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600A -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5600A KR20240045600A KR1020220125110A KR20220125110A KR20240045600A KR 20240045600 A KR20240045600 A KR 20240045600A KR 1020220125110 A KR1020220125110 A KR 1020220125110A KR 20220125110 A KR20220125110 A KR 20220125110A KR 20240045600 A KR20240045600 A KR 202400456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joint
- plate
- continuous wall
- wall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ZUFCTLCJUWOSV-UHFFFAOYSA-N furosemide Chemical compound C1=C(Cl)C(S(=O)(=O)N)=CC(C(O)=O)=C1NCC1=CC=CO1 ZZUFCTLCJUWO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82 mold releas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75 quality assur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지하 연속벽체의 선시공 벽체와 후시공 벽체 간 결합면인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있어서, 수직 이음부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 외에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를 더 형성시키는 전단키 형성부; 및 전단키 형성부가 결합되는 선시공 벽체측 제1 플레이트, 후시공 굴착측 제2 플레이트 및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선시공 벽체로부터의 분리를 위한 횡력의 작용점 영역이 제1 또는 제2 플레이트에 또는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이 제안된다. 또한,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하 연속벽체의 선시공 벽체와 후시공 벽체 사이의 수직 이음부 상에 수직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전단키를 형성하고 선시공 벽체로부터 횡력에 의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형성되는 지하 연속벽은 굴착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할하여 시공하므로 다수의 수직 시공이음부 내지 수직 이음부가 존재한다. 지하 연속벽을 영구벽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수직 이음부는 지진 또는 풍하중의 횡력에 의한 수직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고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전단강도와 전단강성을 갖아야 한다.
건축물의 지하구조의 내진설계를 요구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지하연속벽의 시공이음부는 도 23에서 처럼 원형의 스톱-엔드 강관을 주로 사용하였다. 도 23는 종래의 스톱-엔드 강관을 이용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스톱-엔드 강관에 의해 형성된 수직 이음부(300)는 지진에 취약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종래에는 주로 철근에 의한 연결에 의해 수직 이음부(300)의 전단강도와 전단강성을 확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구조성능에 비해 비경제적이고 시공방법이 복잡하여 품질 확보에 대한 신뢰성이 지적되어 왔다.
게다가, 종래에 도 23과 같은 원형의 스톱-엔드 강관을 이용한 수직 이음부(조인트)(300)의 형상은 반원형이어서 이웃한 다음 패널을 시공하기 위해 스톱-엔드 강관을 수직으로 빼낼 때, 반원형의 뾰쪽한 끝부분의 콘크리트가 수직 이음부(300)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단점이 있었다. 이때 수직 이음부(300)로부터 떨어져 나간 부분은 수밀성을 갖도록 밀봉하기 어렵다.
또한, 선행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0758504호에서는 톱니모양 수직 이음부가 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도 23에서와 같은 스톱-엔드 강관을 사용하지 않고 안정액이 찬 굴착구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음 패널을 위한 굴착구에서 콘크리트 절삭장비를 넣어 선시공된 벽체패널의 거친 콘크리트 수직 면을 톱니 모양으로 깍아 낸 후, 다음 벽체패널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톱니모양의 이음부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도 톱니모양의 수직 이음부에서 수밀성을 보장하지 못했다.
도 25는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스톱-엔드 강관을 리프팅으로 제거하거나 분리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톱-엔드 원형 강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25의 방법 1과 같이 스톱-엔드 강관을 인발장비로 비틀면서 수직방향으로 끌어올리는 방법으로 스톱-엔드 강관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였으나, 반원형 이음부의 뾰쪽한 콘크리트부분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선행특허문헌이 등록특허공보 제10-1051965호는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를 개시하고 있는데, 도 24는 선행 특허공보 제10-105196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형틀 내부에 설치된 유압잭을 이용하여 형틀을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수판 설치용 형틀이 부착된 스톱-엔드 강관의 경우 형틀 내부에 다수의 유압잭(2000)을 설치하여 도 25의 방법 2처럼 콘크리트 면을 수평방향으로 밀어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시키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깊은 지하연속벽을 시공할 경우에는 비경제적이고 지중에 있는 유압잭(2000)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되어 스톱-엔드 강관을 분리하기 곤란할 수도 있다.
도 22는 지진 시 지하 연속벽체에 의한 지하외벽의 거동을 나타낸다.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도 22와 같이 지하연속벽에 의한 지하외벽의 수직 이음부로 인하여 지하외벽의 강도와 강성이 약해지고, 지진으로 인한 추가 수직 변위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지하구조물의 수평변위가 증가되어 지상구조물에 더 큰 지진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더구나 선행 특허공보 제10-1051965호에 개시되는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는 수직방향 전단키를 형성하여 수평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으나 수직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수평 전단키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 또는 풍하중 횡력에 의한 휨에 따른 수직 이음부에서의 수직 전단력에 취약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도 23의 경우나 선행특허 제10-0758504호에서와 같은 톱니모양 수직 이음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먼저 수직 이음부의 구조적 관점 등에서 해결하고자 한다.
즉, 도 22에서와 같이, 종래의 도 23의 원형 스톱-엔드 강관, 종래의 톱니모양 수직 이음부, 그리고 도 24에서와 같은 수직방향 전단키만 형성하는 패널 조인트의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지중 횡력에 의한 휨에 따른 수직 이음부에서의 수직 전단력에 대한 취약성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 이음부에 수직 전단력에 저항성을 갖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하기 위한 형틀 내지 스톱-엔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구조의 전단키 형성용 형틀 내지 스톱-엔드를 개발하여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 이음부에 수직 전단력에 저항성을 갖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도 수평방향 전단키의 요철 특성 상 새로운 구조의 전단키 형성용 형틀 내지 스톱-엔드를 선시공 벽체로부터 분리시키기 곤란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단키 형성용 형틀이 부착된 스톱-엔드를 선시공 벽체의 콘크리트 전단키가 손상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구조의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지하 연속벽체의 선시공 벽체와 후시공 벽체 간 결합면인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있어서, 수직 이음부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 외에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를 더 형성시키는 전단키 형성부; 및 전단키 형성부가 결합되는 선시공 벽체측 제1 플레이트, 후시공 굴착측 제2 플레이트 및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선시공 벽체로부터의 분리를 위한 횡력의 작용점 영역이 제1 또는 제2 플레이트에 또는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이 제안된다.
하나의 예에서, 전단키 형성부는 제1 플레이트에 체결부재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지지부는 리프팅용 구멍이 구비된 상단 지지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몸체부 및 하단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수직이음 체결부재에 의해 조립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 각각은 2이상의 핀홀이 구비되고 원통, 사각기둥 또는 판재 형상의 수직이음용 강재 및 핀홀 각각을 관통하는 2이상의 강재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직이음 체결부재에 의해 조립 결합되는 연결부 상측과 연결부 하측 각각은 수직이음용 강재를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결합면을 형성하는 말단 수직이음면, 지지부 내측에 수직이음용 강재를 고정시키는 강재 고정핀이 삽입 고정되도록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핀삽입 포인트 및 수직이음용 강재의 상하방향 일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강재고정홀이 구비된 내부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수직이음용 강재는 상하방향 단부의 직경 내지 폭이 작아지도록 양측 말단부위에 단차를 형성하고, 핀삽입 포인트는 강재 고정핀이 핀홀 관통 전 삽입 관통하도록 제1 외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핀 삽입구와 강재 고정핀이 핀홀 관통 후 삽입 고정되도록 제2 외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핀고정홀 내지 핀고정홈으로 이루어지고, 핀 삽입구의 내주면과 강재 고정핀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핀 삽입구에 강재 고정핀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강재 고정핀의 후단면에 강재 고정핀을 나사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도구용 각홈이 형성될 수 있고, 원통 형상의 수직이음용 강재가 말단 수직이음면 상의 관통홀을 관통 시 안내되도록 수직이음용 강재의 외주면과 관통홀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도록 돌기와 홈 또는 홈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하단 지지부는 하부 선단부가 뽀쪽해지도록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하부 선단부까지 경사진 경사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단키 형성부는 하나의 형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수의 형틀로 이루어져 제1 플레이트 상에서 연속되게 연결되거나 불연속될 수 있다. 게다가, 전단키 형성부는 선시공 벽체의 수직 이음부 측에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는 수평키 형틀돌부 및 수직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는 수직키 형틀부를 구비하되, 수직 이음부의 중앙부를 따라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수직 이음부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가장자리 내측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수직 이음부의 센터를 벗어나 일측에 치우치게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수직방향 전단키를 기준으로 센터 방향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전단키 형성부는 수평방향 전단키 및 수직방향 전단키 각각의 가로 및 세로 절단면 각각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되 수평방향 전단키의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 그리고 수직방향 전단키의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가 되도록 수평방향 전단키 및 수직방향 전단키를 수직 이음부에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선시공 벽체의 수직 이음부 측 중앙부를 따라 또는 수직 이음부의 센터를 벗어나 일측에 치우치게 수직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는 수직키 형틀부는 중앙을 따라 지수판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지수판 홈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1 플레이트는 상부측에 전단키 형성부가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노출면을 구비하고, 지지부는 연속벽체 굴착용 가이드 월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비결합 노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이드 월 상측으로 노출시키고,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를 위한 횡력의 작용점이 비결합 노출면의 일부에 또는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지지부는 선시공 벽체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툴이 걸리거나 지지되도록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툴받침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이때 툴받침요소는 제2 플레이트에, 지지 플레이트로서 제2 플레이트에 수직한 외측 지지 플레이트에, 또는 제2 플레이트 및 외측 지지 플레이트 모두에 형성되되,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툴받침요소는 단면상 ┣형홈 또는 절곡형홈 구조이고 외측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툴받침요소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의 바깥으로 돌출된 제2 플레이트의 돌출부와 함께 형성된 단면상 ∪형홈 또는 단턱 구조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플레이트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외측 지지 플레이트과 함께 콘크리트유입 방지부재의 삽입을 위한 부재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외측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단면상 ∪형홈 구조의 홈폭은 지지부 상단에서부터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다가 일정해지고, 단면상 ┣형홈 구조에 삽입되는 ┣형상의, 또는 단면상 ∪형홈 구조나 절곡형홈 구조에 삽입되거나 단턱 구조에 걸리는 ┌형상의 분리용 툴은 연속벽 굴착장비의 장치틀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지하 연속벽체의 선시공 벽체와 후시공 벽체 간 결합면인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선시공 굴착구 내에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과 선시공 철근망을 삽입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선시공 벽체를 형성하는 선시공벽체 형성단계; 선시공 벽체에 이웃하는 후시공 굴착구를 형성하고 횡력을 가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선시공 벽체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하되, 횡력의 작용점 영역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제1 또는 제2 플레이트에 또는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 및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이 제거된 후시공 굴착구 내에 삽입된 후시공 철근망으로 콘크리트 타설하여 선시공 벽체와 수직 이음부를 공유하는 후시공 벽체를 형성하는 후시공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이 제안된다.
