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69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698A
KR20240046698A KR1020240042810A KR20240042810A KR20240046698A KR 20240046698 A KR20240046698 A KR 20240046698A KR 1020240042810 A KR1020240042810 A KR 1020240042810A KR 20240042810 A KR20240042810 A KR 20240042810A KR 20240046698 A KR20240046698 A KR 2024004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light
transparen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태
이항복
김민섭
오경석
이상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42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6698A/ko
Publication of KR2024004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69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단에 함몰된 힌지 장착부; 상기 힌지 장착부에 형성된 힌지 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 상기 힌지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 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힌지축;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힌지가 배치되는 힌지 커버; 및 상기 도어에서 상기 캐비닛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힌지 커버 일측에서 상기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개구되며, 상기 전선이 출입되는 연결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외측으로 나온 전선은 상기 연결부 홀을 통과하여 힌지 커버 내측으로 안내되고, 상기 힌지 커버의 내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냉장고는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식품의 저장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시간이 늘어나게 되거나 횟수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냉장고의 도어 일부를 투명하게 하거나 고내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선택적으로 화면 출력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라이트와 디스플레이 라이트의 선택적인 온/오프에 따라 도어의 투시부가 투명, 불투명 또는 화면 출력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투시부에 투명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며 투시부를 통해 도어 내부의 전선 및 피시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내부의 투시 및 화면 출력기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냉장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조립 장착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보다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내부의 디스플레이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단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에 디스플레이 및 도어 라이트가 구비되면서도 슬림한 도어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내부의 피시비의 방열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내부의 피시비가 방열이 용이하면서 동시에 이물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내부 수납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투시부에 터치 조작 가능한 화면이 출력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전기기와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며, 내부 수납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투시부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를 출력하고 제어를 위한 조작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를 관통하여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투시부; 상기 투시부를 차폐하여,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내부에 구비되며, 화면 출력시 백라이트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후방의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재를 선택적으로 밝혀 상기 투시부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도어 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상기 도어 라이트의 조합에 의해 상기 투시부는 투명, 불투명, 화면 출력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는 상하로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빛을 조사하며, 상기 도어 라이트는 좌우 양측방에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평행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시부를 통해 노출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되, 투명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구비되는 도광판;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후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도광판과 이격되는 리어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을 연결하며, 둘레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는 모듈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도광판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광판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시부 외측의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도어의 전면 사이에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발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도광판의 좌우 양측 사이에는 간봉이 형성되며, 상기 간봉은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두께의 중간 지점보다 더 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듈 프레임은, 상기 도광판의 상방과 하방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가 장착되는 라이트 장착부와; 상기 라이트 장착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과 도광판의 사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라이트는,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모듈; 상기 라이팅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라이팅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측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반사부가 형성되는 라이트 하우징; 상기 라이트 하우징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빛이 통과되는 라이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투시부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도광판 및 리어 패널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외측에는 상기 투시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둘레는 상기 이너 프레임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너 프레임에는 상기 투시부의 둘레를 따라 절곡된 개구 절곡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너 프레임에 의해 상기 투시부와 상기 프론트 패널 사이가 차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너 프레임의 배면에는 상기 프론프 패널의 단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피시비가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장착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시비 장착부의 상방에는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가 구비되며, 상기 어퍼 캡데코에는 상기 피시비 냉각을 위한 방열구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열구의 둘레에는 상기 방열구를 통한 이물질을 상기 피시비 외측으로 안내하는 방열구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시비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티콘 보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라이트 피시비와, 상기 프론트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피시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시비와 상기 터치 센서,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는 FFC 또는 EEP 형태의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시비에는 상기 와이어 타입의 전선과 변환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선은 상기 어퍼 캡데코 및 도어의 힌지를 차폐하는 힌지 커버를 통과하여 도어 외측으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시비는 전선에 의해 상기 캐비닛 상면의 메인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냉장고의 전체 운전을 제어하는 메인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와 연결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도어 라이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 입력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피시비로 전달하는 아답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에는 통신 모듈이 연결되며,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가전기기들이 연결되고, 연결된 가전기기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운전상태가 출력되고, 동작의 조작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우 양측단 중 적어도 일측단에는 소스 보드가 연결되며, 상기 소스 보드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외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모듈 프레임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내측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서 성형 상태로 삽입 장착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이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부재는 접착제 또는 실링부재 또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납 공간 및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전면의 개구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투시부가 형성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 도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라이너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라이너 돌출부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단에 함몰된 힌지 장착부; 상기 힌지 장착부에 형성된 힌지 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 상기 힌지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 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힌지축;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힌지가 배치되는 힌지 커버; 및 상기 도어에서 상기 캐비닛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힌지 커버 일측에서 상기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개구되며, 상기 전선이 출입되는 연결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외측으로 나온 전선은 상기 연결부 홀을 통과하여 힌지 커버 내측으로 안내되고, 상기 힌지 커버의 내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으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힌지 전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선은 상기 힌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힌지 커버의 내측에서 상기 힌지 상방을 지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캐비닛 상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힌지 커버의 일부는 상기 힌지 장착부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힌지축과 동일 연장선 상에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홀은 상기 연결부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 홀은 상기 힌지축과 마주보는 상방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장착부에는 상기 힌지 커버를 통과한 전선을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전선홀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선홀은 상기 연결부 홀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홀은 상기 어퍼 캡데코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장착부는 상기 어퍼 캡데코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홀은 상기 힌지 장착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홀은 상기 도어 라이너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장착부와 힌지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힌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은 상기 힌지 커버와 상기 서브 힌지 커버를 차례로 통과하여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힌지 커버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힌지 장착부와 힌지 커버의 사이 공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 힌지 커버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하는 상방에 서브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연결부는 하면이 개구되어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축과 연결부 및 서브 연결부는 동심을 가지며, 상하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에는 메인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상기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들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장부품들은 피시비, 히터, 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선은 다수개 구비되며, 일부 전선은 상기 메인 힌지 커버와 상기 힌지축을 통과하여 상기 도어 내부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선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수축튜브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도어에 수납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시부는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어 라이트와 디스플레이 라이트의 온오프에 따라서 상기 투시부가 선택적으로 투명하거나 불투명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를 열지 않고 상기 투시부를 통해서 수납 공간을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소비전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부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동작되어 각종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조작을 입력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부가 투명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출력 또한 가능하여 상기 투시부를 통해 증강 현실과 같은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내부의 투명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는 케이블과 도어 라이트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연경되는 케이블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들은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한 플랫 케이블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를 통해서 상기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전선들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상기 도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상부에 피시비가 배치되도록 하고 피시비에서는 도어외측으로 전선의 형태로 안내되도록 하여 전선이 출입되는 부분을 최소화 하고 메인 제어부와의 연결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상부에 구비되는 피시비는 어퍼 캡데코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어퍼 캡데코에는 방열구가 형성되어 피시비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구에는 방열구 가이드가 형성되어 열기는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오염물질은 상기 피시비에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 중 부피가 큰 아답터와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캐비닛 상의 메인 피시비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도어가 슬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이 상기 투시부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되며, 후반에서 조립 장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의 크기가 디스플레이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터치 센서의 배치시 상기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에 터치 가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내측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서 이미 성형된 단열부재가 조립 장착되도록 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발포시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피시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열부재와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이에 보강부재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이미 성형된 단열부재의 사이를 고정하고 틈새를 메울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가 접착 또는 실링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부재가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아웃 플레이트 및 도어 라이너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에는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나 원격지의 피시 등의 영상이나 정보를 상기 투시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과 가정 내의 다수의 가전 기기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를 통한 상기 가전기기들의 정보 출력 및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 상단의 힌지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에 힌지 커버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냉장고의 상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메인 도어 하단의 힌지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아웃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이너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이너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이너 프레임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스페이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모듈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모듈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서브 도어의 상부의 피시비 배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서브 도어의 상부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단열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도어 라이너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8은 상기 도어 라이너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도어 라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상기 도어 라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32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10의 33-33'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11의 34-34' 단면도이다.
도 35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10의 36-36'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11의 37-37' 단면도이다.
도 38는 상기 냉장고가 불투명 모드일 때의 정면도이다.
도 49는 상기 냉장고가 불투명 모드 일 때의 점등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0은 상기 냉장고가 불투명 모드 일 때의 점등 상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1은 상기 냉장고가 투명 모드일 때의 정면도이다.
도 42는 상기 냉장고가 투명 모드일 때의 점등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3은 상기 냉장고가 투명 모드일 때의 점등 상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4는 상기 냉장고가 투명 출력 모드 일 때의 정면도이다.
