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5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59B1
KR102071659B1 KR1020180063707A KR20180063707A KR102071659B1 KR 102071659 B1 KR102071659 B1 KR 102071659B1 KR 1020180063707 A KR1020180063707 A KR 1020180063707A KR 20180063707 A KR20180063707 A KR 20180063707A KR 102071659 B1 KR102071659 B1 KR 102071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densation
panel
opening
re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478A (ko
Inventor
이성훈
김동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59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구비한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와 함께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별도의 수납공간이 제공되며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만을 개방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형태의 냉장고들도 볼 수 있다.
또한,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의 전면 일부에 투시창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나 보조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들 역시 선보이고 있다.
이 경우, 도어와 보조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고내의 조명은 꺼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투시창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하기 위해 도어에는 별도의 도어 조명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어 또는 보조 도어가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된 경우 외부와 투시창의 온도차에 의해 투시창에 결로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덥거나 습한 공간에서 더욱 심화되어 나타나게 된다.
투시창에 생성된 결로는 빛을 굴절시켜 고내 또는 도어 바스켓에 저장된 식품의 형상을 왜곡시키거나 흐리게 하여, 사용자가 투시창을 통해 고내 또는 도어 바스켓 내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기술들에서는 투시창의 전후방 표면이 아닌 외곽 테두리에 구비된 히터를 이용해 투시창을 가열시켜 결로가 증발시켰으나, 투시창의 표면 중심부까지 열전달이 어려워 결로 제거가 더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선행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435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351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1922호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패널 어셈블리에 발생되는 결로에 의해 도어 바스켓 또는 저장공간 내부에 거치된 식품의 형상이 흐리거나 굴절되어 투시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패널 어셈블리의 표면을 직접 가열하여 결로를 빠르게 제거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 패널 표면을 직접 가열하여 결로를 빠르게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패널 어셈블리 표면에 결로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발열부의 작동을 최적 제어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고 저장공간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구비한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패널의 표면을 빠르게 가열시켜 사용자의 시선이 집중되는 중앙부의 결로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후면패널의 일면에 구비된 투명 전도체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층; 및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에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을 신속하게 가열함은 물론 전류량을 조절하여 발열 정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은 상기 후면패널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의 일단과 접하는 후면 제1단자; 및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의 타단과 접하는 후면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후면 제1단자는 상기 후면패널 일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후면 제2단자는 상기 제1단자가 배치된 상기 일면의 가장자리의 반대편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을 방해하지 않는 동시에 후면패널 전체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후면 제1단자와 상기 후면 제2단자 각각은 상기 후면패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된 전극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패널 전체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에 배선된 다수 개의 열선; 및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열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을 신속하게 가열함은 물론 전류량을 조절하여 발열 정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열선과 버스바는 상기 후면패널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열선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후면패널의 중앙부를 지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면패널의 중앙부에 맺힌 결로를 보다 빠르게 제거할 수 있어 시야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열선은 상기 후면패널의 높이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다수 개의 열선과 접하도록 상기 후면패널 내측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도어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바스켓은 제1도어 바스켓;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하부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열선은 상기 제1도어 바스켓 및 상기 제2도어 바스켓의 전방면 상하 모서리의 높이에 인접한 높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선이 상기 개구부 내측을 가리지 않아 상기 개구부의 투시가 용이해지고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열선 터미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메인 도어와 상기 서브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폐되면, 소정 시간동안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이 구비된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패널을 히팅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와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 단계; 및 상기 발열부를 작동시키는 결로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결로제거가 필요한 시점에만 선택적으로 발열부를 작동시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저장공간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 단계는 상기 도어개폐감지 단계에서 상기 메인 도어와 상기 서브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린 후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 단계는 기 설정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복잡한 제어로직 필요없이 빠르게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외부온도와 내부온도, 외부습도 및 도어개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로제거 단계는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발열부를 작동시켜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 결정 단계는 외부온도와 내부온도, 외부습도 및 도어개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 단계;와 미리 저장된 기준값들 중 상기 확인된 데이터에 매칭되는 기준값을 확인하고, 상기 매칭된 기준값에 따른 기준 작동시간에 따라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을 결정하는 작동시간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작동시간 결정 단계는 외부습도가 소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패널에 결로가 극소량이 맺힌 경우, 발열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자연건조되도록 하여 전력소비와 저장공간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후면유리 내측에 잔류하는 결로의 잔류값을 감지하는 결로 잔류값 감지 단계; 및 상기 결로 잔류값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쟌류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열부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발열부 작동여부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 단계는 상기 후면유리 내측에 잔류하는 결로의 잔류값을 감지하는 잔여 결로 잔류값 감지 단계; 및 상기 잔여 결로 잔류값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쟌류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열부 작동정지여부를 결정하는 발열부 작동정지여부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서브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부;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구비한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에 의해서,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서브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린 후 닫힌 것이 감지되면, 상기 발열부가 온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발열부가 오프된다.
