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055A -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055A
KR20240047055A KR1020220126218A KR20220126218A KR20240047055A KR 20240047055 A KR20240047055 A KR 20240047055A KR 1020220126218 A KR1020220126218 A KR 1020220126218A KR 20220126218 A KR20220126218 A KR 20220126218A KR 20240047055 A KR20240047055 A KR 20240047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d
hair dryer
heat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055A/ko
Publication of KR2024004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Abstract

전면과 배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헤드 하우징;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삽입되는 헤드 프레임; 상기 헤드 프레임의 내부에 실장되는 히터모듈과 기판모듈; 및 상기 헤드 프레임의 배면에서 결합하며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프레임은 외주면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 방향에서 상기 헤드 프레임이 삽입 후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리브가 상기 결합슬롯에 삽입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HAIR DRYER}
본 발명은 고온의 바람을 제공하여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을 젖은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 물기를 제거하거나, 현재 모양으로부터 원하는 모양으로 스타일링하는 경우, 기체 토출부를 통해 기체를 토출하는 헤어 드라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 내부에는 기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유닛 등이 내장될 수 있고, 이러한 내부 구성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를 자체 하중 등을 고려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히터모듈이 헤드부에 위치하며 히터모듈의 열에 의해 케이스의 온도도 상승하면 화상의 위험이 있고 제어부와 같은 내부 부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히터모듈의 열이 외부나 다른 곳으로 전달되지 않고 유로를 지나가는 공기에 모두 전달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특히 무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배터리가 내장되어야 하며, 헤어 드라이어에 배터리를 실장할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며, 기능 확장을 위해 이온 생성기 등의 부품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액세서리 등을 결합할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에 대한 니즈가 있다.
헤어 드라이어를 손에 들고 사용하므로 너무 커지거나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부품의 최적 배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하우징 체결시 일반 사용자는 쉽게 분리하지 못하고 밀폐 체결 가능하나, 수리를 위해서 분해가 용이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면과 배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헤드 하우징;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삽입되는 헤드 프레임; 상기 헤드 프레임의 내부에 실장되는 히터모듈과 기판모듈; 및 상기 헤드 프레임의 배면에서 결합하며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프레임은 외주면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 방향에서 상기 헤드 프레임이 삽입 후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리브가 상기 결합슬롯에 삽입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슬롯에 형성되 걸림돌기; 및 상기 결합리브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체결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슬롯에 이웃하여 형성된 고정돌기; 상기 헤드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프레임은 상기 결합슬롯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며 배면방향을 향할수록 중앙방향으로 인입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로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 프레임을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에서 삽입 시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가이드 슬로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결합슬롯 및 상기 결합리브는 이격되어 2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프레임은 상기 히터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된 히터 프레임; 및 상기 기판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판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히터 프레임과 상기 기판 프레임은 후크결합할 수 있다.
상기 히터 프레임은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 브라켓; 및 상기 후크 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 프레임에 형성된 프레임 후크홈에 체결되는 프레임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브라켓은 상기 히터모듈과 상기 기판모듈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는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결합슬롯은 상기 기판 프레임에 형성된 제1 결합슬롯 및 상기 히터 프레임에 형성된 제2 결합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결합리브는 상기 헤드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하우징은 하측방향에 형성되어 하부구조와 연결되는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연결홀의 배면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의 하부에 결합된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기판 프레임의 전면하단에 접하는 버튼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열선이 서로 간섭없이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모듈의 열이 내측의 제1 히터 케이스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아 히터모듈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헤드부의 구성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퓨저와 같은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헤어 드라이어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퓨저의 외곽에 위치하는 제1 배출홀에도 충분히 바람이 공급되어 넓은 범위에 기준이상의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버튼홀이나 커넥터 홀 등의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유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전원 케이블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전원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헤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헤드 하우징과 헤드 프레임의 결합 태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헤드 하우징과 헤드 프레임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헤드 하우징과 헤드 프레임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히터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히터모듈의 제1 열선을 감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히터모듈의 제2 세퍼레이터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히터모듈의 제2 열선을 감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에 디퓨저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배면도 및 성능을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배면도 및 성능을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브릿지 유무에 따른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연결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연결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손잡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손잡이 프레임의 체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손잡이 프레임 상의 케이블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어(100)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0)와 손잡이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부(1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토출되는 기체 토출부(113)를 포함한다.
헤드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기체가 유동하는 기체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기기체유로는 헤드부(110)의 내부 및 손잡이부(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기체 유입구(1285)로부터 기체 토출부(113)까지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헤드부(110)는 기체 토출부(113)의 기체 토출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에 마련되는 기체 유입구(1285)를 통해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유로를 따라 유동되어 헤드부(110)에 마련되는 기체 토출부(11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헤드부(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고하면, 헤드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20)가 도시되어 있다. 하방은 헤드부(110)의 하부에서 반드시 90° 이루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하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종래의 드라이어는 히터, 팬모터(151) 및 팬이 헤드부에 위치하여 헤드부의 무게가 컸다. 헤드부의 무게가 크면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이용시 손목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는 팬모터(151)와 팬을 손잡이부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부(120)는 헤드부(11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헤드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가 헤드부(110)와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헤드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1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 프레임(112)의 상단은 헤드 하우징(111)에 결합되고 하단은 손잡이 프레임(126)에 결합되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헤드 하우징(111)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헤드 하우징(111)과 연결 프레임(112) 사이는 연장방향이 변화하는 곳으로 내부 유로의 바람이 변화하는 부분이고, 또한 외부 충격에 가장 약한 부분이다. 연결 프레임(112)을 손잡이 프레임(126)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헤드 하우징(111)의 하부에서 체결하는 경우, 파손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연결 프레임(112)과 헤드 하우징(111)을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연결 프레임(112)과 손잡이 프레임(126)은 별도로 체결하되, 손잡이 하우징(128)이 연결 프레임(112)과 손잡이 프레임(126)을 동시에 커버하며 연결 프레임(112)과 손잡이 프레임(126) 사이의 체결력을 보강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위가 될 수 있으며, 그립감을 위해 원통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소형 팬모터(151)를 이용하여 잡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하방향은 손잡이부(120)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120)는 헤드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방에 헤드부(110)가 위치될 수 있다.
