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818A - 승강식 주차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식 주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818A
KR20240048818A KR1020220128596A KR20220128596A KR20240048818A KR 20240048818 A KR20240048818 A KR 20240048818A KR 1020220128596 A KR1020220128596 A KR 1020220128596A KR 20220128596 A KR20220128596 A KR 20220128596A KR 20240048818 A KR20240048818 A KR 20240048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pallet
wire
parking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현
Original Assignee
지에스파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파킹(주) filed Critical 지에스파킹(주)
Priority to KR102022012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818A/ko
Publication of KR20240048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81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식 주차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팔레트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승강식 주차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주차시스템은 리프트수단과, 복수의 주차수단과, 메인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리프트수단은 차량의 바퀴를 받치는 리프트팔레트를 구비하여 상기 리프트팔레트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복수의 주차수단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에 받쳐진 차량을 옮겨 받아서 거치시킬 수 있게 상기 리프트팔레트가 관통하여 하강할 수 있는 차량거치대와, 상기 차량거치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거치대의 양단에 결합된 이송가이드를 구비한 주차팔레트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을 주차시킨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주차팔레트를 지지하여 수평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게 상기 차량을 주차시키는 각 층마다 장착된 승강부이송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리프트팔레트를 수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는 리프트부와, 상기 주차팔레트를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이송레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층 마다 장착된 주차부이송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리프트부의 양측에서 상기 각 층마다 상기 주차수단을 수용하는 주차부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리프트수단은 한 쌍의 전방와이어와, 한 쌍의 후방와이어와, 한 쌍의 전방휠과, 한 쌍의 수평휠과, 한 쌍의 후방휠과, 웨이트블럭과, 와이어모터와, 가이드휠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전방와이어는 일단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다. 상기 후방와이어는 일단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다. 상기 전방휠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전방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으로 올라오는 상기 전방와이어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의 중앙으로 모아서 안내하도록 상기 리프트부의 전방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휠은 상기 전방휠에서 안내되는 상기 전방와이어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의 후방으로 안내한다. 상기 후방휠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으로 올라오는 상기 후방와이어를 상기 수평휠로 안내하도록 상기 리프트부의 후방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웨이트블럭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휠에서 안내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 결합되는 상기 전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에 자중을 작용시킬 수 있게 메달릴 수 있다. 상기 와이어모터는 상기 리프트팔레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휠에서 상기 웨이트블럭으로 안내되는 상기 전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휠은 상기 수평휠에서 안내되는 상기 전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를 상기 와이어모터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승강식 주차시스템{Lifting type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승강식 주차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팔레트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승강식 주차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도심의 공간은 한정적이지만 갈수록 차량이 증가함에 따라 도심 내에서 주차 공간의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이로인하여 불법 주차가 발생하고, 차량의 통행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주차공간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좁은 공간에 다량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기계식 주차설비는 일반적으로 주차설비 내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팔레트를 다층으로 마련하고, 승하강할 수 있는 리프트팔레트를 사용하여 입고 차량을 주차팔레트로 주차시키거나, 주차팔레트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시킨다. 그래서 차량을 입고 및 출고하기 위해서는 리프트팔레트가 수직으로 승하강 해야 한다.
기계식 주차설비의 경우 리프트팔레트의 승하강은 리프트팔레트의 전방과 후방의 4곳의 모서리에 와이어를 연결한 후 전동모터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끌어당기거나 내려서 리프트팔레트를 승하강시켰다.
그래서 기계식 주차설비의 경우 리프트팔레트를 승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와이어와, 와이어를 안내하는 복수의 휠 등이 복잡하게 사용되었다.
