리머 커버링 내에 매립되거나 캡슐화된 적어도 하나의 U형상의 금속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레일은 내부 브랜치(branch), 및 외부 브랜치,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부 브랜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프로파일 및 그 폴리머 커버링은 공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실링 립은, 예를 들면, EPDM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등의 탄성 변형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립은 프로파일(18, 20, 22)이 상호연결 구역에서 함께 연결되는 프로세스 중에 오버몰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물론, 각각의 프로파일은 금속 레일을 포함하지 않고 폴리머 재료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프로파일은 재료의 강성이 필요한 영역에 폴리프로필렌을 가질 수 있고, 립은 더 연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프로파일은 오버몰딩된 재료(36, 42, 50)를 사용하여 오버몰딩에 의해 고정형 창유리(14) 상에 고정된다. 고정 유리 연부(14cc)도 통상적으로 캡슐화된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7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캡슐식 창 모듈과 유사한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한 위의 설명은 청구된 발명에 적용되며, 이전 실시형태의 도 7의 설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도 8의 다음의 설명으로 교체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사용된 참조 번호는 도 8에서 동일한 요소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창유리(12, 14)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안내 수단(40)도 유사하다.
도 8의 (제1) 프로파일(122) 또는 분할 포스트 는 연부(12cd, 14cb)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또한 오버몰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프로파일(122)은 U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또한 전방으로 배향되어 가동형 창유리(12)에 고정되는 안내 수단(4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길이방향 그루브(38)를 획정하고 있다.
이 프로파일(122)은 측벽(22c)에 의해 함께 연결된 외벽(22a) 및 내벽(22b)을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그루브(38)를 획정하고 있다. 외벽(22a)은 고정형 창유리(14)의 내면(14b)에 평행하고, 이것에 오버몰딩된 재료(14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38)의 표면은 슬라이딩에 의해 안내 수단(40)과 특히 그 레그(40a)와 협력하는 데 적합한 마찰방지 층(F1)으로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22a, 22b, 22c)은 그루브(38) 내부에 마찰방지 층(F1)으로 코팅될 수 있다.
외벽(22a)은 내면(14b)과 마주하고 또한 L형상의 단면을 갖는 표면(22a1)을 갖는다. 외벽(22a)은 서로 수직인 제 1 부분(22aa) 및 제2 부분(22a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22aa)은 내면(14b)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측벽(22c)과 상기 제2 부분(22ab)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 부분(22ab)은 연부(14c, 14cb) 부근에서 상기 내면(14b) 상에 직접 부착된다.
상기 제2 부분(22ab)에는 외벽(22a)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 레그(16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돌출 레그(160)는 두 주연부(12cb, 14cb) 사이의 틈새 내에 개재되어 주연부(14cb)에 접한다. 돌출 레그(160)에는 주연부(12cb)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1 실링 립(44)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실링 립(44)은 외면(14a, 12a)과 실질적으로 정렬된 외면(44c)을 갖는다.
돌출 레그(160)는 프로파일(122)의 주 재료(또는 폴리머 커버링)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제1 실링 립(44)은 바람직하게는 더 연질 재료로 제조된다.
외벽(22a), 및 특히 그 제1 부분(22aa)은 오버몰딩된 재료(142)로 특히 오버몰딩된 재료(142)의 제1 부분(142a)으로 채워지는 내면(14b)을 구비한 공간(S)을 획정한다.
오버몰딩된 재료(142)는 상기 측벽(22c)의 적어도 일부 위로 더 연장하고, 측벽(22c)과 내면(14b) 사이에 연장하는 제2 부분(142b)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오버몰딩된 재료(142)가 주연부(14cb)를 피복하지 않는다.
제1 프로파일(22)의 내벽(22b)에 관한 한, 이것은 외벽(22a)보다 더 길고, 상기 안내 수단(40)과 마주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형 창유리(12)의 내면(12b)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내벽(22b)에는 안내 수단(40)과 밀봉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실링 립(46), 및 가동형 창유리(12)의 내면(12b)과 밀봉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3 실링 립(48)이 구비되어 있다.
실링 립(44, 46, 48)은 마찰방지 층(F1)으로 코팅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제1 실링 립 및 제3 실링 립만이 제공될 수 있다(따라서 안내 수단(40) 상에는 실링이 제공되지 않음).
