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928A - 수액용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수액용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928A
KR20240047928A KR1020230131608A KR20230131608A KR20240047928A KR 20240047928 A KR20240047928 A KR 20240047928A KR 1020230131608 A KR1020230131608 A KR 1020230131608A KR 20230131608 A KR20230131608 A KR 20230131608A KR 20240047928 A KR20240047928 A KR 2024004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usion
container
scrap
gripper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현
이상영
장기철
백철호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신진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신진엠텍(주)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4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6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perf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97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03Filling medical containers such as ampoules, vials, syringes or the like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수액용기를 한 세트로 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한 세트에서 수액용기들을 하나씩 분리시키는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를 포함하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는, 상기 수액용기가 놓이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위에 배치되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 상기 베이스의 위에서 상기 바디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놓인 상기 수액용기를 고정하는 홀더; 상기 바디와 연결되는 구동부;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한 세트에서 인접하는 수액용기 사이에 위치하는 스크랩을 파지하는 그리퍼; 및 상기 그리퍼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는 상기 한 세트에서 인접하는 수액용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그리퍼가 상기 스크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면, 상기 스크랩을 제거함과 함께, 상기 커터가 상기 한 세트의 수액용기에서 단일 수액용기로 나뉘도록 분리시키는 것으로, 스크랩 제거와 수액 용기 분리 기능이 각각 공정으로 나눠져 있는걸 하나의 공정에 두가지 기능을 합쳐 공정 수량을 줄이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액용기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fusion container}
본 발명은 수액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수액용기는 바디와, 바디에 배치되는 포트를 포함한다. 바디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의 내부에는 수액이 충전된다. 수액은 포트를 통해 바디 내부로 주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된다.
수액용기 제조장치는 크게, 시트를 겹쳐서 실링하여 바디를 제조하는 장치와, 제조된 바디에 포트를 장착하고 실링하는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2070호(2019.09.18. 공고,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수액용기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경우, 권취롤에 각각 감긴 두겹의 시트를 겹치고, 시트의 외곽을 실링하여 바디를 성형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수액용기 제조장치는, 약액을 담는 수액용기를 만드는 과정과 제조가 된 수액용기에 약액을 충전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겹의 필름시트를 실링하여 수액용기의 바디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수액용기바디와 그에 이웃한 수액용기바디 사이의 필름시트의 일부는 불필요한 부분으로서 버려지며, 이를 스크랩이라고 한다. 수액용기의 바디와 바디사이의 필름시트를 커팅하는 형태에 따라 버려지는 스크랩의 양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필름시트의 스크랩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커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수액용기 제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2070호(2019.09.18. 공고)
본 발명은 필름시트의 스크랩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커팅이 용이하게 진행되는 수액용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복수 개의 수액용기를 한 세트로 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한 세트에서 수액용기들을 하나씩 분리시키는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를 포함하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는, 상기 수액용기가 놓이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위에 배치되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와, 상기 베이스의 위에서 상기 바디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놓인 상기 수액용기를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바디가 상기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한 세트에서 인접하는 수액용기 사이에 위치하는 스크랩을 파지하는 그리퍼 및 상기 그리퍼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는 상기 한 세트에서 인접하는 수액용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그리퍼가 상기 