하나의 예에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제1 플레이트는 상부측에 전단키 형성부가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노출면을 구비하고, 지지부는 연속벽체 굴착용 가이드 월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비결합 노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이드 월 상측으로 노출시키고,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가이드 월 상측으로 노출되는 비결합 노출면의 일부에 또는 지지부 상단에 횡력이 작용하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선시공 벽체로부터 점차 분리시키되, 가이드 월 상에 설치된 반력대에 의해 지지된 유압잭의 스트로킹에 의해 또는 견인가능장비를 이용한 수평방향 견인에 의해 횡력을 가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연속벽 굴착장비의 장치틀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 설치된 분리용 툴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툴받침요소에 걸리거나 지지되며 형성되는 횡력의 작용점을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시키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선시공 벽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툴받침요소는 제2 플레이트에, 제2 플레이트에 수직한 외측 지지 플레이트에, 또는 제2 플레이트 및 외측 지지 플레이트 모두에 형성되되,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툴받침요소는 단면상 ┣형홈 또는 절곡형홈 구조이고 외측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툴받침요소는 단면상 ∪형홈 또는 단턱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연속벽 굴착장비의 장치틀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중간 및 하부 위치에 조립 설치된 분리용 툴이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되며 작용점을 형성하는 툴받침요소와의 접촉영역에서 상하 양측은 분리방향으로의 인장력을 그리고 중간측은 인장력에 반발하는 압축력을 제공하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분리방향으로의 종합 횡력을 가하여 선시공 벽체로부터 점차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하나의 예에서, 상부보다 하부의 상기 분리용 툴이 상기 장치툴 가장자리로부터 길게 돌출될 수 있다. 게다가, 상부, 중간 및 하부 분리용 틀은, 모두 홈 구조의 툴받침요소에 끼워지거나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하 양측은 홈 구조의 걸리는 면에 인장력을 그리고 중간측은 홈 구조에서 걸리는 방향의 반대쪽에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하 양측은 홈 또는 단턱 구조의 툴받침요소에 걸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홈 또는 단턱 구조의 걸리는 면에 인장력을 그리고 중간측은 제2 플레이트의 횡방향으로 나란한 바(bar) 구조로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에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선시공벽체 형성단계에서, 전단키 형성부는 수직 이음부의 중앙부를 따라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수직 이음부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가장자리 내측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수직 이음부의 센터를 벗어나 일측에 치우치게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수직방향 전단키를 기준으로 센터 방향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수직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는 전단키 형성부의 수직키 형틀부에 형성된 지수판 홈에 지수판이 끼워져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지수판이 선시공 벽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 후 후시공벽체 형성단계에서 지수판이 후시공 벽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은, 선시공 벽체와 후시공 벽체가 연속된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 및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연속벽체 구속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캡빔 및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의 철근과 결합되고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 이음부에서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 이음부에 수직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함으로써 도 22에서와 같은 지진 등의 지중 횡력에 의한 휨에 따른 수직 이음부에서의 수직 전단력에 대한 취약성을 해결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가 곤란한 선시공 벽체 측 수직 이음부의 수평방향 전단키의 요철 특성에도 불구하고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분리시키기 위한 횡력의 작용점 영역을 쉽고 간편하게 분리 작업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분리 작업이 쉽고 용이해지고 분리 시 수직 이음부 상의 전단키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c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a 내지 6d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a 및 7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에 의한 연결상태의 정방향 및 측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를 이용한 상하측 연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d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의 강재 고정핀 체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e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부위 수평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a 및 8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 상단 지지부의 정방향 및 측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c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 상단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 하단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14는 각각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a 내지 15e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각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a 내지 16e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각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의 다양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지지부 상단부에 횡력을 가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8b 및 18c는 각각 도 18a에 따른 횡력을 가하는 방법의 하나로 양쪽 유압잭을 동시에 스트로킹하는 방법과 각 유압잭을 번갈아 스트로킹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9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지지부 상부에서부터 점차 아래로 내려가며 횡력을 가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9b 및 19c는 각각 도 19a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를 위해 연속벽 굴착장비에 설치된 분리용 툴을 이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0a 및 20b는 각각 도 19b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 시 연속벽 굴착장비에 설치된 분리용 툴을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툴받침요소에 걸어 분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0c는 도 19b 및 19c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 시 이용되는 분리용 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1a 및 21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캡빔 및 테두리보가 형성된 정면 및 측면에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1c는 도 21a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의 테두리보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2는 지진 시 지하 연속벽체에 의한 지하외벽의 거동을 나타낸다.
도 23은 종래의 스톱-엔드 강관을 이용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4는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형틀 내부에 설치된 유압잭을 이용하여 형틀을 분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5는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스톱-엔드 강관을 리프팅으로 제거하거나 분리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c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a 내지 6d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a 및 7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에 의한 연결상태의 정방향 및 측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를 이용한 상하측 연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d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의 강재 고정핀 체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e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부위 수평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a 및 8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 상단 지지부의 정방향 및 측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c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 상단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 하단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14는 각각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a 내지 15e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각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a 내지 16e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각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의 다양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지지부 상단부에 횡력을 가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8b 및 18c는 각각 도 18a에 따른 횡력을 가하는 방법의 하나로 양쪽 유압잭을 동시에 스트로킹하는 방법과 각 유압잭을 번갈아 스트로킹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9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지지부 상부에서부터 점차 아래로 내려가며 횡력을 가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9b 및 19c는 각각 도 19a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를 위해 연속벽 굴착장비에 설치된 분리용 툴을 이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0a 및 20b는 각각 도 19b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 시 연속벽 굴착장비에 설치된 분리용 툴을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툴받침요소에 걸어 분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0c는 도 19b 및 19c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 시 이용되는 분리용 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1a 및 21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캡빔 및 테두리보가 형성된 정면 및 측면에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1c는 도 21a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의 테두리보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2는 지진 시 지하 연속벽체에 의한 지하외벽의 거동을 나타낸다.
