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359A -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359A
KR20240052359A KR1020220132309A KR20220132309A KR20240052359A KR 20240052359 A KR20240052359 A KR 20240052359A KR 1020220132309 A KR1020220132309 A KR 1020220132309A KR 20220132309 A KR20220132309 A KR 20220132309A KR 20240052359 A KR20240052359 A KR 20240052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vacuum
spool
h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욱 filed Critical 박상욱
Priority to KR102022013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359A/ko
Publication of KR2024005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35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56Operating and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93Single lifting units; Only one suction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022Pivot axis common with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1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characterised by having a lifting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6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의 수평암에 연결되어 공기흡입펌프의 진공흡입력을 전달받는 연결관과, 연결관의 내부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된 와이어튜브로 구성된 길이조절 흡입부를 구비한다. 이렇게, 종래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일정 자리를 차지하는 수축튜브 대신에, 연결관 안으로 딸려 들어가 일정 자리를 차지하지 않는 와이어튜브를 사용하고, 이러한 와이어튜브로 헤드 및 진공패드를 승하강시키므로,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를 천장이 낮은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Vacuum adsorption low rise device}
본 발명은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 증가, 코로나 등으로 인해, 택배 물량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택배물은 종이로 만들어진 택배상자에 넣어져 배달된다.
종래에는 택배상자를 임시로 보관할 장소로 옮기거나 배달차에 싣기 위해, 작업자가 택배상자를 카트에 싣고 내리는 작업을 반복하였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고 작업시간도 길어졌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10-2224262)는, 택배상자를 진공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진공흡착 다관절 리프트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프트장치는 진공흡착부에 진공력을 제공하는 수직방향의 수축튜브를 구비하므로,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수축튜브의 진공흡착 전 초기 길이만큼 최소한도의 수직 공간 확보가 필요했다. 이로 인해, 리프트장치의 높이가 커져, 천장이 낮은 실내에서는 이러한 리프트장치를 사용하기 어려웠다.
한국등록특허(10-2224262)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는,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의 수평암에 연결되어 공기흡입펌프의 진공흡입력을 전달받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와이어튜브로 구성된 길이조절 흡입부;
상기 와이어튜브가 연결된 헤드;
상기 헤드의 하측에 설치된 진공패드;
상기 헤드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튜브와 상기 진공패드와 연통된 제1통로;
상기 헤드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튜브와 일측이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헤드의 외부로 개방된 제2통로;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와 교차되게, 상기 헤드의 내부에 형성된 제3통로;
상기 제3통로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제1통로 또는 제2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풀;
상기 스풀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스풀을 잡아당기는 스풀 와이어;
상기 제3통로의 우측 끝단을 막으며, 상기 스풀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마개;
상기 스풀과 상기 마개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제3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스풀의 원위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제1통로의 측면으로 침투하여 상기 제1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헤드의 외주면에서 체결된 개폐볼트;
상기 헤드의 전후측 외주면에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대; 및
상기 핸들대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풀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스풀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핸들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의 수평암에 연결되어 공기흡입펌프의 진공흡입력을 전달받는 연결관과, 연결관의 내부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된 와이어튜브로 구성된 길이조절 흡입부를 구비한다. 이렇게, 종래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일정 자리를 차지하는 수축튜브 대신에, 연결관 안으로 딸려 들어가 일정 자리를 차지하지 않는 와이어튜브를 사용하고, 이러한 와이어튜브로 헤드 및 진공패드를 승하강시키므로,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를 천장이 낮은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헤드의 전후측 외주면에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대와, 핸들대의 끝단에 설치된 핸들손잡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헤드가 상승하더라도 핸들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핸들손잡이를 아래로 내려, 작업자가 편안한 위치에서 핸들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헤드 내부의 제3통로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하면서 헤드 내부의 제1통로 또는 제2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풀과, 스풀과 스풀 와이어 연결된 핸들손잡이로 스풀을 잡아당기거나 놓아 진공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흡입력을 조절하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다.
