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987A - 분리형 화분 - Google Patents

분리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987A
KR20240049987A KR1020220129576A KR20220129576A KR20240049987A KR 20240049987 A KR20240049987 A KR 20240049987A KR 1020220129576 A KR1020220129576 A KR 1020220129576A KR 20220129576 A KR20220129576 A KR 20220129576A KR 20240049987 A KR20240049987 A KR 20240049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pot
bottom portion
connection part
soil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29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987A/ko
Publication of KR2024004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몸체와 바닥부를 포함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몸체와 상기 바닥부를 분리 시, 식물 및 흙을 상기 화분으로부터 쉽게 이탈시켜, 사용자의 분갈이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몸체 또는 상기 바닥부의 일부분이 투명하게 구비되는 경우, 식물의 생장을 관찰하고 분갈이 주기를 확인 및 예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화분 {Detachable flowerpot}
본 발명은 분리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훼농장에서 재배된 식물은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 화분에 식재되어 판매된다. 소비자는 통상의 플라스틱 화분에 담긴 식물을 디자인이 미려하거나, 세라믹 등 단단한 재질로 된 화분에 분갈이한 뒤, 적절한 위치에 분식물(potted plants)을 배치한다.
또한, 식물이 생장함에 따라 화분 내에서 식물의 뿌리가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며, 흙에 있는 영양분이 소진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분갈이 작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분갈이는 일반 소비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화분의 위쪽에서 모종삽 등을 사용하여 흙을 파내면서, 식물의 뿌리 등이 훼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화분의 일부분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식물의 분갈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화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하로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되되, 상기 몸체와 상기 바닥부가 연결 시에 상기 몸체의 하측 말단과 상기 바닥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분리형 화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하측에 제1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는 상측에 제2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또는 상기 바닥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이격 공간의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몸체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에는 바닥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복수 개의 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홈부는 상기 바닥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까지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의 적어도 일측이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홈부에는 복수 개의 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보다 상기 몸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분 하부의 일부분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 분리형 화분을 제공하여, 식물의 분갈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형 화분은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구비되어, 식물의 생장 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식물의 분갈이를 하기에 적절한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형 화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분 하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화분의 분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형 화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화분(10)은 몸체(110) 및 바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상하로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가 바닥부(120)과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바닥부(120)는 몸체(110)와 연결되어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110)와 바닥부(120)가 연결되어, 그 내부에 공간(P)을 가지며, 식물분이 상기 공간(P)에 안착될 수 있다.
몸체(110)와 바닥부(120)은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면은 편의상 원통 형상으로 도시하였다.
몸체(110)는 바디 벽부(111), 절곡부(112) 및 연결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 벽부(111)는 상하로 개방되어, 몸체(110)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 벽부(111)는 분리형 화분(10)의 내측에 담기는 식물 및 흙을 보호하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절곡부(112)는 바디 벽부(111)로부터 연장되어 몸체(110)의 바깥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절곡부(112)는 그 형상에 의해 몸체(110)의 손잡이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연결부(113)는 바디 벽부(111)의 하부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13)는 바디 벽부(111)로부터 연장되어, 바디 벽부(111)보다 외경이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20)는 하부 벽부(121), 손잡이부(122) 및 바닥판(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벽부(121)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바닥부(120)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벽부(121)는 적어도 일부분이 연결부(113)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벽부(121)의 형상 및 너비는 바디 벽부(111)의 형상 및 너비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10)와 바닥부(120)가 연결 시, 하부 벽부(121)와 바디 벽부(111)가 연장된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110)와 바닥부(120)의 연결이 가능하다면, 하부 벽부(121) 및 바디 벽부(111)는 각각의 형상이나 너비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22)는 하부 벽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22)는 하부 벽부(121)의 상측에 구비되어, 몸체(11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판(123)의 바닥부(120)의 하측 방향에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바닥판(123)의 외측면은 바닥부(120)의 저면을 형성하고, 내측면은 화분(10) 내부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화분 하부의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바닥판(123)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 따르면, 바닥판(123)에는 복수의 홈부(123a)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홈부(123a)는 바닥판(123)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홈부(123a)는 바닥판(123)의 중심으로부터 바닥판(123)의 외주면까지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단, 홈부(123a)의 배치는 상술한 방사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부(123a)의 적어도 일측이 바닥판(123)의 외주면으로 연장되는 경우, 복수의 홈부(123a)는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홈부(123a)에는 복수 개의 홀(123b)이 형성될 수 있다.
화분(10)에 심은 식물에 급수하는 경우, 제공된 물의 일부는 식물의 뿌리를 통해 흡수되지만, 나머지는 흙을 통과하여 배출되어야 한다. 통상의 화분은 배수를 위하여, 화분 바닥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다리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흔하다. 이러한 화분은 바닥판의 일부분에 하중이 편중되므로, 바닥판의 두께가 하중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편차를 갖게 된다.
복수 개의 홀(123b)은 식물분을 통과하고 나오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홀(123b)을 통해 배출된 물은 복수 개의 홈부(123a)를 경로로 하여 바닥판(123)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바닥판(123)의 아래에는 물이 고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분리형 화분(10)은 복수의 홈부(123a) 및 복수 개의 홀(123b)에 의하여, 바닥판(123)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아도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판(123)은 평평한 구조를 가지고, 지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게 구비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바닥판(123)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제조 공정을 더욱 간단하게 하고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110) 또는 바닥부(120)는 일부분이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10)는 투명창(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창(114)은 바디 벽부(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몸체(110)의 내측이 보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투명창(114)은 바디 벽부(1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바디 벽부(111)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투명창(114) 및 바디 벽부(111)의 연결 부위는, 흙이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밀폐될 수 있다.
투명창(114)은 모양 및 크기를 제한하지 않으나, 화분(10)의 내측에 심은 식물의 뿌리와 흙을 관찰하기에 적합한 모양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창(114)을 통해, 식물의 생장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식물의 분갈이에 적합한 시기를 예측할 수 있으며, 식물종에 따른 분갈이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화분의 분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화분(10)의 단면도가 아니나, 상기 분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화분(10)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되었다.
도 5는 도 1의 분리형 화분(10)의 내측에 식물(20) 및 흙(30)이 담긴 모습이고, 도 6은 몸체(110)와 바닥부(120)가 분리된 모습이며, 도 7은 흙(30)을 연결부(113)의 하측 방향에서 가력하여, 식물(20) 및 흙(30)을 몸체(110)로부터 이탈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110)와 바닥부(120)가 연결 시에 연결부(113)가 바닥부(12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113)는 바닥판(123)의 내측면인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13)의 외측면에는 제1 연결부가 구비되고, 하부 벽부(121)의 내측면에는 제2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대응되는 끼움홈과 걸림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상이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113)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흙(30)으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에 채워지는 흙(30)은, 화분(10)에 담긴 흙(30) 중 하부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하측의 흙(30)은 식물(20)의 무게 또는 상측의 흙(30)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압력이 가해지고, 흙(30)이 식물(20)의 뿌리를 감싼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보면, 분리형 화분(10)은 상하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13)와 하부 벽부(121)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연결이 해체됨에 따라, 몸체(110)와 바닥부(12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몸체(110)의 절곡부(112) 또는 바닥부(120)의 손잡이부(122)를 잡아, 몸체(110)와 바닥부(1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112) 및 손잡이부(122)는 분리형 화분(10)의 핸들링성을 향상하고, 몸체(110)와 바닥부(12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식물(20) 및 흙(30)은 분리된 몸체(110)와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흙(30)은 그 하부가 연결부(113)를 지나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바닥부(120)가 몸체(110)에서 분리됨에 따라, 상기 이격 공간에 채워지는 흙(30)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이다. 식물(20) 및 흙(30)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약한 힘으로 고정되어 서로 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식물(20) 및 흙(30)이 담겨있는 몸체(110)를 지면 위에 놓고, 몸체(110)를 아래로 내리면, 식물(20) 및 흙(30)이 상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몸체(11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식물(20) 및 흙(30)이 몸체(110)로부터 이탈되기 위하여,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이격 공간의 길이는 길이 방향에 대한 몸체(110)의 길이에 비례하여 구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1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분리형 화분(10) 내부에 담기는 흙(30)의 양이 많아지고, 이에 비례하여 연결부(113)를 지나 돌출되는 흙(30)의 하부 길이가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분리형 화분
110: 몸체
120: 바닥부
20: 식물
30: 흙