공개특허 제10-2008-0051394호(공개일자 2008년 06월 11일) 등록특허 제10-2173577호(등록일자 2020년 10월 28일) 등록특허 제10-2389108호(등록일자 2022년 04월 18일)
차량을 입고 및 출고하기 위하여 리프트팔레트를 승하강시킬 때에는 리프트팔레트에는 차량이 적재되어 있으므로 많은 동력일 필요하다. 그래서 와이어를 동작시키는 모터의 동력이 증대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프트팔레트를 승하강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와이어, 복수의 휠 및 모터 등이 필요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경우 엔진이 차량의 전방에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전륜쪽이 후륜쪽보다 무게가 많이 나간다. 그래서 차량이 리프트팔레트에 적재되면 리프트팔레트의 전방이 후방보다 더 많은 하중이 나가므로 리프트팔레트의 후방에 결합된 와이어보다 전방에 결합된 와이어에 더 많은 하중이 작용한다. 그래서 와이어 간의 하중이 일정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은 동력으로 리프트팔레트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식 주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리프트팔레트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식 주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중의 배분을 적절하게 할 수 있는 승강식 주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주차시스템은 리프트수단과, 복수의 주차수단과, 메인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리프트수단은 차량의 바퀴를 받치는 리프트팔레트를 구비하여 상기 리프트팔레트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복수의 주차수단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에 받쳐진 차량을 옮겨 받아서 거치시킬 수 있게 상기 리프트팔레트가 관통하여 하강할 수 있는 차량거치대와, 상기 차량거치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거치대의 양단에 결합된 이송가이드를 구비한 주차팔레트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을 주차시킨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주차팔레트를 지지하여 수평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게 상기 차량을 주차시키는 각 층마다 장착된 승강부이송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리프트팔레트를 수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는 리프트부와, 상기 주차팔레트를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이송레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층 마다 장착된 주차부이송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리프트부의 양측에서 상기 각 층마다 상기 주차수단을 수용하는 주차부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리프트수단은 한 쌍의 전방와이어와, 한 쌍의 후방와이어와, 한 쌍의 전방휠과, 한 쌍의 수평휠과, 한 쌍의 후방휠과, 웨이트블럭과, 와이어모터와, 가이드휠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전방와이어는 일단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다. 상기 후방와이어는 일단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다. 상기 전방휠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전방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으로 올라오는 상기 전방와이어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의 중앙으로 모아서 안내하도록 상기 리프트부의 전방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휠은 상기 전방휠에서 안내되는 상기 전방와이어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의 후방으로 안내한다. 상기 후방휠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으로 올라오는 상기 후방와이어를 상기 수평휠로 안내하도록 상기 리프트부의 후방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웨이트블럭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휠에서 안내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 결합되는 상기 전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에 자중을 작용시킬 수 있게 메달릴 수 있다. 상기 와이어모터는 상기 리프트팔레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휠에서 상기 웨이트블럭으로 안내되는 상기 전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휠은 상기 수평휠에서 안내되는 상기 전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를 상기 와이어모터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평휠은 상기 후방휠 보다 상기 전방휠에 더 근접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방와이어 및 상기 후방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메임프레임의 후방의 상단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리프트부와 상기 주차부의 사이에서 수직으로 장착되어 상기 승강부이송레일과 상기 주차부이송레일을 지지하는 수직칼럼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리프트팔레트는 상기 수직칼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블럭은 상기 수직칼럼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리프트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모터에서 나오는 상기 전방와이어 및 상기 후방와이어에 메달리도록 상기 웨이트블럭의 상부에 장착된 한 쌍의 웨이트휠을 더 구비하여 상기 웨이트블럭이 상기 전방와이어 및 상기 후방와이어에 메달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웨이트블럭이 전방와이어 및 후방와이어에 메달려서 리프트팔레트를 상승시키므로 리프트팔레트에 차량이 적재되더라도 리프트팔레트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휠을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리프트팔레트의 전방 쪽으로 위치시킨다. 그래서 하중이 많이 나가는 전방와이어의 지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와이어와 후방와이어의 한 쪽 끝단을 메인프레임에 결합시키고, 수평휠과, 가이드휠을 사용하여 와이어모터로 리프트팔레트를 승하강시키므로 그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주차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리프트수단의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일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주차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주차시스템은 리프트수단(10)과, 메인프레임(20)과, 복수의 주차수단(30)을 포함한다.
리프트수단(10)은 메인프레임(10)의 리프트부(21)에 장착되는 리프트팔레트(11)와 리프트팔레트(11)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부를 구비하며, 승하강부는 리프트부(21)에서 리프트팔레트(11)를 승하강시킨다. 리프트팔레트(11)는 차량의 바퀴를 받친다. 승하강부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메인프레임(20)과, 주차수단(30)을 설명한다.
메인프레임(20)은 리프트부(21)와 주차부(25)와, 수직칼럼(27)을 구비한다. 리프트부(21)는 리프트팔레트(11)를 수용하여, 리프트팔레트(11)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차량은 리프트부(21)에서 입고 및 출고될 수 있다. 그래서 리프트팔레트(11)는 리프트부(21)에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리프트부(21)는 차량이 주차되는 각 층 마다 주차팔레트(31)를 지지하여 주차부(25)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게 장착된 승강부이송레일(22)을 구비한다.
