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937A -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937A
KR20240050937A KR1020220130973A KR20220130973A KR20240050937A KR 20240050937 A KR20240050937 A KR 20240050937A KR 1020220130973 A KR1020220130973 A KR 1020220130973A KR 20220130973 A KR20220130973 A KR 20220130973A KR 20240050937 A KR20240050937 A KR 20240050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ain body
inlet
passa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채
김우진
김진백
박지수
오창훈
유경목
조광오
최중근
칸카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937A/ko
Priority to PCT/KR2023/009417 priority patent/WO2024080499A1/ko
Priority to US18/225,431 priority patent/US20240122328A1/en
Publication of KR2024005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헤어 드라이어를 개시한다. 본 개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에 형성되며 공기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노즐공, 상기 노즐바디에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일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노즐공,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유로,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노즐유로 및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노즐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격벽은 상기 제1 노즐유로와 상기 제2 노즐유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과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의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HAIR DRYER}
본 개시는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헤어 드라이어는 사용자의 모발을 젖은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 물기를 제거하거나, 현재 모양으로부터 원하는 모양으로 스타일링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드라이어는 송풍팬이 작동되면, 흡입구를 통하여 적정량의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한 공기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모발에 남아있는 물기를 증발시키거나, 모발에 공기가 닿는 과정에서 모발을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여러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방향에 따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방향에 따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에 형성되며 공기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노즐공, 상기 노즐바디에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일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노즐공,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유로,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노즐유로 및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노즐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격벽은 상기 제1 노즐유로와 상기 제2 노즐유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과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노즐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입구는, 공기가 상기 제1 노즐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유입구 및 공기가 상기 제2 노즐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노즐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노즐유입구와 구획되는 제2 노즐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공기가 상기 제1 노즐유입구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본체유로, 공기가 상기 제2 노즐유입구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본체유로 및 상기 제1 본체유로와 상기 제2 본체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본체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공기가 상기 제1 본체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본체유입구 및 공기가 상기 제2 본체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본체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본체유입구와 구획되는 제2 본체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헤어 드라이어는, 상기 제1 본체유입구 또는 상기 제2 본체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유량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본체격벽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제1 본체유입구 또는 상기 제2 본체유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팬과 상기 본체격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어 드라이어는, 상기 제1 본체유로 또는 상기 제2 본체유로를 이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온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제1 본체유로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제1 본체유로 내에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격벽은 상기 본체격벽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즐유로는 상기 제1 노즐유입구가 배치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의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노즐격벽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내부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노즐유로와 상기 제2 노즐유로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제1 노즐 및 상기 제1 노즐과 이격 배치되는 제2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은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과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은 원형 또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이 형성되는 제1 측벽,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측벽,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바닥벽 및 상기 바닥벽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부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격벽은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벽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 상기 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 노즐공, 상기 노즐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방향과 반대인 제3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2 노즐공 및 상기 유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노즐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노즐공과 상기 제2 노즐공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노즐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노즐유입구, 상기 노즐유입구로 유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노즐공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유로, 상기 노즐유입구로 유입된 공기 중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 노즐공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노즐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즐유로는 상기 노즐유입구가 배치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의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노즐격벽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도조절장치,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 상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노즐유입구, 상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2 노즐유입구, 상기 제1 노즐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공, 상기 제2 노즐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일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 노즐공 및 상기 제1 노즐유입구와 상기 제2 노즐유입구를 구획하는 노즐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제1 노즐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여러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방향에 따라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방향에 따라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어를 A-A'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어를 B-B'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노즐공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노즐공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노즐공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헤어 드라이어(1)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형태의 모든 기기를 지칭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하거나 스타일링을 하기 위하여 바람을 이용하는 모든 형태의 기기를 지칭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1)는 본체(10), 본체(10)와 연결되며 외부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노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본체(10)의 흡입구(12)로 유입되어 노즐(100)에 형성된 노즐공(110, 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1)의 사용시, 노즐(100)은 사용자의 머리를 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노즐(100)이 연장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며, 도면을 기준으로는 +X축을 의미하기로 한다. 즉, 노즐(100)은 본체(10)로부터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의 사용시, 사용자는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한 손잡이부(16)를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본체(10)에 손잡이부(16)가 형성되는 부분을 “하부”로 지칭하며, 도면을 기준으로는 -Z축을 의미하기로 한다.