전후방향은 헤드부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체 토출부(113)가 전면 그 반대 편이 후면이되며, 후면에는 헤어 드라이어의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는 기체를 유동시키고 기체 토출부(113)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송풍팬(155)을 포함한다. 송풍팬(155)은 기체유로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며, 헤드부(110)의 내부 또는 손잡이부(1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통상의 헤어 드라이어(100)는 헤드부(110)에 송풍팬(155)이 위치하여 송풍팬(155)의 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나, 본 실시예의 송풍팬(155)은 손잡이부(120)에 위치하며 손잡이부(120)의 직경이 헤드부(110)보다 작으므로 송풍팬(155)의 크기도 작아지게 된다.
송풍팬(155)의 팬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팬모터(151)의 RPM을 높여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기체유로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만들 수 있다. 예를들어 100,000rpm으로 구동하는 송풍팬(155)은 팬의 크기가 작아도 충분한 바람세기를 만들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100)는 무선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모듈을 헤드부(110)에 배치하는 경우 무게가 증가하여 사용성이 저하되므로 손잡이부(120)에 배치할 수 있다. 손잡이부(120)에 배치된 송풍팬(155)보다 배터리모듈의 무게가 더 크므로 배터리모듈이 손잡이부(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송풍팬(155)이 손잡이부(1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10)의 내부에는 토출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히터모듈(160)이 구비될 수 있다. 히터모듈(160)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헤드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모듈(16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히터모듈(16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히터모듈(160)은 코일 형태의 저항체에 전류를 제공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체를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히터모듈(160)의 저항체가 반드시 코일 형태가 아닐 수 있고,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등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작동방식을 기체 유동과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손잡이부(120)에 배치되는 전원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전원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송풍팬(155)이 작동되면서 기체가 기체 유입구(1285)를 통해 헤어 드라이어(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기체 유입구(1285)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송풍팬(155)에 의해 기체유로를 따라 유동되어 헤드부로 이동하고 히터모듈(160)을 통과하며 온도가 상승한다. 고온의 기체가 기체 토출부(113)에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기체유로상의 기체는 송풍팬(155)에 의해 유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히터모듈(16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는 제어부로서 기판모듈(131), 디스플레이 기판(134), 버튼기판(14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송풍팬(155), 히터모듈(160), 전원버튼 및 조작부 등과 연결되어 상기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155) 및 히터모듈(160)의 운전상태 조절은 손잡이부(120)의 버튼부(142)나 헤드부(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41)를 통하여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체 유입구(1285)는 손잡이케이스(210)에 형성된 복수의 기체 유입구(1285)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체유로는 손잡이부(120)에 위치하며 손잡이부(12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유로와 헤드부(110)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제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와 제2 유로가 ㄱ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기체유로가 꺾어지는 부분에서 유속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 보상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보상유로는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포함하거나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유로방향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로를 완만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간이 많이 필요하므로 본 실시예의 압력 보상유로는 넓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 프레임(112) 내부 및 기판부와 히터모듈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여 유속감지를 최소화 하며 유로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헤드 하우징(111)과 헤드 하우징(111)의 내부에 위치하는 헤드 프레임(115)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하우징(111)은 원통의 지름이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전후의 지름이 동일하지 않고 전면의 지름이 더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헤드 프레임(115)은 히터모듈(160), 기판모듈(131) 및 디스플레이부(141)를 실장한다. 헤드 프레임(115)는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복수개의 프레임(116, 117, 118)으로 구성되고, 각각 결합한 후에 헤드 하우징(1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헤드 프레임(115)은 히터모듈이 실장되는 히터 프레임(116), 기판이 실장되는 기판 프레임(117) 및 헤드 하우징(111)의 배면에 체결되며 헤드부의 배면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부(141)가 실장되는 커버 프레임(118)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헤드부(110) 내부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헤드부는 히터 프레임(116)에 삽입된 히터모듈(160), 기판 프레임(117)에 삽입된 기판모듈(131), 배면에서 결합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프레임(118) 및 커버 프레임(118)의 배면에 디스플레이부(141)로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은 프레임(116, 117, 118)에 고정되며 각 프레임(116, 117, 118)은 후크구조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히터 프레임(116)은 히터모듈(160)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히터의 열이 측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모듈(160) 외주면을 전부 감싸는 원통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헤드 하우징(111)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히터모듈(160)과 기판모듈(131) 사이에 이격공간을 두고 손잡이부(120)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해야한다. 따라서 히터 프레임(116)은 배면방향으로 연장된 후크 브라켓(1163)을 포함하며 후크 브라켓(1163)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1164)를 이용하여 기판 프레임(117)의 후크(1178)와 체결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8)는 기판 프레임(117)과 체결될 수도 있고, 후크 브라켓(1163)의 단부에 위치하는 후크(1164)을 통해 히터 프레임(116)과 체결될 수도 있다.
히터모듈(160)과, 기판모듈(131) 및 디스플레이 기판(134)을 기판모듈(131)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에 히터 프레임(116), 기판 프레임(117) 및 커버 프레임(118)를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헤드 하우징(111)과 도 4의 복수개의 프레임(116, 117, 118)이 후크 결합한 헤드 프레임(115)의 결합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결합된 헤드 프레임(1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하우징(111)의 배면 방향에서 삽입되어 헤드 하우징(11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헤드 프레임(115)과 헤드 하우징(111)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헤드 프레임(115)을 헤드 하우징(111)의 배면에서 삽입(①) 후에 헤드 하우징(111)과 헤드 프레임(115)이 고정되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제1 방향, ②)으로 회전하여 헤드 프레임(115)과 헤드 하우징(111)을 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 하우징(111)과 헤드 프레임(115)의 체결방식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은 헤드 하우징(111)의 내측면을 도 7은 헤드 프레임(115)의 외주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체결구조는 결합리브(1115), 결합슬롯(1165, 1175), 걸림홈(1116), 걸림돌기(1176), 고정홈(1117), 고정돌기(117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헤드 하우징(111)의 결합리브(1115)는 도 7의 헤드 프레임(115)의 결합슬롯(1175)에 삽입된다. 도 6의 헤드 하우징(111)의 걸림홈(1116)과 도 7의 헤드 프레임(115)의 걸림돌기(1176)가 체결되며, 도 6의 헤드 하우징(111)의 고정홈(1117)과 도 7의 헤드 프레임(115)의 고정돌기(1177)가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리브(1115), 걸림홈(1116), 고정홈(1117)은 헤드 하우징(111)에 위치하고, 결합슬롯(1175), 걸림돌기(1176) 및 고정돌기(1177)는 헤드 프레임(115)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115)을 헤드 하우징(111)의 배면에서 삽입(①) 후에 제1 방향으로 회전(②)하여 체결할 수 있다. 배면에서 삽입 시(①) 결합리브(1115)는 결합슬롯(1175)의 개방된 일측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하고, 이후 헤드 프레임(115)을 제1 방향으로 회전 시(②) 결합리브(1115)는 결합슬롯(1175)으로 삽입되어 헤드 프레임(115)과 헤드 하우징(111)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다.