도 45는 상기 냉장고가 화면 출력 모드 일 때 점등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6은 상기 화면 출력 모드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모습을 타나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47은 상기 화면 출력 모드에서 인터넷 연결 페이지을 재생하는 모습을 타나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48은 상기 화면 출력 모드에서 대기 화면을 출력하는 모습을 타나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49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화면 출력 상태일 때 냉장고 조작 화면을 출력하는 모습을 타나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50은 상기 냉장고를 이용하여 구성된 홈 네트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횡 단면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필요에 따라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13)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 소재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1) 전체가 금속 소재의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하단과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상단에는 함몰된 손잡이 홈(201,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홈(201,301)에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냉동실 도어(30)를 개폐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일측의 도어는 고내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도어 배면의 저장공간 및/또는 고내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영역인 투시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고내에 수납된 식품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냉장실 도어(20)에 상기 투시부(21)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투시부(21)는 냉장고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 상기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냉장고 도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3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1)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좌측(도 1에서 볼 때)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4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1)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41)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 둘레에는 메인 가스켓(45)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폐시 상기 캐비닛(10) 내부 공간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1)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상기 개구부(41)를 노출 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는 결합된 상태가 되어 좌측에 형성된 냉장실 도어(20)와 그 크기와 형상이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는 서브 가스켓(503)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선택적으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동시에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서브 도어(50)상에서 고내측이 보여지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반드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서만 투명하게 되어 고내를 가시화시키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서브 어퍼 힌지(501)와 서브 로어 힌지(502)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4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개방장치(59)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록킹 유닛(4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방장치(59)와 상기 록킹 유닛(42)의 결합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방장치(59)와 록킹 유닛(42)의 구속이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를 기준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장치(59)와 록킹 유닛(42)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 홈(201)을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메인 도어(40)가 회동되면서 상기 냉장실(12)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장치(59)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개방장치(59)와 상기 록킹 유닛(42) 분리된 상태가 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41)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는 댐핑장치(5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장치(50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서브 로어 힌지(502)와 인접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과 측단 모서리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방장치(59)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개방장치(59)와 록킹 유닛(42)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댐핑장치(504)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가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게 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서브 도어(50)가 빠르게 회전되더라도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가 서로 부딪히기 전에 상기 댐핑장치(504)가 먼저 상기 메인 도어(40)에 접촉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을 감속시켜 완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수납 케이스(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3)는 상기 메인 도어(40) 배면의 수납 공간을 정의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431)이 배치된다.
상기 수납 케이스(43)는 상기 개구부(41)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개구된 전면 즉 상기 개구부(41)가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41)를 통해서 식품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3)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시 후면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그리고, 수납 케이스(43)에는 후면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케이스 도어(4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시 상기 케이스 도어(432)를 개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식품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
즉, 상기 수납 케이스(43)는 상기 서브 도어(50) 또는 메인 도어(40)의 개방시 모두 접근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 케이스(43)와 상기 케이스 도어(432)에는 고내의 냉기가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온도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구부(41)의 양측면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431)이 장착될 수 있는 성형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단은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바스켓(431)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 상단의 힌지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에 힌지 커버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냉장고의 상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단에는 어퍼 힌지(401)가 장착되는 어퍼 힌지 장착부(441)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어퍼 힌지(401)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되며, 힌지축(401a)이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441)의 힌지 홀(441a)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서브 도어(50)의 상단에는 상기 서브 어퍼 힌지(501)가 장착되는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가 함몰된다. 상기 서브 어퍼 힌지(501)는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441)에 고정 장착되며, 힌지축(501a)이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의 힌지 홀(541a)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어퍼 힌지(401)와 서브 어퍼 힌지(501)는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8)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8)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선 홀(542)을 통해 외부로 안내되는 전선(L)이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의 내측을 지나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을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14)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선(L)의 노출을 최소화 한 상태로 상기 메인 제어부(14)로 안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의 전선(L)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 배면의 전선 홀(542)을 통해서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홀(542)은 상기 서브 도어(50)를 구성하는 도어 라이너(56) 또는 어퍼 캡데코(54)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L)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부품들과 연결되며,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티콘 보드(623), 터치 피시비(613), 라이트 피시비(683) 그리고 도어 라이트(57)를 포함한 전장부품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선(L)은 개수가 많고 부피가 크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전선 홀(542)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L)들은 수축 튜브와 같은 별도의 구성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홀(542)과 대응하는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에는 커버 홀(5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홀(581)은 상기 전선 홀(542)을 통해 노출된 전선(L)이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전선 홀(542)과 커버 홀(581)은 상기 서브 어퍼 힌지(501)의 힌지 축(501a)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시에도 최단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시 노출되는 상기 전선(L)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는 하방이 개구되며, 내측에 함몰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어퍼 힌지(401) 전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형합구조 또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 구조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일부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어퍼 힌지 장착부(441)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일측에는 상기 어퍼 힌지(401)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5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51)의 단부에는 메인 연결부(4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연결부(452)는 상기 연장부(45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연결부(452)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연결부(452)의 중앙은 상기 어퍼 힌지(401)의 힌지축(501a)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연결부(452)의 상면에는 연결부 홀(453)이 개구되어 상기 전선(L)이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는 상기 하방이 개구되며, 내측에 함몰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 어퍼 힌지(501) 전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는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44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의 일부는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브 어퍼 힌지(501)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어퍼 힌지(501)의 일측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커버 고정부(582)가 형성되며,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가 상기 커버 고정부(582)를 관통하여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에 체결되어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의 형상은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와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사이 공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와 메인 도어(40)의 개폐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의 일측에는 서브 연결부(583)가 형성된다. 상기 서브 연결부(583)는 상기 메인 도어(40)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메인 연결부(452)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서브 연결부(583)의 하면은 개구되며 따라서 상기 서브 연결부(583)의 내측은 상기 연결부 홀(453)에 의해 상기 메인 연결부(452)의 내측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연결부(583)는 상기 메인 연결부(452)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퍼 힌지(401)의 회전 축의 중심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된다.
즉, 상기 어퍼 힌지(401)의 회전 축의 중심과, 상기 메인 연결부(452) 및 서브 연결부(583)의 중심은 모두 동심이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가 회전되는 상황에서 상기 어퍼 힌지(401)의 회전축과 상기 메인 연결부(452) 및 서브 연결부(583)는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회전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를 통해 안내되는 전선(L)이 상기 서브 연결부(583)와 메인 연결부(452)를 차례로 지나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부에 히터와 같은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어퍼 힌지(401)의 회전축을 통과하여 다른 전선(L)이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에서 유입되는 전선(L)과 함께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14)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L)은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에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을 따라 연장된 후 상기 메인 제어부(14)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메인 제어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4)는 상기 냉장고(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 외부로 안내되는 전선(L)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4)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중앙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한쌍의 메인 힌지 커버(4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 외측으로 나온 전선(L)은 상기 서브 힌지 커버(58)와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를 통해서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으로 나온 전선(L)은 상기 메인 제어부(14)를 향하여 안내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1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부(14)는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의 전장부품들과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전장부품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제어부(14)는 상기 냉장고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피시비(141)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피시비(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 동영상과 인터넷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기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의 통신을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중 일부일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제어를 위한 구성들은 다수의 구성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메인 제어부(14)로 배치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시비(601)의 크기와 종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 구성은 기능별 또는 크기별로 나눌 수 있을 것이며, 이중 비교적 크기가 큰 구성 또는 전선 연결을 통해 원거리 배치가 용이한 구성들을 상기 메인 제어부로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부(14)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로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아답터(1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답터(143)에 의해 직류 전원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구동에 적합한 교류 전원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답터(143)는 비교적 크기가 크고 발열이 높아 상기 서브 도어(50)가 아닌 상기 메인 제어부(14)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부(14)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에 배치될 수 있는 다른 피시비들이 더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14)에 배치되는 각각의 피시비들은 서로 구획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이들 각각의 피시비들은 상기 냉장고(1)의 사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 제어부(14)는 적어도 일부가 개폐 가능한 제어부 커버(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측의 전선(L)들과의 연결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커버(144)의 개폐를 통해서 상기 메인 제어부(14) 및 이와 연결된 구성들의 서비스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로어 힌지(40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 로어 힌지(502)가 장착된다.
