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016A - 차량용 범프스토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프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016A
KR20240054016A KR1020220134242A KR20220134242A KR20240054016A KR 20240054016 A KR20240054016 A KR 20240054016A KR 1020220134242 A KR1020220134242 A KR 1020220134242A KR 20220134242 A KR20220134242 A KR 20220134242A KR 20240054016 A KR20240054016 A KR 20240054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 stopper
vehicle
protrusion
connecting member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신
유상훈
김종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016A/ko
Priority to US18/178,012 priority patent/US20240123784A1/en
Priority to CN202310312049.XA priority patent/CN117901592A/zh
Publication of KR20240054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3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an annular or the like shape, e.g. grommet-type resilient mountings
    • F16F1/3735Multi-part grommet-type resilient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4Plastic spring, e.g. rubber
    • B60G2202/143Plastic spring, e.g. rubber subjected to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5Mounting of rubber type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60G2204/4502Stops limiting travel using resilient buf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범프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고밀도의 어퍼부(100)와 저밀도의 로어부(200) 및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0,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중 밀도의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를 이용해서 차량의 승차감 성능과 핸들링 성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으며, 범프스토퍼(10)의 압축시 연결부재(300,400)를 이용해서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와의 틈새 발생을 방지하여 이음과 관련한 소음을 없앨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프스토퍼{BUMP STOP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범프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승차감(Ride) 성능과 핸들링(Handling) 성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이중 밀도(double density)가 적용된 차량용 범프스토퍼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현가장치는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현가장치의 구성요소인 범프스토퍼는 차량의 휠 거동시 쇽업소버와 스프링의 최대 상승 스트로크(stroke, 범프 스트로크)를 규제해서 승차감 향상 및 핸들링 성능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며, 특히 보조스프링으로 작용하여 현가 스프링과 함께 차량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쇽업소버와 스프링의 최대 상승 스트로크 규제는 현가아암에 장착된 스토퍼시트가 차륜의 거동에 따라 상승해서 범프스토퍼에 접촉함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즉,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차륜은 상하방향 거동을 하게 되고, 차륜의 상하방향 거동에 의해 현가아암은 차체와의 결합점인 부시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바, 현가아암의 상방향 회전시 현가아암에 장착된 스토퍼시트가 차체에 고정된 범프스토퍼에 접촉함에 따라 쇽업소버와 스프링의 최대 상승 스트로크가 규제되는 것이다.
한편, 범프스토퍼가 승차감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저밀도를 적용하여 스프링 특성을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핸들링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고밀도를 적용하여 스프링 특성을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의 범프스토퍼는 단일 밀도가 적용된 단일 구성으로 차량의 승차감 성능과 핸들링 성능을 모두 만족시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3-0039526
본 발명은, 이중 밀도가 적용된 차량용 범프스토퍼로서, 차량의 승차감 성능과 핸들링 성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범프스토퍼는, 상하로 적층되고 이중 밀도로 구성된 어퍼부와 로어부; 및 상기 어퍼부와 로어부의 경계면에 위치해서 어퍼부와 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부는 로어부보다 상대적으로 고밀도 특성을 갖고; 상기 로어부는 어퍼부보다 상대적으로 저밀도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스틸재질로 형성되어 어퍼부 및 로어부 제작시 인서트 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어퍼부와 로어부의 경계면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어퍼부와 로어부를 연결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하단에서 내측의 중공부를 향해 돌출되어 어퍼부 및 로어부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어퍼돌기부와 로어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어퍼부 및 로어부의 단면두께 내에 위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은 압축시 어퍼부 및 로어부와의 틈새 발생 방지를 위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어퍼부와 로어부의 경계면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어퍼부와 로어부를 연결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하단에서 내측의 중공부를 향해 돌출되어 어퍼부 및 로어부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어퍼돌기부와 로어돌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간지점에서 어퍼부와 로어부의 경계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퍼부와 로어부의 접촉을 방지하는 센터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와 어퍼돌기부 및 로어돌기부는 어퍼부와 로어부의 단면두께 내에 위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센터돌기부는 어퍼부와 로어부의 경계면을 