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565A - 구동 장치,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565A
KR20240046565A KR1020247008577A KR20247008577A KR20240046565A KR 20240046565 A KR20240046565 A KR 20240046565A KR 1020247008577 A KR1020247008577 A KR 1020247008577A KR 20247008577 A KR20247008577 A KR 20247008577A KR 20240046565 A KR20240046565 A KR 20240046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ousing
shield plate
drive devic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야민 하우페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4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1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shielding from electromagnetic fields, i.e. structural association with shields
    • H02K11/014Shields associated with stationary parts, e.g. stator cores
    • H02K11/0141Shields associated with casings, enclosures or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25Detecting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3) 내에 배열된 전기 기계(4)로서, 하우징(3)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9) 상에 전기 기계(4)의 회전자(13)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기계와; 회전자(13)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형성된 센서 유닛(23)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요소를 구비한 회로 기판(24)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23);을 구비한 구동 장치(2)에 관한 것이며, 회로 기판(24)은 환형 디스크형으로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9)의 회전축(10)과 동축으로 배열된다. 회로 기판(24)은 하우징(3) 내에 배열되고, 구동 장치(2)는, 회로 기판(24)을 적어도 영역별로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차폐판(37)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구동 장치,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배열된 전기 기계로서,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 상에 전기 기계의 회전자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기계와; 회전자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형성된 센서 유닛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요소를 구비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구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며, 회로 기판은 환형 디스크형으로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구동 장치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에 관한 것이다.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구동 장치들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전기 기계를 갖는 구동 장치의 경우, 전기 기계는 전형적으로 구동 장치의 하우징 내에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이 경우 전기 기계의 회전자는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 상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배열된다. 구동 샤프트 상에 회전자가 배열됨으로써, 구동 샤프트는 전기 기계를 통해 구동 또는 회전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의 회전을 통하여, 예를 들어 펌프 장치와 같이 구동 샤프트와 상호 작동 연결된 작업 기계가 다시금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요소를 구비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에 의해 회전자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환형 디스크형으로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배열된 회로 기판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회로 기판의 이러한 유형의 형성 또는 배열을 통하여, 구동 장치에 대한 회로 기판의 공간 절약형 통합이 달성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예를 들어 유도형 센서이므로, 이때 센서 요소는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에 의하여, 회로 기판은 하우징 내에 배열되고, 구동 장치는, 회로 기판을 적어도 영역별로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로 기판이 하우징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구동 장치는 특히 컴팩트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하우징 내 배열로 인하여, 회로 기판은 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전기 전도성 라인들에 공간적으로 근접해 있다. 구동 장치의 작동 중에, 이러한 라인들은 정전 용량 효과로 인하여 센서 유닛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센서 유닛은 적어도,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회로 기판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전자 구성 요소들은 정전 용량 효과로 인한 간섭에 특히 취약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폐판을 통해,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 상에 배열 또는 형성된 요소들이 차폐되므로, 정전 용량 효과로 인한 간섭이 적어도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차폐판은 구리 재료로 제조된다. 이를 통해, 회로 기판의 특히 효과적인 차폐가 달성된다. 회로 기판이 하우징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을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차폐판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도 하우징 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회로 기판은 회전자 또는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측정 센서에 대해 축방향으로 대향된다. 이러한 유형의 측정 센서가 존재하는 경우, 센서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측정 센서의 회전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회전자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형성된다.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내에서 "축방향" 및 "반경 방향"이라는 용어들이 사용되는 경우, 다른 참조가 명시적으로 개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용어들은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차폐판은 회로 기판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판은 회로 기판을 반경 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것이 제공된다. 즉, 차폐판의 진행 곡선은 원주 방향으로 폐쇄된다. 이러한 유형의 차폐판 구성을 통해, 회로 기판의 특히 효과적인 차폐가 달성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판이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차폐판의 안정적인 고정과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차폐판은 하우징에 바로 고정된다. 