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191A - 감시 초소 - Google Patents

감시 초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191A
KR20240053191A KR1020220132978A KR20220132978A KR20240053191A KR 20240053191 A KR20240053191 A KR 20240053191A KR 1020220132978 A KR1020220132978 A KR 1020220132978A KR 20220132978 A KR20220132978 A KR 20220132978A KR 20240053191 A KR20240053191 A KR 20240053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floor
front wall
membran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to KR102022013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191A/ko
Publication of KR2024005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초소에 관한 것으로, 판 형태로 이루어진 전면벽부와, 상기 전면벽부에서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벽부와 마주하게 배치된 후면벽부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간격을 형성하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 사이에 마련되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를 상기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속시키는 체결경첩부재들과, 상기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서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소통 가능하게 하는 출입도어를 구비한 벽체; 바닥을 향하는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고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하단고정레일과, 상기 하단고정레일의 각 삽입홈에 양측이 삽입되어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부를 구비한 바닥체; 및, 상기 바닥과 반대편을 향하는 상기 벽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지리브들과, 벽체의 상단을 커버하여서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막 유닛과, 상기 지지리브들과 막 유닛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막 유닛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을 구비한 지붕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감시 초소{Surveillance booth}
본 발명은 감시 초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장소에서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이동이 가능하며 방탄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감시 초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소는 소정의 패널을 사용하여 획일적으로 조립한 구조물을 가리키고, 설치 장소 및 그 사용 목적에 따라 경비 초소, 주차 초소, 경찰 초소, 상품 판매 초소, 안내 초소, 전시 초소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초소는 철재, 합성수지, 목재, 유리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갖는 조립식 구조물로, 설치장소나 생산현장에서 조립되며 그 설치장소에 고정설치된다.
종래기술에 의한 초소는,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노출되어 있고, 외벽에 해당하는 측벽이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이 발생될 경우 상기 판의 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높은 유지관리 비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초소는 큰 부피를 가짐으로써 자재 이동을 위해 대형 운반 차량 등이 필요하고 설치 및 해체를 위해 전문 인력이 필수로 요구되며, 설치장소에 한번 고정 설치되면 필요에 따라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다.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6919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 초소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전문 인력이 없이도 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설치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유지관리 비용을 감소시킴과 함께 방탄 성능을 제공하는, 감시 초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초소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 전면벽부와, 상기 전면벽부에서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벽부와 마주하게 배치된 후면벽부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간격을 형성하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 사이에 마련되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를 상기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속시키는 체결경첩부재들과, 상기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서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소통 가능하게 하는 출입도어를 구비한 벽체; 바닥을 향하는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고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하단고정레일과, 상기 하단고정레일의 각 삽입홈에 양측이 삽입되어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부를 구비한 바닥체; 및, 상기 바닥과 반대편을 향하는 상기 벽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지리브들과, 벽체의 상단을 커버하여서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막 유닛과, 상기 지지리브들과 막 유닛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막 유닛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을 구비한 지붕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의 측벽부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부재들과, 상기 벽부재들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벽부재들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상기 측벽부가 접철되게 하는 중앙경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체는, 상기 지붕 구조체와 체결된 벽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단고정레일에 마련되고 상기 바닥에 구름 접촉되는 이동바퀴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체는, 상기 벽체를 위치 고정시키면서 상기 바닥면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레그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유닛은, 상기 하단고정레일에 결합되고 바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승강홈이 내부에 마련된 너트블록; 상기 바닥에 배치되는 접지판; 상기 접지판에 결합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승강홈에 배치된 수나사봉; 및, 상기 너트블록에 마련되고 상기 수나사봉의 나머지 부분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수나사봉의 회전 시 상기 나머지 부분를 승강홈으로 인입되게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붕 구조체의 막 유닛은, 펼쳐짐 및 접힘이 가능한 막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붕 구조체의 받침프레임은, 모서리 부분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을 향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막 유닛의 모서리 부분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어서 상기 막 유닛의 펼쳐진 형태를 유지시키는 밀착리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붕 구조체의 막 유닛은,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양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외부를 소통시키는 출입슬릿이 각각 