본 발명은 패널 어셈블리에 발생되는 결로에 의해 도어 바스켓 또는 저장공간 내부에 거치된 식품의 형상이 흐리거나 굴절되어 투시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널 어셈블리의 표면을 직접 가열하여 결로를 빠르게 제거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 패널 표면을 직접 가열하여 결로를 빠르게 제거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널 어셈블리 표면에 결로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열부의 작동을 최적 제어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고 저장공간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 전후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어 라이팅 유닛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발열부의 일실시예 따른,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면도로,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 및 후면 제1ㆍ2단자가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발열부의 다른 실시로, 후면패널에 열선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은 후면패널에 열선 및 버스바가 구비된 후면도이다.
도11은 후면패널에 열선이 구비된 실시예에 관한 세부 실시예로, 열선이 도어 바스켓 엣지의 높이에 인접한 높이로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3는 발열부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로, 발열부가 기 설정 시간 동안 작동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4는 발열부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로, 상기 발열부의 작동시간이 외부온도와 내부온도, 외부습도 및 도어개방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5는 발열부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로, 상기 발열부의 작동시간이 결로 잔류값에 따라 결정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각기 다른 패널 표면 상태에 따라, 결로에 의한 전류값 변화를 표시한 것이다.
도 17은 후면패널에 구비된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 표면에 결로가 맺힌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후면패널에 구비된 열선 표면에 결로가 맺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후면패널 표면에 결로가 맺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전면패널 표면에서 테두리에 인접한 부분에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에 결로가 맺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전면패널 표면에서 테두리에 인접한 부분에 열선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열선 표면에 결로가 맺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전면패널 표면에서 테두리에 인접한 부분에 결로가 맺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는 결로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전류 변화량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발열부를 구동시키는 제어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4는 결로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전류 변화량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발열부를 구동시키는 제어흐름을 나타낸 순서도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전류값 변화량을 측정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3)와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3)와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매사이클과 상기 냉매사이클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저장공간 내부로 안내하는 냉기공급덕트(123, 도 7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사이클은 압축기(CP), 응축기(CD), 증발기(E) 및 밸브(V)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기(CP)가 구동되면 냉매가 상기 냉매 사이클을 순환하게 되고, 상기 저장공간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E)를 지나면서 냉각되어 메인팬(F)에 의해 상기 덕트를 통해 다시 상기 저장공간 내부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1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03)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스켓(43)은 제1도어 바스켓(431)만 포함하여도 무방하나, 수납공간 확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43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의 하측에 위치한 제3도어 바스켓(435)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403)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씨스루 도어(Seethrough door)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에는 핸들(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은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서로 인접한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핸들(23)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조작 버튼(231)에 의해 동작되는 록킹유닛(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유닛(232)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구속부재(404)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수납 케이스(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1)는 상기 메인 도어(40) 배면의 수납 공간을 정의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43)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납 케이스(41)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수납 케이스(41)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상기 개구부(403)가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수납 케이스(41) 내부의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케이스(41)의 배면에는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 도어(4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도어(42)를 개방하여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 도어(42)에는 고내의 냉기가 상기 수납 케이스(41) 내측으로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개구(432)와 도어 개구(4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 케이스(41) 내부의 온도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힌지(401)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11)은 일측이 개구된 단면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면 구조는 보다 확장된 상기 힌지축(511) 내부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전장부품(도어 라이팅 유닛)과 연결된 전선들은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11)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캐비닛(10) 메인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퍼 힌지(401)와 서브 어퍼 힌지(51)는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3)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3)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를 통해 외부로 안내되는 전선이 상기 서브 힌지 커버(53)를 지나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을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에는 상기 서브 도어(50) 측의 전장 부품을 컨트롤하기 위한 별도의 피시비가 수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로어 힌지(40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 로어 힌지(52)가 장착된다.
