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956A - 단량체 융합 펩타이드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단량체 융합 펩타이드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956A
KR20240047956A KR1020237044996A KR20237044996A KR20240047956A KR 20240047956 A KR20240047956 A KR 20240047956A KR 1020237044996 A KR1020237044996 A KR 1020237044996A KR 20237044996 A KR20237044996 A KR 20237044996A KR 20240047956 A KR20240047956 A KR 20240047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p1
peptide
gly
lys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리 쑤
라즐로 오트보스
Original Assignee
알리스타 파마슈티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스타 파마슈티컬즈, 인크. filed Critical 알리스타 파마슈티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047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9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605Glucag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5759Products of obesity genes, e.g. leptin, obese (OB), tub, fa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abet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besity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Immunology (AREA)

Abstract

GLP1 변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를 포함한 융합 펩타이드는 스페이서에 의해 GLP1 변이체에 화학적으로 부착된다. GLP1 변이체 일부는 천연 GLP1 대비 하나 이상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상이한 부착 위치에서 GLP1 변이체에 부착될 수 있다. 융합 펩타이드를 이용하는 대사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 방법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단량체 융합 펩타이드 및 이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은 이중 작용제가 있는 단량체 펩타이드, 특히, 변형된 글루카곤 유사 1 작용제 및 아디포넥틴 수용체 작용제를 포함한 펩타이드, 및 당뇨 치료에 있어서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제2형 당뇨병은 공중 보건에 심각한 위협을 주고 있다. 현재, 당뇨와 같은 대사 질환을 위한 가장 이용 가능한 치료 요법은 인슐린 생산 향상과 같은 단일 요소를 표적으로 한다. 하지만, 에너지 항상성 동요에 대한 저항은 인간 대사 장애의 이종 병태생리와 결합되어 현재의 약리학적 옵션의 지속 가능성과 효능을 제한해왔다. 비조절적 에너지 소비의 세포 특징 및 인슐린 저항에 대해 알려지고 있는 통찰은 다중 신호 전달 경로의 조정된 표적화가 포도당 역학만을 표적으로 하는 것 이상으로 이러한 질환의 진행을 역전시키기 위한 상당한 개선에 필요할 것이라는 점을 제시한다.
본원에서 GLP1 또는 GLP1(7-36) 아마이드로도 알려지고 아미노산 서열[유리 아미노 말단-HAEGTFTSDVSSYLEGQAAKEFIAWLVKGR-아마이드(서열 번호 1)]을 가진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은 음식 섭취 이후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의 인슐린 방출을 제어함으로써 포도당 항상성을 조절하는 30번 아미노산 잔기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은 영양소/음식 섭취 이후 위장관에서 방출되고 혈당 조절을 위해 식후 인슐린의 급속 방출을 자극한다. 또한, GLP1은 위장관 내 포만감 인자로 작용하고 소화된 음식물을 비우는 시간을 지연하여 음식 섭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위장관에서의 소화 작용을 느리게 하고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GLP1 작용제 활성을 가진 펩타이드 약물은 특히, 디펩티딜 펩티데이즈 4[dipeptidyl peptidase 4, DPP-4]에 의한 단백질 분해를 감소시키고 반감기를 연장시키기 위해 변형되어왔다. 하지만, GLP1 유사체는 스스로 항염증 또는 항섬유화 작용을 하지 않고 표적 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GLP1과 호르몬 유사체의 병용이 기술되어 있고 콜레시스토키닌, 펩타이드 YY, 글루카곤, GLP2, 위 억제 폴리펩타이드[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 GIP], 가스트린, 뉴로텐신,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21[fibroblast growth factor 21, FGF21], 멜라노코틴 수용체 4[melanocortin receptor 4, MC4R] 작용제, 인슐린 및 SGLT2 억제제와 병용하는 GLP1을 포함한다.
가장 풍부한 펩타이드가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므로, 아디포넥틴은 비만, 인슐린 저항 및 염증 사이의 상호관계의 주요 조절자이다. 인슐린 저항이 동반되는 복부비만이 제2형 당뇨 및 이의 합병증에 대한 발달 진행에 있어서 주요 인자이다.
아디포넥틴은 단량체, 삼량체, 육량체, 또는 최대 18-mer의 고분자량 복합체를 가진 단백질 응집체로서 순환계에서 존재한다. AdipoR1 및 AdipoR2는 생체 내 및 세포 작용을 매개하는 데 주요한 수용체이다. 아디포넥틴 수용체는 아데노신 일인산[adenosine mono phosphate, AMP] 키네이즈(AMPK) 활성화에 신호를 전달하여, 지방 조직, 근육, 간, 및 췌장을 포함한 다중 기관 내에서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 직접 영향을 행사하여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수용체는 사실상 모든 조직 및 세포 유형상에 편재하여 발현된다. 또한, 아디포넥틴 수용체 신호전달의 활성화는 다양한 세포 간 신호전달 경로에 영향을 주어, 간 및 근육에서의 신규지방합성[de novo lipogenesis] 및 지질 산화 증가의 억제; IL-6, TNF-alpha, 및 IL-1b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서의 억제뿐만 아니라 단핵구 활성화의 억제를 포함하는 염증 매개물의 감소; 부상 이후의 항 아포토틱 및 세포 재생 작용; 및 호 섬유 경로의 억제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유익한 작용을 유발한다.