마련된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에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부에서 당김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당김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회전기둥; 막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각각의 회전기둥에 연결되어 권취되고, 타측이 상기 출입슬릿을 관통하여 외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당김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때 권취 해제되면서 당김방향으로 인출되어서 상기 받침프레임 또는 측벽부에 체결되는 막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받침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을 받침프레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인출된 막부재가 바닥을 향하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하는 써포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초소는, 벽체의 전면벽부와 후면벽부 사이에 한 쌍의 측벽부가 마련되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벽체의 하부에 바닥판부가 마련되며 상부에 지붕 구조체가 마련되어서 내수 공간의 바닥면과 천장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가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의 인접한 벽부재들로 이루어져서 접철되며, 상기 측벽부의 접철 시 벽체가 접철되면서 초소의 부피를 현저히 감소되게 함으로써, 감시 초소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전문 인력이 없이도 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설치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유지관리 비용을 감소시킴과 함께 방탄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초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지붕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시 초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벽체의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지붕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초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초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지붕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초소(10, 30)는 벽체(40), 바닥체 및 지붕 구조체(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초소(10)의 본체(11)에 해당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체 및 지붕 구조체(17)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외부와 내부 공간의 분리를 위한 벽(11a)을 형성시키는 전면벽부(41), 후면벽부(43), 측벽부(45), 체결경첩부재들(46) 및 출입도어(4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벽부(41)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배치되며, 후면벽부(43)와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전면벽부(41)는 양측이 각각 측벽부(45)의 외측과 체결경첩부재들(4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전면벽부(41)에는 사용자를 내부 공간에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도어(43a) 또는 그 내부 공간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유리(15, 41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벽부(43)는 전면벽부(41)와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벽부(41)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상기 후면벽부(43)는, 전면벽부(41)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지며, 양측이 각각 상기 측벽부(45)의 외측과 체결경첩부재들(4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후면벽부(43)에는 상기 출입도어(43a) 또는 유리(15, 41a)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면벽부(43) 및 전면벽부(41)에는 각각 이동손잡이(13, 41b)가 각각 구비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벽체(40)를 용이하게 위치변동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측벽부(4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간격을 형성하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면벽부(41) 및 후면벽부(43)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측벽부(45)의 양측은 각각 전면벽부(41) 및 후면벽부(43)의 외측에 체결경첩부재들(4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측벽부(45)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부재(45a)로 이루어지며, 서로 인접한 부분이 중앙경첩부재(45d)들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접철되는 구조를 가진다(도 3 및 4 참조).
상기 측벽부(45)는 각각의 벽부재(45a)이 중앙경첩부재(45d)에 의해 서로 회동되게 결속되고 접철됨으로써, 상기 전면벽부(41) 및 후면벽부(43)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고 내부 공간을 현저히 축소시키며 벽체(40)의 부피를 줄여서 이동성과 작업성을 증대시킨다. 이때 상기 바닥체의 바닥판부(49)는 벽체(40)의 하측에서 결속 해제되거나 함께 접철되어 그 벽체의 원활한 접철을 가능하게 한다(도 4 참조). 여기서 상기 측벽부의 구조는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도 채용되었다.
상기 체결경첩부재들(46)은 상기 전면벽부(41)와 측벽부(45)의 일측, 상기 후면벽부(43)와 그 측벽부(45)의 타측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를 상기 측벽부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속시킴으로써, 상기 벽체(40)가 접철될 때 상기 전면벽부와 후면벽부 사이에서 상기 측벽부(45)의 원활한 접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출입도어(43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벽부(41) 또는 후면벽부(4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자가 벽체의 내부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출입도어(43a)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경첩부재(46)에 의해 회동 가능하며, 유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벽체(40)는 방탄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빛의 반사를 가능하게 하는 물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41a)는 방탄 유리, 이중 유리, 합성 수지 재질, 강화 유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체는 감시 초소의 본체(11)를 이루는 벽체(40)의 바닥 측 하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단고정레일(47) 및 바닥판부(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체의 하단고정레일(47)은 바닥을 향하는 상기 측벽부(45)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고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삽입홈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하단고정레일(47)은 바닥판부(49)를 상기 벽부(4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측벽부(45)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체의 바닥판부(4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부(45)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하단고정레일(47)의 삽입홈에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부(49)는 상기 벽체(40)의 접철 시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서 삽입홈을 따라 인출됨으로써, 상기 측벽부(45)의 원활한 접철을 가능하게 한다(도 4 참조).