도 9는 상기 메인 도어 하단의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어 힌지(402)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도어(4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어 힌지(402)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는 상기 로어 힌지(402)의 회전축(402a)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도어(40)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로어 힌지(502)는 상기 로어 힌지(402)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서브 로어 힌지(502)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하단에 함몰된 서브 로어 힌지 장착부(55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은 상기 서브 로어 힌지(50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힌지축(501a)을 중심으로 상기 서브 도어(5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는 서브 로어 캡 데코(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로어 캡 데코(5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캡데코(55)의 전면 하단에는 데코부재(55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554)는 크롬 도금과 같은 장식을 위한 구성으로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554)는 사용자의 시선이 많이 가게 되는 손잡이 홈(201)이 위치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554)는 크롬 도금과 같은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554)는 상기 손잡이 홈(201)이 위치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관이 보다 돋보이게 함은 물론 상기 손잡이 홈(201)의 식별력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코 부재(554)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하단은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상단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로어 캡 데코(55)의 일측단에 상기 서브 로어 힌지(502)의 회전축(502a)이 장착되는 축 장착부(552)가 함몰된다. 상기 축 장착부(552)에는 로어 보스(5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보스(553)는 상기 회전축(502a)이 삽입되는 회전축 홀(553b)을 형성하며, 원통 형상 또는 상면이 막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보스(553)는 강도가 우수하고 내 마모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무게가 무거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구비되므로 전체적인 상기 서브 도어(50)의 중량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안정적인 지지 및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 조작 중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축 장착부(552)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장착부(552)에는 장착부 홈(552a)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보스(553)에는 보스 돌기(55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축 장착부(552)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부 홈(5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홈(552a)은 상기 축 장착부(552)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축 장착부(552)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축 장착부(55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보스(553)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보스 돌기(55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 돌기(553a)는 상기 장착부 홈(552a)과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보스(553)의 장착시 상기 보스 돌기(553a)와 장착부 홈(552a)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보스(553) 또한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으며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이격 장착되는 도어 라이너(56),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에 장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의 결합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외관 및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중앙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개구(5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1) 내측을 투시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개구부(41)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배치되는 영역에 라이너 개구(5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서브 가스켓(503)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개구(561)의 양측에는 도어 라이트(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후방을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 공간을 밝힐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보조적인 백라이트 기능을 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화면 출력시 화면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가 밝아지게 되며, 따라서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더 밝아지게 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 내부의 가시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양측방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장착위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에서 충분한 밝기를 가질 수 있다면 다양한 배치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에는 상기 개방장치(59)와 댐핑장치(50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5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일단에는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에는 상기 어퍼 힌지(401)의 힌지축(401a)이 삽입되는 힌지홀(541a)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캡데코(5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도어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 반투명, 불투명, 화면 출력의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출력되는 하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사이에는 이너 프레임(52)이 장착된다.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중앙에 프레임 개구(521)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개구(521)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사이를 기밀할 수도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상기 이너 프레임(52)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단열부재(5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53)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단열을 위한 것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 부분을 단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냉장고의 도어에는 발포액을 주입하여 단열재를 발포 성형하는 구조를 가지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발포액을 충진하여 단열재를 발포 성형하게 될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전장부품들이 고온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고온 및 발포시의 정전기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이미 성형된 상태의 상기 단열부재(53)가 조립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단열부재(53)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 형상에 맞추어 성형될 수 있으며, 기 성형된 상기 단열부재(53)를 상기 서브 도어(50)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를 따라서 삽입 장착한다. 상기 단열부재(53)는 발포 폴리스티렌 소재로 발포 성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브 도어(5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성형되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열부재(53)에 의해 중앙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단열부재(53)의 장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부재(53)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53)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중앙에 수용될 수 있는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재(53)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각각 조립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재(53)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홈과 구멍 또는 단차 등에 의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조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 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상방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단열부재(53)의 상단은 그 두께가 다소 얇게 형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에 상기 전장부품의 배치 및 방열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53)를 조립 장착한 후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56)를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시키게 되고,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를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에는 상기 개방장치(59)와, 댐핑장치(504)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상기 서브 가스켓(50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59)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레버(591)와, 상기 조작 레버(591)와 연결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서 상기 메인 도어를 향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래치(5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592)는 상기 조작 레버(591)의 조작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록킹 유닛(42)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유닛(42)은 상기 래치(592)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592)가 삽입되는 래치 홀(421)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래치(592)가 상기 래치 홀(4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래치(592)는 상기 래치 홀(421) 내부에서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 레버(591)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래치(592)는 상기 래치 홀(421) 내부에서 구속이 해제되도록 움직이게 되며, 상기 래치(592)가 상기 래치 홀(421)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개방장치(59)와 록킹 유닛(42)는 본 제 1 실시 예 외에도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아웃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판상의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을 비롯한 외관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냉동실 도어(30)의 전면과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 표면에는 내지문 코팅, 헤어라인, 색상이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코팅 또는 필름 부착 등 다양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512)와,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512)의 중앙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차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차폐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상기 투시부(21)라 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12)는 전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12)는 이웃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과 대응하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개구 절곡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512)의 양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상기 측면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513)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측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의 폭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513)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 절곡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단과 하단에도 절곡부(516)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516)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상기 어퍼 캡데코(54) 및 로어 캡데코(5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이너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이너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이너 프레임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프레임 개구(5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의 접착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접하게 되며, 양면 테잎과 같은 접착부재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배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배면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각각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의 양단에서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의 양단 사이를 연결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5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 및 한쌍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결합에 의해서 사각 틀과 같은 형상을 형성하게 되며, 중앙에 상기 프레임 개구(521)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어퍼 프레임(522)은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 중 상단이 삽입되는 어퍼 수용홈(5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수용홈(522a)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형성하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수용홈(522a)의 양측에는 어퍼 결합홈(52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결합홈(522b)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어퍼 사이드 돌기(524b)가 걸림 구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어퍼 사이드 돌기(524b)가 삽입되는 어퍼 삽입홈(522c)이 형성되며, 상기 어퍼 삽입홈(522c)과 상기 어퍼 결합홈(522b)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어퍼 사이드 돌기(524b)가 상기 어퍼 삽입홈(522c)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어퍼 결합홈(522b)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사이드 돌기(524b)와 상기 어퍼 결합홈(522b)의 결합에 의해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은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배면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어퍼 리브(522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리브(522d)는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일 측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리브(522d)를 기준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상부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구동을 위한 다수의 피시비(601)가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522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장착부(522e)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6)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60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601)가 배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과 대응하는 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장착부(522e)는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배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장착부(522e)에는 다수의 피시비 서포터(522f)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서포터(522f)는 상기 피시비 장착부(522e)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601)는 상기 피시비 서포터(522f)에 의해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배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601)는 상기 서브 도어 상부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및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이격된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어 발열시 상기 어퍼 캡데코(54)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의한 냉각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피시비(601)의 배치 및 냉각 구조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로어 프레임(523)은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로어 프레임(523)의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하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523)의 상단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절곡부 중 하단이 삽입되는 로어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수용홈(523a)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형성하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수용홈(523a)의 양측에는 로어 결합홈(52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결합홈(523b)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로어 사이드 돌기(524c)가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로어 프레임(523)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로어 사이드 돌기(524c)가 삽입되는 로어 삽입홈(523c)이 형성되며, 상기 로어 삽입홈(523c)과 상기 로어 결합홈(523b)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 삽입홈(523c) 및 상기 로어 결합홈(523b)의 구조는 상기 어퍼 삽입홈(522c)과 어퍼 결합홈(522b)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로어 사이드 돌기(524c)가 상기 로어 삽입홈(523c)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어 결합홈(523b)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사이드 돌기(524c)와 상기 로어 결합홈(523b)의 결합에 의해 상기 로어 프레임(523)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은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523)의 배면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로어 리브(523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리브(523d)는 상기 로어 프레임(523)의 일 측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프레임(523)의 양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에 형성되는 사이드 리브(524d)와 연결되는 보조 리브(524d)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은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은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좌우 양측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 양측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구 절곡부(514) 중 좌우 양측단이 삽입되는 사이드 