주차부(25)는 리프트부(21)의 양측에 형성되며, 차량을 높이에 따라 다층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주차수단(30)을 수용한다. 이를 위하여 주차부(25)는 차량을 주차시키는 각 층마다 주차팔레트(31)를 지지하여 승강부이송레일(22)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게 장착된 주차부이송레일(26)을 구비한다.
수직칼럼(27)은 리트프부(210와 주차부(25)의 사이에서 수직으로 장착되며, 승강부이송레일(22)과 주차부이송레일(26)을 지지한다. 그리고 수직칼럼(27)은 리프트팔레트(11)가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프트팔레트(11)는 수직칼럼(27)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을 한다.
주차수단(30)은 주차팔레트(31)와, 롤러(39)와, 롤러구동부(41)와, 전원공급부(45)를 구비한다. 주차팔레트(31)는 리프트팔레트(11)로부터 차량을 옮겨 받아서 차량을 주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주차팔레트(31)는 차량거치대(32)와, 이송가이드(34)를 구비한다. 차량거치대(32)는 리프트팔레트(11)에 받쳐진 차량을 옮겨 받아서 거치시킬 수 있도록 리프트팔레트(11)가 관통하여 하강할 수 있게 형성된다. 즉 리프트팔레트(11)가 차량거치대(32)를 관통하여 하강하면 리프트팔레트(11)에 받쳐진 차량은 차량거치대(32)로 옮겨진다.
이송가이드(34)는 차량거치대(32)가 주차부이송레일(26)과 승강부이송레일(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도록 차량거치대(32)의 양단에 결합된다.
롤러(39)는 주차팔레트(31)가 리프트부(21)와 주차부(25)를 왔다갔다 할 수 있도록 주차부이송레일(22) 및 승강부이송레일(26)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 이송가이드(34)에 복수 개 장착된다. 즉 롤러(39)는 주차부이송레일(22) 및 승강부이송레일(26)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이송가이드(34)에 장착된다.
롤러구동부(41)는 주차팔레트(31)가 이동할 수 있게 롤러(39)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롤러구동부(41)는 모터(42)와, 배터리(44)를 구비한다. 모터(42)는 이송가이드(34)에 장착된 롤러(39)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게 주차팔레트(31)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모터(42)는 리프트부(21)를 기준으로 최외측에 장착된 롤러(39)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주차팔레트(31)에 장착된다. 배터리(44)는 모터(4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주차팔레트(31)에 장착된다. 모터(42) 및 배터리(44)가 주차팔레트(3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주차팔레트(31)가 이동을 하면 모터(42) 및 배터리(44)도 함께 이동을 한다. 한편 배터리(44)는 충전이 되어야 하므로 주차팔레트(31)가 주차부(25)에 위치하면 배터리(44)는 충전될 수 있도록 주차팔레트(31)에 장착된다.
전원공급부(45)는 주차팔레트(31)가 슬라이딩하여 주차부(25)로 위치하면 배터리(44)를 충전시키도록 주차부(25)의 각 층에 장착된다. 즉 전원공급부(45)는 배터리(44)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원공급부(45)에서 무선으로 배터리(44)를 충전한다. 그래서 주차팔레트(31)가 주차부(25)에 위치하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45)와 배터리(44)가 위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배터리(44)는 이송가이드(34)의 주차부(25) 방향쪽으로의 단부에 장착되고, 전원공급부(45)는 배터리(44)에 마주보도록 주차부(25)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배터리(44)는 전원공급부(45)에서 무선으로 충전되지만, 주차팔레트(31)가 주차부(25)로 이동하면 배터리(44)가 전원공급부(45)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유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리프트수단(10)은 리프트부(21)에서 리프트팔레트(11)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부가 한 쌍의 전방와이어(51)와, 한 쌍의 후방와이어(53)와, 한 쌍의 전방휠(55)과, 한 쌍의 수평휠(57)과, 웨이트블럭(61)과, 와이어모터(3)와, 가이드휠(65)과, 한 쌍의 웨이트휠(67)을 구비한다.
전방와이어(51)는 일단은 리프트팔레트(11)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메인프레임(20)의 후방의 상부(20a)에 결합된다. 전방와이어(51)는 한 쌍이므로 서로 대칭되도록 리프트팔레트(11)의 전방의 양단에서 메인프레임(20)의 후방의 상부(20a)로 각각 결합된다.