GLP1이나 아디포넥틴의 작용을 포함하는 분자 또는 약물은 단독으로 제공했을 때 볼 수 없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GLP1 유사체는 식후 인슐린 생산 증가에 효과가 있는 반면,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이러한 두 작용의 병용은 포도당 처리에 대한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시도해왔던 GLP1 및 아디포넥틴 작용의 병용에 대한 한 가지 접근법은 GLP1을 함유하는 융합 단백질을 구형 아디포넥틴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Gao, 등은 GLP1 및 구형 아디포넥틴의 분자 특성을 기반으로 융합 단백질을 고안하였다[문헌 Mingming Gao, Yue Tong, Wen Li, Xiangdong Gao & Wenbing Yao (2013), Artificial Cells, Nanomedicine, and Biotechnology, 41:3, 159-164]. 플라스미드 작제물은 박테리아에서 발현되었고, 생성되는 대규모 단백질은 추출되어 정제되고 포도당 저하 활동을 유지시킨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법의 한계는 구조적 일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조심스럽게 처리해야 하는 대규모 단백질을 생산하는 비싸고 비효율적인 발현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 투여에 적합한 아디포넥틴의 재조합 형태의 개발은 대규모 사이즈, 광범위한 번역 후 변형, 및 자체 응집 경향, 및 포유류 단백질 생산 시스템과 관련된 비용으로 인해 어려운 일이라고 입증되었다. 또 다른 접근법은 아디포넥틴 수용체에 결합하고 작용제 활성을 증명할 수 있는 더 작은 펩타이드 유사체를 식별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나의 작용제 펩타이드, ALY688(또한 ADP355로 알려짐)[(H-DAsn-Ile-Pro-Nva-Leu-Tyr-DSer-Phe-Ala-DSer-NH2)(여기서 H는 이탤릭체로 유리 아미노 말단 D는 주어진 아미노산이 D-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끝에 있는 NH2는 카복시 말단이 아마이드화됨을 보여주고, Nva는 L-노발린(서열 번호 2)을 지칭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나타냄)로 부르는10번 아미노산 화학적 합성 펩타이드는 특정 방식으로 아디포넥틴 수용체에 결합되고 이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GLP1 변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스페이서(spacer)에 의해 GLP1 변이체에 화학적으로 부착되는 융합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GLP1 변이체는 8번 위치에서 Gly로의 치환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GLP1 변이체는 18번 위치에서 Lys로의 치환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GLP1 변이체는 22번 위치에서 Lys로의 치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위치는 서열 번호 1의 위치와 일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GLP1 변이체는 서열 번호 4, 서열 번호 5, 및 서열 번호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서열을 가진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GLP1 변이체의 26번 위치에서 스페이서를 통해 부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GLP1 변이체의 34번 위치에서 스페이서를 통해 부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제1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 및 제2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를 포함하되, 제1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 및 제2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같거나 상이하며 각각은 GLP1 변이체의 두 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스페이서를 통해 부착된다. 두 곳의 상이한 부착 위치는 GLP1 변이체의 26번 및 34번 위치를 포함하되, 위치는 서열 번호 1의 위치와 일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ALY688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스페이서는 GGG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제2형 당뇨병을 가진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본원에서 개시된 융합 펩타이드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a-1e는 본 개시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특정 융합 펩타이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2c는 HEK-hGLP1R-Luc 세포 내 본 개시의 특정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에 의한 GLP1 수용체 활성을 나타낸다. HEK-hGLP1R-Luc 세포는 GLP1 수용체 활성의 용량 의존성을 평가하기 위해 gly8 치환이(2A) 있는 GLP1v; 또는 50nM(2B) 및 100nM(2C) 농도의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GLP1v의 18, 22, 26, 34번 잔기에 부착되는 ALY688) 중 하나의 100μl로 치료하여 GLP1 수용체 신호전달의 활성화를 평가한다(n=3).
도 3은 pP38MAPK ELISA를 사용하여 L6 골격근 세포 내 본 개시의 특정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의 시간 및 농도 의존적인 아디포넥틴 신호전달 효과의 스크리닝을 나타낸다. L6 골격근 세포는 4개의 상이한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0, 100, 300, 500 nM), gAd(1μg/ml), fAd(10 μg/ml), ALY688 (100nM) 및 아니소마이신(0.2, 1μg/mL)으로 15분 내지 30분 동안 배양한 후 pP38MAPK ELISA를 통한 아디포넥틴 유사 신호전달을 평가하였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시험 절차를 도시한다.
도 5a-5b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포도당 부하(5A) 및 AUC(5B) 이전 및 이후의 혈당을 나타낸다. 양방향 아노바(ANOVA) 및 본페로니(Bonferonni)의 시험 후 비히클(vehicle) 대 모든 다른 그룹의 경우 *p<0.05, **p<0.01 및 ***p<0.001. 크루스칼 왈리스(Kruskal-Wallis) 및 던(Dunn)의 시험 후 비히클 대 모든 다른 그룹의 경우, **p<0.01.