스크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면, 상기 스크랩을 제거함과 함께, 상기 커터가 상기 한 세트의 수액용기에서 단일 수액용기로 나뉘도록 분리시키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액용기는, 상기 한 세트에서 인접하는 상기 수액용기 사이에 배치되는 커팅라인과 상기 커팅라인과 인접하는 스크랩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가 이동하면, 상기 커터는 상기 커팅라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상기 그리퍼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는 상기 스크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크랩을 상기 수액용기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그리퍼는 상기 스크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크랩을 상기 수액용기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액용기의 끝을 향하여 전진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터가 상기 커팅라인을 따라 상기 수액용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커팅라인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액용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그리퍼의 개수는 한 세트에 포함되는 상기 수액용기의 개수에 대응하고, 상기 한 세트에서 상기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의 출구 측에 위치한 상기 수액용기와 대응하는 상기 그리퍼의 경우, 다른 그리퍼보다 보다 더 전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레일 타입 에어 실린더와, 상기 레일 타입 에어 실린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송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의 출구 측에 위치한 상기 수액용기와 대응하는 상기 그리퍼는 상기 이송블록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의 전진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블록이 추가적으로 전진 이동함으로써, 다른 그리퍼보다 보다 더 전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전진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그리퍼는 스크랩에 대한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스크랩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커팅이 용이하게 진행되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스크랩 제거와 수액 용기 분리 공정이 2개로 나눠져 있던것을 하나로 합쳐 설비 길이가 줄어들고 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수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그리퍼와 커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한 세트에 포함된 수액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의 출구 근처에 있는 그리퍼와 커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그리퍼가 스크랩을 파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그리퍼가 스크랩을 수액용기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의 출구 근처에 있는 그리퍼를 통한 스크랩 제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제조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수액용기의 이송방향으로 수액용기의 제조장치의 좌우방향에 해당한다. y축은 수액용기의 제조장치의 전후방향에 해당한다. z축은 수액용기의 제조장치의 상하방향에 해당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수액용기 제조장치의 전체공정이 설명된다. 수액용기 제조장치는, 수액용기 제조부(10)와, 충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액용기 제조부(10)는 언와인딩부(100)와, 프린팅부(200)와, 백 외곽 실링부(300)와, 하드포트바디 1,2차 프리 히팅부(PR)와, 하드포트 바디 실링부(400)와, 1차 스크랩제거부(500) 및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와, 검사부(700)와 백 트랜스퍼(800)를 포함할 수 있다.
언와인딩부(100)를 통해 시트를 공급한다. 언와인딩부(100)는 수액용기(1)의 소재인 시트(F1,F2)를 공급한다. 제1 시트(F1)와 제2 시트(F2)가 각각 릴에 권취된 상태에서 제1 시트(F1)가 공급되고, 제1 시트(F1)가 소진되면 제1 시트(F1)의 끝단을 절단한 후, 절단된 제1 시트(F1)의 끝단에 제 2 시트(F2)를 이어 붙여 계속해서 제2 시트(F2)가 공급된다. 소진된 제1 시트(F1)는 새 시트로 교체된다. 시트 소진 후 교체 시 전체 장치의 동작이 멈추지 않고 연속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시트(F1)와 제2 시트(F2)는 각각 두겹으로 되어 있고, 제1 시트(F1) 또는 제2 시트(F2)가 백 외곽 실링부(300)로 투입되는 과정에 두겹의 시트 사이에 나이프(미도시)를 넣어 후술되는 하드포트 바디(1a)가 삽입되기 위해 두겹의 시트사이를 벌려서 백 외곽 실링부(300)로 공급된다.
이하에서, 제 1 시트(F1)에 적용되는 공정은 제1 시트(F1)의 끝단에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제2 시트(F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프린팅부(200)는 제1 시트(F1) 또는 제2 시트(F2)의 표면에 문자나 도안 등을 인쇄한다. 그리고 프린팅부(200)에 각각 다른 색상의 인쇄 리본을 공급하여 2가지 색상으로 문자나 도안을 인쇄할 수 있다.
백 외곽 실링부(300)는 수액용기(1)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두겹으로 되어있는 제1 시트(F1) 또는 제2 시트(F2)의 가장자리를 열융착하여 수액이 담겨지는 수액용기(1)의 바디를 생성한다. 백 외곽 실링부(300)는 제1 시트(F1) 또는 제2 시트(F2)를 가압하는 몰드(미도시)와, 제1 시트(F1) 또는 제2 시트(F2)를 커팅하는 나이프(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백 외곽 실링부(300)에 제1 시트(F1) 또는 제2 시트(F2)가 진입하기 전에 제1 시트(F1) 또는 제2 시트(F2)에서 하드포트바디(1a)가 삽입되는 영역을 벌려 하드포트바디(1a)를 삽입한 이후, 백 외곽 실링부(300)에서 가접하여 임시 고정시킨 후 제1 시트(F1) 또는 제2 시트(F2)의 테두리를 열융착하여 수액용기(1)를 생성시킨다.