Claims (10)

  1. 상하로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와 상기 바닥부가 연결 시에, 상기 몸체의 하측 말단과 상기 바닥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분리형 화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측에 제1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는 상측에 제2 연결부를 가지는, 분리형 화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는, 분리형 화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상기 바닥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구비되는, 분리형 화분.
  5. 제1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이격 공간의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몸체의 길이에 비례하는, 분리형 화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에는 바닥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복수 개의 홀들이 구비되는, 분리형 화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부는 상기 바닥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까지 길이가 연장되는, 분리형 화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의 적어도 일측이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홈부에는 복수 개의 홀들이 구비되는, 분리형 화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화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보다 상기 몸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분리형 화분.
KR1020220129576A 2022-10-11 2022-10-11 분리형 화분 KR20240049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576A KR20240049987A (ko) 2022-10-11 2022-10-11 분리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576A KR20240049987A (ko) 2022-10-11 2022-10-11 분리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987A true KR20240049987A (ko) 2024-04-18

Family

ID=9084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576A KR20240049987A (ko) 2022-10-11 2022-10-11 분리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99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0782B2 (en) Plant organizing and growing assembly
US7707768B2 (en) Landscape device
US20060288640A1 (en) Plant bowl
AU2017292897B2 (en) An improved plant pot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KR20240049987A (ko) 분리형 화분
US20140020293A1 (en) Device for use in horticultural containers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US10575477B2 (en) Plant pot and plant pot insert
KR101884366B1 (ko) 화분
KR102346341B1 (ko) 분리형 화분
KR20110005110U (ko) 화분용 수조
CA3127009A1 (en) Self-watering planter
US20080072493A1 (en) Mould for preventing water accumulation in flower pots
AU2006101024B4 (en) Flower Pot Adaptor Kit
CN219876967U (zh) 可蓄水沥水花盆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20110087721A (ko) 거리 경관용 화분
KR200369971Y1 (ko) 이중화분
KR101152363B1 (ko) 화분 속받침대와 이를 내장한 화분
JP3586490B2 (ja) 植栽枡
KR200242446Y1 (ko) 이중화분
KR200230583Y1 (ko) 저면돌기형 화분
KR200220766Y1 (ko) 자동급수화분
KR200393055Y1 (ko) 화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