본 발명은 제1통로의 측면으로 침투하여 제1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헤드의 외주면에 체결된 개폐볼트를 구비한다. 개폐볼트를 후진시켜 제1통로의 폭을 넓게 만들면, 제1통로와 길이조절 흡입부 사이의 흡입력이 작아져 와이어튜브 및 진공패드가 하강하고, 개폐볼트를 전진시켜 제1통로의 폭을 좁게 만들면, 제1통로와 길이조절 흡입부 사이의 흡입력이 세져 와이어튜브 및 진공패드가 상승한다. 이러한 원리로, 작업자는 작업할 택배상자의 높이에 따라 진공패드의 초기 작업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가 설치된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길이조절 흡착부를 발췌한 도면으로, 연결관을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의 하단을 발췌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헤드,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 스풀, 스풀 와이어, 마개, 스프링, 개폐볼트를 발췌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진공패드의 진공 흡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개폐볼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개폐볼트의 작동에 따른 길이조절 흡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진공패드의 진공 파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핸들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100)는,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에 설치된다.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는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며, 어떠한 형태의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에도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는, 베이스(10), 서포트(20), 수평암(3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0)는 바닥면에 지지되며,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가 전복되는 것을 막는다.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이동수단(M)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홈(11)이 형성된다. 베이스(10)의 포크홈(11)에 이동수단(M)의 포크를 삽입한 상태에서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를 들어 올려, 택배상자의 리프팅 작업이 필요한 장소로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10)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크기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20)는 베이스(10)의 상부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서포트(20)의 상부에는 수평암(30)이 결합된다. 서포트(20)의 측면에는 공기흡입펌프(PM)가 설치된다. 공기흡입펌프(PM)는 공압튜브(미도시)를 통해 길이조절 흡입부(110)에 진공흡입력을 제공한다. 이 밖에 서포트(20)에는 공기흡입펌프(PM)를 작동하는 스위치(미도시), 공기흡입펌프(PM)의 진공흡입력을 조절하는 스위치(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수평암(30)은 서포트(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수평암(30)은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수평암(30)은 일단에 서포트(20)와 연통되는 서포트 결합부(31)가 구비되고, 다른 일단에 후술하는 길이조절 흡입부(110)와 연통되는 길이조절 결합부(32)가 구비되어, 공기흡입펌프(PM)의 진공흡입력이 수평암(30)을 통해 길이조절 흡입부(110)로 전달된다.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100)]
도 1,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100)는, 길이조절 흡입부(110), 헤드(102), 진공패드(103), 제1통로(P1), 제2통로(P2), 제3통로(P3), 스풀(S), 스풀 와이어(104), 마개(105), 스프링(106), 개폐볼트(107), 핸들대(108), 핸들손잡이(109)로 구성된다.
<길이조절 흡입부(110)>
길이조절 흡입부(110)는 수평암(30)에 연결되며, 공기흡입펌프(PM)의 진공흡입력을 수평암(30)을 통해 전달받는다. 길이조절 흡입부(110)의 내부 진공흡입력이 커질수록, 길이조절 흡입부(110)는 상승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 흡입부(110)는 연결관(111), 피스톤(112), 와이어튜브(113)로 구성된다.
연결관(111)
연결관(111)은 수평암(30)의 길이조절 결합부(32)에 연결되어 공기흡입펌프의 진공흡입력을 전달받는다. 연결관(111)의 후단은 막혀있고, 연결관(111)의 전단은 와이어튜브(113)를 안내하는 도르래(111a)가 설치된다.
피스톤(112)
피스톤(112)은 연결관(111)의 내부를 따라 왕복이동한다. 피스톤(112)은 연결관(111)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피스톤(112)은 와이어튜브(113)의 제1흡기튜브(113a)가 관통하는 제1연통공(112a)과, 와이어튜브(113)의 제2흡기튜브(113b)가 관통하는 제2연통공(112b)과, 와이어튜브(113)의 강선 와이어(113c)가 결합되는 결합공(112c)을 구비한다.
연결관(111)에 전달된 진공흡입력은 피스톤(112)에 연통된 제1흡기튜브(113a)와 제2흡기튜브(113b)를 통해 헤드(102)로 전달된다. 진공흡입력은 개폐볼트(107)에 의해 조절되어 피스톤(112)을 이동시킨다.
피스톤(112)의 외주면에는 밀폐력 강화를 위한 오링이 설치되는 오링홈(112d)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튜브(113)
와이어튜브(113)는 피스톤(112)에 연결되며, 연결관(111)의 전단에 설치된 도르래(111a)에 의해 안내되어 헤드(102)에 연결된다.