너무 쉽게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헤드 하우징(111)이 헤드 프레임(115)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리브(1115)가 결합슬롯(1175)의 단부에 도달하면 고정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리브(1115)를 결합슬롯(1175)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회전이 완료되는 지점에 걸림구조(후크(1164, 1178) 및 후크홈(1174, 1188))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리브(1115)에 오목한 결림홈(1116)을 형성하고 결합슬롯(1175)에 걸림홈(1116)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돌기(1176)를 형성하여 걸림홈(1116)에 걸림돌기(1176)가 삽입되면서 결합리브(1115)가 결합슬롯(1175)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력을 보강하기 위해 추가로 고정돌기(1177)와 고정홈(111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1177)와 고정홈(1117)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리브(1115) 및 결합슬롯(1175)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결합리브(1115)가 결합슬롯(1175)에 삽입이 완료되어 걸림홈(1116)과 걸림돌기(1176)가 체결시 고정돌기(1177)와 고정홈(1117)이 체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헤드 하우징(111)과 헤드 프레임(115)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의 단면도는 결합리브(1115), 결합슬롯(1175), 고정홈(1117) 및 고정돌기(1177) 부분의 단면도로서, 결합슬롯(1175)에 삽입된 결합리브(1115)와 고정홈(1117)에 삽입된 고정돌기(1177)가 도시되어 있다. 걸림돌기(1176)도 걸림홈(1116)에 삽입되어 있다.
결합리브(1115)는 헤드 하우징(111)의 하측뿐만 아니라 상측에도 구비할 수 있다. 하측은 연결 프레임(112)이 위치하므로 공간이 좁아 하측의 결합리브(11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만 구비하나, 상측의 결합리브(11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헤드 프레임(115)의 상부 체결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결합슬롯(1175)은 기판 프레임(117)에 형성되며,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결합리브(1115)와 체결되는 결합슬롯(1175)은 기판 프레임(117)에 하나, 히터 프레임(116)에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하우징(111)과 헤드 프레임(115)의 히터 프레임(116) 및 기판 프레임(117)이 모두 체결됨으로써 헤드 프레임(115)과 헤드 하우징(111)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8)는 헤드 하우징(111)과 직접 체결되지 않더라도 기판 프레임(117)과 결합되어 있어 고정가능하다.
커버 프레임(11)의 외주면에 구비된 실링 부재를 통해 헤드 하우징(111)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헤드 하우징(111)의 배면을 실링할 수 있다.
헤드 프레임(115)에 헤드 하우징(111)의 배면 방향에서 삽입 시 헤드 하우징(111)의 배면이 넓으므로 헤드 하우징(111)의 내측면과 히터 프레임(116)의 외측면이 닿지 않으며 삽입될 수 있다. 다만, 헤드 하우징(111)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리브(1115)가 돌출되어 있어, 헤드 프레임(115)이 결합리브(1115)에 걸려 삽입이 어려울 수 있다.
헤드 프레임(115)에 결합리브(1115)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로프(1168)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로프(1168)는 헤드 프레임(115) 상에 형성되며 배면을 향해 헤드 프레임(115)의 외주면에서 인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로프(1168)는 결합슬롯(1175)의 개방된 단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슬롯(1175)이 기판 프레임(117) 상에 형성되므로 가이드 슬로프(1168)는 히터 프레임(116)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헤드 하우징(111)과 헤드 프레임(115)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헤드부(110)의 상부이고 도 12은 헤드부(110)의 하부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헤드부(110)의 상부는 히터 프레임(116)의 후크(1164)와 기판 프레임(117)의 후크홈(1174)이 체결되고, 기판 프레임(117)의 후크(1178)와 커버 프레임(118)의 후크홈(1188)이 체결되어 있다. 후크(1164, 1178)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으며 위치는 상부나 하부에 국한되지 않는다.
헤드 하우징(111)의 상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리브(1115)를 구비하며 한 쌍의 결합리브(1115)는 히터 프레임(116)에 위치하는 결합슬롯(1175) 및 기판 프레임(117)에 형성된 결합슬롯(1175)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헤드부(110)의 하부는 연결 프레임(112)이 위치하는 배면 방향에 체결구조가 위치한다. 헤드 프레임(115)이 헤드 하우징(111)에 결합한 후에 연결 프레임(112)의 내측에 버튼부(142)가 실장되는 버튼 기판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기판(1423)의 상측이 헤드 프레임(115)과 중첩될 수 있다. 위치상으로 기판 프레임(117)의 전방과 맞닿을 수 있으며 버튼 기판이 헤드 프레임(115)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세퍼레이터(16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히터모듈(160)을 전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로, 전면에 위치하는 제4 히터 케이스(166)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히터모듈(160)은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히터 케이스(163, 165)가 중첩 배치되며 히터 케이스(163, 165)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바람이 통과하는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1 히터 케이스(163)의 내측 공간을 활용하여 이온을 공급하는 이오나이저(168)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3)의 후면을 커버하는 제3 히터 케이스(166)와 전면을 커버하는 제4 히터 케이스(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히터 케이스(166)는 제1 히터 케이스(163) 내부의 이오나이저(168)에서 생성된 이온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면에 개방된 홀(16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히터 케이스(166)는 기체 토출부(113)에 추가로 장착하는 액세서리의 탈부착을 위한 자석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액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가 필요한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액세서리 기판(미도시)이 실장될 수 있다.
