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116A -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116A
KR20240051116A KR1020247004027A KR20247004027A KR20240051116A KR 20240051116 A KR20240051116 A KR 20240051116A KR 1020247004027 A KR1020247004027 A KR 1020247004027A KR 20247004027 A KR20247004027 A KR 20247004027A KR 20240051116 A KR20240051116 A KR 20240051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rol mode
electrolytic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미 호따
치히로 이이
겐이찌로 이나가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5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B15/023Measuring, analysing or testing during electrolytic pro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B15/023Measuring, analysing or testing during electrolytic production
    • C25B15/025Measuring, analysing or testing during electrolytic production of electrolyte parameters
    • C25B15/029Concen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에서는, 기능부(4)는, 액체 유입로(31)로부터 공급된 수돗물(W1)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돗물(W1)로부터 오존수(W2)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수돗물(W1)을 제균하는 제균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5)는, 기능부(4)의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제균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한다. 제어부(5)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킨다. 제어부(5)는,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
본 개시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으로서, 오존(전해 생성물)이 물에 용해된 오존수(전해 액체)를 생성하는 오존수 생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전해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도전성 막을 갖는다. 그리고, 전해부를 물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수중에서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전해 처리가 행해져, 오존수가 생성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생성된 오존수는, 관로, 화장실, 세면대, 욕실, 주방 등의 대상물로 흐르게 됨으로써, 대상물에, 제균, 곰팡이 방지, 탈취 등의 효과를 미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76993호 공보
종래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에는, 피처리 액체(이하, 단순히 「액체」라고 함)의 제균에 관한 효과가 보인다. 그러나, 종래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에서는, 액체의 제균과, 전해 액체의 생성 효율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개시의 목적은, 액체의 제균과, 전해 액체의 생성 효율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은, 액체 유로와, 기능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액체 유로는, 액체가 흐른다. 상기 기능부는, 상기 액체 유로로부터 공급된 상기 액체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액체로부터 전해 액체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상기 액체를 제균하는 제균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부의 상기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상기 제균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에서 동작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제균 기능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양태에 관한 제어 시스템은, 액체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액체로부터 전해 액체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상기 액체를 제균하는 제균 기능을 갖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에 사용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상기 제균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에서 동작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제균 기능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는 액체의 제균과, 전해 액체의 생성 효율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전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이 구비하는 전해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전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전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정수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미스트식 냉각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실시 형태는, 일반적으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 형태는, 피처리 액체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 액체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각 도면은 모식적인 도이며, 각 구성 요소의 크기나 두께 각각의 비가 반드시 실제의 치수비를 반영하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면,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제1 실시 형태
(개요)
먼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개요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액체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액체로부터 전해 액체를 생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액체로서 상수도 P1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W1을 사용하고, 전해 액체로서 오존수 W2를 생성하는 오존수 생성 장치이다. 오존수 생성 장치인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액체인 수돗물 W1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처리에 의해, 오존(전해 생성물)을 발생시키고, 당해 오존을 수돗물 W1에 용해시킴으로써, 전해 액체인 오존수 W2를 생성한다. 오존수 W2는, 제균, 탈취, 및 유기물 분해 등에 유효하기 때문에, 수 처리 분야, 위생 분야, 식품 분야 및 의학 분야 등의 각 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액체 유입로(31)와, 기능부(4)와, 제어부(5)를 구비한다. 액체 유입로(31)에는, 액체로서, 예를 들어 수돗물 W1이 흐른다. 기능부(4)는, 액체 유입로(31)로부터 공급된 수돗물 W1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돗물 W1로부터 전해 액체인 오존수 W2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실시하면서 수돗물 W1을 제균하는 제균 기능을 실시한다. 제어부(5)는, 기능부(4)의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제균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는, 적어도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킨다. 제어부(5)는,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향상시킨다.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전해 액체 생성 기능과 제균 기능의 밸런스(우선도)가 서로 다른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에서 동작한다. 이 결과,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수돗물 W1의 제균과, 오존수 W2의 생성 효율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필요에 따라, 제균 기능과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제균 기능을 필요에 따라 양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균 기능 및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오존수 W2 등의 전해 액체를 이용하는 정수기, 미스트 발생 장치, 세탁기, 식기 세척기, 온수 세정 변기, 냉장고, 급탕 급수 장치, 제균 장치, 의료용 기기, 공조 기기, 또는 주방 기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5)는 제어 시스템(10)을 구성하고 있고, 제어 시스템(10)도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상세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이 구비하는 전해부(42)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1.1) 전체 구성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2), 액체 유입로(31), 액체 유출로(32), 기능부(4), 제어부(5), 급수구(6), 전원(7) 및 검출부(8)를 구비하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이다. 전해 액체 생성 장치는, 액체 공급부(2), 액체 유입로(31), 액체 유출로(32), 기능부(4), 제어부(5), 급수구(6), 전원(7) 및 검출부(8)를 하나의 하우징에 마련한 구성을 갖는다.
(1.1.1) 액체 공급부
액체 공급부(2)는, 급수 펌프를 구비하고 있고, 상수도 P1로부터 공급된 수돗물 W1을 가압하고, 가압한 수돗물 W1을 액체 유입로(31)로 토출한다. 액체 공급부(2)는, 수돗물 W1을 저류하는 탱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액체 공급부(2)는, 급수 펌프 및 탱크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상수도 P1로부터 직접 받은 수돗물 W1을 액체 유입로(31)로 토출해도 된다.
(1.1.2) 액체 유입로
액체 유입로(31)는, 본 개시의 액체 유로에 상당하고, 호스, 수지관, 또는 금속관 등의 수관이다. 액체 유입로(31)의 유입구는 액체 공급부(2)에 접속되어 있고, 액체 공급부(2)로부터 액체 유입로(31)로 수돗물 W1을 받는다. 액체 유입로(31)의 유출구는 기능부(4)에 접속되어 있고, 액체 유입로(31)를 흐르는 수돗물 W1을, 기능부(4)에 공급한다.