와이어튜브(113)는 제1흡기튜브(113a), 제2흡기튜브(113b), 강선 와이어(113c)로 구성된다.
제1흡기튜브(113a)는 일단이 피스톤(112)과 연통되고, 다른 일단이 제1통로와 연통된다. 따라서 연결관(111)으로 전달된 진공흡입력은 피스톤(112)을 통해 제1흡기튜브(113a)로 전달된다.
제2흡기튜브(113b)는 일단이 피스톤(112)과 연통되고, 다른 일단이 제2통로와 연통된다. 따라서 연결관(111)으로 전달된 진공흡입력은 피스톤(112)을 통해 제2흡기튜브(113b)로 전달된다.
강선 와이어(113c)는 일단이 피스톤(112)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헤드(102)와 결합된다. 강선 와이어(113c)는 헤드(102)의 무게를 지탱한다.
<헤드(102), 진공패드(103), 제1통로(P1), 제2통로(P2), 제3통로(P3)>
헤드(102)는 길이조절 흡입부(110)의 하측에 설치된다. 헤드(102)의 하측에는 진공패드(103)가 설치된다. 제1통로(P1)는 헤드(102)의 내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통로(P1)는 와이어튜브(113)의 제1흡기튜브(113a)와 진공패드(103)와 연통된다. 제2통로(P2)는 제1통로(P1)의 우측으로 헤드(102)의 내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통로(P2)는 일측이 와이어튜브(113)의 제2흡기튜브(113b)와 연통되며 타측이 헤드(102)의 외부로 개방된다. 제3통로(P3)는 제1통로(P1)와 제2통로(P2)와 연통된다. 이를 위해, 제3통로(P3)는 제1통로(P1)와 제2통로(P2)와 교차되게 헤드(102)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풀(S), 스풀 와이어(104), 마개(105), 스프링(106), 개폐볼트(107)>
스풀(S)은 제3통로(P3)에 삽입된다. 스풀(S)은 좌우로 이동하면서 제1통로(P1) 또는 제2통로(P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스풀(S)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제1부(S1), 제2부(S2), 제3부(S3), 제4부(S4), 제5부(S5)가 순서대로 형성된다.
제1부(S1)는 원통형상을 가진다. 제2부(S2)는 우측 하향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제3부(S3)는 원통형상을 가진다. 제4부(S4)는 좌측 하향 및 우측 하향되어 가운데가 함몰된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제5부(S5)는 원통형상을 가진다.
스풀 와이어(104)는 스풀(S)의 우측면에 연결되어 스풀(S)을 잡아당긴다.
마개(105)는 제3통로(P3)의 우측 끝단을 막는다. 마개(105)의 중심에는 스풀 와이어(104)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105a)이 형성된다. 구멍(105a)을 통과한 스풀 와이어(104)는 와이어보호커버(104a)로 감싸진다. 와이어(104)는 와이어보호커버(104a)안에서 이동가능하다.
스프링(106)은 제3통로(P3)에 삽입된다. 스프링(0은 스풀(S)의 우측면과 마개(105)의 좌측면 사이에 위치된다. 스프링(106)은 스풀(S)의 원위치 복원력을 제공한다.
개폐볼트(107)는 헤드(102)의 외주면에서 체결된다. 개폐볼트(107)는 제1통로(P1)의 측면으로 침투하여 제1통로(P1)의 폭을 조절한다.
<핸들대(108), 핸들손잡이(109)>
핸들대(108)는 헤드(102)의 전후측 외주면에 Y형상의 일단이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핸들대(108)는 하향 ㄱ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핸들손잡이(109)는 핸들대(108)의 끝단에 설치된다. 핸들손잡이(109)는 스풀 와이어(104)와 연결된다. 핸들손잡이(109)를 잡으면 스풀 와이어(104)가 핸들손잡이(109) 방향으로 당겨지고, 핸들손잡이(109)를 놓으면 스프링(106)의 복원력에 의해 스풀(S) 방향으로 스풀 와이어(104)가 당겨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한다.
진공패드(103)의 택배상자 진공 흡착 방법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S)의 초기 위치는, 제2부(S2)가 제1통로(P1)에 위치되어 제1통로(P1)가 열리고, 제5부(S5)가 제2통로(P2)에 위치되어 제2통로(P2)가 막힌 상태다.
