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105A -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 - Google Patents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105A
KR20240048105A KR1020220127499A KR20220127499A KR20240048105A KR 20240048105 A KR20240048105 A KR 20240048105A KR 1020220127499 A KR1020220127499 A KR 1020220127499A KR 20220127499 A KR20220127499 A KR 20220127499A KR 20240048105 A KR20240048105 A KR 20240048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assembly
handmade
dynamomet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호
이흥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비티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비티모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비티모터스
Priority to KR102022012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105A/ko
Publication of KR2024004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4Joining preassembled modular units composed of sub-units performing diverse functions, e.g. engine and bon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0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ngines, clutches or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제작으로 자동차를 조립할 때 엔진과 같은 동력계와 차체인 바디를 각각 올려놓고 위치 및 높이를 조정한 후 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Assembly jig for small production handmade-vehicle}
본 발명은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제작으로 자동차를 조립할 때 엔진과 같은 동력계와 차체인 바디를 각각 올려놓고 위치 및 높이를 조정한 후 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제조산업 기반은 대량생산 체제로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업화 되어 있다.
반면 소량생산 자동차 산업의 기반은 사람의 인력에 의한 비중이 높은 수제작이다.
이렇게 자동차의 수제작을 위해서는 엔진과 같은 동력계와 차체인 바디를 각각 제작한 후 조립하게 되는데 조립위치나 높이를 정확하게 배치하여 조립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조립 공법 수행을 위한 기반시설로 수제작에 적합한 조립 지그를 개발하여야 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2003907호, 알루미늄 재질을 갖는 수제자동차 프레임의 플레이트형 액슬 장착구조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86169호, 수제자동차 프레임의 플레이트형 액슬 장착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제자동차를 제작할 때 동력계와 바디를 각각 이동시켜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킨 후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조립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계와 바디를 각각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후 서로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조립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량생산 수제자동차의 조립을 위한 조립지그로서, 자동차의 동력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제1 지그; 상기 제1 지그와 분리되고 자동차의 바디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제2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들은 각각 이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지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들은 각각, 조립대상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정반; 상기 정반 하단에 부착되고 이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의 하단에 부착되는 캐스터; 및 상기 정반에 구비되어 조립대상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조립지그에 의하면 동력계와 바디를 올려놓을 수 있고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지그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 및 높이 위치시킨 후 서로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조립에 의한 바디의 비틀림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기준점과 기틀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숙력도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지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지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지그에 동력계와 바디를 각각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동력계와 바디를 조립한 후, 펜더와 도어를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지그(100)는 제1 지그(110) 및 제2 지그(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그(110)와 상기 제2 지그(120)는 서로 분리되어 각각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지그(110)에는 엔진인 동력계를 올려놓을 수 있고, 상기 제2 지그(120)에는 차체인 바디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동력계와 바디 간의 조립위치 및 높이를 정렬한 후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그(110)는 동력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제1 정반(111), 상기 제1 정반(111)을 지면에서 지지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대(112), 상기 각 제1 지지대(112)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정반(111)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제1 캐스터(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그(120)는 바디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제2 정반(121), 상기 제2 정반(121)을 지면에서 지지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지대(122), 상기 각 제2 지지대(122)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정반(121)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제2 캐스터(11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지그(110)와 상기 제2 지그(120)의 구조는 서로 대동소이하다.
다만, 올려놓는 부품의 크기를 감안하여, 정반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정반의 크기가 큰 지그의 경우 정반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크기가 작은 지그보다 지지대의 개수가 추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지그(110)와 상기 제2 지그(120)는 서로 다른 부품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각각 이동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정확한 위치 및 높이에서 부품들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오조립으로 인한 부품의 비틀림 또는 파손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지그에 동력계와 바디를 각각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동력계와 바디를 조립한 후, 펜더와 도어를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는 윈치나 크래인 혹은 대차를 이용하여 구동계(10)를 상기 제1 지그(110)에 올리고 바디(20)를 상기 제2 지그(120)에 올린다.
다음, 어느 하나 또는 각각의 지그를 움직여 조립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때, 각 지그(110,120)의 지지대 길이 조정을 통해 높낮이와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조립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다.
다음, 구동계(10)와 바디(20)를 서로 조립하고, 펜더(11,21)와 도어(22) 같은 외장을 조립하여 수제자동차의 조립을 완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립지그(100)에 의하면, 수제자동차를 제작할 때, 중량이 많이 나가는 부품인 구동계(10)와 바디(20)를 정확한 위치 및 높이에서 서로 조립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가 낮더라도 오조립에 의한 바디의 비틀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동력계 20:바디
100: 조립지그 110:제1 지그
111:제1 정반 112:제1 지지대
113:제1 캐스터 120:제2 지그
121:제2 정반 122:제2 지지대
123:제2 캐스터

Claims (2)

  1. 소량생산 수제자동차의 조립을 위한 조립지그로서,
    자동차의 동력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제1 지그;
    상기 제1 지그와 분리되고 자동차의 바디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제2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들은 각각 이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들은 각각,
    조립대상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정반;
    상기 정반 하단에 부착되고 이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의 하단에 부착되는 캐스터; 및
    상기 정반에 구비되어 조립대상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지그.

KR1020220127499A 2022-10-06 2022-10-06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 KR20240048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499A KR20240048105A (ko) 2022-10-06 2022-10-06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499A KR20240048105A (ko) 2022-10-06 2022-10-06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105A true KR20240048105A (ko) 2024-04-15

Family

ID=9071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499A KR20240048105A (ko) 2022-10-06 2022-10-06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10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907A (ko)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90086169A (ko)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모헤닉모터스 수제자동차 프레임의 플레이트형 액슬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907A (ko)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90086169A (ko)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모헤닉모터스 수제자동차 프레임의 플레이트형 액슬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698B1 (en) Method for making a motor car body
US81724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wind turbine rotor blade
CN104084733B (zh) 工装胎架
KR20240048105A (ko) 소량생산 수제자동차 조립지그
EP2664413A1 (en) Support component of a machine tool
CN105522501B (zh) 汽车模具泡沫模型装夹夹具
US7717220B2 (en) Crossmember center section
US20040150148A1 (en) Support for automotive parts
CN104249757B (zh) 用于轴距调整的铸造基准
EP4003640B1 (en) Platform for conveying work parts in an assembly line, and method for placing work parts on the same
CN203269308U (zh) 用于汽车厂电动单轨运输系统上的柔性组合吊具
CN201999102U (zh) 乘用车动力模块装配支持系统
CN203956561U (zh) 一种用于副车架改制的组件
CN205496854U (zh) 一种登机桥固定桥头拼接工装
JP4124879B2 (ja) シャーシフレームのクロスメンバ
CN211465235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活动胎架
CN108016695A (zh) 一种板料运输托盘
JP5711097B2 (ja) 柱構造及び施工方法
CN211806022U (zh) 一种磁性边模摆放库
CN207771698U (zh) 一种汽车顶板工装
JPH0348964Y2 (ko)
CN213737228U (zh) 一种轮胎与轮毂装配用输送装置
JPH0641914Y2 (ja) リヤアクスルアセンブリの組付け装置
CN209830737U (zh) 一种立体停车库的二层纵梁的辅助加工工装
JPH0735611Y2 (ja) 車体矯正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