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99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994A
KR20240050994A KR1020230020097A KR20230020097A KR20240050994A KR 20240050994 A KR20240050994 A KR 20240050994A KR 1020230020097 A KR1020230020097 A KR 1020230020097A KR 20230020097 A KR20230020097 A KR 20230020097A KR 20240050994 A KR20240050994 A KR 20240050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osed
electrode
metal lay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환
강기녕
차종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456,41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20346A1/en
Priority to CN202311231873.9A priority patent/CN117881238A/zh
Publication of KR2024005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 회로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화소 회로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에 배치된 비아층,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비아층 상에 배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의 일단에 접속되는 제1 접촉 전극,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접촉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비아층의 상면에 컨택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보호 금속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화소들 각각이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발광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없이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유기물을 형광 물질로 이용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무기물을 형광 물질로 이용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에 내장되는 게이트 구동부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해소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온의 증착 과정에서 유기층 및 보호 금속층 사이의 박리 또는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 회로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화소 회로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에 배치된 비아층,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비아층 상에 배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의 일단에 접속되는 제1 접촉 전극,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접촉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비아층의 상면에 컨택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보호 금속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홀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복수의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층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교차 지점은 상기 복수의 제1 홀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층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비아층을 관통하는 컨택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 연결 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일단 및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층의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일부의 제1 홀들과 중첩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은 상기 일부의 제1 홀들과 다른 일부의 제1 홀들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은 통 전극으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은 복수의 아일랜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아일랜드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층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층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비아층을 관통하는 컨택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 연결 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 회로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화소 회로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에 배치된 비아층, 상기 비아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고,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상기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홀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층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비아층의 상면에 컨택되는 보호 금속층의 제2 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층은 반사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홀의 평면 상 면적은 상기 제1 홀의 평면 상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및 제2 층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는 비아층의 상면의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홀과 인접한 상기 제1 층의 상면 일부를 덮고, 상기 제2 홀과 인접한 상기 절연층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 제1 금속층에 배치되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고전위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압 라인, 상기 제1 금속층 상의 액티브층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압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에 인접한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에 인접한 소스 전극, 및 상기 액티브층 상의 제2 금속층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2 금속층 상의 제3 금속층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애노드 연결 전극, 상기 제3 금속층 상의 제4 금속층에 배치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정렬된 발광 소자, 상기 제4 금속층 상의 제5 금속층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의 일단에 접속되는 제1 접촉 전극,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4 금속층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5 금속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삽입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보호 금속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홀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복수의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층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의 평면 상 면적은 상기 제1 홀의 평면 상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3 금속층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 금속층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게이트 구동부 상에 배치되어 저전위 전압을 수신하는 보호 금속층을 포함함으로써, 게이트 구동부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보호 금속층의 제1 층을 포함함으로써, 고온의 증착 과정 중 유기층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키고 유기층과 보호 금속층 사이의 박리 또는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및 라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발광 소자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4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5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호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및 제1 절연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의 제2 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호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의 제2 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호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의 제2 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호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의 제2 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장치를 기준으로 상부 방향, 즉 Z축 방향을 가리키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장치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 즉 Z축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좌측”, “우측”, “상측”, “하측”은 표시 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좌측”은 X축의 반대 방향, “우측”은 X축 방향, “상측”은 Y축 방향, “하측”은 Y축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및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연성 필름(210), 표시 구동부(220), 회로 보드(230), 타이밍 제어부(240), 전원 공급부(250), 게이트 구동부(260), 및 보호 금속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소(SP),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초기화 전압 라인(VIL), 제1 전압 라인(VDL), 수평 전압 라인(HVDL), 수직 전압 라인(VVSL), 및 제2 전압 라인(VSL)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SP)은 데이터 라인들(DL)과 게이트 라인들(GL)에 의해 교차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화소(SP)는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은 하나의 게이트 라인(GL) 및 하나의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은 광을 출력하는 최소 단위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ED),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 또는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Inorganic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SP1)는 제1 색의 광 또는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제2 화소(SP2)는 제2 색의 광 또는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3 화소(SP3)는 제3 색의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화소(SP1)의 화소 회로, 제3 화소(SP3)의 화소 회로, 및 제2 화소(SP2)의 화소 회로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화소 회로의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은 게이트 구동부(260)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수신하여 보조 게이트 라인(BGL)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보조 게이트 라인(BGL)은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내지 제3 데이터 라인(DL1, DL2, D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데이터 라인(DL1, DL2, DL3) 각각은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초기화 전압 라인들(VIL)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초기화 전압 라인(VIL)은 표시 구동부(220)로부터 수신된 초기화 전압을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의 화소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초기화 전압 라인(VIL)은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의 화소 회로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구동부(220)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압 라인들(VDL)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전압 라인(VDL)은 전원 공급부(250)로부터 수신된 구동 전압 또는 고전위 전압을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에 공급할 수 있다.
