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75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6750A KR20240046750A KR1020247007830A KR20247007830A KR20240046750A KR 20240046750 A KR20240046750 A KR 20240046750A KR 1020247007830 A KR1020247007830 A KR 1020247007830A KR 20247007830 A KR20247007830 A KR 20247007830A KR 20240046750 A KR20240046750 A KR 202400467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motor
- processor
- unit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영상 소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모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디스플레이부 또는 모터로 출력하는 패널 전력 공급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명령을 수신하고,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여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된 것으로 판별한 경우 패널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모터를 위한 파워 설계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모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또는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 모니터, 랩탑, 스마트폰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 등과 같은 종래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그 크기에 제한이 있다. 반대로, TV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장치는,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며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었다 펼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거나, 돌돌 말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
또한, 최근 가로모드 영상뿐만 아니라 세로모드 영상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일반적으로 TV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모드 영상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를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모드에서 세로모드로 디스플레이를 회전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폴딩(folding), 롤링(rolling), 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모터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모듈을 별도로 설계해야 한다. 따라서, 모터 공급용 전원회로를 추가로 설계해야하는 등의 비용 상승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모터 전용 전력 공급 모듈을 설계하지 않고, 다른 전력 공급 모듈로부터 모터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력만큼 다른 전력 소비 모듈에 사용되는 전력을 감소시켜, 다른 전력 공급 모듈로부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소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모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디스플레이부 또는 모터로 출력하는 패널 전력 공급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명령을 수신하고,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여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된 것으로 판별한 경우 패널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소스의 영상 밝기 설정을 기존 영상 밝기 설정보다 어둡게 설정하여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소스의 영상 크기 설정을 기존 영상 크기 설정보다 작게 설정하여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고,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영상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오디오출력부 또는 모터로 출력하는 사운드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사운드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영상 소스의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고, 영상 소스의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모터 예상 구동 시간을 획득하고, 획득한 모터 예상 구동 시간동안 패널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소스를 기초로 제1 영상 재생 구간에서 디스플레이부에서 소비되는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 표시 소비 전력 및 한계 소비 전력을 기초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제1 영상 재생 구간에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제1 영상 재생 구간의 재생 시작 시간부터 재생 종료 시간 까지를 모터 예상 구동 시간으로 획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영상 재생 구간에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제1 영상 재생 구간을 소정의 시간만큼 쉬프트하여 제2 영상 재생 구간에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명령은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폴딩, 롤링 및 이동에 관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움직임 동작이 시작되어 완료될 때까지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비되고 있는 총 소비 전력 및 한계 소비 전력을 기초로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모터 전용 전력 공급 모듈을 설계하지 않고, 다른 전력 공급 모듈로부터 모터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전력 공급 모듈에 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력만큼 다른 전력 소비 모듈에 사용되는 전력을 감소시켜, 다른 전력 공급 모듈로부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일 실시예 따른 전원 공급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따른 전원 공급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력 확보가 가능한 영상 구간까지 대기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일 실시예 따른 전원 공급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따른 전원 공급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력 확보가 가능한 영상 구간까지 대기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프로세서(170)로도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를 메모리(140)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73)는 통신 인터페이스(173)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기술에 사용되는 타이밍 컨트롤러(181, T-CON, Timing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8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82)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인 경우 고전위 전원(EVDD)이 공급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82)이 LCD인 경우 백라이트 유닉(BLU, Back Light Unit)에 광원 전원 전압(VLED)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모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에는 회전(rotat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또는 이동(moving)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80)는 가로모드와 세로모드로 좌우 회전되거나 앞뒤로 틸팅(tilting)될 수 있도록 회전(rotating)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는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폴딩(folding)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는 말리거나 펴질 수 있도록 롤링(rolling)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moving)이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폴딩, 롤링 또는 이동 움직임은 모터(400)의 동력원을 이용한 통상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위하여 모터(400)에서 동력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원공급부(190)는 모터(4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도 5는 종래의 일 실시예 따른 전원 공급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300)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외부 전원(300)은 교류(AC)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100 내지 240V의 전압 대역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파워보드 1차측(191)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보드 1차측(191)는 외부 전원(300)으로부터 전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파워보드 1차측(191)은 파워보드 2차측(193)에서의 필요 전력 용량만큼의 전력 용량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보드 2차측(193)의 필요 전력 용량이 282W인 경우, 파워보드 1차측(191)의 전력 용량도 282W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트랜스(192, Trans)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192)는 파워보드 1차측(191)의 전력을 파워보드 2차측(193)으로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전력공급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전력공급부(194)는 제어부(170)의 메인보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메인 전력공급부(194)는 36W(12V, 3A)의 전력용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오디오 출력부(185)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사운드 전력공급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전력공급부(195)는 오디오 출력부(185)의 스피커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운드 전력공급부(195)는 40W(20V, 2A)의 전력용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타이밍 컨트롤러(T-CON, 181)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전력공급부(19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컨트롤러 전력공급부(196)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타이밍 컨트롤러(182)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전력공급부(197)는 24W(12V, 2A)의 전력용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패널(182)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패널 전력공급부(19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전력공급부(195)는 디스플레이 패널(182)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패널 전력공급부(195)는 110W(22V, 2A)의 전력용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모터(40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모터 전력공급부(19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전력공급부(198)는 모터(400) 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모터 전력공급부(198)는 72W(24V, 3A)의 전력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파워보드 2차측(193)의 필요 전력 용량은 총 282W가 될 수 있으며, 파워보드 1차측(191)의 전력 용량도 282W로 설계될 수 있다.