도 5는 도어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 전후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비추는 도어 라이팅 유닛(L)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확인하려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On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의 도어 바스켓(43) 확인 의지를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일례로 사용자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노크하는 행위를 감지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크 감지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확인 의지가 감지될 수 있다.
평소에는 도 5의 좌측 상태와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유지되다가, 냉장고가 사용자의 도어 바스켓(43) 확인 의지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On되면서 도 5의 우측 상태와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이 밝아지게 되면,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도어 바스켓(43) 내부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게 된다.
점등된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점등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고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온 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거나 특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오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 라이팅 유닛(L)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상부 라이팅 유닛(4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메인 도어(40)와 상기 서브 도어(50) 사이의 상측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장착되는 도어 바스켓(43)을 밝힐 수 있다.
상기 상부 라이팅 유닛(49)은 다수의 엘이디가 배치된 램프 피시비(492)와, 상기 램프 피시비(492)에 장착되는 램프 케이스(491) 및,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개구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4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피시비(492)에서 조사되는 빛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면(4913)을 통해 반사되어, 상기 램프 커버(493)를 거쳐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면(4913)과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램프 피시비(492)가 장착되는 램프 피시비 장착부(4914)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 피시비 장착부(4914)의 일측에는 상기 램프 피시비(492)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출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계속해서 참조하여,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패널(541)과 상기 전면패널(541)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와 대면하는 후면패널(5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541)과 후면패널(542) 사이에는 단열을 위해 중간패널(544)이 추가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541)과 상기 중간패널(544)은 단열을 위해 상기 간봉(543)을 통해 전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패널(544)과 상기 후면패널(422)도 마찬가지로 간봉(543)을 통해 전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패널(544)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면패널(541)과 상기 후면패널(422)이 간봉(543)을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면패널(541), 상기 중간패널(544) 및 상기 후면패널(422)은 외부에서 투시가 가능한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전면패널(541)은 빛의 투과율 및 반사율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시될 수 있는 하프미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냉장고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지면 상기 도어 바스켓(43)과 그 주변부가 밝아지게 되고, 빛이 상기 후면패널(542), 중간패널(544) 및 전면패널(541)을 차례로 투과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보다 명확하게 상기 도어 바스켓(43) 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되면, 차가운 고내 공기와 접촉하고 있던 상기 후면패널(542)에 후면에 결로가 생성되어, 고내 또는 도어 바스켓(43)에 저장된 식품을 외부에서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8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된 상기 냉장실 도어의 상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상기 발열부(90)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발열부(90)는 투명 전도체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층(91)과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에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전도체 산화물(TCO)과 유리가 결합된 구조는 'Heated Glass'로 불려질 수 있으며, 투명 전도체 산화물(TCO)이 코팅된 유리 표면에 전류를 흘려보내게 되면 투명 전도체 산화물(TCO)이 저항으로 인해 발열되어 유리 표면이 가열된다.