제1 시트(F1) 또는 제2, 시트(F2)는 백 외곽 실링부(300)에서 복수 개의 수액용기(1)를 단위로 이송되도록 커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수액용기(1)가 한 세트가 되어 이송되도록 커팅이 진행될 수 있다.
하드포트바디 1,2차 프리 히팅부(PR)는 1차 프리 히팅 및 2차 프리 히팅을 진행한다. 하드포트바디 1,2차 프리 히팅부(PR)는 하드포트바디와 제1 시트(F1) 또는 제2 시트(F2)가 씰링되는 부위를 가열된 전기 히터 몰드가 설치된 그리퍼 실린더(미도시)가 상, 하강 동작을 하여 약 130°C 온도로 하드포트바디의 표면을 눌러 가열함으로써, 하드포트바디(1a)의 딱딱한 표면을 말랑거리는 상태로 만든다.
하드포트바디 1,2차 프리 히팅부(PR)의 몰드 형상은 하드포트바디(1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디자인 되어 하드포트바디(1a)의 표면에 온도가 일정하게 전달되도록 설계된다. 하드포트바디 1,2차 프리 히팅부(PR)의 몰드는 상,하 간격 좌,우 위치를 조절할수 있도록 설계 된다.
하드포트바디에 대한 1차 히팅이 완료되면 하드포트바디 1,2차 프리 히팅부(PR)의 그리퍼 실린더는 벌어져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메인 벨트 헤드(미도시)가 하드포트바디를 4개씩 한세트로 1피치(pitch)로 이동하여 다음 공정인 2차 프리히팅 과정으로 이송한다. 한세트로 이송되는 하드포트바디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1피치는 한세트의 하드포트바디가 이동하는 거리이다.
다음으로 2차 프리히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1차 프리히팅이 수행된 영역을 약 150°C 온도로 일정 시간 가열하여 하드포트바디의 표면을 부드럽게 한다. 1차 예열, 2차 가열로 구분되며 온도를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다르게 한다. 이는 높은 온도로 인해 하드포트바디가 손상되지 않도록 온도를 올리며 하드포트바디를 가열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1차 프리히팅과 2차 프리히팅은 백 윤곽실링 공정에 가깝게 배치 되어 있어 2차 프리히팅 이후 메인 벨트(미도시)가 회전하여 바로 백 외곽 실링부(300)의 몰드 안쪽으로 하드포트바디가 이동되는 중에 가열된 하드포트바디가 식지 않도록 유도한다.
하드포트바디 실링부(400)는 하드포트바디(1a) 주변을 열융착하여, 수액용기(1)에 하드포트바디(1a)를 고정시킨다. 하드포트바디 실링부(400)는 하드포트바디(1a)의 형상에 대응하는 몰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몰드들은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하드포트바디(1a)의 가압부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몰드 들이 배치되고, 여러 번의 융착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1차 스크랩제거부(500) 및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는 수액용기(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배치된 스크랩을 동시에 잡아 떼어 제거하고 한 세트의 수액용기(1)를 단일 수액용기로 나뉘도록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1차 스크랩제거부(500)는 시트가 이송되면 수액용기 백과 백 사이의 행거 부분의 라운드 형상으로 컷팅된 스크랩을 클램프 실린더가 하강하여 시트를 고정한 후 그리퍼가 스크랩을 잡고 아래로 당겨서 스크랩을 제거하여 수집통으로 버린 후 클램프가 상승한다. 행거부분은 수액용기의 하드포트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쪽 부분을 의미한다. 1차 스크랩제거부(500)에서 공정이 완료된 경우, 메인벨트(미도시)가 회전하여 4개의 bag을 1피치(pitch)로 이동하여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로 안내한다.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는 시트가 이송되면 고정 클램프가 하강하여 시트를 고정한 그리퍼 실린더로 시트의 옆면 라운드 형상으로 컷팅된 스크랩을 잡고 들어 올려 제거하고, 그리퍼가 행거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리퍼 뒤쪽에 위치한 분리 나이프가 백 사이를 분리한다.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는 수액용기의 하드포트바디가 형성되는 부분의 스크랩을 제거하고, 수액용기의 백과 백 사이를 분리(세퍼레이팅)하는 동작을 한다.