도 23은 종래의 스톱-엔드 강관을 이용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4는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형틀 내부에 설치된 유압잭을 이용하여 형틀을 분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5는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스톱-엔드 강관을 리프팅으로 제거하거나 분리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
우선,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 1a 내지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후술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실시예 및 도 10 ~ 20c가 참조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부호가 해당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경우 다른 도면에 도시된 동일 부호를 참작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c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b는 도 2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3b는 도 3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4b는 도 4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의해 형성된 선시공 벽체측 수직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5b는 도 5a의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의 전단키 형성부의 평면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a 내지 6d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a 및 7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에 의한 연결상태의 정방향 및 측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7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를 이용한 상하측 연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7d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의 강재 고정핀 체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e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부위 수평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a 및 8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 상단 지지부의 정방향 및 측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8c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 상단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서 하단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지하 연속벽체의 선시공 벽체(10)와 후시공 벽체(20) 간 결합면인 수직 이음부(300)를 형성하기 위한 틀이다. 이때, 도 1a 내지 1c, 6a 내지 6d, 그리고/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전단키 형성부(110) 및 지지부(130, 130a-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a 내지 1c, 2a 내지 2b, 3a 내지 3b, 4a 내지 4b, 5a 내지 5b, 6a 내지 6d, 그리고/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선시공 벽체(10)와 후시공 벽체(20) 간 결합면인 수직 이음부(300)에 전단키를 형성시킨다. 예컨대 전단키 형성부(110)는 수직 이음부(300)에 전단키(310, 330)를 형성하기 위한 틀구조를 갖추기 위해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금속판을 이용하여 전단키 형성부(110)를 제작함으로써 지지부(130, 130a-d) 상에 체결부재나 용접 등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단키 형성부(110)는 수직 이음부(300)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 외에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 이음부(300) 결합면에서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별도 전단저항부재의 공유없이 선시공 벽체(10)와 후시공 벽체(20)의 결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수직 이음부(300)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키고, 도 3a 내지 3b, 4a 내지 4b, 그리고/또는 5a 내지 4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수직이음부(300)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킨다. 이때, 수평방향은 지하 연속벽체를 관통하는 방향이고, 수직방향은 지하 연속벽체 내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길이방향이다. 예컨대, 전단키 형성부(110)는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단키 형성부(110)는 하나의 형틀로 형성되거나 다수 형틀유닛으로 형성되며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에 결합될 수 있다. 전단키 형성부(110)가 다수 형틀유닛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속되게 연결되거나 제1 플레이트(1301)에서 불연속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c, 6a 내지 6d, 그리고/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지지부(130, 130a-d)는 선시공 벽체측 제1 플레이트(1301), 후시공 굴착측 제2 플레이트(1302) 및 제1 및 제2 플레이트(1301, 1302)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303, 1304)를 포함한다. 이때, 선시공 벽체(10)로부터의 분리를 위한 횡력의 작용점 영역이 제1 또는 제2 플레이트(1301, 1302)에 또는 지지부(130, 130a-d)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단키 형성부(110)가 제1 플레이트(1301) 상에 결합된다.
예컨대, 지지부(130, 130a-d)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지 않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1b 내지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유닛이 조립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지지부(130, 130a-d)에 의해 지지되는 전단키 형성부(110)는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에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부재는 볼트부재, 리벳부재, 와이어 체결 등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와이어 체결은 볼트 구멍과 같은 구멍을 형성하여 체결될 수 있다. 접착부재에 의한 결합도 가능하지만 접착력이 약한 경우에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 시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킬 때 전단키 형성부(110)와 지지부(130, 130a-d) 간의 접착 결합이 분리되며 전단키 형성부(110)가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남을 수 있어 부적절하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도 1a 및 1c에 도시된 방향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정면이 되고, 도 1b는 정면에서 바라보는 단면이 된다.
전단키 형성부(110)
먼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전단키 형성부(110)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a 내지 1c, 2a 내지 2b, 3a 내지 3b, 4a 내지 4b, 5a 내지 5b, 6a 내지 6d, 그리고/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수직 이음부(300)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 외에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5b 및/또는 16b의 선시공벽체 형성과정에서, 전단키 형성부(110)는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b, 3b, 4b 및/또는 5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의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그와 이웃하는 오목부(112)가 도 2a, 3a, 4a 및/또는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 상에 수평 홈부(310b)와 그와 이웃하는 수평 돌부(310a)를 형성시킴으로써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2b, 4b 및 5b에서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의 가장자리 측면은 측면 막음판(117)으로 막을 수 있다. 도 3b의 경우에는 별도의 측면 막음판이 필요없다.
또한,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선시공벽체 형성과정에서 전단키 형성부(110)가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 외에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키는 경우, 도 3b에서와 같이 좌우상하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가장자리 내측에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를 예컨대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 상에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에 매칭되는 수평 홈부(310b)를 형성시키고 동시에 수직 이음부(300) 상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는 수직 돌부(330, 330a)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좌우 양측 수직방향 전단키(330)와 그 사이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3b에서 좌우 양측 가장자리는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하는 수직키 형틀부(114)가 된다. 예컨대, 도 3b에서는 수직키 형틀부(114)가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대비하여 후퇴한 오목부(114)에 해당된다. 예컨대 도 3b보다 복잡해지지만 도 3b의 전단키 형성부(110) 형틀과 매칭되게 반대 형틀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좌우 양측 가장자리는 측면이 막음판에 의해 막힌 볼록부에 해당하고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 상에 좌우 양측이 돌출된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3b와 반대 형틀의 경우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볼록부 중 어느 하나에 지수판(120)이 도 4b에서와 같이 고정되게 삽입 설치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게다가 4a 및 4b를 참조하면 선시공벽체 형성과정에서 전단키 형성부(110)가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 외에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키는 경우, 도 4b에서와 같이 중심부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를 형성하고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의 양측 각각에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그에 이웃하는 오목부(112)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때, 돌출된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의 가장자리 측면은 측면 막음판(117)을 이용하여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b에서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 상에 수직 홈부(330b) 형상의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키고, 도 4b에서 수직키 형틀부(113)의 양측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그에 이웃하는 오목부(112)는 각각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 상에 다수의 수평 홈부(310b) 및 수평 돌부(310a) 형상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키 형성부(110)의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에 지수판 홈(113a)을 형성하여 지수판 홈(113a)에 지수판(120)이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b에서와 같이 전단키 형성부(110)의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에 지수판 홈(113a)이 구비된 경우, 예컨대 홈바닥이 구비된 지수판 홈(113a) 영역과 그의 양측 주변을 분리 제작하고 지수판 홈(113a) 영역을 결합시킴으로써 도 4b의 전단키 형성부(110)를 제작하거나, 지수판 홈(113a) 영역을 먼저 형성시킨 후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를 형성시키고 이후 좌우측에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를 형성시킴으로써 제작하거나 또는 도 4b와 같이 지수판 홈(113a) 바닥이 없이 지수판 홈(113a)을 중심으로 2개로 나눠진 형틀을 지지부(130, 130a-d) 상에 지수판 홈(113a)이 형성되도록 결합시켜 지수판 홈(113a)이 구비된 수직키 형틀부(113)를 갖는 전단키 형성부(110)가 제작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선시공벽체 형성과정에서 전단키 형성부(110)가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 외에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키는 경우, 도 5b에서와 같이 센터를 벗어나 일측에 치우치게 형성된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를 형성하고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를 기준으로 센터 방향에만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그에 이웃하는 오목부(112)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수직키 형틀부(113)가 센터에서 충분히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으로써 수직키 형틀부(113)를 기준으로 좌우 중 치우치지 않은 측, 즉 공간이 넓은 측에만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그에 이웃하는 오목부(112)를 형성시키고 나머지 수직키 형틀부(113) 기준으로 반대쪽은 수평키 형성을 위한 요소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돌출된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의 가장자리 측면은 측면 막음판(117)을 이용하여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b에서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와 오목한 수직키 형틀부(114)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 상에 수직 홈부(330b) 및 수직 돌부(330a) 형상이 조합된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키고, 도 5b에서 수직키 형틀부(113)를 중심으로 센터 방향측에서 형성된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그에 이웃하는 오목부(112)는 각각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 상에서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기준으로 센터 방향쪽에서 다수의 수평 홈부(310b) 및 수평 돌부(310a) 형상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키 형성부(110)의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에 지수판 홈(113a)을 형성하여 지수판 홈(113a)에 지수판(120)이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은 전단키 형성부(110) 형틀의 제작은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의 센터와 반대방향에서 오목부(114)만 형성되고 수평키 형성돌부(111)와 그이 에이웃하는 오목부(112)가 형성되지 않아 도 4b의 경우보다 제작이 용이하다. 