투명 전도체 산화물(TCO)에는 산화아연(zinc oxide), 산화인듐주석 (Indium Tin oxide) 및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fluorine tin oxid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진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면에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91)을 구비시키고,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91)의 양단부에 후면 제1단자(921) 및 후면 제2단자(922)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을 가열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91)은 상기 후면패널(542)에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와 마주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 내부를 투시하기 위해 사용자의 시선이 가장 많이 닿는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을 빠르게 가열하여 결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91)이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에서 직접 발열하게 되므로, 결로의 온도를 빠르게 올려 증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면 제1단자(921)는 상기 후면패널(542) 후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후면 제2단자(922)는 상기 후면 제1단자(921)가 배치된 가장자리의 반대편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면 제1단자(921) 및 후면 제2단자(922)는 상기 후면패널의 높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전극봉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패널(542) 후면에 고정되되 각각이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91)의 좌우 단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91)의 상하부 전체에 고르게 전류를 흘려, 상기 후면패널(542)의 전체 표면이 균형있게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면 제1단자(921) 및 후면 제2단자(922) 각각은 양극 또는 음극으로 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가 양극인 경우 나머지 하나가 음극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발열부(90)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결합된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발열부(90)는 소정치 이상의 저항을 가진 금속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면에 배선된 다수 개의 열선(9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열선(95)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후면패널(542)의 중앙부를 지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에서 상기 다수 개의 열선(95)이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이 가장 많이 닿는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을 빠르게 가열하여 결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수개의 열선(95)은 상기 후면패널(542)의 높이 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열부(9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면 외곽에는 상기 다수개의 열선(9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9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96)는 전도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열선(95)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열선(95)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버스바(96)를 통해 상기 다수개의 열선(95)에 전류가 공급되게 되면, 상기 다수개의 열선(95)의 자체 저항에 의해 발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면패널(542)에 맺힌 결로가 빠르게 가열되어 증발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를 투시할 때 상기 다수개의 열선(95)에 의해 시야가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개구부(403) 내부를 명확하게 투시하고,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다수개의 열선(95)에 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열선(95)은 각각의 도어 바스켓(43)의 엣지 높이에 인접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 및 상기 제3도어 바스켓(435)의 전방면 상측 모서리와 하측 모서리에 대응되는 높이에 상기 다수개의 열선(95)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야를 방해받지 않고 상기 도어 바스켓(43) 내부와 상측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나아가, 평균적인 키를 가진 성인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 앞에 서면,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과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 사이에 시선이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의 모서리 높이에 인접한 높이를 가진 열선(95)은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의 모서리 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래에서 위로 보는 시선각을 고려하여,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의 상측 모서리에 가까운 열선(95)은 하측 모서리에 가까운 열선(95)보다 모서리 높이 대비 더 낮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위에서 아래로 보는 시선각을 고려하여,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 및 제3도어 바스켓(435) 모서리 높이에 인접한 높이를 가진 열선(95)은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 및 제3도어 바스켓(435)의 모서리 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 차이가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 냉장고(1)는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2)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냉매사이클(C)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도어개폐 감지부(미도시)와 상기 발열부(90)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발열부(90)를 온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결로감지부(80)와 연결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 결로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열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제어방법에 관한 모든 실시예는 상술한 발열부(90)에 관한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3은 발열부(90)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로, 상기 발열부(90)가 기 설정 시간 동안 작동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를 통해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의 개폐를 감지하는 단계(S20)가 수행되게 된다.
이후, 상기 도어 개폐감지 단계(S20)에서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린 후 닫힌 것으로 판단(S201)되면, 상기 발열부(90)가 On되어 상기 후면패널(542)에 맺힌 결로를 제거하는 결로제거 단계(S23)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결로제거(S23) 단계가 수행된지 기 설정된 시간(T1)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S231)되면, 상기 발열부(90)는 off(S25)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시간(T1)은 상기 냉장고(1)의 외부 온도가 일반적인 환경에서 가장 높은 수준(34℃ 이상)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대 습도가 일정 수준(95% 이상)이고, 상기 저장공간 내부 온도가 냉장실 최저온도(약 0℃)로 유지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외부의 환경이 고온다습하고 상기 저장공간 내부 온도가 낮을수록 결로가 많이 맺히기 때문에, 최대 결로량 생성조건을 기준으로 결로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발열부(90) 작동시간(T1)을 설정하게 된다.