수평 전압 라인들(HVDL)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수평 전압 라인(HVDL)은 제1 전압 라인(VDL)에 접속될 수 있다. 수평 전압 라인(HVDL)은 제1 전압 라인(VDL)으로부터 구동 전압 또는 고전위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수직 전압 라인들(VVSL)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수직 전압 라인(VVSL)은 제2 전압 라인(VSL)에 접속될 수 있다. 수직 전압 라인(VVSL)은 전원 공급부(250)로부터 수신된 저전위 전압을 제2 전압 라인(VSL)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압 라인들(VSL)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전압 라인(VSL)은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에 저전위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화소(SP),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초기화 전압 라인(VIL), 제1 전압 라인(VDL), 및 제2 전압 라인(VSL)의 접속 관계는 화소(SP)의 개수 및 배열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패널(100)에서 표시 영역(D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은 데이터 라인(DL), 초기화 전압 라인(VIL), 제1 전압 라인(VDL), 및 수직 전압 라인(VVSL)과 표시 구동부(220)를 연결하는 팬 아웃 라인들, 게이트 구동부(260), 및 연성 필름(210)과 접속되는 패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필름(210)은 비표시 영역(NDA)의 하측에 배치된 패드부에 접속될 수 있다. 연성 필름(210)의 일측에 마련된 입력 단자들은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회로 보드(230)에 부착될 수 있고, 연성 필름(210)의 타측에 마련된 출력 단자들은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패드부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 필름(210)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과 같이 구부러질 수 있다. 연성 필름(210)은 표시 장치(10)의 베젤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표시 패널(100)의 하부로 벤딩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20)는 연성 필름(2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220)는 집적 회로(IC)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20)는 타이밍 제어부(24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팬 아웃 라인들을 통해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할 수 있다.
회로 보드(230)는 타이밍 제어부(240) 및 전원 공급부(250)를 지지하고, 신호 및 전원을 표시 구동부(22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보드(230)는 각 화소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타이밍 제어부(24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와 전원 공급부(2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연성 필름(210) 및 표시 구동부(22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라인과 전원 라인이 회로 보드(23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40)는 회로 보드(230) 상에 실장되고, 회로 보드(230) 상에 마련된 유저 커넥터를 통해 표시 구동 시스템 또는 그래픽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40)는 타이밍 동기 신호를 기초로 영상 데이터를 화소 배치 구조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 구동부(220)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40)는 타이밍 동기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제어 신호와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40)는 데이터 제어 신호를 기초로 표시 구동부(220)의 데이터 전압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고, 게이트 제어 신호를 기초로 게이트 구동부(260)의 게이트 신호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50)는 회로 보드(230) 상에 배치되어 연성 필름(210), 표시 구동부(220), 및 게이트 구동부(260)에 전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250)는 구동 전압 또는 고전위 전압을 생성하여 제1 전압 라인(VDL)에 공급할 수 있고, 저전위 전압을 생성하여 수직 전압 라인(VVSL)에 공급할 수 있으며, 초기화 전압을 생성하여 초기화 전압 라인(VIL)에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50)는 게이트 하이 전압 및 게이트 로우 전압을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부(260)에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60)는 비표시 영역(NDA)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60)는 타이밍 제어부(24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기초로 게이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제어 신호는 스타트 신호, 클럭 신호, 및 전원 전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 구동부(260)는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GL)에 공급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은 비표시 영역(NDA)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게이트 구동부(260)와 중첩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은 게이트 구동부(260) 상에 배치되어 게이트 구동부(260)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은 전원 공급부(250)로부터 전원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금속층(300)은 전원 공급부(250)로부터 저전위 전압을 수신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를 해소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및 라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SP)는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SP1)의 화소 회로, 제3 화소(SP3)의 화소 회로, 및 제2 화소(SP2)의 화소 회로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화소 회로의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은 제1 전압 라인(VDL), 초기화 전압 라인(VIL),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압 라인(VDL)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압 라인(VDL)은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의 화소 회로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압 라인(VDL)은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의 트랜지스터에 구동 전압 또는 고전위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수평 전압 라인(HVDL)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평 전압 라인(HVDL)은 제k 행(ROWk, k는 양의 정수)에 배치된 제1 화소(SP1)의 화소 회로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수평 전압 라인(HVDL)은 제1 전압 라인(VDL)에 접속될 수 있다. 수평 전압 라인(HVDL)은 제1 전압 라인(VDL)으로부터 구동 전압 또는 고전위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수직 전압 라인(VVSL)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 전압 라인(VVSL)은 제1 전압 라인(VDL)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직 전압 라인(VVSL)은 전원 공급부(250)와 제2 전압 라인(VSL)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수직 전압 라인(VVSL)은 전원 공급부(250)로부터 공급된 저전위 전압을 제2 전압 라인(VSL)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압 라인(VSL)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압 라인(VSL)은 제k+1 행(ROWk+1)에 배치된 제1 화소(SP1)의 화소 회로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압 라인(VSL)은 수직 전압 라인(VVSL)으로부터 수신된 저전위 전압을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의 발광 소자층에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은 제2 화소(SP2)의 화소 회로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은 게이트 구동부(260)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신호를 보조 게이트 라인(BGL)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k 게이트 라인(GLk)은 제k 행(ROWk)에 배치된 화소들(SP)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제k+1 게이트 라인(GLk+1)은 제k+1 행(ROWk+1)에 배치된 화소들(SP)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보조 게이트 라인(BGL)은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조 게이트 라인(BGL)은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의 화소 회로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게이트 