수용홈(52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수용홈(524a)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형성하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좌우 양측단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사이드 수용홈(524a)과 상기 어퍼 수용홈(522a) 및 로어 수용홈(523a)은 모두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절곡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프레임(52)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하여 상기 투시부(21)의 둘레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너 프레임의 내측 둘레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테두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부 형상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은 평면 형상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전면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되고 배면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여 상기 투시부(21)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어 수용홈(523a)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어퍼 사이드 돌기(524b)와 로어 사이드 돌기(524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을 기준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배면에는 사이드 리브(524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리브(524d)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리브(524d)는 후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어퍼 리브(522d) 및 로어 리브(523d)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이너 프레임(52)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 리브(522d) 및 로어 리브(523d)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21)를 형성하여 고내 공간이 선택적으로 가시화되도록 할 수도 있고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전면과 배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연결하는 모듈 프레임(6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의 지지를 위한 간봉(6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투명한 유리 소재(예컨대 청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한 다른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후방에서 조립 장착될 때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부가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배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리어 패널(65)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으며, 상하좌우측 방향 모두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후방에서 장착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특성상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연장된 각 단부는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통해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를 크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하게 되는 경우 상기 프론트 패널(61)에 형성되는 터치 센서(612)의 면적을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대응하거나 더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통해 터치 가능한 영역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최소한 상기 디스플레이(62) 영역 또는 상기 투시부(21)의 전체 영역을 터치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 둘레에는 베젤(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611)은 검정색으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프레임(67)과 간봉(6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질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젤(611)을 따라서 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와이어 또는 필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젤(611)을 따라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전면 둘레가 가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히터는 투명 히터로 구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전체 면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베젤(611)의 내측 영역에는 터치 센서(6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61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치 센서(612)는 인쇄 방식이 아닌 접착 방식 등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상단에는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는 터치 피시비(6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13)는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 Cable 또는 Flexible Print Circuit board)와 같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614)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는 화면이 출력되는 LCD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하게 구성되어 화면 출력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투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일측에는 소스 보드(6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보드(621) 또한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측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서 상기 티콘(T-CON) 보드(623)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히,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 후면으로 배치하게 될 경우, 투명하게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특성상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둘레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외측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보드(621)는 이와 같이 절곡이용이한 FFC또는 FPC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좌우폭 보다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구조의 특성상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좌우 양측단 중 어느 일측단에 배치될 경우 상기 소스 보드(621)가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양단은 간봉(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간봉(63)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간봉(631)은 상기 디스플레이(62) 일측단의 모서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631a)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상기 제 1 간봉(631)에 지지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광판(64)이 설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간봉(632)은 상기 소스 보드(621)가 위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간봉(632)은 상기 제 1 간봉(631)과 마찬가지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이 설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제 2 간봉(632)을 지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듈 프레임(67)에 밀착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깊이감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가깝게 느껴지도록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중간 지점보다 더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서 조사되는 빛의 확산 또는 산란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폴리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거나 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켜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후방에서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소 큰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는 상기 도광판(6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도광판(64)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는 단열을 위해서 로이 글래스(Low-ε Glass)로 구성될 수 있다. 로이 글래스는 통상 단열을 위해 유리의 표면에 저방사코팅층을 형성한 것으로 단열 효과가 우수한 유리이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는 고내의 냉기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외부로 열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와 상기 도광판(64)의 사이에는 스페이서(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6)는 상기 도광판(64)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에 접착되어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와 상기 도광판(64) 사이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을 위해서 고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간격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두께 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66)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를 결정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스팩에 맞추어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접하게 되며, 상기 리어 패널(65)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어 라이트(57) 사이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된 상태에서 상가 디스플레이(62)의 보조적인 백라이트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설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위치에 의해 상기 리어 패널(65)의 위치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거리는 5cm ~ 15c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어 라이트(57) 사이의 거리가 5cm 미만이 될 경우 내부에 명암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15cm를 초과하게 될 경우 백라이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리어 패널(65)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62)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스페이서(66)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6)에 의해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사이는 기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66)와 상기 도광판(64) 사이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거나 단열을 위해 아르곤과 같은 단열성 기체를 주입하여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스페이서(66)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이 상기 스페이서(66) 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에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이 장착되어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듈 프레임(67)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전면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내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스페이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페이서(66)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상하 배치되는 스페이서 어퍼(661) 및 스페이서 로어(6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스페이서 어퍼(661) 및 스페이서 로어(662)는 모두 단면 형상이 동일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64) 및 리어 패널(65)과 접하는 면 그리고 상기 도광판(64)과 리어 패널(65) 사이에 위치하는 면 및 이에 대향되는 외측면은 모두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스페이서 어퍼(661) 또는 스페이서 로어(662)는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되고,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50)가 경량화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의 상단과 하단은 개구되며, 상기 스페이서 어퍼(661)와 스페이서 로어(662)의 양측단 또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의 단면과 상기 스페이서 어퍼(661) 및 스페이서 로어(662)의 단면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66)의 네 모서리에는 코너 연결부재(6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너 연결부재(664)는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스페이서 어퍼(661) 또는 스페이서 로어(662)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너 연결부재(664)는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상기 스페이서 어퍼(661) 또는 스페이서 로어(66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스페이서 어퍼(661) 또는 스페이서 로어(662)가 직각 상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너 연결부재(664)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삽입부(664a)와 상기 제 1 삽입부(664a)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삽입부(664b) 그리고 제 1 삽입부(664a)와 제 2 삽입부(664b)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부(664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부(664a)와 제 2 삽입부(664b)는 그 구조와 형상이 동일하며, 단지 연장 방향만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삽입부(664a)와 제 2 삽입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스페이서 어퍼(661) 또는 스페이서 로어(662)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삽입부(664a)와 제 2 삽입부(664b)에는 지지리브(664d)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삽입부(664a)와 제 2 삽입부(664b)가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스페이서 어퍼(661) 또는 스페이서 로어(662)의 내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스페이서 어퍼(661) 또는 스페이서 로어(662)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664d)는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스페이서 어퍼(661) 또는 스페이서 로어(662)의 개구와 인접한 위치에 크기와 형상이 상기 지지리브(664d)와 다른 돌기(664e)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664c)는 상기 제 1 삽입부(664a)와 제 2 삽입부(664b)의 사이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삽입부(664a)와 제 2 삽입부(664b)가 각각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664c)는 외측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 사이드(663)와 스페이서 어퍼(661) 또는 스페이서 로어(662)의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664c)는 상기 스페이서(66)의 모서리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모듈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모듈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모듈 프레임(67)은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도광판(64)과 간봉(63)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모듈 프레임(67)은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며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프레임 사이드(671)와, 상기 한쌍의 프레임 사이드(671)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프레임 어퍼(672)와 프레임 로어(67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67) 또한 경량화를 위해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사이드(671)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양측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어퍼(672)와 프레임 로어(673)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연결하고 동시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상면과 하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퍼(672)와 프레임 로어(673)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배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형상은 동일하다.
상기 로어 프레임(523)은 라이트 장착부(674)와 스페이서부(67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장착부(674)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면에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되는 라이트 수용부(67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상기 라이트 장착부(674)를 따라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제 1 엘이디(681)와 상기 제 1 엘이디(681)들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실장되는 제 1 엘이디 기판(68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엘이디가 아닌 다른 발광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엘이디(681)의 위치는 상기 도광판(64)의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엘이디(681)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도광판(64)의 단부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도광판(64)이 전체면에서 발광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엘이디(681)가 정확하게 상기 도광판(64)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엘이디 기판(682)은 상기 스페이서부(675)에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 1 엘이디 기판(682)이 상기 스페이서부(675)에 밀착되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엘이디(681)는 상기 도광판(64)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상기 라이트 수용부(674a)는 상기 스페이서부(675)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675)는 상기 라이트 장착부(674)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부(675)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도광판(64)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상기 도광판(64)의 전면이 접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부(675)의 두께는 상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도광판(64)의 좌우 양측은 상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에 의해 기밀 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도광판(64)의 상하측은 상기 스페이서부(675)에 의해 기밀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 어퍼(672)와 프레임 로어(673)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를 기밀하도록 접착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도광판(64)의 사이를 기밀하고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부(675)의 상단 모서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단부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지지부(67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부(675a)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상단과 하단이 안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후방에서 정확한 위치에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퍼(672)는 상기 프레임 로어(67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그 배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어퍼(672)와 프레임 로어(673)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의해서 상기 도광판(64)을 밝힐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 있다.