본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복잡한 제어로직이 필요없이 결로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는 상기 발열부(90)의 작동시간이 외부온도와 내부온도, 외부습도 및 도어개방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감지 단계(S30)에서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린 후 닫힌 것으로 판단(S301)되면, 발열부(90) 작동 조건에 관한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T2)을 결정하는 단계(S33)가 수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90) 작동 조건에 관한 데이터는 외부온도와 내부온도, 외부습도 및 도어개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고(1)의 내부 및 외부 조건을 확인한 후, 확인된 조건에 따라 상기 발열부(90)의 작동 시간(T2)을 결정하게 된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주변 환경에 따라 발열부(90) 작동 시간을 적절히 제어하게 되므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저장공간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 결정 단계(S33)는 데이터 확인 단계(S33)와 작동시간 결정 단계(S3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확인 단계(S33)에서는 각종 센서를 이용해 외부온도와 내부온도, 외부습도 및 도어개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상기 작동시간 결정 단계(S331)에서는 미리 저장된 기준값들 중 데이터 확인 단계(S33)에서 확인된 데이터에 매칭되는 기준값을 확인하고, 상기 매칭된 기준값에 따른 기준 작동시간에 따라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을 결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1)에는 각기 다른 조건에 따른 발열부(90) 작동시간이 가상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센싱된 내외부 조건에 매칭되는 시간(T2) 동안 상기 발열부(90)를 작동(S35)시키게 된다.
이후 T2가 경과하면, 마찬가지로 상기 발열부(90)가 Off되는 단계(S37)를 거치게 된다.
도 15는 상기 발열부(90)의 작동시간이 결로 잔류값에 따라 결정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감지 단계(S40)에서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린 후 닫힌 것으로 판단(S401)되면, 상기 발열부(90)를 통해 감지된 결로 잔류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열부(90)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발열부 작동여부 결정 단계(S43)를 수행하게 된다.
이후, 결로 잔류값이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S431)되면, 상기 발열부(90)를 On(S45)하게 된다.
상기 발열부(90)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결로감지부(80)를 통해 결로의 잔존 여부가 판단되는 잔여 잔류값 감지 단계(S47)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잔여 잔류값 감지 단계(S47)에서 감지된 잔류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열부 작동정지여부를 결정하는 발열부 작동정지여부 결정 단계(S471)가 수행되게 된다.
이후, 감지된 결로 잔류값이 기준값 이하로 내려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열부(90)를 Off시키는 발열부 작동정지 단계(S49)가 수행되고, 여전히 결로 잔류값이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계속해서 상기 발열부 작동 단계(S45)가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결로 잔류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90)의 작동을 제어한다는 측면에서, 상기 발열부(90)의 작동시간을 최적시간으로 제어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결로 잔류값을 감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상기 후면패널(542) 표면에 발생한 결로로 인한 유리 표면의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로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의 일부를 촬영하고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결로 생성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결로 잔류값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상기 후면패널(542)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자 사이에 일정 전위차를 두고, 결로의 생성 및 감소에 따른 전류값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을 일례로 설명한다.
도 16은 각기 다른 패널 표면 상태에 따라, 결로가 맺힌 경우의 전류값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6의 (A)를 살펴보면, 패널 표면에 투명 전도체 산화물(TCO)층이 구비된 것으로, 투명 전도체 산화물(TCO)층 표면에 결로가 없는 경우(Condensation X) 초기 전류값(I1)은 α가 될 수 있다.