후방와이어(53)는 일단은 리프트팔레트(11)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메인프레임(20)의 후방의 상부(20a)에 결합된다. 후방와이어(53)도 전방와이어(51)와 마찬가지로 한 쌍이므로 서로 대칭되도록 리프트팔레트(11)의 후방의 양단에서 메인프레임(20)의 후방의 상부(20a)로 각각 결합된다.
전방휠(55)은 리프트팔레트(11)의 전방에서 메인프레임(20)의 상단으로 올라오는 전방와이어(51)를 메인프레임(20)의 상단의 중앙으로 모아서 안내하도록 리프트부(21)의 전방의 상단에 결합된다. 전방와이어(51)가 리프트팔레트(11)의 전방의 양단에서 각각 메인프레임(20)의 상단으로 올라오므로 전방휠(5)은 한 쌍이 리프트부(20)의 전방의 상단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전방휠(55)은 전방와이어(51)를 중앙으로 모아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쌍이 약간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메인프레임(20)에 결합된다. 전방휠(55)은 수직으로 올라오는 전방와이어(53)의 방향을 수평으로 전환시키므로 수직으로 메인프레임(20)에 장착된다.
수평휠(57)은 전방휠(55)에서 안내되는 전방와이어(51)를 메인프레임(20)의 상단의 후방으로 안내한다. 전방휠(55)이 리프트부(21)의 상단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전방와이어(51)가 안내되므로 수평휠(57)도 각각의 전방휠(55)에서 안내되어 오는 전방와이어(51)를 지지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쌍이 장착된다. 수평휠(57)은 전방휠(55)에서 수평으로 안내되어 나오는 전방와이어(51)을 수평면에서 방향을 전환시키므로 수평으로 메인프레임(20)에 장착된다.
후방휠(59)은 리프트팔레트(11)의 후방에서 메인프레임(20)의 상단으로 올라오는 후방와이어(53)를 수평휠(57)로 안내하도록 리프트부(21)의 후방의 상단에 결합된다. 전방휠(55)과 마찬가지로 후방휠(59)은 한 쌍이 리프트부(20)의 후방의 상단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한 쌍이 약간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메인프레임(20)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그래서 전방휠(55)에서 안내되는 전방와이어(51) 및 후방휠(59)에서 안내되는 후방와이어(59)는 모두 수평휠(57)로 안내된다. 전방와이어(51)는 리프트팔레트(11)의 전방에 결합되므로 리프트팔레트(11)의 전방을 지지하고, 후방와이어(53)는 리프트팔레트(11)의 후방을 지지한다. 차량의 경우 엔진이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므로 전륜이 후륜보다 하중이 많이 나간다. 그래서 차량이 리프트팔레트(11)에 적재되면 리프트팔레트(11)의 전방이 후방보다 무겁게 된다. 그래서 전방와이어(51)가 후방와이어(53)보다 더 많은 하중을 받게 된다. 그래서 수평휠(57)은 메인프레임(20)의 상단에서 후방휠(59)보다 전방휠(55)에 더 근접하도록 장착된다.
수평휠(57)이 후방휠(59)보다 전방휠(55)에 더 근접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한 쌍의 전방휠(55)이 마주보는 각도가 한 쌍의 후방휠(59) 보다 더 크게 된다.
웨이트블럭(61)은 적은 힘으로 리프트팔레트(1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리프트팔레트(11)에 하중을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웨이트블럭(61)은 수평휠(57)에서 안내되어 메인프레임(20)으로 결합되는 전방와이어(51)와 후방와이어(53)에 리프트팔레트(11)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자중을 작용시킬 수 있게 메달린다. 즉 웨이트블럭(61)이 수평휠(57)에서 나와서 메인프레임(20)에 결합되는 전방와이어(51) 및 후방와이어(53)에 메달리게 되면 전방와이어(51) 및 후방와이어(53)에 자중을 가하게 되어 자중만큼 리프트팔레트(11)에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그래서 적은 동력으로 리프트팔레트(1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웨이트블럭(61)은 수직칼럼(27)의 사이에 위치한다.
와이어모터(63)는 리프트팔레트(1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평휠(57)에서 웨이트블럭(61)으로 안내되는 전방와이어(51)와 후방와이어(53)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20)의 상부에 장착된다. 종래의 승강식 주차시스템의 경우 리프트팔레트(11)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범용유도전동기와, 김속기와, 커플링 및 와이어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롤러(쉬브)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와이어모터(63)로 PM모터(기어리스)를 사용하여 롤러(쉬브)를 적용하면 전방와이어(51) 및 후방와이어(53)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그래서 종래의 승강식 주차시스템에 비하여 그 구조를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다.