기체 토출부(113)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69)를 추가로 구비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화상우려가 있으므로 히터모듈(160)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 내지 제4 히터 케이스(163, 165, 166, 167)는 주변 장치 및 헤드 하우징(111) 외측으로 열선(161)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열전달을 막는 단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운모(MICA)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열기능뿐만 아니라 내화성능이 있어,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3)와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히터 케이스(165)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열선(161)이 위치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열선(161)은 코일 형태의 열선(161)을 이용하며 제1 히터 케이스(163)의 둘레를 감아 배치할 수 있다. 열선(161)은 코일형태 이외에 지그재그로 꺾어진 테이프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다.
열선(161) 사이에 접촉되는 경우 합선에 의한 화재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각 열선(161) 사이의 중첩을 피하면서 헤어 드라이어(100)기의 움직임에도 열선(161)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164)를 이용하여 각 열선(16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제1 히터 케이스(163)와 제2 히터 케이스(165) 사이의 이격공간을 일정하게 유지하 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64)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내측은 제1 히터 케이스(163)를 향하고 외측은 제2 히터 케이스(165)를 향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세퍼레이터(16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상 하부는 제1 히터 케이스(163)를 향하는 내측단부이고 상부는 제2 히터 케이스(165)를 향하는 외측 단부이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164)는 열선(161)을 2중으로 중첩하여 배치하기 위해 서로 높이가 상이한 두 종류의 세퍼레이터(164)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제1 세퍼레이터(1641)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2의 (b)는 제2 세퍼레이터(1642)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열선(1611)이 감기는 제1 세퍼레이터(1641)와 제2 코일이 감기는 제2 세퍼레이터(164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퍼레이터(1641)는 제2 히터 케이스(165)와 직접 닿지는 않을 수 있으나 제2 세퍼레이터(1642)의 상측은 제2 히터 케이스(165)의 내측면과 접하며 제2 히터 케이스(16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세퍼레이터(1641)는 깊게 패인 복수개의 제1 그루브(1641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그루브(1641a)보다 얕은 깊이의 제2 그루브(1641b)는 제1 그루브(164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641a)에 제1 열선(1611)이 위치하고 제2 그루브(1641b)에 제2 열선(161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641a)와 제2 그루브(1641b)의 깊이는 상이하므로 제1 열선(1611)과 제2 열선(1612)은 히터모듈(160)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세퍼레이터(1641)는 제1 그루브(1641a)와 제2 그루브(1641b)를 가지고 제2 세퍼레이터(1642) 보다 높이가 작다(h1<h2).
제2 세퍼레이터(1642)는 제1 세퍼레이터(1641) 보다 높이 가 높고, 제1 열선(1611)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에 제3 그루브(1642a)가 형성된다. 제2 세퍼레이터(1642)의 상부(외측단부)에는 제2 열선(1612)이 위치하는 제4 그루브(16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그루브(1642a)와 제4 그루브(1642b)는 이격되어 있어 제1 열선(1611)과 제2 열선(1612)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히터모듈(160)의 제1 열선(1611)을 감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1 히터 케이스(163)에 제1 세퍼레이터(1641)를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3)의 배면을 커버하는 제3 히터 케이스(166)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64)를 고정하기 위한 세퍼레이터(164) 고정홈(16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퍼레이터(1641)의 제1 그루브(1641a)에 제1 열선(1611)을 감는다. 제1 열선(1611)의 시작점(1611a)는 히터모듈(160)의 후방으로 연장된 제1 전극(1613)에 연결되며 종료점(1611b)는 히터모듈(160)의 전방에 위치한다.
제1 열선(1611)이 나선형태로 제3 히터 케이스(166)가 위치하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감긴다. 이러한 나선 구조로 인하여 복수개의 제1 세퍼레이터(1641)의 제1 그루브(1641a)의 위치는 조금씩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선(1611)의 시작점(1611a)과 종료점은 상측의 제1 세퍼레이터(1641) 상에 위치하여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세퍼레이터(1641)만 4개의 제1 그루브(1641a)를 포함하고 다른 제1 세퍼레이터(1641)는 3개의 제1 그루브(164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641a)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열선(1611)의 두께 또는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히터모듈(160)의 제2 세퍼레이터(1642)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세퍼레이터(1641) 사이사이에 제2 세퍼레이터(1642)를 배치할 수 잇으며 제2 세퍼레이터(1642)도 제3 히터 케이스(166)에 형성되 세퍼레이터 고정부(1671)에 끼워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그루브(1642a)를 통해 제1 열선(1611)이 통과하여 제1 열선(1611)의 수평방향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제1 열선(1611)이 제2 열선(1612)이 위치하는 제2 히터 케이스(165)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히터모듈(160)의 제2 열선(1612)을 감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세퍼레이터(1642)의 제4 그루브(1642b)와 제1 세퍼레이터(1641)의 제2 그루브(1641b)에 제2 열선(1612)이 위치하도록 제2 열선(1612)을 나선형으로 감는다.
제2 열선(1612)의 시작점(1612a)은 히터모듈(160)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2 열선(1612)의 종료점(1612b)은 히터모듈(16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열선(1611)과 제2 열선(1612)을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병렬로 연결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선(1611)과 제2 열선(1612)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열선(1611)의 종료점(1611b)과 제2 열선(1612)의 시작점(1612a)이 히터모듈(160)의 전방에서 연결된다. 제1 열선(1611)과 제2 열선(1612) 사이에 바이메탈(1615)과 퓨즈(1616)를 배치하여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바이메탈(1615)은 제1 기준 온도 이상 올라가면 형상이 변화하며 제1 열선(1611)과 제2 열선(1612)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연결될 수 있다. 퓨즈(1616)는 제1 기준 온도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면 물리적으로 끊어져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열선(1612)의 종료점(1612b)은 히터모듈(160)의 후방에서 제2 전극(1614)과 연결된다. 제1 전극(1613)과 제2 전극(1614)은 제3 히터 케이스(167) 상에 위치하며 기판모듈(131)과 연결되며 기판모듈(131)은 히터모듈(160)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열선(1612)을 모두 감은 후에 제2 히터 케이스(165)를 부가하여 열선(161)이 제1 히터 케이스(163)와 제2 히터 케이스(165) 사이의 유로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히터모듈(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프레임(116)의 내부 삽입된다.
