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151A -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151A
KR20240046151A KR1020240042608A KR20240042608A KR20240046151A KR 20240046151 A KR20240046151 A KR 20240046151A KR 1020240042608 A KR1020240042608 A KR 1020240042608A KR 20240042608 A KR20240042608 A KR 20240042608A KR 20240046151 A KR20240046151 A KR 20240046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signal
electronic device
func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호
손용준
오세기
유준
주재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4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6151A/ko
Publication of KR2024004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1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209Systems with very large relative bandwidth, i.e. larger than 10 %, e.g. baseband, pulse, carrier-free, ultrawide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광대역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 프로세서,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가,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의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측정된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판단된 이동 장치의 방향에 따라 전자 장치의 기능을 실행을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MEH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CONTOROLLING A FUNCTION BASED ON A LOCATION AND A DIRECTION OF AN OBJECTION}
본 발명은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구분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n Thing)은 모든 사물들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최근 IoT 기술이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되면서, 사물의 위치를 추적하여 실시간 위치 관리와 저전력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 예를 들어, 물리적 키를 이용한 기계적 출입 통제 시스템 이외에, 전자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 잠금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IoT 기술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도어의 개폐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사물의 위치 추적은 이동 통신망 기반의 위치 추적 서비스 이외에, 근거리 통신망 기반의 위치 추적 서비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근거리 통신망 기반의 위치 추적의 경우, 고정형 장치는 움직이는 사물(예: 이동형 장치)과의 거리를 추척하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 동일한 거리에 존재하는 사물의 위치에 대한 방향성을 구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예를 들어, 이동형 장치가 동일한 거리 내에서 위치할 시 위치에 대한 방향성을 판단하고, 이동형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구분하여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광대역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 프로세서,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가,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의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측정된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판단된 이동 장치의 방향에 따라 전자 장치의 기능을 실행을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광대역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 프로세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의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측정된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이동 장치가 설정된 영역의 제1 방향에 위치할 시 이동 장치와 연관된 제1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설정된 영역의 제2 방향에 위치할 시 이동 장치와 연관된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제어 방법은,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의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이동 장치의 측정된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이 제1 방향일 경우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및 상기 이동 장치의 측정된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이 제2 방향일 경우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물의 실제 거리는 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사물의 위치에 따른 방향성을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구분으로써, 사물과의 거리뿐만 아니라 사물 위치에 따른 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물의 위치 및 거리를 판단하는데 있어 이용되는 초광역 통신 장치의 설치 개수를 감소시키면서도 동일한 거리 내에서 사물의 위치에 따른 방향성을 구분하여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구분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이동 장치 및 기기 관리 장치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정된 기능 실행 영역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embedded)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 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132)에 로드(load)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센서 허브 프로세서(sensor hub processor),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inactive)(예: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active)(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과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142), 미들 웨어(middleware)(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speaker) 또는 리시버(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기압 센서(barometer sensor),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그립 센서(grip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컬러 센서(color sensor)(예: RGB(red, green, blue)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biometric sensor),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습도 센서(humidity sensor), 또는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의 이동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protocol)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connection terminal)(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이동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motor),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또는 전기 자극 장치(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fuel cell)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이동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동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이동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이동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가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 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이동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이동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동 장치들(102, 104)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이동 장치들(102, 104)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client-server computing)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IoT(Internet on thing) 센서, 도어 락, 도어 벨, 스마트 홈 디바이스, 기기 관리 장치, 운송 수단 시스템, 운송 수단의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190)에 포함된 무선 통신 모듈(192)은 광대역 무선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광대역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또는 휴대 장치)의 거리 측정 및 이동을 추적하고 블루투스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의 위치에 대한 방향(또는 방향성)을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동 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구분하여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트리거 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하되,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장치가 제2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안/밖 또는 실/외로 