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704A - 레버 스위칭 유니트 - Google Patents

레버 스위칭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704A
KR20240052704A KR1020230137047A KR20230137047A KR20240052704A KR 20240052704 A KR20240052704 A KR 20240052704A KR 1020230137047 A KR1020230137047 A KR 1020230137047A KR 20230137047 A KR20230137047 A KR 20230137047A KR 20240052704 A KR20240052704 A KR 20240052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unit
return
plung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민
전종학
신승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5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부(300) 및 상기 레버부(300)와 접촉 가능한 레버 리턴부(400)를 포함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로서, 상기 레버 리턴부(400)는, 입력되는 작동 전기 신호에 따라 가동하여 상기 레버부(30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복귀력을 제공하는 리턴 액츄에이터(4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버 스위칭 유니트{MOBILITY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차량용 레버 스위칭 유니트로서, 차량 등 모빌리티에 배치되어 소정의 레버 회동을 통하여 스위칭 동작을 실행하되 캔슬캠 동작을 통하지 않고 레버의 원위치 복귀를 실행 가능하게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의 모빌리티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근래 자율 주행 자동차의 자율 주행 레벨은 점점 증대되어 모빌리티의 완전 자율 주행의 단계의 범용화가 목전에 도래하였다. 이에, 운전자에 의한 운전 모드와 자율 주행 모드의 스위칭 동작이 발생할 상황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통상적인 차량에는 다양한 스위치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턴 시그널 스위치가 레버 타입으로 구비된다. 종래 차량의 턴시그널 레버 스위치의 경우 스티어링 휠의 중립 위치 복귀시 캔슬 캠이 동작하여 소정의 레버 회동 동작을 해제하거나 완전 해제되지 않은 경우 운전자에 의한 물리적 거동을 통하여 해제된다.
하지만, 운전자에 의한 운전과 자율 주행이 교번적으로 빈번히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캔슬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조립이 복잡하고 캔슬 동작의 완결성이 보장되지 않는 종래의 레버 스위치의 캔슬 동작과 달리 캔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위칭 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 동작의 캔슬을 통한 원위치 복귀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버부(300) 및 상기 레버부(300)와 접촉 가능한 레버 리턴부(400)를 포함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로서, 상기 레버 리턴부(400)는, 입력되는 작동 전기 신호에 따라 가동하여 상기 레버부(30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복귀력을 제공하는 리턴 액츄에이터(4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를 제공한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레버 리턴부(400)는, 차량에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부(300)와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는 직선 구동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는 솔레노이드 구동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레버 리턴부(400)는, 상기 레버부(300)와 상기 레버 리턴부(400)의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 사이에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의 가동력을 상기 레버부(300)로 전달하는 리턴 전달부(42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달부(420)는: 적어도 일단은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와 접촉 가능하고 적어도 다른 일단은 상기 레버부(300)와 접촉 가능한 리턴 전달 플런저(421)와,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421)를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시키는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421)는: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가 관통 배치되는 플런저 바디 힌지 관통구(4212)가 형성되는 플런저 바디부(4211)와, 상기 플런저 바디부(4211)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부(300) 측과 접촉 가능한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과, 상기 플런저 바디부(4211)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 측과 접촉 가능한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300) 측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과 접촉 가능한 레버 컨택 대응부(319)가 돌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 및 상기 레버 컨택 대응부(319) 중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 재질일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 측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과 접촉 가능한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 및 상기 레버 컨택 대응부(319) 중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 재질일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421)는: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회동 범위를 사전 설정 범위로 유지 가능하게 하는 리턴 전달 홀더(4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달 홀더(423)는: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421) 측에 위치하는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위치하는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와, 상기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와 상기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와 상기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를 상호 탄성 지지하는 홀더 탄성부(42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300)는 차량에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바디(310)와, 상기 레버 바디(310)의 회동을 감지하는 레버 센서부(3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300)는, 상기 레버부(310)의 회동시 절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 캠부(3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레버 캠부(33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레버 캠 블록(331)과, 상기 레버 바디(310) 측에 가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상기 레버 캠 블록(331)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레버 캠(333)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 바디(310) 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다른 일부가 상기 레버 캠(333)을 탄성 지지하는 레버 캠 탄성부(3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60)와, 상기 센서부(60)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에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레버 리턴부(400)는, 차량에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가 상기 레버부(300)에 직접 접촉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는 회전 후 캔슬 동작을 실행하는 직선 구동기를 통하여 원활하고 정확한 복귀 동작을 실행하게 하여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가 모빌리티의 예시 형태인 차량 스티어링 휠 샤프트 측에 장착된 개략적인 장착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의 작동 상태에 대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의 회전 내지 틸팅 상태의 상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의 회전 내지 틸팅 상태 후 홀딩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의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의 변형예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가 구비하는 레버 리턴부의 변형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는 차량 등 모빌리티 장치에 장착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시트(미도시)의 전방에 스티어링 휠(SW)이 배치되고,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는 스티어링 휠(SW)의 측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는 레버부(300)와 접촉 가능한 레버 리턴부(400)를 포함한다. 레버 리턴부(400)는, 입력되는 작동 전기 신호에 따라 가동하여 레버부(30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복귀력을 제공하는 리턴 액츄에이터(410)를 구비한다.