검사부(700)는 수액용기(1)의 진공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검사부(700)는 스크랩이 제거된 시트가 이송되면 클램프가 하강하여 고정한 후 하드포트바디의 주입구로 노즐을 삽입하여 밀폐한다. 그리고 노즐에 진공을 걸어 진공 수치가 설정된값으로 측정되면 노즐이 후진하여 분리된다. 만일, 하드포트바디가 시트 외부에 씰링되어 진공이 형성되지 않은 불량인 백은 불량 배출통으로 떨어뜨린다.
백 트랜스퍼(800)는 충전 공정 헤드에 하드포트바디를 고정시킨다.
충전부(20)는 캡압입부(900,1300)와, 1차충전유닛(1400)과, 2차충전유닛(1600)과, 약액공급부(1500) 및 양품배출부(1700)를 포함할 수 있다.
캡압입부(900,1300)는 수액용기(1)의 하드포트바디(1a)에 캡을 압입한다. 하나의 수액용기(1)에 형성된 2개의 하드포트바디(1a)에 캡이 각각 압입된다. 먼저, 2개의 캡 중 어느 하나의 캡이 수액용기(1)의 하드포트바디(1a)에 압입될 수 있다.
1차충전유닛(1400)은 캡이 압입된 수액용기(1)에 약액을 충전할 수 있다.
2차충전유닛(1600)은 1차충전유닛(1400)에서 충진된 수액용기(1)에 추가적으로 약액을 충전할 수 있다.
2차충전유닛(1600)에서 약액의 충진이 완료된 후, 캡압입부(900,1300)는 2개의 캡 중 나머지 하나의 캡을 수액용기(1)의 다른 하드포트바디(1a)에 압입할 수 있다.
약액공급부(1500)는 1차충전유닛(1400)과 2차충전유닛(1600)과 연결되어 1차충전유닛(1400) 및 2차충전유닛(1600)에 각각 약액을 공급한다.
약액의 충전이 완료된 양품은 양품 배출부(1700)를 통해 배출된다.
도 2는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는, 한 세트(U)에 포함된 수액용기(1)들을 하나씩 분리시키는 역할과 함께 스크랩(도 4의 SK1,SK0)을 제거하는 역할을 함께 한다.
이러한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는, 베이스(610)와, 레일(620)과, 홀더(630)와, 바디(640)와, 구동부(650)와, 그리퍼(660) 및 커터(6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610)는 수액용기(1)가 놓이는 곳이다. 베이스(610)는 이송방향(x)을 따라 배치된다. 베이스(610)는 한 세트(U)의 수액용기(1)가 놓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레일(620)은 베이스(610)의 위치에 배치되고, 도 2의 y 방향을 을 따라 배치된다.
홀더(630)는 베이스(610)의 위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630)는 베이스(610)에 놓인 수액용기(1)를 고정한다. 홀더(63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세트(U)에 포함된 수액용기(1)의 개수만큼 홀더(63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더(630)는 상하방향(z)으로 함께 움직인다. 홀더(630)는 베이스(610) 위에 놓인 수액용기(1)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바디(640)는 레일(6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 바디(640)는 레일(620)을 따라 y 방향으로 움직인다.
