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636A -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636A
KR20240047636A KR1020220126898A KR20220126898A KR20240047636A KR 20240047636 A KR20240047636 A KR 20240047636A KR 1020220126898 A KR1020220126898 A KR 1020220126898A KR 20220126898 A KR20220126898 A KR 20220126898A KR 20240047636 A KR20240047636 A KR 20240047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ry
code
meter
information
le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한태희
김종윤
이장근
남기호
홍준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2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636A/ko
Publication of KR20240047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법정 관리 대상인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 관리 서버; 사용 환경 현장에 설치된 법정 개량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기 법정 계량기를 개별 식별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 및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 확인 및 검정 정보를 입력하는 검사자 단말을 포함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measuringinstrument based on QR-CODE}
본 발명은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계량기의 관리 이력을 QR코드로 생성하여 검사자 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한 해당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조회하여 효과적으로 계량기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법정계량기 중 비자동 저울 3종과 국제 석유 시장의 공급 변동에 따른 소비자 가격의 변동폭이 큰 기름에 사용하는 계량기인 “주유기, LPG 미터, 요소수 미터, 오일 미터”등 PCB 기판 조작, 프로그램 변조 등 정량 미달 조작 수법의 진화 및 불법 계량기 사용 등)이 정기 검사 및 재검정 과정에서 다수 확인되고 있다.
지자체에서 수집된 계량 사업자 정보와 형식승인기관, 검정기관 등에서 수집한 계량기 품질 간 정보가 단절되어 있다.
계량종합관리시스템(2013년∼)을 통해 형식승인·검정 기관, 지자체(정기검사), 자체 사업자(자체 검정, 자체 정기검사)가 생성하는 법정 계량기 정보를 관리중이나, 형식승인 기관이 확대(2018년, 1개→2개) 이후 확대된 기관의 정보를 연계·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없고, 자체 사업자 현황(31개) 파악 및 품질 관리 체계도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형식승인기관의 형식승인 및 자체 사업자의 검사·검정정보 등의 정보를 수집·연계·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기존 시스템에 의하면 각 기관이 생성한 계량기 정보를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하여 별도 수작업으로 통계·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정보의 누락 위험이 크고, 정확한 정보 제공 및 민원 해결의 어려움 발생한다.
즉, 현 계량종합관리시스템에서는 형식승인 및 검정, 정기검사 업무 현황 등 통계만 제한된 정보로 제공되어 있어 법/제도 개선, 관리감독 업무 등 정보를 활용함에 있어 한계가 있으며, 관련업체들이 형식승인 기관과 검정기관의 형식승인/검정 관련 정보 접근에 어려움 이 있는 상황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4981호 공고일자 2015년03월24일 "주유기, 주유기 검사 단말기, 주유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검사 시스템"
본 발명은 계량기의 관리 이력을 QR코드로 생성하여 검사자 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한 해당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조회하여 효과적으로 계량기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은,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법정 관리 대상인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 관리 서버; 사용 환경 현장에 설치된 법정 개량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기 법정 계량기를 개별 식별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 및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 확인 및 검정 정보를 입력하는 검사자 단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검사자 단말은, 상기 QR 코드를 확인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이력 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해당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신규 검정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자 단말은, 검정 대상 법정 계량기의 신규 검정 여부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QR 코드 발급을 수행하는 인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력 관리 서버는, 해당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 및 검정 정보를 제공하는 전용 URL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력 관리 서버는, 상기 전용 URL에 상기 검사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신규 검정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방법은, 전산 장치, 정보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법정 관리 대상인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 (b) 사용 환경 현장에 설치된 법정 개량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기 법정 계량기를 개별 식별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검사자 단말이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 확인 및 검정 정보를 이력 관리 서버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검사자 단말은, 상기 QR 코드를 확인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이력 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해당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신규 검정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자 단말은, 검정 대상 법정 계량기의 신규 검정 여부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QR 코드 발급을 수행하는 인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력 관리 서버는, 해당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 및 검정 정보를 제공하는 전용 URL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력 관리 서버는, 상기 전용 URL에 상기 검사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신규 검정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의하면,
첫째, QR 코드에 의해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를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으므로, 검정시간 및 검정요원의 업무량을 줄일 수 있다.
둘재, 일반 사용자도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를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으므로 개방성, 공공성, 정보성과 활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검사자 단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검정을 실시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3은 검사자 단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검정을 실시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1000)은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검사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력 관리 서버(100), QR 코드(200-1, 200-2, 200-3) 및 검사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이력 관리 서버(100)는 법정 관리 대상인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이다.