구분되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가 전자 장치(101)를 설치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동일한 영역에 위치할 시 제1 방향에 존재하고, 이동 장치가 전자 장치(101)를 설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 또는 다른 영역에 위치할 시 제2 방향에 존재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조건을 만족하되,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트리거 영역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트리거 영역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조건을 만족하되,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트리거 영역 내에 제1 거리에 위치한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고, 제2 거리에 위치한 경우 제2 기능을 실행하고, 제3 거리에 위치한 경우, 제3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조건을 만족하되,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트리거 영역 내에 제1 거리에 위치한 경우, 전자 장치(101) 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근거리 통신 신호 및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기반하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구분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광대역 통신 모듈(230),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 및 프로세서(2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대역 통신 모듈(230)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은 통합된 통신 회로(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에 포함될 수 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대역 통신 모듈(230)은 광대역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광대역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220)로 전달하거나, 프로세서(220)의 제어 하에 광대역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광대역 통신 모듈(230)은, GHz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초광대역 통신은 GHz 대역의 광대역폭을 사용하여 단위시간 당 전파 정보를 구분함으로써, 다른 통신 신호에 의한 전파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광대역 통신에서 로우 밴드(low band)는 3.1 내지 4.8GHz가 할당될 수 있으며, 하이 밴드(high band)는 7.2 내지 10.2GHz가 할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은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 10m 내외(최대 100m 내외)의 근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은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BLE)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은 블루투스 기반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블루투스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220)로 전달하거나, 프로세서(220)의 제어 하에 블루투스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광대역 통신 모듈(230)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을 제어하고, 광대역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통신 모듈이 하나의 단일 칩으로 통합된 형태일 경우, 통신 모듈에 내장된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광대역 통신 모듈(230)을 통해 이동 장치와 광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장치와 송수신된 광대역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이동 장치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광대역 신호는 타임 스탬프(time stamp)가 포함될 수 있다. 타임 스탬프는 광대역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 또는 광대역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타임 스탬프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가 송신하는 광대역 신호의 전송 시간과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광대역 신호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송수신 시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광대역 신호의 속도와 송수신 시간 차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 광대역 통신은 위치 측정의 오차가 cm 단위이며, 위치 검출의 정밀도가 높은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이동 장치의 측정 거리에 대한 한 차이값을 확인하고 차이값의 변화를 추적하고, 차이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이동 장치의 위치 및 이동 여부를 확인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측정된 이동 장치의 위치가 2m 에서 1m 거리와 같이 감소한 경우, 이동 장치와의 거리 변화가 감소한 경우, 이동 장치가 전자 장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이동 장치의 위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트리거 영역으로 이동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설정된 트리거 영역은 광대역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거리값에 기초하여 설정된 범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영역이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1M 반경 거리로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220)는, 광대역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이동 장치의 거리값이 1M 이하의 값을 갖는 경우,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 내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동 장치의 거리값이 1M 를 초과하는 값을 갖는 경우, 트리거 영역을 벗어나 위치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장치의 위치를 추정하고, 신호 세기의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장치 위치에 대한 방향(또는 방향성)을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을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추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SSI값은 신호의 세기를 단계별로 구분하고,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추정되는 거리가 맵핑될 수 있다. 신호의 세기는 이동 장치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가 약해질 수 있다. 블루투스 신호 RSSI값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이동 장치의 거리는 신호 세기에 대응하는 거리를 추정하는 것일 뿐,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20)는 광대역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실질적인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을 통해 이동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을 측정하는 경우와, 측정할 수 없는 경우를 구분하여 이동 장치가 존재하는 위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된 경우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한 것으로 인식하고.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2 방향에 존재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안/밖 또는 실/외로 구분되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 프로세서(220)는 이동 장치가 전자 장치가 설치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동일한 영역에 위치할 시 제1 방향에 존재하고, 이동 장치가 전자 장치가 설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 또는 다른 영역에 위치할 시 제2 방향에 존재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설치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설정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신호의 경우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블루투스 신호의 송수신이 원할 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실외 벽에 설치 된 경우 실외에서 발생하는 블루투스 신호는 수신할 수 있으나, 내부에서 발생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광대역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 내로 이동했다고 판단하고, 블루투스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장치가 제2 방향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1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은 휴대 장치와 연관된 기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전자 장치가 설치 위치 예를 들어, 실내 또는 실외와 같은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안 밖에 구분되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고, 제1 방향은 전자 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기점으로 실외 방향일 수 있으며, 제 2 방향은 실내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의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휴대 장치와 연관된 제1 기능 예를 들어, 도어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장치가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트리거 영역에 존재하더라도 도어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블루투스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광대역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 