(1.1.3) 기능부
기능부(4)는, 유량 조정부(41) 및 전해부(42)를 구비한다. 그리고, 유량 조정부(41) 및 전해부(42)를 구비하는 기능부(4)는, 액체 유입로(31)로부터 공급된 수돗물 W1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돗물 W1로부터 오존수 W2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실시하면서 수돗물 W1을 제균하는 제균 기능을 실시한다. 또한, 제균 기능은, 수돗물 W1에 전해 처리를 실시하여, 수돗물 W1에 포함되는 균을 감소시킴(제균함)으로써, 균이 적은 오존수 W2를 생성하는 기능이다.
(유량 조정부)
유량 조정부(41)는, 액체 유입로(31)의 유출구와 전해부(4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유량 조정부(41)는, 전자 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고, 전자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액체 유입로(31)로부터 전해부(42)에 공급되는 수돗물 W1의 유량을 조정한다. 또한, 이후에서는, 액체 유입로(31)로부터 전해부(42)에 공급되는 수돗물 W1의 유량을, 액체 공급량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유량 조정부(41)는, 제어부(5)로부터의 유량 지시 신호 S1에 의해 액체 공급량의 지시값(유량 지시값)을 통지받아, 액체 공급량이 유량 지시값에 일치하도록, 전자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따라서, 기능부(4)는, 유량 조정부(41)에 의해 액체 공급량을 조정함으로써, 전해부(42)가 생성하는 오존수 W2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즉, 기능부(4)는, 유량 조정부(41)에 의해 액체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오존수 W2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부(4)는, 유량 조정부(41)에 의해 액체 공급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오존수 W2의 생성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전해부)
전해부(42)는, 유량 조정부(41)에 의해 유량 조정된 수돗물 W1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오존을 발생시키고, 당해 오존을 수돗물 W1에 용해시킴으로써, 전해 액체인 오존수 W2를 생성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해부(42)는, 케이스(42a), 커버(42b), 양극(전극)(42c), 음극(전극)(42d), 도전성 막(42e), 급전체(42f), 및 탄성체(42g)를 구비한다.
케이스(42a) 및 커버(42b)는, 아크릴 등의 비도전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42a)는, 한 면에 오목부(422)를 갖는 중공의 직육면체상의 케이스 본체(421)를 구비한다. 양극(42c), 음극(42d), 도전성 막(42e), 급전체(42f), 및 탄성체(42g)가 오목부(422)에 수납되어 있다. 커버(42b)는, 오목부(422)의 개구를 덮는다. 즉, 케이스(42a) 및 커버(42b)는, 중공의 직육면체상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케이스 본체(421)의 길이 방향의 제1 단에는 통 형상의 상류측 접속부(423)가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421)의 길이 방향의 제2 단에는 통 형상의 하류측 접속부(424)가 형성되어 있다. 상류측 접속부(423)는, 유량 조정부(41)(도 1 참조)에 의해 유량이 조정된 수돗물 W1이 흐르는 배관에 접속되고, 유량 조정부(41)를 통과한 수돗물 W1을 케이스 본체(421)의 오목부(422)의 내부로 유도한다. 하류측 접속부(424)는, 액체 유출로(32)(도 1 참조)의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고, 전해부(42)에 의해 생성된 오존수 W2를 오목부(422)로부터 액체 유출로(32)로 유도한다.
오목부(422)에는, 탄성체(42g), 급전체(42f), 양극(42c), 도전성 막(42e), 음극(42d)이 수납되어 있다. 탄성체(42g), 급전체(42f), 양극(42c), 도전성 막(42e), 및 음극(42d)은, 오목부(422)의 저면에 겹쳐 배치되어 있고, 오목부(422)의 저면으로부터 탄성체(42g), 급전체(42f), 양극(42c), 도전성 막(42e), 음극(42d)의 순으로 겹쳐 있다.
탄성체(42g)는, 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금속 스프링 등의 탄력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급전체(42f)는, 예를 들어 티타늄을 사용하여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극(42c)은, 예를 들어 실리콘을 사용한 직사각형 판상의 도전성 기판에 도전성 다이아몬드 막을 성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전성 막(42e)은, 예를 들어 100㎛ 내지 200㎛ 정도의 두께를 갖는 프로톤 도전형의 이온 교환 필름이며,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음극(42d)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을 사용하여, 0.5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42g)의 제1 면은 오목부(422)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다. 급전체(42f)의 제1 면은 탄성체(42g)의 제2 면에 접촉하고, 급전체(42f)의 제2 면은 양극(42c)의 제1 면에 접촉하고 있다. 양극(42c)의 제2 면은 도전성 막(42e)의 제1 면에 접촉하고 있다. 도전성 막(42e)의 제2 면은 음극(42d)의 제1 면에 접촉하고 있다. 음극(42d)의 제2 면은, 커버(42b)의 이면에 대향하고 있다.
급전체(42f)에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 막대 형상의 양극측 급전 샤프트(425)가 설치되어 있다. 양극측 급전 샤프트(425)는, 전원(7)(도 1 참조)에 배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급전체(42f)는 양극(42c)에 접촉하고 있다. 양극측 급전 샤프트(425)는, 양극(4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음극(42d)에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 막대 형상의 음극측 급전 샤프트(426)가 설치되어 있다. 음극측 급전 샤프트(426)는, 전원(7)에 배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전원(7)은, 양극측 급전 샤프트(425)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426)를 통해, 양극(42c)과 음극(42d) 사이에 구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류측 접속부(423)로부터 오목부(422)로 수돗물 W1이 유입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7)이 양극(42c)과 음극(42d) 사이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42c)과 음극(42d) 사이에는 도전성 막(42e)을 통해 전위차가 발생된다. 양극(42c)과 음극(42d)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됨으로써, 양극(42c), 도전성 막(42e), 및 음극(42d)이 통전하여, 양극(42c)으로부터 음극(42d)을 향하여 구동 전류가 흐른다. 구동 전류가 흐르면, 수돗물 W1이 전기 분해되어, 도전성 막(42e)과 양극(42c)의 계면 근방에서 오존이 발생된다. 오존이 오목부(422) 내의 수돗물 W1의 흐름을 따라 하류측 접속부(424)를 향하여 운반되면서 수돗물 W1에 용해되어, 오존수 W2가 생성된다. 전원(7)이 양극(42c)과 음극(42d) 사이에 인가하는 구동 전압은, 수 볼트 내지 수십 볼트이며, 구동 전류가 클수록(구동 전압이 높을수록) 오존의 발생량이 커진다. 또한, 구동 전류는, 전기 분해를 위해, 전원(7)으로부터 전해부(42)에 공급되는 전류이다.