본 발명에서 식별부호 200-a, 200-b, 200-c로 도시한 '법정 계량기'는 『계량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된 계량기로서, 표 1의 생활용 계량기 13종을 의미한다
NO 계량기 종류 비 고
1 비자동 저울 판수동 저울
접시지시 및
판지시 저울
최대용량이 2 ㎏ 이하로서 저울 또는 명판에 가정용, 교육용 또는 참조용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제외
전기식 지시 저울 하기는 제외

① 최소눈금 값이 10 ㎎ 미만인 것
② 검정 눈금수가 100 미만 또는 200,000 초과인 것
③ 최대용량이 1 ㎏ 이하로서 저울 또는 명판에 가정용,
교육용, 참조용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
④ 체중계로 표기되어 있는 것
2 분동 E1 등급의 분동 제외
3 가스 미터 최대 유량이 1,000 ㎥/h 이하인 것에 한정
4 수도 미터 호수 구경이 350 ㎜ 이하인 것에 한정
5 온수 미터 호수 구경이 350 ㎜ 이하인 것에 한정
6 오일 미터 호수 구경이 100 ㎜ 이하인 것에 한정
7 주유기 자동차 주유용에 한정
8 요소수 미터 자동차 주입용에 한정
9 LPG 미터 자동차 충전용으로, 호칭 구경이 40 ㎜ 이하인 것에 한정
10 눈새김 탱크 유류 거래용에 한함
11 적산 열량계 호칭 구경이 350 ㎜ 이하인 것으로서, 열매체가 액체인 것에 한정
12 전력량계
13 전기자동차 충전기
법정계량기 중 비자동 저울 3종과 국제 석유 시장의 공급 변동에 따른 소비자 가격의 변동폭이 큰 기름에 사용하는 계량기인 “주유기, LPG 미터, 요소수 미터, 오일 미터”의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들(PCB 기판 조작, 프로그램 변조 등 정량 미달 조작 수법의 진화 및 불법 계량기 사용 등)이 정기 검사 및 재검정 과정에서 다수 확인되고 있으므로,
이력 관리 서버(100)는 이들 계량기의 이력을 관리하는 목적으로 개시된다.
이력 관리 서버(100)는 LTE/5G 와 같은 상용 이동 통신망을 통해 검사자 단말(300)과 접속될 수 있다.
QR 코드(200-1, 200-2, 200-3)는 사용 환경 현장에 설치된 법정 개량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를 개별 식별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즉, QR 코드(200-1)은 법정 계량기(200-a)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QR 코드(200-2)은 법정 계량기(200-b)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QR 코드(200-3)은 법정 계량기(200-c)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유 정보는, 해당 법정 계량기의 종류, 검정 일자, 검정 유효기간, 검정을 실시한 검사자 정보를 포함한다. 단 QR 코드에 해당 정보가 모두 기입되어야할 필요는 없으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는 URL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기입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QR 코드는 법정계량기 13종 전체에 대해 각각 분류 체계로 고유 정보가 분류된다. QR 코드는 스마트폰과 같은 카메라를 구비한 정보 통신 기기에 의해 내용이 식별될 수 있으며,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접속은 범용 웹 브라우져 및 검사자 단말(300)에서 실행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검사자 단말(300)은 QR 코드(200-1, 200-2, 200-3)를 인식하여 각각의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이력 정보 확인 및 검정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검사자 단말(300)은 카메라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정보 통신 장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간단하게는 스마트폰과 같는 범용 정보통신 단말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검사자 단말(300)을 구현한 예이다.
카메라부는 QR 코드를 영상 인식 방식으로 확인하는 장치이다. 스마트폰(M)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 인식이 가능하다. 통신부는 이력 관리 서버(100)와 접속하여 해당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신규 검정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마트폰(M)에 내장된 상용 통신기능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검사자 단말(300)은 인쇄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부(310)는 휴대용 프린터로 구현할 수 있다. 인쇄부(310)는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신규 검정 여부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QR 코드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발급한다.
검사자는 필요에 따라 신규 QR 코드를 인쇄하여 기존에 부착된 NFC 테그를 대체할 수 있다.
이력 관리 서버(100)는 이력 DB(110), URL 제공부(120), 관리자용 검정 인터페이스부(130) 및 일반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한다.
