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817A -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817A
KR20240052817A KR1020247010567A KR20247010567A KR20240052817A KR 20240052817 A KR20240052817 A KR 20240052817A KR 1020247010567 A KR1020247010567 A KR 1020247010567A KR 20247010567 A KR20247010567 A KR 20247010567A KR 20240052817 A KR20240052817 A KR 20240052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ositioning
ti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팡유 쿠이
난 장
지안우 도우
웨이 카오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5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8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Abstract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시간 인스턴스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무선 통신 노드로 보낼 수 있다.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집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표준화 기관인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현재 5G NR(5G New Radio)이라는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와 차세대 패킷 코어 네트워크(NG-CN 또는 NGC; Next Generation Packet Core Network)를 지정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5G NR은, 5G 액세스 네트워크(5G-AN; 5G Access Network), 5G 코어 네트워크(5GC; 5G Core Network) 및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의 세 가지 주요 컴포넌트를 가질 것이다.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및 요구 사항의 지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이라고도 하는 5GC의 요소는 필요에 따라 적응될 수 있도록 일부가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그리고 일부가 하드웨어 기반으로 단순화되었다.
본원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서 제시된 문제 중의 하나 이상에 관련된 사안을 해결할 뿐 아니라,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질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용이하게 명백하게 될 추가 특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시스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본원에 개시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로써 제시된 것이고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유지되면서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본 개시를 읽은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양상은 다음의 시스템, 방법, 장치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제1 시간 인스턴스(time instance)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무선 통신 노드(예컨대, 기지국)로 보낼 수 있다.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집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시간의 제1 측정 및 제2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시간의 제2 측정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수신 시간과 제1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송신 시간 사이의 제1 시간 갭(time gap) 및 제2 수신 시간과 제2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2 송신 시간 사이의 제2 시간 갭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적어도 제1 시그널링을 통해,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제1 트리거, 라운드 트립 시간(RTT; round trip time) 측정의 제2 트리거, 타이밍 어드밴스(TA; timing advance) 보고의 제3 트리거,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의 주기적 전송의 제4 트리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통신 노드에 보고될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보고 방법,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스케줄링 구성,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다수의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포지셔닝 관련 측정을 수집하는데 이용될,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위한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및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과, 대응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갭,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들 사이의 코히어런스(coherence) 레벨, 타이밍 어드밴스(TA) 값,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궤적 정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성 상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능력(capability) 또는 유형, 및 임의의 선행(preceding) 유형의 정보에 대응하는 타임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성 상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력 값, 이동 방향, 속도 벡터, 및 속력 범위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들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은,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들의 위상 값, 캐리어 주파수 값, 또는 타이밍 값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시퀀스의 참조 신호에 대해 복수의 라운드 트립 시간(RTT)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단일 트리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과, 대응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갭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 시간 갭을 보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시간 인스턴스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것일 수 있고,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무선 통신 노드 또는 또다른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정의된 수의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의 일부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은,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의 수가 정의된 수의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보다 적은 경우 신뢰할 수 있는(reliable) 것으로 생각될 수 없다.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수집하기 위한 정의된 시간 윈도우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은,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수집하기 위한 시간이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수집하기 위한 정의된 시간 윈도우보다 짧은 경우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TA) 보고를 위한 하나 이상의 트리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 복수의 TA 보고를 각각 각자의 시간 인스턴스에 보낼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는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뢰성 플래그를 수신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신뢰성 플래그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정의된 기간 동안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신뢰성 플래그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및 다른 정의된 가상 아이덴티티(ID)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양상은 시스템, 방법, 장치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노드(예컨대, 지상 단말, 기지국, gNB, eNB 또는 서빙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결정의 신뢰성을 표시하거나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는, 정보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의 신뢰성 결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의 포지셔닝 관련 메트릭 추정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무선 통신 노드의 포지셔닝 관련 메트릭 추정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의 추정을 비교함으로써 신뢰성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무선 통신 노드의 신뢰성 결정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로, 무선 통신 노드의 신뢰성 결정,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노드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보낼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노드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라운드 트립 시간(RTT) 측정, 적어도 하나의 도착 시간 차이(UL-TDOA) 측정,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어드밴스(TA) 보고, 임의의 유형의 선행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임스탬프,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다음의 도면에 관련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면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이며 본 솔루션과 관련한 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솔루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할 뿐이다. 