예컨대 지수판 홈(113a)을 기준으로 좌우측 형틀을 별도 제작하여 지지부(130, 130a-d) 상에 결합시킬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b, 3b, 4b 및/또는 5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나의 예에서,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에 결합되는 전단키 형성부(110)는 하나의 형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수의 형틀로 이루어져 제1 플레이트(1301) 상에서 연속되게 연결되거나 불연속될 수 있다. 하나의 형틀 또는 다수의 형틀로 이루어지는 전단키 형성부(110)는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지지부(130, 130a-d)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현장 여건, 재사용 편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단키 형성부(110)의 결합방식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형틀이 불연속으로 지지부(130, 130a-d)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하나의 형틀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형틀을 연속되게 결합시키는 경우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지지부(130, 130a-d)가 상단 지지부(1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조립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전단키 형성부(110)는 상단 지지부(1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 각각에 또는 그들 중 일부에만 결합되는 형틀유닛의 조합일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형틀유닛의 조합은 상단 지지부(131),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조립 결합에 의해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 상에서 전단키 형성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단 지지부(131),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조립 결합 전에 각각에 또는 그들 중 일부에만 전단키 형성부(110)의 형틀유닛이 결합되고, 상단 지지부(131),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조립 결합에 의해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 상에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b, 4b 및 5b에서 수직키 형틀부(113, 114)가 전구간 연속된 경우 하나의 형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4b 및 5b에서 지수판 홈(113a)이 구비되는 경우 지수판 홈(113a)을 기준으로 형틀이 나누어 질 수 있고, 도 2b에서 수평키 형틀돌부(111)가 이웃하는 오목부(112)와 번갈아 전구간 연속인 경우 하나의 형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와 같이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만을 구비한 수직 이음부(300)를 형성하는 경우 도 2b와 달리 수평키 형틀돌부(111)만으로 다수의 형틀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도 2b에서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오목부(112)가 번갈아 일부구간 씩만 형성된 형틀의 경우 불연속적으로 또는 일부씩 포개지거나 연결되며 연속적으로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a 4a 및 5a와 같이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 외에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수직 이음부(300)에 형성하는 경우, 도 3b, 4b 및 5b에서 수직키 형틀부(113, 114)가 일부구간 씩 형성된 형틀의 경우 불연속적으로 또는 일부씩 포개지거나 연결되며 연속적으로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b, 4b, 5b, 6a 내지 6d, 및/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선시공 벽체(10)의 수직 이음부(300) 측에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키는 수평키 형틀돌부(111) 및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키는 수직키 형틀부(113, 11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b 및/또는 5b 의 볼록한 수직키 형틀부(113)는 도 4a 및/또는 5a에서와 같이 선시공 벽체(10)의 수직 이음부(300) 상에 수직 홈부(330, 330b)를 형성시키고, 도 3b 및/또는 5b의 상대적으로 오목한 수직키 형틀부(114)는 도 3a 및/또는 5a에서와 같이 선시공 벽체(10)의 수직 이음부(300) 상에 수직 돌부(330, 330a)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키는 수직키 형틀부(113, 114)는 도 4b 및/또는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 상에 수직 홈부(330b)를 형성시키는 돌출 구조(113)이거나 도 3b 및/또는 5b에서와 같이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 상에 수직 돌부(330a)를 형성시키는 상대적 오목 구조(114)일 수 있다. 도 5b에서는 돌출구조(113)와 이웃하는 상대적 오목구조(114) 조합에 의한 수직키 형틀부에 의해 선시공 벽체(10) 측 수직 이음부(300) 상에 수직 돌부(330a)와 그에 이웃하는 수직 홈부(330b)에 의한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a, 4b, 6a 내지 6d, 및/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수직 이음부(300)의 중앙부를 따라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그리고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수직 이음부(300)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그리고 가장자리 내측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수직 이음부(300)의 센터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그리고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기준으로 센터 방향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6a 내지 6d, 및/또는 20a 내지 20b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3b, 3b 또는 5b와 같은 구조의 전단키 형성부(110)를 도 6a 내지 6d, 및/또는 20a 내지 20b에 도시된 지지부(130, 130a-d)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만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도 3b, 4b 및/또는 5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수평방향 전단키(310) 및 수직방향 전단키(330) 각각의 가로 및 세로 절단면 각각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되 수평방향 전단키(310)의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 그리고 수직방향 전단키(330)의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가 되도록 수평방향 전단키(310) 및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수직 이음부(300)에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4b 또는 5b의 경우 지수판 홈(113a)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 이음부(300)의 중앙부에 또는 수직 이음부(300)의 센터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수직방향으로 지수판(120)을 설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4b의 전단키 형성부(110)는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의 좌우 양측 각각에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오목부(112)를 번갈아 형성시키고 수평키 형틀돌부(111)의 측면을 막는 측면 막음판(117)이 구비될 수 있고, 도 5b의 경우 수직키 형틀부(113)를 기준으로 센터방향에만 수평키 형틀돌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키 형틀돌부(111)의 측면을 막는 측면 막음판(11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b, 5b, 6a 내지 6d, 및/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선시공 벽체(10)의 수직 이음부(300) 측 중앙부를 따라 또는 센터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수직방향으로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키는 수직키 형틀부(113)는 형틀부 중앙을 따라 지수판(12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지수판 홈(113a)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6a 내지 6d, 및/또는 20a 내지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수판 홈(113a)에 지수판(12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만일 도 6a와 같이 지수판 홈(113a)에 지수판(120)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로 수직 이음부(30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지수판 홈(113a)에 채움판을 끼워넣어 수직 이음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도 6a의 경우에도 지수판 홈(113a)에 지수판(120)을 끼워 넣어 선시공 벽체(10)를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전단키 형성부(110)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강판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부가 있어서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평강판을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를 구비한 절곡판 또는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수직키 형틀부(113, 114)를 구비한 절곡판으로 가공하기 전에 콘크리트와 닿는 부분의 강판 면은 매끄러운 면이 되도록 연마(갈기, polishing)하여 콘크리트가 쉽게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키 형틀돌부(111)의 접는 각도와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키 형틀부(113, 114)의 접는 각도는 전단키에 의한 수직 이음부(300)의 강도 및 강성을 고려하고 콘크리트 전단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30도에서 60도 사이로 할 수 있다. 또한 형틀이 콘크리트 전단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절곡판의 모서리는 곡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모서리의 외측 곡률반경 R은 강판 두께 t에 따라서 2~2.5배로 할 수 있고(R = 2.0t ~ 2.5t),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130, 130a, 130b, 130c, 130d)
다음으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130, 130a, 130b, 130c, 130d)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a 내지 1c, 6a 내지 6d, 그리고/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지지부(130, 130a-d)는 전단키 형성부(110)와 결합되며 전단키 형성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30, 130a-d)는 선시공 벽체측 제1 플레이트(1301), 후시공 굴착측 제2 플레이트(1302) 및 제1 및 제2 플레이트(1301, 1302)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303, 13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단키 형성부(110)가 제1 플레이트(1301) 상에 결합된다. 제1 플레이트(1301)는 지지부(130, 130a-d)의 선시공 벽체측 플레이트이고, 제2 플레이트(1302)는 지지부(130, 130a-d)의 후시공 굴착측 플레이트로서 제1 플레이트(1301)의 맞은 편 플레이트이다. 예컨대 지지 플레이트(1303, 1304)는 도 6a 내지 6d에서와 같이 내부 웨브 플레이트인 내부 지지 플레이트(1304)와 내부 지지 플레이트(1304)의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의 조합일 수 있다. 예컨대 도 6a 내지 6d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플레이트(1301, 1302)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는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플레이트(1301)의 상부측에 또는 지지부(130, 130a-d)의 상단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분리를 위한 횡력의 작용점이 형성되거나 또는/및 제2 플레이트(1302) 또는/및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 상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분리를 위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 상에 툴받침요소(1303a)가 형성되는 경우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로부터 돌출된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가 툴받침요소(1303a), 예컨대 단면상 ∪형홈의 측벽을 형성하며 횡력의 작용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도 1a 내지 1c, 6a 내지 6d, 그리고/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전단키 형성부(110)는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에 체결부재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플레이트(1301)에 결합되는 전단키 형성부(110)는 하나의 형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수의 형틀로 이루어져 제1 플레이트(1301) 상에서 연속되게 연결되거나 불연속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도 1b, 1c 및/또는 17을 참조하면, 지지부(130, 130a-d)의 선시공벽체측 플레이트로서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1301)는 상부측에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노출면(1301a)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의 B과정에서와 같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분리를 위한 횡력이 지지부 상부측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부(130, 130a-d)는 연속벽체 굴착용 가이드 월(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1301)의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된다. 