이후, 투명 전도체 산화물(TCO)층 표면에 결로가 맺히게 되면(Condensation O), 결로로 인해 저항값이 변화되면서 나중 전류값(I2)이 β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전류 변화량(△I)은 β-α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상기 결로감지부(80)는 결로에 따른 전류 변화량(△I)을 측정하여, 결로 생성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16의 (B)를 설명하면, 패널 표면에 열선(Heating Wire)이 구비된 것으로, 결로에 따른 전류 변화량(△I)은 δ-γ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상기 결로감지부(80)가 결로 생성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6의 (C)를 참조하면, 패널 표면에 전류를 전도할 수 있는 별도의 층이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패널은 절연체인 유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표면에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는 이상 전류를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패널의 표면에 다수의 결로가 생성되게 되고, 상기 다수의 결로간 간격이 소정거리 이하면, 상기 다수의 결로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다수의 결로를 통해 전자가 전달될 수 있는 결로들 간 최소 간격은 최소절연거리(D)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표면에 소정량 이상의 결로가 맺히게 되면, 상기 결로감지부(80)는 변화된 전류값(ε)을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결로 생성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이하에서는 각기 다른 패널 표면상태에 따른 적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7을 보면,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면에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TCO)층(92)이 구비된 것으로, 투명 전도체 산화물(TCO)층(92) 표면에 다수의 결로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결로감지부(80)를 추가 장착하지 않아도, 상기 후면 제1단자(921) 및 후면 제2단자(922)가 결로감지부(80)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면 제1단자(921) 및 후면 제2단자(922)를 통해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TCO)층(92) 표면에 전류를 흘리고, 전류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결로 생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도 18을 설명하면,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면에 상기 열선(95)과 버스바(96)가 구비된 것으로, 결로감지를 위해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면 양측에는 상기 열선(95)과 접촉하는 후면 제3단자(821) 및 후면 제4단자(8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제3단자(821) 및 후면 제4단자(822)는 결로감지부(80)로써, 상기 열선(95) 표면에 전류를 흘리고, 전류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결로 생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9를 설명하면,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은 별도의 코팅 처리가 되지 않은 상태이며,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면 양측에 후면 제5단자(825) 및 후면 제6단자(826)가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패널(542)이 절연체인 유리로된 경우라도, 소정량 이상의 결로가 맺히면 전류값이 변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제5단자(825) 및 후면 제6단자(826)는 결로감지부(80)로써, 상기 후면패널(542) 표면에 전류를 흘리고 전류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결로 생성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후면패널(542) 표면에 전류를 전도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선역할을 하는 부재가 없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 둘레에 구비된 히터(59)에 의해 결로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결로 잔류값 감지 방법은 상기 후면패널(542)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패널(541)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패널(542)과 상기 중간패널(544) 및 상기 전면패널(541)은 엣지 부분에 구비된 간봉(543)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구성한다.
또한, 각각의 패널들 사이는 단열을 위해 진공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므로, 패널의 중심부를 통해서는 열전달이 어렵게 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간봉(543)을 통해 상기 전면패널(541)으로 상기 저장공간의 냉기가 전달되게 되어, 상기 전면패널(541)의 전방면에서 상측 모서리와 인접한 부분에는 다수의 결로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생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전면패널(541)의 표면에 결로가 생성되었는지 신속하게 감지하여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 먼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면패널(541)의 전방면에는 전면 제1단자(811) 및 전면 제2단자(81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제1단자(811) 및 전면 제2단자(812)는 상기 전면패널(541)의 전면에서 상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구비된 전면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98)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811) 및 전면 제2단자(812)는 상기 전면패널(541)의 전방면 양측에 구비되되, 결로가 다수 생성되는 상단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결로생성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후, 