다만, 모터(4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터 전력공급부(198)를 설계하는 경우, 파워보드의 설계 용량을 증가시켜야하며 부품도 추가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터 전용 웨이퍼(wafer)와 케이블을 추가로 구성해야한다. 이로 인하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모터 전력공급부(198)를 추가하지 않고도 모터(4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따른 전원 공급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의 전원공급부와 달리, 도 6을 참고하면, 전원 공급부(190)는 모터 전력공급부(198)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모터(400)에 공급되는 전력은 사운드 전력공급부(195) 또는 패널 전력공급부(197)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워보드 2차측(193)의 필요 전력 용량은 총 210W가 될 수 있으며, 파워보드 1차측(191)의 전력 용량도 210W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4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력 용량만큼 파워보드 설계용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파워보드의 PCB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모터 전용 웨이퍼(wafer) 및 케이블 등과 같은 부품의 투입도 절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모터(400)가 오디오 출력부(185)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82)로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므로 모터(400)의 구동이 필요할 때 오디오 출력부(185)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82)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701).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명령은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폴딩, 롤링 및 이동에 관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모터(400)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702).
프로세서(170)는 수신된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여 모터(400)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 동작이 시작되어 움직임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명령이 회전 명령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이 시작되어 회전이 완료될 때까지의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제어부(170), 오디오 출력부(185), 타이밍 컨트롤러(181), 디스플레이 패널(182) 및 모터(400)의 전력 사용률을 기초로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소비되고 있는 총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현재 총 소비 전력과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의 합이 한계 소비 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계 소비 전력은 파워보드의 전력 설계 용량에 기초하여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총 소비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고, 완료할 수 있다(S703, S707).
프로세서(170)는 사운드 전력공급부(195) 또는 패널 전력공급부(197)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S704).
프로세서(170)는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디스플레이 패널(182)의 전력 사용률을 감소시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 영상 소스의 영상 밝기 설정을 기존 영상 밝기 설정보다 어둡게 설정하여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모터(400)에 필요한 모터 구동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영상 밝기 설정을 기존 영상 밝기 설정보다 어둡게 설정하여 패널의 전력 사용률을 감소시켜 패널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에 필요한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 영상 소스의 영상 크기 설정을 기존 영상 크기 설정보다 작게 설정하여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모터(400)에 필요한 모터 구동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영상 크기 설정을 기존 영상 크기보다 작게 설정하여 패널의 전력 사용률을 감소시켜 패널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에 필요한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고,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S707).
프로세서(170)는 패널 전력공급부(197)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고, 완료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패널 전력공급부(197)가 모터(40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영상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S708).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밝기 설정을 변경 전 기존 영상 밝기 설정으로 변경하여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영상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의 회전시에 영상을 어둡게 출력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고, 회전이 완료되는 경우 다시 영상을 밝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크기 설정을 변경 전 기존 영상 크기 설정으로 변경하여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영상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의 회전시에 영상을 작게 출력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고, 회전이 완료되는 경우 다시 영상을 크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영상 소스의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S705).
프로세서(170)는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오디오 출력부(185)의 전력 사용률을 감소시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소스의 사운드 설정을 기존 사운드 설정 보다 낮게 설정하여 오디오 출력부(185)의 전력 사용률을 감소시켜 스피커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에 필요한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소스의 사운드 설정을 음소거로 설정하여 오디오 출력부(185)의 전력 사용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에 필요한 구동 전력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메인 전력 공급부(193)의 전력 사용률 낮추도록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제어부(170)의 메인보드가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메인보드의 CPU 등의 속도를 낮추어 전력 부하를 낮추고,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 전력 공급부(196)의 전력 사용률 낮추도록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타이밍 컨트롤러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낮추어 전력 부하를 낮춤으로써,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영상 소스의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고,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S707).