프로파일(122)은 폴리머 커버링 내에 매립되거나 캡슐화된 적어도 하나의 U형상의 금속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레일은 외벽(22b) 내로 연장하는 제 1 브랜치, 내벽(22a) 내로 연장하는 제 2 브랜치, 및 측벽(22c) 내로 연장하는 연결 브랜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122) 및 그 폴리머 커버링은 공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실링 립은, 예를 들면, EPDM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등의 탄성 변형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립은 오버몰딩 또는 공압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물론, 이 프로파일(122)은 금속 레일을 포함하지 않고, 폴리머 재료만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122)의 폴리머 또는 커버링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오버몰딩된 재료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플라스틱,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플라스틱, EPDM, SEBS 등으로 제조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몰딩된 재료(142)의 제1 부분(142a)은 이 제1 부분의 주요 부분을 따라 일정한 제1 두께(E1)를 갖는다. 이 제1 부분(142a)의 두께(E1)는 고정형 창유리(14)의 내면(14b)에 수직이고 동시에 외벽(22a)에도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된다.
오버몰딩된 재료(142)의 제2 부분(142b)은 제2 부분의 주요 부분을 따라 일정한 제2 두께(E2)를 갖는다. 제2 부분(142b)의 두께(E2)는 측벽(22c)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된다.
이 제2 부분(142b)은 측벽(22c)과 내면(14b) 사이에 연장되어 내면(14b)에 대해 경사진 주요 부분을 포함하는 외면(142b1)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오버몰딩된 재료(142)는 V형상이고, 두 부분(142a, 142b)이 연결되어 이들 사이에 선단부(142c)를 형성한다. 오버몰딩된 재료(142)는 그 선단부(142c) 상에 돌출 리브(166)를 포함하고, 이 돌출 리브(166)는 내면(14b) 상으로 연장한다(도 9a).
도시된 실시례에서, 오버몰딩된 재료의 형상은 그 측벽(22c) 상에 치형부(168) 또는 핀(예를 들면, 샥크 핀(shark fin))을 포함하는 프로파일(122)의 형상에 의해 제공된다.
치형부(168)는 내면(14b)에 평행하고 또한 외벽(22a)의 표면(22a1)과 정렬된 제1 표면(168a), 및 내면(14b)에 대해 경사진 제2 표면(168b)을 포함한다. 치형부(168)의 기능은 제2 표면(168b)과 외면(142b1) 사이에 일정한 오프셋을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표면(168b)의 형상 및 위치는 외면(142b1)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제2 부분(142b)의 두께(E2)는 이 제2 표면(168b)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치형부(168)는 제1 부분(142a)이 제1 표면(168a)과 내면(14b) 사이에 연장되고, 제2 부분(142b)이 제2 표면(168b)과 내면(14b) 사이에 연장하도록 오버몰딩된 재료 내로 완전히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표면(168a)은 평면이고, 제2 표면(168b)도 도시된 실시례에서 평면이다. 이 제2 표면(168b)은 E2가 확실하게 일정해지도록 외면(142b1)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표면(168a) 및 제2 표면(168b)은 도시된 실시례에서 V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제1 표면(168a) 및 제2 표면(168b)은 각도 형성하거나 또는 2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각도를 갖는 선단부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치형부(168)는 2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각도 획정한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의 실시형태는, 외부로 연장하여 창유리(14)의 내면(14b)에 접하는 외벽(22a)의 제2 부분(22ab)이 돌출 립(162)에 의해 치환되는 점에서, 도 8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돌출 립(162) 및 돌출 레그(160)는 프로파일(122)의 주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실링 립(44)은 더 연질 재료로 제조된다.
오버몰딩된 재료(142)는 주연부(14cb)를 피복하지 않는다. 이는 창유리(14)에 접하는 돌출 립(162)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오버몰딩된 재료(142)가 립(162)을 통과하여 연부(14cb)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립(162) 및 레그(160)는 창유리(14)와 함께 비어 있는, 즉 오버몰딩된 재료(142)로 채워지지 않은 공간(S')을 획정할 수 있다.
도 10b의 실시형태는, 치형부(168)가 약 70-85°의 더 큰 각도(α)를 획정하는 점에서, 도 8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오버몰딩된 재료(142)의 V 형상은 유사한 각도를 갖는다.
도 10c의 실시형태는, 치형부(168)가 약 20-40°의 더 작은 각도(α)를 획정하는 점에서, 도 8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오버몰딩된 재료(142)의 V 형상은 유사한 각도를 갖는다.
도 10d의 실시형태는, 치형부(168)의 제2 표면(168b)이 만곡되어 있고, 특히 오목하다는 점에서, 도 8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오버몰딩된 재료(142)의 제2 부분(142b)은 이 제2 표면(168b)의 형상에 일치하는 만곡 형상을 갖는다. 유사하게, 오버몰딩된 재료(142)의 외면(142b1)은 가능한 일정한 두께(E2)를 얻기 위해 만곡되어 오목형을 이루고 있다.