내부로 이동했다고 인식된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 외부로 이동했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에 대응하여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20)는 이동 장치가 제2 방향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시 트리거 영역에 존재하더라도 제1 기능 및 제2 기능 모두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예: 실외 방향)에 위치하고 광대역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이동 장치의 거리가 트리거 영역의 범위 밖에서 트리거 영역 내부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을 제1 동작 모드(예; 보안 해제 모드 또는 움직임 감지 모드)로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위치하고, 트리거 영역의 범위 내에서 트리거 영역의 범위 밖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이동 장치들을 제2 동작 모드(예: 보안 설정 모드 또는 움직임 감지 해제 모드)로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이동 장치 및 기기 관리 장치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 및 기기 관리 장치(104)와 통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어의 잠금 장치(103)는 기기 관리 장치(104)와 연결될 수 있으나, 전자 장치(10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 및 이동 장치(102)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IoT 센서, 도어 락, 도어 벨, 스마트 홈 디바이스, 운송 수단, 운송 수단의 키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IoT 센서일 경우, 이동 장치는 잠금 키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또는 스마트 키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가 자동차의 시동 시스템일 경우, 이동 장치는 자동차의 스마트 키일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형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이동 장치(102)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어 이동될 수 있는 이동형 전자 장치 또는 도어 잠금 장치에 태그(Tag)될 수 있는 태그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와 이동 장치(102)는 광대역 통신 및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광대역 통신 및 블루투스 통신은 병렬적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만을 포함한 최소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동 장치(101)는 광대역 신호 및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거나, 광대역 신호 및 블루투스 신호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장치(101)는 광대역 신호에 포함된 타임 스태프에 수신 시간을 기록하거나, 외부로 송출되는 송신 시간을 기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치에 따른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위치의 방향을 구분하여 위치의 방향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거나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블루투스 신호의RSSI값이 측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 장치(102)가 존재하는 위치의 방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는 경우 이동 장치(102)가 전자 장치(101)를 기점으로 제1 방향(예: 실외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 이동 장치(102)가 전자 장치(101)를 기점으로 제2 방향(예: 실내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중심은 전자 장치(101)가 설치된 벽을 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가 전자 장치(101)를 설치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동일한 영역에 위치할 시 제1 방향에 존재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장치(102)가 전자 장치(101)를 설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 또는 다른 영역에 위치할 시 제2 방향에 존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고, 제1 방향에 위치한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장치(102)가 제2 방향에 위치한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직접적으로 도어 잠금 장치(103)와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가 제1 방향의 트리거 영역에 위치하면 도어 잠금 장치(103)에 자동으로 도어를 오픈하라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반면에,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가 제2 방향일 시 트리거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도어 잠금 장치(103)에 도어를 오픈하지 않도록 하는 명령을 전달하거나 도어를 오픈하는 명령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의 위치 및 방향에 기반으로 결정된 명령, 예를 들어 이동 장치(102)와 관련된 제1 기능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기기 관리 장치(104)에게 전송하거나 제1 기능을 실행하지 말라는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기기 관리 장치(104)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달된 명령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103)를 잠금 해제하거나 잠금 설정하 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기기 관리 장치(104)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 장치(102)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기 관리 장치(104)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와 기기 관리 장치(104)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기 관리 장치(104)는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장치들은 도어 잠금 장치, 에어 컨디셔너 장치, 냉장고, 세탁기, TV 장치, 컴퓨터, 조명 장치 및/ 또는 오디오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있는 집, 사무실, 공장 등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전자 장치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 관리 장치(104)는 연결된 전자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적인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각각의 전자 장치들에게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각각의 전자 장치들에 대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 관리 장치(104)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전달된 이동 장치(102)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의 기능이 실행되거나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 관리 장치(104)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이동 장치(102)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반으로 인증을 위한 이동 장치(102)의 식별 정보(예: 키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기기 관리 장치(104)로 전달할 수 있다. 기기 관리 장치(104)는 이동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이동 장치(102)가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기기 관리 장치(104)는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진 조건을 만족 하는 경우 이동 장치(102)의 위치 및 방향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들의 기능 실행에 대한 명령을 온/오프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2의 프로세서(220)는 410 동작에서, 이동 장치(예: 도 3의 이동 장치(102))와 송수신하는 광대역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와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는 광대역 신호(예: UWB 신호)를 송수신하고,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전송 시간 및 수신 시간을 비교하고 송수신 시간 차이 및 광대역 신호의 속도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42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420 동작은, 410 동작과 독립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동작할 수 잇으며, 410 동작은 440 동작으로 진행하고, 420 동작은 430 동작으로 진입할 수 있다.
43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의 유무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할 수 있는 경우, 이동 장치가 전자 장치를 기점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RSSI값이 측정할 수 없는 경우, 이동 장치가 전자 장치를 기점으로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설정에 따라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할 수 있는 경우,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RSSI값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할 수 도 있다. 이동 장치의 방향에 대한 판단은 전자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44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광대역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이동 장치의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한 트리거 영역 내에 위치 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의 측정 거리에 대한 한 차이값을 확인하고 차이값의 변화를 추적하고, 차이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이동 장치의 위치 및 이동 여부를 확인 수 있다.
