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495A -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495A
KR20240050495A KR1020220129483A KR20220129483A KR20240050495A KR 20240050495 A KR20240050495 A KR 20240050495A KR 1020220129483 A KR1020220129483 A KR 1020220129483A KR 20220129483 A KR20220129483 A KR 20220129483A KR 20240050495 A KR20240050495 A KR 20240050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heet
rolled sheet
sides
proc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기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495A/ko
Publication of KR2024005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4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61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 B29C65/787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using conveyor belts or convey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4Thermal pre-trea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5Making large sheets by joining smaller ones or strips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4Stretching or treating the layers before application on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6Cutting textile inserts to required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6Cutting textile inserts to required shape
    • B29D2030/463Holding the textile inserts during cut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바디플라이 재단 공정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플라이 재단 공정에서 바디플라이 압연 시트가 1차로 재단된 이후 시트 양쪽 엣지 부분의 열처리 및 압착, 연신 가공을 통해 접합시켜, 결과적으로 접합 부위 단차를 최소화시키고 내부 코드의 배열 간격을 균일하게 하여 타이어 내부 에어 불량 방지 및 유니포미티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는, 바디플라이 압연 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압연 시트의 양측부를 가공하는 한 쌍의 조인트 장치와,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 상부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압연 시트를 절단하는 커팅 나이프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 내에서 상기 압연 시트가 컨베이어로 진입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커팅 나이프 조립체까지 설치되어 시트의 양측부를 가열시키는 조인트 가공장치 가열부 및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 내에서 상기 커팅 나이프 조립체로부터 압연 시트가 인출되는 지점까지 설치되고, 1차 재단되는 상기 압연 시트의 양측부를 연신 및 압착시키는 조인트 가공장치 연신압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to Process Joint of Bodyply}
본 발명은 타이어 바디플라이 재단 공정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플라이 재단 공정에서 바디플라이 압연 시트가 1차로 재단된 이후 시트 양쪽 엣지 부분의 열처리 및 압착, 연신 가공을 통해 접합시켜, 결과적으로 접합 부위 단차를 최소화시키고 내부 코드의 배열 간격을 균일하게 하여 타이어 내부 에어 불량 방지 및 유니포미티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바디플라이 재단(Bodyply Cutting) 공정에서 패브릭 코드(Fabric Cord)와 고무로 압연된 시트 롤(Sheet Roll)을 원하는 치수(폭)로 재단하여 후공정에 공급하는 과정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연 시트 롤(Sheet Roll) 에서 원단이 풀려 공급되면 1차 재단(1000)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상세하게는 시트 롤에서 시트(1100)가 컨베이어 상으로 공급되기 시작하면 요구되는 사양의 폭으로 회전하는 톱니형 절단기에서 도 2와 같이 패브릭 코드(Fabric Cord)의 배열 방향과는 수직에 가깝게 요구되는 각도로 1차 재단된다. 이렇게 1차 재단된 재단물(1199)은 운반구에 연속적으로 권취(Wind-up)(4000)하여 보관하고 후공정에서 요구되는 길이만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1차 재단물의 끝과 끝을 접합(Splicing)(2000)시키는 과정을 중간에 거치게 된다. 그리고 접합을 마친 1차 재단물은 보통 슬리팅(Slitting)(3000)이라는 절단 과정을 통하여 슬리팅 나이프(Slitting Knife)에 의해 요구 폭에 맞게 2차로 재단된다. 2차로 재단된 재단물은 운반구에 권취(4000)되어 후공정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한 접합(Splicing)(2000) 과정에서 바디플라이 간 접합시키는 종래 일반적인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과 끝단을 겹치게 배치하여 겹쳐친 부위를 순간 압착하여 접합하는 오버랩 조인트(Overlap Joint)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은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접합부 주변 단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후공정인 성형 공정에서 다른 반제품들과 함께 성형할 시 해당 단차로 인하여 사양 상의 그린케이스 완성 품질을 떨어뜨리고, 최종적으로 타이어 가류 시 해당 부위에 공기가 포함된 채 완제품이 완성되는 에어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압연 공정에서는 스틸 코드(Steel Cord)나 패브릭 코드(Fabric Cord)를 포함한 고무 압연 시트 반제품을 제조할 때 제품 사양 측정 기준 중 하나로 EPI(Ends Per Inch)라는 기준이 있다. 