도 24는 상기 서브 도어의 상부의 피시비 배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상기 서브 도어의 상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피시비(60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피시비(601)들과 연결된 전선은 최단거리로 상기 어퍼 캡데코(54)를 통해 상기 서브 어퍼 힌지(401)측으로 향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상부에는 티콘(T-CON) 보드(613)와 터치 피시비(613) 그리고 라이트 피시비(6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티콘 보드(623)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구동을 위한 것으로 케이블(6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13)는 상기 터치 센서(612)의 터치 입력 신호의 처리를 위한 것으로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는 케이블(6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피시비(683)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 각각과 연결되는 케이블(6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피시비(601)들을 연결하는 케이블(602)은 모두 유연한 필름 타입의 FFC 또는 FP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602)들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또한, 상기 케이블(602)들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테두리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외측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어 상기 피시비(601)들과의 연결구조 또한 간결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부재(53)의 조립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블(602)들은 모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부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테두리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케이블(602)들은 벤딩 또는 절곡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피시비(601)들은 상기 와이어 형태의 전선(L)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피시비(601)들에는 상기 케이블(602) 연결구조에서 일반적인 상기 전선(L) 타입으로 전환될 수 있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피시비(601)들과 연결된 전선(L)은 한데 모여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에 개구된 전선 홀(542)을 통해서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601)들에 연결된 다수의 케이블(602)은 그 폭이 너무 크게 되며 다수의 케이블(602)이 한꺼번에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되기 위해서는 홀의 크기나 공간이 너무 크게 되어 비 효율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601)의 출력측에 상기 전선(L)을 연결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으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선(L)의 안내를 위한 부피 및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티콘 보드(623)와 터치 피시비(613) 그리고 라이트 피시비(683)는 모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피시비 장착부(522e)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서포터(522f)에 의해 상기 피시비 장착부(522e)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단열부재(53) 중 상기 피시비(601)들이 장착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단열부재(53) 상단은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의 피시비(601)들이 장착되고 방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의 한정된 공간에 상기 티콘 보드(623)와 터치 피시비(613) 그리고 라이트 피시비(683)가 모두 장착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피시비(601)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피시비(601) 각각을 지지하는 상기 피시비 서포터(522f)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서로 겹쳐지는 피시비(601) 사이로의 공기 유동이 가능하여 각각의 피시비(601)들이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에는 다수의 방열구(54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제공되는 상기 티콘 보드(623)와 터치 피시비(613) 및 라이트 피시비(683)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방열구(54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방열구(543)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방출시 사용자에게 열기가 전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구(543)에는 방열구 가이드(5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구 가이드(544)는 상기 방열구(543)의 둘레 일부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열기는 배출될 수 있으면서 상기 방열구(543)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열구 가이드(544)는 상기 피시비(601)들의 배치 위치와 먼 쪽, 즉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601)들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물 또는 이물질들이 상기 피시비(601)로 직접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단열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단열부재(53)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53)는 이미 발포 성형된 상태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조립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53)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어퍼 단열부재(531)와 로어 단열부재(532) 그리고 한쌍의 사이드 단열부재(5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단열부재(531)와 로어 단열부재(532) 그리고 한쌍의 사이드 단열부재(533)는 각각이 분리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서로 접하여 사각 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어퍼 단열부재(53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퍼 단열부재(531)의 두께는 다소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피시비(601)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 및 냉각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어 단열부재(53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사이를 채울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핑장치(504)가 장착되는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댐핑장치(504) 또는 상기 댐핑장치(504)의 장착을 위한 구성을 회피하기 위한 제 1 성형단(5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단열부재(533)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양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사이를 채울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장치(59)가 장착되는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개방장치(59) 또는 상기 개방장치(59)의 장착을 위한 구성을 회피하기 위한 제 2 성형단(53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재(53) 중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단열부재(53)가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열부재(53)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형성되는 라이너 돌출부(566)와 대응하는 제 3 성형단(5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성형단(530)의 형상은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부재(53)의 장착시 상기 제 3 성형단(530)과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도어 라이너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상기 도어 라이너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 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중앙에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개구(56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향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56) 전면의 양측단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양측단과 결합되는 라이너 결합부(56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라이너 결합부(56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측면부의 후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 축과 먼 쪽의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일측에는 래치 수용부(563)가 형성된다. 상기 래치 수용부(563)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 수용부(563)는 상기 개방장치(59)를 구성하는 래치(59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래치(592)가 회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래치 수용부(563)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 수용부(563)의 개구는 수용부 커버(563a)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래치(592)는 상기 수용부 커버(563a)에 형성된 커버 개구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록킹 유닛(42)과 선택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수용부(563)의 하방에는 로드 가이드(56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가이드(563b)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하단까지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의 조작부재(591)와 연결된 커넥팅 로드(592)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592)의 상단은 상기 래치 수용부(563)의 내측에서 상기 래치(592)와 연결될 수 있으며, 하단은 상기 로어 캡테코(55)의 하단에 배치되는 조작부재(591)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591)의 조작시 상기 커넥팅 로드(592)에 의해 상기 래치(592)가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축과 가까운 도어 라이너(56)의 하단에는 댐퍼 장착부(5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 장착부(564)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에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댐핑장치(504)이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댐핑장치(504)은 상기 댐퍼 장착부(564)를 차폐하는 댐퍼 커버(564a)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댐퍼 장착부(564)의 내측에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과 접촉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 커버(564a)의 일부는 상기 가스켓 홈(565)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564b)에 의해 상기 도어 라이너(56) 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 홈(565)에 장착되는 상기 서브 가스켓(503)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564b)는 가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에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의 둘레를 따라서 함몰된 가스켓 홈(5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홈(565)은 서브 가스켓(503)이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 라이너(56) 배면에 돌출된 라이너 돌출부(566)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전면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수용부(5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용부(567)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적어도 일부를 후방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용부(567)의 내측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결합시 상기 디스플레이 수용부(567)에 의해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와 후면 일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결합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용부(567)의 내측에서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용부(567)의 내측 영역에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개구(561)의 둘레를 따라서 라이너 돌출부(5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1)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히게 되면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41)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개구부(41)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 둘레에 위치되는 상기 서브 가스켓(503)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개구부(41)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 축에서 가까운쪽이 먼쪽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 또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는 상기 서브 도어(50) 전면의 라운드 또는 경사와 반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경사지지 않은 상기 평면 형상의 메인 도어(40)의 전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의 내측면 좌우 양측에는 도어 라이트(57)가 장착되는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후방 영역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는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의 내측면 좌우 양측면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외측면이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개구된 면을 차폐하게 되며,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의 내측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를 고정하기 위한 도어 라이트 고정부(56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 고정부(568a)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도어 라이트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0은 상기 도어 라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상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 전체를 고르게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라이트 하우징(571)과 라이팅 모듈(575) 그리고 라이트 커버(5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은 상기 라이팅 모듈(575)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은 일측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면이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개구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상면과 하면에는 고정 돌기(571a)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 내측의 도어 라이트 고정부(568a)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571a)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장착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은 상기 라이팅 모듈(575)이 장착되는 장착면(572)과 상기 장착면(572)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반사면(5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면(572)은 상기 라이팅 모듈(575)이 장착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573)은 상기 장착면(572)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장착면(572)과 마주보는 방향까지 경사 또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반사면(573)은 상기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574)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반사면(573)의 내측은 빛의 반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도색이나 코팅 또는 표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일측면에는 상기 라이팅 모듈(575)과 연결되는 전선(L)이 출입되는 전선 출입부(57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출입부(572a)는 상기 장착면(572)의 상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575)과 연결된 전선(L)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면(572)에는 상기 라이팅 모듈(575)의 고정 장착을 위한 고정 후크(572b)와 사이드 돌기(57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후크(572b)는 상기 라이팅 모듈(575)의 외측단을 구속할 수 있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모듈(575)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후크(572b)는 상기 라이팅 모듈(575)의 장착시 상기 라이팅 모듈(575)이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돌기(572c)는 상기 라이팅 모듈(575)의 양측단과 접하여 상기 라이팅 모듈(575)이 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이드 돌기(572c)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모듈(575)을 전체적으로 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외측면에는 보강 리브(57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571b)는 상기 반사면(573)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면(573)의 곡률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571b)는 다수개가 연속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 리브(571b)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이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 리브(571b)는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 내측에서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이 변형되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개구된 단부에는 다수의 커버 홈(571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홈(571c)에는 상기 라이트 커버(574)의 커버 돌기(574a)가 결합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574)가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개구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라이트 커버(574)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반사면(573)에 반사된 후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라이트 커버(574)는 빛의 투과 및 확산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커버(574)에는 투과되는 빛이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 또는 패턴(574b)이 형성되거나, 필름이 부착되거나, 코팅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라이트 커버(574)의 사출 성형시 빛을 확산시키는 입자 또는 소재(574c)가 첨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커버(574)의 둘레에는 커버 돌기(57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상기 커버 홈(571c)에 결합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574)가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개구된 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라이트 커버(574)는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개구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모듈(575)은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제 2 엘이디(575a)와, 상기 다수의 제 2 엘이디(575a)가 실장된 제 2 엘이디 기판(575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엘이디(575a)는 상기 제 2 엘이디 기판(575b)을 따라서 다수개가 연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엘이디 기판(575b)은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장착면(572)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후크(572b)에 의해 상기 장착면(57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575)은 상기 라이트 커버(574)와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엘이디(575a)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반사면(573)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며, 상기 반사면(573)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라이트 커버(574)를 투과하여 외부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은 반사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574)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라이트 커버(574) 상에 제 2 엘이디(575a)의 위치가 국부적으로 밝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거, 상기 라이트 커버(574) 전체가 밝게 빛나게 되어 외부에서 볼 때, 면 발광과 같이 보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이 밝아지게 되며,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 또한 밝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밝기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외부에서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를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를 가지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 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온 되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이 밝혀지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점등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즉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밝아지게 되면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투명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 내측의 수납 공간을 외부에서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도어 라이트의 점등 상태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1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2는 도 10의 32-32'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3은 도 10의 33-33'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소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광판(64) 및 상기 디스플레이(62)는 투명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 또한 투명한 상태이므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을 밝히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조작하게 될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화면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조작은 특정 위치 또는 터치 횟수 또는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물리 버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켜지게 되고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는 설정된 특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에 의해 다양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한 화면 출력의 다양한 실시 예는 아래에서 더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와 함께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도광판(64)의 폭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점등에 의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빛을 난반사 및 확산시켜 전방의 디스플레이(62)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로 빛을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사용자는 선명하게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서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한 고내 공간 즉,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투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공간이 상기 투시부(21)로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켜지게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투시부(21)를 통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가시화 정도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온오프 조합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조합에 의한 투명도의 차이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4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5는 도 10의 35-35'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6은 도 10의 36-36'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개방장치(59)의 래치(592)가 상기 록킹 유닛(42)의 래치 홀(42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꺼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상태는 별도 제공되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공간이 어둡게 되어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고내측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꺼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51)을 조작하여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면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 전체 영역을 밝힐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함께 점등되는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의해 상방과 하방에서 빛이 조사되고,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서 좌우측방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투시부(21)는 상하 및 좌우 전체 방향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 영역을 최대 밝기로 밝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조사되며, 빛이 조사되는 면 즉, 상기 라이트 커버(574)가 상기 리어 패널(65)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어 빛이 조사될 경우 외부에서 볼 때 상기 라이트 커버(574)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모듈(575)은 상기 리어 패널(65)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라이트 커버(574)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리어 패널(65)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반사면(573)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574)로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간접 조명 방식에 의해,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21)를 바라볼 때에 상기 라이트 커버(574)의 표면에 상기 제 2 엘이디(575a)에 의해 국부적으로 밝은 부분이 방울 모양으로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보여지는 상기 라이트 커버(574)의 표면이 고르게 밝은 상태가 되어 면발광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근접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을 밝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어 패널(65)을 지나 전방의 영역까지 밝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보여지는 고내 공간을 밝히는 조명 역할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가 보다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백라이트의 역할을 기대할 수도 있다.