헤어 드라이어(1)에는 전원 버튼(13)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 버튼(13)을 조작하여 헤어 드라이어(1)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1)에는 조작 버튼(14)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버튼(14)을 조작하여 헤어 드라이어(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전원 버튼(13) 및 조작 버튼(14)이 본체(1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원 버튼(13) 및/또는 조작 버튼(14)은 본체(10) 내부의 팬유닛(20), 유량조절장치(31), 온도조절장치(41)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1)에는 표시등(15)이 마련될 수 있다. 표시등(15)은 헤어 드라이어(1)의 작동 여부, 유량 및/또는 온도 조절 여부에 대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체(10)는 헤어 드라이어(1)의 내부 부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 커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커버(11)는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흡입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2)는 외부의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2)는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2)는 본체(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흡입구(12)가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입구(12)는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본체(10)의 후방에 마련될 수도 있다.
흡입구(12)를 통해 본체(10)로 유입된 공기는 노즐(1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노즐(100)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노즐공(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100)은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노즐(100)은 본체(10)와 결합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즐(100)은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노즐(100)은 본체(10)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노즐(100)은 본체(10)로부터 제1 방향(+X)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제1 방향(+X)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X축을 의미할 수 있다.
노즐(100)은 노즐바디(15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바디(150)는 노즐(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노즐바디(150)는 노즐(100)의 내부공간(S)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100)의 내부공간(S)에는 노즐(100)의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100)로 유입된 공기는 노즐(100)의 유로를 이동하여 노즐공(110, 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노즐바디(150)는 제1 측벽(151) 및 제1 측벽(151)과 반대편에 위치한 제2 측벽(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51)은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51)은 +Y축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51) 및/또는 제2 측벽(152)은 내부공간(S)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바디(150)는 상부벽(154) 및 상부벽(154)과 반대편에 위치한 바닥벽(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벽(154)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벽(154)은 +Z축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벽(154) 및/또는 바닥벽(153)은 내부공간(S)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벽(154) 및/또는 바닥벽(153)은 제1 측벽(151)과 제2 측벽(152)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벽(151), 제2 측벽(152), 상부벽(154), 바닥벽(153)은 결합될 수 있다. 제1 측벽(151), 제2 측벽(152), 상부벽(154), 바닥벽(153)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노즐(100)은 노즐바디(150)의 내부공간(S)을 이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노즐공(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즐공(110, 120)은 제1 노즐공(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공(110)은 공기가 제2 방향(+Y)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Y)은 좌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Y)은 +Y축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사용자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은 두피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노즐공(110)은 노즐바디(15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노즐공(110)은 제1 측벽(151)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노즐공(110)은 제1 측벽(15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노즐공(110)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노즐공(1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즐공(110)은 상황에 맞게 다각형 형상, 슬릿 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노즐공(11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노즐공(110)은 전후 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노즐공(110, 120)은 제2 노즐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노즐공(120)은 공기가 제3 방향(-Y)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방향(-Y)은 제1 방향(+X)과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Y)은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Y)은 우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Y)은 -Y축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사용자를 기준으로, 제3 방향(-Y)은 모발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Y)은 제2 방향(+Y)과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 방향으로 공기가 동시에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3 방향(-Y)은 제2 방향(+Y)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제2 노즐공(120)은 노즐바디(150)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노즐공(120)은 제2 측벽(152)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노즐공(120)은 제2 측벽(152)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노즐공(120)은 제1 노즐공(110)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공기가 제1 노즐공(110) 및/또는 제2 노즐공(120)으로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노즐공(120)은 제1 노즐공(1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노즐공(120)은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노즐공(12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즐공(110)은 상황에 맞게 원형 형상, 다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노즐공(12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노즐공(120)은 전후 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노즐(100)은 제1 노즐(100a) 및 제2 노즐(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노즐(100b)은 제1 노즐(100a)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노즐(100b)은 제1 노즐(100a)로부터 Z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노즐(100)은 브러시 형상으로 마련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즐(100)은 연결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05)는 노즐(100)과 본체(1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05)는 연결 플레이트(10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06)는 제1 노즐(100a)과 제2 노즐(100b)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06)는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05)는 결합 플레이트(107)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07)는 연결 플레이트(106)와 본체(10)를 연결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07)는 연결 플레이트(106)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어를 A-A'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어를 B-B'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노즐(100)은 노즐격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노즐바디(150)의 내부에 마련되어 내부공간(S)을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유로를 구획할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제1 노즐공(110)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제2 노즐공(120)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구획하도록 제1 노즐공(110)과 제2 노즐공(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100)은 공기가 제1 노즐공(110)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유로(161) 및 공기가 제2 노즐공(120)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노즐유로(16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바디(150)의 내부공간(S)에는 제1 노즐유로(161) 및 제2 노즐유로(162)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100)은 본체(1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노즐 유입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유입구(170)는 공기가 제1 노즐유로(161)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 유입구(171) 및 공기가 제2 노즐유로(162)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 노즐 유입구(17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제1 노즐유로(161)와 제2 노즐유로(162)를 구획할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제1 노즐유입구(171) 및 제2 노즐유입구(172)를 구획할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노즐유입구(170)가 배치되는 노즐(100)의 일단부터 노즐(100)의 일단과 반대편에 위치한 노즐(100)의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노즐유로(161)는 제1 노즐유입구(171)가 배치되는 일단(161a)과 일단(161a)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161b)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제1 노즐유로(161)의 일단(161a)에서 제1 노즐유로(161)의 타단(161b)까지 연장될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바닥벽(153)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부벽(154)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상부벽(154) 및 바닥벽(153) 사이에서 연장됨으로써 내부공간(S)을 구획할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제1 노즐유입구(171)와 제2 노즐유입구(172)를 구획함으로써, 제1 노즐유로(161)에 유입되는 공기와 제2 노즐유로(162)에 유입되는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즐유로(161) 및 제2 노즐유로(162)에 각각 유입되는 공기는 서로 다른 온도, 유량 등을 가질 수 있다.