결로가 생성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1단자(811) 및 전면 제2단자(812)는 상기 전면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98)에 전류를 흘려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면패널(541)의 전방면 양측 모서리 부근에도 열전달에 의한 결로가 다수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상기 전면패널(541)의 전방면에는 양측 모서리의 결로생성여부를 감지하는 전면 제3단자(813) 및 전면 제4단자(8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제3단자(813)는 상기 전면패널(541)의 상측 꼭짓점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제4단자(814)는 상기 전면 제3단자(813)와 마주보되 상기 전면패널(541)의 하측 꼭짓점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도 역시, 상기 전면 제3단자(813) 및 전면 제4단자(814)는 상기 전면패널(541)의 전면에서 측부 모서리에 인접하게 구비된 전면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98)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제3단자(813) 및 전면 제4단자(814)에 의해 결로가 생성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전면 제3단자(813) 및 전면 제4단자(814)는 상기 전면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98)에 전류를 흘려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결로는 상기 전면패널(541)의 양측 모서리에 같은 시기에 발생하므로, 상기 전면 제3단자(813) 및 전면 제4단자(814)는 상기 전면패널(541)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도 21을 참조하여 상기 전면패널(541)의 결로를 감지하여 제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전면패널(541)에는 전면 열선(99)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열선(99)의 양단에는 결로감지부(80)인 상기 전면 제1단자(811) 및 전면 제2단자(8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두 단자는 상기 전면 열선(99)에 전류를 흘려, 전류값 변화량을 측정하고 필요에 따라 결로를 제거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 열선(99)은 상기 전면패널(541)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구비되되, 좌우 상기 전면패널(541)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면패널(541) 전면의 하측 모서리 주변에는 결로 생성이 적은 부분이므로, 상기 전면 열선(99)이 상기 전면패널(541) 전면의 하측 모서리를 따라서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제1단자(811)는 상기 전면 열선(99)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제2단자(812)는 상기 전면 열선(99)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를 설명하면, 상기 전면패널(541)의 표면은 별도의 코팅 처리가 되지 않은 상태이며, 상기 전면패널(541)의 양측에는 상기 전면 제1단자(811) 및 전면 제2단자(812)만이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541)이 절연체인 유리로된 경우라도, 소정량 이상의 결로가 맺히면 전류값이 변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제1단자(811) 및 전면 제2단자(812)는 결로감지부(80)로, 상기 전면패널(541) 표면에 전류를 흘리고 전류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결로 생성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면패널(541) 표면에 전류를 전도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선역할을 하는 부재가 없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 둘레에 구비된 상기 히터(59)에 의해 결로가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상기 도 17 내지 22에 도시된 결로감지부(80)를 이용하여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을 기준 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발열부(90)를 구동시키는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도어 개폐감지 단계(S50)에서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린 후 닫힌 것으로 판단(S501)되면, 전술한 상기 결로감지부(80)를 이용해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변화량(△I) 측정 단계(S53)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류 변화량 측정 단계(S53)에서 측정된 변화량(△I)이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열부(90)가 On(S55)되어 결로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발열부(90)가 작동되는 중에는 상기 결로감지부(80)를 통해 다시 전류 변화량이 측정되는 전류 변화량(△I) 재측정 단계(S57)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류값 재측정 단계(S57)에서 측정된 전류 변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열부(90)가 Off(S59)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류 변화량 재측정 단계(S57)에서 측정된 전류 변화량이 여전히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로제거부(70)는 On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기준값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 표면에 결로가 없거나 미소하게만 생성된 때의 전류값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자로 구성된 간이한 장치만으로 결로를 감지하여 결로감지부(80)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도어개폐감지단계 없이 결로 생성여부를 판단하여 결로를 제거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전류 변화량(△I) 측정단계(S63) 이전에 마지막 전류 변화량 측정후 소정시간(T1)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가 추가된 제어flow로, 별도의 도어개폐감지단계가 필요없이 결로 감지 및 제거가 가능하다.