45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에 위치하고 트리거 영역 내에서 제1 방향에 위치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410 동작 및 440 동작과 420 동작 및 430 동작은 독립적 또는 병렬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450 동작은 광대역 신호에 기반하여 트리거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 결과와 블루투스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의 방향의 판단할 결과를 종합하여 결정할 수 있다.
46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 내에서 제1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7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 내에서 제2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 제1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의 위치 방향에 따라 전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로 제1기능의 실행 명령을 전달하거나, 실행 명령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 내의 제2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지 말라는 명령을 다른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도어의 자동 잠금 장치와 연결된 경우 이동 장치의 트리거 영역 내에서 제1 방향(예, 실외)에 위치한 경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자동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의 트리거 영역 내에서 제2 방향(예: 실내)에 위치한 경우, 자동 장금 장치의 잠금 해제를 하지 않도록 명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잠금 해제 키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가 동일한 트리거 영역 내에 위치하더라고 실내인지 실외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인지하여 실외인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나. 실내인 경우 도어의 잠금 해제를 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에서 실외로 이동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트리거 영역 내에 존재하여 신발, 물건 등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이동하더라도 트리거 영역에 존재함으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음 도어의 잠금 해제를 억제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 모듈(예: 도 2의 광대역 통신 모듈(230))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예: 도 2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2의 프로세서(220))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의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측정된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판단된 이동 장치의 방향에 따라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점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점으로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장애물이 기점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위치할 시 제1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제2 방향에 위치할 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것에 응답하여 이동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별하고,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진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은 초광대역(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로 제1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전달하거나, 제1 기능을 실행하지 말라는 명령을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신호의 송신 시간과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신호의 시간 차이를 확인하고, 신호의 속도 및 신호의 시간 차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의 차이값 변화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될 시 상기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이동 장치의 거리가 설정된 영역의 외부에서 설정된 영역 내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 1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거리가 설정된 영역 내부에서 설정된 영역의 외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실행을 위한 트리거링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제1 반경을 가진 제1 영역과, 제1 반경보다 큰 제2 반경을 가진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위치할 시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장치가 제1 영역에 위치한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위치한 경우, 제2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장치가 제2 방향에 위치할 시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의 실행을 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정된 기능 실행 영역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동일한 반경 내에서 영역을 구분하여 이동 장치(102)가 위치한 방향을 구분하고, 이동 장치(102)와 연관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Z축은 전자 장치가 설정된 벽을 기준으로 한 기점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광대역(UWB)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이동 장치의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제1 반경(A) 이내로 이동하는지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반경(B)는 이동 장치가 위치하여도 휴대 장치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비 트리거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블루투스(BLE)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는 지 여부에 따라 제1 반경(A) 내의 구분하여 위치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블루투스(BLE) 신호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이 원할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UWB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이동 장치(102)의 위치가 제1 반경(A) 내에 존재하더라도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면 제1 반경의 A -1영역에 위치했다고 판단하고,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지 않으면, 제1 반경의 A-2영역에 위치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실외 벽에 고정되어 위치한 것과 반대로 실내 벽에 고정되어 위치한 경우, UWB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이동 장치(102)의 위치가 제1 반경(A)일 시,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지 않으면, 제1 반경(A) 의 A -1영역에 위치했다고 판단하고,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면, 제1 반경(A) 의 A-2 영역에 위치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설치된 위치는 실내 벽 또는 실내 벽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블루투스 신호가 차단되는 물질로 구성되거나,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장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실내 벽에 위치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동 장치(102)가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벽에 의해 차폐 효과에 의해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을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1 반경(A) 의 A-1영역은 출입문을 기점으로 실외 방향일 수 있고, 제1 반경(A) 의 A-2영역은 출입문을 기점으로 실내 방향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반경(A) 의 A-1영역으로 이동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출입문을 오픈하도록 제어하고, 제1 반경(A) 의 A-2 영역에 이동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출입문을 오픈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기능 설정을 위한 트리거 영역의 범위를 구분하고 방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트리거 영역으로 제1 기능 실행을 위한 제1 반경(A)과, 제2 기능 실행을 위한 제2 반경(B)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가 제1 반경(A) 의 A-1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장치(101)가 제1 반경(A)을 제외한 제2 반경(B) 의 B-1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가 제1 반경(A) 의 A-2영역에 위치하거나 제2 반경(B) 의 B-2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제1 기능의 실행하지 않거나 제2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 모듈(예: 도 2의 광대역 통신 모듈(230))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예: 도 2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2의 프로세서(220))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의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측정된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이동 장치가 설정된 영역의 제1 방향에 위치할 시 이동 장치와 연관된 제1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설정된 영역의 제2 방향에 위치할 시 이동 장치와 연관된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것에 응답하여 이동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별하고,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진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은 초광대역(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로 제1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전달하거나, 제1 기능을 실행하지 말라는 명령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될 시 상기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이동 장치의 거리가 설정된 영역의 외부에서 설정된 영역 내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 1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거리가 설정된 영역 내부에서 설정된 영역의 외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실행을 위한 트리거링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제1 반경을 가진 제1 영역과, 제1 반경보다 큰 제2 반경을 가진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위치할 시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장치가 제1 영역에 위치한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위치한 경우, 제2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장치가 제2 방향에 위치할 시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의 실행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과 제2 신호의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을 독립적 또는 병력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2의 프로세서(220)는 610동작에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에서 발생되는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예: 도 2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을 통해 BLE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이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10 동작에서 수신되는 BLE 신호는 이동 장치가 자신의 존재를 알림하는 BLE 신호일 수 있다.