이는 1인치 당 포함하고 있는 코드 가닥 수를 의미하는데 EPI가 사양보다 높으면 코드 가닥 수가 많은 것이고, 반대로 EPI가 낮으면 코드 가닥 수가 적다는 것이다. 보통의 압연 공정의 특성 상 패브릭 코드 압연물의 양쪽 끝단, 즉 접합(Splicing)(2000)이 이루어지게 되는 부위 EPI는 주로 높게 분포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오버랩(Overlap) 방식으로 겹치기까지 하여 이는 타이어 유니포미티 (Uniformity) 균일성에 미치는 악영향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접합 방법으로는 버트 조인트(Butt Joint) 방식이 있는데 이는 바디플라이끼리 겹쳐서 접합하지 않고 끝단과 끝단을 맞댄 상태로 가열 및 압착시켜 접합하는 방식이다. 타이어 유니포미티 균일성 향상을 위해 가장 바람직한 접합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접합 부위를 정위치에 정확하게 가이딩(Guiding)시키기 어려우며 무엇보다도 오버랩 조인트 방식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가열 및 압착단계가 기존 공정에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정 사이클 타임(Cycle Time)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디플라이의 접합이 될 조인트 부를 특정한 방법으로 선 가공하여 단차가 최소가 되도록 접합하여 균일한 조인트 품질로 생산 사이클 타임의 추가나 지연 없이 후공정으로 공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는, 바디플라이 압연 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압연 시트의 양측부를 가공하는 한 쌍의 조인트 장치와,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 상부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압연 시트를 절단하는 커팅 나이프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 내에서 상기 압연 시트가 컨베이어로 진입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커팅 나이프 조립체까지 설치되어 시트의 양측부를 가열시키는 조인트 가공장치 가열부 및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 내에서 상기 커팅 나이프 조립체로부터 압연 시트가 인출되는 지점까지 설치되고, 1차 재단되는 상기 압연 시트의 양측부를 연신 및 압착시키는 조인트 가공장치 연신압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인트 가공장치 가열부는, 상기 압연 시트의 양측부를 가열시키는 가열판과, 상기 가열판에 의해 압연 시트의 양측부가 가열되는 동안 시트를 흡착시키는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가공장치 연신압착부는, 상기 압연 시트의 양측부를 연신 및 압착시키는 연신압착판 조립체와, 상기 연신압착판 조립체에 의해 압연 시트의 양측부가 연신 및 압착되는 동안 시트를 흡착시키는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인트 가공장치 가열부에 형성되는 가열판 및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는 한 쌍의 조인트 장치 양측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조인트 가공장치 연신압착부에 형성되는 연신압착판 조립체와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는 한 쌍의 조인트 장치 양측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시트의 폭방향 길이에서 상기 압연 시트에서 가열 및 연신압착 가공이 이루어지는 양측부의 폭방향 길이를 제외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신압착판 조립체는, 상기 조인트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연 시트의 압착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압착축과, 상기 압착축으로부터 상기 시트의 연신을 위해 시트 폭방향을 향해 소정간격만큼 확장 축소되는 복수의 연신 세그먼트와, 상기 복수의 연신 세그먼트로부터 시트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패브릭 코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열가공된 압연 시트의 패브릭 코드 사이를 압착시키는 돌기형 압착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플라이 접합 시 생길 수 있는 단차를 최소화 시켜주어 완제품 내부에 공기가 포함되는 에어(Air)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의 방법보다 일정 길이 내 패브릭 코드(Fabric Cord) 가닥 수인 EPI(Ends Per Inch)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어 타이어 유니포미티(Uniformity)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공정의 사이클 타임의 여유시간을 활용하여 장치가 작동하므로 본 발명의 추가로 인한 생산 시간의 지연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바디플라이 재단 공정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바디플라이 커팅 장치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바디플라이 조인트 접합 장치 및 형태 예시도로써,
도 3(a)는 종래의 바디플라이 조인트 접합 장치 예시도.
도 3(b)는 종래의 바디플라이 조인트 접합 후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구성 분해도.