따라서, 도면은 본 솔루션의 폭, 범위 또는 적용가능성을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예시를 명확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들 도면이 반드시 실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본원에 개시된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에에 따른 예시적인 비-지상파 네트워크(NTN; Non-Terrestrial Network)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업링크 도착 시간 차이(UL-TDOA; up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법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멀티셀 라운드 트립 시간(multi-RTT; multi-cell round trip time) 방법을 예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트립 시간(RTT; round trip time)을 추정하는 예시적인 프로시저를 예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의 관련 양상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일 위성/항공기에 의한 포지셔닝의 예를 예시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요청으로 다수의 시간 인스턴트에 대응하는 RTT를 추정하는 예시적인 프로시저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시간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기 위한 예시적인 접근법을 예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1. 이동 통신 기술 및 환경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본원에 개시된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와 같은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고, 본원에서 “네트워크(100)”로 지칭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네트워크(100)는, 통신 링크(110)(예컨대, 무선 통신 채널)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102)(이하, “BS(102)”; 무선 통신 노드로도 지칭됨) 및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104)(이하 “UE(104)”;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도 지칭됨), 및 지리적 영역(101)을 오버레이하는 셀들의 클러스터(126, 130, 132, 134, 136, 138 및 1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BS(102) 및 UE(104)는 셀(126)의 각자의 지리적 경계 내에 들어있다. 다른 셀들(130, 132, 134, 136, 138 및 140)의 각각은 그의 의도한 사용자에게 충분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그의 할당된 대역폭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S(102)는 UE(104)에 충분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할당된 채널 전송 대역폭에서 동작할 수 있다. BS(102) 및 UE(104)는 각각 다운링크 무선 프레임(118) 및 업링크 무선 프레임(124)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118/124)은 데이터 심볼(122/128)을 포함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120/127)로 더 나누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BS(102) 및 UE(104)는 일반적으로 “통신 노드”의 비한정적인 예로서 본원에 기재되며, 이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노드는 본 솔루션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솔루션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신호(예컨대, OFDM/OFDMA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시스템(200)은 본원에서는 상세하게 기재될 필요가 없는 공지된 또는 종래의 동작 특징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 및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200)은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도 1의 무선 통신 환경(100)과 같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데이터 심볼을 통신(예를 들어, 송신 및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200)은 일반적으로 기지국(202)(이하, “BS(202)” 및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204)(이하, “UE(204)”)를 포함한다. BS(202)는 BS(base station) 트랜시버 모듈(210), BS 안테나(212), BS 프로세서 모듈(214), BS 메모리 모듈(216) 및 네트워크 통신 모듈(218)을 포함하며, 각각의 모듈은 데이터 통신 버스(220)를 통해 필요한 대로 서로 커플링 및 상호연결된다. UE(204)는 UE(user equipment) 트랜시버 모듈(230), UE 안테나(232), UE 메모리 모듈(234) 및 UE 프로세서 모듈(236)을 포함하며, 각각의 모듈은 데이터 통신 버스(240)를 통해 필요한 대로 서로 커플링 및 상호연결된다. BS(202)는 통신 채널(250)을 통해 UE(204)와 통신하며, 통신 채널(250)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전송에 적합한 임의의 무선 채널 또는 다른 매체일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하듯이,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모듈이 아닌 임의의 수의 다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숙련자는,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 모듈, 회로, 및 프로세싱 로직은 하드웨어,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실시가능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성 및 호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는 일반적으로 그의 기능면에서 기재된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펌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여되는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개념이 익숙한 자는 이러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응용에 적합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UE 트랜시버(230)는 본원에서, 안테나(232)에 커플링되는 회로부를 각각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송신기 및 RF 수신기를 포함하는 “업링크” 트랜시버(230)로서 지칭될 수 있다. 듀플렉스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대안적으로 시간 듀플렉스 방식으로 업링크 안테나에 업링크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커플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에 따라, BS 트랜시버(210)는 본원에서, 안테나(212)에 커플링되는 회로부를 각각 포함하는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트랜시버(210)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다운링크 듀플렉스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대안적으로 시간 듀플렉스 방식으로 다운링크 안테나(212)에 다운링크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커플링할 수 있다. 2개의 트랜시버 모듈(210 및 230)의 동작은, 다운링크 송신기가 다운링크 안테나(212)에 커플링됨과 동시에, 업링크 트랜시버 회로부가 무선 전송 링크(250)를 통해 전송의 수신을 위해 업링크 안테나(232)에 커플링되도록, 시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반대로, 2개의 트랜시버(210 및 230)의 동작은, 업링크 송신기가 업링크 안테나(232)에 커플링됨과 동시에, 다운링크 수신기가 무선 전송 링크(250)를 통해 전송의 수신을 위해 다운링크 안테나(212)에 커플링되도록, 시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듀플렉스 방향의 변경들 사이에 최소 가드 시간(minimal guard time)을 가지고 근접 시간 동기화(close time synchronization)가 존재한다.