상기 바닥체의 하단고정레일(47)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레일하프(47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 레일하프(47a)가 경철부재들(47b)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측벽부(45)가 접힐 때 그 측벽부와 함께 접힘으로써, 상기 벽체의 부피를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부(49)는 하단고정레일에서 인출된 상태이다. 아울러, 상기 벽체는 합성수지 소재, 나무 소재, 철재 소재, 방탄 소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외부에 부식 방지 등을 위해 페인팅 처리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붕 구조체(17)는, 상기 벽체(4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지지리브들(17b), 막 유닛(19) 및 받침프레임(17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붕 구조체(17)의 지지리브들(17b)은 바닥과 반대편을 향하는 상기 벽체(4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각각 체결된다. 상기 지지리브들(17b)은 받침프레임(17a)을 지지하며 벽체(40)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상기 막 유닛(19)은 벽체의 상단에 배치되어서 몸체(11)에 해당되는 상기 벽체(40)를 커버하여서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형성한다. 상기 막 유닛(19)은 지지리브들(17b)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프레임(17a)과 밀착되어서 형태가 유지된다. 상기 막 유닛(19)은 방탁막, 일반 막, 빛 반사를 가능하게 하는 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붕 구조체(17)의 받침프레임(17a)은 상기 지지리브들(17b)과 막 유닛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막 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막 유닛(19)의 내면과 밀착되며 형태를 유지한다. 상기 지붕 구조체(17)는 지지리브들(17b)이 벽체에서 착탈됨으로써, 상기 측벽부(45)의 접철에 의해 상기 몸체 즉 벽체(40)가 접힐 때 그 벽체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상기 접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하며 그 벽체(40)의 이동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초소는, 벽체의 전면벽부(41)와 후면벽부(43) 사이에 한 쌍의 측벽부(45)가 마련되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벽체(40)의 하부에 바닥판부(49)가 마련되며 상부에 지붕 구조체(17)가 마련되어서 내수 공간의 바닥면과 천장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가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의 인접한 벽부재들로 이루어져서 접철되며, 상기 측벽부의 접철 시 벽체가 접철되면서 초소의 부피를 현저히 감소되게 함으로써, 감시 초소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전문 인력이 없이도 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설치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유지관리 비용을 감소시킴과 함께 방탄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지붕 구조체(17)의 막 유닛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막부재(19)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부재(19)는 방탁막, 일반 막, 스텔스 소재의 막, 빛 반사가 가능한 막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지붕 구조체(17)의 받침프레임(17a)은 그 막부재(19)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리브들(17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착리브들(17c)은 받침프레임(17a)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마련되고, 그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을 향해 길게 형성되며 그 막 유닛의 모서리 부분 내면에 각각 밀착되어서, 막부재로 이루어진 막 유닛의 펼쳐진 형태를 유지시켜준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바닥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퀴들(21) 및 레그유닛(2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바퀴들(21)은, 지붕 구조체(17)와 체결된 벽체(40)의 하단에 마련된 상기 하단고정레일(47)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에 구름 접촉됨으로써, 상기 감시 초소(10)를 별도의 이송장치 없이도 사용자가 이동손잡이(13)를 파지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그유닛(23)은, 벽체(40)의 이동 후 설치가 요구되는 설치장소에 위치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너트블록(23a), 접지판(23d), 수나사봉(23b) 및 고정너트(2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유닛(23)의 너트블록(23a)은, 각각의 하단고정레일(47)에 복수로 마련되어 결합되고 바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승강홈을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수나사봉(23b)의 일부가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나사봉(23b)은 바닥에 배치된 접지판(23d)에 결합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승강홈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레그유닛(23)의 고정너트(23c)는, 너트블록(23a)에 구비되고 그 수나사봉(23b)의 나머지 부분과 나사결합되며, 그 수나사봉(23b)의 일방향 회전 시 나머지 부분을 승강홈으로 인입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23c)는 수나사봉(23b)의 타방향 회전 시 승강홈으로 인입된 나머지 부분과 일부분을 외부로 인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레그유닛(23)은 사용자가 상기 접지판(23d)과 연결된 수나사봉(23b)을 회전시켜 그 수나사봉(23b)의 너트블록에 대한 인출 및 인입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감시 초소의 이동 시 그 감시 초소를 설치장소에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되게 하고 각각의 수나사봉의 길이 조절을 통해 그 감시 초소에서 바닥면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초소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시 초소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시 초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벽체의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지붕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지붕 구조체(6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지붕 구조체(60)는, 벽체(4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홀더(63)들을 구비한 복수의 지지리브들(62)을 구비하고, 그 지지리브들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프레임(61)과 막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지는 상기 지붕 구조체(60)의 막 유닛은 벽체(40)를 커버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71), 회전기둥(79), 막부재(73) 및 써포터(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막 유닛의 하우징(71)은,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양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외부를 소통시키는 출입슬릿(71a)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71)은 써포터(64)와 체결되고 그 서포터(64)에 의해 상기 받침프레임(61)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71)은 내부에 배치된 회전기둥(79)과 체결된다.