본 발명의 히터모듈(160)은 세퍼레이터(164)를 이용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열선(161) 간의 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히터모듈(160)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에 디퓨저(210)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헤어 드라이어(100)는 기체 토출부(113)에 추가적으로 액세서리(210)를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토출구가 더 적은 형상의 디퓨저(210)는 특정 위치로 바람을 집중시켜 좁은 영역의 빠른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바람의 방향을 바꿔 모발에 컬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디퓨저(210)는 헤어 드라이어(100)의 기체 토출부(113)에서 나오는 바람을 넓은 범위로 분산시켜 두피를 건조하는 장치이다. 디퓨저(210)를 두피에 접촉시켜 헤어 드라이어(100)의 바람이 바로 두피로 공급되어 두피의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다.
디퓨저(210)는 나팔형상으로 헤어 드라이어(100)의 기체 토출부(113)와 결합하는 부분의 직경보다 전방이 더 넓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두피는 모발보다 열을 쉽게 감지하므로 특정 위치에 열풍이 집중되면 화상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두피건조를 위한 디퓨저(210)는 열풍을 넓은 범위로 분산시켜 온도를 낮추고 동시에 빠른 두피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10)의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a)는 정면도이고 (b)는 (a)의 C-C 단면도이다. 디퓨저(210)는 후방측이 헤어 드라이어(100)의 헤드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방방향으로 넓어지는 콘 형상의 디퓨징 케이스(216)와 디퓨징 케이스(216)의 전방에 결합하며 복수개의 배출홀(212)이 형성된 배출커버(211)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징 케이스(216)는 헤어 드라이어(100)의 기체 토출부(113)에 위치하는 자석과 결합하도록 자석 또는 강자성체(217)를 구비할 수 있다. 디퓨징 케이스(216)의 배면은 기체 토출부(113)의 의 형상에 상응하는 도넛형상의 개구부(2165)가 형성되고 전방은 배출커버(211)가 결합된다.
배출커버(211)는 두상에 상응하여 중앙부분이 가장 오목하고 단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된 구의 일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출커버(211)에는 복수개의 배출홀(212)이 형성되며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출홀(212)의 크기는 배출커버(211)의 중앙에서부터 이격될수록 더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배출커버(211)의 중앙 부분에 가장 많은 양의 바람이 토출되고 단부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양이 적다.
기체 토출부(113)는 디퓨징 케이스(216)의 중앙부분에 바람을 공급하므로 배출커버(211)의 단부로 갈수록 풍량이 적어진다. 배출홀(212)의 크기가 단부도 중앙과 동일하면 유속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는 바, 배출커버(211)의 중앙에서 단부로 갈수록 더 작은 크기의 배출홀(2121)을 형성할 수 있다.
배출홀(212)은 공기가 직선 방향으로 빠르게 토출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배출홀(212)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돌기(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돌기(213)는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튜브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전방 단부부분의 홀 직경(내경)이 더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돌기(213)의 단부가 직접 두피와 맞닿으면 바람이 특정 위치에 집중하여 두피에 직접 제공되어 전체적인 두피 건조효과가 저하된다. 따라서 배출홀(212)이 두피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연장돌기(213)보다 더 돌출된 마사지 돌기(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사지 돌기(214)의 단부가 두피와 직접 맞닿으며 연장돌기(213)의 단부는 두피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마사지 돌기(214)는 사용자의 두상에 접촉시 균형을 위해 3개 이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두피에 자극을 최소화 하기 위해 실리콘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10)의 배면도 및 성능을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8의 (a)에 도시된 실시예는 배출커버(211)의 배면은 단순히 배출홀(212)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기체 토출부(113)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그대로 중앙에 위치하는 배출홀(212)로 대부분 배출되어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의 공기의 흐름의 속도 및 양이 주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디퓨저(210)는 헤드부(110)의 기체 토출부(113)에서 토출된 바람을 확산시키는 것이 목적인 바, 배출커버(211)의 외곽에 위치하는 배출홀(212)까지 바람이 공급되어야 한다. 배출커버(211)의 외곽에 위치하는 배출홀(212)까지 공기를 유도하기 위해 브릿지 그루브(21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10)의 배면도 및 성능을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브릿지 그루브(215)는 배출커버(211)의 배면에 방사형으로 연장된 홈으로 2 이상의 배출홀(212)을 연결한다.
외곽에 위치하는 배출홀(212)을 제1 배출홀(2121) 내측에 위치하는 배출홀(212)을 제2 배출홀(2122)이라 하며 브릿지 그루브(215)는 제1 배출홀(2121)과 제2 배출홀(2122)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배출홀(2122)은 제1 배출홀(2121) 보다 내측에 위치하므로 그 개수가 적어 하나의 제2 배출홀(2122)은 복수개의 브릿지 그루브(215b)가 연장될 수 있으며 하나의 브릿지 그루브(215)에 복수개의 제1 배출홀(2121)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출홀(2122)과 제1 배출홀(2121)의 구분은 배출커버(211) 상의 상대적인 위치로서, 방사형으로 배치된 브릿지 그루브(215)로 연결된 배출홀(212) 중 제1 배출홀(2121) 보다 제2 배출홀(2122)이 더 내측에 위치한다.
헤드부(110)의 기체 토출부(113)는 도넛모양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실제 중앙부분보다 약간 이격된 위치에 가장 바람이 강하게 공급될 수 있다. 도넛 형상의 둘레 부분에 위치하는 배출홀(212)로 일부 공기가 토출하고 나머지 공기는 중앙과 외곽에 위치하는 배출홀(212)로 공급된다.
따라서, 배출커버(211)의 둘레까지 바람이 닿도록 브릿지 그루브(215)의 시작점인 제2 배출홀(2122)은 기채 토출구(113)와 직선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 토출부(1113)는 링 형상을 가지므로 제2 배출홀(2122)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브릿지 그루브(215)가 연결되지 않는 제3 배출홀(21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 배출홀(2123)은 브릿지 그루브(215)가 없어도 둘레에서 바람이 공급되어 자연스럽게 많은 양의 바람이 모여 배출되므로 브릿지 그루브(215)가 불필요하다
브릿지 그루브(215)는 중앙에서 약간 이격된 제2 배출홀(2122)에서 시작하여 배출커버(211)의 외곽에 위치하는 제1 배출홀(212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브릿지 그루브(215c)는 외곽에 위치하는 브릿지 그루브(215)끼리 연결할 수도 있고, 하나의 브릿지 그루브(215)에서 브랜치 형태로 분기하는 형태의 브릿지 그루브(미도시)도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브랜치를 구비하는 경우 도 19의 (b)와 같이 중앙부분의 공기의 압력 및 속도는 저하되나 일정수준 이상의 압력 및 속도로 바람이 공급되는 면적이 증가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10)의 브릿지 그루브(215) 유무에 따른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가운데 0 부분이 중앙이고 숫자가 커질수록(+/- 는 방향을 의미) 외곽을 의미한다.