도 37은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메인 제어부(14)에 의해 전체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4)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1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연결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기 위한 압축기와 팬 모터, 밸브 등를 비롯한 다수의 구성들이 연결되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에는 고내외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145)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146)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146)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메인 피시비(141)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에는 외부 기기 및 서버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147)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는 상기 아답터(143)와 함께 상기 메인 제어부(14)를 구성하며 상기 캐비닛(10)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영상이나 사진, 인터넷 화면 및 기 설정된 시스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또는 도어 라이트(57)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라이트 드라이버(148)가 상기 메인 제어부(14)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트 드라이버(148)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는 터치 피시비(613)와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연결되는 티콘 보드(623)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연결되는 라이트 피시비(68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피시비(613)와 티콘 보드(623) 그리고 라이트 피시비(683)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지나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동작의 조합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한 고내의 선택적인 투시와 화면 출력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8는 상기 냉장고가 불투명 모드일 때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투시부(21)가 불투명한 상태가 되어 외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가 보이지 않는 불투명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불투명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사용자는 상기 프론트 패널(51)을 터치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별도의 입력이 없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1)는 자동으로 불투명 모드가 되도록 운전될 수도 있다.
상기 불투명 모드에서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내부를 볼 수 없으므로 전체적인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가 검은색으로 표현되어 내부가 투시되지 않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외부에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대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불투명한 화면 출력이 되고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9는 상기 냉장고가 불투명 모드 일 때의 점등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불투명 모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모두 소등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모두 꺼진 상태로 상기 투시부(21)에서는 화면의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모두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고외측보다 고내측이 어두운 상태가 되며,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영역 즉,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보여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모두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소비전력이 최소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고내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소비전력의 절감을 위해서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모두 소등된 상태에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고내 공간이 100%완전히 보이지 않게 차단된 것은 아니며, 외부의 빛 일부가 고내로 침투되거나 상기 투시부(21)의 아주 가까운 위치에서 바라보게 될 경우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이 흐릿하게 보일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반적인 냉장고의 조작 거리에서는 상기 투시부(21)는 불투명하게 보일 것이며 사실상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가 보이지 않게 된다.
도 40은 상기 냉장고가 불투명 모드 일 때의 점등 상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불투명 모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소동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만 점등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켜져 있으나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검은색 또는 어두운 다른 색상을 출력하여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가 보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2)를 밝히게 되는 상태로 외부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화면이 검정색 단색인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에 의해 상기 투시부(21)가 전체적으로 검정색으로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상기 투시부(21)를 볼 때 검정색의 상기 디스플레이(62)가 보여질 뿐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를 볼 수 없게 된다.
도 39와 도 40 모두 불투명 상태로 통상적인 사용 상태에서 사실상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 공간을 볼 수 없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도 40은 상기 투시부(21)가 완전한 검정색상이 되도록 하여 100% 상기 투시부(21)를 통한 내부의 투시가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검정색은 아니지만 짙은 색상을 출력하게 될 경우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0과 같은 경우에는 불투명 모드라 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켜진 상태이므로 도 39와 같은 상태와 비교할 때 소비전력이 더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도 40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위치되는 부분에서 발열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62)의 상단과 하단에서 결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결로 방지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되되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는 검정색을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투시부(21)가 불투명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전력의 개선을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주기적으로 점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 도 39의 상태와 도 40의 상태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검정색을 출력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뿐만 아니라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에 의해 상기 투시부(21)는 불투명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도어 라이트(57)가 모두 점등된 상태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도어 라이트(57)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좌우 양측단까지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21)의 둘레 전체가 가열될 수 있게 되어 결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1은 상기 냉장고가 투명 모드일 때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상기 투시부(21)의 내측 즉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 공간을 볼 수 있는 투명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투명모드에서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를 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식품의 위치 및 종류를 외부에서 파악한 후 상기 서브 도어(50)를 개방한 후 빠르게 원하는 식품을 꺼낼 수 있으며, 기타 식품의 수납을 위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투명모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후방의 공간을 밝게 하여 상기 투시부(21)를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 투명모드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보이는 고내측의 밝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도 42는 상기 냉장고가 투명 모드일 때의 점등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투명모드일 때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소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이 밝아지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면 양측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서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가 밝아질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에서 상기 투시부(21)를 바라보게 될 때 상기 투시부(21)가 투명하게 보일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소등된 상태이므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만 밝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보여지는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부분은 밝은 상태가 아닐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투시부(21)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하되 상대적으로 어두운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43은 상기 냉장고가 투명 모드일 때의 점등 상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투명모드일 때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모두 점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이 밝아지게 되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자체가 밝아지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면 양측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서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가 밝아질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상기 도광판(64)의 발광에 의해 상기 투시부(21)가 더욱 밝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오프된 상태로 별도의 화면을 출력하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상기 투시부(21)를 바라보게 될 때 상기 투시부(21)가 투명하게 보일 뿐만 아니라 상기 도광판(64)의 발광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밝고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 자체의 밝기는 보다 밝아진 상태이지만 점등된 상기 도광판(64)을 통과하여 볼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은 다소 흐리게 보일 수 있다.
도 42와 도 43 모두 상기 투시부(21)가 투명하게 되어 고내를 투시할 수 있지만, 도 42의 상태에서는 상기 투시부(21)가 상대적으로 어두운 상태에서 선명하게 보이는 반면, 도 43의 상태에서는 상기 투시부(21)가 상대적으로 밝은 상태에서 흐리게 보이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밝기와 선명도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4는 상기 냉장고가 투명 출력 모드 일 때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이 보이도록 하면서 동시에 화면이 출력되는 투명 출력모드가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출력모드는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이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을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또한 점등될 수 있다. 즉, 도 43과 같이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모두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는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 수납 식품을 보이게 하면서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정보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21)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에 저장된 식품과 연계되는 화면 출력이 가능하며,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도4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 수납 식품이 보여지는 상태에서, 해당되는 식품의 정보를 특정 위치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 케이스(43)에 과일(433)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과일(433)의 저장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별도의 창(622)을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하여 과일의 수납 일자, 유통기한, 과일을 이용한 레시피 등 다양한 정보를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수납된 과일(433)과 함께 보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434)가 저장된 경우 음료(434)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별도의 창(623)을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하여 상기 음료(434)의 종류와 유통기한 가격 등이 함께 보이도록 표시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달할 메세지를 상기 음료(434)의 정보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데 "아빠 음료수니 먹지 말 것"과 같은 메세지를 상기 투시부(21)의 터치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해당 화면에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저장된 과일(433)이나 음료(434)와 관련되지 않은 기타 정보를 보이기 위한 창(624)이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창(624)에는 일반적인 메모 또는 알림사항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된 창(622,623,624)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위치의 이동과 편집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출력되는 식품의 정보 입력은 근거리 통신이나 바코드 또는 QR코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자체의 터치 입력 기능을 이용한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한 입력에는 터치 펜 또는 가상 키보드 등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통해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출력되는 식품의 정보 입력은 상기 통신 모듈(147)과 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단말기 또는 PC등에서 자유롭게 입력 및 가공 가능할 것이다.
도 45는 상기 냉장고가 화면 출력 모드 일 때 점등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6은 상기 화면 출력 모드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모습을 타나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 모드가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화면 출력 모드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가 투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211)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출력 모드를 위해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소등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은 어두운 상태가 되어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보여질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상기 도광판(64)의 발광으로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2110이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선명하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를 가시화하지는 않지만 화면(211)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62)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도 46에서와 같이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211)은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영상은 상기 통신 모듈(147)과 무선 통신, 인터넷 또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엔에프씨(NFC)와 같은 근거리 통신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2) 또는 원격지의 피시 상의 영상일 수 있다.