62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BLE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예: 도 2의 광대역 통신 모듈(230))을 웨이크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초광대역 통신 모듈은 슬립 모드로 동작하다가 프로세서의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에서 UWB 통신 모듈은 타임 스템프를 포함하는 UWB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UWB 신호의 통신 범위 내에서 이동 장치에서 송출하는 UWB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이동 장치의 존재를 인식하고 이동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63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와 송수신하는 UWB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타임 스탬프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의 UWB 통신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전송시간 및 수신 시간을 비교하고, 송수신 시간 차이 및 신호의 속도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위치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64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이동 장치의 BLE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UWB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630 동작 및 640 동작은 독립적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동작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65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BLE신호의 RSSI값이 측정할 수 있는 경우, 이동 장치가 전자 장치를 기점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BLE신호의 RSSI값이 측정할 수 없는 경우, 프로세서는 680 동작에서 이동 장치가 전자 장치를 기점으로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66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다른 전자 장치가 제1방향에 위치하고, UWB 신호에 기반한 이동 장치와의 측정된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한 트리거 영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665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UWB 신호에 기반하여 측정된 이동 장치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 트리거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장치에 설정된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키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방향에서 UWB 신호에 기반하여 측정된 이동 장치의 거리가 트리거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630 동작으로 진입하여 UWB 신호에 기반하여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67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의 권한 인증이 확인되면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에서 이동 장치에 대응하는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로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을 전달할 수도 있다.
64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위한 것으로 결정되면, 685 동작으로 진행하여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으로 변경되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BLE신호의 RSSI값이 측정여부에 따라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지 제2 방향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으로 변경한 것으로 결정되 면690 동작으로 진입하고,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2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면 630 동작으로 진입하여 UWB 신호에 기반하여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69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으로 변경되면 UWB 신호에 기반하여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695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UWB 신호에 기반하여 이동 장치가 트리거 영역을 벗어난 경우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UWB 신호에 기반하여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서 트리거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트리거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660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1 기능은 전자 장치의 보안 모드를 해제하는 동작일 수 있고, 제2 기능은 전자 장치의 보안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기능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일 수 있고, 제2 기능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해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다른 전자 장치로 휴대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다른 전자 장치가 휴대 장치와 연관된 제1 기능 또는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 모듈(예: 도 2의 광대역 통신 모듈(230)) 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예: 도 3의 이동 장치(102))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블루투스 통신 모듈(예: 도 2의 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235))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의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이동 장치의 측정된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이 제1 방향일 경우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이동 장치의 측정된 거리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이동 장치가 위치한 방향이 제2 방향일 경우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영역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이동 장치가 설정된 영역으로 이동한 것에 기초하여 이동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진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전달하지 않거나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지 말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될 시 상기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이동 장치의 거리가 설정된 영역의 외부에서 설정된 영역 내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 1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될 시 상기 이동 장치의 거리가 설정된 영역 내부에서 설정된 영역의 외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자동 출입문 센서 장치일 수 있으며, 실내와 실외를 구분할 수 있는 특정 장소(예: 집, 사무실)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101)가 특정 장소의 실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나, 전자 장치(101)는 특정 장소의 실내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와 광대역 통신 및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고, 위치에 대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어 잠금 장치(10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 장치(102)의 위치 및 방향에 기반하여 도어 잠금 장치(103)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 장치(102)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장치로서, 도어 잠금 장치(103)에 설정된 키 정보와 동일한 키 정보를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장치(102)는 스마트 키, 태그 장치 등일 수 있으나, 도어 잠금 장치의 키 정보를 저장하는 휴대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사무실의 외벽에 설치된 경우, 도 7의 도면에서 A-1, B-1 은 사무실 밖 즉, 실외 방향일 수 있으며, A-2 및 B-2는 사무실 안쪽 즉, 실내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를 들어, 710의 화살표의 환경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1)가 전자 장치를 기점(z축)으로 제1 반경(d1)의 거리를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한 경우 A-1 및 A-2는 트리거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장치(102)를 소지한 채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와 