중앙부분의 속도는 브릿지 그루브(215)가 없는 배출커버(211)의 경우 더 크나 외곽부분의 속도는 브릿지 그루브(215)가 있는 배출커버(211)에서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홀(212)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 그루브(215)를 통해 외곽에 위치하는 배출홀(212)에 공기를 유도하여 두피에 골고루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넓은 면적에 바람을 공급하여 두피 건조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건조속도를 높이기 위해 열풍을 이용하는 경우 특정 위치에 집중되어 화상을 입지 않아 안전하게 두피를 건조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커넥터 모듈(133)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100)는 단순이 히터모듈(160)과 팬모듈(155)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다양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가 곱슬인 경우 모발이 얇은 경우, 머리 숱이 많은 경우 등 사용자의 두피 상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00) 액세서리의 종류에 따라 두피건조모드인 경우 집중 건조인 경우 등 특정 모드에 맞는 열풍과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100)는 배면에 디스플레이부(141)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가이드 등의 동영상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화 되는 헤어 드라이어(100)의 제어를 위해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하고 IC가 실장된 기판모듈(131) 및 디스플레이 기판(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 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같은 외부 단말기와 연결이 필요하다.
외부 단말기와 연결을 위해서는 커넥터 단자(1331)가 필요하며 커넥터 단자(1331)는 외측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다만, 다른 전자기기의 커넥터 단자(1331)와 같이 자주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노출시키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만 커버를 개방하여 이용하는 편이 외관상 기능상 유리하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1와 같이 커넥터 단자(1331)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133)를 헤드부(110)의 하단에 구비하고 헤드 하우징(111)에 커넥터 모듈(133)를 노출시키기 위한 커넥터 홀(1184)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 홀(1184)에 결합하는 커넥터 커버(1185)를 이용하여 평상시에 커넥터 단자(1331)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헤드부(110)에 기판모듈(131) 및 디스플레이 기판(134) 등이 위치하므로 헤드부(110)에 커넥터 모듈(133)를 배치하여 배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히터모듈(160)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손잡이부(120)의 배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평상시에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헤어 드라이어(100)의 하측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다만, 헤어 드라이어(100)는 내부에 유로를 포함하며 기체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기체 토출부(113)로 배출되어야 한다. 기체 유입구와 기체 토출부(113)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 유속저하로 인하여 헤어 드라이어(100)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커넥터 모듈(133)를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커넥터 홀(1184)을 통해 유로상의 공기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 홀(1184)의 주변에 밀착되는 커넥터 가스켓(133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2은 커넥터 모듈(133)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커넥터 가스켓(1335)은 커넥터 모듈(133)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가스켓(1335)의 단부는 헤드 하우징(111)과 밀착되며 커넥터 홀(1184)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133)는 커버 프레임(118)에 실장된 디스플레이 기판(13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기판(134)은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나 커넥터 모듈(133)는 커버 프레임(118)의 둘레방향에 위치하므로 디스플레이 기판(134)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연결 프레임(112)의 단면도이다. (a)는 도 2의 D-D단면도이고 (b)는 도 2의 E-E단면도이다. 연결 프레임(112)은 헤드 하우징(111)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연결 프레임(112)은 헤드 하우징(1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 프레임(126)과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 하우징(128)의 상단과 손잡이 프레임(126)의 상단이 동일하게 헤드 하우징(111)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경우 체결구조가 중첩되어 연결부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강성 측면에서도 헤드부(110)와 손잡이부(120)의 연결위치는 취약한 바, 연결홀에서 연결 프레임(112)을 연장하여 손잡이 프레임(126)과 연결되는 위치를 손잡이부(120) 중간으로 배치한다.
손잡이 프레임(126)의 상부에 결합되는 팬모터(151)와 송풍팬(155)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112)의 하부에 삽입된다. 연결 프레임(112)의 내부 공간은 송풍팬(155)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부에 위치하는 히터모듈(160)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가 된다.
연결 프레임(112)에 버튼부(142)가 위치할 수 있다. 버튼부(142)는 전원의 ON/OFF 팬모터(151)의 ON/OFF 또는 히터모듈(160)의 ON/OFF 나 바람의 세기 히터의 세기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를 구비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전원이 ON되어야 디스플레이부(141)도 활성화 되므로 전원 버튼은 물리적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 바람을 중단하거나 온도를 변경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1)를 보기 위해 모발에서 헤어 드라이어(100)를 이격하여 사용자의 시선 쪽으로 이동시켜 조작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잡고있던 손으로 보지 않고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로서 버튼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버튼부(142)는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2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좌우 측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다. 버튼이 너무 많으면 보지 않은 상태로 제어에 한계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에 전원버튼이 후방에 팬모터(151) 및 히터모듈(160)의 ON/OFF를 제어하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12) 및 손잡이 프레임(126)을 감싸는 손잡이 하우징(128)은 버튼부(142)를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버튼홀(11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버튼홀에 삽입되는 버튼커버(1421)를 포함한다. 버튼커버(142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은 버튼홀(112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내측면은 버튼기판(1423)에 실장된 스위치(1422)와 맞닿는다.
연결 프레임(112)은 유로로서 공기가 통과하는 부분이므로 버튼홀(1124)을 통해 바람이 누출되면 풍압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버튼홀(1124)을 통해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재로서 구비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연결 프레임(11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112)은 버튼모듈(142)을 실장하고 손잡이 프레임(126)에서 연장되는 배선 구조의 연결의 편의성을 위해 측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연장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 링프레임(1121) 제1 링프레임(11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기둥프레임(1122)과 복수개의 기둥프레임(1122)의 하단을 연결하며 손잡이 프레임(126)과 체결되는 제2 링프레임(1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기둥프레임(1122)과 제1 링프레임(1121) 및 제2 링프레임(1123)으로 둘러 싸인 개방부(11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기둥프레임(1122)은 전후좌우 방향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여 전후 좌우에 개방부(1125)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버튼모듈(142)이 실장되도록 버튼모듈(142)이 안착되기 위한 구조가 전방과 후방의 개방부(1125)에 추가적인 구조로서 버튼 브라켓(11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좌우방향의 개방부(1125)를 통해 배선을 정리하고 버튼모듈(142)을 연결 프레임(112)의 버튼 브라켓(124)에 삽입 고정할 수 있다.
