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657A -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 Google Patents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657A
KR20240047657A KR1020220126962A KR20220126962A KR20240047657A KR 20240047657 A KR20240047657 A KR 20240047657A KR 1020220126962 A KR1020220126962 A KR 1020220126962A KR 20220126962 A KR20220126962 A KR 20220126962A KR 20240047657 A KR20240047657 A KR 20240047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reinforcing member
reinforcing
brick body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섭
Original Assignee
김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섭 filed Critical 김학섭
Priority to KR1020220126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657A/ko
Publication of KR20240047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24Elements for building-up floors, ceilings, roofs, arches, or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부재를 갖는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벽돌과; 상기 벽돌의 내부에 매입되고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Bricks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내진성과 안전성 등이 뛰어난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은 건물이나 기타 구조물의 벽, 기둥, 아치 등을 축조하는 건축재료로 사용된다.
벽돌은 점토나 시멘트 등의 재료를 혼합 성형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건조 및 소성(燒成)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벽돌은 일반적으로 모르타르를 접착제로 적층 시공하여 조적조를 형성하게 된다.
벽돌은 특정 형태로의 생산이나 운반이 용이하고, 균일한 시공이 가능하여 각종 건축물의 시공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벽돌은 횡력에 약한 문제가 있고, 특히 지진에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조적조의 시공 시 수직과 수평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면 벽이 쉽게 무너질 수 있어서 시공 작업에 상당한 숙련을 요하게 되어 균일한 품질의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벽돌 길이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강도가 취약하여 운반이나 취급 시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모르타르를 이용하는 습식 조적은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축 및 팽창 작용에 따른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건조되기 전에 벽체의 변형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종래 조적조를 시공하는 예로서 별도의 지지브라켓을 설치하여 조적조를 보강하는 방법이 사용되거나, 벽돌 자체에 상ㆍ하 조립구조를 적용하여 안정된 벽체를 형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시공비 및 시공기간이 증가할 뿐 아니라 벽돌 자체의 강성을 높이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1. 등록특허 제10-1441762호 2. 등록특허 제10-1779878호.
본 발명은 높은 강도를 가지고 쉽게 파손되지 않는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보강부재를 매입 설치하되, 보강부재가 벽돌과 일체화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보강부재를 갖는 벽돌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벽돌을 이용하여 벽체를 쌓아올릴 때, 흐트러짐이 없이 균일하게 적층이 가능하여 시공이 매우 용이하면서 고품질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보강부재를 갖는 벽돌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강도의 돌출부를 벽돌 외면에 형성하여 장식마감재나 지지부재 등의 외부 설치물을 걸어서 설치할 수 있는 보강부재를 갖는 벽돌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은, 벽돌과; 상기 벽돌의 내부에 매입되고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벽돌 내에서 두 개 이상이 매입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은, 벽돌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이 통공은 보강부재의 구멍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은, 분할된 목재로 이루어지고, 분할된 목재의 사이에 보강부재가 접착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은, 보강부재의 구멍에 지지관이 끼워져서 설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은, 보강부재에 벽돌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에는 벽체의 외부를 마감하는 장식재 등을 걸어서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에 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걸어서 설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벽돌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매입 설치함으로써 높은 강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벽돌 내부에 매입 설치되는 보강부재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벽돌의 성형 시에 상기 구멍을 통해 벽돌이 보강부재와 일체화되어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벽돌에 통공이 형성됨으로써, 벽의 시공 시에 철근 등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이 지지대에 상기 통공이 끼워지도록 시공함으로써 균일한 벽돌의 적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벽돌 내부의 보강부재로부터 연결되는 돌출부가 벽돌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식마감재나 지지부재 등의 외부 설치물을 용이하게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은 시공성과 내진성 및 안전성 등이 뛰어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A-A선 단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3의 B-B선 단면 사시도.
도 6은 조적 시공의 일례를 보여주는 벽체 측면도.
도 7은 조적 시공의 일례를 보여주는 벽체 사시도.
도 8은 벽돌에 형성되는 통공의 여러 실시예도.
도 9는 벽돌의 외측으로 마감재가 설치되는 예시도.
도 10은 벽체의 외면으로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예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의 사시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의 사시도.