레버 스위칭 유니트(10)의 레버 리턴부(400)는, 차량(미도시)에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하우징(100)은 스티어링 휠(SW)의 컬럼축 측부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하우징(100)은 하우징 베이스(110)와 하우징 커버(120)를 포함한다. 하우징 베이스(110)와 하우징 커버(12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배치될 수 있고, 내부 공간에 수용 배치되는 구성요소는 위치 고정되는 구성과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하우징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베이스 관통구(111)가 배치되고, 하우징 커버(120)의 일측으로 베이스 관통구(11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커버 관통구(121)가 배치된다. 레버부(300)는 베이스 관통구(111) 및 커버 관통구(121)를 통하여 유니트 하우징(100)에 관통 배치될 수 있고, 레버부(300)의 일단은 유니트 하우징(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레버부(300)의 타단은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기판(200)은 유니트 하우징(100)의 하우징 베이스(110) 및 하우징 커버(1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100)의 하우징 베이스(110) 및 하우징 커버(120)에는 리브 등이 배치되고, 기판(200)은 리브 등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되며 지지된다.
기판(200)은 기판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차량 제어부 등과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기판(200) 상에는 레버부(300)의 레버 센서부(320)의 일부인 후술되는 레버 센서 고정부(323)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200)은 단수 개가 배치되는데, 경우에 따라 별도의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나, 제조 원가 및 비배치 조밀도 등을 고려한 설계 요건에 맞춰 단수 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부(3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며 소정의 레버 힌지 동작에 의해 물리적 위치 변동이 발생한다. 레버부(300)는 이러한 위치 변동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는 제어부(미도시) 등으로 전달되어 소정의 와이어, 턴시그널 내지 변속 레인지 등과 같이 차량에 관련된 다양한 출력부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레버부(300)는 레버 바디(310)와 레버 센서부(320)를 포함한다. 레버 바디(310)는 레버 바디 샤프트(311)와 레버 바디 베이스(313)를 포함한다.
레버 바디 샤프트(311)는 사전 설정된 길이를 갖는 레버(lever) 내지 바아(bar) 타입으로 형성된다. 레버 바디 샤프트(311)의 일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유니트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배치되고, 레버 바디 샤프트(311)의 타단은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레버 바디 베이스(313)는 레버 바디 샤프트(311)의 타단에 배치되고, 레버 바디 베이스(313)와 레버 바디 샤프트(311)는 일체 형성되어 일체 가동하는 구조를 취한다. 레버 바디 베이스(313)에는 레버 바디 힌지(315)가 배치된다. 레버 바디 힌지(315)의 대응 위치로 유니트 하우징(100)에는 대응 힌지(미도시)가 위치하여, 레버 바디 베이스(313)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레버 바디 샤프트(311)의 자유단 측에는 레버 엔드 스위치(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레버 엔드 스위치(500)는 레버 엔드 로터리 스위치(510)와 레버 엔드 푸시 스위치(5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엔드 로터리 스위치(510)는 레버 바디 샤프트(311)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소정의 스위칭 동작을 구현한다. 레버 엔드 푸시 스위치(520)는 푸시 동작에 의해 사전 설정된 스위치 동작 신호 형성이 가능하다. 이대, 스위치 동작 신호는 레버 엔드 스위치(500)를 위한 별도의 기판에서 생성된다. 이는 메인 기판으로서의 기판(200) 측을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제어부)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레버부(300)는 레버 센서부(320)를 포함한다. 