UE 트랜시버(230) 및 기지국 트랜시버(210)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250)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특정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 변조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적합하게 구성된 RF 안테나 배열(212/232)과 협력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 트랜시버(230) 및 기지국 트랜시버(210)는 LTE(Long Term Evolution) 및 신흥 5G 표준 등과 같은 산업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반드시 특정 표준 및 관련 프로토콜에의 응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오히려, UE 트랜시버(230) 및 기지국 트랜시버(210)는 미래 표준 또는 이의 변형을 포함하여 대안의 또는 추가의 무선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BS(202)는 예를 들어 eNB(evolved node B), 서빙 eNB, 타겟 eNB, 펨토 스테이션, 또는 피코 스테이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204)는 이동 전화,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랩톱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214 및 236)은 여기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콘텐츠 어드레스가능 메모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임의의 적합한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현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상태 기계 등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코어와 함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펌웨어로, 각각 프로세서 모듈(214 및 236)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실시가능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모듈(216 및 234)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분리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메모리 모듈(216 및 234)은 각각 프로세서 모듈(210 및 230)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프로세서 모듈(210 및 230)은 각각 메모리 모듈(216 및 234)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메모리 모듈(216 및 234)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216 및 234)은 또한, 그 각자의 프로세서 모듈(210 및 230) 안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 모듈(216 및 234)은 각각 프로세서 모듈(210 및 230)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의 실행 동안 임시 변수 또는 기타 중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캐시 메모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216 및 234)은 또한, 각각 프로세서 모듈(210 및 230)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모듈(218)은 일반적으로, 기지국 트랜시버(210)와, 기지국(202)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 및 통신 노드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지국(202)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프로세싱 로직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 모듈(218)은 인터넷 또는 WiMAX 트래픽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의 배치에서, 한정없이, 네트워크 통신 모듈(218)은 기지국 트랜시버(210)가 종래의 이더넷 기반 컴퓨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802.3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방식으로, 네트워크 통신 모듈(218)은 컴퓨터 네트워크(예컨대, MSC(Mobile Switching Center))에의 연결을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지정된 동작 또는 기능에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위해 구성된다”, “하도록 구성된다” 및 이의 동사 활용은, 지정된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물리적으로 구성, 프로그램, 포맷 및/또는 배열되는, 디바이스, 컴포넌트, 회로, 구조, 기계, 신호 등을 지칭한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여기에서 “개방 시스템 상호연결 모델”로 지칭됨)은 다른 시스템과의 상호연결 및 통신에 개방된 시스템(예컨대,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통신을 정의하는 개념 및 논리 레이아웃이다. 모델은 7개의 서브컴포넌트 또는 계층으로 나누어지며, 이들의 각각은 그 위와 아래의 계층들에 제공되는 개념적 서비스 모음을 나타낸다. OSI 모델은 또한, 논리 네트워크를 정의하고, 상이한 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컴퓨터 패킷 전송을 효과적으로 기재한다. OSI 모델은 또한, 7-계층 OSI 모델 또는 7-계층 모델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계층은 물리 계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계층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계층은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4 계층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5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6 계층은 NAS(Non Access Stratum) 계층 또는 IP(Internet Protocol) 계층일 수 있고, 제7 층은 다른 층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솔루션을 행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하 본 솔루션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듯이, 본 개시를 읽은 후에,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본원에 기재된 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솔루션은 여기에 기재되고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 및 응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단지 예시적인 접근일 뿐이다. 설계 선호도에 기초하여, 개시된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본 솔루션의 범위 내에 유지되면서 재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기술은 다양한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샘플 순서로 제시한 것이며 본 솔루션은 명시적으로 달리 서술되지 않는 한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2.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비-지상파 네트워크(NTN; non-terrestrial network) 사용자 장비(UE)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능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고, UE의 위치를 획득/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GNSS 기반 포지셔닝 방법은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에 독립적이다. GNSS에 의해 획득된 UE 포지션은 네트워크에 의해 신뢰할 수 없을/신뢰성없을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에 의해 UE의 포지션을 획득 및/또는 검증하는 방법이, 본 개시가 인식하고 해결책을 제공하는 문제이다. 본원에서 제시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포함한다.
도 3은 NTN, 예컨대 투명(transparent) NTN의 예시적인 표현을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UE와 위성 사이의 링크는 서비스 링크일 수 있다. 기지국(BS)과 위성 사이의 링크는 피더(feeder) 링크일 수 있다. 피더 링크 지연은 동일한 셀 내의 모든 UE에 대해 공통적일 수 있다. 무선 액세스 기술에 의존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reliable)/신뢰성있을 수 있는(trustable), 지상파 네트워크(TN; terrestrial network)에서의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다수의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UE가 다수의 기지국들과 동시에 통신하는 것을 요구할/수반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NTN 사양에서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UL-TDOA(up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법을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UE는 UL 참조 신호(RS)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기지국(BS)은 TDOA를 추정하기 위해 UE로부터의 업링크(UL) RS를 측정할 수 있다. TDOA에 기초하여, 다수의 쌍곡선 곡선이 획득될 수 있고, 교차점에서 추정된 UE 포지션이 결정될 수 있다. TDOA 추정에서 BS들 사이의 클록 에러를 피하기 위해, 다수의 BS들은 잘 동기화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멀티셀 라운드 트립 시간(multi-RTT) 방법을 예시한다. 네트워크는 UE와 상이한 BS 사이의 다수의 RTT를 추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UE와 여러 참조 포인트(예컨대, BS 위치) 사이의 거리를 알 수 있고, 기하학적 계산을 통해 포지셔닝을 수행할 수 있다. RTT를 추정하기 위해, DL 및 UL RS 둘 다가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먼저 시간 t0에서 DL RS를 송신할 수있다. UE는 t1에서 DL RS를 수신할 수 있고, t2에서 UL RS를 송신할 수 있다. UL RS를 송신한 후, UE는 시간 간격 (t2 - t1)을 보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t3에서 UL RS를 수신할 수 있고, (t3 - t0) - (t2 - t1)로서 RTT를 획득할 수 있다. UL-TDOA와 비교하여, 독립적인 RTT가 측정될 수 있으므로 BS들은 잘 동기화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RTT를 추정하는 프로시저는 도 4에서 볼 수 있다.