이와 같이, 전해부(42)는, 오존(전해 생성물)을 수돗물 W1에 용해시킴으로써, 오존수 W2(전해 액체)를 생성한다. 전해부(42)는, 오존의 산화 작용에 의해 수돗물 W1에 포함되는 균을 감소시킴으로써, 균이 적은 오존수 W2를 생성한다.
그리고, 전해부(42)는, 구동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전해부(42)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의 양(오존수 W2에 포함되는 오존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전해부(42)는, 제어부(5)로부터의 전류 지시 신호 S2에 의해 구동 전류의 지시값(전류 지시값)을 통지받아, 구동 전류의 값이 전류 지시값에 일치하도록, 구동 전류를 조정한다. 즉, 기능부(4)는, 구동 전류를 증가시켜, 전해부(42)가 생성하는 오존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오존수 W2에 포함되는 오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균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부(4)는, 구동 전류를 감소시켜, 전해부(42)가 생성하는 오존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오존수 W2에 포함되는 오존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균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1.1.4) 액체 유출로
액체 유출로(32)는, 호스, 수지관, 또는 금속관 등의 수관이다. 액체 유출로(32)의 유입구는 전해부(42)의 하류측 접속부(424)(도 2 참조)에 접속되어 있고, 전해부(42)로부터 액체 유출로(32)로 오존수 W2가 유입된다. 액체 유출로(32)는 급수구(6)에 접속되어 있고, 액체 유출로(32)를 흐르는 오존수 W2는, 급수구(6)로부터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외부에 공급된다.
(1.1.5) 급수구
급수구(6)는, 액체 유출로(32)를 흐르는 오존수 W2를,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외부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을 정수기에 내장한 경우, 급수구(6)가 정수기의 토수구를 구성하고, 급수구(6)로부터 오존수 W2를 토출한다. 또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을 미스트 발생 장치에 내장한 경우, 미스트 발생 장치는, 급수구(6)로부터 공급된 오존수 W2를 사용하여 미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미스트를 분무한다.
(1.1.6) 전원
전원(7)은, 전해부(42)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양극(42c)과 음극(42d)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양극(42c)으로부터 음극(42d)을 향하는 구동 전류를 발생시킨다. 즉, 전원(7)은, 전해부(42)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전해부(42)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1.1.7) 검출부
검출부(8)는, 수돗물 W1 및 오존수 W2 중 적어도 한쪽의 오염의 정도를 검출한다. 오염의 정도가 낮을수록, 청결, 무해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부(8)는, 액체 유입로(31)를 흐르고 있는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를 검출하는 상류측 검출부(81)이다. 상류측 검출부(81)는, 예를 들어 수돗물 W1에 포함되는 균의 수, 탁도, 색, 유기물 농도, 또는 액체 유입로(31)에서의 체류 시간 등을,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오염 검출값으로 한다. 또한, 상류측 검출부(81)는, 수돗물 W1의 잔류 염소 농도의 역수를, 제1 오염 검출값으로 해도 된다. 제1 오염 검출값은, 수돗물 W1의 균의 수가 적을수록, 탁도가 적을수록, 색이 무색 투명할수록, 유기물 농도가 낮을수록, 액체 유입로(31)에서의 체류 시간이 짧을수록, 잔류 염소 농도의 역수가 작을수록, 작아진다. 이러한 제1 오염 검출값이 작을수록,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는 낮아진다.
상류측 검출부(81)는, 제1 오염 검출값을 통지하는 검출 신호 S3을 제어부(5)에 출력한다. 제어부(5)는, 검출 신호 S3에 포함되는 제1 오염 검출값에 기초하여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를 판정하고, 당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능부(4)를 제어한다.
또한, 검출부(8)는, 예를 들어 균수 센서, 탁도 센서, 색도 센서, 유기물 농도 센서 등의 액체의 오염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 잔류 염소 농도 센서, 오존 농도 센서 등의 액체에 잔류하는 염소, 오존 등의 제균 작용을 갖는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 또는 유량 센서를 구비한다.
(1.1.8) 제어부
제어부(5)는, 컴퓨터 시스템을 구비한다. 즉, 제어부(5)에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제어부(5)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이 실현된다. 제어부(5)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주된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면, 그 종류는 불문한다. 프로세서는, 반도체 집적 회로(IC), 또는 LSI(large scale integration)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회로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IC나 LSI라고 칭하고 있지만, 집적의 정도에 따라 호칭이 달라져, 시스템 LSI, VLSI(very large scale integration), 혹은 ULSI(ultra large scale integration)라고 불리는 것이어도 된다. LSI의 제조 후에 프로그램되는, 필드·프로그래머블·게이트·어레이(FPGA), 또는 LSI 내부의 접합 관계의 재구성 또는 LSI 내부의 회로 구획의 셋업을 할 수 있는 재구성 가능한 논리 디바이스도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회로는, 하나의 칩에 집적되어도 되고, 복수의 칩에 마련되어도 된다. 복수의 칩은 집약하여 배치되어도 되고, 분산하여 배치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는, 유량 제어부(51) 및 전류 제어부(52)를 구비한다.