이때,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분리를 위한 횡력의 작용점이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되는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일부에 또는 지지부(130, 130a-d)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의 B과정에서와 같이 반력대(2500)에 지지된 유압잭(2000)에 의한 횡력을 가하는 경우 횡력의 작용점은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된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8a에서 횡력(F-1, F-2, F-3, F-4)을 나타내는 화살표는 횡력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도 17의 B과정에서와 같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휘거나 분리되어지는 방향의 반대편에서 유압잭(2000)으로 밀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살표의 끝단 방향에서 굴삭기, 윈치, 크레인 등의 견인가능장비를 이용한 수평방향 견인에 의해 도 18a의 횡력(F-1, F-2, F-3, F-4)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상에서 굴삭기, 윈치, 크레인 등의 견인가능장비를 이용한 수평방향 견인으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횡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횡력의 작용점이 와이어 등을 이용하는 경우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되는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일부에 또는 후크 등을 이용하는 경우 지지부(130, 130a-d)의 상단, 예컨대 리프팅용 구멍(131a)에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견인가능장비(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는 경우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되는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트(1302)의 상부측 일부 영역에 와이어로 묶거나 구멍 또는 고리를 형성시켜 후크를 체결하여 수평방향 횡력을 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도 1a 내지 1b를 참조하면, 지지부(130, 130a-d)는 리프팅용 구멍(131a)이 구비된 상단 지지부(131),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연결부위가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해 조립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리 제작된 상단 지지부(1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결합을 통해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지하 연속벽체 시공깊이는 지하층수에 따른 지하 구조물의 깊이, 지반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시공할 지하 연속벽체 깊이에 적합한 길이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130, 130a-d)는 제작, 보관, 운송, 이음 등을 고려하여 개별 요소의 최대 길이는 일반적으로 12m 이하로 하여야 하므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130, 130a-d) 조립체에는 현장 이음부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도 1a 내지 1c, 및/또는 7a 내지 7c를 참조하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130, 130a-d)는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해 적합한 길이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30, 130a-d)가 상단 지지부(1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1a에서와 같이 전단키 형성부(110)가 상단 지지부(1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에 걸쳐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제1 플레이트(1301)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지지부(131)를 제외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에 걸쳐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전단키 형성부(110)는 하나의 형틀로 또는 다수의 형틀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나의 예에서 다수의 형틀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단 지지부(131),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 별로 개별 형틀유닛이 결합되거나 일부에만 개별 형틀유닛이 결합된 후 상단 지지부(131),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조립 결합에 따라 개별 형틀유닛의 조합에 의한 전단키 형성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단 지지부(131)에 개별 형틀유닛이 결합되지 않거나, 또는 하단 지지부(135)가 실질적으로 개별 형틀유닛을 결합시키기 곤란한 경우 예컨대 하단 지지부(135)에서 선시공벽체측 플레이트인 제1 플레이트(1301) 영역의 길이가 수평방향 전단키의 상하폭 이하 또는 수평방향 전단키의 상하폭 절반 이하인 경우 하단 지지부(135)에 개별 형틀유닛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상단 지지부(131),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조립 결합에 따라 일부 구간에만 전단키 형성부(110)가 구비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경우 상단 지지부(131)에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되지 않거나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301)의 상부측에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노출면(1301a)이 형성되도록 하여 지하 연속벽체 시공 시 지지부 상단부에 횡력을 가하여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하는데 유용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a의 경우에도 상단 지지부(131)의 상부측에 횡력의 작용점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되지 않는 영역을 남겨두고 횡력을 가하여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 제거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a 및/또는 1b의 경우 상단 지지부(1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체결 결합 후 또는 도 1b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의 체결 결합 후, 전단키 형성부(110)가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전단키 형성부(110)가 다수 형틀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될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에 상응하는 영역이 포함된 상단 지지부(1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 각각이 개별적으로 전단키 형성부(110) 단위유닛과 결합 후에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해 체결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a 내지 1b에서, 상단 지지부(1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를 각각 결합시키는 수직이음 체결부재(150)는 도 1b, 7a 내지 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b에서와 같이 상단 지지부(131)에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b, 7a 내지 7d에 도시된 수직이음 체결부재(150)가 아닌 예컨대 볼트방식 등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할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분리 제거 시 체결부재에 의한 결합부위가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한편, 상단 지지부(1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33) 및 하단 지지부(135)를 용접시키는 경우 지지부(130, 130a-d)가 일체가 되므로 도 1c와 동일해진다.
수직이음 체결부재(150)는 지지부(130, 130a-d)의 연결부 상측(130-1)과 연결부 하측(130-2), 즉 상단 지지부(131)와 몸체부(133) 사이, 다수의 몸체부(133)의 경우 이웃하는 몸체부(133) 사이, 그리고 몸체부(133)와 하단 지지부(135) 사이를 체결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 130a-d)의 연결부 상측(130-1)과 연결부 하측(130-2) 체결 결합 각각의 경우에 1개 또는 1세트의 수직이음 체결부재(150)로 체결될 수도 있으며 연속벽체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다수 개 또는 다수 세트의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해 체결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b는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한 체결 결합 부위의 측방향 단면을 나타내는데, 2세트의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해 연결부 상측(130-1)과 연결부 하측(130-2)이 체결 결합되고 있다.
또한, 도 1b, 7a 내지 7d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150)는 수직이음용 강재(151) 및 강재 고정핀(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이음용 강재(151)는 원통, 사각기둥 또는 판재 형상일 수 있고, 2이상의 핀홀(151a)이 구비될 수 있다. 2이상의 핀홀(151a)은 핀홀(151a)에 상응하는 강재 고정핀(153)이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해 조립 결합되는 지지부(130, 130a-d)의 연결부 상측(130-1)과 연결부 하측(130-2) 각각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수직이음용 강재(151) 상에 형성된다.
강재 고정핀(153)은 핀홀(151a)의 수에 상응하게 구비된다. 예컨대, 수직이음용 강재(151)에 구비된 2이상의 핀홀(151a)에 대하여 핀홀(151a) 각각을 관통하는 2이상의 강재 고정핀(153)이 구비된다. 예컨대, 도 7a 및 7d를 참조하면, 핀홀(151a)을 관통하는 강재 고정핀(153)은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산(153a)이 형성되어 핀홀(151a) 관통 전 삽입 관통하도록 지지부(130, 130a-d)의 제1 외면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핀 삽입구(1302d)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도 7d를 참조하면, 강재 고정핀(153)의 후단면에 강재 고정핀(153)을 나사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도구용 각홈(153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b, 7a 내지 7e, 8a 내지 8b 및/또는 9를 참조하면,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해 조립 결합되는 연결부 상측(130-1)과 연결부 하측(130-2) 각각은 결합면을 형성하는 말단 수직이음면(1305), 강재 고정핀(153)이 삽입 고정되는 핀삽입 포인트(1301c, 1301d, 1302c) 및 내부고정판(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말단 수직이음면(1305)은 수직이음용 강재(151)를 관통시키는 관통홀(1305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305a)의 형상은 수직이음용 강재(151)의 단면과 매칭되도록 형성된다. 도 7e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130, 130a-d)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부위 수평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예컨대 도 7e를 참조하면, 원통 형상의 수직이음용 강재(151)가 말단 수직이음면(1305) 상의 관통홀(1305a)을 관통 시 안내되도록 수직이음용 강재(151)의 외주면과 관통홀(1305a)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도록 돌기와 홈 또는 홈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e에서는 관통홀(1305a) 내주면에 안내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달리 관통홀(1305a) 내주면에 안내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직이음용 강재(151)가 사각기둥 내지 판재 형상인 경우 도 7e에서와 같은 안내용 돌기 또는 도시되지 않은 안내용 홈은 필요없을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b, 7a 내지 7d, 8a 내지 8b 및/또는 9를 참조하면, 지지부(130, 130a-d) 내측에 수직이음용 강재(151)를 고정시키는 강재 고정핀(153)이 삽입 고정되는 핀삽입 포인트(1301c, 1301d, 1302c)는 강재 고정핀(153)이 삽입 고정되도록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1301, 1302, 1303)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핀삽입 포인트(1301c, 1301d, 1302c)가 형성되는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1301, 1302, 1303)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1301, 1302)의 조합이거나 제1 및 제2 플레이트(1301, 1302)에 수직한 양측의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의 조합일 수 있다. 예컨대, 도 7a 내지 7d, 8a 내지 8b 및/또는 9에서는 제1 플레이트(1301) 및 제2 플레이트(1302)에 핀삽입 포인트(1301c, 1301d, 1302c)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도 7a 내지 7d, 8a 내지 8b 및/또는 9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핀삽입 포인트(1301c, 1301d, 1302c)는 강재 고정핀(153)이 핀홀(151a) 관통 전 삽입 관통하도록 제1 외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핀 삽입구(1302d)와 강재 고정핀(153)이 핀홀(151a) 관통 후 삽입 고정되도록 제2 외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핀고정홀(1301d) 내지 핀고정홈(1301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외면 플레이트는 강재 고정핀(153)이 핀홀(151a) 관통 전 삽입 관통하는 핀 삽입구(1302d)가 형성된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이고, 제2 외면 플레이트는 강재 고정핀(153)이 핀홀(151a) 관통 후 삽입 고정되는 핀고정홈(1301c) 또는 핀고정홀(1301d)이 형성된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를 의미한다. 도 7a 내지 7d, 8a 내지 8b 및/또는 9에서 핀 삽입구(1302d)가 형성된 제1 외면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1302)로 도시되고 있으나, 도시된 바와 반대로 제1 플레이트(1301)가 제1 외면 플레이트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가 제1 및 제2 외면 플레이트가 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7c, 8a 내지 8b 및/또는 9에서는 제2 외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핀삽입 포인트(1301c)로서 핀고정홈(1301c)이 도시되고 있고, 도 7d에서는 제2 외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핀삽입 포인트(1301d)로서 핀고정홀(1301d)이 도시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플레이트(1302)가 핀고정홀(1301d) 내지 핀고정홈(1301c)이 형성되는 제2 외면 플레이트가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때, 도 7a 및 7d를 참조하면, 핀 삽입구(1302d)의 내주면과 강재 고정핀(153)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핀 삽입구(1302d)에 강재 고정핀(153)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7d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강재 고정핀(153)의 후단면에 강재 고정핀(153)을 나사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도구용 각홈(153b)이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b, 7a 내지 7c, 8a 내지 8b 및/또는 9를 참조하면, 내부고정판(1306)은 수직이음용 강재(151)의 상하방향 일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강재고정홀(1306a)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7a 내지 7c를 참조하면, 수직이음용 강재(151)는 상하방향 단부의 직경 내지 폭이 작아지도록 양측 말단부위에 단차를 형성한다. 이때, 내부고정판(1306)에 구비된 강재고정홀(1306a)은 연결부 상측(130-1) 내지 연결부 하측(130-2)의 말단 수직이음면(1305)에 형성된 관통홀(1305a)보다 직경 내지 폭이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해 연결부 상측(130-1)과 연결부 하측(130-2)이 결합 시 수직이음용 강재(151)의 단차에 의해 직경 내지 폭이 작아진 수직이음용 강재(151)의 양측 말단부위만 강재고정홀(1306a)에 삽입되며 수직이음용 강재(151)가 강재고정홀(1306a)에 구속되게 된다.