NTN에서, 큰 전파 지연을 처리하기 위해 UL 동기화에 대해 타이밍 어드밴스(TA; timing advance) 사전 보상(pre-compensation)이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UE에 위성(또는 다른 참조 포인트) 포지션(예컨대, 위치 좌표 또는 위성 천문력)을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UE는 네트워크로부터 표시된 위성 포지션 및 GNSS 포지셔닝에 의해 획득된 자신의 위치에 기초하여 기하학적 계산을 통해 서비스 링크 지연을 추정할 수 있다. 더욱이, 네트워크가 전송/통신의 스케줄링을 배열하기 위해 UE에서 사전 보상된 TA를 알아야 할 수 있기 때문에, TA 보고도 또한 지원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비스 링크 TA는 UE와 위성 사이의 RTT와 동일할/등가일/유사할/관련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에 고려될 수 있다. 사전 보상된 TA 값의 계산은 GNSS 시스템과 관련될 수 있지만, UE가 정확한 TA 사전 보상 없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할 수/신뢰성있을 수 있다.
구현 예 1 -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
도 7a 내지 도 7d는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의 관련 양상을 예시한다. 현재 NTN에서는, 동시에 통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위성들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포지셔닝을 위해 다수의 BS들을 이용하는 방법은 NTN에서 직접 채택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위성/항공기의 이동성으로 인해, 포지셔닝의 프로세싱 시간/지속기간이 길게 허용/인에이블/지원될 수 있는 경우, 하나의 위성/항공기/게이트웨이(GW)/BS만을 사용하여 다수의 RTT/TDOA/TA가 획득될 수 있다(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해 다음의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A. 예시적인 방법 - 1
도 8은 단일 위성/항공기를 사용함으로써 포지셔닝의 예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상이한 시간 인스턴트에서 다수의 RTT들을 추정하기 위해 UL 및 DL RS를 이용할 수 있다. 상이한 시간 인스턴트에서 동일한 BS/위성/항공기에 대응하는 RTT들이 NTN에서 추정될 수 있다. TN에서, RTT들은 상이한 장소에서의 다수의 고정된 BS에 대응할 수 있다. 방법을 수용하기 위해, BS와 UE 사이에 다음의 시그널링 설계가 고려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RTT 측정 프로시저가 재사용될 수 있다. BS는 상이한 시간 인스턴트에서 다수 회 측정 프로시저를 수행할 수 있고, UE의 포지션을 추정하기 위해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TT 측정은 한 번만 트리거될 수 있지만(예컨대, 요청이 한 번만 보내짐), 주기적 RS 전송이 구성될 수 있다. RS의 기간은 요청 메시지에서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UE에서 DL RS를 수신하는 것과 UL RS를 송신하는 것 사이의 시간 갭이 고정된 경우, UE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L RS의 처음 또는 마지막 전송 후에 한 번만 시간 갭을 보고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UE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L RS의 매 전송 후에 시간 갭을 보고할 수 있다.
B. 예시적인 방법 - 2
방법-1과 유사하게, 네트워크는 상이한 시간 인스턴트에서 TDOA를 추정하기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UL RS)를 이용할 수 있다. TN에서의 UL-TDOA 방법은, 동시의 다중 BS 측정을 동일한 BS에 의한 다중 시간 측정으로 수정함으로써 NTN을 수용하도록 향상될 수 있다. UL RS 송신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는 TDOA 추정에서 상이한 RS 전송 사이의 시간 간격을 배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 상이한 업링크 UL RS 전송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길 수 있다(예컨대, 수십 초). 무선 주파수(RF)가 충분히 안정적이지 않은 경우, 상이한 UL RS 전송 사이의 코히어런스(coherence)가 충분히 양호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TDOA 추정 에러를 야기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추정된 UE 포지션의 신뢰도를 획득/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이한 UL RS 전송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이 UE에 의해 보고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이한 UL RS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은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의 위상 값, 캐리어 주파수 값 및/또는 타이밍 값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C. 예시적인 방법 - 3
일부 실시예에서, UE는 상이한 시간 인스턴트에 대응하는 UL 동기화에서 적용된 타이밍 어드밴스(TA) 사전 보상 값을 보고할 수 있다. UE가 정확한 TA 사전 보상 값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UL 동기화가 손실될 수 있다. 따라서, 보고된 TA 사전 보상 값은 GNSS를 통해 획득된 UE 위치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지만, 보고된 TA 사전 보상 값은 신뢰할 수 있는/신뢰성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서비스 링크 TA는 UE와 위성/항공기 사이의 RTT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는 다중 RTT와 유사한 방법을 통해 포지셔닝을 위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이점은, 측정을 위해 RS를 구성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는 것일 수 있다.
방법을 수용하기 위해, BS와 UE 사이에 다음의 시그널링 설계가 고려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스케줄링과 같은 다른 목적을 위해 보고될 수 있는, UE로부터의 보고된 TA 값을 직접 수집할 수 있으며, UE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필요할 때마다 TA를 보고하기 위해 TA 보고의 트리거 표시를 UE에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각각의 보고에 대하여 하나의 트리거를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UE는 주기적 일련의 보고를 트리거하기 위해 하나의 단일 트리거를 수신할 수 있다. 보고된 TA 값을 수집함으로써, 네트워크는 UE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UE에 포지셔닝의 트리거 표시를 보낼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TA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고된 TA 값을 수집함으로써, 네트워크는 UE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UE는 또한 TA 값에 대응하는 시간 인스턴트를 보고할 수 있다. 시간 인스턴트를 이용해, 네트워크는 UE가 TA를 계산하기 위해 이용한 정확한 위성/항공기 포지션을 알 수 있다. 포지셔닝의 정확도가 더 개선될 수 있다.