상기 막 유닛의 회전기둥(79)은 하우징의 설치공간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하우징(7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부에서 당김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때 그 당김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고, 상기 막부재(73)를 권취 및 권취해제되게 한다. 상기 회전기둥(79)은 그 당김 방향으로 회전 시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고, 당김 해제시 그 탄성력에 의해 당김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역회전되는 레칫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막부재(73)는 막 형태로 이루어져서 내부 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이 각각의 회전기둥(79)에 연결되어 권취되고, 타측이 상기 출입슬릿(71a)을 관통하여 외부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막부재(73)는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때 그 회전기둥에서 권취해제되면서 그 당김 방향으로 인출된 후 상기 받침프레임(61) 또는 측벽부(45)에 체결됨으로써,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천장을 형성한다.
상기 써포터(6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71)과 받침프레임(61)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하우징(71)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71)을 받침프레임(6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인출된 막부재(73)가 바닥을 향하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한다.
한편 상기 막부재(73)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에 선단바(75), 후크(77) 및 연장스트립(7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막부재(73)의 선단바(75)는 막부재(73) 타측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출입슬릿(71a)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출입슬릿(71a)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막부재(73)가 회전기둥(79)에 권취될 때 그 막부재의 타측이 출입슬릿(71a)을 경유에 설치 공간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후크(77)는 그 막부재(73)에 연결된 연장스트립(76)에 결합되고, 상기 막부재(73)의 인출 시 상기 측벽부(45)의 걸림홈들(45b)에 걸림으로써, 상기 막부재가 벽체(40)의 상부를 커버하며 천장을 형성했을 때 임의로 상기 회전기둥(79)에 다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후크(7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프레임(61)에 걸릴 수도 있고, 상기 걸림홈(45b)에 걸릴 수도 있다. 따라서 막부재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천장만을 형성할 수도 있고 측벽부(45) 까지 커버할 수 있음으로써 외부 환경으로 부터 감시 초소의 벽체가 부식되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구성을 유지시켜주고, 그 막부재가 방탄 막으로 이루어진 경우 감시 초소의 방탄 성능을 벽체에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감시초소 11:본체 11a:벽
13:이동손잡이 15:유리 17:지붕 구조체
17a:받침프레임 17b:지지리브들 17c: 밀착리브들
19:막 유닛 21:이동바퀴 23:레그유닛
23a:너트블록 23b:수나사봉 23c:고정너트
23d:접지판 30:감시초소 40: 벽체
41:전면벽부 41a: 유리 41b:이동손잡이
43:후면벽부 43a:출입도어 45:측벽부
45a:벽부재 45b:걸림홈 45d:중앙경첩부재
46:체결경첩부재 47:하단고정레일 47a:레일하프
47b:경첩부재들 49:바닥판부 60:지붕 구조체
61:받침프레임 62: 지지리브들 63:홀더
64:써포터 71:하우징 71a:출입슬릿
73:막부재 75:선단바 76:연장스트립
77:후크 79: 회전기둥

Claims (5)

  1. 판 형태로 이루어진 전면벽부와, 상기 전면벽부에서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벽부와 마주하게 배치된 후면벽부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간격을 형성하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 사이에 마련되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를 상기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속시키는 체결경첩부재들과, 상기 전면벽부 및 후면벽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서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소통 가능하게 하는 출입도어를 구비한 벽체;
    바닥을 향하는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고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하단고정레일과, 상기 하단고정레일의 각 삽입홈에 양측이 삽입되어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부를 구비한 바닥체; 및
    상기 바닥과 반대편을 향하는 상기 벽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지리브들과, 벽체의 상단을 커버하여서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막 유닛과, 상기 지지리브들과 막 유닛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막 유닛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을 구비한 지붕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의 측벽부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부재들과, 상기 벽부재들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벽부재들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상기 측벽부가 접철되게 하는 중앙경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초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체는,