라인(BGL)은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신호를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의 화소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초기화 전압 라인(VIL)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초기화 전압 라인(VIL)은 보조 게이트 라인(BGL)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초기화 전압 라인(VIL)은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의 화소 회로에 초기화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초기화 전압 라인(VIL)은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의 화소 회로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구동부(220)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은 화소들(SP)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내지 제3 데이터 라인(DL1, DL2, D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라인(DL1)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라인(DL1)은 초기화 전압 라인(VIL)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라인(DL1)은 표시 구동부(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전압을 제1 화소(SP1)의 화소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제1 데이터 라인(DL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라인(DL2)은 표시 구동부(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전압을 제2 화소(SP2)의 화소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제3 데이터 라인(DL3)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데이터 라인(DL3)은 제2 데이터 라인(DL2)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데이터 라인(DL3)은 표시 구동부(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전압을 제3 화소(SP3)의 화소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들(SP) 각각은 제1 전압 라인(VDL), 데이터 라인(DL), 초기화 전압 라인(VIL), 게이트 라인(GL), 및 제2 전압 라인(VSL)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은 화소 회로 및 복수의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ST1, ST2, ST3) 및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ST1)는 게이트 전극,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ST1)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1 전압 라인(VDL)에 접속되며, 소스 전극은 제2 노드(N2)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ST1)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기초로 드레인-소스 전류(또는,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발광 소자들(ED)은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ED1, ED2, ED3, ED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ED1, ED2, ED3, ED4)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ED1, ED2, ED3, ED4)는 구동 전류를 수신하여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의 발광량 또는 휘도는 구동 전류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ED),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 또는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Inorganic LED)일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ED1)의 제1 전극은 제2 노드(N2)에 접속되고 제1 발광 소자(ED1)의 제2 전극은 제3 노드(N3)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ED1)의 제1 전극은 제2 노드(N2)를 통해 제1 트랜지스터(ST1)의 소스 전극, 제3 트랜지스터(ST3)의 드레인 전극, 및 제1 커패시터(C1)의 제2 커패시터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ED1)의 제2 전극은 제3 노드(N3)를 통해 제2 발광 소자(ED2)의 제1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발광 소자(ED2)의 제1 전극은 제3 노드(N3)에 접속되고 제2 발광 소자(ED2)의 제2 전극은 제4 노드(N4)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발광 소자(ED3)의 제1 전극은 제4 노드(N4)에 접속되고 제3 발광 소자(ED3)의 제2 전극은 제5 노드(N5)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발광 소자(ED4)의 제1 전극은 제5 노드(N5)에 접속되고 제4 발광 소자(ED4)의 제2 전극은 제2 전압 라인(VSL)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ST2)는 게이트 라인(GL)의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DL)과 제1 트랜지스터(ST1)의 게이트 전극인 제1 노드(N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ST2)는 게이트 신호를 기초로 턴-온됨으로써, 데이터 전압을 제1 노드(N1)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ST2)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라인(GL)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되며, 소스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ST2)의 소스 전극은 제1 노드(N1)를 통해 제1 트랜지스터(ST1)의 게이트 전극 및 제1 커패시터(C1)의 제1 커패시터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ST3)는 게이트 라인(GL)의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초기화 전압 라인(VIL)과 제1 트랜지스터(ST1)의 소스 전극인 제2 노드(N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ST3)는 게이트 신호를 기초로 턴-온됨으로써, 초기화 전압을 제2 노드(N2)에 공급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ST3)는 게이트 신호를 기초로 턴-온됨으로써, 센싱 신호를 초기화 전압 라인(VIL)에 공급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ST3)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라인(GL)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2 노드(N2)에 접속되며, 소스 전극은 초기화 전압 라인(VIL)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ST3)의 드레인 전극은 제2 노드(N2)를 통해 제1 트랜지스터(ST1)의 소스 전극, 제1 커패시터(C1)의 제2 커패시터 전극, 및 제1 발광 소자(ED1)의 제1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발광 소자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4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5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기판(SUB),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및 발광 소자층(EM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 또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다. 기판(SUB)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글라스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제1 금속층(MTL1), 버퍼층(BF), 액티브층(ACTL), 게이트 절연층(GI), 제2 금속층(MTL2), 층간 절연층(ILD), 제3 금속층(MTL3), 보호층(PV), 및 비아층(VI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층(MTL1)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금속층(MTL1)은 전압 라인(VL), 제1 전압 라인(VDL), 및 수직 전압 라인(VVSL)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 라인(VL)은 제1 전압 라인(VDL), 초기화 전압 라인(VIL), 또는 데이터 라인(DL)일 수 있다.
버퍼층(BF)은 제1 금속층(MT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은 공기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ACTL)은 버퍼층(BF)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층(ACTL)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 반도체 영역(ACT), 및 소스 전극(SE)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도 3의 제1 트랜지스터(ST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 영역(ACT)은 저온 다결정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LTPS)을 포함할 수 있다. 저온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전자 이동도가 높고 턴-온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 영역(ACT)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물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누설 전류(Leakage Current) 특성이 우수하고 저주파수 구동이 가능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GI)은 액티브층(ACT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GI)은 액티브층(ACTL)과 제2 금속층(MTL2)을 절연시킬 수 있다.