도 6은 마우스 내 본 개시의 GLP1 및 특정 융합 펩타이드의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적합한 화학 링커(linker) 또는 스페이서(spacer)에 의한, GLP1 변이체인 제1 모이어티(moiety), 짧은 펩타이드 기반 아디포넥틴 수용체 작용자인 제2 모이어티의 연결[conjugation]에 의해 형성된 융합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상이한 작용 기전으로 인해, GLP1과 아디포넥틴 유사체의 병용은 대사 비조절이 염증 및/또는 섬유증과 관련된 병태에서 원하는 효과의 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다. 제2형 당뇨의 경우, 근육 및 간 내의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하기 위한 아디포넥틴의 작용과 결합하여 식후 인슐린 방출을 자극하는 GLP1 작용은 전반적인 혈당 조절을 개선하기 위한 상호 보완적인 접근법일 수 있다.
펩타이드는 주사(예를 들어, 정맥 또는 피하)를 일반적으로 요구하므로, 별도의 의약품의 주사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융합 펩타이드의 구성 성분의 활성을 보존하고 단일 주사로 제형화할 수 있는 융합 펩타이드는 별도의 두 개의 주사를 투여하는 것이 선호될 것이다. 게다가, 단일 융합 펩타이드는 표적 조직에 다가가는 것이 동시에 두 개의 펩타이드보다 더 쉬우며, 접종물 내 두 개의 펩타이드의 물리적 혼합물 보다 단일 화학적 실체가 바람직하다. 융합 펩타이드는 또한 개별 펩타이드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여 우수한 약동학 및 안정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일 제형은 각각이 안정성, 예컨대, pH에 대한 요건, 부형제 안정화의 필요성, 및 가용성을 유지하는 구성 성분의 필요성을 가진 두 개의 개별적인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형보다 우수할 수 있다.
완전 구형 아디포넥틴[full globular adiponectin, gAd] 또는 전장 아디포넥틴[full-length adiponectin, fAd] 대신 아디포넥틴 단백질의 활성 부위의 통합이 치료 환경에서 gAd 또는 fAd와 비교하여 완전 펩타이드 약물에 ALY688의 모든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한 융합 펩타이드는 개별 구성 성분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융합 펩타이드의 전반적인 작용을 구성 성분을 넘어서 확장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융합 펩타이드"는 융합되거나 화학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펩타이드 부분을 함유하는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의미한다. 융합 펩타이드는 하나 이상의 분지를 갖는 분지형 배열을 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펩타이드"는 사슬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둘 이상의 아미노산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특정 천연 아미노산 잔기가 비천연 잔기에 의해 교체되는 이러한 구조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융합 펩타이드는 고체상이나 고체상의 조합 및 액체 펩타이드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천연 아미노산은 대규모 범위의 펩타이드를 합성할 준비가 된 형태로 시판되는 것들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GLP1 변이체"(또는 "GLP1v")는 변형된 GLP1을 지칭하며, GLP1 내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은 다른 아미노산(들) 또는 지질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해 교체/치환된다. 이러한 치환 부위는 천연 GLP1(서열 번호 1)의 서열 내 위치에 따라 숫자가 매겨지고 치환의 유형 또한 GLP1에 기반한다. 이러한 치환은 인간 또는 동물 약물 환경에서 사용될 때 치료 효능을 증가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GLP1 변이체는 GLP1 수용체에 대한 결합에 기반한 GLP1의 기능 및 적합한 모델에서의 혈당 수준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유지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GLP1 변이체는 8번 잔기, 예컨대 Ala8Gly, 18번 잔기, 예컨대, Ser18Lys, 22번 잔기, 예컨대, Gly22Lys, 등에서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수많은 추가적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융합 펩타이드의 제2 모이어티는 아디포넥틴 단백질[(149-166번 아미노산, H-Lys-Phe-His-Cys-Asn-Ile-Pro-Gly-Leu-Tyr-Tyr-Phe-Ala-Tyr-His-Ile-Thr-Val-NH2 (서열 번호 3) (Otvos 등, BMC Biotechnol 11, 90 (2011))의 10-mer ALY688 또는 완전 18번 잔기 활성 결합 부위와 같은 소형 분자 아디포넥틴 작용자 펩타이드, 또는 이의 임의의 단편뿐만 아니라 ALY688 유사 치환 또는 다른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와의 치환을 갖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융합 펩타이드의 제1 및 제2 펩타이드 부분은 링커/스페이서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펩타이드 부분은 GLP1 변이체의 길이를 따라 위치, 예컨대, 18, 22, 26, 34번에서 제1 펩타이드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예컨대, N 말단 또는 C 말단). 제1 펩타이드 부분상의 이러한 부위도 부착 부위를 지칭한다. 부착 부위는 치환 부위와 일치할 수 있고 치환 부위와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모이어티를 연결하는 링커는 성분 제1 또는 제2 펩타이드의 활성을 방해하지 않는다. 스페이서는 펩타이드 또는 비펩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펩타이드는 β- 또는 γ-턴 형성 잔기를 포함하여, 성분의 형태[conformation]를 α-나선 또는 β-병풍 시트[pleated sheet]로의 강제할 수 없다. 글라이신, 프롤라인, 세린 또는 유사한 턴 형성 잔기로 제조된 3 내지 4개의 잔기 스페이서는 일반적으로 융합 펩타이드의 성분 사이에서 적절한 턴을 제조한다.