제어부(5)가 상류측 검출부(81)로부터 검출 신호 S3을 수취하면, 유량 제어부(51)는, 검출 신호 S3에 기초하여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를 판정하고, 당해 판정 결과에 기초한 유량 지시 신호 S1을 기능부(4)의 유량 조정부(41)에 출력함으로써,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한다. 즉, 유량 제어부(51)는,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함으로써, 액체 공급량(전해부(42)에 공급하는 수돗물 W1의 유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유량 제어부(51)는, 유량 조정부(41)가 액체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오존수 W2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량 제어부(51)는, 유량 조정부(41)가 액체 공급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오존수 W2의 생성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어부(5)가 상류측 검출부(81)로부터 검출 신호 S3을 수취하면, 전류 제어부(52)는, 검출 신호 S3에 기초하여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를 판정하고, 당해 판정 결과에 기초한 전류 지시 신호 S2를 기능부(4)의 전해부(42)에 출력함으로써, 전해부(42)를 제어한다. 즉,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를 제어함으로써, 전해부(42)가 생성하는 오존의 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의 구동 전류를 증가시켜, 전해부(42)가 생성하는 오존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오존수 W2에 포함되는 오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균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의 구동 전류를 감소시켜, 전해부(42)가 생성하는 오존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오존수 W2에 포함되는 오존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균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이후에서는, 전해부(42)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의 총량을, 오존의 총생성량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1.2) 동작
제어부(5)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에서 동작한다. 복수의 제어 모드는,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5)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킨다. 제어부(5)는,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향상시킨다. 즉, 제어부(5)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우선시키고,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균 기능을 우선시킨다. 이 결과,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수돗물 W1의 제균과, 오존수 W2의 생성 효율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는,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에 따라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는,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가 모드 역치 미만이면,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고,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가 모드 역치 이상이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5)는,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의 검출 결과로서, 수돗물 W1에 포함되는 균의 수, 탁도, 색, 유기물 농도, 액체 유입로(31)에서의 체류 시간, 또는 잔류 염소 농도의 역수 등의 제1 오염 검출값을 포함하는 검출 신호 S3을, 상류측 검출부(81)로부터 수취한다. 그리고, 제어부(5)는, 제1 오염 검출값을 모드 역치와 비교하여, 제1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미만이면,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1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이상이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즉,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수돗물 W1의 오염의 정도에 기초하여, 제어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전해부(42)가 오존수 W2를 생성한 후, 오존수 W2에 포함되는 오존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감소하기 때문에, 오존수 W2에 있어서의 제균 효과는 지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이 정지하면, 액체 유출로(32)에 잔류하고 있는 오존수 W2에 포함되는 균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류측 검출부(81)가, 액체 유입로(31)에 있어서의 수돗물 W1의 체류 시간을 제1 오염 검출값으로서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돗물 W1의 체류 시간은,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정지 시간과 동등하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이 동작을 개시할 때에는, 수돗물 W1의 체류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되어, 제어부(5)가 자동적으로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함으로써, 제균 기능을 우선시켜, 제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동작예를 든다.
(1.2.1) 제1 동작예
제1 동작예에서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제어부(5)는, 제1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미만이면,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가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유량 제어부(51)는, 액체 공급량(전해부(42)에 공급하는 수돗물 W1의 유량)이 F1이 되도록,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한다.
제어부(5)가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의 구동 전류가 I1이 되도록, 전해부(42)를 제어한다.
제어부(5)는, 제1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이상이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가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유량 제어부(51)는, 액체 공급량이 F2(<F1)가 되도록,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한다. 즉,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2는,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1보다 적어진다.
제어부(5)가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의 구동 전류가 I2(>I1)가 되도록, 전해부(42)를 제어한다. 즉, 제2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2는, 제1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1보다 커진다. 이 결과,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오존의 총생성량은,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오존의 총생성량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제2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양은, 제1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양보다 적어진다. 또한, 제2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오존 농도는, 제1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오존 농도보다 많아진다. 즉,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제2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균 효율을 높이고, 또한 수돗물 W1의 절약도 가능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5)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제어부(5)는,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유량 제어부(51)는,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2를,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1의 1/2 이하이며, 또한 0(제로)보다 큰 액체 공급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액체 공급량 F1이 1.0L(리터)/min(분)이면, 액체 공급량 F2는 0.5L/min 이하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제균 효율을 높이고, 또한 수돗물 W1의 절약도 가능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량 제어부(51)는,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2를,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1의 1/5 이하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액체 공급량 F1이 1.0L/min이면, 액체 공급량 F2는 0.2L/min 이하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제균 효율을 더 높이고, 또한 수돗물 W1의 가일층의 절약도 가능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량 제어부(51)는,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2를,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1의 1/8 이하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액체 공급량 F1이 1.0L/min이면, 액체 공급량 F2는, 0.125L/min 이하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제균 효율을 더 높이고, 또한 수돗물 W1의 가일층의 절약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2는,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1 미만이며, 또한 액체 공급량 F1의 1/2보다 커도 된다.
(1.2.2) 제2 동작예
제2 동작예에서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제어부(5)는, 제1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미만이면,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가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유량 제어부(51)는, 액체 공급량(전해부(42)에 공급하는 수돗물 W1의 유량)이 F1이 되도록,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한다.
제어부(5)가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의 구동 전류가 I1이 되도록, 전해부(42)를 제어한다.
제어부(5)는, 제1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이상이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가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유량 제어부(51)는, 액체 공급량이 F3(<F1)이 되도록,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한다. 즉,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3은,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1보다 적어진다.
제어부(5)가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의 구동 전류가 I3(<I1)이 되도록, 전해부(42)를 제어한다. 즉, 제2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3은 제1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1보다 작다. 이 결과,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오존의 총생성량은,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오존의 총생성량보다 적어진다. 그러나,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3은,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1보다 적다. 그래서, 제2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오존 농도가, 제1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오존 농도보다 많아지도록, 구동 전류 I3의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양은, 제1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양보다 적어진다. 또한, 제2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오존 농도는, 제1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오존 농도보다 많아진다. 즉,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제2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균 효율을 높이고, 또한 수돗물 W1의 절약도 가능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5)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제어부(5)는,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제2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3을 제1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1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전해부(42)의 열화를 억제하여, 전해부(42)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전류 제어부(52)는, 제2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3을, 제1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1의 1/2 이하이며, 또한 0(제로)보다 큰 전류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전해부(42)의 열화 억제, 및 전해부(42)의 장수명화를, 보다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3은, 제1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1의 1/5 이하, 또는 1/8 이하여도 된다.