UWB 신호를 송수신하여 측정된 이동 장치(102)의 거리 차이값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B-1 영역에서 A-1 영역으로 이동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102)와 BLE 신호의 RSSI값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A-1 및 A-2 방향에 위치하는지 B-1 및 B-2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BLE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는 경우, A-1 및 B-1 방향(예: 실외) 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BLE 신호의 RSSI값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 A-2 및 B-2 방향(예: 실내)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B-1의 거리에 위치한 경우 실외 방향에 존재하나 트리거 영역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자 장치(101)는 이동 장치와 연관된 제1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A-1의 거리에 위치한 경우 실외 방향에 존재하면서 트리거 영역에 존재하게 되므로, 이동 장치와 연관된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이동 장치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B-2의 위치에서 A-2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가 트리거 영역에 존재하더라도 사용자가 실내 방향에 존재한 것으로 인식되므로, 제1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도어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720-1 및 720-2의 화살표의 환경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트리거 영역의 범위를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를 기점(z축)으로 A-1 및 A-2는 제1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하고, B-1 및 B-2는 제2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장치(102)를 소지 한 채 720-1과 같이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BLE 신호 기반하여 사용자가 실외 방향인지 실내 방향에 위치한지를 결정하고, UWB 신호에 기반하여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제1 트리거 영역에 위치하는지 제2 트리거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2 트리거 영역에 위치하고 실외 방향에 존재한 것으로 인식하고 제2 트리거 영역에 설정된 제1 기능(예: 전자 장치의 보안 설정의 해제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외 방향에서 제2 트리거 영역인 B-1에 위치하다가 제1 트리거 영역인 A-1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1 트리거 영역에 설정된 제1 기능(예를 들어, 도어 잠금 장치(103)의 잠금 해제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 방향에서 제2 트리거 영역인 B-2 또는 제1 트리거 영역인 A-2에 위치하더라도 전자 장치(101)는 실내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보안 설정의 해제 기능 또는 도어 잠금 장치(103)의 잠금 해제하는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720-2와 같이 실내 방향에서 실외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BLE 신호를 기반으로 A-2 위치에서 A-1의 위치로 사용자의 위치 방향이 변경됐음을 인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경됐음을 인지하고, 제1 트리거 영역에 설정된 제2 기능(예: 도어 잠금 장치(103)의 잠금 설정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A-1의 위치에서 B-1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UWB 신호에 기반하여 A-2의 위치로 사용자가 이동했음을 인식하고, 제2 트리거 영역에 설정된 제2 기능(예: 전자 장치의 보안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실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806)과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이동 장치(802)의 위치, 방향 및 거리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806)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장치들(806)은 TV(806-1), 도어 잠금 장치, 조명 장치(806-2), 냉장고, 세탁기, TV, 컴퓨터, 에어컨(806-3) 및/ 또는 오디오 장치(806-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80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기 관리 장치(804)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 장치(802)의 위치, 방향 및 거리에 관한 정보를 기기 관리 장치(804)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801)가 다른 전자 장치들(806)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기 관리 장치(804) 역시, 전자 장치(801)로부터 전달된 이동 장치(802)의 위치, 방향 및 거리 정보에 따라 다른 전자 장치들(806)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801)는 이동 장치(802)와 BLE 신호를 RSSI값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실외 방향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실외 방향(또는 전자 장치(801)와 이동 장치(802)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방향)은 기능 실행을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장치(802)를 소지한 채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UWB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102)와 전자 장치(80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값에 따라 맵핑된 다른 전자 장치들(806)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트리거 영역에 해당되는 실외 방향에 존재하는 조건 하에, 전자 장치(801)를 설치한 장소와 5m 이상의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전자 장치(801)는 조명 장치(806-2)를 턴 온 하는 명령을 트리거링하고, 이를 조명 장치(806-2)로 전달할 수 있다. 조명 장치(806-2)는 전자 장치(801)의 제어 하에, 사용자가 집과 5m 거리에 접근한 경우, 턴 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801)를 설치한 장소와 5m 내지 2m 사이의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전자 장치(801)는 에어 컨디셔너 장치(806-3)를 턴 온 하는 명령을 트리거링하고 이를 에어컨디셔너 장치(806-3)로 전달할 수 있다. 에어 컨디셔너 장치(806-3)는 전자 장치(801)의 제어 하에, 사용자가 집과 5m 내지 2m 거리 사이에 접근한 경우, 턴 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801)를 설치한 장소와 2m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TV장치(806-1)와 오디오 장치(806-4)를 턴 온 하는 명령을 트리거링하고, 이를 TV 장치(806-1)와 오디오 장치(806-4) 각각에 전달할 수 있다. TV 장치(806-1)와 오디오 장치(806-4) 각각은 전자 장치(801)의 제어 하에, 사용자가 집과 2m 내의 거리에 접근한 경우, 턴 온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801)는 사용자가 1m 내의 거리에 접근한 경우, 도어 잠금 장치(미도시)가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자 장치(801)는 사용자가 실내에 존재하고 있다가 실외 방향으로 이동하여 집과의 거리가 점점 멀어질 경우, 거리 위치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설정, TV 장치(806-1) 및 오디오 장치(806-4)의 턴 오프 기능, 에어컨디셔너 장치(806-3)의 턴 오프 기능 및 조명 장치(806-2)의 턴 오프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광대역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 프로세서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가 측정되는지 판단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기기 관리 장치로, 상기 기기 관리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의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1 명령을 전달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 관리 장치로 상기 제1 명령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명령을 전달하지 않도록 설정된 이후, 상기 제1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 관리 장치로 상기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의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2 명령을 전달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유효한 권한을 가지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유효한 권한을 가진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 내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명령 또는 상기 제2 명령을 상기 기기 관리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명령 또는 상기 제2 명령을 상기 기기 관리 장치에 전달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은 