예컨데, 사용자의 휴대전화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재생중인 영상을 상기 메인 제어부(14)의 통신 모듈(147)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냉장고(1)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이를 출력되는 화면(211)을 통해 보여질 수 있다. 물론,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메인 제어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일 수도 있으며, 상기 메인 제어부(14)에 별도의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장치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투시부(21)가 화면 출력 모드 상태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다양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7은 상기 화면 출력 모드에서 인터넷 연결 페이지를 재생하는 모습을 타나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화면 출력 모드에서 상기 투시부(21)는 인터넷 화면(212)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화면(212)는 일반적인 피시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서 출력되는 형태와 같은 것으로, 상기 투시부(21)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출력되는 인터넷 화면(212)은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외부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3)와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어 조작 선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48은 상기 화면 출력 모드에서 대기 화면을 출력하는 모습을 타나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화면 출력 모드에서 상기 투시부(21)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대기 화면(213)은 상기 냉장고(1)에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되는 화면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한 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데, 날씨와 온도 등 일반적인 생활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지정한 사진이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시부(21)에서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검정색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대기 화면(213)은 소비 전력의 절감을 위해 주기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으며, 상기 불투명 모드와 함께 교대로 반복적으로 실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9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화면 출력 상태일 때 냉장고 조작 화면을 출력하는 모습을 타나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화면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투시부에서 일반적인 냉장고의 조작을 위한 조작 화면(214)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1)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또는 조작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지 않으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냉장고의 동작을 표시하고, 상기 투시부(21)를 터치 조작하여 상기 냉장고(1)의 운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시부(21)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온도 정보와 각종 기능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 조작 가능하도록 아이콘(625)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전환을 통해 보다 많은 정보를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0은 상기 냉장고를 이용하여 구성된 홈 네트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가정 내의 다른 전자기기들과 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1)는 통신 모듈(147)에 의해 다른 가전기기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도어(50)의 투시부(21)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조작 화면(214)은 상기 냉장고(1)의 운전 상태와 조작 외에 상기 냉장고(1)의 통신 모듈(147)에 의해 연결된 다른 가전 기기 또는 가정 내의 스마트 기기의 상태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가정 내의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냉장고(1)는 사용상의 특성상 24시간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홈 네트워크의 메인 컨트롤러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정 내의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각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는 물론 각 전자기기들의 상태를 출력하고 관련 정보를 가공 및 출력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데, 티브이(4), 세탁기(5), 전자레인지와 같은 조리기기(6), 조명(7)의 온/오프에서부터, 지정된 시간의 설정된 동작을 하도록 예약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인터폰(8)과 연결되어 도어 또는 창호를 개폐 조작할 수도 있을 것이며, 실내의 온도 또는 공기 오염 정도를 표시하고 공기조화장치(9)를 운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조작 화면(214)은 대기 화면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투시부(21)에서 다른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일부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상기 서브 도어에 배치되는 도어 라이트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조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리어 패널(65)과 프론트 패널(61)의 사이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서브 도어(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21)를 형성하며, 디스플레이(62)를 통해서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6)에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가 형성되며, 상기 라이너 개구(561)를 따라서 라이너 돌출부(56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의 둘레에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접하여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를 기밀하는 라이너 돌출부(56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의 후면에는 도어 라이트(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의 후단 중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의 후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며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전술한 실시 예의 도어 라이트(57')보다 상기 수납 케이스(43)를 보다 집중적으로 밝힐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라이너 돌출부(566)에 장착되는 라이팅 모듈(575')과 상기 라이팅 모듈(575')을 차폐하는 라이트 커버(5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라이트 커버(574')를 통과하면서 반사 및 확산되어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를 고르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투시부(2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를 투시하거나 출력되는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유리(71)와 상기 전면 유리(71)의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74), 그리고 디스플레이(74)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74)를 밝히기 위한 PDLC필름(75)이 부착된 후면 유리 그리고 전면 유리(71)와 디스플레이(74) 및 후면 유리(76)를 고정하기 위한 모듈 프레임(7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면 유리(7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74)의 가장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전면 유리(71)는 청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유리(71) 배면에는 터치 필름(72)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기 전면 유리(71) 터치 조작시 이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필름(72)의 일측에는 터치 피시비(72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필름(72)이 부착된 상기 전면 유리(71)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7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74)와 전면 유리(71)의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73)은 상기 디스플레이(7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73)은 상기 디스플레이(74)와 전면 유리(71) 사이에 접착되어 상기 전면 유리(71)와 상기 디스플레이(74)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7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74)는 투명 엘시디(LCD)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74)가 출력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유리와 같이 투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74)의 일측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74)의 컨트롤을 위한 티콘 보드(741)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74)의 일측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74)의 출력을 위한 소스 보드(7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유리(76)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 라이너(56)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유리(76)는 단열을 위해 로이유리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후면 유리(76)의 전면에는 상기 PDLC필름(75)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PDLC필름(75)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PDLC필름(75)의 상태에 따라서 고내를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DLC필름(75)의 일측에는 PDLC 피시비(751)가 구비되어 상기 PLDC필름(7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듈 프레임(77)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프레임(77)은 상기 전면 유리(71)와 디스플레이(74) 및 후면 유리(76)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조립된 완료된 상태에서 서브 도어(5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74)가 화면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PDLC필름(75)이 투명하게 된 상태에서는 상기 투시부(21)가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될 경우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을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74)가 화면 출력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PDLC필름(75)이 불투명하게 되며,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한 소등되어 상기 투시부(21)가 불투명하게 되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 공간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디스플레이(74)가 구동되어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되고, 상기 PDLC필름(75)이 투명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74)를 밝히는 백라이트 기능을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74)가 보다 선명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발열 부재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아웃 플레이트(51)에 플레이트 개구(511)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차폐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은 투시부(21)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과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도어 라이트(57)의 조합에 따라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상기 고내 공간 즉,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투시하거나 화면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62)가 동작되는 상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도어 라이트(57)가 동작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가 가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 나아가 상기 투시부(21)의 둘레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도어 라이트(57)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투시부(21)의 둘레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전면에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상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열부재(5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재(517)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배면과 접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열부재(517)의 발열에 의해 결로가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전면을 가열하여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517)는 와이어 타입의 열선 또는 필름 타입의 필름 히터 등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517)는 결로의 방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온/오프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도어 라이트(57)가 동작되는 동안에는 오프되고, 디스플레이(62)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도어 라이트(57)가 동작되지 않지 않는 동안에는 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피시비의 장착 구조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아웃 플레이트(51)에 플레이트 개구(511)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차폐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은 투시부(21)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과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도어 라이트(57)의 조합에 따라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상기 고내 공간 즉,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투시하거나 화면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 상측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피시비 수용부(5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수용부(50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56)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피시비(60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시비 수용부(505)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별도로 조립되는 사출물 또는 이미 성형된 단열부재(5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수용부(50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수용부(505)와 대응하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영역에는 상기 피시비(60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방열구(54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시비(60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터치 센서(612)와 디스플레이(62),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모듈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601')는 상기 도어 라이트(57) 및/또는 발열부재(517)의 제어도 함께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601')는 하나 이상의 구성을 제어하는 하나의 피시비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하나 이상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601')에는 피시비 커넥터(60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커넥터(603)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연결된 어셈블리 커넥터(604)와 조립 과정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조립 과정 중에 상기 피시비 수용부(505)의 내측에 상기 어셈블리 커넥터(604)가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601')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어셈블리 커넥터(604)와 상기 피시비 커넥터(60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601')를 장착 완료한 후에는 상기 어퍼 캡데코(54)를 장착하여 상기 서브 도어(50)를 조립할 수 있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단열부재와 보강부재의 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 및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배치되는 공간의 좌우 측방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공간의 내부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부재(5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단열부재(534)의 조립 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단열부재(534)의 장착 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조립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와 상기 단열부재(534)의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와 상기 단열부재(534)의 사이에는 보강부재(53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535)에 의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상기 단열부재(534)의 사이에는 틈새가 메워 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535)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접하는 부분에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제 1 보강부재(535a)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보강부재(535a)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가압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동이나 충격 발생시에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보강부재(535a)와 상기 단열부재(534)의 사이에는 제 2 보강부재(535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보강부재(535b)는 접착제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보강부재(535a)와 상기 단열부재(534)가 서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주입 가능한 단열소재로 형성되어 추가적인 단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강부재(535)는 단일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보강부재(535a) 또는 제 2 보강부재(535b)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535)에 의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외측의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 영역이 채워 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내부의 공간을 채워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및 도어 라이너(56)에 밀착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535)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및 도어 라이너(56)에 접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및 도어 라이너(56)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 및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그 구조가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프론트 패널(60')의 크기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통해서 전방에서 삽입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에는 보강부재(5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536)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외측면과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이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536)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와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가 커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536)는 고무, 레진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536)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 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면에 도포된 상태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내측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안착되는 안착부(56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69)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 둘레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라이너 개구(56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569)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부(569)의 전면에는 실링부재 또는 접착제(569a)가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이 상기 안착부(569)에 접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투시부의 배치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부와 하부에 냉장실(12)과 냉동실(1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에는 냉장실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13)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모두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모두 좌우 양측에 한쌍의 도어가 배치되어 상기 냉장실(12) 또는 냉동실(13)을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의 냉장실 도어(20)는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개구부(41)와 수납 케이스(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에 의해 상기 개구부(41)가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는 투시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장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도어 라이트(57)의 조합에 의해 상기 투시부(21)는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도 있고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좌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도 투시부(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가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거나 화면의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는 위치만 다를 뿐 상기 투시부(2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공간을 밝힐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좌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한 상기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의 구성을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를 선택적으로 가시화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모두 내부의 식품의 저장상태를 상기 투시부(21,21')를 통해 선택적으로 보일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21')를 통해 화면의 출력이 가능할 수도 있다.