또한, 제2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3은, 제1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1 미만이며, 또한 구동 전류 I1의 1/2보다 커도 된다.
(1.2.3) 제3 동작예
제3 동작예에서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제어부(5)는, 제1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미만이면,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가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유량 제어부(51)는, 액체 공급량(전해부(42)에 공급하는 수돗물 W1의 유량)이 F1이 되도록,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한다.
제어부(5)가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의 구동 전류가 I1이 되도록, 전해부(42)를 제어한다.
제어부(5)는, 제1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이상이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가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유량 제어부(51)는, 액체 공급량이 제1 제어 모드와 같은 F1이 되도록,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한다. 즉,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에서, 액체 공급량은 변하지 않는다.
제어부(5)가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의 구동 전류가 I4(>I1)가 되도록, 전해부(42)를 제어한다. 제2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4는 제1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1보다 크므로,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오존의 총생성량은,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오존의 총생성량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제2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양은, 제1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양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오존의 총생성량은,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오존의 총생성량보다 많으므로, 제2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오존 농도는, 제1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오존 농도보다 많아진다. 즉,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제2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5)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제어부(5)는,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전류 제어부(52)는, 제2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4를, 제1 제어 모드에서의 구동 전류 I1의 4/3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제균 효율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1.2.4) 제4 동작예
제4 동작예에서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제어부(5)는, 제1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미만이면,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가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유량 제어부(51)는, 액체 공급량(전해부(42)에 공급하는 수돗물 W1의 유량)이 F1이 되도록,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한다.
제어부(5)가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의 구동 전류가 I1이 되도록, 전해부(42)를 제어한다.
제어부(5)는, 제1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이상이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가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유량 제어부(51)는, 액체 공급량이 F4(<F1)가 되도록,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한다. 즉,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4는,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1보다 적어진다.
제어부(5)가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전류 제어부(52)는, 전해부(42)의 구동 전류가 제1 제어 모드와 같은 I1이 되도록, 전해부(42)를 제어한다. 즉,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에서, 구동 전류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2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4는 제1 모드에서의 액체 공급량 F1보다 적으므로, 제2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오존 농도가, 제1 제어 모드에서 생성되는 오존수 W2의 오존 농도보다 많아진다. 즉,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제2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균 효율을 높이고, 또한 수돗물 W1의 절약도 가능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5)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제어부(5)는,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다.
(1.3) 제1 변형예
도 3은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제1 변형예로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A)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A)은,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검출부(8)(상류측 검출부(81)) 대신에, 조작 입력부(9)를 구비한다.
조작 입력부(9)는, 스위치, 버튼, 터치 패널 및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스위치, 버튼, 및 터치 패널은, 유저의 조작을 직접적으로 접수한다. 수신 장치는, 유저가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무선 신호 또는 유선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유저의 조작을 간접적으로 접수한다.
조작 입력부(9)가 접수하는 유저의 조작에는,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조작이 포함되어 있다. 즉, 유저는, 제어부(5)를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에서 동작시킬지를, 조작 입력부(9)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5)에 지시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조작 입력부(9)는, 유저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 S4를 제어부(5)에 출력한다. 조작 신호 S4는, 제어부(5)에 대하여 제어 모드를 지시한다. 제어부(5)는, 조작 신호 S4에 의해 지시된 제어 모드가 제1 제어 모드이면,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는, 조작 신호 S4에 의해 지시된 제어 모드가 제2 제어 모드이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즉,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A)은, 유저 조작에 의해 제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어부(5)의 유량 제어부(51) 및 전류 제어부(52)의 각 동작은, 상술한 제1 동작예 내지 제4 동작예 중 어느 것과 동일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A)을 사용할 때, 유저는, 사용 개시 시에 조작 입력부(9)를 조작하여, 제2 제어 모드를 선택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A)이 동작을 개시할 때, 제어부(5)는, 유저 조작에 의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함으로써, 제균 기능을 우선시켜, 제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제1 변형예의 조작 입력부(9)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에 있어서도, 제어부(5)는, 유저 조작에 의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함으로써, 제균 기능을 우선시켜, 제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4) 제2 변형예
도 4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제2 변형예로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B)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B)에서는, 도 1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액체 유출로(32)를, 액체 유출로(321, 322)로 분할하고, 순환 유로(33) 및 분기부(34)를 더 구비한다. 또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B)의 제어부(5)는, 분기 제어부(53)를 더 구비한다. 또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B)은, 하류측 검출부(82), 상류측 검출부(83)를 더 구비한다.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B)에서는, 전해부(42)는, 생성한 오존수 W2를 액체 유출로(321)에 공급한다. 액체 유출로(321)에는 분기부(34)가 마련되어 있다. 분기부(34)는, 전자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액체 유출로(321)로부터 액체 유출로(322) 및 순환 유로(33) 중 어느 것으로 선택적으로 오존수 W2를 분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즉, 분기부(34)는, 액체 유출로(321)를, 액체 유출로(322) 및 순환 유로(33) 중 어느 것으로 전환 가능하게 접속한다. 액체 유출로(322)는 급수구(6)에 접속되어 있고, 분기부(34)를 통하여 공급되는 오존수 W2를 급수구(6)에 공급한다. 순환 유로(33)는, 액체 유입로(31)에 접속되어 있고, 분기부(34)를 통하여 공급되는 오존수 W2를 액체 유입로(31)로 되돌린다. 분기 제어부(53)는, 분기부(34)를 제어하여, 액체 유출로(321)를, 액체 유출로(322) 및 순환 유로(33)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한다.