도 13은 상기 도 12에 따른 벽돌의 측단면도.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A-A선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3의 B-B선 단면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벽돌(100)은 벽돌본체(110)와 보강부재(120)를 포함한다.
벽돌본체(11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벽돌의 형상으로 성형 및 소성되며, 필요에 따라 임의적인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강부재(120)는 벽돌본체(110) 내에 매입된다. 보강부재(120)는 금속, 합성수지, 목재, 종이 등의 여러 재질이 선택될 수 있으며, 형상 또한 필요에 따른 임의적인 선택이 가능한데, 도면에서는 금속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였다.
보강부재(120)에는 다수의 구멍(121)이 형성된다.
보강부재(120)는 벽돌본체(110)의 제조시에 매입된 형태로 인서트 성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형 제조시에 벽돌본체(110)의 재료가 상기 구멍(121)으로 인입 건조되면서 도 4의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본체(110)와 보강부재(120)가 일체로 성형 고정될 수 있다.
벽돌본체(110)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통공(1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111)은 도 5의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매입된 보강부재(120)의 구멍(121)을 경유하여 관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벽돌본체(110)의 통공(111)과 보강부재(120)의 구멍(121)의 형상은 디자인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보강부재(120)에는 벽돌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2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는 보강부재(120)와 분리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부재(120)에 돌출부가 나사(도면에 도시안됨) 형태로 결합되고, 이 나사가 벽돌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돌출부가 불필요한 경우 나사를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조적 시공의 일례를 보여주는 벽체 측면도이고, 도 7은 조적 시공의 일례를 보여주는 벽체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벽돌(100)을 조적 시공할 때 벽돌본체(110)의 통공(111)에 철근과 같은 심재(130)를 수직으로 끼워서 고정하고, 이 심재(130)에 맞추어 벽돌(100)을 끼워서 조적함으로써, 수직 및 수평이 균일하게 일치되도록 조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적조에 철근과 같은 심재(130)가 수직으로 끼워진 상태로 시공되면 조적조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외부의 충격에 대한 안전성과 지진 등에 대한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벽돌본체(110)에 형성되는 통공(111)은 내부의 보강부재(120)에 형성된 구멍(121)을 통과하는 것으로서, 결국 심재(130)가 보강부재(1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므로 더욱 보강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심지어 벽돌본체(110)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심재(130)가 보강부재(120)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통공(111)에 끼워지는 심재(130)는 철근이 아닌 다른 형태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목재나 합성수지 등의 재료가 적용될 수 있고, 그 형태도 통공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벽돌에 형성되는 통공의 여러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본체(110)에 형성되는 통공(111)은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벽을 형성하는 코너부분에는 기준으로서의 심재(130)가 설치됨으로써 안전하고 균일한 조적이 가능하게 되며, 이 때의 통공(111) 형상은 또다른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도 9는 벽돌의 외측으로 마감재가 설치되는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벽돌(100)을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벽돌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122)에 외부장식재(14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즉 조적된 벽체의 외면에 외부장식재(14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 외부장식재(140)의 하단에 홈(141)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22)에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벽체의 외면으로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벽돌(100)에 의해 형성된 벽체에 지지부재(150)를 더 설치하여 벽체에 더욱 보강된 안정성을 부여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일례로서 얇은 판형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재(150)의 양 단부에는 고리부(1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고리부(151)를 벽돌본체(110)의 돌출부(122)에 걸어서 설치하고, 그 외측으로 외부장식재 등의 마감 시공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150)의 설치는 벽체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성과 내진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벽돌의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중공형의 벽돌(200)을 나타내고 있다.
벽돌(200)은 벽돌본체(210)와 벽돌본체(210)에 매입 설치되는 보강부재(220)를 포함한다.
보강부재(220)는 상, 중, 하의 세 곳에 설치되며, 각각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벽돌본체(210)에는 통공(211)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 통공(211)은 내부에 매입된 보강부재(220)의 구멍(221)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벽돌의 형태에 따라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의 형태나 갯수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벽돌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벽돌(300)은 벽돌본체(310)와 벽돌본체(310)에 매입 설치되는 보강부재(320)와 벽돌본체(310)를 관통하는 지지관(360)을 포함한다.