도 7c를 참조하여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의한 지지부(130, 130a-d)의 연결부 상측(130-1)과 연결부 하측(130-2)을 체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7c를 참조하면, [1단계]에서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의 수직이음용 강재(151)가 수직이음 체결부재(150)에 연결되는 지지부(130, 130a-d)의 연결부 하측(130-2)의 말단 수직이음면(1305)에 형성된 관통홀(1305a)을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연결부 하측(130-2)의 내부고정판(1306)에 구비된 강재고정홀(1306a)에 안착시킨 후, 강재 고정핀(153)으로 연결부 하측(130-2)의 핀삽입 포인트(1301c, 1301d, 1302c)와 수직이음용 강재(151)에 형성된 핀홀(151a)을 관통 삽입시켜 고정되게 체결한다. 다음 [2단계]에서, 수직이음용 강재(151)의 상측에서 지지부(130, 130a-d)의 연결부 상측(130-1)을 끼워 연결부 상측(130-1)의 말단 수직이음면(1305)에 형성된 관통홀(1305a)을 관통시켜 수직이음용 강재(151)의 상단이 연결부 상측(130-1)의 내부고정판(1306)에 구비된 강재고정홀(1306a)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3단계]에서 강재 고정핀(153)을 연결부 상측(130-1)의 핀삽입 포인트(1301c, 1301d, 1302c)와 수직이음용 강재(151)의 상측에 형성된 핀홀(151a)을 관통 삽입시켜 고정되게 체결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 현장에서 용접이나 다수 볼트 조임을 사용하지 않고도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다양한 길이로 조립할 수 있어 다양한 깊이의 연속벽을 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수직이음 체결을 쉽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고, 수직이음 연결부는 어긋남 없이 수직도를 유지할 수 있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 및/또는 8a 내지 8c를 참조하면, 상단 지지부(131)는 리프팅용 구멍(131a)을 구비한다. 예컨대 상단 지지부(131)의 상단에 리프팅용 구멍(13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단 지지부(131)의 리프팅용 구멍(131a)에 와이어 내지 후크를 체결하여 예컨대 크레인 등으로 끌어당겨 선시공벽체로부터 분리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리프팅하며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리프팅용 구멍(131a)은 상단 지지부(131) 상단의 강판 러그(131b)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도 8b를 참조하면 연속벽체의 두께 및/또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무게에 따라 다수의 강판 러그(131b)가 구비되어 다수의 리프팅용 구멍(13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1c 및/또는 9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지지부(130, 130a-d)는 하부 선단부(135a)가 뾰쪽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30, 130a-d)의 하부 선단부(135a)가 굴착공의 바닥면에 일부 박히며 선시공 벽체(10)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하단부위가 후시공굴착 예정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 130a-d)의 선시공벽체측의 제1 플레이트(1301)의 단부에서 하부 선단부(135a)까지 경사진 경사 플레이트(13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시공 벽체(10)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선시공벽체측으로부터 후시공 굴착측으로 콘크리트가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내지 1c 및/또는 9를 참조하면, 지지부(130, 130a-d)의 하부측 또는 하단 지지부(135)는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1301)의 하단보다 반대쪽인 제2 플레이트(1302)의 하단이 길게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1301)의 단부에서 제2 플레이트(1302)의 단부부위까지 경사진 경사 플레이트(1351)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내지 1c 및/또는 9에서의 도시와 달리 제1 및 제2 플레이트(1301, 1302) 각각의 단부에서 중간위치에서 끝이 뾰쪽하게 형성된 지지부(130, 130a-d)의 하부 선단부(135a)까지 경사진 경사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반대로 제2 플레이트(1302)의 단부보다 제1 플레이트(1301)의 단부가 길게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1302)의 단부에서 제1 플레이트(1301)의 단부까지 경사진 경사 플레이트(1351)를 구비하도록 하여 지지부(130, 130a-d)의 하부 선단부(135a)가 뾰쪽해지도록 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전단키 형성부(110)는 제1 플레이트(1301)의 단부 부위의 일부 하부영역에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하부 선단부(135a)가 굴착구의 바닥면에 근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하 연속벽을 시공하기 위한 굴착구의 밑면은 평탄하지 않고 요철이 있거나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밑면이 클수록 선단하부에서 콘크리트가 흘러나가거나 콘크리트 타설 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선단부(135a)의 위치가 밀려서 위치를 이탈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선단부(135a)를 뾰쪽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선단부 하부가 지하 연속벽 바닥에 약간 근입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가 선단부에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선단부가 연속벽용 굴착구의 바닥에 박히며 고정되어 의도한 위치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 밀리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지지부(130, 130a-d)는 연속벽체 굴착용 가이드 월(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30, 130a-d) 영역은 도 1b 내지 1c에 도시된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상부측 영역에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키기 위한 수평방향 횡력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의 B과정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월(5) 상에 반력대(2500)를 설치하고 반력대(2500)에 지지되는 유압잭(2000)의 작용점이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돌출된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상부측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여 횡력을 가하거나,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상의 굴삭기, 윈치, 크레인 등의 견인가능장비로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부 상단부를 수평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횡력을 가하도록 하여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견인가능장비로 횡력을 가하는 경우 횡력의 작용점은 와이어나 후크 등이 걸리는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상부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단 지지부(131)의 상단에 형성되는 리프팅용 구멍(131a)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월(5) 상측으로 지지부(130, 130a-d)가 돌출됨으로써 지지부(130, 130a-d) 상단에 형성된 리프팅용 구멍(131a)에 리프팅용 와이어 등의 체결이 용이해질 뿐 아니라 리프팅 작업도 용이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6a 내지 6d, 7e, 8b, 및/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플레이트(1301, 1302)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303, 1304)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1301, 1302) 사이에서 외측에 드러나게 형성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 및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 사이에 형성된 내부 웨브 플레이트인 내부 지지 플레이트(13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6a에서 내부 지지 플레이트(1304)가 생략되어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만으로 제1 및 제2 플레이트(1301, 1302)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30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6d에서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다양한 단면구조의 지지부(130a, 130b, 130c, 130d)와 전단키 형성부(110)의 조합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전단키 형성부(110)는 도 2b, 3b 또는 5b로도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9b 내지 19c 및/또는 도 20a 내지 20c에 도시된 분리용 툴(3300a)을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거나 지지시켜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키는 경우에, 도 6a 내지 6d, 7e, 8b, 및/또는 20a 내지 20b에 도시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와 내부 지지 플레이트(1304)는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를 통해 제2 플레이트(1302)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제1 플레이트(1301) 및 그에 결합된 전단키 형성부(110)로 전달시켜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a의 경우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로부터 돌출된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가 단턱을 형성하며 실시예에 따라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용 툴(3300a)이 걸리거나 지지되는 툴받침요소(1302c)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d, 8c, 19a 내지 19c, 및/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본다. 도 6a 내지 6d, 8c, 19b, 19c, 및/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지지부(130, 130a-d)는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툴(3300a)이 걸리거나 지지되도록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를 구비할 수 있다.