이로부터는, 차폐판과 금속 하우징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이 형성됨으로써, 차폐판이 하우징에 의해 전기 접지 연결부와 연결 가능하다는 장점이 얻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 차폐판은 형태 결합식 연결부를 통해 하우징에 고정된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판은 구동 장치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요소에, 예를 들어 회전자에 또는 구동 샤프트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판은 적어도 하나의 굽힘 탭을 포함하고, 굽힘 탭을 통해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이 제공된다. 굽힘 탭에 의하여, 형태 결합식 연결부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게 형성 가능하다. 이를 위해, 하우징의 하우징 섹션은 예를 들어 개구를 포함하고, 굽힘 탭은 이러한 개구를 통해 안내되고, 차폐판의 형태 결합식 고정을 위하여 하우징 섹션에 후방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굽힘 탭에 의한 고정에 대한 대안으로서, 차폐판은 다른 방법 및 방식으로 하우징에 고정될 수도 있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판은 예를 들어 코킹을 통해 하우징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차폐판은 하우징의 엔드 실드에 고정된다. 엔드 실드는, 구동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하우징의 하우징 커버이다. 전형적으로, 엔드 실드는 구동 샤프트의 장착을 위하여 피벗 베어링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회로 기판은 한편으로는 엔드 실드와 다른 한편으로는 회전자 또는 측정 센서 사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전기 기계는, 특히 다중 위상 모터 권선을 갖는 고정자를 포함하고, 모터 권선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모터 위상 공급 라인을 통해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하고, 차폐판은 반경 방향으로 한편으로는 회로 기판과 다른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 위상 공급 라인 사이에 배열된다. 구동 장치의 작동 중에, 모터 위상 공급 라인에는 전형적으로 높은 전압 구배가 인가되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정전 용량 효과로 인한 센서 유닛의 뚜렷한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반경 방향으로 한편으로는 회로 기판과 다른 한편으로는 모터 위상 공급 라인 사이에 차폐판이 배열되는 것은 회로 기판의 효과적인 차폐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구동 장치는 하우징 고정식으로 배열된 상호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이러한 상호 연결 플레이트는 차폐판을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고, 모터 위상 공급 라인은 상호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동 장치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고, 캐리어 요소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즉, 차폐판은 캐리어 요소의 부품이다. 전형적으로, 회로 기판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캐리어 요소가 어차피 존재한다. 즉, 차폐판을 캐리어 요소에 통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존재하는 구성 요소의 수가 증가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캐리어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본체를 포함하고, 차폐판은 이러한 본체를 통해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차폐판과 다른 한편으로는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도체 트랙들 사이의 전기적 단락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회로 기판은 본체에 고정되므로, 캐리어 요소의 본체는 회로 기판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차폐판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본체를 통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캐리어 요소는 차폐판을 통해 하우징에 고정된다. 차폐판은 기계적 견고성으로 인하여 이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차폐판과 하우징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과 차폐판 사이의 접촉이 어차피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판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섹션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제1 섹션은 회로 기판을 적어도 영역별로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고, 제2 섹션은 회로 기판을 적어도 영역별로 커버하는 것이 제공된다. 즉, 회로 기판은 반경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도, 즉 회로 기판을 적어도 영역별로 커버하는 제2 섹션을 통해 차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는 펌프 장치, 펌프 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 장치, 그리고 구동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압력 생성기는 청구항 제11항의 특징들에 의하여 구동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부터도, 상술한 장점들이 얻어진다. 추가의 바람직한 특징들 및 특징들의 조합이 상기 설명 내용 및 청구항들로부터 얻어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판은 제어 장치의 전기 접지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구동 장치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효과가 차폐판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폐판과 접지 연결부 사이의 전기 연결부는 구동 장치의 하우징과 펌프 장치의 하우징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들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압력 생성기의 구동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구동 장치를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1)의 단순화된 도면을 도시한다. 압력 생성기(1)는 전기 구동 장치(2)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2)는 하우징(3)을 포함하고, 여기서 하우징은 원형 횡단면을 갖는다. 또한, 구동 장치(2)는 전기 기계(4)를 포함한다. 전기 기계(4)는 하우징(3) 내에 배열되므로, 도 1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압력 생성기(1)는 작업 기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펌프를 구비한 펌프 장치(5)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2)의 하우징(3)은 복수의 고정 수단(6)들을 통해 펌프 장치(5)의 하우징(7)에 고정된다. 구동 장치(2)는, 전기 기계(4)에 의해 펌프 장치(5)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펌프를 작동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압력 생성기(1)는 전기 기계(4)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8)를 포함한다. 펌프 장치(5)는 한편으로는 구동 장치(2)와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 장치(8) 사이에 배열된다.
도 2는 구동 장치(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장치(2)는,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3) 내에 장착되는 구동 샤프트(9)를 포함한다. 구동 샤프트(9)는 기어 장치(11)를 통하여 펌프 장치(5)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펌프와 상호 작동 연결된다. 기어 장치(11)와 관련하여, 도 2에는 구동 샤프트(9) 상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배열된 기어 장치(11)의 스퍼 기어(12)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기어 장치(11)는 유성 기어로서 형성된다.