도 10e의 실시형태는, 치형부(168)의 제2 표면(168b)이 만곡되어 있고, 특히 볼록하다는 점에서, 도 8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오버몰딩된 재료(142)의 제2 부분(142b)은 이 제2 표면(168b)의 형상에 일치하는 만곡 형상을 갖는다. 유사하게, 오버몰딩된 재료(142)의 외면(142b1)은 가능한 일정한 두께(E2)를 얻기 위해 만곡되어 볼록형을 이루고 있다.
도 10f의 실시형태는, 폴리머 커버링 내에 매립되거나 캡슐화된 금속 레일이 연결 브랜치의 반대측의 그 연부에 레그(170)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8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 레그(170)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연부(12cd, 14cb)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도 10g의 실시형태는, 오버몰딩된 재료(142)가 제3 부분(142c)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8의 실시형태와 다르며, 제1 부분(142a)은 제3 부분(142c)과 제2 부분(142b)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제3 부분(142c)은 고정형 창유리(14)의 주연부(14cb) 상에서 연장된다. 제3 부분(142c)은 제1 부분(142a)에 수직이고, 제2 부분(142b)의 반대측인 제1 부분(142a)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제3 부분(142c)은, 도시된 실시례에서, 주연부(14cb)의 전체를 피복한다.
따라서, 프로파일(122)은 창유리(14)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그 외벽(22b)은 내면(14b)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그것으로부터 오버몰딩된 재료(142)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프로파일(122)의 제1 실링 립(44)은 연부(12cd)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제3 부분(142c) 및 실링 립(44)은 둘 모두 연부(14cb, 12cd)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분(142c)은 상기 창유리(12, 14)의 외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g의 실시형태는 프로파일(1228)의 내벽(22a)의 외면 상의 마찰방지 층이 공압출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셀룰라 재료 또는 발포체 재료(F2)로 치환되는 점에서 또한 다르다. 이 재료는 도어를 세게 닫을 때 덜더덕 거리는 소음/두드리는 소음 소음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 재료(F2)는,예를 들면, 약 25-60의 쇼어 A 경도 및/또는 약 0.6 미만의 마찰 계수를 갖는다. 위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형태는 이러한 재료를 마찰방지 층(F1) 중 하나 대신 그루브(38) 내에 가질 수 있다.
도 10h에 도시된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 10g의 제3 부분(142c)은 임의의 이전 실시형태(도 8 내지 도 10g)의 레그(160)와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창유리(14)의 주연부(14cb)와 이 레그(16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3 부분(142c)은 캡슐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더욱이, 이것은 성형 중에 연부(14cb, 14ca)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 실링을 향상시킨다(도 3 참조).
도 10i에 도시된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형부(168)는 프로파일(122)의 (공압출되거나 피복하는) 주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122)의 주 재료는 치형부(168)의 재료보다 경질이다. 이주 재료는, 예를 들면, PP이다. 치형부(168)의 재료는 70-95, 예를 들면, 약 85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치형부(168)의 재료는, 예를 들면, TPE이다.
돌출 레그(160) 및 돌출 립(162)도 프로파일(122)의 주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레그(160),립(162) 및 치형부(168)의 재료는 동일할 수 있다.
치형부(168) 및/또는 돌출 레그(160) 및/또는 돌출 립(162)이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경우에도, 이들은 프로파일(122)과 함께 공압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 레그(160)에 더 유연한 재료를 사용하면, 예를 들면, 성형 작업이 개선된다.
제2 부분(142b)은 치형부(168) 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프로파일(122)에 연결되는 단부를 갖는다. 이 부분(142b)은 이 단부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두께(E2)를 갖는다.