따라 연장되어서 끝단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과 센터돌기부의 상하면은 서로 연결되고, 연결된 면은 압축시 어퍼부 및 로어부와의 틈새 발생 방지를 위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프스토퍼는, 고밀도의 어퍼부 및 저밀도의 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중 밀도의 어퍼부와 로어부를 이용해서 차량의 승차감 성능과 핸들링 성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프스토퍼는, 고밀도의 어퍼부와 저밀도의 로어부가 인서트 결합된 연결부재를 이용해서 결합력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이중 밀도의 어퍼부와 로어부는 본드와 같은 별도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연결부재를 통해서 충분히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프스토퍼는, 연결부재의 외측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어퍼부 및 로어부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접촉면을 고르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범프스토퍼의 압축시 어퍼부 및 로어부와의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음과 관련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프스토퍼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프스토퍼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기(Controller)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프스토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범프스토퍼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제2실시예의 범프스토퍼가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범프스토퍼와 제2실시예의 범프스토퍼는 연결부재만 상이하고, 그 외의 다른 구성은 서로 동일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범프스토퍼(10)는 상하로 적층되고 이중 밀도로 구성된 어퍼부(100)와 로어부(200); 및 상기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경계면(11)에 위치해서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rubber)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퍼부(100)는 로어부(200)보다 상대적으로 고밀도 특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핸들링 성능과 관련 있는 어퍼부(100)는 고밀도를 적용해서 스프링 특성을 높게 설정한다. 높은 스프링 특성은 차량 선회시 높은 휠 스트로크 구간에서 차량의 자세를 강하게 잡아주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핸들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로어부(200)는 어퍼부(100)보다 상대적으로 저밀도 특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승차감 성능과 관련 있는 로어부(200)는 저밀도를 적용해서 스프링 특성을 낮게 설정한다. 낮은 스프링 특성은 직진 주행시 낮은 휠 스트로크 구간에서 부드러운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재(300)는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 스틸(steel)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틸재질의 연결부재(300)는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 제작시 인서트(insert) 방식으로 결합되어서 어퍼부(100)와 로어부(200)가 충분한 결합력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재(300)가 인서트 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는 본드(bond)와 같은 별도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연결부재(300)를 통해서 충분히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연결부재(300)는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경계면(11)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를 연결하는 바디부(310); 및 상기 바디부(310)의 상하단에서 내측의 중공부(12)를 향해 돌출되어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어퍼돌기부(320)와 로어돌기부(33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00)는 전체적인 외형이 원형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면서 바디부(310)와 어퍼돌기부(320) 및 로어돌기부(330)는 U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구조가 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00)는 전체적으로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의 단면두께 내에 위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며, 이를 통해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바디부(310)는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경계면(11)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어퍼돌기부(320)는 바디부(31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어퍼부(10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로어돌기부(330)는 바디부(31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로어부(20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어퍼돌기부(320) 및 로어돌기부(330)에 의한 걸림구조로 인해 연결부재(300)의 상하단은 각각 범프스토퍼(10)의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에 각각 고정되어 범프스토퍼(10)의 인장시 연결부재(300)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어퍼돌기부(320) 및 로어돌기부(330)에 의한 걸림구조로 인해 범프스토퍼(10)의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는 본드와 같은 별도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연결부재(300)를 통해서 충분히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바디부(310)의 외측면(311)은 상하로 연장된 평면으로 형성되어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범프스토퍼(10)의 압축시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와의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음과 관련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제2실시예의 연결부재(400)가 구비된 범프스토퍼(10)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연결부재(400)는 제1실시예의 연결부재(300)에서 센터돌기부(340)가 더 형성된 것이 상이하고, 바디부와 어퍼돌기부 및 로어돌기부가 형성된 구성은 동일하다.