이 상태에서 공기흡입펌프(PM)가 작동하면, 진공흡입력이 서포트와 수평암(30)을 통해 길이조절 흡입부(110)에 전달된다. 즉, 연결관(111)으로 전달된 진공흡입력은 피스톤(112)에 연결된 제1흡기튜브(113a)와 제2흡기튜브(113b)를 통해 제1통로(P1)와 제2통로(P2)로 전달된다.
그러나 제2통로(P2)는 막힌 상태이므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로(P1)를 통해 진공흡입력이 진공패드(103)에 작용한다. 이 상태가 진공패드(103)의 진공흡착 상태가 된다. 작업자가 핸들손잡이(109)를 잡고 진공패드(103)를 택배상자 상면에 놓아 택배상자를 진공흡착한다.
택배상자의 진공흡착으로 제1통로(P1)와 길이조절 흡입부(110) 사이의 흡입력이 세진다. 그러면 피스톤(112)이 연결관(111)의 후단 방향 즉, 도 8에 도시된 피스톤(112)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진공흡착된 택배상자가 바닥면으로부터 상승한다. 이 상태로 수평암(30)을 회전시켜 택배상자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진공패드(103)의 택배상자 작용 진공 흡입력 조절 방법
작업자가 핸들손잡이(109)를 잡아당길수록, 스풀(S)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풀(S)이 우측으로 이동할수록, 제1부(S1)가 제1통로(P1)의 폭을 점차 좁혀 진공패드(103)에 작용하는 진공흡입력을 줄인다. 이렇게, 작업자는 핸들손잡이(109)를 잡아당기는 힘을 조절하여, 진공패드(103)에 작용하는 진공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다.
진공패드(103)의 초기 작업 위치 조절 방법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개폐볼트(107)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제1통로(P1)의 폭을 조절한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12)이 연결관(111)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와이어튜브(113)가 상승 또는 하강한다.
작업자가 개폐볼트(107)를 후진시켜 제1통로(P1)의 폭을 넓게 만들면, 제1통로(P1)와 길이조절 흡입부(110) 사이의 흡입력이 작아진다. 그러면 피스톤(112)이 연결관(111)의 전단 방향 즉, 도 8에 도시된 피스톤(112)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튜브(113) 및 진공패드(103)가 하강한다.
반면, 작업자가 개폐볼트(107)를 전진시켜 제1통로(P1)의 폭을 좁게 만들면, 제1통로(P1)와 길이조절 흡입부(110) 사이의 흡입력이 세진다. 그러면 피스톤(112)이 연결관(111)의 후단 방향 즉, 도 8에 도시된 피스톤(112)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튜브(113) 및 진공패드(103)가 상승한다.
이러한 원리로, 작업자는 작업할 택배상자의 높이에 따라 진공패드(103)의 초기 위치(L, 도 1 참조)를 조절할 수 있다.
진공패드(103)의 택배상자 진공 파기 방법
작업자가 핸들손잡이(109)를 더 잡아당겨서, 스풀(S)이 우측으로 더 이동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S1)가 제1통로(P1)에 위치되어 제1통로(P1)가 막히고, 제4부(S4)가 제2통로(P2)에 위치되어 제2통로(P2)가 열리게 된다. 이로 인해, 제2통로(P2)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제1통로(P1)로는 더 이상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때 외부 공기의 흡입으로 제2통로(P2)와 길이조절 흡입부(110) 사이의 흡입력이 작아진다. 그러면 피스톤(112)이 연결관(111)의 전단 방향 즉, 도 8에 도시된 피스톤(112)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튜브(113) 및 진공패드(103)가 하강한다. 아울러 제1통로(P1)로는 더 이상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택배상자의 자중에 의해 택배상자는 진공패드(103)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손잡이(109)를 놓으면, 스프링(106)의 복원력에 의해 스풀(S)이 초기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다시 진공패드(103)에 진공흡입력이 작용하게 되고, 피스톤(112)이 연결관(111)의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튜브(113) 및 진공패드(103)가 상승한다.
택배상자 상승에 따른 핸들손잡이(109)의 위치 조절 방법
택배상자를 진공흡착한 진공패드(103)가 상승하면 헤드(102) 및 핸들손잡이(109)도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대(10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핸들손잡이(109)를 아래로 내려, 작업자가 편안한 위치에서 핸들손잡이(109)를 조작할 수 있다.