도 6은, 도 5의 구간별 단면도로써,
도 6(a)는 가열부(A)의 정면 단면도.
도 6(b)는 연신 및 압착부(B)의 정면 단면도(작동 예시도).
도 6(c)는 연신 및 압착부(B)의 또 다른 정면 단면도(작동 예시도).
도 7은, 도 5의 내부 측면도(내측에서 외부를 바라본 방향)로써,
7 (a)는 좌측 장치 측면도.
7 (b)는 우측 장치 측면도.
도 8은,조인트 가공 이후 바디플라이 간 전체적인 접합 형태 예시도로써,
도 8(a)는 조인트 접합 전 예시도.
도 8(b)는 조인트 접합 후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플라이 가공 조인트 부 접합 형태 예시도로써,
도 9(a)는 도 3(a)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조인트 접합 형태의 예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조인트 접합 후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면에서는 압연 시트 롤에서 공급되는 시트(1100)(1199)의 진행 방향과 반대로 바라보는 방향을 정면으로 정의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종래 바디플라이 커팅 장치를 기초로 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200)의 양측에 한 쌍의 조인트 장치(100, 200)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100, 200)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커팅 나이프 조립체(13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1200)의 폭 길이는 시트(1100) 좌우측 조인트부(L, R)의 상측 또는 하측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압연 시트 롤에서 공급되는 시트(1100)의 폭 길이에서 시트(1100)의 좌우측 조인트부(L, R)의 길이를 뺀만큼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100, 200)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100, 200)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연 시트 롤에 의해 시트(1100)가 컨베이어(1200)로 진입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커팅부(C)까지의 구간은 압연 시트(1100)와 좌우측 조인트부(L, R)를 가공하기 위한 가열판(110, 210)과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120-A, 220-A)를 포함하는 가열부(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100, 200)의 가열부(A)에 형성된 가열판(110, 210) 및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120-A, 220-A)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팅부(C)로부터 장치에서 인출되는 지점까지의 구간은 1차 재단되는 시트(1199)의 좌우측 조인트부(L, R)를 가공하기 위한 연신압착판 조립체(130, 230)와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120-B, 220-B)를 포함하고 있는 연신압착부(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120-B, 220-B)의 흡착구 형태는 여러 개의 작은 다공(Perforated)이 패턴화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착구 면적이 넓게 형성되면 시트(1100, 1199)를 흡착 고정시키는 과정 중간에 시트가 흡압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1200)의 동작에 의해 이송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신압착부(B)에서는 압착하는 힘을 받쳐주는 받침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흡착구는 미세한 직경을 갖는 다수의 타공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신압착판 조립체(130, 230)를 제외한 가열판(110, 210)과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120-A, 220-A),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120-B, 220-B) 구성들은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100, 200)에 고정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120-A, 220-A),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120-B, 220-B)는 시트(1100, 1199)면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근접한 위치에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판(110, 210)은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120-A, 220-A),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120-B, 220-B)는 시트(1100, 1199)보다는 좀 더 여유공간을 형성하면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신압착판 조립체(130, 230)는 조립체 전체가 시트 압착을 위해 상하 유동을 하고, 시트 연신을 위해 복수의 연신 세그먼트(132, 232)가 시트의 폭방향을 향해 소정간격만큼 확장 및 축소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연신 세그먼트(132, 232)의 가공면 측 표면은 도 6을 참고하면 단면으로 보았을 때 돌기형으로 이루어지고, 패브릭 코드(Fabric Cord)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의 돌기형 압착바(131, 231)가 부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300)를 통해 시트(1100, 1199)를 가공하는 방법을 개시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양측에 한 쌍의 