버튼홀(1124)을 통해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버튼 가스켓(114)은 버튼홀(1124)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배치할 수도 있으나 연결 프레임(112)과 손잡이 하우징(128) 사이의 갭을 통해 누출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가스켓(114)을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연결 프레임(112)을 감싸 손잡이 하우징(128)과 연결 프레임(112) 사이의 이격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버튼 가스켓(114)은 연결 프레임(112)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끼워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튜브 형상의 버튼 가스켓(114)이 ?어질 수 있어, 늘어날 수 있도록 개구부(1145)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45)를 통해 버튼 가스켓(114)의 직경을 쉽게 늘릴 수 있어, 연결 프레임(112)에 끼울 수 있다.
버튼 가스켓(114)은 스위치(1422)가 버튼커버(1421)의 내측면에 닿도록 버튼모듈(142)의 스위치(14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위치홀(1141)을 포함할 수 있고, 버튼 가스켓(114)의 내측면은 버튼기판(1423)과 밀착될 수 있다.
버튼홀(1124)에 삽입되는 버튼커버(1421)는 버튼홀(112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날개부를 포함하므로 날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스위치홀(1141)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1142)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12)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버튼 가스켓(114)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연결홀로 향하는 곡면의 유로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12)의 단차부를 없애 연결부를 통해 헤드부(110)로 바람의 흐름이 끊기지 않고 이어질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손잡이부(120)의 분해 사시도이다. 연결 프레임(112)의 하부에 결합하는 손잡이 프레임(126)은 제1 손잡이 프레임(1261)과 제2 손잡이 프레임(1262)이 전후 방향에서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상 전후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좌우 방향에서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손잡이 하우징(128)의 하단에 위치하는 기체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연결 프레임(11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측방향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 프레임(112)은 전후좌우 방향이 개방(1266)되고 대각선 방향에 기둥프레임(1122)이 위치하는 형태이고 손잡이 프레임(126)은 전후 좌우 방향에 기둥프레임(1265)이 위치하고 그 대각선 방향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 프레임(126)은 팬모터(151)와 송풍팬(155)이 위치하는 상부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하부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 프레임 하부(126b)는 공기가 유입될 뿐만 아니라 전원 케이블(136)이 결합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36)은 +극과 -극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케이블(1361)과 제2 케이블(1362)로 구성되며, 헤어 드라이어(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피복부를 통해 감싸져 한줄로 연장되고 손잡이 케이스 내부에서는 나누어져 연장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36)은 손잡이부(120) 하단에 연결되는 부분은 절단 위험이 있어, 이를 보호하기 위해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다만, 피복부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휨변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손잡이 프레임(126)의 체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a)는 제1 손잡이 프레임(1261)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제1 손잡이 프레임(1261)에 제2 손잡이 프레임(1262)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a)를 참고하면 제1 손잡이 프레임 하부(126b)는 U자 형상의 내부공간을 이루고 U자 형상의 내부공간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프레임(1265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기둥 프레임(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은 제1 손잡이 프레임(1261)과 제2 손잡이 프레임(1262)이 결합하여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포함한다.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기둥 프레임은 손잡이 프레임(126)의 강성을 위해 구비되며 좌우 방향의 기둥 프레임과 90°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U자 형상의 내부공간의 하단은 전원 케이블(136)이 관통하고 전원 케이블(136)은 제1 케이블(1361)과 제2 케이블(1362)로 분기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U자 형상의 공간에서 각각 상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전원 케이블(136)이 손잡이부(120)에서 빠지거나 끊어지지 않도록 제1 케이블(1361)과 제2 케이블(1362)을 고정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제1 손잡이 케이스 하단은 전원 케이블(136)이 삽입되는 하단홀(1282)의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케이블 고정돌기(126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고정돌기(1263)는 복수개를 포함하며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케이블(1361)과 제2 케이블(1362)은 각각 상이한 케이블 고정돌기(1263)를 S자 형태로 감으며 고정된 이후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1 케이블(1361)과 제2 케이블(136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더욱이 S자 형태로 케이블 고정돌기(1263)에 단단하게 감긴 제1 케이블(1361)과 제2 케이블(1362)은 외측으로 노출된 전원 케이블(136)을 당기더라도 빠지지 않는다.
제1 케이블(1361)과 제2 케이블(1362)이 감긴 케이블 고정돌기(1263)는 단순히 전원 케이블(136)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손잡이 프레임(1262)과 체결되는 체결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손잡이 프레임(1262)은 케이블 고정돌기(1263)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홀(1264)을 포함하고 케이블 고정돌기(1263)는 프레임 결합홀(1264)에 삽입되며 제1 손잡이 프레임(1261)과 제2 손잡이 프레임(1262)에 고정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의 손잡이 프레임(126) 상의 케이블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a)와 (b)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제1 손잡이 케이스와 제2 손잡이 케이스의 결합면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케이블(1361)과 제2 케이블(1362)은 손잡이 프레임 하부(126b)에서 손잡이 프레임 상부(126a)로 연장되고 손잡이 프레임 상부(126a)는 팬모터(151)가 실장되므로 손잡이 프레임(126)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손잡이 프레임(126)은 상부와 하부 경계에 전원 케이블(136)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에 홀이 형성되며 제1 케이블(1361)과 제2 케이블(1362)은 각각 홀을 통과하여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프레임 상부(126a)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손잡이 프레임(126)의 외측면에 전원 케이블(136)이 안착되는 케이블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케이블(136)은 연결 프레임(112)과 연결부분에서 연결 프레임(112)의 내측으로 다시 들어갈 수 있다.