전기 기계(4)는 구동 샤프트(9) 상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배열된 회전자(13) 및 하우징 고정식으로 배열된 고정자(14)를 포함한다. 고정자(14)는,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다중 위상 모터 권선을 포함하고, 이러한 다중 위상 모터 권선은, 회전자(13) 및 이에 따른 구동 샤프트(9)가 모터 권선의 적절한 전류 공급을 통해 회전 가능하거나 구동 가능한 방식으로 회전자(13) 주위에 분산 배열된다.
하우징(3)은, 고정자(14)를 지지하는 폴 포트(15)를 포함한다. 폴 포트(15)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폴 포트(15)는 컵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폴 포트(15)는 베이스(16) 및 슬리브 섹션(17)을 포함한다. 베이스(16)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리브 섹션(17)은 베이스(16)로부터 시작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하우징(3)은 엔드 실드(18)를 포함한다. 엔드 실드(18)는 전기 기계(4)를 커버하고, 이와 관련하여 하우징(3)의 하우징 커버를 형성한다. 엔드 실드(18)는 금속 재료로, 이 경우 딥 드로잉에 의해 제조된다. 엔드 실드(18)는 구동 샤프트(9)의 장착을 위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엔드 실드(18)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형 베어링 섹션(19)을 포함한다. 베어링 섹션(19)과 구동 샤프트(9) 사이에는, 여기서는 롤러 베어링(20)인 피벗 베어링(20)이 배열된다.
또한, 엔드 실드(18)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디스크형 하우징 섹션(21)을 포함한다. 이 경우, 하우징 섹션(21)은 베어링 섹션(19)에 바로 이어진다.
또한, 엔드 실드(18)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형 고정 섹션(22)을 포함한다. 고정 섹션(22)의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해 배향된 재킷면(43)은 폴 포트(15)의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해 배향된 재킷면(45)에 반경 방향으로 접한다. 이 경우, 엔드 실드(18)는, 고정 섹션(22)과 폴 포트(15) 사이에 강제 결합식 연결부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폴 포트(15) 내로 압입된다. 그러나, 엔드 실드(18)는 다른 고정 유형들을 통해, 예를 들어 접착 연결부를 통해, 용접 연결부를 통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을 통해 폴 포트(15)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 장치(2)는, 회전자(13)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센서 유닛(23)을 포함한다. 센서 유닛(23)은 하우징(3) 내에 배열되는 환형 디스크형 회로 기판(24)을 포함한다. 이 경우, 회로 기판(24)은 구동 샤프트(9)의 회전축(10)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므로, 회로 기판(24)은 구동 샤프트(9)를 반경 방향으로 둘러싼다. 이 경우, 회로 기판(24)은 한편으로는 엔드 실드(18)의 하우징 섹션(21)과 다른 한편으로는 회전자(13) 사이에 배열된다. 회로 기판(24)은 회전자(13)를 향하는 제1 단부면(25) 및 하우징 섹션(21)을 향하는 제2 단부면(26)을 포함한다. 제1 단부면(25) 상에는 센서 유닛(23)의 센서 요소가 배열 또는 형성된다. 이 경우, 센서 유닛(23)은 유도형 센서(23)로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센서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코일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코일을 포함하고, 이러한 송신기 코일 및 수신기 코일은 회로 기판(23) 상의 도체 트랙들로서 형성된다. 하우징 섹션(18)을 향하는 회로 기판(24)의 제2 단부면(26) 상에는 센서 유닛(23)의 전자 구성 요소(27)가 배열된다. 이 경우, 전자 구성 요소(27)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이다. 전자 구성 요소(27)는 센서 요소의 센서 신호를 복조 또는 처리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동 장치(2)는, 회전자(13)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회로 기판(24)은 한편으로는 엔드 실드(18)의 하우징 섹션(21)과 다른 한편으로는 측정 센서 사이에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때 센서 유닛(23)은 측정 센서의 회전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회전자(13)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구동 장치(2)는 하우징 고정식으로 배열되는 상호 연결 플레이트(28)를 포함한다. 상호 연결 플레이트(28)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센서 유닛(23)을 반경 방향으로 둘러싼다. 상호 연결 플레이트(28)를 통해서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모터 위상 공급 라인(29, 30 및 31)들이 연장된다. 모터 위상 공급 라인(29, 30 및 31)들은 도 2에 단순화된 형태로만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압력 생성기(1)가 브레이크 시스템 내에 설치되면, 고정자(14)의 모터 권선의 위상들은 모터 위상 공급 라인(29, 30 및 31)들을 통해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구동 배열체(2)는 회로 기판(24)을 엔드 실드(18)에 고정하기 위한 캐리어 요소(32)를 포함한다. 캐리어 요소(32)의 구성은 하기에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캐리어 요소(32)의 영역 내의 구동 장치(2)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캐리어 요소(32)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본체(33)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24)은 예를 들어 스냅 연결부를 통해 본체(33)에 고정된다. 본체(33)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9)의 회전축(10)에 동축으로 배열된다. 본체(33)는 회로 기판(24)을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제1 섹션(34)을 포함한다. 즉, 제1 섹션(34)은 회로 기판(24)의 원주 방향으로 회로 기판(24) 주위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연장된다. 또한, 본체(33)는 제2 섹션(35)을 포함한다. 제2 섹션(35)은 회로 기판(24)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커버한다. 이에 상응하게, 제2 섹션(35)은 한편으로는 회로 기판(24)과 다른 한편으로는 엔드 실드(18)의 하우징 섹션(21) 사이에 배열된다. 제2 섹션(35)의 영역 내에서, 본체(33)는 재료 리세스(36) 또는 공동부(36)를 포함하고, 전자 구성 요소(27)는 재료 리세스(36) 또는 공동부(36) 내에 배열된다.