이러한 융합 펩타이드는 제2 펩타이드의 하나 이상의, 예를 들어, 2, 3, 4, 또는 심지어 이 이상의 분자와 제1 펩타이드의 연결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2 펩타이드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화학 링커로 개별적 부착 부위에서 GLP1 변이체에서 부착된다.
본 개시의 융합 펩타이드의 일 구현예에서, GLP1의 8번 위치의 알라닌(Ala8)은 글라이신(Gly8)(서열 번호 4)으로 교체된다. Ala8는 단백질 분해를 야기하는 디펩티딜 펩티데이즈-4[dipeptidyl peptidase-4, DPP-IV]의 절단 부위이고, Gly8 로 Ala8의 교체는 수용체 결합 효능의 분해 및 감소를 방지함으로써 연장되는 반감기를 야기한다고 기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GLP1의 18번 위치의 세린은 라이신(서열 번호 5)으로 치환된다. 제2 모이어티는 스페이서(예를 들어, -GGG- (또는 G3) spacer)를 통해 Lys18에 부착될 수 있다. Ser18은 중성 엔도펩티데이스 24.11[neutral endopeptidase 24.11, NEP24.11]의 절단 부위이고, 따라서 대형 측쇄로 Ser18의 교체는 단백질 가수분해를 감소시킨다. 또한, Ser18은 수용체 결합 및 활성화에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Lys18로 Ser18의 교체는 수용체 결합 효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GLP1의 22번 위치의 글라이신(Gly22)은 라이신(Lys22)(서열 번호 6)으로 교체된다. 제2 모이어티는 스페이서(예를 들어, G3 스페이서)를 통해 Lys22에 부착될 수 있다. Gly22는 GLP1 내 두 개의 나선을 연결하는 디펩티드의 일부이고 따라서 기능적 또는 구조적 유의미함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라이신(Lys22)으로 Gly22의 교체는 수용체 결합 효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Lys26는 제2 모이어티를 부착하기 위해 GLP1 변이체의 부착 부위로 사용된다. Lys26에서 수용체 활성에 필요한 Phe28까지 두 개의 아미노산이 존재하기 때문에 Lys26에서 곁사슬의 부착은 수용체 결합 효능을 방해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및 세마글루타이드(Semiglutide)에서 Lys26는 지방산을 운반하며, 수용체 결합 용량에 대한 변경 없이 상이한 기능 개선을 위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Lys34는 제2 모이어티를 부착하기 위해 GLP1 변이체의 부착 부위로 사용된다. Lys34는 GLP1의 C 말단 나선의 마지막 잔기이고, 특별한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상류의 3-4 위치에 음전하 잔기가 없으므로, Lys34는 이온 상호작용을 통해 나선을 안정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Lys34는 GLP1 변이체의 결합 용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대형 측쇄 기와 부착이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서, 융합 펩타이드는 다음의 형태(ALY688이 있는 -G3- 스페이서로 Lys18에 부착된 서열 번호 5)를 취한다:
H-[GLP1-Gly8(7-36)Lys18]-(Gly-Gly-Gly-DSer-Ala-Phe-DSer-Tyr-Leu-Nva-Pro-Ile-DAsn-H)-NH2. 이의 구조는 도 1a에 나타난다.
일 구현예에서, 융합 펩타이드는 다음의 형태(ALY688이 있는 -G3- 스페이서로 Lys22에 부착된 서열 번호 6): H-[GLP1-Gly8(7-36)Lys22]-(Gly-Gly-Gly-DSer-Ala-Phe-DSer-Tyr-Leu-Nva-Pro-Ile-DAsn-H)-NH2. 이의 구조는 도 1b에 나타난다.
일 구현예에서, 융합 펩타이드는 다음의 형태(ALY688이 있는 -G3- 스페이서로 Lys26에 부착된 서열 번호 4): H-[GLP1-Gly8(7-36)Lys26]-(Gly-Gly-Gly-DSer-Ala-Phe-DSer-Tyr-Leu-Nva-Pro-Ile-DAsn-H)-NH2. 이의 구조는 도 1c에 나타난다.
일 구현예에서, 융합 펩타이드는 다음의 형태(ALY688이 있는 -G3- 스페이서로 Lys34에 부착된 서열 번호 4): H-[GLP1-Gly8(7-36)Lys34]-(Gly-Gly-Gly-DSer-Ala-Phe-DSer-Tyr-Leu-Nva-Pro-Ile-DAsn-H)-NH2. 이의 구조는 도 1d에 나타난다.
일 구현예에서, 융합 펩타이드는 다음의 형태(ALY688이 있는 -G3- 스페이서로 Lys26 및 Lys34에 부착된 서열 번호 4): 이의 구조는 도 1e에 나타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개시는 본원에서 기술된 융합 펩타이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운반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개시는 본원에서 기술된 융합 펩타이드의 치료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예컨대, 인간 환자)에 투여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인간 혈장 내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의 안정성 연구
37°C에서 인간 혈장에서의 배양 이후 다수의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의 단백질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 및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GLP1 펩타이드 또는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N=3/시점)를 인간 혈장에서 K2EDTA 항응고제로 지시된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잔류 내용물에 대해 분석하였다. HPLC[가능한 분해 생성물을 분리하기 위한 느린 구배를 사용하는 Supelco Discovery BIO Wide Pore C5-3 (2.1 X 50 mm)]를 사용하여 각 펩타이드를 수량화하였다. 고해상도 질량 분석기(Thermo Q Exactive) Plus를 사용하여 전체 스캔 및 MS2 스펙트럼을 수집하여 임의의 가능한 분해를 특징 분석하였다. 수동 및 Proteome Discoverer 데이터 마이닝 소프트웨어의 사용 둘 다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평가하였다.