제2 금속층(MTL2)은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금속층(MTL2)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GE)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GE)은 반도체 영역(ACT)과 중첩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ILD)은 제2 금속층(MT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ILD)은 제2 금속층(MTL2)과 제3 금속층(MTL3)을 절연시킬 수 있다.
제3 금속층(MTL3)은 층간 절연층(IL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금속층(MTL3)은 연결 전극(CE),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E1), 수평 전압 라인(HVDL), 및 제2 전압 라인(VSL)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전압 라인(VL)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SE)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E1)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 및 제1 접촉 전극(CTE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수평 전압 라인(HVDL)은 제1 전압 라인(VDL) 및 제1 전극(RME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전압 라인(VSL)은 수직 전압 라인(VVSL) 및 제2 전극(RME2)을1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수직 전압 라인(VVSL) 및 제5 W접촉 전극(CTE5)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호층(PV)은 제3 금속층(MTL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PV)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에 배치되어, 화소들(SP)의 화소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비아층(VIA)은 보호층(P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비아층(VIA)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비아층(VIA)은 폴리이미드(PI)와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제1 내지 제3 뱅크 패턴(BP1, BP2, BP3),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 제1 절연층(PAS1),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ED1, ED2, ED3, ED4), 뱅크층(BNL), 제2 절연층(PAS2), 제1 내지 제5 접촉 전극(CTE1, CTE2, CTE3, CTE4, CTE5), 및 제3 절연층(PAS3)을 포함할 수 있다.
뱅크층(BNL)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MA1, EMA2, EMA3)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화소(SP1)의 발광 소자들(ED)은 제1 발광 영역(EMA1)에 배치되고, 제2 화소(SP2)의 발광 소자들(ED)은 제2 발광 영역(EMA2)에 배치되며, 제3 화소(SP3)의 발광 소자들(ED)은 제3 발광 영역(EMA3)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제1 발광 영역(EMA1)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 내지 제3 뱅크 패턴(BP1, BP2, BP3)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뱅크 패턴(BP1)은 제2 및 제3 뱅크 패턴(BP2, BP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뱅크 패턴(BP2)은 제1 뱅크 패턴(BP1)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3 뱅크 패턴(BP3)은 제1 뱅크 패턴(BP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뱅크 패턴(BP1, BP2, BP3) 각각은 비아층(VIA) 상에서 상부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뱅크 패턴(BP1, BP2, BP3) 각각은 경사진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화소(SP1)의 복수의 제1 및 제2 발광 소자(ED1, ED2)는 제1 및 제2 뱅크 패턴(BP1, BP2)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화소(SP1)의 복수의 제3 및 제4 발광 소자(ED3, ED4)는 제1 및 제3 뱅크 패턴(BP1, BP3)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뱅크 패턴(BP1, BP2, BP3)은 표시 영역(DA)의 전면에서 섬형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의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은 제4 금속층(MTL4)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RME2)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최대 폭은 제1 전극(RME1)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최대 폭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4 금속층(MTL4)은 비아층(VIA) 및 제1 내지 제3 뱅크 패턴(BP1, BP2, BP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의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화소(SP1)의 제1 전극(RME1)은 제1 화소(SP1)의 제2 전극(RME2) 및 제2 화소(SP2)의 제2 전극(RME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화소(SP2)의 제1 전극(RME1)은 제2 화소(SP2)의 제2 전극(RME2) 및 제3 화소(SP3)의 제2 전극(RME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화소(SP3)의 제1 전극(RME1)은 제3 화소(SP3)의 제2 전극(RME2)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 각각은 제1 내지 제3 뱅크 패턴(BP1, BP2, BP3) 중 하나의 상면 및 경사진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은 반사 전극일 수 있다. 제4 금속층(MTL4)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은(Ag), 티타늄(Ti), 니켈(Ni), 팔라듐(Pd), 인듐(In),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금속층(MTL4)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 각각은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ED1, ED2, ED3, ED4)에서 방출된 광을 상부 방향(Z축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은 표시 장치(10)의 제조 과정에서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ED1, ED2, ED3, ED4)를 정렬하는 정렬 전극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RME1)은 복수의 제5 컨택홀(CNT5)을 통해 제3 금속층(MTL3)의 수평 전압 라인(HVDL)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극(RME1)은 수평 전압 라인(HVDL)으로부터 구동 전압 또는 고전위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RME2)은 복수의 제6 컨택홀(CNT6)을 통해 제3 금속층(MTL3)의 제2 전압 라인(VSL)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전극(RME2)은 제2 전압 라인(VSL)으로부터 저전위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ED)는 제1 전극(RME1) 및 제2 전극(RME2) 사이에 정렬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ED)는 발광 소자 영역(EDA)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발광 소자(ED1)는 제1 발광 소자 영역(EDA1)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발광 소자(ED2)는 제2 발광 소자 영역(EDA2)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3 발광 소자(ED3)는 제3 발광 소자 영역(EDA3)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4 발광 소자(ED4)는 제4 발광 소자 영역(EDA4)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발광 소자 영역(EDA1, EDA2)은 제1 화소(SP1)의 제1 전극(RME1) 및 제1 화소(SP1)의 제2 전극(RME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발광 소자 영역(EDA3, EDA4)은 제1 화소(SP1)의 제1 전극(RME1) 및 제2 화소(SP2)의 제2 전극(RME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PAS1)은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을 덮을 수 있다. 