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707A -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707A
KR20240045707A KR1020220125345A KR20220125345A KR20240045707A KR 20240045707 A KR20240045707 A KR 20240045707A KR 1020220125345 A KR1020220125345 A KR 1020220125345A KR 20220125345 A KR20220125345 A KR 20220125345A KR 20240045707 A KR20240045707 A KR 2024004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parts
present
marin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영철
신민철
정철연
조은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707A/ko
Publication of KR2024004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는, 상자 구조를 가지며 모서리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완충부, 및 상기 끼움홀에 결합되는 돌출부재가 양측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다수의 상기 몸체부가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는 이웃하는 한 쌍의 몸체부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몸체부를 서로 구속하고, 상기 완충부가 해양 구조물과 접안되는 구조에 맞닿아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면은 설치면을 이루어, 무어링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즈가 상이한 다양한 피더선이 접안 하더라도, 사이드 바이 사이드 무어링을 재설계 및 재설치할 필요가 없는,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Apparatus of approaching for offshore plant}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FLNG 및 FSRU 등과 같은 해양 생산 플랜트는, LNG 하역(offloading)을 위해 LNG 운반선이 선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계류가 이루어진다.
선측 간의 접촉(steel to steel contact)을 피하기 위해, 펜더(fender) 및 대빗(davit)가 설치된다. 해양 생산 플랜트에 마련되는 펜더와 대빗 장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데크(deck) 외측 가장자리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암벽 또는 다른 선박과의 접선시 암벽이나 다른 선박의 충돌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한다.
해양 생산 플랜트 중에서 FLNG 및 FSRU는, 디자인 스테이지(design stage)에서 피더 LNG(feeder LNG)의 카파 및 사이즈(capa. size) 등을 정의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 무어링(mooring)에 대해 설계를 한다.
한편, 해양 생산 플랜트와 같은 해양 구조물은, 용선사가 변경되거나 피더선이 변경되면, 설계를 벗어난 피더선이 접안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설계 및 설치가 완료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무어링(side by side mooring)과 관련 재설계가 필요하고, 기설치된 무어링(mooring) 장비의 재설치 및 추가 설치 등 작업 공수 추가 및 인력 증가로 비용 및 작업시간 증가가 발생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더선의 사이즈가 변경되더라도, 사이드 바이 사이드 무어링을 재설계 및 재설치할 필요가 없는,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의 일 면(aspect)은, 상자 구조를 가지며 모서리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완충부, 및 상기 끼움홀에 결합되는 돌출부재가 양측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다수의 상기 몸체부가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는 이웃하는 한 쌍의 몸체부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몸체부를 서로 구속하고, 상기 완충부가 해양 구조물과 접안되는 구조에 맞닿아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면은 설치면을 이루어, 무어링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작업자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도록, 정면으로부터 후면까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접안되는 구조물을 간섭하도록 절곡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는, 피더선의 사이즈가 변경되더라도, 사이드 바이 사이드 무어링을 재설계 및 재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 공수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해양 구조물에 타 선박이 계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가 마련된 해양 구조물에 타 선박이 계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가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의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해양 구조물에 타 선박이 계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가 마련된 해양 구조물에 타 선박이 계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가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의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100)는, 몸체부(110), 완충부(120), 결합부(130) 및 구속부(S)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안 장치(100)는 해양 구조물(1)에 접안하는 피더선(10)의 사이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변경되더라도, 무어링 장치(M)가 해양 구조물(1)에 재설치될 필요 없이, 해양 구조물에 접안 장치(100)가 마련되어, 무어링 장치(M)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중공이 형성되는 상자 구조를 가져 외관을 이루며, 상면이 평면을 이룰 수 있고, 모서리에 끼움홀(110GH)이 형성되고, 개구부(110H)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상면은, 평면을 이루고 예시로 해양 구조물(1)의 선측에 마련되어 해양 구조물(1)이나 피더선(10)의 데크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즉 해양 구조물(1)과 피더선(10)사이에 무어링 장치(M)의 설치면을 이루어, 무어링 장치(M)가 제공될 수 있다.
끼움홀(110GH)은 결합부(130)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즉 복수의 몸체부(110)가 연결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몸체부(110)의 모서리에 관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끼움홀(110GH)은 직육면체의 몸체부(110)에서 각 모서리에 모두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양측에 이웃한 몸체부(110)가 결합부(13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끼움홀(110GH)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B'로 표시되는 위치일 수 있다.
개구부(110H)는, 작업자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도록,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정면으로부터 후면 및/또는 좌측면에서 우측면까지 관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가 육면체를 이루면 정면, 후면,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 각각에 절개홈으로 이루어지는 개구부(110H)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작업자가 몸체부(110)에 진입할 수 있도록, 상면에 진입로를 위한 개구부(110H)가 형성될 수도 있다. 개구부(110H)가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작업자의 낙마를 방지하도록 개구부(110H)를 개폐하는 도어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몸체부(110) 내의 버티칼 레벨(vertical level)에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인출입이 용이한 위치에 개구부(110H)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120)는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면에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120)는 몸체부(110)의 일면(정면, 또는 정면과 후면 모두일 수도 있음)에서 상하 및 좌우 방향 등으로 길이를 가지고 서로 이웃하게 복수 개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120) 형상의 예로,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 설치되는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쇄되며,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테이퍼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NV 펜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완충부(12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완충부(120)는 수직 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완충부(120)는 사선 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해양 구조물(1)에 전자기력,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결합부(130)는 서로 이웃하는 몸체부(11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끼움홀(110GH)에 결합되는 돌출부재(132)가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로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부(130)는, 다각면체(직육면체 및 정육면체 등) 구조를 가지는 베이스부(131)와 베이스부(131)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132)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131)와 돌출부재(132) 사이는, 돌출부재(132)에 대비하여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132)의 재질은 특정한 재질로 한정되지 않으나 끼움홀(110GH)에 삽입시 끼움 과정에서 단면적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결합부(130)가 클램프 구조를 가지거나, 컨테이너의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100)는, 다수의 몸체부(110)가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결합부(130)는 이웃하는 한 쌍의 몸체부(110)에 연결되어 다수의 몸체부(110)를 서로 구속할 수 잇으므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완충부(120)가 피더선(10)과 맞닿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구속부(S)는 도 5를 참조하면 'C'로 표시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구속부(S)는 몸체부(110)에 연결되며 해양 구조물에 접안되는 구조물을 간섭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예시로 구속부(S)는 'ㄷ'와 같이 양단이 절곡되는 구조를 이루어, 구속부(S)의 일단은 몸체부(110)의 상면 또는 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구속부(S)의 타단이 타 선박인 피더선(10), 또는 다른 해양 구조물의 구조물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타단이 타 선박의 구조물에 용접으로 결합시, 타선박/해양 구조물의 선측에 돌출되는 외판(Y)이 마련되어, 구속부(S)의 타단이 외판(Y)에 간섭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100)는, 피더선의 사이즈가 변경되더라도, 사이드 바이 사이드 무어링을 재설계 및 재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 공수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110: 몸체부
120: 완충부 130: 결합부