    상기 지붕 구조체와 체결된 벽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단고정레일에 마련되고 상기 바닥에 구름 접촉되는 이동바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초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체는, 상기 벽체를 위치 고정시키면서 상기 바닥면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레그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그유닛은,
    상기 하단고정레일에 결합되고 바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승강홈이 내부에 마련된 너트블록;
    상기 바닥에 배치되는 접지판;
    상기 접지판에 결합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승강홈에 배치된 수나사봉; 및
    상기 너트블록에 마련되고 상기 수나사봉의 나머지 부분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수나사봉의 회전 시 상기 나머지 부분를 승강홈으로 인입되게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초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구조체의 막 유닛은, 펼쳐짐 및 접힘이 가능한 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 구조체의 받침프레임은, 모서리 부분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을 향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막 유닛의 모서리 부분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어서 상기 막 유닛의 펼쳐진 형태를 유지시키는 밀착리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초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구조체의 막 유닛은,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양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외부를 소통시키는 출입슬릿이 각각 마련된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에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부에서 당김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당김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회전기둥;
    막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각각의 회전기둥에 연결되어 권취되고, 타측이 상기 출입슬릿을 관통하여 외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당김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때 권취 해제되면서 당김방향으로 인출되어서 상기 받침프레임 또는 측벽부에 체결되는 막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받침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을 받침프레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인출된 막부재가 바닥을 향하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하는 써포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초소.
KR1020220132978A 2022-10-17 2022-10-17 감시 초소 KR20240053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978A KR20240053191A (ko) 2022-10-17 2022-10-17 감시 초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978A KR20240053191A (ko) 2022-10-17 2022-10-17 감시 초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191A true KR20240053191A (ko) 2024-04-24

Family

ID=9088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978A KR20240053191A (ko) 2022-10-17 2022-10-17 감시 초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1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4949A (en) Portable room construction
US6604327B1 (en) Retractable spa enclosure
US20050241779A1 (en) Retractable self rolling blind, awning or cover apparatus
US4037385A (en) Portable room construction and method
US3217722A (en) Tent formation adjacent solid wall
US7886757B2 (en) Temporary shelter with adjustble door system
US10499734B2 (en) Modular hanging storage system
KR100919286B1 (ko) 도어 진열장
US20080163563A1 (en) Patio or pool enclosure with removable panels
US3744195A (en) Collapsible frame structure
KR20240053191A (ko) 감시 초소
US20030121539A1 (en) Collapsible structure for patios and driveways
CN110952806B (zh) 一种展示棚及其安装方法
AU2008229736A1 (en) A blind or screen using a self retracting rolling device extended laterally
CN114809308A (zh) 一种装配式建筑的位置可调节装配组件
JP4522491B1 (ja) 折畳式簡易建物
KR200231094Y1 (ko) 가판대 결합구조
CN218439133U (zh) 一种可拆卸的房屋建筑阻挡护栏
DE102017126379A1 (de) Bauwerkstand
KR102428581B1 (ko) 반자동 롤 파티션 장치
CN219219916U (zh) 一种具有可折叠排队功能的移动亭
JP3171683U (ja) オープンガレージ
JP2000170463A (ja) 開閉装置の開閉体取付方法
JPH0740632Y2 (ja) 巻き込み収納式吊り扉装置
JP2611622B2 (ja) スカッシュコ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