하류측 검출부(82)는, 액체 유출로(321)를 흐르고 있는 오존수 W2의 오염의 정도를 검출한다. 하류측 검출부(82)는, 예를 들어 오존수 W2에 포함되는 균의 수, 탁도, 색, 유기물 농도, 또는 액체 유출로(321)에서의 체류 시간 등을, 오존수 W2의 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2 오염 검출값으로 한다. 또한, 하류측 검출부(82)는, 오존수 W2의 잔류 염소 농도의 역수를, 제2 오염 검출값으로 해도 된다. 제2 오염 검출값은, 오존수 W2의 균의 수가 적을수록, 탁도가 적을수록, 색이 무색 투명할수록, 유기물 농도가 낮을수록, 액체 유출로(321)에서의 체류 시간이 짧을수록, 잔류 염소 농도의 역수가 작을수록, 작아진다. 제2 오염 검출값이 작을수록, 오존수 W2의 오염의 정도는 낮아진다.
하류측 검출부(82)는, 제2 오염 검출값을 통지하는 검출 신호 S5를 제어부(5)에 출력한다. 제어부(5)는, 검출 신호 S5에 포함되는 제2 오염 검출값에 기초하여 오존수 W2의 오염의 정도를 판정하고, 분기 제어부(53)는, 당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분기부(3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분기 제어부(53)는, 제2 오염 검출값을 분기 역치와 비교하여, 제2 오염 검출값이 분기 역치 미만이면, 액체 유출로(321)의 접속처가 액체 유출로(322)가 되도록, 분기부(34)를 제어한다. 액체 유출로(321)의 접속처가 액체 유출로(322)가 되면, 전해부(42)가 생성한 오존수 W2는, 액체 유출로(322)를 통하여 급수구(6)에 공급된다.
또한, 분기 제어부(53)는, 제2 오염 검출값이 분기 역치 이상이면, 액체 유출로(321)의 접속처가 순환 유로(33)가 되도록, 분기부(34)를 제어한다. 액체 유출로(321)의 접속처가 순환 유로(33)가 되면, 전해부(42)가 생성한 오존수 W2는, 순환 유로(33)를 흘러서 액체 유입로(31)에 공급되어, 액체 유입로(31)에 있어서 수돗물 W1과 오존수 W2가 혼합된다. 수돗물 W1과 오존수 W2가 혼합된 혼합 액체 W3은, 상류측 검출부(81)를 통해 기능부(4)에 공급된다. 기능부(4)는, 혼합 액체 W3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오존수 W2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혼합 액체 W3을 제균하는 제균 기능을 실행한다. 이 경우, 혼합 액체 W3이, 액체에 상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염의 정도가 충분히 낮아져 있지 않은 오존수 W2가 급수구(6)로부터 흘러 나가지 않도록, 오염의 정도가 충분히 낮아져 있지 않은 오존수 W2는 전해부(42)에 의해 다시 제균된다. 따라서, 오염의 정도가 충분히 낮은 오존수 W2가 급수구(6)로부터 공급되므로, 오존수 W2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류측 검출부(83)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B)의 검출부(8)이다. 상류측 검출부(83)는, 혼합 액체 W3의 오염의 정도를 검출한다. 상류측 검출부(83)는, 예를 들어 혼합 액체 W3에 포함되는 균의 수, 탁도, 색, 유기물 농도, 또는 체류 시간 등을, 혼합 액체 W3의 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3 오염 검출값으로 한다. 또한, 상류측 검출부(83)는, 혼합 액체 W3의 잔류 염소 농도의 역수를, 제3 오염 검출값으로 해도 된다. 제3 오염 검출값은, 혼합 액체 W3의 균의 수가 적을수록, 탁도가 적을수록, 색이 무색 투명할수록, 유기물 농도가 낮을수록, 체류 시간이 짧을수록, 잔류 염소 농도의 역수가 작을수록, 작아진다. 제3 오염 검출값이 작을수록, 혼합 액체 W3의 오염의 정도는 낮아진다.
상류측 검출부(83)는, 제3 오염 검출값을 통지하는 검출 신호 S6을 제어부(5)에 출력한다. 제어부(5)는, 검출 신호 S6에 포함되는 제3 오염 검출값에 기초하여 혼합 액체 W3의 오염의 정도를 판정하고, 당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능부(4)를 제어한다.
제어부(5)는, 제3 오염 검출값을 모드 역치와 비교하여, 제3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미만이면,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3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이상이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즉,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B)은, 혼합 액체 W3의 오염의 정도에 기초하여, 제어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어부(5)의 유량 제어부(51) 및 전류 제어부(52)의 각 동작은, 상술한 제1 동작예 내지 제4 동작예 중 어느 것과 동일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변형예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B)은, 특히 미스트식 냉각기(미스트 발생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스트식 냉각기는, 오존수 W2를 미립자상으로 한 미스트를 분출하여, 주위의 기화열을 빼앗음으로써, 주위 온도를 낮춘다. 이 경우, 미스트가 충분히 제균되어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1.5) 제3 변형예
도 5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제3 변형예로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C)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C)은, 검출부(8)로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상류측 검출부(81) 대신에 하류측 검출부(84)를 구비한다.
하류측 검출부(84)는, 액체 유출로(32)를 흐르고 있는 오존수 W2의 오염의 정도를 검출한다. 하류측 검출부(84)는, 예를 들어 오존수 W2에 포함되는 균의 수, 탁도, 색, 유기물 농도, 또는 액체 유출로(32)에서의 체류 시간 등을, 오존수 W2의 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4 오염 검출값으로 한다. 또한, 하류측 검출부(84)는, 오존수 W2의 잔류 염소 농도의 역수, 또는 오존수 W2의 이온 농도의 역수를, 제4 오염 검출값으로 해도 된다. 제4 오염 검출값은, 오존수 W2의 균의 수가 적을수록, 탁도가 적을수록, 색이 무색 투명할수록, 유기물 농도가 낮을수록, 액체 유출로(32)에서의 체류 시간이 짧을수록, 잔류 염소 농도의 역수가 작을수록, 이온 농도의 역수가 작을수록, 작아진다. 제4 오염 검출값이 작을수록, 오존수 W2의 오염의 정도는 낮아진다.