이력 DB(110)는 각각의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이력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URL 제공부(120)는 관리자용 검정 인터페이스부(130) 및 일반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40)의 접속을 위한 URL을 제공한다.
각각의 QR 코드(200-1, 200-2, 200-3)는 해당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이력 관리용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URL 정보를 포함한다.
일반 사용자 단말(400)로 QR 코드를 스캔(즉, 촬영하여 인식)하면 URL 제공부(120)는 일반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40)의 접속을 위한 URL로 연결된다.
일반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해당 법정 계량기의 종류, 검정 일자, 검정 유효 기간과 같은 공개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검사자 단말(300)로 통해 QR 코드를 스캔(즉, 촬영하여 인식)하면 URL 제공부(120)는 관리자용 검정 인터페이스부(130)의 접속을 위한 URL을 제공한다.
검사자 단말(30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용 검정 인터페이스부(130)에 접속하여, 해당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상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검정 유효기간이 경과 되었거나, 유효기간이 규정된 일자 이내로 남았을 경우 검사자는 현장에서 해당 해당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검정을 실시한 후 이에대한 검정 이력을 입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인쇄부(310)를 통해 신규 검정 여부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QR 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1000)을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이력 관리 서버(100), QR 코드(200-1, 200-2, 200-3) 및 검사자 단말(300)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방법은, QR 코드 인식 단계(S100), 검사 이력 조회 단계(S200) 및 신규 검정 정보 입력 단계(S300) 순으로 수행된다.
S100 단계에서, 검사자 단말(300)은 QR 코드(200-1, 200-2, 200-3)를 인식한다.
검사자 단말(300)은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이력 정보 확인 및 검정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검사자 단말(300)은 카메라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정보 통신 장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간단하게는 스마트폰과 같는 범용 정보통신 단말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검사자 단말(300)을 구현한 예이다.
카메라부는 QR 코드를 영상 인식 방식으로 확인하는 장치이다. 스마트폰(M)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 인식이 가능하다. 통신부는 이력 관리 서버(100)와 접속하여 해당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신규 검정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마트폰(M)에 내장된 상용 통신기능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QR 코드(200-1, 200-2, 200-3)는 사용 환경 현장에 설치된 법정 개량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를 개별 식별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즉, QR 코드(200-1)은 법정 계량기(200-a)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QR 코드(200-2)은 법정 계량기(200-b)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QR 코드(200-3)은 법정 계량기(200-c)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유 정보는, 해당 법정 계량기의 종류, 검정 일자, 검정 유효기간, 검정을 실시한 검사자 정보를 포함한다. 단 QR 코드에 해당 정보가 모두 기입되어야할 필요는 없으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는 URL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기입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QR 코드는 법정계량기 13종 전체에 대해 각각 분류 체계로 고유 정보가 분류된다.
S200 단계에서, 해당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이력을 확인한다. 이력 확인은 검사자 단말(300)이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력 관리 서버(100)는 이들 계량기의 이력을 관리하는 목적으로 개시된다.
이력 관리 서버(100)는 LTE/5G 와 같은 상용 이동 통신망을 통해 검사자 단말(300)과 접속될 수 있다.
QR 코드는 스마트폰과 같은 카메라를 구비한 정보 통신 기기에 의해 내용이 식별될 수 있으며,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접속은 범용 웹 브라우져 및 검사자 단말(300)에서 실행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력 관리 서버(100)는 이력 DB(110), URL 제공부(120), 관리자용 검정 인터페이스부(130) 및 일반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한다.
이력 DB(110)는 각각의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이력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URL 제공부(120)는 관리자용 검정 인터페이스부(130) 및 일반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40)의 접속을 위한 URL을 제공한다.
각각의 QR 코드(200-1, 200-2, 200-3)는 해당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이력 관리용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URL 정보를 포함한다.
일반 사용자 단말(400)로 QR 코드를 스캔(즉, 촬영하여 인식)하면 URL 제공부(120)는 일반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40)의 접속을 위한 URL로 연결된다.
일반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해당 법정 계량기의 종류, 검정 일자, 검정 유효 기간과 같은 공개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검사자 단말(300)은 신규 검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검사자 단말(300)로 통해 QR 코드를 스캔(즉, 촬영하여 인식)하면 URL 제공부(120)는 관리자용 검정 인터페이스부(130)의 접속을 위한 URL을 제공한다.