노즐격벽(130)은 제1 노즐유로(161)와 제2 노즐유로(162)를 구획함으로써, 제1 노즐유로(161)를 이동하는 공기와 제2 노즐유로(162)를 이동하는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즐유로(161) 및 제2 노즐유로(162)를 각각 이동하는 공기는 서로 다른 온도, 유량 등을 가진 채로 제1 노즐공(110) 및 제2 노즐공(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 노즐공(110) 및 제2 노즐공(120)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서로 다른 온도, 유량 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향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속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의 내부에는 팬유닛(20)이 마련될 수 있다. 팬유닛(20)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21), 팬(21)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22), 모터(2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본체(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21)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는 흡입구(12)로 흡입되어 노즐공(110, 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공기는 노즐공(110, 120)으로 흡입되어 흡입구(12)로 배출될 수도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팬유닛(20)에 의해 유동이 발생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제1 본체유로(61) 및 나머지 일부가 유입되는 제2 본체유로(6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본체유로(61)는 공기가 제1 노즐유입구(171)로 유입되어 제1 노즐유로(161)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본체유로(61)는 제1 노즐유로(16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본체유로(62)는 공기가 제2 노즐유입구(172)로 유입되어 제2 노즐유로(162)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본체유로(62)는 제2 노즐유로(162)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10)는 팬유닛(20)에 의해 유동이 발생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본체유입구(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유입구(70)는 공기가 제1 본체유로(61)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본체유입구(71) 및 공기가 제2 본체유로(62)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 본체유입구(7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격벽(50)은 제1 본체유로(61)와 제2 본체유로(62)를 구획할 수 있다. 본체격벽(50)은 제1 본체유입구(71)와 제2 본체유입구(72)를 구획할 수 있다.
제1 본체유로(61)는 제1 본체유입구(71)와 본체 커버(11)의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체격벽(50)은 제1 본체유로(61)의 일단에서 제1 본체유로(61)의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유량조절장치(31)가 마련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31)는 제1 본체유로(61) 및 제2 본체유로(62)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31)는 제1 노즐공(110) 및 제2 노즐공(120)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31)는 댐퍼(31)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31)는 팬(21)과 본체격벽(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31)는 팬(21)과 본체유입구(7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댐퍼(31)는 제1 본체유입구(71) 및 제2 본체유입구(72)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31)가 제1 본체유입구(71)를 폐쇄할 경우 공기는 제2 본체유입구(72)로 유입된다.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댐퍼(31)가 제2 본체유입구(72)의 일부를 폐쇄할 경우, 제1 본체유입구(71)로 유입되는 공기(F1)의 유량이 제2 본체유입구(72)로 유입되는 공기(F2)의 유량보다 커질 수 있다.