또한, 캐리어 요소(32)는 차폐판(37)을 포함하고, 이 경우 차폐판은 본체(33)를 통해 연장되고, 본체(33)와 형태 결합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차폐판(37)은 구리 재료로 제조된다. 이 경우, 본체(33)와 차폐판(37)은, 차폐판(37)이 본체(33)를 통해 회로 기판(24)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차폐판(37)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섹션(38)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섹션(38)은 회로 기판(24)을 반경 방향으로 둘러싼다. 이에 상응하게, 제1 섹션(38)은 슬리브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차폐판(38)의 제1 섹션(38)은 반경 방향으로 한편으로는 회로 기판(24)과 다른 한편으로는 상호 연결 플레이트(28) 또는 모터 위상 공급 라인(29, 30 및 31)들 사이에 배열된다.
이 경우, 차폐판(37)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39)을 또한 포함한다. 제2 섹션(39)은 환형 디스크형으로 형성되고, 제1 섹션(38)으로부터 시작하여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해 연장된다. 이 경우, 제2 섹션(39)은 영역별로 회로 기판(24)을 커버하므로, 제2 섹션(39)은 영역별로 회로 기판(24)에 대해 축방향 대향된다.
이 경우, 차폐판(37)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섹션(40)을 또한 포함한다. 제3 섹션(40)은 본체(33)로부터 돌출된다. 제3 섹션(40)의 자유 단부(41)에는 2개의 굽힘 탭(42)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굽힘 탭(42)들은 엔드 실드(18)의 하우징 섹션(21)의 축방향 개구(43)를 통해 안내되고, 하우징 섹션(21)에 후방 결합됨으로써, 캐리어 요소(32)는 형태 결합식 연결부(44)를 통해 엔드 실드(18)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제3 섹션(40)에 추가적으로, 각각 2개의 굽힘 탭(42)들을 구비한 또 다른 제3 섹션(40)들이 더 존재하고, 이러한 제3 섹션(40)들은 차폐판(37)의 원주 방향으로 분산 배열된다. 순전히 예시로서, 하우징 섹션(21)은 6개의 축방향 개구(43)들을 포함하고, 차폐판(37)은 각각 2개의 굽힘 탭(42)들을 갖는 6개의 제3 섹션(40)들을 포함하고, 축방향 개구(43)들 각각을 통해서는 이러한 제3 섹션(40)들 중 각각 다른 제3 섹션의 굽힘 탭(42)들이 안내된다.
구동 장치(2)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생성기(1)의 부품인 경우, 차폐판(37)은 제어 장치(8)의 접지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이러한 전기 연결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엔드 실드(18), 폴 포트(15), 고정 수단(6) 및 펌프 장치(5)의 하우징(7)을 통해 제공된다.