조인트 장치(100, 200)의 가공면이 상기 시트(1100, 1199)면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 중에서 한쪽 방향으로만 가공이 진행되고, 상기 시트의 좌우측 조인트부(L, R)의 가공면은 항상 상하 반대로 가공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도면 및 이하 설명에서는, 1차 재단된 상기 시트(1199)의 진행방향을 우측으로 가정하였으며, 도 2와 같은 종래 오버랩 조인트 장치 및 방법을 따라 시트의 좌측 가공면은 상측면, 우측 가공면은 하측면으로 가정하고, 이러한 가정을 기준으로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300)를 통한 시트(1100, 1199)의 가공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압연 시트(1100)가 컨베이어(1200)에 의해 한 쌍의 조인트 장치(100, 200)의 가열부(A)로 공급되면, 좌측 가열판(110)은 시트(1100)의 좌측 조인트부(L) 상측면을 가열하게 되고, 우측 가열판(120)은 시트(1100)의 우측 조인트부(R) 하측면을 가열하게 된다. 이렇게 가열판(110, 120)을 통해 시트의 양측 조인트부(L, R)을 가열하는 이유는, 연신압착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특히 동일면이 아닌 서로 반대방향으로 한 쪽 면만 가열하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기존 시트 모양을 어느정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힘을 받지 않고 허공에 떠 있는 상태에서 가열이 지속되면 조인트부(L, R)의 형태가 중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휘거나 변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커팅을 위해 컨베이어(1200)가 멈추게 되면 상기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120-A, 220-A)가 시트(1100)의 양측 조인트부(L, R)의 가공 반대쪽 면을 흡착시켜 고정시킨다. 커팅이 끝난 후, 상기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120-A, 220-A)의 흡착 동작은 멈추게 되고, 상기 컨베이어(1200)에 의해 열가공된 시트(1100)는 연신압착부(B)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도 6의 (b)와 (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트(1100)가 연신압착부(B)에 완전히 진입한 이후 컨베이어(1200)가 멈추고 커팅이 시작되면 상기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120-B, 220-B)의 흡착 동작이 시작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신압착판 조립체(130, 230)가 열가공된 시트의 조인트부(L, R)를 압착시킴과 동시에 각 장치의 본체 방향으로 연신을 시켜주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조인트 장치(100, 200) 내부에 형성된 압착축(133, 233)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동력이 제공되어, 돌기형 압착바(131, 231)가 열가공된 시트면의 패브릭 코드 사이를 압착시켜주고 이 때 흡착 동작은 잠시 중단된다. 또한, 복수의 연신 세그먼트(132, 232)에 의해 바로 연신 동작이 시작되는데 이 때 한 쌍의 조인트 장치(100, 200)와 가장 거리가 먼 쪽인 마지막 세그먼트를 제외한 세그먼트들은 기 설정된 간격만큼 확장된다. 확장이 끝난 후, 다시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120-B, 220-B)에서 흡착 동작이 시작되며, 상기 연신압착판 조립체(130, 230)는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 커팅부(C)에서 커팅이 끝난 후, 흡착 동작은 멈추고 최종적으로 상기 시트(1199)는 컨베이어(1200)의 이송에 의해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300)의 내부 구간에서 인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300)의 가열부(A)와 연신압착부(B)는 주로 커팅이 이루어지는 시간과 동시에 작동하며, 가공 및 1차 재단이 끝난 시트(1199)는 컨베이어에 의해 다음 접합 단계(2000)로 이송된다.
상기 시트(1199)가 인출되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되는데, 상기 시트(1199)의 진행 방향의 선단은 항상 하측 가공부(20)를 포함한 상태로 이전에 재단된 시트의 후단과 접합하게 되며, 후단은 항상 상측 가공부(10)를 포함한 상태로 이후에 재단될 시트의 선단과 접합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도 3(a)에서 도시된 종래 조인트 접합장치에 의해 가공된 시트가 접합되는 단면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최종적으로 접합된 시트는 도 9(b)와 같이 접합되어 슬리팅(Slitting)(3000)이라는 2차 재단 단계로 이송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0 : 1 차 재단 전 압연 시트
1199 : 1차 재단 후 재단 시트
L : 압연(재단) 시트 좌측 조인트부
R : 압연(재단) 시트 우측 조인트부
1200 : 컨베이어
1300 : 커팅 나이프 조립체
100, 200 : 조인트 장치
300: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
A, 100-A, 200-A : 조인트 가공장치 가열부
B, 100-B, 200-B : 조인트 가공장치 연신압착부
110, 210 : 가열판
120-A, 220-A :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
120-B, 220-B :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
130, 230 : 연신압착판 조립체
131, 231 : 돌기형 압착바
132, 232 : 연신 세그먼트
133, 233 : 압착축
10 : 상측 가공부
20 : 하측 가공부

Claims (5)