구동부(650)는 바디(640)가 레일(62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시키며, 전동식 서보모터가 사용되지만, 모터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퍼(660)는 바디(640)에 배치되어 y 방향으로 바디(640)와 함께 움직인다. 그리퍼(660)는 수액용기(1)의 스크랩(SK1,SK0)을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터(670)는 그리퍼(660)의 하측에 배치된다. 커터(670)는 그리퍼(660)가 y방향으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여 한 세트(U)의 수액용기에서 각각의 수액용기(1)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그리퍼(660)와 커터(6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리퍼(660)는 상부죠(upper jaw)와 하부죠(lower jaw)가 맞물리면서, 한세트(U)를 구성하는 4개의 수액용기(1)들 사이의 하드포트바디(1a) 방향의 스크랩(SK1,SK0)을 파지한다. 그리퍼(660)도 바디(640)가 y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인다.
커터(670)는 그리퍼(660)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커터(670)는 그리퍼(660)와 함께 움직인다. 커터(670)는 칼날이 앞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커터(670)는 칼날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어서 수액용기(1)들 사이를 분리시키는 데 유리하다. 이러한 그리퍼(660)와 커터(670)는 각각 수액용기(1)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그리퍼(660)와 커터(670)는 한 세트(U)에 포함된 수액용기(1)의 개수만큼 마련된다.
도 4는 한 세트(U)에 포함된 수액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세트(U)는 복수 개의 수액용기(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세트(U)는 모두 4개의 수액용기(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수액용기의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액용기(1)의 사이에는 커팅라인(CL)이 마련된다. 커터(670)에 의해 커팅라인(CL)을 따라 커팅되면, 수액용기(1)들이 분리된다.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에 진입한 한 세트(U)는 수액용기(1)의 끝에 스크랩(SK1,SK0)이 남아 있다. 스크랩(SK1,SK0)은 수액용기(1)의 어느 한 측(예를 들어 하드포트바디(1a)가 배치된 쪽)에만 배치되고 다른 측에는 제거되어 없을 수 있다. 스크랩(SK1,SK0)은 커팅라인(CL)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퍼(660)가 스크랩(SK1,SK0)을 잡아 당기면, 커팅라인(CL)을 따라 분리되어 스크랩(SK1,SK0)이 수액용기(1)에 분리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면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이 수액용기(1)의 진입방향에 해당하며, 한 세트(U)의 수액용기(1)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수액용기(1)의 스크랩(SK1,SK0)은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반면에 한 세트(U)의 수액용기(1)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수액용기(1)는 다른 한 세트(U)의 수액용기(1)와 연결되었던 스크랩(SK0)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5는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의 출구 근처에 있는 그리퍼(660)와 커터(6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의 출구 근처에 있는 그리퍼(660)는 이송블록(69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송블록(690)은 레일 타입 에어 실린더(68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레일 타입 에어 실린더(680)는 y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이러한 출구 근처에 배치된 그리퍼(660)는 다른 한 세트(U)의 수액용기(1)와 연결되었던 스크랩(SK0)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베이스(6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610)는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G)을 포함할 수 있다. 홈(G)은 y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수액용기(1)의 커팅라인(도 4의 CL)은 홈(G)에 정렬된다. 커터(670)는 홈(G)을 따라서 수액 용기보다 낮은 위치로 레일(620)을 따라 바디(640)의 전진에 의해 이동한다.
도 7은 그리퍼(660)가 스크랩(SK1,SK0)을 파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그리퍼(660)가 스크랩(SK1,SK0)을 수액용기(1)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홀더(630)가 한세트의 수액용기(1)를 누른 상태에서 그리퍼(660)가 하측으로 내려와 전진하면서 스크랩(SK1,SK0)에 정렬된다. 도 8에서, 그리퍼(660)의 상부죠와 하부죠가 물리면서 스크랩(SK1,SK0)을 파지하고, 그리퍼(660)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스크랩(SK1,SK0)이 수액용기(1)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그리퍼(660)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커터(670)도 상측으로 이동한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640)가 전진 이동하면 그리퍼(660)와 커터(670)도 함께 전진 이동한다. 이때 그리퍼(660)는 스크랩(SK1,SK0)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커터(670)가 이동하면서, 커팅라인(CL)을 따라 커팅을 진행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디(640)는 수액용기(1)를 완전히 분리할 때까지 전진 이동한다. 이러한 커팅이 완료되는 지점까지 그리퍼(660)가 이동하면, 그리퍼(660)는 스크랩(SK1)에 대한 파지를 해제한다. 스크랩(SK1)의 파지가 해제되면, 스크랩(SK1)은 관성에 의해 그리퍼(660)의 전방으로 토출되어 제거된다.