하류측 검출부(84)는, 제4 오염 검출값을 통지하는 검출 신호 S7을 제어부(5)에 출력한다. 제어부(5)는, 제4 오염 검출값을 모드 역치와 비교하여, 제4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미만이면,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4 오염 검출값이 모드 역치 이상이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즉,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C)은, 오존수 W2의 오염의 정도에 기초하여, 제어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어부(5)의 유량 제어부(51) 및 전류 제어부(52)의 각 동작은, 상술한 제1 동작예 내지 제4 동작예 중 어느 것과 동일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2) 제2 실시 형태
도 6은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을 사용한 장치의 일례로서, 정수기 G1의 외관을 나타낸다.
정수기 G1은, 중공의 원기둥상의 본체 G11을 구비하고 있고,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의 일부는 본체 G11에 수납되어 있다. 본체 G11로부터는, 플렉시블 호스로 구성된 액체 유출로(32)가 연장되어 있고, 액체 유출로(32)의 선단에는, 토수구가 되는 급수구(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수기 G1은,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대신에,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A, 1B, 또는 1C)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3) 제3 실시 형태
도 7은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B)을 사용한 장치의 다른 일례로서, 미스트식 냉각기 G2의 외관을 나타낸다.
미스트식 냉각기 G2는 옥외의 구조물에 설치된다. 도 7에서는, 지면에 형성된 토대 H1, 토대 H1 상에 설치된 4개의 기둥 H2, 및 4개의 기둥 H2에 의해 토대 H1의 상방에 지지되는 천정재 H3을 구비하는 구조물을 예시한다. 그리고, 미스트식 냉각기 G2는, 천정재 H3의 하면에 설치되어, 하방을 향하여 오존수 W2를 미립자상으로 한 미스트 M1을 분출하여, 주위의 기화열을 빼앗음으로써, 주위 온도를 낮춘다.
또한, 미스트식 냉각기 G2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B) 대신에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또는 1C)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4) 기타의 변형예
본 개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의 각각은, 수돗물 W1의 제균과, 오존수 W2의 생성 효율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이며, 밸런스 조정을 위한 동작은, 상술한 각 동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의 각각은, 수돗물 W1의 제균 효과를 양호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면, 수돗물 W1의 제균과 오존수 W2의 생성 효율의 밸런스 조정을 위한 동작은, 특정 동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모드는,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 이외에, 전해부(42)에서의 전해 처리를 행하지 않고, 수돗물 W1을 급수구(6)로부터 공급하는 제3 모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 모드는,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 이외에, 제균 기능을 높게 하는 강 모드, 및 제균 기능을 낮게 하는 약 모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부(5)는, 기능부(4)의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제균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5)는, 유량 조정부(41)와 전해부(42) 중, 한쪽만을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액체는, 수돗물 W1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액체여도 된다. 또한, 전해 액체는, 오존수 W2에 한정되지 않고, 제균 효과를 갖는 다른 액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액체를 염수로 하고, 전해 액체를 전해 차아수로 해도 된다.
또한, 액체는, 상수도 P1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 또는 기구 등의 내부를 흐르고 있는 액체여도 된다.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은, 액체 공급부(2), 액체 유입로(31), 액체 유출로(32), 기능부(4), 제어부(5), 급수구(6), 전원(7) 및 검출부(8)를, 2개 이상의 장치에 분산시킨 시스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5)로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10)과 마찬가지의 기능은,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의 각각의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등으로 구현화되어도 된다. 즉, 제어 시스템(10)의 기능을,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의 각각의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등으로 구현화해도 된다.
상술한 「제균」이라는 문언은, 「살균」 또는 「멸균」으로 치환해도 된다. 「제균」은, 균을 제거하여, 저감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살균」은, 「의약품」 또는 「의약 부외품」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다. 「멸균」은, 일본 약전에서 「미생물이 생존할 확률이 100만분의 1 이하가 되는 것」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5) 요약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양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은, 액체 유입로(31)와, 기능부(4)와, 제어부(5)를 구비한다. 액체 유입로(31)는, 액체(W1, W3)가 흐른다. 기능부(4)는 액체 유입로(31)로부터 공급된 액체(W1, W3)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액체(W1, W3)로부터 전해 액체(W2)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실시하면서 액체(W1, W3)를 제균하는 제균 기능을 실시한다. 제어부(5)는 기능부(4)의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제균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한다. 제어부(5)는 적어도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킨다. 제어부(5)는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은, 액체(W1, W3)의 제균과, 전해 액체(W2)의 생성 효율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양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에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기능부(4)는 액체 유입로(31)로부터 공급되는 액체(W1, W3)의 양인 액체 공급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부(4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5)는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액체 공급량을 감소시키도록 유량 조정부(41)를 제어함으로써,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제어한다.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은, 제2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균 효율을 높이고, 또한 액체(W1, W3)의 절약도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3 양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에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기능부(4)는 액체(W1, W3)를 전기 분해하는 전해부(4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5)는 전해부(42)에 공급할 전류(구동 전류)를 제어하고,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류를 크게 함으로써, 제균 기능을 제어한다.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은, 제2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4 양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에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기능부(4)는 액체(W1, W3)를 전기 분해하는 전해부(4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5)는 전해부(42)에 공급할 전류(구동 전류)를 제어하고,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류를 작게 함으로써, 제균 기능을 제어한다.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은,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전해부(42)의 열화를 억제하여, 전해부(42)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5 양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A)은 제1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사람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9)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5)는 조작 입력부(9)가 접수한 조작에 따라,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제어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A)은, 제어부(5)는, 유저 조작에 의해 제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6 양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B, 1C)은, 제1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액체(W1, W3) 및 전해 액체(W2) 중 적어도 한쪽의 오염의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5)는 오염의 정도에 따라,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제어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B, 1C)은, 액체(W1, W3) 및 전해 액체(W2) 중 적어도 한쪽의 오염의 정도에 기초하여, 제어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7 양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B, 1C)에서는, 제6 양태에 있어서, 제어부(5)는, 오염의 정도가 모드 역치 미만이면,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고, 오염의 정도가 모드 역치 이상이면,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B, 1C)은, 액체(W1, W3) 및 전해 액체(W2) 중 적어도 한쪽의 오염의 정도가 모드 역치 이상이면, 자동으로 제균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8 양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에서는, 제1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해 액체(W2)는 오존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은, 제균, 탈취, 및 유기물 분해 등에 유효한 오존수(W2)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9 양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은, 제1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능부(4)에 전기 분해를 행하기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7)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은, 전원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10 양태의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은, 제1 내지 제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액체 유입로(31)에 액체(W1)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은, 급수 펌프 등의 액체 공급부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제11 양태의 제어 시스템(10)은, 액체(W1, W3)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액체(W1, W3)로부터 전해 액체(W2)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실시하면서 액체(W1, W3)를 제균하는 제균 기능을 실시하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1, 1A, 1B, 1C)에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이다. 