차폐판(37)을 통해, 센서 유닛(23) 및 특히 전자 구성 요소(27)는 모터 위상 공급 라인(29, 30 및 31)들에 대해 차폐된다. 이에 상응하게, 모터 위상 공급 라인(29, 30 및 31)들이 구동 장치(2)의 작동 중의 정전 용량 효과로 인해 센서 유닛(23)의 기능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2)

  1. 하우징(3) 내에 배열된 전기 기계(4)로서, 하우징(3)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9) 상에 전기 기계(4)의 회전자(13)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기계와; 회전자(13)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형성된 센서 유닛(23)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요소를 구비한 회로 기판(24)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23);을 구비한 구동 장치로서, 회로 기판(24)은 환형 디스크형으로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9)의 회전축(10)과 동축으로 배열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회로 기판(24)은 하우징(3) 내에 배열되며, 구동 장치(2)는, 회로 기판(24)을 적어도 영역별로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차폐판(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폐판(37)은 회로 기판(24)을 반경 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폐판(37)은 특히 형태 결합식 연결부를 통해 하우징(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차폐판(37)은 적어도 하나의 굽힘 탭(42)을 포함하고, 굽힘 탭(42)을 통해 하우징(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차폐판(37)은 하우징(3)의 엔드 실드(18)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기계(4)는, 특히 다중 위상 모터 권선을 갖는 고정자(14)를 포함하고, 모터 권선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모터 위상 공급 라인(29, 30, 31)을 통해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하고, 차폐판(37)은 반경 방향으로 한편으로는 회로 기판(24)과 다른 한편으로는 모터 위상 공급 라인(29, 30, 31)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3)는, 하우징(3)에 고정되고 회로 기판(24)을 지지하는 캐리어 요소(32)를 포함하고, 캐리어 요소(32)는 차폐판(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캐리어 요소(32)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본체(33)를 포함하고, 차폐판(37)은 본체(33)를 통해 회로 기판(24)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캐리어 요소(32)는 차폐판(37)을 통해 하우징(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판(37)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섹션(38)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39)을 포함하고, 제1 섹션(38)은 회로 기판(24)을 적어도 영역별로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고, 제2 섹션(39)은 회로 기판(24)을 적어도 영역별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1. 펌프 장치(5), 펌프 장치(5)의 작동을 위한 구동 장치(2), 그리고 구동 장치(2)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8)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장치(2)의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차폐판(37)은 제어 장치(8)의 전기 접지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
KR1020247008577A 2021-08-19 2022-08-08 구동 장치,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 KR202400465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209125.3 2021-08-19
DE102021209125.3A DE102021209125A1 (de) 2021-08-19 2021-08-19 Antriebseinrichtung, Druckerzeuger für eine Bremsanlage
PCT/EP2022/072207 WO2023020868A1 (de) 2021-08-19 2022-08-08 Antriebseinrichtung, druckerzeuger für eine brems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565A true KR20240046565A (ko) 2024-04-09

Family

ID=8318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577A KR20240046565A (ko) 2021-08-19 2022-08-08 구동 장치,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46565A (ko)
CN (1) CN117813751A (ko)
DE (1) DE102021209125A1 (ko)
WO (1) WO2023020868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7581B2 (ja) * 2007-03-01 2012-08-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4457156B2 (ja) * 2008-03-31 2010-04-28 山洋電気株式会社 電磁ブレーキ付きモータ
JP5320380B2 (ja) 2010-12-20 2013-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7036040B2 (ja) * 2017-02-07 2022-03-15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6904803B2 (ja) * 2017-06-23 2021-07-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
DE102018108716A1 (de) * 2018-04-12 2019-10-17 Lenze Drives Gmbh Elektromotor mit integriertem Drehgeber
CN208939772U (zh) 2018-10-25 2019-06-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变压器及具有其的电机
EP3705851A1 (de) * 2019-03-06 2020-09-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für einen drehge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13751A (zh) 2024-04-02
WO2023020868A1 (de) 2023-02-23
DE102021209125A1 (de)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3213B2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EP3249787B1 (en) Drive device
JP4628460B2 (ja)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4774888B2 (ja) モータ
EP3402055B1 (en) Motor, and motor-driven steering apparatus having same
US20050206254A1 (en) Electric motor
CN110050405A (zh) 电机的定子、电机以及用于电机的布线和接触装置
EP1286451B1 (en) Dynamoelectric machine
JP2021073838A (ja) 電気モータおよび電気モータアセンブリ
US11271449B2 (en) Electric machine with a brush-holding component and a plug module
CN105765829A (zh) 用于电子整流式直流电动机的定子
CN108631473B (zh) 电动机
MX2014009313A (es) Disposicion para determinar la posicion angular del eje de un motor electrico, y motor de limpiaparabrisas con una disposicion para determinar la posicion angular.
JP2019077436A (ja) 電子式にスリップ制御可能な車両ブレーキ装置の駆動装置、特に液圧装置
JP2004157056A (ja) 回転電機
KR20240046565A (ko) 구동 장치,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
EP3214738B1 (en) Drive device
CN107666215B (zh) 电子水泵
JP6300987B1 (ja) 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JP7476330B2 (ja) センサ装置およびモータ
CN211701704U (zh) 马达
JP2011234513A (ja) 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KR20240045307A (ko) 구동 장치,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기
KR20180092423A (ko) 모터
JP2007089274A (ja) モータ用シールキャップのカバー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