도 11 및 도 12는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의 출구 근처에 있는 그리퍼(660A)를 통한 스크랩(SK0)을 제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세트(U)의 수액용기(1) 중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의 출구 측에 위치한 수액용기(1)(이하, 최외측 수액용기(1))의 우측면에는 다른 한 세트(U)의 수액용기(1)와 연결되었던 스크랩(SK0)이 남아 있다. 최외측 수액용기(1)에서는 커팅을 진행하지 않고 이러한 스크랩(SK0)만을 제거한다.
그리퍼(660A)가 스크랩(SK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1차적으로, 스크랩(SK0)이 최외측 수액용기(1)에서 분리되고, 그리퍼(660A)가 전진 이동하면, 그리퍼(660A)가 전진 이동하는 동안 스크랩(SK0)이 커팅라인(CL)을 따라 최외측 수액용기(1)에서 지속적으로 분리된다.
최외측 수액용기(1)의 경우, 수액용기(1)의 일측(하드포트바디(1a)가 배치된 측)뿐만 아니라 타측에도 스크랩(SK0)이 남아 있어서, 스크랩(SK0)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리퍼(660A)의 추가적인 스트로크(도 12의 D)가 필요하다.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600)의 출구 측에 위치한 그리퍼(660A)는 바디(640)의 전진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송블록(690)이 레일타입 에어실린더(680)에 의해 추가적으로 전진 이동함으로써, 스크랩(SKO)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그리퍼(660A)의 추가적인 스트로크(D)를 확보할 수 있다.
우측 스크랩(SK0)은 수액 용기 길이보다 더 이동해서 잡아당겨야 완전히 제거되므로, 그리퍼(660A)는 스크랩(SK0)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전진 이동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제조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언와인딩부 200: 프린팅부 300: 백 외곽 실링부 400: 하드포트바디 실링부 500:1차 스크랩제거부 600: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 610: 베이스
620: 레일 630: 홀더 640: 바디 650: 구동부 660: 그리퍼 670: 커터
680: 레일 타입 에어 실린더 690: 이송블록 700: 검사부
800: 백 트랜스퍼 900,1300: 캡압입부 1400: 1차충전유닛
1500: 약액공급부 1600: 2차 충전 유닛 1700: 양품 배출부

Claims (10)

  1. 복수 개의 수액용기를 한 세트로 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한 세트에서 수액용기들을 하나씩 분리시키는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를 포함하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는,상기 수액용기가 놓이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위에 배치되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
    상기 베이스의 위에서 상기 바디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놓인 상기 수액용기를 고정하는 홀더;
    상기 바디가 상기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한 세트에서 인접하는 수액용기 사이에 위치하는 스크랩을 파지하는 그리퍼;및
    상기 그리퍼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는 상기 한 세트에서 인접하는 수액용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그리퍼가 상기 스크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면, 상기 스크랩을 제거함과 함께, 상기 커터가 상기 한 세트의 수액용기에서 단일 수액용기로 나뉘도록 분리시키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용기는, 상기 한 세트에서 인접하는 상기 수액용기 사이에 배치되는 커팅라인과 상기 커팅라인과 인접하는 스크랩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가 이동하면, 상기 커터는 상기 커팅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그리퍼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스크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크랩을 상기 수액용기에서 분리시키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스크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크랩을 상기 수액용기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액용기의 끝을 향하여 전진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터가 상기 커팅라인을 따라 상기 수액용기를 분리시키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커팅라인에 정렬되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액용기를 분리시키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의 개수는 한 세트에 포함되는 상기 수액용기의 개수에 대응하고,
    상기 한 세트에서 상기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의 출구 측에 위치한 상기 수액용기와 대응하는 상기 그리퍼의 경우,
    다른 그리퍼보다 보다 더 전진하여 이동하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레일 타입 에어 실린더와, 상기 레일 타입 에어 실린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송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2차 스크랩제거 및 백분리부의 출구 측에 위치한 상기 수액용기와 대응하는 상기 그리퍼는 상기 이송블록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의 전진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블록이 추가적으로 전진 이동함으로써, 다른 그리퍼보다 보다 더 전진하여 이동하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전진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그리퍼는 스크랩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는 수액용기의 제조 장치.