  1. 바디플라이 압연 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압연 시트의 양측부를 가공하는 한 쌍의 조인트 장치;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 상부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압연 시트를 절단하는 커팅 나이프 조립체;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 내에서 상기 압연 시트가 컨베이어로 진입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커팅 나이프 조립체까지 설치되어 시트의 양측부를 가열시키는 조인트 가공장치 가열부; 및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장치 내에서 상기 커팅 나이프 조립체로부터 압연 시트가 인출되는 지점까지 설치되고, 1차 재단되는 상기 압연 시트의 양측부를 연신 및 압착시키는 조인트 가공장치 연신압착부; 를 포함하는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가공장치 가열부는,
    상기 압연 시트의 양측부를 가열시키는 가열판과, 상기 가열판에 의해 압연 시트의 양측부가 가열되는 동안 시트를 흡착시키는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가공장치 연신압착부는,
    상기 압연 시트의 양측부를 연신 및 압착시키는 연신압착판 조립체와, 상기 연신압착판 조립체에 의해 압연 시트의 양측부가 연신 및 압착되는 동안 시트를 흡착시키는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가공장치 가열부에 형성되는 가열판 및 가열부 흡착판 조립체는 한 쌍의 조인트 장치 양측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조인트 가공장치 연신압착부에 형성되는 연신압착판 조립체와 연신압착부 흡착판 조립체는 한 쌍의 조인트 장치 양측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시트의 폭방향 길이에서 상기 압연 시트에서 가열 및 연신압착 가공이 이루어지는 양측부의 폭방향 길이를 제외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압착판 조립체는,
    상기 조인트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연 시트의 압착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압착축과,
    상기 압착축으로부터 상기 시트의 연신을 위해 시트 폭방향을 향해 소정간격만큼 확장 축소되는 복수의 연신 세그먼트와,
    상기 복수의 연신 세그먼트로부터 시트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패브릭 코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열가공된 압연 시트의 패브릭 코드 사이를 압착시키는 돌기형 압착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장치.
KR1020220129483A 2022-10-11 2022-10-11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 KR20240050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483A KR20240050495A (ko) 2022-10-11 2022-10-11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483A KR20240050495A (ko) 2022-10-11 2022-10-11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495A true KR20240050495A (ko) 2024-04-19

Family

ID=9088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483A KR20240050495A (ko) 2022-10-11 2022-10-11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4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7007405A1 (ja) カーカスプライ材の作製方法及び装置
JP5574797B2 (ja) タイヤ構成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3117732B2 (ja) 帯状部材の切断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2001121622A (ja) ストリップ片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960029080A (ko) 타이어 콤포넌트의 조립체로부터 타이어용 라미네이트를 성형하고 카커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532550B2 (ja) ベルト部材の製造方法
KR20240050495A (ko) 바디플라이 조인트 가공 장치 및 방법
JPS59207227A (ja) タイヤ成形ドラムに帯状部材を巻付け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9321221B2 (en) Continuous preform device for composite stringer
JP4800382B2 (ja) 車両タイヤの自動化組立で使用可能な方法及び装置
KR101807413B1 (ko) 타이어 성형기용 반제품 스플라이싱 장치
JP2013193367A (ja) 円筒状部材の成形方法、カーカスプライ素材、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CN113226718B (zh) 非充气轮胎未固化轮辐的组装方法
JP2010284827A (ja) 接合ゴム部材の製造装置と製造方法、未加硫タイヤの製造装置と製造方法
JP6235967B2 (ja) カーカスプライの製造方法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KR101250116B1 (ko) 자폐형 물품의 제작 장치 및 방법
KR101629196B1 (ko) 타이어용 반제품 압연물 시트의 접합장치
EP0802038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veyor belt with undulated side walls
JP7183672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7167742B2 (ja) コードプライの接合装置及びその接合方法
JPS59145128A (ja) シ−ト状可塑材の接合装置
JP2008207506A (ja) タイヤ成型方法
JP2011240678A (ja) ゴムシート貼付装置及びゴムシート貼付方法
JP3258449B2 (ja) 帯状部材の切断方法及び装置
JP4410901B2 (ja) タイヤのカーカスプライ用素材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