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는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1302, 1303)에, 예컨대 제2 플레이트(1302) 또는/및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6a에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로부터 돌출된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가 단턱구조(1303c)를 형성하며 분리용 툴(3300a)이 걸리는 툴받침요소(1303c)로 작용할 수 있고, 단턱구조를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는 제2 플레이트(130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게다가 도 6b, 6d, 8c 및/또는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받침요소(1303a)가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단면상 ∪형홈 구조(1303a)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가 단면상 ∪형홈 구조(1303a)의 하나의 측벽을 이루며 단면상 ∪형홈 구조(1303a)에 끼워지거나 삽입된 분리용 툴(3300a)이 단면상 ∪형홈 구조(1303a)의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 면에, 즉 제2 플레이트(1302)에 분리방향으로의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7의 C과정, 도 19a 내지 19c, 및/또는 도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장치틀(3300)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 설치된 분리용 툴(3300a)이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1302, 1303)에, 예컨대 제2 플레이트(1302) 또는/및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리거나 지지되며 횡력의 작용점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장치틀(3300)은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그랩 또는 회전식 커터와 같은 작동장치(3100)의 상측에 위치되는 각종 장치 및 배관 등을 보호하는 프레임 틀이다. 도 17의 C과정, 19b 및 19c에서는 굴착장비 장치틀(3300) 가장자리의 수평위치 3곳에 설치된 분리용 툴(3300a)이 도시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도 19a에 도시된 횡력의 작용점에 장치틀(3300) 가장자리의 수평위치 1곳에 장착되는 하나의 분리용 툴(3300a) 또는 2개 또는 3개가 한 세트를 이루는 분리용 툴(3300a)이 지지부(130, 130a-d)에 구비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리거나 지지되며 횡력의 작용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7의 C과정 및/또는 도 19a 내지 19c를 참조하면 분리용 툴(3300a)이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리거나 지지되어 형성되는 횡력의 작용점을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분리 정도에 따라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시키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하며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횡력의 작용점을 형성하도록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장치틀(3300) 가장자리에 조립 설치된 분리용 툴(3300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분리용 툴(3300a) 또는 장치틀(3300) 가장자리의 동일 수평위치 지점에 장착된 2개 또는 3개의 1세트의 분리용 툴(3300a)로 도 19a에서 횡력의 작용점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 17의 C과정, 19b 및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용 툴(3300a)이 장치틀(3300) 가장자리의 상부, 중간 및 하부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은다. 예컨대, 도 19b 및 19c를 참조하면, 장치틀(3300) 가장자리의 상부, 중간 및 하부 위치에 분리용 툴(3300a)이 형성된 경우 상부와 하부 측은 분리방향쪽으로의 인장력을 가하고 중간 측은 인장력에 반발하며 분리방향 반대쪽으로의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작용점이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하며 종합 횡력이 도 19a에서와 같이 분리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형성되는 횡력의 작용점이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경우, 예컨대 도 19b 내지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리거나 지지되는 분리용 툴(3300a)이 장치틀(3300) 가장자리의 상부, 중간 및 하부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도 19b 및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 상의 단면상 U형홈인 툴받침요소(1303a)에, 도 20b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1302) 상의 ┣형홈인 툴받침요소(1302a)에, 또는 도 6a 및 19c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에 의한 단턱구조의 툴받침요소(1302c)에 도 20a 내지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용 툴(3300a)이 걸리거나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9b, 19c 및 20b를 참조하면 장치틀(3300) 가장자리의 상부, 중간 및 하부 위치에 장착된 분리용 툴(3300a) 모두가 홈 구조의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삽입되거나 끼워져 상하 양측은 분리방향으로의 인장력을, 그리고 중간측은 인장력과 반대방향의 압축력을 각각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와의 접촉영역에 가할 수 있고, 또는 도 19b를 참조하면 장치틀(3300) 가장자리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장착된 분리용 툴(3300a)은 홈 구조의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 또는 도 6b에 도시된 단턱구조에 의한 툴받침요소(1302c)에 걸리며 분리방향으로의 인장력을 가하고 중간 위치의 분리용 툴(3300a)은 예컨대 도 20c에서와 같이 바(bar) 구조로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1302)에 지지되며 반대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분리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기 위한 분리용 툴(3300a)은 도 20a 내지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U형홈 내지 ┣형홈의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삽입 또는 끼워지거나 또는 걸리는 분리용 툴(3300a)로서 도 20c에 도시된 ┌형상 내지 ┣형상일 수 있고 또는 도 6a의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에 의한 단턱구조 툴받침요소(1302c)에 걸리는 분리용 툴(3300a)로서 도 20c에 도시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장치틀(3300) 가장자리의 중간측에 장착되어 인장력과 반대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하는 분리용 틀(3300a)은 도 20a 내지 20b에 도시된 단면상 U형홈 내지 ┣형홈의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삽입 내지 끼워져 분리방향과 반대편 면으로 압축력을 가할 수 있는 도 20c에 도시된 ┌형상 내지 ┣형상이거나 제2 플레이트(1302)의 횡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1302) 상에 인장력과 반대방향의 압축력을 가할 수 있는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bar) 타입의 분리용 툴(3300a)일 수 있다.
예컨대, 도 6a 내지 6d, 8c, 및/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1302) 상에 또는/및 제2 플레이트(1302)의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로부터의 돌출에 의해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는 홈 내지 단턱 구조일 수 있다. 도 6b 내지 8c 그리고 도 20a 내지 20b에서의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는 홈 구조이고, 도 6a에서의 툴받침요소(1302c)는 단턱 구조이다. 예컨대 도 6a는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되지 않은 지지부 상단부를 구비하여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돌출된 영역에서 횡력을 받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지만, 도 6a에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로부터 돌출된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가 단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점에서 분리용 툴(3300a)을 이용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6a 내지 6d, 8c, 및/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는 전단키 형성부(110)의 결합 반대쪽인 제2 플레이트(1302)에, 선시공벽체측 및 제2 플레이트(1302)에 수직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또는 제2 플레이트(1302) 및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플레이트(1302) 상에 형성되는 툴받침요소(1302a)는 단면상 ┣형홈 또는 절곡형홈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형성되는 툴받침요소(1303a)는 단면상 ∪형홈(1303a)일 수 있다. 도 6a에서와 같이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에 의해 단턱 구조(1302c)의 툴받침요소(1302c)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단면상 ∪형홈(1303a)은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의 위치에 따라 상하 대칭구조의 홈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 상에 형성된 ∪형홈이 선시공 벽체(10) 측, 즉 제1 플레이트(1301)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도 가능하다.
제2 플레이트(1302)에 형성되는 툴받침요소(1302a)인 단면상 ┣형홈 또는 절곡형홈 구조는 단면상 후시공 굴착측으로 개구가 형성되고,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형성되는 툴받침요소(1303a)인 단면상 ∪형홈 구조는 연속벽체 바깥쪽으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단턱 구조의 툴받침요소(1302c)는 도 6a의 경우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d, 및/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하는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의 바깥쪽으로 돌출(1301b)되며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과 함께 콘크리트유입 방지부재(140)의 삽입을 위한 부재 삽입홈(1303c)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 6c 및/또는 20b에서 제1 플레이트(1301)의 돌출부위(1301b) 외에 부재 삽입홈(1303c)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은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가 되고, 도 6b, 6d, 8c 및/또는 20a에서 제1 플레이트(1301)의 돌출부위(1301b) 외에 부재 삽입홈(1303c)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은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 상의 돌출부위(1303b)가 될 수 있다. 이때 도 6a, 6c 및/또는 20b에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는 툴받침요소인 단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b, 6d, 8c 및/또는 20a에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 상의 돌출부위(1303b)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와 함께 툴받침요소(1303a)인 단면상 ∪형홈 구조를 형성한다.