제1 절연층(PAS1)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ED1, ED2, ED3, ED4)는 제1 절연층(PAS1)에 의해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으로부터 절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 각각은 정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전계가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ED1, ED2, ED3, ED4)는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 상에 분사될 수 있고, 잉크 내에 분산된 복수의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ED1, ED2, ED3, ED4)는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유전영동 힘(Dielectrophoresis Force)을 받아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ED1, ED2, ED3, ED4)는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 사이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 각각의 제1 내지 제5 접촉 전극(CTE1, CTE2, CTE3, CTE4, CTE5)은 제5 금속층(MTL5)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접촉 전극(CTE1, CTE2, CTE3, CTE4, CTE5)은 투명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금속층(MTL5)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금속층(MTL5)은 ITO/Ag/ITO/, ITO/Ag/IZO, 또는 ITO/Ag/ITZO/IZO 등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절연층(PAS2)은 뱅크층(BNL), 제1 절연층(PAS1), 및 발광 소자(E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PAS3)은 제2 절연층(PAS2), 제1 내지 제5 접촉 전극(CTE1, CTE2, CTE3, CTE4, CTE5)을 덮을 수 있다. 제2 및 제3 절연층(PAS2, PAS3)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절연층(PAS2, PAS3)은 제1 내지 제5 접촉 전극(CTE1, CTE2, CTE3, CTE4, CTE5) 각각을 절연시킬 수 있다. 제2 내지 제5 접촉 전극(CTE2, CTE3, CTE4, CTE5) 각각은 중앙에 배치된 공극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화소(SP1)의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1 화소(SP1)의 제1 전극(RME1) 상에 배치되고,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제3 금속층(MTL3)의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E1)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E1) 및 복수의 제1 발광 소자(ED1)의 일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도 3의 제1 트랜지스터(ST1)를 통과한 구동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1 화소(SP1)의 복수의 제1 발광 소자(ED1)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복수의 제1 발광 소자(ED1)의 애노드 전극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접촉 전극(CTE2)은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과 절연될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CTE2)의 제1 부분은 제1 화소(SP1)의 제2 전극(RME2) 상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CTE2)의 제2 부분은 제1 부분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1 화소(SP1)의 제1 전극(RME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CTE2)은 복수의 제1 발광 소자(ED1)의 타단과 복수의 제2 발광 소자(ED2)의 일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CTE2)은 도 3의 제3 노드(N3)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CTE2)은 복수의 제1 발광 소자(ED1)의 캐소드 전극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접촉 전극(CTE2)은 복수의 제2 발광 소자(ED2)의 애노드 전극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접촉 전극(CTE3)은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과 절연될 수 있다. 제3 접촉 전극(CTE3)의 제1 부분은 제1 화소(SP1)의 제2 전극(RME2) 상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접촉 전극(CTE3)의 제2 부분은 제1 화소(SP1)의 제1 전극(RME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부분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접촉 전극(CTE3)은 복수의 제2 발광 소자(ED2)의 타단과 복수의 제3 발광 소자(ED3)의 일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접촉 전극(CTE3)은 도 3의 제4 노드(N4)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접촉 전극(CTE3)은 복수의 제2 발광 소자(ED2)의 캐소드 전극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접촉 전극(CTE3)은 복수의 제3 발광 소자(ED3)의 애노드 전극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4 접촉 전극(CTE4)은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과 절연될 수 있다. 제4 접촉 전극(CTE4)의 제1 부분은 제2 화소(SP2)의 제2 전극(RME2) 상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접촉 전극(CTE4)의 제2 부분은 제1 부분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1 화소(SP1)의 제1 전극(RME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접촉 전극(CTE4)은 복수의 제3 발광 소자(ED3)의 타단과 복수의 제4 발광 소자(ED4)의 일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접촉 전극(CTE4)은 도 3의 제5 노드(N5)에 해당할 수 있다. 제4 접촉 전극(CTE4)은 복수의 제3 발광 소자(ED3)의 캐소드 전극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4 접촉 전극(CTE4)은 복수의 제4 발광 소자(ED4)의 애노드 전극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5 접촉 전극(CTE5)은 복수의 제4 발광 소자(ED4)의 타단과 제2 전압 라인(VSL)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5 접촉 전극(CTE5)은 제2 화소(SP2)의 제2 전극(RME2) 상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접촉 전극(CTE5)은 제4 컨택홀(CNT4)을 통해 제3 금속층(MTL3)의 제2 전압 라인(VSL)에 접속될 수 있다. 제5 접촉 전극(CTE5)은 복수의 제4 발광 소자(ED4)의 캐소드 전극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5 접촉 전극(CTE5)은 제2 전압 라인(VSL)을 통해 저전위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SP1, SP2, SP3)의 제5 접촉 전극(CTE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화소(SP2)의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2 화소(SP2)의 제1 전극(RME1) 상에 배치되고, 제2 컨택홀(CNT2)을 통해 제2 화소(SP2)의 화소 회로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2 화소(SP2)의 화소 회로 및 복수의 제1 발광 소자(ED1)의 일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2 화소(SP2)의 제1 트랜지스터(ST1)를 통과한 구동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2 화소(SP2)의 복수의 제1 발광 소자(ED1)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제3 화소(SP3)의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3 화소(SP3)의 제1 전극(RME1) 상에 배치되고, 제3 컨택홀(CNT3)을 통해 제3 화소(SP3)의 화소 회로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3 화소(SP3)의 화소 회로 및 복수의 제1 발광 소자(ED1)의 