이는, 주기적으로 전류값을 감지하므로 도어 개폐시 생성된 결로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저장공간에 유입된 뜨거운 식품에 등에 의한 온도 변화로 인해 생성되는 결로 역시 감지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술한 모든 실시예는 하나의 냉장실만이 구비된 원도어 형태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모든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과 다른 새로운 효과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캐비닛 10 냉장실 도어 20
메인 도어 40 서브 도어 50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 91 후면 제1단자 921
후면 제2단자 922 열선 95
버스바 96 후면 제3단자 821
후면 제4단자 822 후면 제5단자 825
후면 제6단자 826

Claims (20)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서브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부;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구비한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에 의해서,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서브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린 후 닫힌 것이 감지되면, 상기 발열부가 온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발열부가 오프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후면패널의 일면에 구비된 투명 전도체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층; 및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에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은 상기 후면패널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의 일단과 접하는 후면 제1단자; 및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 층의 타단과 접하는 후면 제2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제1단자는 상기 후면패널 일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후면 제2단자는 상기 후면 제1단자가 배치된 상기 일면의 가장자리의 반대편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제1단자와 상기 후면 제2단자 각각은 상기 후면패널의 높이 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된 전극봉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에 배선된 다수 개의 열선; 및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열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열선과 버스바는
    상기 후면패널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열선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후면패널의 중앙부를 지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열선은 상기 후면패널의 높이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다수 개의 열선과 접하도록 상기 후면패널 내측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도어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바스켓은
    상기 도어 바스켓은 제1도어 바스켓;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하부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열선은
    상기 제1도어 바스켓 및 상기 제2도어 바스켓의 전방면 상하 모서리의 높이에 인접한 높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삭제
  13.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이 구비된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패널을 히팅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와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 단계;
    상기 메인 도어와 상기 서브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린 후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발열부를 작동시키는 결로제거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발열부가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외부온도와 내부온도, 외부습도 및 도어개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로제거 단계는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 결정 단계는
    외부온도와 내부온도, 외부습도 및 도어개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 단계; 및
    미리 저장된 기준값들 중 상기 확인된 데이터에 매칭되는 기준값을 확인하고, 상기 매칭된 기준값에 따른 기준 작동시간에 따라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을 결정하는 작동시간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시간 결정 단계는
    외부습도가 소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발열부 작동시간을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후면유리 내측에 잔류하는 결로의 잔류값을 감지하는 결로 잔류값 감지 단계; 및
    상기 결로 잔류값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쟌류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열부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발열부 작동여부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 단계는
    상기 후면유리 내측에 잔류하는 결로의 잔류값을 감지하는 잔여 결로 잔류값 감지 단계; 및
    상기 잔여 결로 잔류값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쟌류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열부 작동정지여부를 결정하는 발열부 작동정지여부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80063707A 2018-06-01 2018-06-01 냉장고 KR102071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07A KR102071659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07A KR102071659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78A KR20190137478A (ko) 2019-12-11
KR102071659B1 true KR102071659B1 (ko) 2020-03-11

Family

ID=6900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07A KR102071659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298A (ko) * 1995-09-19 1997-04-28 조래승 자동차용 전면 유리 이슬 자동제거 장치
WO2011087235A2 (ko) * 2010-01-12 2011-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18196A (ko) * 2010-04-23 2011-10-31 아르네코리아(주) 개폐도어의 이슬 맺힘이 방지되는 쇼케이스
KR101360786B1 (ko) * 2012-05-25 2014-02-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열 효율 및 발열 균일도가 우수한 투명 면상 발열체의 제조방법
KR20180024352A (ko) *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78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5898B2 (en) Refrigerator having cold air generating compartment and machine room positioned at upper portion of cabinet
US20120000899A1 (en) Heat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O2009113310A1 (ja) 冷蔵庫
KR10245816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20190137271A (ko) 냉장고 및 제어 방법
KR102071659B1 (ko) 냉장고
EP3132214B1 (en) Refrigerator
KR102012462B1 (ko) 냉장고
KR20110139977A (ko) 냉장고
KR100651307B1 (ko) 냉장고
KR102645864B1 (ko) 가전기기 및 냉장고
KR102067743B1 (ko) 냉장고
KR102052648B1 (ko) 냉장고
EP2085725A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57878B1 (ko) 냉장고
KR102328159B1 (ko) 냉장고
KR102167549B1 (ko) 냉장고
KR100614316B1 (ko) 냉장고
KR102187339B1 (ko) 냉장고
KR20200007991A (ko) 냉장고
KR102189357B1 (ko) 냉장고
KR102087685B1 (ko) 냉장고
KR102126864B1 (ko) 냉장고
KR102150066B1 (ko) 냉장고 및 제어 방법
CN110375487A (zh) 具有改进排水管结构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