가이드휠(65)은 수평휠(57)에서 안내되는 전방와이어(51)와 후방와이어(53)를 와이어모터(63)로 안내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20)의 상부에 장착된다.
웨이트휠(67)은 메인프레임(20)에 결합되기 위하여 와이어모터(63)에서 나오는 전방와이어(51) 및 후방와이어(53)에 메달리도록 웨이트블럭(61)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래서 웨이트블럭(61)은 웨이트휠(67)이 전방와이어(51) 및 후방와이어(53)에 메달리므로 리트프팔레트(11)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웨이트휠(67)은는 전방와이어(51) 및 후방와이어(55) 등 2개의 와이어에 메달리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프트부(21)를 통하여 차량이 입고되거나 출고된다. 예를들어 차량의 입고시, 리프트수단(10)에 의해 리프트팔레트(11)가 입구로 하강한다. 그러면 리프트팔레트(11)로 차량을 적재할 수 있다. 리프트팔레트(11)가 상승 후 주차시킬 층에 있는 주차팔레트(31)를 리프트부(21)로 이동시킨다. 롤러구동부(41)를 구동시키면 주차팔레트(31)는 리프트부(21)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팔레트(11)를 하강시키면, 리프트팔레트(11)에 적재된 차량은 주차팔레트(31)로 적재된다. 그리고 롤러구동부(41)를 구동시켜서 주차팔레트(31)를 주차부(25)로 이동시킨다. 주차팔레트(31)가 주차부(25)로 이동되면 배터리(44)는 전원공급부(45)로부터 충전되므로 배터리(44)는 항상 충전되어 있다.
리프트팔레트(11)를 승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모터(63)를 구동시킨다. 와이어모터(63)가 전방와이어(51) 및 후방와이어(53)를 리프트부(21)의 전방으로 전진시키면 리프트팔레트(11)가 하강하고, 리프트부(21)의 후방으로 전진시키면 리프트팔레트(11)가 상승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웨이트블럭(61)이 전방와이어(51) 및 후방와이어(53)에 메달려 있으므로 웨이트블럭(61)의 무게 만큼 리프트팔레트(11)를 위로 잡아당기고 있어서 리프트팔레트(11)를 상승시킬 때에는 적은 힘으로도 리프트팔레트(1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웨이트블럭(61)은 한 쌍의 웨이트휠(67)이 상부에 부착되어 웨이트휠(67)을 통하여 리프트팔레트(11)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전방와이어(51) 및 후방와이어(53) 등 와이어를 이용하여 웨이트블럭(61)의 자중을 리프트팔레트(11)에 전달시키므로 웨이트블럭(61)을 수직칼럼(27)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주차부이송레일(26)의 사이에 있는 승강부이송레일(22)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메인프레임(20)에서 웨이트블럭(61)이 돌출되는 것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 승강식 주차시스템의 부피를 작게할 수 있다. 그래서 승강식 주차시스템을 더욱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리프트팔레트(11)에 차량이 적재될 때 리프트팔레트(11)의 전방이 무겁더라도 수평휠(57)이 후방휠(59)보다 전방휠(57)에 더 근접하도록 장착되므로 리프트팔레트(11)에 작용하는 하중을 적절하게 배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롤러구동부(41)가 주차팔레트(31)에 장착되므로 메인프레임(20)에는 별도의 롤러가 필요하지 아니하다. 그래서 종래의 승강식 주차시스템에 비하여 롤러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44)가 각각의 주차팔레트(31)에 장착되어 롤러구동부(41)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래서 주차팔레트(31)에 장착된 롤러구동부(4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20)에서 주차팔레트(3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선이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39)를 구동시키기 위한 롤러구동부(41) 및 전원공급부(45)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10 : 리프트수단 11 : 리프트팔레트
20 : 메인프레임 21 : 리프트부
22 : 승강부이송레일 25 : 주차부
26 : 주차부이송레일 30 : 주차수단
31 : 주차팔레트 32 : 차량거치대
34 : 이송가이드 39 : 롤러
41 : 롤러구동부 42 : 모터
44 : 배터리 45 : 전원공급부
51 : 전방와이어 53 : 후방와이어
55 : 전방휠 57 : 후방휠
61 : 웨이트블럭 63 : 와이어모터
65 : 가이드휠

Claims (5)

  1. 차량의 바퀴를 받치는 리프트팔레트를 구비하여 상기 리프트팔레트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수단과,
    상기 리프트팔레트에 받쳐진 차량을 옮겨 받아서 거치시킬 수 있게 상기 리프트팔레트가 관통하여 하강할 수 있는 차량거치대와, 상기 차량거치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거치대의 양단에 결합된 이송가이드를 구비한 주차팔레트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한 복수의 주차수단과,
    상기 주차팔레트를 지지하여 수평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게 상기 차량을 주차시키는 각 층마다 장착된 승강부이송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리프트팔레트를 수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는 리프트부와, 상기 주차팔레트를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이송레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층 마다 장착된 주차부이송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리프트부의 양측에서 상기 각 층마다 상기 주차수단을 수용하는 주차부를 구비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수단은