Claims (3)

  1. 상자 구조를 가지며 모서리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완충부; 및
    상기 끼움홀에 결합되는 돌출부재가 양측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다수의 상기 몸체부가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는 이웃하는 한 쌍의 몸체부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몸체부를 서로 구속하고,
    상기 완충부가 해양 구조물과 접안되는 구조에 맞닿아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면은 설치면을 이루어, 무어링 장치가 마련되는,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작업자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도록, 정면으로부터 후면까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접안되는 구조물을 간섭하도록 절곡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KR1020220125345A 2022-09-30 2022-09-30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KR20240045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345A KR20240045707A (ko) 2022-09-30 2022-09-30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345A KR20240045707A (ko) 2022-09-30 2022-09-30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707A true KR20240045707A (ko) 2024-04-08

Family

ID=9071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345A KR20240045707A (ko) 2022-09-30 2022-09-30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7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46725B (zh) 液化气体运输船
US5353727A (en) Collision guard for a vessel
KR20240045707A (ko) 해양 구조물용 접안 장치
KR101263518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위한 선박충돌방호용 프로텍터의충격흡수 지지구조
KR101186288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100649105B1 (ko) 항만 부두의 접안시설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방현재
KR101321300B1 (ko)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KR102018672B1 (ko) 해양 구조물의 배리어
KR20120033578A (ko)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랙 구조물 변형 방지장치
KR930001086Y1 (ko) 선체구조
KR0176274B1 (ko) 유조선의 이중 선각구조
EP3250759B1 (en) Fender system
KR102150188B1 (ko) 워터브레이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7174424B2 (ja) 岸壁構造体及び防舷材の運用方法
KR200166615Y1 (ko) 반사파 흡수구조를 가진 항내 접안시설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KR102035785B1 (ko) 해양 구조물의 배리어
KR20130000895U (ko) 클램프용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액체 화물 저장 탱크
KR20140143579A (ko) 선박용 펜더
KR101444325B1 (ko) 해상구조물 설치용 완충장치
KR102641252B1 (ko) 화물창 내 설치된 독립형 저장탱크의 지지 구조체
US6591773B1 (en) Protective fendering system for off-shore cargo transferring surface ships
KR100722170B1 (ko) 항만부두에 설치되는 선박충돌 완충장치
EP0738803A1 (en) Assemblage d'éléments modulaires de protection pour le halage et l'amarrage à quai de bateaux
KR20150044570A (ko) 쌍축선의 추진기 보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