D. 예시적인 방법 - 4
일부 실시예에서, UE는 높은 이동성 경우에 대한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궤적 정보 및/또는 이동성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 이는 방법-1 내지 방법-3 중 임의의 방법과 조합될 수 있는 애드온 방법일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RTT는 상이한 시간 인스턴트에서 측정될 수 있다. 그 결과, UE의 위치는 높은 이동성 시나리오에서 포지셔닝 프로시저를 완료하기 전에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 UE는 궤적 정보 및/또는 이동성 상태를 보고할 수 있으며, 이는 포지셔닝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가 UE 이동성을 고려하도록 허용/인에이블/지원할 수 있다.
위성은 고정 궤도를 가질 수 있다. 궤도 평면에 수직인 축을 따라 UE 포지셔닝에 대한 모호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궤도가 x-y 평면에 있는 경우, 네트워크는 측정된 RTT가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포인트(x, y, z)와 (x, y, -z)를 구별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위성은 UE 위치를 판단하기/결정하기/판정하기 위해 신호의 도착 각도(angle-of-arrival)를 이용할 수 있다.
상이한 BS의 다수의 위치들을 이용할 수 있는 TN 방법과 비교하여, 상이한 시간 인스턴트에서의 단일 BS의 다수의 위치들을 이용하는 방법은 유사한 추정 원리를 가질 수 있지만 상이한 방식을 통해 포지셔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방법은 별개의 동작 모드로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지셔닝을 위한 다음의 두 가지 모드가 있을 수 있다. 모드 중 제1 모드에 대하여, TA는 상이한 시간 인스턴트에서 단일(예컨대, 하나의 고정 BS) 또는 다수의 위성/항공기/BS/송신 수신 포인트(TRP; transmission reception point)에 대응하는 측정을 보고 및/또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인스턴스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위성/항공기/BS/TRP에 대한 것일 수 있고,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위성/항공기/BS/TRP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는 시야에 충분한 위성/항공기가 없을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모드에 대하여, TA는 상이한 위성/항공기/BS에 대응하는 측정을 보고 및/또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인스턴스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위성/항공기/BS/TRP에 대한 것일 수 있고,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다른 위성/항공기/BS/TRP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는 병렬 TA 보고 및/또는 측정을 위한 충분한 위성/항공기/BSS/TRP가 있을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포지셔닝을 위한 2가지 모드는 다른 방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모드에 대하여, 다음의 2가지 케이스가 추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케이스 중 하나에 대하여, LMF에서의 위치의 일회성 계산을 위해 N회의 측정/보고 및/또는 기간이 고려될 수 있다. 포지셔닝이 트리거될 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는 일련의 대응하는 측정/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정의된 수의 포지셔닝 관련 측정 및/또는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N회의 측정/보고 및/또는 기간 후에, 하나의 계산 프로시저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측정/보고의 수 및/또는 기간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포지셔닝 시도의 결과는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신뢰성있는/정확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 또다른 케이스에 대하여, N회의 측정/보고 및/또는 기간은 LMF가 RAN으로부터 보고(들)를 수집하기 위한 정의된 윈도우로서 간주될 수 있다. 포지셔닝 프로시저가 트리거될 때, RAN은 일련의 대응하는 측정/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MF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포지셔닝 관련 측정 및/또는 보고를 수집하기 위한 정의된 시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LMF는 포지셔닝을 위해 정의된 시간 윈도우 동안 RAN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단 하나의 시간 계산으로 한정되지 않음). 측정/보고가 시간 윈도우의 끝 전에 종료되는/끝나는 경우, 포지셔닝 시도의 결과는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신뢰성있는/정확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제1 시간 인스턴스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무선 통신 노드(예컨대, 기지국)로 보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시간의 제1 측정 및 제2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시간의 제2 측정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수신 시간과 제1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송신 시간 사이의 제1 시간 갭, 및 제2 수신 시간과 제2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2 송신 시간 사이의 제2 시간 갭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과 대응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갭,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 타이밍 어드밴스(TA) 값,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궤적 정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성 상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능력 또는 유형, 및 임의의 선행 유형의 정보에 대응하는 타임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성 상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력 값, 이동 방향/각도/벡터, 속도 벡터, 및 속력 범위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은,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의 위상 값, 캐리어 주파수 값 또는 타이밍 값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의 트리거에 대응하는 다수 회의 보고가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측의 경우, 시스템 정보 블록(SIB) 시그널링 및/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다음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지원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적어도 제1 시그널링을 통해,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제1 트리거, 라운드 트립 시간(RTT) 측정의 제2 트리거(예컨대, 단일 RTT 측정), 타이밍 어드밴스(TA) 보고의 제3 트리거, 참조 신호(RS)의 주기적 전송의 제4 트리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통신 노드에 보고될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보고 방법,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스케줄링 구성(예컨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정보 뿐만 아니라, 보고를 위해 스케줄링된 자원),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다수의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포지셔닝 관련 측정을 수집하기 위해 이용될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위한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 2 - 신뢰성 플래그
구현 예 1에서 소개된 방법은 RTT를 수집하기 위해 긴 시간을 요구할/수반할 수 있다.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경험했을 수 있는 UE에 신뢰성 플래그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경계 근처의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를 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UE가 자국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결정하기/판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이용할 수 있다. UE가 올바른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려는 경우, 네트워크는 일정 기간 동안 UE에 신뢰할 수 있는 플래그를 할당할 수 있으며, 이 기간 동안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포지셔닝 프로시저를 피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네트워크는 일정 기간 동안 UE에 신뢰할 수 없는 플래그를 할당할 수 있으며, 이 기간 동안 네트워크는 UE로부터의 액세스를 거부할 수 있다.