    일단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한 쌍의 전방와이어,
    일단은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한 쌍의 후방와이어,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전방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으로 올라오는 상기 전방와이어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의 중앙으로 모아서 안내하도록 상기 리프트부의 전방의 상단에 결합된 한 쌍의 전방휠과,
    상기 전방휠에서 안내되는 상기 전방와이어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수평휠과,
    상기 리프트팔레트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으로 올라오는 상기 후방와이어를 상기 수평휠로 안내하도록 상기 리프트부의 후방의 상단에 결합된 한 쌍의 후방휠과,
    상기 리프트팔레트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휠에서 안내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 결합되는 상기 전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에 자중을 작용시킬 수 있게 메달릴 수 있는 웨이트블럭과,
    상기 리프트팔레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휠에서 상기 웨이트블럭으로 안내되는 상기 전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와이어모터와,
    상기 수평휠에서 안내되는 상기 전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를 상기 와이어모터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가이드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휠은 상기 후방휠 보다 상기 전방휠에 더 근접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차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와이어 및 상기 후방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메임프레임의 후방의 상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차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리프트부와 상기 주차부의 사이에서 수직으로 장착되어 상기 승강부이송레일과 상기 주차부이송레일을 지지하는 수직칼럼을 더 구비하며,
    상기 리프트팔레트는 상기 수직칼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차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블럭은 상기 수직칼럼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리프트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모터에서 나오는 상기 전방와이어 및 상기 후방와이어에 메달리도록 상기 웨이트블럭의 상부에 장착된 한 쌍의 웨이트휠을 더 구비하여 상기 웨이트블럭이 상기 전방와이어 및 상기 후방와이어에 메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차시스템.




KR1020220128596A 2022-10-07 2022-10-07 승강식 주차시스템 KR20240048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596A KR20240048818A (ko) 2022-10-07 2022-10-07 승강식 주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596A KR20240048818A (ko) 2022-10-07 2022-10-07 승강식 주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818A true KR20240048818A (ko) 2024-04-16

Family

ID=9088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596A KR20240048818A (ko) 2022-10-07 2022-10-07 승강식 주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8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5094A (zh) 车厢活动底板升降机构
CN211038010U (zh) 载车平台及立体停车库
CN213895048U (zh) 一种双暂存提升机
CN210710290U (zh) 一种升降电梯用配重装置
KR20240048818A (ko) 승강식 주차시스템
CN210505416U (zh) 一种能上车的电动装卸车
CN109944483B (zh) 具有充电功能的立体循环停车库及其控制方法
CN219858841U (zh) 悬挂轨道及悬挂式堆垛机
KR200167348Y1 (ko) 승강 구동부를 분리한 스태커 타입 주차설비
CN108049675B (zh) 车辆搬运设备
KR20240048810A (ko) 승강식 주차시스템
CN106930575B (zh) 一种简易双层车库
CN114016787B (zh) 一种用于升降横移停车设备的装载机构
CN211572789U (zh) 一种树状升降旋转伸缩式立体车库
CN210763821U (zh) 方便电瓶车进入的电梯
CN216235831U (zh) 一种方便上货的货运电梯
CN216268784U (zh) 具有固定式驱动机构的电池转运系统及充换电站
CN212954169U (zh) 双立柱堆垛机
CN218538024U (zh) 一种双立柱堆垛机
CN219008989U (zh) 升降鞍座
CN219219941U (zh) 一种地坑式升降横移停车设备
CN219261668U (zh) 一种建筑施工脚手架
CN218324156U (zh) 一种四吊点提升机构及升降机
CN215796181U (zh) 一种自动化立体仓库巷道堆垛机
CN216303011U (zh) 一种新型电梯对重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