프로세서(170)는 사운드 전력공급부(19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운드 전력공급부(195)가 모터(40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영상 소스의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S709).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사운드 설정을 기존 영상 사운드 설정으로 변경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의 회전시에 사운드를 작게 출력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고, 회전이 완료되는 경우 다시 사운드를 크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모터 구동 전력은 모터(400)가 구동이 시작될 최대로 필요하고, 모터(400) 구동 중에는 모터 구동 전력이 적게 필요하므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움직임 동작 시작시에 사운드를 음소거하거나 작게 출력하여 모터(400)의 구동 시작시 전력을 최대로 확보하고,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 동작 중에는 사운드 설정을 점차적으로 크게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가 기존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로 자연스럽게 변경될 수 있도록 영상 사운드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모터 예상 구동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706).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는 영상 소스를 기초로 소정의 영상 재생 구간에서 디스플레이부(180)의 디스플레이 패널(182)에서 소비되는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획득한 영상 표시 소비 전력 및 한계 소비 전력을 기초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소정의 영상 재생 구간에서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이 감소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영상 재상 구간이 재생이 시작되는 시간부터 재생이 종료되는 시간까지를 모터 예상 구동 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소정의 제1 영상 재생 구간에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시간만큼 쉬프트된 제2 영상 재생 구간에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는 영상 소스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82)에서 소비되는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기초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는 영상 소스의 밝기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82)에서 소비되는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82)이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인 경우 영상 소스에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화면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이 낮아 질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의 구동 시작이 예상되는 예상 구동 시작 시간부터 모터(400)의 구동이 종료되는 예상 구동 종료 시간까지의 영상 소스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82)에서 예상되는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명령이 15시 32분 01초에 입력되고, 모터(400)의 구동 시작이 예상되는 예상 구동 시작 시간이 15시 32분 02초이고, 모터(400)의 구동이 종료되는 예상 구동 종료 시간이 15시 32분 12초인 경우, 예상 구동 시작 시간인 15시 32분 02초부터 예상 구동 종료 시간이 15시 32분 12초까지의 영상 재생 구간에 해당하는 영상 소스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82)에서 소비되는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의 예상 구동 시간 동안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모터의 예상 구동 시간 동안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기초로 모터의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모터 예상 구동 시간을 획득하고, 모터 예상 구동 시간동안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S707).
프로세서(170)는 모터 예상 구동 시간동안 패널 전력공급부(197)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모터 예상 구동 시간동안 패널 전력공급부(197)가 모터(40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예상 구동 시작 시간인 15시 32분 02초부터 모터 예상 구동 종료 시간인 15시 32분 12초까지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메인보드, 스피커, 타이밍 컨트롤러(T-CON), 패널 및 모터의 각각의 전력 사용률은 70%, 30%, 60%, 80%, 0%일 수 있으며, 총 소비 전력은 180W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보드는 메인 전력공급부(194)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스피커는 사운드 전력 공급부(19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타이밍 컨트롤러(T-CON)은 타이밍 컨트롤러 전력공급부(196)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패널은 패널 전력공급부(197)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모터는 패널 전력 공급부(197) 또는 사운드 전력공급부(19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모터(400)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력이 최대로 사용될 수 있는 한계 소비 전력과 현재 총 소비 전력을 비교하여, 모터(400)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40W이고 한계 소비 전력이 180W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에 필요한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패널의 전력 사용률을 감소시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밝기 설정을 어둡게 설정하여 패널의 전력 사용률을 80%에서 40%로 패널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에 필요한 구동 전력 40W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 경우,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패널 전력공급부(197)를 통해 모터(400)에 40W의 전력을 공급하고, 모터의 전력 사용률을 100%로 가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한 후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영상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밝기 설정을 기존 밝기 설정으로 밝게 설정하여 패널의 전력 사용률을 40%에서 80%로 패널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메인보드, 스피커, 타이밍 컨트롤러(T-CON), 패널 및 모터의 각각의 전력 사용률은 70%, 30%, 60%, 80%, 0%일 수 있으며, 총 소비 전력은 180W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보드는 메인 전력공급부(194)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스피커는 사운드 전력 공급부(19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타이밍 컨트롤러(T-CON)은 타이밍 컨트롤러 전력공급부(196)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패널은 패널 전력공급부(197)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모터는 패널 전력 공급부(197) 또는 사운드 전력공급부(19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모터(400)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력이 최대로 사용될 수 있는 