KR1020230131608A 2022-10-05 2023-10-04 수액용기 제조장치 KR20240047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986 2022-10-05
KR20220126986 2022-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928A true KR20240047928A (ko) 2024-04-12

Family

ID=9068021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608A KR20240047928A (ko) 2022-10-05 2023-10-04 수액용기 제조장치
KR1020230131585A KR20240047926A (ko) 2022-10-05 2023-10-04 수액 용기 제조장치
KR1020230131632A KR20240047930A (ko) 2022-10-05 2023-10-04 수액용기 제조장치
KR1020230131696A KR20240047931A (ko) 2022-10-05 2023-10-04 수액용기 제조장치
KR1020230131590A KR20240047927A (ko) 2022-10-05 2023-10-04 수액용기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585A KR20240047926A (ko) 2022-10-05 2023-10-04 수액 용기 제조장치
KR1020230131632A KR20240047930A (ko) 2022-10-05 2023-10-04 수액용기 제조장치
KR1020230131696A KR20240047931A (ko) 2022-10-05 2023-10-04 수액용기 제조장치
KR1020230131590A KR20240047927A (ko) 2022-10-05 2023-10-04 수액용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2400479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070B1 (ko) 2019-04-11 2019-09-18 제이더블유케미타운 주식회사 멀티튜브 수액백 제조 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070B1 (ko) 2019-04-11 2019-09-18 제이더블유케미타운 주식회사 멀티튜브 수액백 제조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927A (ko) 2024-04-12
KR20240047926A (ko) 2024-04-12
KR20240047930A (ko) 2024-04-12
KR20240047931A (ko)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0124A (en) Article packaging apparatus
CA1299085C (en) Form-fill-seal machine and method with capability for providing a vacuumor inert gas atmosphere within the package
EP05398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forming bags
EP1780000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beuteln
EP2351642B1 (en) Resin bag production equipment
US5179819A (en) Methods of preparation of packaging bags for bottles, methods of preparation of packaging bottles and apparatus utilized therefor
KR20100058512A (ko) 분리 장치
US3470675A (en) Packaging machine
CN104129517B (zh) 注射器自动包装机
KR20240047928A (ko) 수액용기 제조장치
US45961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delicate articles
WO1998021096A1 (fr) Dispositif de fermeture hermetique pour appareil d'emballage
US50164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groups of articles
KR102301095B1 (ko) 수액용기 제조장치
US51759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groups of articles
KR102301092B1 (ko) 수액용기 제조장치
AU7621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locking stackwise plastic bags, especially bags for automatic machines, by welding
JP2006510555A6 (ja) 真空包装機および装填システム
JP2006510555A (ja) 真空包装機および装填システム
WO2024076149A1 (ko) 수액용기 제조장치
JPH0547447B2 (ko)
JP2784698B2 (ja) 瓶用包装袋及び包装瓶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5286067B2 (ja) 包装袋製造装置および包装袋製造方法
JPH1095411A (ja) 袋体における吊下片付設方法及び装置
DK144208B (da) Fremgangsmaade og apparat til fremstilling af plastpo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