도 2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연결부재(400)는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경계면(11)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를 연결하는 바디부(410); 상기 바디부(410)의 상하단에서 내측의 중공부(12)를 향해 돌출되어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어퍼돌기부(420)와 로어돌기부(430); 및 상기 바디부(410)의 중간지점에서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경계면(11)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접촉을 방지하는 센터돌기부(440)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00)에서 바디부(410)와 어퍼돌기부(420) 및 로어돌기부(43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연결부재(300)의 바디부(310)와 어퍼돌기부(320) 및 로어돌기부(330)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연결부재(400)는 바디부(410)와 어퍼돌기부(420) 및 로어돌기부(430)의 외형적 형상이 제1실시예의 연결부재(300)와 마찬가지로 원형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면서 U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여기에 센터돌기부(440)가 바디부(410)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더 형성된 구조인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00)는 바디부(410)와 어퍼돌기부(420) 및 로어돌기부(430)가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의 단면두께 내에 위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며, 이를 통해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바디부(410)는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경계면(11)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어퍼돌기부(420)는 바디부(41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어퍼부(10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로어돌기부(430)는 바디부(41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로어부(20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어퍼돌기부(420) 및 로어돌기부(430)에 의한 걸림구조로 인해 연결부재(400)의 상하단은 각각 범프스토퍼(10)의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에 각각 고정되어 범프스토퍼(10)의 인장시 연결부재(400)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어퍼돌기부(420) 및 로어돌기부(430)에 의한 걸림구조로 인해 범프스토퍼(10)의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는 본드와 같은 별도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연결부재(400)를 통해서 충분히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센터돌기부(440)는 바디부(410)의 상하 길이방향 중간지점에서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경계면(11)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며, 끝단은 범프스토퍼(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접촉을 확실히 방지하게 된다.
범프스토퍼(10)의 압축시 밀도가 다른 어퍼부(100)와 로어부(200)가 서로 접촉하여 압축되는 상황에서,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경계면(11)의 형상이 고르지 못할 경우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경계면(11)에 틈새가 발생하고, 이럴 경우 이음과 관련한 소음이 발생하며, 더 나아가 내구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연결부재(400)의 센터돌기부(440)를 이용해서 경계면(11)을 기준으로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를 확실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경계면(11)의 형상이 고르지 못한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접촉을 방지해서 어퍼부(100)와 로어부(200)의 경계면(11)에서의 틈새 발생 방지 및 이음과 관련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실시예의 연결부재(400)는 바디부(410)의 외측면(411)과 센터돌기부(440)의 상하면(441,442)은 서로 연결되고, 연결된 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고르게 접촉시킬 수가 있으며, 이를 통해 범프스토퍼(10)의 압축시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와의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음과 관련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프스토퍼는, 고밀도의 어퍼부(100) 및 저밀도의 로어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중 밀도의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를 이용해서 차량의 승차감 성능과 핸들링 성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프스토퍼는, 고밀도의 어퍼부(100)와 저밀도의 로어부(200)가 인서트 결합된 연결부재(300,400)를 이용해서 결합력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이중 밀도의 어퍼부(100)와 로어부(200)는 본드와 같은 별도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연결부재(400)를 통해서 충분히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프스토퍼는, 연결부재(300,400)의 외측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접촉면을 고르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범프스토퍼(10)의 압축시 어퍼부(100) 및 로어부(200)와의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음과 관련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범프스토퍼 11 - 경계면
12 - 중공부 100 - 어퍼부
200 - 로어부 300 - 연결부재