댐퍼(31)는 제1 본체유입구(71)와 제2 본체유입구(72)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2)는 제1 본체유입구(71) 및/또는 제2 본체유입구(7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2)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댐퍼(31)는 플레이트(32)와 연결되는 회전축(3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2)는 회전축(33)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33)은 본체격벽(5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회전축(33)은 본체격벽(50)의 타단(50b)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유량조절장치(31)가 하나의 팬(21)이 발생시키는 공기 유동에 대하여 댐퍼(31)가 제1 본체유로(61) 또는 제2 본체유로(62)로 유입되는 공기(F1, F2)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팬유닛(20)은 공기가 제1 본체유로(61)로 유입되도록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 팬(미도시) 및 공기가 제2 본체유로(62)로 유입되도록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미도시)은 제1 본체유입구(71)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팬(미도시)은 제2 본체유입구(7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본체유로(61) 및 제2 본체유로(62)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면, 유량조절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온도조절장치(41)가 배치될 수 있다. 온도조절장치(41)는 제1 본체유로(61) 및/또는 제2 본체유로(62)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31)는 제1 노즐공(110) 및/또는 제2 노즐공(120)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장치(41)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41)는 코일 또는 열전소자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히터(41)는 제1 본체유로(61) 및/또는 제2 본체유로(62)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제1 본체유로(61) 및/또는 제2 본체유로(62)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예로 들면, 히터(41)는 제2 본체유로(62)에 마련되어 제2 노즐공(120)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온도조절장치(41)가 하나의 히터(41)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온도조절장치(41)는 제1 본체유로(61) 내에 마련되는 제1 히터 및 제2 본체유로(62) 내에 마련되는 제2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본체유로(61) 및 제2 본체유로(62)를 이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온도조절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격벽(50)과 노즐격벽(130)은 연결될 수 있다. 본체격벽(50)과 노즐격벽(1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격벽(50)과 노즐격벽(130)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노즐공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노즐공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노즐공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노즐유입구(171)로 유입된 공기(F1)는 제1 노즐유로(161)를 따라 이동하여 제1 노즐공(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제1 노즐공(110)은 사용자의 두피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노즐유입구(172)로 유입된 공기(F2)는 제2 노즐유로(162)를 따라 이동하여 제2 노즐공(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 노즐공(120)은 사용자의 모발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노즐공(12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F2)의 온도는 모발이 건조되기 용이하도록 높은 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F1, F2)는 제1 노즐공(110)과 제2 노즐공(120)으로부터 각각 제2 방향(+Y) 및 제3 방향(-Y)을 향해 동시에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노즐공(11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F1)와 제2 노즐공(12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F2)로 두발과 모발을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공기(F1, F2)의 온도와 유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의 공기는 제1 노즐공(110)을 통해 노즐(100) 내부로 흡입되어 제1 노즐유로(161)를 따라 이동하여 제1 노즐유입구(171)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본체(10)의 제1 본체유로(61)로 이동하여 흡입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제2 노즐공(120)을 통해 노즐(100) 내부로 흡입되어 제2 노즐유로(162)를 따라 이동하여 제2 노즐유입구(172)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본체(10)의 제2 본체유로(62)로 이동하여 흡입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공기는 노즐공(110, 120)으로 흡입되는 방식으로 두발과 모발을 건조시킬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노즐(100)은 제1 노즐유로(161)와 제2 노즐유로(162)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연통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유로(161)를 이동하는 공기와 제2 노즐유로(162)를 이동하는 공기는 연통부(180)에 의해 혼합될 수 있다. 연통부(180)는 제1 노즐유로(161)와 제2 노즐유로(162)를 연결할 수 있다.
연통부(180)는 노즐바디(150)의 내부공간(S)에 마련될 수 있다. 연통부(180)는 노즐격벽(130)이 마련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부(180)는 노즐격벽(130)의 타단(130b)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연통부(180)가 노즐(100)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통부(180)는 내부공간(S)의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연통부(180)는 노즐격벽(130)을 관통하는 통공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노즐유입구(171)로 유입된 공기(F1)는 제1 노즐유로(161)를 이동하고, 공기(F1) 중 일부는 제1 노즐공(11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나머지 공기(F2)는 연통부(180)를 통해 제2 노즐유로(162)로 이동하여 제2 노즐공(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결합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헤어 드라이어
10 본체
20 팬유닛
21 팬
31 유량조절장치
41 온도조절장치
50 본체격벽
100 노즐
110 제1 노즐공
120 제2 노즐공
130 노즐격벽
150 노즐바디
161 제1 노즐유로
162 제2 노즐유로
171 제1 노즐유입구
172 제2 노즐유입구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에 형성되며 공기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노즐공;
    상기 노즐바디에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일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노즐공;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유로;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노즐유로; 및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노즐격벽으로서, 상기 제1 노즐유로와 상기 제2 노즐유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과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의 사이에 배치되는 노즐격벽;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노즐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입구는,
    공기가 상기 제1 노즐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유입구; 및
    공기가 상기 제2 노즐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노즐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노즐유입구와 구획되는 제2 노즐유입구;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공기가 상기 제1 노즐유입구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본체유로;