한계 소비 전력과 현재 총 소비 전력을 비교하여, 모터(400)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40W이고 한계 소비 전력이 180W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에 필요한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패널의 전력 사용률을 감소시켜 모터 구동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크기 설정을 작게 설정하여 패널의 전력 사용률을 80%에서 50%로 패널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에 필요한 구동 전력 40W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 경우,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패널 전력공급부(197)를 통해 모터(400)에 40W의 전력을 공급하고, 모터의 전력 사용률을 100%로 가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한 후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영상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크기 설정을 기존 영상 크기 설정으로 크게 설정하여 패널의 전력 사용률을 40%에서 80%로 패널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메인보드, 스피커, 타이밍 컨트롤러(T-CON), 패널 및 모터의 각각의 전력 사용률은 70%, 30%, 60%, 80%, 0%일 수 있으며, 총 소비 전력은 180W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보드는 메인 전력공급부(194)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스피커는 사운드 전력 공급부(19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타이밍 컨트롤러(T-CON)은 타이밍 컨트롤러 전력공급부(196)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패널은 패널 전력공급부(197)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모터는 패널 전력 공급부(197) 또는 사운드 전력공급부(19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지 않고,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패널의 전력 사용률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움직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영상 크기 설정을 기 설정된 크기로 줄이도록 변경하고, 영상 밝기 설정을 기 설정된 밝기로 줄이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 40W 보다 더 많은 65W의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모터(4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패널 전력공급부(197)를 통해 모터(400)에 40W의 전력을 공급하고, 모터의 전력 사용률을 100%로 가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이 경우, 한계 소비 전력인 180W에 못 미치는 165W의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한 후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영상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크기 설정을 기존 영상 크기 설정으로 크게 설정하고, 영상 밝기 설정을 기존 영상 밝기 설정으로 밝게 설정하여, 패널의 전력 사용률을 30%에서 80%로 패널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력 확보가 가능한 영상 구간까지 대기하여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메인보드, 스피커, 타이밍 컨트롤러(T-CON), 패널 및 모터의 각각의 전력 사용률은 70%, 30%, 60%, 70%, 0%일 수 있으며, 총 소비 전력은 165W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보드는 메인 전력공급부(194)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스피커는 사운드 전력 공급부(19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타이밍 컨트롤러(T-CON)은 타이밍 컨트롤러 전력공급부(196)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패널은 패널 전력공급부(197)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모터는 패널 전력 공급부(197) 또는 사운드 전력공급부(19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의 구동 시작이 예상되는 예상 구동 시작 시간부터 모터(400)의 구동이 종료되는 예상 구동 종료 시간까지의 영상 소스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82)에서 예상되는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400)의 예상 구동 시간 동안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모터의 예상 구동 시간 동안 영상 표시 소비 전력, 총 소비 전력 및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기초로 모터의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명령이 15시 32분 01초에 입력되고, 모터(400)의 구동 시작이 예상되는 예상 구동 시작 시간이 15시 32분 02초이고, 모터(400)의 구동이 종료되는 예상 구동 종료 시간이 15시 32분 12초인 경우, 예상 구동 시작 시간인 15시 32분 02초부터 예상 구동 종료 시간이 15시 32분 12초까지의 영상 소스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82)에서 소비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터의 예상 구동 시간 동안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예상 구동 시작 시간부터 예상 구동 종료 시간까지 영상 소스에서 어두운 영역이 많아짐에 따라 패널의 전력 사용률이 70%에서 30%로 낮춰질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예상 구동 시간 동안 모터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도 예상 총 소비전력이 165W로 한계 소비 전력 이하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별하고, 예상 구동 시작 시간에 패널 전력공급부(197)를 통해 모터(400)에 전력을 공급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모터의 예상 구동 시간 동안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상 구동 시간을 소정의 시간만큼 쉬프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쉬프트된 예상 구동 시간 동안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쉬프트된 예상 구동 시작 시간이 15시 33분 02초이고, 쉬프트된 예상 구동 종료 시간이 15시 33분 12초인 경우, 예상 구동 시작 시간인 15시 33분 02초부터 예상 구동 종료 시간이 15시 33분 12초까지의 영상 소스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82)에서 소비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예상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기초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 경우 쉬프트된 예상 구동 시작 시간에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 영상 소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모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모터로 출력하는 패널 전력 공급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패널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소스의 영상 밝기 설정을 기존 영상 밝기 설정보다 어둡게 설정하여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소스의 영상 크기 설정을 기존 영상 크기 설정보다 작게 설정하여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 소스의 영상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영상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상기 오디오출력부 또는 상기 모터로 출력하는 사운드 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사운드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영상 