신뢰성 플래그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정의된 기간 동안 신뢰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신뢰성 플래그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및 다른 정의된 가상 아이덴티티(ID)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신뢰성 플래그의 다수의 레벨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서비스 레벨 및 엔티티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레벨은 임시 신뢰성 플래그 할당일 수 있다. 엔티티 레벨은 장기 플래그가 할당될 수 있으므로 서비스 레벨보다 더 엄격할 수 있다. 엔티티 레벨은 다음 레벨들로 더 분할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신뢰성 플래그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연관될 수 있는 IMSI/TIMSI에 할당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는 먼저 IMEI를 보고한다. 신뢰성 플래그는 디바이스와 연관될 수 있는 IMEI에 할당될 수 있다. 신뢰성 플래그는 SIM 카드가 변경되더라도 유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는 자신의 IMEI, IMSI, RNTI 및/또는 정의된 가상 ID 중, 적어도 하나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
구현 예 3 - 위치 검증에 대한 BS와 CN 사이의 시그널링
코어 네트워크(CN)에서, 위치 관련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위치 관리 기능(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서버가 있을 수 있다. TN 포지셔닝 방법에서는, 최종 위치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측정 결과가 LMF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검증 프로시저(예컨대,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허용/인에이블/지원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함)를 수행할 곳이 아직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방식 중 하나 이상이 채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CN은 포지셔닝 결과에 기초하여 BS 및 UE 거동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BS는 포지셔닝에 사용되는 수집된 정보(예컨대, RTT, TA, TDOA, 궤적 정보, 이동성 상태 또는 시간 인스턴트)를 CN에 포워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CN은 위치 검증을 수행할 수 있고, UE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다. CN은 BS에 UE의 신뢰성을 표시할 수 있다. CN은 UE 위치를 추정할 수 있고, BS 및 UE 거동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정된 UE 위치가 국가 경계의 반대쪽에 있는 경우, 액세스가 불규칙/부적절/무효일 수 있으므로 BS는 UE와의 연결을 해제할/종료할/끝낼 수 있다. UE가 자신의 위치를 보고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CN은 추정된 위치와 보고된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CN은 에러가 특정 임계값보다 큰 경우 UE와의 연결을 해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AN은 CN에 의해 표시된 기준에 기초하여 BS 및 UE 거동을 결정할 수 있다. BS가 UE의 포지션을 알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지만, CN으로부터 표시된 다른 관련 파라미터를 통해 위치를 검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N은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TDOA를 추정할 수 있고, TDOA/추정 값을 BS에 표시할 수 있다. BS는 위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BS는 신뢰성을 결정/검증하기 위해, 측정된 TDOA를 CN에 의해 표시된 추정 값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에러가 특정 임계값보다 큰 경우, BS는 UE가 올바른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할/결정할/판정할 수 있다. BS는 UE와의 연결을 해제할/종료할/끝낼 수 있고, 결정/표시를 CN에 보고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UE를 해제하기 위한 임계값은 UE 능력이 다를 수 있으므로 상이할 수 있다.
위의 검증 방식을 수용하기 위해, BS는 다음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예컨대, BS)는 CN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라운드 트립 시간(RTT) 측정, 적어도 하나의 도착 시간 차이(UL-TDOA) 측정,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어드밴스(TA) 보고, 임의의 유형의 선행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임스탬프,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예컨대, 표시된 파라미터와 측정 사이의 에러에 대한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이한 UE 능력/유형에 대하여 다수의 기준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BS는 포지셔닝 관련 메트릭의 BS의 추정/기준/파라미터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의 추정/기준/파라미터를 비교함으로써 신뢰성을 결정할 수 있다. BS는 BS의 신뢰성 결정에 따라 UE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BS는 UE와의 연결을 해제할/끝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BS는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UE에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BS는, 무선 통신 노드의 신뢰성 결정,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노드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결정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BS는 UE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BS는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UE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1100)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방법(1100)은 도 1 내지 도 10와 함께 본원에 상세히 설명한 임의의 컴포넌트 및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개략적으로, 방법(110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통신 노드로, 적어도 제1 시간 인스턴스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보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동작 1105를 참조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제1 시간 인스턴스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무선 통신 노드(예컨대, 기지국)로 보낼 수 있다.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집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시간의 제1 측정 및 제2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시간의 제2 측정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수신 시간과 제1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송신 시간 사이의 제1 시간 갭, 및 제2 수신 시간과 제2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2 송신 시간 사이의 제2 시간 갭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적어도 제1 시그널링을 통해,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제1 트리거, 라운드 트립 시간(RTT) 측정의 제2 트리거, 타이밍 어드밴스(TA) 보고의 제3 트리거, 참조 신호(RS)의 주기적 전송의 제4 트리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통신 노드에 보고될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보고 방법,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스케줄링 구성,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다수의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포지셔닝 관련 측정을 수집하기 위해 이용될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위한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1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및 SIB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과 대응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갭,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 타이밍 어드밴스(TA) 값,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궤적 정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성 상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능력 또는 유형, 및 임의의 선행 유형의 정보에 대응하는 타임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성 상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력 값, 이동 방향, 속도 벡터, 및 속력 범위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은,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의 위상 값, 캐리어 주파수 값 또는 타이밍 값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의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시퀀스의 참조 신호에 대해 복수의 라운드 트립 시간(RTT)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단일 트리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과 대응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갭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시간 갭을 무선 통신 노드에 보낼/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시간 인스턴스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예컨대, 제1 시간 인스턴트 또는 발생)는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것일 수 있고,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무선 통신 노드 또는 또다른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정의된 수의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의 일부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은,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의 수가 정의된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의 수보다 적은 경우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없다.