[표 1]
[표 2]
[표 3]
위의 표에서, 온도는 37℃, 농도는 1000 ng/ml, 및 N=3/시점이다.
결과: 위의 표 1-3에서 나타낸 대로, GLP1(특이적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를 지칭할 때, 끝의 첨자를 사용하여 부착 부위를 지시함) 융합 펩타이드 대비 GLP1v가 Gly8 치환을 함유하는 경우 ALY688-GLP1v(Lys26) 및 ALY688-GLP1v(Lys34)는 인간 혈장에서 37 °C에 배양할 때 8 및 22 시간의 배양 이후 GLP1 펩타이드와 비교하여 원형[intact] 펩타이드의 더 높은 비율이 나타내는 대로 단백질 가수분해에 대한 더 우수한 저항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2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에 의한 GLP1 수용체 활성화의 생체 외 분석
하나 이상의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가 GLP1 수용체를 활성시키는 능력을 유지하였는지 결정하기 위해, 생체 외 리포터(reporter) 세포주를 사용하여 GLP1 활성화 수준을 정량화하였다. 융합 펩타이드가 GLP1 수용체 활성화 능력을 유지하였는지 결정하기 위해, GLP1 자체 및 네 개의 상이한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GLP1 수용체의 활성화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네 개의 상이한 융합 펩타이드에서, ALY688은 GLP1v 서열상에서 18, 22, 26, 34번 잔기에 각각 부착하였고, 모든 GLP1v 부분은 Gly8 치환을 가진다. ALY688이 18번 잔기에 부착할 때, 18번 잔기는 Lys로 치환하고; ALY688이 22번 잔기에 부착할 때, 22번 잔기는 Lys로 치환하고; GLP1v(이미 Lys 잔기를 가짐)의 26 및 34번 위치에 부착하는 ALY688의 경우, GLP1v상의 Ser18 및 Gly22는 치환하지 않는다. 이러한 네 개의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의 서열은 다음과 같다:
ALY688-GLP1v(Lys18)(또는 본 개시의 도면에서 "Lys 18", 또는 "Lys18 sub"로 간단하게 표시한다):
H-His7-Gly-Glu-Gly-Thr-Phe-Thr-Ser-Asp-Val-Ser-Lys18(Gly-Gly-Gly-DSer-Ala-Phe-DSer-Tyr-Leu-Nva-Pro-Ile-DAsn-H)-Tyr-Leu-Glu-Gly-Gln-Ala-Ala-Lys-Glu-Phe-Ile-Ala-Trp-Leu-Val-Lys-Gly-Arg36-NH2
ALY688-GLP1v(Lys22): (또는 본 개시의 도면에서 "Lys 22", 또는 "Lys22 sub"로 간단하게 표시한다)
H-His7-Gly-Glu-Gly-Thr-Phe-Thr-Ser-Asp-Val-Ser-Ser-Tyr-Leu-Glu-Lys22(Gly-Gly-Gly-DSer-Ala-Phe-DSer-Tyr-Leu-Nva-Pro-Ile-DAsn-H)-Gln-Ala-Ala-Lys-Glu-Phe-Ile-Ala-Trp-Leu-Val-Lys-Gly-Arg36-NH2
ALY688-GLP1v(Lys26): (또는 본 개시의 도면에서 "Lys 26", 또는 "Lys26 sub"로 간단하게 표시한다)
H-His7-Gly-Glu-Gly-Thr-Phe-Thr-Ser-Asp-Val-Ser-Ser-Tyr-Leu-Glu-Gly-Gln-Ala-Ala-Lys26(Gly-Gly-Gly-DSer-Ala-Phe-DSer-Tyr-Leu-Nva-Pro-Ile-DAsn-H)-Glu-Phe-Ile-Ala-Trp-Leu-Val-Lys-Gly-Arg36-NH2
ALY688-GLP1v(Lys34): (또는 본 개시의 도면에서 "Lys 34", 또는 "Lys34 sub"로 간단하게 표시한다)
H-His7-Gly-Glu-Gly-Thr-Phe-Thr-Ser-Asp-Val-Ser-Ser-Tyr-Leu-Glu-Gly-Gln-Ala-Ala-Lys-Glu-Phe-Ile-Ala-Trp-Leu-Val-Lys34(Gly-Gly-Gly-DSer-Ala-Phe-DSer-Tyr-Leu-Nva-Pro-Ile-DAsn-H)-Gly-Arg36-NH2
이러한 서열도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한다.