일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3 화소(SP3)의 제1 트랜지스터(ST1)를 통과한 구동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3 화소(SP3)의 복수의 제1 발광 소자(ED1)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호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및 제1 절연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의 제2 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게이트 구동부(260)는 비표시 영역(NDA)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60)는 전원 라인(VL), 박막 트랜지스터(TFT), 제1 및 제2 연결 전극(CE1, CE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라인(VL)은 제1 금속층(MTL1)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라인(VL)은 스타트 신호 라인, 클럭 라인, 게이트 하이 전압 라인, 또는 게이트 로우 전압 라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액티브층(ACTL)에 배치된 드레인 전극(DE), 반도체 영역(ACT), 및 소스 전극(SE), 제2 금속층(MTL2)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G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CE1)은 제3 금속층(MTL3)에 배치되어 전원 라인(VL)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SE)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E2)은 제3 금속층(MTL3)에 배치될 수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에 접속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60)는 타이밍 제어부(24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기초로 게이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제어 신호는 스타트 신호, 클럭 신호, 및 전원 전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 구동부(260)는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GL)에 공급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은 비표시 영역(NDA)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게이트 구동부(260)와 중첩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은 게이트 구동부(260) 상에 배치되어 게이트 구동부(260)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은 전원 공급부(250)로부터 전원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금속층(300)은 전원 공급부(250)로부터 저전위 전압을 수신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를 해소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은 제1 층(LAY1) 및 제2 층(LAY2)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1 층(LAY1)은 제4 금속층(MTL4)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금속층(300)의 제1 층(LAY1)은 화소(SP)의 제1 및 제2 전극(RME1, RME2)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1 층(LAY1)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라인 패턴,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라인 패턴이 교차하는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1 층(LAY1)은 비아층(VIA)을 덮을 수 있고, 비아층(VIA)의 다른 일부는 제1 층(LAY1)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금속층(300)의 제1 층(LAY1)은 제1 홀(HOL1)을 형성할 수 있고, 비아층(VIA)은 제1 홀(HOL1)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1 층(LAY1)은 반사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금속층(300)의 제1 층(LAY1)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은(Ag), 티타늄(Ti), 니켈(Ni), 팔라듐(Pd), 인듐(In),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LAY1)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PAS1)은 보호 금속층(300)의 제1 층(LAY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PAS1)의 평면 상의 폭은 제1 층(LAY1)의 평면 상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절연층(PAS1)은 제1 층(LAY1)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고, 제1 층(LAY1)의 상면의 다른 일부를 덮지 못할 수 있다. 제1 절연층(PAS1)은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2 홀(HOL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연층(PAS1)의 제2 홀(HOL2)은 제1 층(LAY1)의 제1 홀(HOL1)과 중첩할 수 있고, 제2 홀(HOL2)의 평면 상 면적은 제1 홀(HOL1)의 평면 상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연층(PAS1)은 제1 홀(HOL1)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층(LAY1)의 일부는 제2 홀(HOL2)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발광 소자층(EML)은 고온의 증착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절연층(PAS1, PAS2, PAS3)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고, 고온의 증착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비아층(PAS)은 무기막의 형성 과정에서 고온 상태를 가짐으로써, 제1 및 제2 홀(HOL1, HOL2)을 통해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제1 층(LAY1)의 제1 홀(HOL1) 및 제1 절연층(PAS1)의 제2 홀(HOL2)을 통해 비아층(PAS)의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비아층(VIA)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키고 비아층(VIA)과 제1 층(LAY1) 사이의 박리 또는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5 금속층(MTL5)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화소(SP)의 제1 내지 제5 접촉 전극(CTE1, CTE2, CTE3, CTE4, CTE5)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부분(LAY2a),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부분(LAY2b)이 교차하는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층(LAY2)의 제1 부분(LAY2a) 및 제2 부분(LAY2b)의 교차 지점은 제1 홀(HOL1) 및 제2 홀(HOL2)과 중첩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층(LAY1) 및 제1 절연층(PAS1)을 덮을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홀(HOL1) 및 제2 홀(HOL2)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제2 층(LAY2)은 제1 절연층(PAS1)의 제2 홀(HOL2)에 삽입되어 제1 층(LAY1)에 접속될 수 있고, 제1 층(LAY1)의 제1 홀(HOL1)에 삽입되어 비아층(VIA)의 상면에 컨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금속층(300)은 제1 및 제2 층(LAY1, LAY2)을 통해 게이트 구동부(260) 상의 전면을 덮을 수 있고, 게이트 구동부(260)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7 컨택홀(CNT7)을 통해 전원 연결 라인(VCL)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7 컨택홀(CNT7)은 적어도 비아층(VIA) 및 보호층(PV)을 관통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전원 연결 라인(VCL)을 통해 전원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LAY2)은 전원 연결 라인(VCL)으로부터 수신된 저전위 전압을 제1 층(LAY1)에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연결 라인(VCL)은 제1 내지 제3 금속층(MTL1, MTL2, MTL3)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ITO/Ag/ITO/, ITO/Ag/IZO, 또는 ITO/Ag/ITZO/IZO 