도 27의 (b)는 도 27의 (a)의 반대편으로 외측면에 바이메탈(137)을 두어 손잡이부(120)의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감지하면 헤어 드라이어(10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바이메탈(137)과 연결되는 제3 케이블(1371)과 제4 케이블(1374)은 제1 케이블(1361)과 제2 케이블(1362)의 반대편의 손잡이 프레임(126)의 상부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는 열선(161)이 서로 간섭없이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모듈(160)의 열이 내측의 제1 히터 케이스(163)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아 히터모듈(16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헤드부(110)의 구성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퓨저(210)와 같은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헤어 드라이어(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퓨저(210)의 외곽에 위치하는 제1 배출홀(2121)에도 충분히 바람이 공급되어 넓은 범위에 기준이상의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는 버튼홀(1124)이나 커넥터 홀(1184) 등의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유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는 전원 케이블(136)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전원 케이블(136)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헤어 드라이어 110: 헤드부
111: 헤드 하우징 1115: 결합리브
1116: 걸림홈 1117: 고정홈
112: 연결 프레임 1121: 제1 링프레임
1122: 기둥프레임 1124: 버튼 브라켓
1123: 제2 링프레임 1125: 개방부
113: 기체 토출부 114: 버튼 가스켓
1148: 유로 가이드 115: 헤드 프레임
116: 히터 프레임 1163: 후크 브라켓
1164: 후크 1165: 결합슬롯
1168: 가이드 슬로프
117: 기판 프레임 1174: 후크홈
1175: 결합슬롯 1176: 걸림돌기
1177: 고정돌기 1178: 후크
118: 커버 프레임 1185: 커넥터 커버
1188: 후크홈
120: 손잡이부 126: 손잡이 프레임
126a: 손잡이 프레임 상부 126b: 손잡이 프레임 하부
1261: 제1 손잡이 프레임 1262: 제2 손잡이 프레임
1263: 케이블 고정돌기 1264: 프레임 결합홀
1265: 기둥프레임 1266: 개방부
128: 손잡이 하우징 1282: 기체 유입홀
1285: 기체 유입구
131: 기판모듈 133: 커넥터 모듈
1331: 커넥터 단자 1335: 커넥터 가스켓
134: 디스플레이 기판 136: 전원 케이블
1361: 제1 케이블 1362: 제2 케이블
137: 바이메탈 1371: 제3 케이블
1372: 제4 케이블
141: 디스플레이부 142: 버튼모듈
1421: 버튼커버 1422: 스위치
1423: 버튼기판
151: 팬모터 155: 송풍팬
160: 히터모듈 161: 열선
1611: 제1 열선 1612: 제2 열선
1613: 제1 전극 1614: 제2 전극
1615: 바이메탈 1616: 퓨즈
163: 제1 히터 케이스 164: 세퍼레이터
1641: 제1 세퍼레이터 1642: 제2 세퍼레이터
165: 제2 히터 케이스 166: 제3 히터 케이스
167: 제4 히터 케이스 1671: 세퍼레이터 고정부
168: 이오나이저 169: 온도센서
210: 디퓨저 211: 배출커버
212: 배출홀 2121: 제1 배출홀
2122: 제2 배출홀 2123: 제3 배출홀
213: 연장돌기 214: 마사지 돌기
215: 브릿지 그루브 216: 디퓨징 케이스

Claims (11)

  1. 전면과 배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헤드 하우징;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삽입되는 헤드 프레임;
    상기 헤드 프레임의 내부에 실장되는 히터모듈과 기판모듈; 및
    상기 헤드 프레임의 배면에서 결합하며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프레임은 외주면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 방향에서 상기 헤드 프레임이 삽입 후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리브가 상기 결합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롯에 형성되 걸림돌기; 및
    상기 결합리브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체결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롯에 이웃하여 형성된 고정돌기;
    상기 헤드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프레임은 상기 결합슬롯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며 배면방향을 향할수록 중앙방향으로 인입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로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 프레임을 상기 헤드 하우징의 배면에서 삽입 시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가이드 슬로프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롯 및 상기 결합리브는 이격되어 2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프레임은
    상기 히터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된 히터 프레임; 및
    상기 기판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판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히터 프레임과 상기 기판 프레임은 후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프레임은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 브라켓; 및
    상기 후크 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 프레임에 형성된 프레임 후크홈에 체결되는 프레임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브라켓은 상기 히터모듈과 상기 기판모듈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는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결합슬롯은 상기 기판 프레임에 형성된 제1 결합슬롯 및 상기 히터 프레임에 형성된 제2 결합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결합리브는 상기 헤드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하우징은 하측방향에 형성되어 하부구조와 연결되는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연결홀의 배면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의 하부에 결합된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기판 프레임의 전면하단 접하는 버튼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KR1020220126218A 2022-10-04 2022-10-04 헤어 드라이어 KR20240047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218A KR20240047055A (ko) 2022-10-04 2022-10-04 헤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218A KR20240047055A (ko) 2022-10-04 2022-10-04 헤어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055A true KR20240047055A (ko) 2024-04-12

Family

ID=9068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218A KR20240047055A (ko) 2022-10-04 2022-10-04 헤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0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8785B2 (en) Hair dryer
US10021951B2 (en) Hand held appliance
KR102175883B1 (ko) 모발 관리 기구
US11602208B2 (en) Hair dryer
EP3563717A1 (en) Hair dryer and electromagnetic wave blocking heating member applied to hair dryer
CN216568809U (zh) 毛发干燥用具
KR20240047055A (ko) 헤어 드라이어
KR20240047054A (ko) 헤어 드라이어
KR20240047058A (ko) 헤어 드라이어
KR20240047057A (ko) 헤어 드라이어
KR20240047056A (ko) 헤어 드라이어
KR20240047059A (ko) 헤어 드라이어
JP7190708B2 (ja) ヘアドライヤー
CN207767749U (zh) 一种电吹风导风结构及电吹风
KR102585497B1 (ko) 헤어드라이어
KR102585496B1 (ko) 헤어드라이어
KR102585495B1 (ko) 헤어드라이어
CN212117386U (zh) 风嘴组件及手持吹风机
CN211407936U (zh) 干发器的发热装置及干发器
CN210783275U (zh) 手持吹风设备
CN219500590U (zh) 一种手柄及吹风装置
CN219845427U (zh) 吹风设备
WO2022199391A1 (zh) 一种干手器、加热装置、干手器调风装置、吹风设备
CN210611348U (zh) 风筒组件和电吹风
CN117280865A (zh) 用于头发护理器具的隔热构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