10: 베이스 20: 서포트
30: 수평암 100: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110: 길이조절 흡입부 111: 연결관
112: 피스톤 113: 와이어튜브
102: 헤드 103: 진공패드
104: 스풀 와이어 105: 마개
106: 스프링 107: 개폐볼트
108: 핸들대 109: 핸들손잡이
P1: 제1통로 P2: 제2통로
P3: 제3통로 S: 스풀

Claims (5)

  1. 택배상자 진공흡착 리프트의 수평암에 연결되어 공기흡입펌프의 진공흡입력을 전달받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와이어튜브로 구성된 길이조절 흡입부;
    상기 와이어튜브가 연결된 헤드;
    상기 헤드의 하측에 설치된 진공패드;
    상기 헤드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튜브와 상기 진공패드와 연통된 제1통로;
    상기 헤드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튜브와 일측이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헤드의 외부로 개방된 제2통로;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와 교차되게, 상기 헤드의 내부에 형성된 제3통로;
    상기 제3통로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제1통로 또는 제2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풀;
    상기 스풀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스풀을 잡아당기는 스풀 와이어;
    상기 제3통로의 우측 끝단을 막으며, 상기 스풀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마개;
    상기 스풀과 상기 마개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제3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스풀의 원위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제1통로의 측면으로 침투하여 상기 제1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헤드의 외주면에서 체결된 개폐볼트;
    상기 헤드의 전후측 외주면에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대; 및
    상기 핸들대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풀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스풀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핸들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튜브는,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제1통로와 연통되며, 진공흡입력을 전달하는 제1흡기튜브;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제2통로와 연통되며, 진공흡입력을 전달하는 제2흡기튜브; 및
    상기 피스톤 및 상기 헤드와 결합된 강선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1흡기튜브가 관통하는 제1연통공;
    상기 제2흡기튜브가 관통하는 제2연통공; 및
    상기 와이어튜브의 강선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원통형상의 제1부, 우측 하향 테이퍼 형상을 가진 제2부, 원통형상을 가진 제3부, 좌측 하향 및 우측 하향되어 가운데가 함몰된 테이퍼 형상을 가진 제4부, 및 원통형상을 가진 제5부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드의 초기 작업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개폐볼트를 후진시켜 상기 진공패드를 하강시키고,
    상기 개폐볼트를 전진시켜 상기 진공패드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KR1020220132309A 2022-10-14 2022-10-14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KR20240052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309A KR20240052359A (ko) 2022-10-14 2022-10-14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309A KR20240052359A (ko) 2022-10-14 2022-10-14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359A true KR20240052359A (ko) 2024-04-23

Family

ID=9088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309A KR20240052359A (ko) 2022-10-14 2022-10-14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3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262B1 (ko) 2020-07-02 2021-03-05 박상욱 진공흡착 다관절 리프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262B1 (ko) 2020-07-02 2021-03-05 박상욱 진공흡착 다관절 리프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9067B1 (en) A hydraulic actuating unit, in particular for raising a load, such as a hospital bed
EP0460662A1 (en) Carrier for containers
EP0373841A2 (en) Valve means for controlling vacuum lifting apparatus
JP2001146907A (ja) デュアルストロークシリンダ
KR20240052359A (ko) 진공흡착 로우라이즈 장치
MXPA02006594A (es) Aparato de cojin de dado.
KR20240021422A (ko) 진공흡착 하이라이즈 장치
US3735958A (en) High rise transmission jack
US6039530A (en) Vacuum manipulation device
US4487019A (en) Hoisting gear at patient-lifting devices
CA2353780C (en) Manually operated zero-load rapid lifting hydraulic jack
JP2002219020A (ja) ベッドサイドテーブル
JPH02132752U (ko)
JP2001058798A (ja) パレット固定装置
US3345021A (en) Supporting device for hand tools
JP2552918Y2 (ja) リフター
US11807285B2 (en) Plywood panel lift
KR101860711B1 (ko) 중장비 시트 높이 설정용 통합 조작 레버
CN218087802U (zh) 真空抓取装置
GB2353022A (en) Pallet truck
US3035550A (en) Fluid motor
JP3060335U (ja) リフト
JP2610053B2 (ja) ハンマー装置
JPH04253597A (ja) 溶接組立治具のワーク押し上げ装置
JPH0617839Y2 (ja) フォークリフトの昇降遠隔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