검사자 단말(30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용 검정 인터페이스부(130)에 접속하여, 해당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상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검정 유효기간이 경과 되었거나, 유효기간이 규정된 일자 이내로 남았을 경우 검사자는 현장에서 해당 해당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검정을 실시한 후 이에대한 검정 이력을 입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인쇄부(310)를 통해 신규 검정 여부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QR 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검사자 단말(300)은 인쇄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부(310)는 휴대용 프린터로 구현할 수 있다. 인쇄부(310)는 법정 계량기(200-a, 200-b, 200-c)의 신규 검정 여부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QR 코드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발급한다. 검사자는 필요에 따라 신규 QR 코드를 인쇄하여 기존에 부착된 NFC 테그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100 : 이력 관리 서버
200-a, 200-b, 200-c : 이력 관리 대상 법정 량기
200-1, 200-2, 200-3 : QR 코드
300 : 검사자 단말
400 : 일반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법정 관리 대상인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 관리 서버;
    사용 환경 현장에 설치된 법정 개량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기 법정 계량기를 개별 식별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 및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 확인 및 검정 정보를 입력하는 검사자 단말을 포함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 단말은,
    상기 QR 코드를 확인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이력 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해당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신규 검정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 단말은,
    검정 대상 법정 계량기의 신규 검정 여부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QR 코드 발급을 수행하는 인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력 관리 서버는,
    해당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 및 검정 정보를 제공하는 전용 URL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력 관리 서버는,
    상기 전용 URL에 상기 검사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신규 검정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6. 전산 장치, 정보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법정 관리 대상인 '법정 계량기'의 검사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
    (b) 사용 환경 현장에 설치된 법정 개량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기 법정 계량기를 개별 식별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검사자 단말이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 확인 및 검정 정보를 이력 관리 서버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 단말은,
    상기 QR 코드를 확인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이력 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해당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신규 검정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 단말은,
    검정 대상 법정 계량기의 신규 검정 여부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QR 코드 발급을 수행하는 인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력 관리 서버는,
    해당 법정 계량기의 이력 정보 및 검정 정보를 제공하는 전용 URL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력 관리 서버는,
    상기 전용 URL에 상기 검사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신규 검정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방법.
KR1020220126898A 2022-10-05 2022-10-05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240047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898A KR20240047636A (ko) 2022-10-05 2022-10-05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898A KR20240047636A (ko) 2022-10-05 2022-10-05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636A true KR20240047636A (ko) 2024-04-12

Family

ID=9068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898A KR20240047636A (ko) 2022-10-05 2022-10-05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6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81B1 (ko) 2012-07-25 2015-03-24 주식회사 카스 주유기, 주유기 검사 단말기, 주유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검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81B1 (ko) 2012-07-25 2015-03-24 주식회사 카스 주유기, 주유기 검사 단말기, 주유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검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90823B (zh) 基于SaaS的账务数据管理系统
US200600205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emissions
KR20040085121A (ko) 환경 부하 정보 제공 방법
Wang et al. International trade and consumption‐based carbon emissions: Does energy efficiency and financial risk ensure sustainable environment?
CN109670785A (zh) 一种碳盘查/碳核查管理系统及方法
CN108205710A (zh) 一种安全性能高的维修管理系统
CN101515342A (zh) 计量检定技术机构样品器具信息唯一性的管理系统及方法
CN110223035A (zh) 消防验收智能量化方法和消防验收智能量化系统
CN104408575A (zh) 一种企业经营数据管理系统及方法
CN112862338A (zh) 一种企业信用报告获取方法及相关设备
Peiseler et al. Toward a European carbon footprint rule for batteries
KR20240047636A (ko) Qr코드 기반의 법정 계량기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115600972A (zh) 一种不良资产的核销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302974A (zh) 数据测试方法、装置、设备、介质和程序产品
CN113609829A (zh) 一种基于财务大数据的报表处理系统及方法
CN111625455A (zh) 一种程序测试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2003140735A (ja) ポンプ場点検システム
CN108510135B (zh) 一种互联网公共服务平台系统
Buica et al. Financial Audit Procedures Employed in Sustainability Assurance
Branson et al. AN ANALYSIS OF COMPLIANCE AUDITS OF A STATE GOVERNMENT.
CN104361516A (zh) 一种科学研发与测试服务的互联网对接与交易方法及平台
JP7308158B2 (ja) サービス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Wu et al. Design of optimal power supply parameters for industrial expansion
CN103325063A (zh) 试验专业试验报告查询与验证系统
CN107403503A (zh) 发票查验比对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