도 10i의 실시형태에서, 프로파일(122)의 금속 레일의 두 브랜치는 직선인 반면에 도 10a 내지 도 10h의 실시형태에서 금속 레일의 외부 브랜치는 약간 경사져 있고, 그 측부 브랜치의 반대측 단부는 내측으로 돌출해 있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창 모듈의 미적 외관은 고정형 창유리(14) 및 가동형 창유리(12)의 외면(12a, 14a)을 동일 평면에 배치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창유리(12, 14)의 외면(12a, 14a)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이들 표면(12a, 14a)은 또한 외면(44c)(도 8 내지 도 10f 참조), 및/또는 레그(160)의 단부(도 8 내지 도 10f), 및/또는 오버몰딩된 재료(142)의 제3 부분(142c)의 단부(도 10g 및 도 10h)와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Claims (18)

  1.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로서,
    외면, 내면, 및 상기 외면과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주연부를 갖는 고정형 창유리,
    상기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 포스트 - 상기 분할 포스트는 외벽, 내벽, 및 상기 외벽과 내벽을 연결하는 측벽을 갖는 U형 단면의 제1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파일에는 가동형 창유리에 구비된 안내 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길이방향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은 상기 내면과 마주함 -, 및
    상기 제1 프로파일을 상기 고정형 창유리에 고정하는 오버몰딩된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상기 외벽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측벽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주요 부분을 따라 일정한 제1 두께(E1)를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측벽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외면을 가지며, 또한 상기 내면에 대해 경사진 주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주요 부분을 따라 일정한 제2 두께(E2)를 갖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내면에 평행한 제1 표면 및 상기 내면에 대해 경사진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은 평면이고, 상기 제2 표면은 평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인,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외면에 주로 평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표면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인 경우에 일정한 오프셋을 제공하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은 단면이 V형상인,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는 2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각도를 갖는 선단부를 갖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V형상인,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0.8.E1 ≤ E2 ≤ 1.2.E1이고, 여기서 E1 및 E2는 각각 제1 두께 및 제2 두께인,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상기 측벽의 반대측에 길이방향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외벽에 수직이고 또한 상기 주연부에 접하는 돌출 레그(leg)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레그는 상기 가동형 창유리의 주연부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1 실링 립(sealing lip)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단부 및/또는 상기 외벽은 상기 내면에 접하고 또한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와 접촉하는 돌출 립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한편의 상기 고정형 창유리와 다른 한편의 상기 돌출 레그 및 립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은 매립된 금속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매립된 금속 레일은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주연부와 마주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레그와 상기 주연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몰딩된 재료는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주연부 상에 연장하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고정형 창유리의 외면과 동일평면에 있는 단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17. 제 1 항에 청구된 적어도 하나의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도어 프레임, 가동형 창유리, 및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형 창유리는 외면, 내면, 및 상기 외면과 내면 사이에 연장하는 주연부를 가지며, 상기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및 상기 가동형 창유리의 외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에 있는, 자동차.
KR1020230139365A 2022-10-18 2023-10-18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KR202400542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68,726 2022-10-18
US17/968,726 US20240123803A1 (en) 2022-10-18 2022-10-18 Encapsulated fixed window module for a mot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202A true KR20240054202A (ko) 2024-04-25

Family

ID=8837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9365A KR20240054202A (ko) 2022-10-18 2023-10-18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23803A1 (ko)
EP (1) EP4357176A1 (ko)
JP (1) JP2024059592A (ko)
KR (1) KR20240054202A (ko)
CN (1) CN117901624A (ko)
BR (1) BR102023019021A2 (ko)
CA (1) CA32100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049Y2 (ko) * 1985-03-13 1991-10-21
US11059360B2 (en) * 2018-09-14 2021-07-13 Hutchinson Sealing Systems Encapsulated fixed window module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10014A1 (en) 2024-04-18
EP4357176A1 (en) 2024-04-24
CN117901624A (zh) 2024-04-19
BR102023019021A2 (pt) 2024-04-30
JP2024059592A (ja) 2024-05-01
US20240123803A1 (en)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3191A1 (en) Encapsulated fixed window module for a motor vehicle
US8166708B2 (en) Integrated glass run and upper reveal with film
EP0907485B1 (en) Encapsulated fixed-window module for a motor vehicle
US5317835A (en) Window enclosure for an automotive upper door frame
US8689489B2 (en) Glass run for motor vehicle
US8782954B2 (en) Glass run
KR101163472B1 (ko) 자동차의 오프닝 웨더스트립 고정구조
US20070006534A1 (en) Glass run
US20080238134A1 (en) Unsupported division post for automotive glass encapsulation
JP2008510656A (ja) 外部から見えない分割バー組立体
US20130232881A1 (en) Glass run
US20100102597A1 (en) Glass Run With Integrated Upper Reveal
CA2562163A1 (en) One-piece plastic retainer with integrated water management feature
US10457121B2 (en) Encapsulated fixed window module for a motor vehicle
US20110109009A1 (en) Method of forming unsupported division post for automotive glass encapsulation
US20020096800A1 (en) Encapsulated fixed window module with continuous seal trim strip for a motor vehicle
US20100095599A1 (en) Sealing system for vehicle door leaf, method for making same and vehicle including same
US5913762A (en) Weatherstrip for motor vehicle side windows
US20060150522A1 (en) Window sealing and guiding arrangements
KR20240054202A (ko) 자동차용 캡슐식 고정형 창 모듈
CN220129918U (zh) 用于机动车辆的封装的固定窗模块、玻璃滑槽和机动车辆
GB2326435A (en) Sealing corner for glass run channel
JP4858230B2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H05278474A (ja) ウェザ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S63227415A (ja) グラスラ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