초광대역(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으로서,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제1 신호의 송신 시간과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이동 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명령은,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 내 제1 거리에 진입한 경우 ,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 중 제1 전자 장치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제1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 내 제2 거리에 진입한 경우 상기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 중 제2 전자 장치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제2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을 제1 동작 모드로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기기 관리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난 위치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을 제2 동작 모드로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기기 관리 장치에 전달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난 제2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위치한 경우 상기 기기 관리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전자장치들 중 제3 기능을 실행하는 제3 명령을 상기 기기 관리 장치로 전달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광대역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가 측정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일 경우,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제1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제2 거리일 경우, 상기 이동 장치와 연결된 제2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않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된 이후,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이후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거리가 제1 거리일 경우, 상기 실행된 제1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거리가 제2 거리일 경우, 상기 실행된 제2 기능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유효한 권한을 가지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유효한 권한을 가진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현된 유닛(uni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compiler)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interprete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 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중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전자 장치
120.220: 프로세서
230: 광대역 통신 모듈
240: 블루투스 통신 모듈

Claims (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
    프로세서;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가 측정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기기 관리 장치로, 상기 기기 관리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의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1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 관리 장치로 상기 제1 명령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 명령을 전달하지 않도록 설정된 이후, 상기 제1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 관리 장치로 상기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의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2 명령을 전달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유효한 권한을 가지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유효한 권한을 가진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 내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명령 또는 상기 제2 명령을 상기 기기 관리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명령 또는 상기 제2 명령을 상기 기기 관리 장치에 전달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은 초광대역(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으로서,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제1 신호의 송신 시간과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이동 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명령은,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 내 제1 거리에 진입한 경우 ,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 중 제1 전자 장치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제1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 내 제2 거리에 진입한 경우
    상기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 중 제2 전자 장치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제2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을 제1 동작 모드로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기기 관리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난 위치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을 제2 동작 모드로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기기 관리 장치에 전달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난 제2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장치가 제1 방향에 위치한 경우 상기 기기 관리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전자장치들 중 제3 기능을 실행하는 제3 명령을 상기 기기 관리 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
    프로세서;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가 측정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일 경우,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제1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제2 거리일 경우, 상기 이동 장치와 연결된 제2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않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된 이후,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장치가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이후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거리가 제1 거리일 경우, 상기 실행된 제1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거리가 제2 거리일 경우, 상기 실행된 제2 기능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유효한 권한을 가지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유효한 권한을 가진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하는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통신 모듈은 초광대역(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의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가 측정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일 경우, 상기 이동 장치와 연관된 제1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제2 거리일 경우, 상기 이동 장치와 연결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않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된 이후,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이동 장치가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이후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거리가 제1 거리일 경우, 상기 실행된 제1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거리가 제2 거리일 경우, 상기 실행된 제2 기능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장치가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제1 영역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이동 장치가 설정된 제1 영역으로 이동한 것에 기초하여 이동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장치가 유효한 권한을 가진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40042608A 2018-09-28 2024-03-28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40046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2608A KR20240046151A (ko) 2018-09-28 2024-03-28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79A KR20200036571A (ko) 2018-09-28 2018-09-28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240042608A KR20240046151A (ko) 2018-09-28 2024-03-28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379A Division KR20200036571A (ko) 2018-09-28 2018-09-28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151A true KR20240046151A (ko) 2024-04-08