레버 센서부(320)는 레버 바디(310)의 회동을 감지하는데, 레버 센서부(320)의 적어도 일부는 기판(200)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 센서부(320)는 레버 센서 가동부(321)와 레버 센서 고정부(32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 센서 가동부(321)는 레버 바디 베이스(313)의 하단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레버 센서 고정부(323)는 기판(200) 상에 배치되고, 레버 센서 가동부(321)가 가동하는 궤적 자취 경로 상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 센서 고정부(323)는 단수 개가 배치되나 개수 및 배치 위치 등은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 센서부(320)는 비접촉 방식의 감지부로 구현되고 자기 감시부로 구현되는데, 이는 일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레버 센서 가동부(321)는 마그네트로 구성되고, 레버 센서 고정부(323)는 자기 센서로 구현되는데, 레버 센서 고정부(323)는 경우에 따라 홀센서일 수도 있고, 이방성자기저항 센서(AMR) 내지 거대자기저항 센서(GMR)일 수도 있고, 3D 홀센서일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레버부(300)는 레버 캠부(330)를 포함한다. 레버 캠부(330)는 레버 바디 베이스(313)의 단부로, 레버 바디 샤프트(311)가 위치하는 단부의 반대편 측에 형성된다. 레버 캠부(330)는 레버부(310)의 회동시 절도 동작을 실행 가능하게 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 캠부(330)는 레버 캠 블록(331)과, 레버 캠(333)과, 레버 캠 탄성부(335)를 포함한다.
레버 캠 블록(331)은 유니트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데, 레버 캠 블록(331)은 소정의 블록 구조로 형성되어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레버 바디 베이스(313)의 단부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레버 캠 블록(331)의 일면 상에는 레버 캠 프로파일(3311,3313)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레버 캠 프로파일(3311,3313)은 소정의 캠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레버 캠 프로파일(3311,3313)은 레버 뉴트럴 캠(3311)과, 레버 홀딩 캠(3313)을 구비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레버 캠(333)이 레버 캠 프로파일(3311,3313)과 접촉하는데, 레버부(3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 레버 캠(333)은 레버 뉴트럴 캠(3311)과 접촉하고, 레버부(300)에 외력이 가해져 소정의 레버 틸팅 동작을 이루어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 레버 캠(333)은 레버 홀딩 캠(3313)과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레버 뉴트럴 캠(3311)과, 레버 홀딩 캠(3313)과의 사이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소정의 사전 설정된 가압력이 제공되어야 레버 뉴트럴 캠(3311)과, 레버 홀딩 캠(3313) 간의 접촉 상태 변화가 가능하다.
한편, 레버 캠(333)은 레버 바디(310) 측에 가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레버 캠 블록(331)의 앞서 기술한 레버 캠 프로파일(3311,3313)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또한, 레버 캠(333)의 대응 위치에는 레버 캠 탄성부(335)가 배치된다.
레버 캠 탄성부(335)는 캠 탄성체(3351)와 캠 탄성체 수용부(3353)를 포함하는데, 캠 탄성체 수용부(3353)는 레버 바디 베이스(313)의 단부 일면 상에 형성된다. 캠 탄성체(3351)은 캠 탄성체 수용부(3353)에 수용 배치되어, 캠 탄성체(3351)의 일단은 캠 탄성체 수용부(3353)의 내측 단부와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고 캠 탄성체(3351)의 타단은 레버 캠(333)과 접촉하여 레버 캠(333)과 레버 캠 프로파일 간의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유니트(10)는 레버 리턴부(400)를 포함한다. 레버 리턴부(400)는 레버부(300)와 접촉 가능한데, 레버 리턴부(400)는 레버부(300)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여기서, 레버 리턴부(400)는 차량에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레버 리턴부(400)는 리턴 액츄에이터(410)를 포함하는데, 이때 레버 리턴부(400)의 적어도 일부는 레버부(300)와 리턴 액츄에이터(410) 사이에 개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 리턴부(400)는 리턴 액츄에이터(410)를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동 상태가 형성된 레버부(300)가 레버 캠부(330)의 레버 홀딩 캠(3313) 및 레버 캠(333)의 맞물림에 의하여 레버 틸팅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리턴 액츄에이터(410)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전력 내지 가동력이 레버부(300) 측에 리턴 복귀력으로 작동되어 레버부(300)의 레버 틸팅 상태를 해제하고 레버 뉴트럴(neutral) 상태로 전환시킨다.