Claims (20)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단에 함몰된 힌지 장착부;
    상기 힌지 장착부에 형성된 힌지 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
    상기 힌지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 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힌지축;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힌지가 배치되는 힌지 커버; 및
    상기 도어에서 상기 캐비닛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힌지 커버 일측에서 상기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개구되며, 상기 전선이 출입되는 연결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외측으로 나온 전선은 상기 연결부 홀을 통과하여 힌지 커버 내측으로 안내되고, 상기 힌지 커버의 내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으로 안내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힌지 전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상기 힌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힌지 커버의 내측에서 상기 힌지 상방을 지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캐비닛 상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힌지 커버의 일부는 상기 힌지 장착부로 연장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힌지축과 동일 연장선 상에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홀은 상기 연결부 상면에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홀은 상기 힌지축과 마주보는 상방에 형성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착부에는 상기 힌지 커버를 통과한 전선을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전선홀이 형성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홀은 상기 연결부 홀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홀은 상기 어퍼 캡데코에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착부는 상기 어퍼 캡데코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홀은 상기 힌지 장착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홀은 상기 도어 라이너에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착부와 힌지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힌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은 상기 힌지 커버와 상기 서브 힌지 커버를 차례로 통과하여 안내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힌지 커버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힌지 장착부와 힌지 커버의 사이 공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힌지 커버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하는 상방에 서브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연결부는 하면이 개구되어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과 연결부 및 서브 연결부는 동심을 가지며, 상하 배치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메인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상기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들을 연결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들은 피시비, 히터, 라이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다수개 구비되며,
    일부 전선은 상기 메인 힌지 커버와 상기 힌지축을 통과하여 상기 도어 내부로 안내되는 냉장고.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수축튜브에 의해 보호되는 냉장고.
KR1020240042810A 2016-08-29 2024-03-28 냉장고 KR20240046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2810A KR20240046698A (ko) 2016-08-29 2024-03-2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370A KR20180024352A (ko) 2016-08-29 2016-08-29 냉장고
KR1020240042810A KR20240046698A (ko) 2016-08-29 2024-03-28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370A Division KR20180024352A (ko) 2016-08-29 2016-08-2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698A true KR20240046698A (ko) 2024-04-09

Family

ID=613009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370A KR20180024352A (ko) 2016-08-29 2016-08-29 냉장고
KR1020240042810A KR20240046698A (ko) 2016-08-29 2024-03-28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370A KR20180024352A (ko) 2016-08-29 2016-08-29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1674742B2 (ko)
EP (2) EP3505853B1 (ko)
KR (2) KR20180024352A (ko)
CN (1) CN109564053B (ko)
AU (1) AU2017319922B2 (ko)
WO (1) WO2018043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352A (ko)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45097B1 (ko) 2016-11-29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73092B1 (ko) * 2016-12-12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00491B2 (en) * 2017-03-14 2019-09-03 Whirlpool Corporation Hinge cover with door stop
KR102412060B1 (ko) * 2017-04-26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MX2020007622A (es) 2018-01-17 2020-09-14 Anthony Inc Puerta para el montaje de un dispositivo visualizador electronico removible.
KR20190135396A (ko) * 2018-05-28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575715A1 (en) 2018-05-28 2019-12-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052648B1 (ko) * 2018-06-01 2019-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28159B1 (ko) * 2018-06-0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71659B1 (ko) * 2018-06-01 202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57878B1 (ko) * 2018-06-01 2020-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882754A4 (en) 2019-01-03 2022-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664640B (zh) * 2019-03-05 2022-11-11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包括覆盖件的门装置的家用制冷器具
US10514722B1 (en) 2019-03-29 2019-12-24 Anthony, Inc. Door for mounting a removable electronic display
JP7349667B2 (ja) * 2019-04-02 2023-09-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家具
CN110080661B (zh) * 2019-04-30 2020-11-2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电器
CN110057162B (zh) * 2019-05-28 2024-01-3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显示导光结构
KR102319283B1 (ko) * 2019-07-05 2021-11-01 주식회사 인투시 냉장고용 투시도어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US20210207424A1 (en) * 2020-01-02 2021-07-08 Lg Electronics Inc. Smart entryway
EP4113041A4 (en) * 2020-02-26 2024-04-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10125376A (ko) *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1627368A (zh) * 2020-04-15 2020-09-04 硅谷数模(苏州)半导体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和电子设备
KR20210156153A (ko) * 2020-06-17 2021-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56172A (ko) * 2020-06-17 2021-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936799A1 (en) * 2020-07-06 2022-01-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402524B1 (ko) * 2020-09-22 2022-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2133216A (zh) * 2020-09-22 2020-12-25 孙景玉 一种具有隔热保温功能透明液晶显示设备
KR20220085385A (ko) 2020-12-15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101524A (ko) 2021-01-11 202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5749490A (zh) * 2021-01-20 2023-03-07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
US11598574B2 (en) * 2021-03-19 2023-03-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door including a wireless module
EP4123247A1 (en) * 2021-07-21 2023-01-25 LG Electronics Inc. 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same
RU210413U1 (ru) * 2021-12-21 2022-04-14 Вячеслав Владимирович Вяткин Дверь для камеры налива воды в тару покупателя воды
US20230213268A1 (en) * 2022-01-04 2023-07-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KR20230161749A (ko) * 2022-05-19 202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40002821A (ko) * 2022-06-30 2024-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542A (ja) * 2002-06-21 2004-01-29 Miranda Kk 冷蔵庫
JP2004061734A (ja) * 2002-07-26 2004-02-26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US20060260341A1 (en) * 2005-05-19 2006-11-23 Dan Meyvis Refrigerator with integrated air cleaner
TWI578992B (zh) 2009-04-30 2017-04-21 諾克森製藥股份有限公司 與鐵調節激素(hepcidin)結合之核酸類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KR101843337B1 (ko) 2010-10-28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9052536B2 (en) * 2011-05-10 2015-06-09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WO2013134304A1 (en) * 2012-03-06 2013-09-12 Planar Systems, Inc. Transparent electroni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refrigerated merchandisers and the like
JP6121802B2 (ja) * 2012-10-12 2017-04-2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EP2813884A1 (en) * 2013-02-21 2014-12-17 Onyx Display Media (Pty) Ltd.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a transparent base structure
KR101954749B1 (ko) * 2014-04-01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5545A (ko)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84020A (ko) * 2015-0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유닛
KR20180024352A (ko)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58387A1 (en) 2023-08-17
WO2018043933A1 (ko) 2018-03-08
EP4270881A2 (en) 2023-11-01
US20240191937A1 (en) 2024-06-13
EP3505853A4 (en) 2020-04-01
US11674742B2 (en) 2023-06-13
AU2017319922A1 (en) 2019-01-24
AU2017319922B2 (en) 2020-06-04
KR20180024352A (ko) 2018-03-08
EP4270881A3 (en) 2024-01-03
EP3505853B1 (en) 2023-10-25
EP3505853A1 (en) 2019-07-03
US20240035734A1 (en) 2024-02-01
US20190257571A1 (en) 2019-08-22
US12007161B2 (en) 2024-06-11
CN109564053B (zh) 2021-11-26
CN109564053A (zh)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46698A (ko) 냉장고
US10883305B2 (en) Refrigerator
KR20240053567A (ko) 냉장고
US20230013230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20230014764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102596929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20230160568A1 (en) Home appliance
AU2022205217B2 (en) Panel assembly for a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therewith
KR20230011153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11148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41479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11150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173566A (ko) 냉장고
KR20230011147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92118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CN115615096A (zh) 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