Family

ID=699532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379A KR20200036571A (ko) 2018-09-28 2018-09-28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240042608A KR20240046151A (ko) 2018-09-28 2024-03-28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379A KR20200036571A (ko) 2018-09-28 2018-09-28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77204B2 (ko)
KR (2) KR20200036571A (ko)
WO (1) WO2020067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434B1 (ko) * 2018-08-07 202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홈어플라이언스 및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고 예방 제어 방법
US20220300079A1 (en) * 2021-03-17 2022-09-22 Lenovo (Singapore) Pte. Ltd. Ultra-wideband to identify and control other device
US11334138B1 (en) 2021-03-17 2022-05-17 Lenovo (Singapore) Pte. Ltd. Unlocking and/or awakening device based on ultra-wideband location tracking
US11430274B1 (en) 2021-03-17 2022-08-30 Lenovo (Singapore) Pte. Ltd. Unlocking lock on device based on ultra-wideband location tracking
US11705124B2 (en) 2021-03-18 2023-07-18 Lenovo (Singapore) Pte. Ltd. Ultra-wideband location tracking to perform voice input operation
US20230024254A1 (en) * 2021-07-26 2023-01-26 Google Llc Gesture Controls Using Ultra Wide Band
CN115134182B (zh) * 2022-06-29 2023-07-07 歌尔科技有限公司 家居设备的语音控制方法、装置、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WO2024043491A1 (ko) * 2022-08-26 2024-0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776382B1 (en) 2022-12-23 2023-10-03 The Adt Security Corporation Premises security system using ultra-wideband (UWB) functionality to initiate at least one ac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201B1 (ko) 2010-11-04 2016-04-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단말기 및 서버
KR20150011870A (ko) 2013-07-23 2015-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추적 방법
KR102008458B1 (ko) 2013-08-30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의 무선 기기 탐색 장치 및 방법
EP3073284A1 (en) * 2015-03-27 2016-09-28 Assa Abloy AB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 an active area in relation to a barrier
US10045150B2 (en) * 2015-03-30 2018-08-07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sensing user location in an IoT system
WO2017057832A1 (ko) * 2015-10-01 2017-04-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비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71869A (ko) * 2015-12-16 2017-06-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2458532B1 (ko) * 2016-03-10 2022-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판단 방법 및 장치
CA3020882A1 (en) * 2016-04-15 2017-10-19 Troy M. Brown Wireless lockset with integrated angle of arrival (aoa) detection
KR101840112B1 (ko) 2016-04-24 2018-03-19 (주)참슬테크 자동 출입을 위한 현관 출입 장치
US10328898B2 (en) 2016-10-12 2019-06-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ssive entry / passive start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s
US10719999B2 (en) * 2017-04-27 2020-07-21 Schlage Lock Company Llc Technologies for determining intent in an access control system
US10557301B2 (en) * 2017-07-18 2020-02-11 Portal Entryways, Inc Automated do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409896A1 (en) 2021-12-30
WO2020067785A1 (ko) 2020-04-02
KR20200036571A (ko) 2020-04-07
US11877204B2 (en)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46151A (ko)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111558A (ko)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US11100734B2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operations based on movement direc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2545375B1 (ko)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8353361B (zh) 电子设备,相关的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580345B1 (ko) 레인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1812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at access point
EP3989612A1 (en) Bluetooth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20113395A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electronic device by forming zone, and device therefor
CN111756123A (zh) 远距离无线充电发射设备、调整无线充电发射功率的方法
US11277711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external device
KR20210111539A (ko) 복수의 통신 방식들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6198B1 (ko) 신호 강도 대역에 기반한 장치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4830197B (zh) 利用无线通信控制出入的电子装置及其方法
KR20150131792A (ko)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3033694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rouping external devices by space in electronic device
EP3706082B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positioning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1754700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external object using plurality of array antennas arranged in plurality of directions and method thereof
KR20210128118A (ko) 거리 측정과 관련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05306A (ko) Uw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안테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00182962A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location of user and method thereof
KR20200133841A (ko)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20240056787A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controlled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2300262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
US20230160717A1 (en) Electronic device for setting authority of indoor map-based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