소스의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 소스의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를 기존 사운드 출력 설정 정보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모터 예상 구동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모터 예상 구동 시간동안 상기 패널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소스를 기초로 제1 영상 재생 구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소비되는 영상 표시 소비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 표시 소비 전력 및 한계 소비 전력을 기초로 상기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제1 영상 재생 구간에서 상기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재생 구간의 재생 시작 시간부터 재생 종료 시간까지를 모터 예상 구동 시간으로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재생 구간에서 상기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재생 구간을 소정의 시간만큼 쉬프트하여 제2 영상 재생 구간에서 상기 모터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폴딩, 롤링 및 이동에 관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움직임 동작이 시작되어 완료될 때까지 상기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비되고 있는 총 소비 전력 및 한계 소비 전력을 기초로 상기 모터에 필요한 모터 구동 전력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1/012203 WO2023038166A1 (ko) | 2021-09-08 | 2021-09-08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6750A true KR20240046750A (ko) | 2024-04-09 |
Family
ID=8550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07830A KR20240046750A (ko) | 2021-09-08 | 2021-09-08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7356548B2 (ko) |
KR (1) | KR20240046750A (ko) |
CN (1) | CN115938294A (ko) |
AU (1) | AU2022204784B2 (ko) |
WO (1) | WO2023038166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86104A (ja) * | 1997-09-02 | 1999-03-30 | Fuji Electric Co Ltd |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
JP2002091635A (ja) | 2000-09-14 | 2002-03-29 | Aiwa Co Ltd | 消費電力抑制方法及び電子機器 |
KR20080057940A (ko) * | 2006-12-21 | 2008-06-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축소 화면을 표시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
US8829820B2 (en) * | 2007-08-10 | 2014-09-09 | Cre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display components from adverse operating conditions |
JP5299866B2 (ja) * | 2009-05-19 | 2013-09-25 |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映像表示装置 |
JP2011135366A (ja) | 2009-12-24 | 2011-07-07 | Kyocera Corp | 携帯電子機器 |
JP2013130698A (ja) * | 2011-12-21 | 2013-07-04 | Sharp Corp |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省電力表示方法 |
KR102189647B1 (ko) * | 2014-09-02 | 2020-1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US9874922B2 (en) * | 2015-02-17 | 2018-01-23 | Intel Corporation | Performing dynamic power control of platform devices |
KR102469625B1 (ko) * | 2015-10-13 | 2022-1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384744B1 (ko) * | 2015-12-18 | 2022-04-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US10775838B2 (en) * | 2019-01-11 | 2020-09-15 | Disney Enterprises, Inc. | Mounted displays that autorotate to match content on display |
-
2021
- 2021-09-08 KR KR1020247007830A patent/KR20240046750A/ko unknown
- 2021-09-08 WO PCT/KR2021/012203 patent/WO202303816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
- 2022-07-04 AU AU2022204784A patent/AU2022204784B2/en active Active
- 2022-07-21 JP JP2022116082A patent/JP7356548B2/ja active Active
- 2022-07-26 CN CN202210883078.7A patent/CN115938294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356548B2 (ja) | 2023-10-04 |
JP2023039408A (ja) | 2023-03-20 |
WO2023038166A1 (ko) | 2023-03-16 |
AU2022204784A1 (en) | 2023-03-23 |
AU2022204784B2 (en) | 2024-03-07 |
CN115938294A (zh) | 2023-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38786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US11501742B2 (en) | Display device | |
KR2022000864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EP3889952B1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JP7356548B2 (ja) | ディスプレイ装置 | |
US11195476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258250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30026197A1 (en) | Display device | |
KR10249307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00127415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11812093B2 (en) | Luminance decrease for same thumbnail images | |
EP4092663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12094390B2 (en) | Display device and power-off control method thereof | |
US12051389B2 (en) | Display device | |
KR10250063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40104122A (ko) | 순간 전압 강하로 인한 메모리 컨트롤러 에러를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 |
KR2023017032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40031328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1003131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4011144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4001747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Li-Fi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 |
KR2024010060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이들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 |
KR2024007986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3013207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30113359A (ko) |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