GLP1 수용체의 활성화, 또는 GLP1 수용체가 고리형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의 생산 및 루시퍼레이스(luciferase) 유전자의 발현을 야기하여 리간드 활성을 지시한다는 원리에 기반하여 태아 신장 293[human embryonic kidney 293, HEK293]에서 유래한 HEK-hGLP1R-Luc, 바이오센서 리포터 세포 모델은 각각 GLP1 수용체 의존 신호전달의 활성화에 대한 스크리닝을 허용하였다.
결과: 도 2a-2c에서 입증한대로, GLP1은 이러한 세포 내 루시퍼레이스 활성(EC50 54nM)의 전형적인 용량 의존적 활성화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세포를 조작하여 GLP1 수용체 의존적 신호전달에 바이오마크하였고 50nM 및 100nM 농도를 선택하여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위에서 구조를 기술한 GLP1v의 18, 22, 26 및 34번 위치에서의 ALY688의 부착)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각각의 융합 펩타이드는 GLP1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능력을 유지하였다. GLP1 표준 및 상이한 ALY688-GLP1v 융합 사이에 유의미한 반응 차이는 없었고, GLP1을 활성화하는 융합의 능력을 GLP1v에 대한 ALY688 펩타이드의 부착 이후 유지하였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의 아디포넥틴 신호전달 효과의 생체 외 분석
ALY688은 단독으로 엘리사(ELISA) 분석을 통해 검출하고 세포핵에 대한 인산화 의존 전좌의 면역형광 이미징에 의해 확인한 P38MAPK(T180/Y182) 인산화 증가를 포함하는, L6 쥣과 골격근 세포에서 아디포넥틴 유사 신호전달을 유도한다고 나타났다. P38MAPK는 아디포넥틴의 유익한 대사 효과에 포함되는, 알려진 아디포넥틴 수용체 신호전달 키네이스이다. 이를 사용하여 이전에 ALY688 단독으로 사용하여 나타내었던 대로 네 개의 상이한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가 아디포넥틴 유사 신호전달 활성을 유지하는지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네 개의 융합 펩타이드(실시예 2의 네 개의 융합 펩타이드와 동일함)에 의한 p38MAPK의 활성화를 관찰하였다. 도 3에서 나타낸 대로, 융합에 대한 반응으로 관찰한 p38MAPK의 활성화는 ALY688 단독과 유사하였고 적어도 재조합 구형[recombinant globular, gAd] 또는 전장 아디포넥틴[full-length adiponectin, fAd]단백질만큼 강력하였다. 따라서,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는 ALY688 단독과 유사한 아디포넥틴 신호전달을 활성화하는 능력을 유지하였다.
실시예 4 동물 모델(마우스) 내 혈당 수준에 대한 단일 정맥 주사의 효과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가 유기체 전체에서 GLP1의 생리적 작용을 유지하였는지 결정하기 위해, 마우스에 각 펩타이드의 단일 용량을 투여하였고 혈당을 평가하여 GLP1 활성화에 의해 유도한 혈당 저하 활성을 평가하였다.
도 4는 분류 및 시험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고, 마우스는 4시간 동안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았고 이후 경구 포도당 내성 시험 10분 전에 비히클(vehicle), GLP1v(Gly8 치환이 있는 것), 엑세나타이드(exenatide) 또는 ALY688을 정맥으로 주사를 맞았다. 경구 포도당 부하는 1 g/kg 체중 포도당이었다. 경구 포도당 부하 이전 30분, 0분(경구 포도당 부하 바로 이전), 경구 포도당 부하 이후 15, 30, 60 및 90분 후 혈당 수준을 글루코미터로 측정하였다. 마우스는 90분 이후 안락사시켰다.
결과: 도 5a-5b에서 나타낸 대로, 바로 투여한 모든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는 포도당 부하 이후 혈당 수준의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ALY688은 비히클과 비교하여 포도당 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GLP1v(Gly8 치환이 있는 것) 및 엑세나타이드 모두 예상한 포도당 저하 활성을 나타내었다. 모든 네 개의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실시예 2-3의 것들과 동일함)는 GLP1v 단독과 비교하여 더 큰 포도당 저하 작용을 보여주는, Lys26 및 Lys34 치환 융합 펩타이드를 가진 GLP1v와 적어도 비슷한 포도당 저하 작용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GLP1 활성의 포도당 저하 작용을 보존하고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 투여로 개선하였다.
실시예 5 마우스 내 GLP1v 및 융합 펩타이드의 약동학적 프로파일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가 공유결합으로 부착한 결과로 인해 약동학적 행태에서 차이점을 보여주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세 개의 ALY688-GLP1v 융합 펩타이드의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GLP1v 펩타이드와 비교하였다.
GLP1v 펩타이드(Gly8 치환이 있는 것) 및 GLP1v 융합 펩타이드는 피하 주사에 의해 한 번 투여하였다(농도 = 10 mg/kg). 혈액을 프로테이스 억제제(DPP-4 및 아프로티닌)를 함유한 K2EDTA 튜브에 수집하였다. 생체시료 분석 방법 BAM.0634.01을 사용하여 K2EDTA 마우스 혈장의 GLP1v 및 GLP1v 융합 펩타이드의 정량화하였다. 이는 단백질 침전 추출 이후 LC-MS/MS 기기 분석에 기반하고 1.00 내지 1000 ng/mL의 측정 범위를 적용한다. 전자 분무 이온화 방식[ESI ionization]을 사용하는 Thermo Scientific TSQ Vantage 삼중 사중극자 질량분석기와 연결한 Waters사의 아크 액체 크로마토크래프[Acquity liquid chromatograph]상에서 샘플을 분석하였다.