    공기가 상기 제2 노즐유입구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본체유로; 및
    상기 제1 본체유로와 상기 제2 본체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본체격벽;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공기가 상기 제1 본체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본체유입구; 및
    공기가 상기 제2 본체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본체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본체유입구와 구획되는 제2 본체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유입구 또는 상기 제2 본체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유량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본체격벽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제1 본체유입구 또는 상기 제2 본체유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팬과 상기 본체격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유로 또는 상기 제2 본체유로를 이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온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제1 본체유로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제1 본체유로 내에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격벽은 상기 본체격벽과 연결되는 헤어 드라이어.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유로는 상기 제1 노즐유입구가 배치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의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노즐격벽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까지 연장되는 헤어 드라이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내부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노즐유로와 상기 제2 노즐유로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제1 노즐; 및
    상기 제1 노즐과 이격 배치되는 제2 노즐;을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은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헤어 드라이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과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헤어 드라이어.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은 원형 또는 슬릿 형상을 가지는 헤어 드라이어.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복수의 제1 노즐공이 형성되는 제1 측벽;
    상기 복수의 제2 노즐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측벽;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바닥벽; 및
    상기 바닥벽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부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격벽은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벽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16.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 노즐공;
    상기 노즐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방향과 반대인 제3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2 노즐공; 및
    상기 유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노즐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노즐공과 상기 제2 노즐공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노즐격벽;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노즐유입구;
    상기 노즐유입구로 유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노즐공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유로;
    상기 노즐유입구로 유입된 공기 중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 노즐공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노즐유로;를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유로는 상기 노즐유입구가 배치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의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노즐격벽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까지 연장되는 헤어 드라이어.
  19.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도조절장치;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노즐유입구;
    상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2 노즐유입구;
    상기 제1 노즐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 노즐공;
    상기 제2 노즐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일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 노즐공; 및
    상기 제1 노즐유입구와 상기 제2 노즐유입구를 구획하는 노즐격벽;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제1 노즐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KR1020220130973A 2022-10-12 2022-10-12 헤어 드라이어 KR20240050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973A KR20240050937A (ko) 2022-10-12 2022-10-12 헤어 드라이어
PCT/KR2023/009417 WO2024080499A1 (ko) 2022-10-12 2023-07-04 헤어 드라이어
US18/225,431 US20240122328A1 (en) 2022-10-12 2023-07-24 Hair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973A KR20240050937A (ko) 2022-10-12 2022-10-12 헤어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937A true KR20240050937A (ko) 2024-04-19

Family

ID=9066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973A KR20240050937A (ko) 2022-10-12 2022-10-12 헤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0937A (ko)
WO (1) WO20240804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9274U (ko) * 1974-05-28 1975-12-11
US9149104B2 (en) * 2009-03-24 2015-10-06 Han Hian Yoe Nozzle for hair dryer
KR200475837Y1 (ko) * 2013-10-11 2015-01-09 연진아 헤어 브러쉬 조립체
NO337105B1 (no) * 2014-04-23 2016-01-18 Kan Holding As Friserapparat
KR20170054771A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웰컴엠에스 헤어 드라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499A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0162A (en) Hair styling device
JP7348748B2 (ja) ブロワ
JP2005246065A (ja) 手持ち式ドライア用空気脈動化取付具
KR102348088B1 (ko) 의류건조장치
JP2021530643A (ja) ファン組立体用ノズル
JP2010193947A (ja) ヘアドライヤー
JP2006314787A (ja) 軸方向及び半径方向の流れを持つヘアドライヤー
CN210441334U (zh) 柜式空调器室内机
KR20240050937A (ko) 헤어 드라이어
JP6708851B2 (ja) 乾燥装置
KR100578349B1 (ko) 건조기의 공기유동구조
KR20230012306A (ko) 헤어컬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US20240122328A1 (en) Hair dryer
KR100651721B1 (ko) 헤어드라이어
CN107781932B (zh) 干燥机及干燥机的控制方法
US20230263285A1 (en) Hair dryer
KR100406213B1 (ko) 브러시가 부착된 드라이어
KR20240034597A (ko) 헤어 드라이어
JPH04130705U (ja) ヘアードライヤ
CN219699269U (zh) 护发附件、护发组件和护发器组件
JP3807085B2 (ja) ガス衣類乾燥機
CN110671367A (zh) 一种利于散热的吹风机
CN219845437U (zh) 一种吹风机风嘴
CN118252313A (en) Blowing structure and hair dryer
JP2749885B2 (ja) 送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