등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호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의 제2 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의 표시 장치는 도 8 내지 도 11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의 구조를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보호 금속층(300)은 제1 층(LAY1) 및 제2 층(LAY2)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5 금속층(MTL5)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화소(SP)의 제1 내지 제5 접촉 전극(CTE1, CTE2, CTE3, CTE4, CTE5)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부분(LAY2a),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부분(LAY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LAY2)의 제2 부분(LAY2b)은 보호 금속층(300)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층(LAY2)의 복수의 제1 부분(LAY2a)은 제2 부분들(LAY2b)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층(LAY2)의 제2 부분들(LAY2b)은 제1 부분들(LAY2a)의 좌측 끝단 및 우측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층(LAY2)의 제2 부분(LAY2b)은 보호 금속층(300)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홀(HOL1) 및 제2 홀(HOL2)과 중첩할 수 있고, 제2 층(LAY2)의 제1 부분(LAY2a)은 제2 부분들(LAY2b) 사이에 배치된 제1 홀(HOL1) 및 제2 홀(HOL2)과 중첩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층(LAY1) 및 제1 절연층(PAS1)을 덮을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홀(HOL1) 및 제2 홀(HOL2)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제2 층(LAY2)은 제1 절연층(PAS1)의 제2 홀(HOL2)에 삽입되어 제1 층(LAY1)에 접속될 수 있고, 제1 층(LAY1)의 제1 홀(HOL1)에 삽입되어 비아층(VIA)의 상면에 컨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금속층(300)은 제1 및 제2 층(LAY1, LAY2)을 통해 게이트 구동부(260) 상의 전면을 덮을 수 있고, 게이트 구동부(260)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7 컨택홀(CNT7)을 통해 전원 연결 라인(VCL)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7 컨택홀(CNT7)은 적어도 비아층(VIA) 및 보호층(PV)을 관통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전원 연결 라인(VCL)을 통해 전원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LAY2)은 전원 연결 라인(VCL)으로부터 수신된 저전위 전압을 제1 층(LAY1)에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연결 라인(VCL)은 제1 내지 제3 금속층(MTL1, MTL2, MTL3)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호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의 제2 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의 표시 장치는 전술한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의 구조를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보호 금속층(300)은 제1 층(LAY1) 및 제2 층(LAY2)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5 금속층(MTL5)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화소(SP)의 제1 내지 제5 접촉 전극(CTE1, CTE2, CTE3, CTE4, CTE5)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통 전극일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홀(HOL1) 및 제2 홀(HOL2)과 중첩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층(LAY1) 및 제1 절연층(PAS1)을 덮을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홀(HOL1) 및 제2 홀(HOL2)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제2 층(LAY2)은 제1 절연층(PAS1)의 제2 홀(HOL2)에 삽입되어 제1 층(LAY1)에 접속될 수 있고, 제1 층(LAY1)의 제1 홀(HOL1)에 삽입되어 비아층(VIA)의 상면에 컨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금속층(300)은 제1 및 제2 층(LAY1, LAY2)을 통해 게이트 구동부(260) 상의 전면을 덮을 수 있고, 게이트 구동부(260)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7 컨택홀(CNT7)을 통해 전원 연결 라인(VCL)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7 컨택홀(CNT7)은 적어도 비아층(VIA) 및 보호층(PV)을 관통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전원 연결 라인(VCL)을 통해 전원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LAY2)은 전원 연결 라인(VCL)으로부터 수신된 저전위 전압을 제1 층(LAY1)에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연결 라인(VCL)은 제1 내지 제3 금속층(MTL1, MTL2, MTL3)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호 금속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표시 장치에서, 보호 금속층의 제2 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보호 금속층(300)은 제1 층(LAY1) 및 제2 층(LAY2)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5 금속층(MTL5)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화소(SP)의 제1 내지 제5 접촉 전극(CTE1, CTE2, CTE3, CTE4, CTE5)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복수의 아일랜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층(LAY2)의 복수의 아일랜드 전극 각각은 제1 홀(HOL1) 및 제2 홀(HOL2)과 중첩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홀(HOL1) 및 제2 홀(HOL2)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2 층(LAY2)은 제1 홀(HOL1)과 인접한 제1 층(LAY1)의 상면 일부 및 제2 홀(HOL2)과 인접한 제1 절연층(PAS1)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층(LAY2)은 제1 절연층(PAS1)의 제2 홀(HOL2)에 삽입되어 제1 층(LAY1)에 접속될 수 있고, 제1 층(LAY1)의 제1 홀(HOL1)에 삽입되어 비아층(VIA)의 상면에 컨택될 수 있다. 복수의 아일랜드 전극은 제1 층(LAY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금속층(300)은 제1 및 제2 층(LAY1, LAY2)을 통해 게이트 구동부(260) 상의 전면을 덮을 수 있고, 게이트 구동부(260)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1 층(LAY1)은 제8 컨택홀(CNT8)을 통해 전원 연결 라인(VCL)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8 컨택홀(CNT8)은 적어도 비아층(VIA) 및 보호층(PV)을 관통할 수 있다. 보호 금속층(300)의 제1 층(LAY1)은 전원 연결 라인(VCL)을 통해 전원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LAY1)은 전원 연결 라인(VCL)으로부터 수신된 저전위 전압을 제2 층(LAY2)에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연결 라인(VCL)은 제1 내지 제3 금속층(MTL1, MTL2, MTL3)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표시 패널 210: 연성 필름
220: 표시 구동부 230: 회로 보드
240: 타이밍 제어부 250: 전원 공급부
260: 게이트 구동부 300: 보호 금속층
SP1, SP2, SP3: 제1 내지 제3 화소
DL1, DL2, DL3: 제1 내지 제3 데이터 라인
GL: 게이트 라인 VDL: 제1 전압 라인
HVDL: 수평 전압 라인 VVSL: 수직 전압 라인
VSL: 제2 전압 라인 VIL: 초기화 전압 라인
RME1, RME2: 제1 및 제2 전극
ED1, ED2, ED3, ED4: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
EDA1, EDA2, EDA3, EDA4: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 영역
CTE1, CTE2, CTE3, CTE4, CTE5: 제1 내지 제5 접촉 전극