리턴 액츄에이터(410)에는 작동 전기 신호가 입력되고 리턴 액츄에이터(410)는 입력되는 작동 전기 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생성하여 레버부(30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복귀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턴 액츄에이터(410)는 직선 구동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직선 구동기는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회전 모터와 LM 가이드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일 수도 있고, 전기 신호에 따라 직선 구동되는 전자석 타입의 솔레노이드 구동기일 수도 있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직선 구동기는 솔레노이드 구동기로 구현된다. 리턴 액츄에이터(410)로서의 솔레노이드 구동기는 입력되는 작동 전기 신호에 따라 가동하여 사전 설정된 스트로크의 가동 및 원위치 복귀를 이루는 소정의 전기 요소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턴 액츄에이터(410)로서의 솔레노이드 구동기 두 개가 이격 배치되고, 레버부(300)가 반시계 방향으로 가동하고 소정의 해제 동작이 필요한 경우, 도면 상 하단 측의 리턴 액츄에이터(410)로서의 솔레노이드 구동기가 작동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 구동기는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가동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양단 사이에서 가동된다. 따라서, 리턴 액츄에이터(410)로서의 솔레노이드 구동기는 레버부(300) 측에 물리적 가동력을 전달하여 레버부(300)의 틸팅 유지 상태를 해소하여 레버부(300)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솔레노이드 구동기로 구현되는 리턴 액츄에이터(410)에는 스트로크 동작을 실행하는 단부 측에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가 구비되고,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는 후술되는 레버 리턴부(400)의 리턴 전달부(420) 측과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레버부(300)와 레버 리턴부(400)의 리턴 액츄에이터(410) 사이에는 리턴 액츄에이터(410)의 가동력을 레버부(30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레버 리턴부(400)는 리턴 액츄에이터(410) 이외에 리턴 전달부(420)를 포함하는데, 리턴 전달부(420)는 리턴 전달 플런저(421)와,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를 포함한다.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적어도 일단은 리턴 액츄에이터(410)와 접촉 가능하고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적어도 다른 일단은 레버부(300)와 접촉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턴 전달 플런저(421)는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리턴 전달부(420)의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는 핀 구조로 형성된다.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의 적어도 일단은 유니트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된다.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는 리턴 전달 플런저(421)를 상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턴 전달 플런저(421)는 플런저 바디부(4211)와,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과,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를 포함한다. 플런저 바디부(4211)에는 플런저 바디 힌지 관통구(4212)가 형성되는데,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는 플런저 바디 힌지 관통구(4212)에 관통 삽입 배치되어 플런저 바디부(4211)가 유니트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는 플런저 바디부(4211)의 일단에 위치한다.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는 레버부(300) 측과 접촉 가능하다. 즉, 레버부(300)의 레버 바디 베이스(313)의 측부에는 레버 컨택 대응부(319)가 돌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 컨택 대응부(319)는 직각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레버 바디 베이스(313)의 측부에 배치되며, 직각 삼각 기둥 형상의 측빗면이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와 접촉하는 구조를 취한다. 레버 컨택 대응부(319)는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과 안정적인 접촉을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레버 바디 베이스(313)의 단부 상단에는 레버 바디 가이드(317)가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레버 바디 가이드(317)는 레버 바디 베이스(313)의 단부에 상단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 하단 측으로도 연장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레버 바디 가이드(317)는 레버부(300)가 회전 운동을 이루는 경우, 도 3의 평면 상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과도한 가동을 저지하여 레버 바디 베이스(313)에 형성되는 레버 바디 힌지(315)를 축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는 플런저 바디부(4211)의 타단으로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가 위치한 측과 다른 타측에 위치한다.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는 플런저 바디부(4211)의 일단에 위치하고 리턴 액츄에이터(410) 측과 접촉 가능한 구성을 취하는데, 리턴 액츄에이터(410) 측에는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가 구비되고,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는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와 접촉 가능하다.