결과: 도6(데이터도 아래 표에서 요약함)에서 나타난 대로, 각 펩타이드의 단일 주사 이후 노출 시 유의미한 차이점들을 관찰하였는데, ALY688-GLP1v(Lys26) 융합 펩타이드의 경우 AUC는 2배 증가하였고 Tmax는 5분에서 10분으로 증가한 반면, ALY688-GLP1v(Lys34), 및 ALY688-GLP1v(Lys26,34) 둘 다의 경우 총 노출 시 감소를 나타내었지만 Tmax에서는 더 증가하였고 이는 혈액 수준의 흡수 및 확대의 지연을 지시한다.
ALY688-GLP1v(Lys26,34)의 서열은 다음과 같다:
H-His7-Gly-Glu-Gly-Thr-Phe-Thr-Ser-Asp-Val-Ser-Ser-Tyr-Leu-Glu-Gly-Gln-Ala-Ala-Lys26(Gly-Gly-Gly-DSer-Ala-Phe-DSer-Tyr-Leu-Nva-Pro-Ile-DAsn-H)-Glu-Phe-Ile-Ala-Trp-Leu-Val-Lys34(Gly-Gly-Gly-DSer-Ala-Phe-DSer-Tyr-Leu-Nva-Pro-Ile-DAsn-H)-Gly-Arg36-NH2
위의 발명은 명확한 이해를 목적으로 설명과 예시를 통해 일부분 세부적으로 기술되어있지만, 당업자에게 특정 변경과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개시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서열 번호 1(GLP1, 또는 GLP1(7-36) 아마이드)
7 H-His-Ala-Glu-Gly-Thr-Phe-Thr-Ser-Asp-Val-Ser-Ser-Tyr- 19
20 Leu-Glu-Gly-Gln-Ala-Ala-Lys-Glu-Phe-Ile-Ala-Trp-Leu- 32
33 Val-Lys-Gly-Arg-NH2 36
서열 번호 2 (ALY688)
H-DAsn-Ile-Pro-Nva-Leu-Tyr-DSer-Phe-Ala-DSer-NH2
서열 번호 3
H-Lys-Phe-His-Cys-Asn-Ile-Pro-Gly-Leu-Tyr-Tyr-Phe-Ala-Tyr-His-Ile-Thr-Val-NH2
서열 번호 4
H-His-Gly 8 -Glu-Gly-Thr-Phe-Thr-Ser-Asp-Val-Ser-Ser 18 -Tyr-Leu-Glu-Gly 22 -Gln-Ala-Ala-Lys 26 -Glu-Phe-Ile-Ala-Trp-Leu-Val-Lys 34 -Gly-Arg-NH2
서열 번호 5
H-His-Gly 8 -Glu-Gly-Thr-Phe-Thr-Ser-Asp-Val-Ser-Lys 18 -Tyr-Leu-Glu-Gly 22 -Gln-Ala-Ala-Lys 26 -Glu-Phe-Ile-Ala-Trp-Leu-Val-Lys 34 -Gly-Arg-NH2
서열 번호 6
H-His-Gly 8 -Glu-Gly-Thr-Phe-Thr-Ser-Asp-Val-Ser-Ser 18 -Tyr-Leu-Glu-Lys 22 -Gln-Ala-Ala-Lys 26 -Glu-Phe-Ile-Ala-Trp-Leu-Val-Lys 34 -Gly-Arg-NH2
SEQUENCE LISTING <110> ALLYSTA PHARMACEUTICALS, INC. Hsu, Henry Otvos, Laszlo <120> MONOMERIC FUSION PEPTIDES AND METHOD OF USE THEREOF <130> ALLY004PCT <140> Unknown <141> 2022-06-02 <150> 63216688 <151> 2021-06-30 <160> 6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220> <221> MOD_RES <222> (30)..(30) <223> The C-terminal amino acid at position 30 is optionally amidated <400> 1 His Al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Arg 20 25 30 <210> 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at position 1 is D-Asn <220> <221> MISC_FEATURE <222> (4)..(4) <223> Xaa at position 4 is Nva <220> <221> MISC_FEATURE <222> (7)..(7) <223> Xaa at position 7 is D-Ser <220> <221> MISC_FEATURE <222> (10)..(10) <223> Xaa at position 10 is D-Ser-NH2 <400> 2 Xaa Ile Pro Xaa Leu Tyr Xaa Phe Ala Xaa 1 5 10 <210> 3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220> <221> MOD_RES <222> (18)..(18) <223> The C-terminal amino acid at position 18 is optionally amidated <400> 3 Lys Phe His Cys Asn Ile Pro Gly Leu Tyr Tyr Phe Ala Tyr His Ile 1 5 10 15 Thr Val <210> 4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220> <221> MOD_RES <222> (20)..(20) <223> The amino acid Lys at position 20 is optionalyy modified at epsilon amino group <220> <221> MOD_RES <222> (28)..(28) <223> The amino acid Lys at position 28 is optionalyy modified at epsilon amino group <220> <221> MOD_RES <222> (30)..(30) <223> The C-terminal amino acid at position 30 is optionally amidated <400> 4 His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Arg 20 25 30 <210> 5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220> <221> MOD_RES <222> (12)..(12) <223> The amino acid Lys at position 12 is optionalyy modified at epsilon amino group <220> <221> MOD_RES <222> (30)..(30) <223> The C-terminal amino acid at position 30 is optionally amidated <400> 5 His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Lys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Arg 20 25 30 <210> 6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220> <221> MOD_RES <222> (16)..(16) <223> The amino acid Lys at position 16 is optionalyy modified at epsilon amino group <220> <221> MOD_RES <222> (30)..(30) <223> The C-terminal amino acid at position 30 is optionally amidated <400> 6 His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Lys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Arg 20 25 30

Claims (12)