제어 시스템(10)은,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제균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부(5)를 구비한다. 제어부(5)는 적어도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에서 동작한다. 제어부(5)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킨다. 제어부(5)는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제균 기능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제어 시스템(10)은, 액체(W1, W3)의 제균과, 전해 액체(W2)의 생성 효율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1, 1A, 1B, 1C: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2: 액체 공급부
31: 액체 유입로(액체 유로)
4: 기능부
41: 유량 조정부
42: 전해부
5: 제어부
7: 전원
8: 검출부
81, 83: 상류측 검출부(검출부)
82, 84: 하류측 검출부(검출부)
9: 조작 입력부
10: 제어 시스템
W1: 수돗물(액체)
W2: 오존수(전해 액체)
W3: 혼합 액체(액체)

Claims (11)

  1. 액체가 흐르는 액체 유로와,
    상기 액체 유로로부터 공급된 상기 액체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액체로부터 전해 액체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상기 액체를 제균하는 제균 기능을 갖는 기능부와,
    상기 기능부의 상기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상기 제균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제균 기능을 향상시키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는, 상기 액체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양인 액체 공급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액체 공급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제어하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는, 상기 액체를 전기 분해하는 전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해부에 공급할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전류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균 기능을 제어하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는, 상기 액체를 전기 분해하는 전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해부에 공급할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전류를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제균 기능을 제어하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람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부가 접수한 상기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제어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및 상기 전해 액체 중 적어도 한쪽의 오염의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의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제어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의 정도가 모드 역치 미만이면, 상기 제1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오염의 정도가 상기 모드 역치 이상이면,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액체는, 오존수인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에 상기 전기 분해를 행하기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더 구비하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로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11. 액체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액체로부터 전해 액체를 생성하는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상기 액체를 제균하는 제균 기능을 갖는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해 액체 생성 기능 및 상기 제균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것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전해 액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비하여 상기 제균 기능을 향상시키는
    제어 시스템.
KR1020247004027A 2021-09-06 2022-08-04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 KR202400511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44954A JP2023038058A (ja) 2021-09-06 2021-09-06 電解液体生成システム、及び制御システム
JPJP-P-2021-144954 2021-09-06
PCT/JP2022/029998 WO2023032589A1 (ja) 2021-09-06 2022-08-04 電解液体生成システム、及び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116A true KR20240051116A (ko) 2024-04-19

Family

ID=8541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4027A KR20240051116A (ko) 2021-09-06 2022-08-04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3038058A (ko)
KR (1) KR20240051116A (ko)
CN (1) CN117813264A (ko)
TW (1) TW202311567A (ko)
WO (1) WO202303258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6993A (ja) 2016-03-30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669A (ja) * 1997-06-23 1999-01-19 Inax Corp オゾン水給水装置
JP2004324190A (ja) * 2003-04-24 2004-11-18 Shinko Plant Kensetsu Kk オゾン水を用いた手洗い装置及びオゾン水濃度維持装置
JP2011098274A (ja) * 2009-11-05 2011-05-19 Japan Medical Creative:Kk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14004568A (ja) * 2012-06-27 2014-01-16 Panasonic Corp 水処理装置
JP2016222967A (ja) * 2015-05-29 2016-1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オゾン水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6993A (ja) 2016-03-30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2589A1 (ja) 2023-03-09
JP2023038058A (ja) 2023-03-16
TW202311567A (zh) 2023-03-16
CN117813264A (zh)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4830B2 (en) Electrolytic liquid generating device, liquid modifying device provided with electrolytic liquid 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 apparatus using electrolytic liquid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lytic liquid generating device
CA246885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egative and positive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orp) water
JP3619828B2 (ja) 電解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電解用電極を用いた電解方法及び電解水生成装置
KR101896201B1 (ko) 살균세척수 생성 시스템이 장착된 싱크대
KR101740507B1 (ko) 살균 효과가 있는 구강 세정기
KR20180078224A (ko)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소수 서버와 투석액 조제용수의 제조장치
KR20240051116A (ko) 전해 액체 생성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
CN213127576U (zh) 一种具有消毒净水功能的宠物饮水机
JP2007014888A (ja) 消毒装置
KR200435320Y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KR101561303B1 (ko) 전극살균모듈을 이용한 식기세척기
JP5991619B2 (ja)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05040781A (ja) 整水器
KR101350005B1 (ko) 살균 장치
KR101739123B1 (ko) 바이패스부를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CN112524802A (zh) 用于热水器的清洗装置及热水器
JP6962709B2 (ja) 電解水生成装置
JP6467690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電解液体生成装置を備えた液体改質装置または電解液体生成装置で生成された電解液体を利用する電気機器
KR20150115313A (ko) 정수기의 전해조 장치
JP6826312B2 (ja) 洗面台
JP2007143937A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KR102534556B1 (ko) 살균 및 수소공급이 가능한 수전
CN216156728U (zh) 一种用于智能马桶的清洁杀菌装置
WO2016152398A1 (ja) 除菌水生成装置
JP2020032368A (ja) ポータブル型電解水生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