즉, 플런저 바디부(4211)에 형성되는 플런저 바디 힌지 관통구(4212)를 통하여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가 배치되고, 플런저 바디부(4211)의 양단에는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와,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가 배치되며,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는 레버 컨택 대응부(319)와 접촉하고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는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와 접촉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리턴 전달 플런저(421)는 'ㄱ'자 형상을 구비하고, 플런저 바디 힌지 관통구(4212)는 플런저 바디부(4211)의 절곡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절곡 구조의 리턴 전달 플런저(421)를 통하여 레버 컨택 대응부(319)와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 현상에 있어, 제한된 공간 안에서 레버 바디(310)의 회동을 해제하는 컴팩트한 작동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 및 레버 컨택 대응부(319) 중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 재질일 수도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 및 레버 컨택 대응부(319)는 이종 재질로 형성되어 양자 간의 물리적 접촉시 발생하는 래틀링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이질 재료의 연질 재질부(4213a,4215a)가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 내지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대응하는 리턴 액츄에이터(410)의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 또는 레버 컨택 대응부(319) 측에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 한편, 리턴 전달 플런저(421)는 리턴 전달 홀더(423)를 포함한다. 리턴 전달 홀더(423)는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회동 범위를 사전 설정 범위로 유지 가능하게 한다. 즉, 리턴 전달 홀더(423)는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과도한 가동을 방지하고 일정한 작동 범위로 제한하여 레버 리턴부(400)의 안정적인 가동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턴 전달 홀더(423)는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와,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와, 홀더 탄성부(4233)를 포함한다.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는 리턴 전달 플런저(421) 측에 위치하는데,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는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플런저 바디부(4211)의 외주에 배치되고,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위치한다.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 및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는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홀더 탄성부(4233)는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와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 사이에 배치되는데, 홀더 탄성부(4233)의 일단은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에 접촉 지지되고, 홀더 탄성부(4233)의 타단은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과 접촉 지지되고, 홀더 탄성부(4233)는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와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를 상호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 탄성부(4233)는 길이 방향의 변위를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나,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플런저 바디부(4211)에 소정의 사전 탄성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도 3, 도 6 및 도 7 및 도 8에는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플런저 바디부(4211)의 회동 상태 전후에 대한 부분 도면이 도시된다. 도 3에는 레버부(300)에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뉴트럴, 즉 중립 상태가 도시된다. 즉, 레버부(3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 레버 캠(333)은 레버 뉴트럴 캠(3311)과 접촉하고 레버부(300)의 레버 바디 베이스(313)의 측부에 형성되는 레버 컨택 대응부(319)는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형성한다.
그런 후, 도 3의 중립 상태에 대하여 레버부(3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레버부(300)는 중립 상태 대비 도면 부호 θ(도 8 참조)로 지시되는 각도만큼 소정의 틸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 캠(333)은 레버부(300)에 외력이 가해져 소정의 레버 틸팅 동작을 이루어 레버 홀딩 캠(3313)과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이때레버 바디 베이스(313)의 측부에 위치한 레버 컨택 대응부(319)가 회동에 따라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과 안정적인 접촉을 이루고,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를 통하여 전달받은 가압력에 의하여 리턴 전달 플런저(421)는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를 중심으로 회동 상태를 형성한다.
도 7에는 'ㄱ'자 형상의 리턴 전달 플런저(421)가 레버부(300)의 회동에 따라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를 중심으로 도면 상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에는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가 위치하는데,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는 도면 부호 ①의 각지점으로부터 도면 부호 ②의 각지점으로 회동을 이룬다.
또한, 도 6에는 솔레노이드 구동기로 구현되는 리턴 액츄에이터(510)가 도시되는데, 리턴 액츄에이터(410)의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는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회동에 따라 지점 P1으로부터 지점 P2로 거리 d만큼 직선 가동된다.
이와 동시에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회동 동작과 동시에 앞서 기술한 레버 캠(333)과 레버 홀딩 캠(3313)은 접촉 상태를 형성 유지하게 된다. 스위칭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차량의 전기적 신호는 해소되나, 레버부(300)는 별도의 물리적 캔슬캠이 배제됨에 따라 레버 캠(333)과 레버 홀딩 캠(3313)의 접촉 상태는 유지된다.
이때,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는 제어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20)는 차량의 각종 센서들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고려하여 리턴 액츄에이터(410) 측으로 소정의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는 차량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60)는 차량의 턴시그널의 작동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작동 상태를 감지한다.