벽돌본체(310)의 내부에서 매입 설치되는 보강부재(320)에는 다수의 구멍(321)이 형성되고, 이 구멍(321)에 지지관(360)이 관통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관(360)에 의해 벽돌본체(310)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조적 시공 시에 상기 지지관(360)에 철근 등의 심재를 끼워서 설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관(360)은 벽돌본체(310)에 통공을 형성하는 동시에 벽돌본체(310)의 내부에서 보강부재(320)와 함께 성형됨으로써 벽돌본체(310)와 보강부재(3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일체화하면서 벽돌 전체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벽돌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벽돌(400)은 벽돌본체(410)와 벽돌본체(410)의 내부에 매입 설치되는 보강부재(420)를 포함한다.
벽돌본체(410)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통공(411)이 관통 형성되고, 보강부재(420)에는 상기 통공(411)과 연통되는 구멍(4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통공(411)을 통해 철근과 같은 심재를 끼워서 시공할 수 있다.
보강부재(420)에는 다수의 돌기(4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423)는 보강부재(420)의 윗면이나 밑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 돌기(423)에 의해 벽돌본체(410)의 내부에서 보강부재(420)가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벽돌의 강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400 ; 벽돌
110, 210, 310, 410 ; 벽돌본체
111, 211, 411 ; 통공
120, 220, 320, 420 ; 보강부재
121, 221, 321, 421 ; 구멍
122 ; 돌출부
130 ; 심재
140 ; 외부장식재
150 ; 지지부재
360 ; 지지관
423 ; 돌기

Claims (7)

  1. 벽돌본체와;
    상기 벽돌본체의 내부에 매입되고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돌본체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이 통공은 상기 보강부재의 구멍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벽돌본체 내에서 두 개 이상이 매입 설치되는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돌본체는 분할된 목재로 이루어지고, 분할된 목재의 사이에 상기 보강부재가 접착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구멍에 지지관이 끼워져서 설치되는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에는 벽돌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벽돌을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지지부재를 걸어서 벽체를 지지하도록 된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KR1020220126962A 2022-10-05 2022-10-05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KR20240047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962A KR20240047657A (ko) 2022-10-05 2022-10-05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962A KR20240047657A (ko) 2022-10-05 2022-10-05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657A true KR20240047657A (ko) 2024-04-12

Family

ID=9068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962A KR20240047657A (ko) 2022-10-05 2022-10-05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65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762B1 (ko) 2012-12-31 2014-09-1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영상분 전류 제어장치
KR101779878B1 (ko) 2017-03-02 2017-09-20 이진관 조립식 벽돌 건식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762B1 (ko) 2012-12-31 2014-09-1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영상분 전류 제어장치
KR101779878B1 (ko) 2017-03-02 2017-09-20 이진관 조립식 벽돌 건식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697B1 (en) Building block
KR101371098B1 (ko) 조적벽체 보강 구조
EP3228771B1 (en) Green-material light-partition earthenware brick
BR0012399A (pt) Elemento de molde perdido para a construção de lajes lisas de concreto reforçadas tradicionais
US20170298627A1 (en) Precast Concrete Composite Wall
KR100899779B1 (ko) 조적식 벽돌
KR102342247B1 (ko) 조적벽돌 결합구조
US11686063B2 (en) Interlocking blocking system for retaining walls and other uses
KR20240047657A (ko) 보강구조를 갖는 벽돌
KR102127735B1 (ko) 내진보강형 칸막이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00958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구조
US5285610A (en) Building blocks and their use
KR20110096629A (ko) 벽돌의 고정구조
US9676166B1 (en) Modular reinforced insulating concrete form
KR102190324B1 (ko) 조립식 벽돌 세트
US20170009452A1 (en) Retaining wall system using interlocking concrete masonry units
KR100674504B1 (ko) 벽돌
KR100525599B1 (ko) 건축물 조적식 벽체 미장 몰탈 보강 구조
KR100848566B1 (ko) 복합 구조재 밸브실 및 그 시공방법
KR200459623Y1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JP2000309011A (ja) 短繊維補強構造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42113A (en) Wall and floor construction
KR100557419B1 (ko) 아파트 건축용 콘크리트 거푸집 스페이서
KR100446128B1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PL15445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uttering elements for sheathing concrete and a shuttering element for sheathing concr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