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수집하기 위해 정의된 시간 윈도우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은,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수집하기 위한 시간이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수집하기 위한 정의된 시간 윈도우보다 짧은 경우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TA) 보고를 위한 하나 이상의 트리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TA 보고를 각각 각자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무선 통신 노드로 보낼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는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뢰성 플래그를 수신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신뢰성 플래그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정의된 기간 동안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신뢰성 플래그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및 다른 정의된 가상 아이덴티티(ID)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도 12는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1200)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방법(1200)은 도 1 내지 도 10와 함께 본원에 상세히 설명한 임의의 컴포넌트 및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개략적으로, 방법(1200)은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 결정의 신뢰성을 표시하거나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1200)은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정보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양상은 시스템, 방법, 장치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제 동작 1205를 참조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노드(예컨대, 지상 단말, 기지국, gNB, eNB 또는 서빙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결정(예컨대, UE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 또는 UE 기반 결정)의 신뢰성을 표시하거나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제 동작 1210을 참조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노드는 정보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의 신뢰성 결정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의, 포지셔닝 관련 메트릭의 추정/투영/계산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포지셔닝 관련 메트릭의 무선 통신 노드의 추정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의 추정을 비교함으로써 신뢰성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는 무선 통신 노드의 신뢰성 결정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해제할지/끝낼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노드는, 무선 통신 노드의 신뢰성 결정,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노드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코어 네트워크로 보낼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통신 노드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라운드 트립 시간(RTT) 측정, 적어도 하나의 도착 시간 차이(UL-TDOA) 측정,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어드밴스(TA) 보고, 임의의 유형의 선행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임스탬프,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솔루션의 다양한 실시예가 위에 기재되었지만, 이들은 단지 예로써 제시된 것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도면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솔루션의 예시적인 특징 및 기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예시적인 아키텍처 또는 구성을 도시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솔루션이 예시된 예시적인 아키텍처 또는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대안의 아키텍처 및 구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하듯이, 하나의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본원에 기재된 또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폭 및 범위는 임의의 위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지정을 사용한 본원에서의 요소에 대한 임의의 인용은 일반적으로 그 요소의 양이나 순서를 한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 지정은 둘 이상의 요소 또는 요소의 인스턴스들 간에 구별하는 편의상 수단으로서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에 대한 인용은, 2개의 요소만 채용될 수 있다거나, 어떤 방식으로든 제1 요소가 제2 요소보다 선행하여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는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 및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기재에서 인용되었을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및 심볼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 또는 입자, 광학 필드 또는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에 개시된 양상과 관련하여 기재된 임의의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프로세서, 수단, 회로, 방법 및 기능은 전자 하드웨어(예컨대,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이 둘의 조합), 펌웨어, 명령어를 통합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본원에서, 편의상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지칭될 수 있음), 또는 이들 기술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더 알 것이다.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 호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는 일반적으로 기능면에서 위에 기재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기법의 조합으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적용례 및 설계 제약 사항에 따라 달라진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 응용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기재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디바이스, 컴포넌트 및 회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집적 회로(IC; integrated circuit) 내에서 구현되거나 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논리적 블록, 모듈 및 회로는 네트워크 또는 디바이스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또는 트랜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함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본원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그 기능은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코드를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달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엑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 매체일 수 있다. 예로써 비한정적으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기타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본원에 기재된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이들 요소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또한,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모듈들이 이산 모듈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듯이, 둘 이상의 모듈은 본 솔루션의 실시예에 따른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단일 모듈을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또는 기타 스토리지 뿐만 아니라, 통신 컴포넌트도, 본 솔루션의 실시예에 채용될 수 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위의 기재는 상이한 기능 유닛 및 프로세서를 참조하여 본 솔루션의 실시예를 기재하였음을 알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기능 유닛, 프로세싱 로직 요소 또는 도메인 간의 임의의 적합한 기능 분배가 본 솔루션을 벗어나지 않고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별개의 프로세싱 로직 요소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된 기능은 동일 프로세싱 로직 요소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기능 유닛에 대한 참조는, 엄격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 또는 조직을 나타내기보다는, 기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에 대한 참조일 뿐이다.