  1. GLP1 변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를 포함한 융합 펩타이드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스페이서(spacer)에 의해 상기 GLP1 변이체에 화학적으로 부착되는 융합 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P1 변이체는 8번 위치에서 Gly로의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는 서열 번호 1의 위치와 일치하는, 융합 펩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P1 변이체는 18번 위치에서 Lys로의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는 서열 번호 1의 위치와 일치하는, 융합 펩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P1 변이체는 22번 위치에서 Lys로의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는 서열 번호 1의 위치와 일치하는, 융합 펩타이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상기 GLP1 변이체의 26번 위치에서 스페이서를 통해 부착되는, 융합 펩타이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상기 GLP1 변이체의 34번 위치에서 스페이서를 통해 부착되는, 융합 펩타이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제1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 및 제2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 및 제2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같거나 상이하며 각각은 상기 GLP1 변이체의 두 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스페이서를 통해 부착되는, 융합 펩타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곳의 부착 위치는 상기 GLP1 변이체의 26번 및 34번 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는 서열 번호 1의 위치와 일치하는, 융합 펩타이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디포넥틴 작용제 펩타이드는 ALY688을 포함하는, 융합 펩타이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GGG를 포함하는, 융합 펩타이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P1 변이체는 서열 번호 4, 서열 번호 5, 및 서열 번호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서열을 가지는, 융합 펩타이드.
  12. 제2형 당뇨병을 가진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융합 펩타이드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44996A 2021-06-30 2022-06-30 단량체 융합 펩타이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40047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16688P 2021-06-30 2021-06-30
US63/216,688 2021-06-30
PCT/US2022/035699 WO2023278683A1 (en) 2021-06-30 2022-06-30 Monomeric fusion peptides and method of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956A true KR20240047956A (ko) 2024-04-12

Family

ID=8469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996A KR20240047956A (ko) 2021-06-30 2022-06-30 단량체 융합 펩타이드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021946A1 (ko)
EP (1) EP4362970A1 (ko)
KR (1) KR20240047956A (ko)
CN (1) CN117750969A (ko)
AU (1) AU2022304682A1 (ko)
CA (1) CA3224490A1 (ko)
IL (1) IL309655A (ko)
TW (1) TW202307010A (ko)
WO (1) WO20232786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63654A (zh) * 2001-07-19 2002-08-14 上海华谊生物技术有限公司 生产促胰岛素分泌肽glp-1(7-36)的基因工程菌以及生产glp-1(7-36)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8683A1 (en) 2023-01-05
IL309655A (en) 2024-02-01
CN117750969A (zh) 2024-03-22
US20230021946A1 (en) 2023-01-26
AU2022304682A1 (en) 2024-01-04
CA3224490A1 (en) 2023-01-05
EP4362970A1 (en) 2024-05-08
TW202307010A (zh)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375B2 (en) GIP-GLP-1 dual agonist compounds and methods
EP2471811B1 (en) Oxyntomodulin derivatives
KR102497726B1 (ko)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개선된 펩티드 제약
CN105307672B (zh) 用于医学用途的稳定、延长的glp-1/胰高血糖素受体共激动剂
RU2332229C2 (ru) Способ введения молекул glp-1
KR102512178B1 (ko) 개선된 펩티드 제약
KR102460198B1 (ko) 비만 치료를 위한 글루카곤 및 glp-1 공동-작용제
WO2019101035A1 (zh) 一种治疗代谢疾病的胰高血糖素类似物
KR20170075779A (ko) Gip 효능제 화합물 및 방법
KR20120052973A (ko) 아실화 글루카곤 유사체
HUE028539T2 (en) A peptide capable of extending the half-life of an important peptide in plasma
Inooka et al. A PEGylated analog of short-length Neuromedin U with potent anorectic and anti-obesity effects
KR102230368B1 (ko) 아실화 옥신토모듈린 펩타이드 유사체
US20230102339A1 (en) Incretin analogs and uses thereof
Niida et al. Antiobesity and emetic effects of a short-length peptide YY analog and its PEGylated and alkylated derivatives
KR20240047956A (ko) 단량체 융합 펩타이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104118A (ko) Glp-1 전구약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38502A (ko) 신규한 아실화 인슐린 유사체 및 이의 용도
TW202346323A (zh) 具有改善的生物穩定性的glp—1及升糖素雙重激動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