LAY1: 제1 층 LAY2: 제2 층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 회로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화소 회로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에 배치된 비아층;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비아층 상에 배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의 일단에 접속되는 제1 접촉 전극;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접촉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비아층의 상면에 컨택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보호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홀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복수의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층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교차 지점은 상기 복수의 제1 홀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비아층을 관통하는 컨택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 연결 라인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일단 및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층의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일부의 제1 홀들과 중첩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은 상기 일부의 제1 홀들과 다른 일부의 제1 홀들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통 전극으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복수의 아일랜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아일랜드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층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비아층을 관통하는 컨택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 연결 라인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1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 회로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화소 회로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에 배치된 비아층;
    상기 비아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고,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상기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홀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층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비아층의 상면에 컨택되는 보호 금속층의 제2 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반사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의 평면 상 면적은 상기 제1 홀의 평면 상 면적보다 큰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및 제2 층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는 비아층의 상면의 전체를 덮는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홀과 인접한 상기 제1 층의 상면 일부를 덮고, 상기 제2 홀과 인접한 상기 절연층의 상면 일부를 덮는 표시 장치.
  16.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
    제1 금속층에 배치되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고전위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압 라인;
    상기 제1 금속층 상의 액티브층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압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에 인접한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에 인접한 소스 전극, 및 상기 액티브층 상의 제2 금속층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2 금속층 상의 제3 금속층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애노드 연결 전극;
    상기 제3 금속층 상의 제4 금속층에 배치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정렬된 발광 소자;
    상기 제4 금속층 상의 제5 금속층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의 일단에 접속되는 제1 접촉 전극;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4 금속층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5 금속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삽입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보호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금속층의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홀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복수의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층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의 평면 상 면적은 상기 제1 홀의 평면 상 면적보다 큰 표시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3 금속층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 금속층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30020097A 2022-10-11 2023-02-15 표시 장치 KR20240050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456,410 US20240120346A1 (en) 2022-10-11 2023-08-25 Display device
CN202311231873.9A CN117881238A (zh) 2022-10-11 2023-09-2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0099 2022-10-11
KR1020220130099 2022-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994A true KR20240050994A (ko) 2024-04-19

Family

ID=9088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097A KR20240050994A (ko) 2022-10-11 2023-02-1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9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127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14388558A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2018006252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40050994A (ko) 표시 장치
CN113555387A (zh) 显示装置和电子装置
US20240120346A1 (en) Display device
EP4354500A1 (en) Display device
CN117881238A (zh) 显示装置
KR20230011518A (ko) 표시 장치
KR20230128183A (ko) 표시 장치
EP4336487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40051021A (ko) 표시 장치
EP4369402A2 (en) Display device
EP4354418A1 (en) Display device
US20230189590A1 (en) Display device
KR20230117003A (ko) 표시 장치
US20240069670A1 (en) Touch detection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217708A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20240061527A1 (en) Touch sens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205362A1 (en) Display apparatus
US20240055562A1 (en) Display device
WO2023230898A1 (zh) 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KR20240059740A (ko) 표시 장치
KR20240051001A (ko) 표시 장치
KR20220139477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