본 개시에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숙련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항에 인용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 신규의 특징 및 원리에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가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5)

  1.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집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적어도 제1 시간 인스턴스(time instance)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무선 통신 노드로 보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제1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시간의 제1 측정, 및 제2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시간의 제2 측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제1 수신 시간과 제1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송신 시간 사이의 제1 시간 갭(time gap), 및 제2 수신 시간과 제2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2 송신 시간 사이의 제2 시간 갭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적어도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제1 트리거,
    라운드 트립 시간(RTT; round trip time) 측정의 제2 트리거,
    타이밍 어드밴스(TA; timing advance) 보고의 제3 트리거,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의 주기적 전송의 제4 트리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에 보고될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보고 방법,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스케줄링 구성,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다수의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포지셔닝 관련 측정을 수집하는데 이용될,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위한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및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과, 대응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갭,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들 사이의 코히어런스(coherence) 레벨,
    타이밍 어드밴스(TA) 값,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궤적 정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성 상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능력 또는 유형, 및
    임의의 선행(preceding) 유형의 정보에 대응하는 타임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성 상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력 값, 이동 방향, 속도 벡터, 및 속력 범위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들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은, 상기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들의 위상 값들, 캐리어 주파수 값들, 또는 타이밍 값들 사이의 코히어런스 레벨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시퀀스의 참조 신호에 대해 복수의 라운드 트립 시간(RTT)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단일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과, 대응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 상기 시간 갭을 보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인스턴스의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인스턴스의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노드 또는 또다른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것인,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정의된 수의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의 일부인 것인,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은,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의 수가 상기 정의된 수의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보다 적은 경우 신뢰할 수 있는(reliable)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 것인,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셔닝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수집하기 위한 정의된 시간 윈도우 내에서 제공되는 것인,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은,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수집하기 위한 시간이 상기 포지셔닝 관련 측정 또는 보고를 수집하기 위한 정의된 시간 윈도우보다 짧은 경우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 것인,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TA) 보고를 위한 하나 이상의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 상기 복수의 TA 보고를 각각 각자의 시간 인스턴스에 보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노드는 상기 단일 위치의 네트워크 기반 결정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뢰성 플래그를 수신하거나 설정하며, 상기 신뢰성 플래그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정의된 기간 동안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인,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 플래그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및
    다른 정의된 가상 아이덴티티(ID)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것인, 방법.
  18.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결정의 신뢰성을 표시하거나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신뢰성 결정 결과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포지셔닝 관련 메트릭 추정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포지셔닝 관련 메트릭 추정에 대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추정을 비교함으로써 신뢰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신뢰성 결정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신뢰성 결정,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종료할지 여부,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보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통신 노드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3.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라운드 트립 시간(RTT) 측정,
    적어도 하나의 도착 시간 차이(UL-TDOA) 측정,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어드밴스(TA) 보고,
    임의의 유형의 선행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임스탬프,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4. 명령어들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5.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247010567A 2022-04-15 2022-04-15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52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2/086957 WO2023197277A1 (en) 2022-04-15 2022-04-15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based positio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817A true KR20240052817A (ko) 2024-04-23

Family

ID=8832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567A KR20240052817A (ko) 2022-04-15 2022-04-15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2817A (ko)
WO (1) WO20231972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00973B (zh) * 2009-02-05 2013-03-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终端的位置信息获取方法、装置和系统
CN113597784B (zh) * 2019-09-17 2023-10-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切换网络设备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4982304A (zh) * 2020-02-07 2022-08-30 奥罗佩法国有限责任公司 定时提前指示的装置及其方法
US20230142084A1 (en) * 2020-03-20 2023-05-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CN113923685A (zh) * 2020-07-08 2022-01-1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定位配置及报告方法和设备
US20220018925A1 (en) * 2020-07-17 2022-01-20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antenna array orientation calibration for cellular positioning
US11838807B2 (en) * 2020-08-06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ing and trigger mechanisms for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7277A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71326B (zh) 一种时间同步的方法和装置
EP3668205B1 (en) Positioning and measurement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00304226A1 (en) Methods and User Equipment, Radio Transmitter and Network Node for Manag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US11796625B2 (en) Provision of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US20220271818A1 (en) Non-Line-of-Sight Path Detection for User Equipment Positioning in Wireless Networks
US2013019000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User Activity-Aware Positioning
KR20150077469A (ko) 측정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 내에서 다중 수신 포인트로 위치 결정하는 방법
EP3583806B1 (en) Prs power pattern
US11864145B2 (en) Neighbor cell measurement based timing advance validation
CN116210255A (zh) 设备定位中无效参考设备的标识
US11019457B2 (en) Method for reducing wireless positioning error in multi-node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US11477752B1 (en) User equipment radiated in-band phase center offset variation compensation using a reference device
KR20240052817A (ko)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882466B2 (en) Calibrating beam orientation errors for improved positioning
KR20210147023A (ko) 포지셔닝 측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314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location verification
WO2023193252A1 (zh) 上行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22366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icating uplink positio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5150937B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WO2023151005A9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verification
US11800322B2 (en) Signalling for positioning latency control
WO2023206486A1 (en) Interaction between ai-based and traditional positioning techniques
WO2023193251A1 (zh) 下行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4031495A1 (en) User equipment mobility measurements
US20230292278A1 (en) System and method of positioning of a target node in side-link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