경우에 따라 레버 스위칭 유니트(10)가 입력부(50)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입력부(50)는 레버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을 조작하는 작동 입력부(51)와 사전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설정 입력부(53)를 구비할 수 있다.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는 저장부(30)와 연산부(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20)는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와 센서부(60)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부(40)를 통해 소정의 작동 제어 신호를 산출하고 이를 리턴 액츄에이터(410)로 전달한다. 즉, 감지된 센서부(60)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20)가 리턴 액츄에이터(410)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고, 리턴 액츄에이터(410)를 작동시켜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리턴 액츄에이터(410)에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결과적으로, 레버부(300)가 레버 캠(333)과 레버 홀딩 캠(3313)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어부(20)가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전 중립 상태 대비 도면 부호 θ로 지시되는 각도만큼 소정의 틸팅 동작이 이루어지는 레버부(300)에 외력이 가해져 틸팅 내지 회동 상태의 해제가 실행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 제어 신호에 따라 리턴 액츄에이터(410)가 작동한다. 이때, 리턴 액츄에이터(410)가 작동하여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에 의하여 가압되는 복귀 가압력은 리턴 전달 홀더(423)의 홀더 탄성부(4233)의 탄성력을 넘어서는 힘이다. 이러한 힘의 변형에 따라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는 지점 P2로부터 지점 P1으로 이동한다.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가 지점 P2로부터 지점 P1으로 이동함에 따라,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는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를 가압하여 리턴 플런저(421)의 중립 뉴트럴 상태로의 회동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는 레버 컨택 대응부(319)와 접촉 가압하여 가압력을 전달함으로써, 레버 캠부(330)의 홀딩 상태를 해제시키고 레버 바디(310)는 중립 뉴트럴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센서부(60)에는 다양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는데, 레버 캠(333)과 레버 홀딩 캠(3313)이 접촉 상태 내지 근접 상태를 형성 유지함으로 인하여, 레버 컨택 대응부(319)가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와 근접한 경우 이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여, 모빌리티 주행의 턴 동작이 완료되고 턴시그널 신호가 해제된 경우에도 레버부(300)가 물리적으로 회전 내지 틸팅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를 해제하도록 하는 구성을 더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이 차량의 주행 종료 등과 같은 상태에도 지속적으로 레버부(300) 회동 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센서부(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는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에 대한 스타트 스톱 신호가 포함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레버 유니트(10)는 리턴 전달부(420)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리턴 액츄에이터(410)가 직접 레버 컨택 대응부(319)를 가압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에는 레버부(300)의 레버 바디(310)의 중립 뉴트럴 상태 및 회전 내지 틸팅 홀딩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 상태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레버부(300)는 중립 뉴트럴 상태로부터 회전 틸팅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힌지 동작에 의하여 각 회동을 이루고, 레버 컨택 대응부(319)가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와 접촉 가능한 리턴 액츄에이터(410)의 스트로크 범위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즉, 리턴 액츄에이터(410)와 레버부(300)의 레버 바디(310)에 위치하는 레버 컨택 대응부(319)와 직접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중간에 매개체로서의 리턴 전달부(420)를 배제시켜 구성요소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조립성을 증대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레버부(300)는 중립 뉴트럴 상태로부터 회전 틸팅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힌지 동작에 의하여 각 회동을 이루도록 도 13으로부터 레버부(300)의 레버 바디(310)에 위치하는 레버 컨택 대응부(319)가 리턴 액츄에이터(410)의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에 접하거나 적어도 근접한 위치를 점유하는 도 14의 상태에서, 레버부(300)의 원위치 복귀되어야 하는 경우, 리턴 액츄에이터(410)는 신장 스트로크 동작을 실행하여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가 레버 컨택 대응부(319)에 가압력을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레버 컨택 대응부(319)로의 가압력 전달후, 리턴 액츄에이터가 다시 원위치 복귀하는 도 13의 초기 상태 위치를 점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작동 실행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20)의 작동 제어 신호에 따라 리턴 액츄에이터(410)는 스트로크 범위의 작동 후 바로 원위치 복귀되어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내지 오작동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다만, 리턴 액츄에이터(410)와 레버 컨택 대응부(319)와의 직접 접촉 여부 내지 리턴 액츄에이터(410)와 레버 컨택 대응부(319) 사이에 리턴 전달부(420)를 통한 간접 접촉 여부는 장치의 컴팩트한 설계 사양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레버 스위칭 유니트 100...유니트 하우징
200...유니트 기판 300...레버부
400...레버 리턴부

Claims (18)

  1. 레버부(300) 및
    상기 레버부(300)와 접촉 가능한 레버 리턴부(400)를 포함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로서,
    상기 레버 리턴부(400)는, 입력되는 작동 전기 신호에 따라 가동하여 상기 레버부(30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복귀력을 제공하는 리턴 액츄에이터(4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리턴부(400)는,