310 - 바디부 311 - 외측면
320 - 어퍼돌기부 330 - 로어돌기부
400 - 연결부재 410 - 바디부
411 - 외측면 420 - 어퍼돌기부
430 - 로어돌기부 440 - 센터돌기부
441 - 상면 442 - 하면

Claims (9)

  1. 상하로 적층되고 이중 밀도로 구성된 어퍼부와 로어부; 및
    상기 어퍼부와 로어부의 경계면에 위치해서 어퍼부와 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프스토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부는 로어부보다 상대적으로 고밀도 특성을 갖고;
    상기 로어부는 어퍼부보다 상대적으로 저밀도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프스토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스틸재질로 형성되어 어퍼부 및 로어부 제작시 인서트 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프스토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어퍼부와 로어부의 경계면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어퍼부와 로어부를 연결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하단에서 내측의 중공부를 향해 돌출되어 어퍼부 및 로어부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어퍼돌기부와 로어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프스토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어퍼부 및 로어부의 단면두께 내에 위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프스토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은 압축시 어퍼부 및 로어부와의 틈새 발생 방지를 위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프스토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어퍼부와 로어부의 경계면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어퍼부와 로어부를 연결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하단에서 내측의 중공부를 향해 돌출되어 어퍼부 및 로어부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어퍼돌기부와 로어돌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간지점에서 어퍼부와 로어부의 경계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퍼부와 로어부의 접촉을 방지하는 센터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프스토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어퍼돌기부 및 로어돌기부는 어퍼부와 로어부의 단면두께 내에 위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센터돌기부는 어퍼부와 로어부의 경계면을 따라 연장되어서 끝단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프스토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과 센터돌기부의 상하면은 서로 연결되고, 연결된 면은 압축시 어퍼부 및 로어부와의 틈새 발생 방지를 위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프스토퍼.
KR1020220134242A 2022-10-18 2022-10-18 차량용 범프스토퍼 KR20240054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242A KR20240054016A (ko) 2022-10-18 2022-10-18 차량용 범프스토퍼
US18/178,012 US20240123784A1 (en) 2022-10-18 2023-03-03 Bump Stopper for Vehicle
CN202310312049.XA CN117901592A (zh) 2022-10-18 2023-03-27 车辆的防撞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242A KR20240054016A (ko) 2022-10-18 2022-10-18 차량용 범프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016A true KR20240054016A (ko) 2024-04-25

Family

ID=9062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242A KR20240054016A (ko) 2022-10-18 2022-10-18 차량용 범프스토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23784A1 (ko)
KR (1) KR20240054016A (ko)
CN (1) CN11790159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01592A (zh) 2024-04-19
US20240123784A1 (en)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9088B2 (en) Shackle assembly
US11001113B2 (en) Dual-rate leaf spring suspension for a vehicle
JP5803930B2 (ja) 車両用空気ばねとそれを用いた台車
CA2512848A1 (en) Lightweight, low part-count, suspensio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US6425576B1 (en) Suspension arm bushing of vehicle
US9579942B2 (en) Integral 5-link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s
KR102275467B1 (ko) 차량 캡 서스펜션
KR20240054016A (ko) 차량용 범프스토퍼
KR101349014B1 (ko) 상용차의 리프 스프링
CN218971714U (zh) 一种带缓冲块的新型副车架衬套
JP2006105244A (ja) 空気ばね
KR102417402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KR20070032134A (ko)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EP3511591B1 (en) Dust cover assembled bumper stopper
CN212868268U (zh) 汽车主动控制悬架用空气弹簧的外部结构
JPS59164215A (ja) 車輌のスタビライザ−
CN211730968U (zh) 稳定杆衬套及稳定杆总成
KR102440604B1 (ko) 멀티 링크식 후륜 현가장치용 어퍼 암
JP3852292B2 (ja) 自動車用の防振ブッシュ構造
KR200206928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JPH1193998A (ja) 防振マウント
KR200279813Y1 (ko) 차량의복합재료판스프링
JPH0517242U (ja) 横置きリーフスプリングのストツパ取付構造
KR100412872B1 (ko) 차량 현가장치의 부시어셈블리
KR20030092621A (ko) 두께 차이를 갖는 현가장치용 로워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