    차량에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레버 리턴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부(300)와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는 직선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는 솔레노이드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리턴부(400)는,
    상기 레버부(300)와 상기 레버 리턴부(400)의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 사이에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의 가동력을 상기 레버부(300)로 전달하는 리턴 전달부(4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달부(420)는:
    적어도 일단은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와 접촉 가능하고 적어도 다른 일단은 상기 레버부(300)와 접촉 가능한 리턴 전달 플런저(421)와,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421)를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시키는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421)는: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 힌지(422)가 관통 배치되는 플런저 바디 힌지 관통구(4212)가 형성되는 플런저 바디부(4211)와,
    상기 플런저 바디부(4211)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부(300) 측과 접촉 가능한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과,
    상기 플런저 바디부(4211)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 측과 접촉 가능한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300) 측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과 접촉 가능한 레버 컨택 대응부(319)가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바디 레버 컨택부(4215) 및 상기 레버 컨택 대응부(319) 중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 측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 액츄에이터 컨택부(4213)과 접촉 가능한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컨택 대응부(411) 및 상기 레버 컨택 대응부(319) 중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421)는: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421)의 회동 범위를 사전 설정 범위로 유지 가능하게 하는 리턴 전달 홀더(4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달 홀더(423)는:
    상기 리턴 전달 플런저(421) 측에 위치하는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위치하는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와,
    상기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와 상기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 플런저 지지부(4231)와 상기 홀더 하우징 지지부(4235)를 상호 탄성 지지하는 홀더 탄성부(4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300)는
    차량에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바디(310)와,
    상기 레버 바디(310)의 회동을 감지하는 레버 센서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300)는, 상기 레버부(310)의 회동시 절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 캠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캠부(33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레버 캠 블록(331)과,
    상기 레버 바디(310) 측에 가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상기 레버 캠 블록(331)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레버 캠(333)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 바디(310) 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다른 일부가 상기 레버 캠(333)을 탄성 지지하는 레버 캠 탄성부(3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17.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60)와,
    상기 센서부(60)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에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리턴부(400)는,
    차량에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리턴 액츄에이터(410)가 상기 레버부(300)에 직접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칭 유니트(10).
KR1020230137047A 2022-10-14 2023-10-13 레버 스위칭 유니트 KR202400527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2565 2022-10-14
KR1020220132565 2022-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704A true KR20240052704A (ko) 2024-04-23

Family

ID=9088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7047A KR20240052704A (ko) 2022-10-14 2023-10-13 레버 스위칭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7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1259B2 (en) Shift device
JP4068393B2 (ja) シフト装置
US8921719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US11339872B2 (en) Lever type vehicular remote shift switching device
JP5893753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スイッチシステムのリセットデバイスおよび自動車
JP2007186118A (ja) シフト装置
JP5021602B2 (ja) 操作位置検出装置及びシフト操作位置検出装置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2011219002A (ja) シフト装置
JP2005306276A (ja) 二方向回動検出装置及びシフトレバー装置
JP3392312B2 (ja) シフトレバー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2001246956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10105622A (ja) 操作位置検出装置及びシフト操作位置検出装置
US5949040A (en) Turn signal switch
KR20240052704A (ko) 레버 스위칭 유니트
JPH08264075A (ja) 多機能スイッチ
US20140000404A1 (en) Shift lever device
JP6603114B2 (ja) シフトスイッチ装置
US6600115B2 (en) Switching device
JP4139317B2 (ja) 車両用方向指示装置
KR100947171B1 (ko) 비접촉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
JP5603280B2 (ja) ストークスイッチ装置
JP4284121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KR20230116782A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JP3805915B2 (ja) 多方向入力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