예컨대, 부재 삽입홈(1303c)에는 도 6a 내지 6d, 및/또는 20a 내지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유입 방지부재(140), 예컨대 스티로폼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6b 내지 6d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6a의 부재 삽입홈(1303c)에도 콘크리트유입 방지부재(140), 예컨대 스티로폼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콘크리트유입 방지부재(140)는 굴착면과 제1 플레이트(1301) 사이의 틈을 통해 콘크리트가 선시공 벽체(10) 바깥쪽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콘크리트유입 방지부재(140), 예컨대 스티로폼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 주변 지반에 여굴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해 콘크리트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스티로폼 부착에 테이프(141)를 사용할 수 있고, 이때 테이프(141)는 분리용 툴(3300a)에 의해 쉽게 잘려지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구멍을 뚫어 와이어 등으로 중간 중간 콘크리트유입 방지부재(140), 예컨대 스티로폼을 결착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6a의 경우 부재 삽입홈(1303c)의 하나의 측벽을 이루는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가 단턱구조를 형성하여 툴받침요소(1302c)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키기 위해 분리용 툴(3300a)이 툴받침요소(1302c)인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에 의한 단턱구조에 잘 걸리며 지지부(131) 상부에 아래쪽으로 잘 내려갈 수 있도록 콘크리트유입 방지부재(140), 예컨대 스티로폼이 부재 삽입홈(1303c) 일측, 즉 제1 플레이트(1301)의 돌출부위(1301b) 측에 결착되며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형성되는 단면상 ∪형홈(1303a) 구조의 홈폭은 지지부(130, 130a-d) 상단, 예컨대 상단 지지부(131)의 상단부에서부터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다가 일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형상의 분리용 툴(3300a)의 삽입이 용이해지고, 아래쪽에서 홈폭이 일정해지면서 분리용 툴(3300a)을 점차 아래쪽으로 내리는 과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형상의 분리용 툴(3300a)은 삽입되는 단면상 ∪형홈(1303a) 구조의 개방방향에 따라 상하대칭으로 절곡된 형상일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0a 내지 20c를 참조하면, 단면상 ┣형홈(1302a) 구조에 삽입되는 ┣형상의 분리용 툴(3300a) 또는 단면상 ∪형홈(1303a) 구조나 절곡형홈 구조에 삽입되거나 단턱 구조(1302c)에 걸리는 ┌형상의 분리용 툴(3300a)은 연속벽 굴착장비 장치틀(3300)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단면상 ∪형홈(1303a) 구조나 절곡형홈 구조에 삽입되거나 단턱 구조에 걸리는 ┌형상의 분리용 툴(3300a)은 ∪형홈의 개구방향, 절곡형홈의 절곡방향 및 단턱 구조의 돌출부위 방향에 따라 절곡방향이 결정된다. 도 20c는 ┌형상 및 ┣형상의 분리용 툴(3300a)을 나타내고 있다.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 15a 내지 21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전술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실시예 및 도 1a ~ 9가 참조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부호가 해당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경우 다른 도면에 도시된 동일 부호를 참작하여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 내지 14는 각각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a 내지 15e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각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a 내지 16e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각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의 다양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지지부 상단부에 횡력을 가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8b 및 18c는 각각 도 18a에 따른 횡력을 가하는 방법의 하나로 양쪽 유압잭을 동시에 스트로킹하는 방법과 각 유압잭을 번갈아 스트로킹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9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지지부 상부에서부터 점차 아래로 내려가며 횡력을 가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9b 및 19c는 각각 도 19a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를 위해 연속벽 굴착장비에 설치된 분리용 툴을 이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0a 및 20b는 각각 도 19b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 시 연속벽 굴착장비에 설치된 분리용 툴을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툴받침요소에 걸어 분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0c는 도 19b 및 19c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 시 이용되는 ┌형상 및 ┣형상의 분리용 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1a 및 21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캡빔 및 테두리보가 형성된 정면 및 측면에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1c는 도 17a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의 테두리보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지하 연속벽체의 선시공 벽체(10)와 후시공 벽체(20) 간 결합면인 수직 이음부(300)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 내지 14, 15a 내지 15e, 16a 내지 16e, 및/또는 21a 내지 21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은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00, S1100),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300, S1300, S2300) 및 후시공벽체 형성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4 및/또는 21a 내지 21c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은 연속벽체 구속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00, S1100),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300, S1300, S2300), 후시공벽체 형성단계(S500, S1500), 그리고 연속벽체 구속단계(S700) 순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하나의 실시예에서, 선시공벽체 형성단계 이전에 선시공 굴착구 형성단계(S50, 도 15a 및 16a 참조)가 수행될 수 있다.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00, S1100)를 설명하기 전에, 도 10, 15a 및/또는 16a를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00) 이전에 선시공 굴착구 형성단계(S50, 도 15a 및 16a 참조)가 수행될 수 있다. 선시공 굴착구 형성단계(S50, 도 15a 및 16a 참조)에서는 가이드 월(5) 사이로 연속벽 굴착장비(3000)를 삽입하며 선시공 굴착구(9)를 형성한다.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종류는 다양하고,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종류에 따라 일반적으로 그랩(grab), 트랜치커터(trench cutter), 하이드로밀(hydro mill) 등으로 불려진다.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은 도 15a 내지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진행하며 굴착하거나 도 16a 내지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선시공 굴착구(9)를 한칸 건너뛰며 굴착하여 선시공 벽체(10)를 형성한 후 선시공 벽체(10) 사이를 후시공 굴착하며 후시공 벽체(20)를 형성하는 방식 등이 있다. 예컨대, 도 15a 내지 15e에 도시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경우 후시공 벽체(20)를 형성하는 과정이 다음 과정에서는 선시공 벽체(10)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고, 도 16a 내지 16e에 도시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경우 후시공 벽체(20)를 형성하는 과정 다음에 한칸 건너뛰어 선시공 벽체(10)를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15a 내지 15e 및/또는 도 16a 내지 16e에서 가이드 월(5) 사이의 도면부호 ①, ②와 ③은 연속벽체 패널을 시공하기 위한 위치와 순서를 나타낸다. 도 15a에서 가이드 월(5) 사이의 도면부호 ①의 선시공 굴착구(선시공 패널 굴착구)(9)를 굴착하여 굴착구를 안정액으로 채운다. 도 15a에서 도면부호 ②와 ③은 아직 굴착되지 않은 영역이다. 도 16a에서는 가이드 월(5) 사이의 도면부호 ①과 ②가 선시공 굴착구(선시공 패널 굴착구)(9)를 나타내고 굴착된 선시공 굴착구(9)를 안정액으로 채운다. 도 16a에서는 가이드 월(5) 사이의 벽체 구간 중 처음으로 선시공 굴착구(9)를 형성함에 따라 2군데 선시공 굴착구(9)가 형성되고 이후부터는 도면부호 ③ 구간의 후시공 벽체(20) 다음에 패널 구간을 한칸 건너뛰어, 즉 도면부호 ② 다음 패널구간을 건너뛰어 선시공 굴착구(9)를 형성하게 된다. 예컨대, 도 15a 내지 15e에서와 같이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패널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후속작업될 패널구간이 직전 패널구간과 연속되므로 후시공 벽체(2)가 형성된 이후에 비로소 후속 패널구간의 굴착작업이 이루어질 있고, 반면에 도 16a 내지 16e에서와 같이 패널구간을 한칸 건너뛰며 선시공 굴착구(9)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후시공 벽체(20) 형성 전이라도 후속 패널구간에 대한 굴착, 즉 선시공 벽체패널에 대한 굴착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6a 내지 16e과 같은 방식의 경우에 벽체패널 구간의 굴착과 벽체형성용 콘크리트 타설은 별개로 진행되는 과정이므로 후시공 벽체(20)를 형성하는 동안 예정된 다음 선시공 패널 구간을 굴착할 수 있으므로,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300, S1300, S2300)에서 연속벽 굴착장비(3000)를 이용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그 후부터, 반면 다른 방식, 예컨대 지상에서의 수평 횡력으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후시공 굴착구(9) 굴착 후부터 다음 예정된 벽체패널 구간에 대한 굴착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5a는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벽체를 형성해 나가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선시공 굴착구(9)를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16a는 한칸 건너뛰며 선시공 굴착구(9)를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00, S1100)
다음으로, 도 10 내지 14, 15b, 및/또는 16b를 참조하여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00, S1100)를 살펴본다. 도 10 내지 14, 15b, 및/또는 16b를 참조하면,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00, S1100)에서, 선시공 굴착구(9) 내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과 선시공 철근망(10a)을 삽입하고(S110), 그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선시공 벽체(10)를 형성한다(S130). 이때,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다. 이때,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전단키 형성부(110)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130, 130a-d)에 결합되어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00, S1100)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선시공 벽체(10) 측의 수직 이음부(300)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 외에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기로 한다.
예컨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선시공 철근망(10a)과 별개로 선시공 굴착구(9) 내로 삽입될 수 있다(S110). 예컨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 삽입 후 선시공 철근망(10a)이 삽입될 수 있고 혹은 이와 반대로 선시공 철근망(10a)을 먼저 삽입한 후 선시공 철근망(10a)의 가장자리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삽입할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콘크리트와 닿는 부분의 형틀 면에 박리제(이형제)를 도포한 후에 지중에 설치할 수 있다. 박리제를 도포한 형틀은 도포하지 않은 형틀에 비해 콘크리트와 전단키 형성부(형틀)(110) 사이 부착력이 매우 적어진다. 따라서 콘크리트 전단키에 손상이 없도록 콘크리트로부터 전단키 형성부(110)가 구비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작은 힘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안정액으로 채워진 굴착구 내부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삽입하기 바로 전에 콘크리트 전단키를 형성할 전단키 형성부(형틀)(110)의 면에 형틀 보호제와 박리제를 도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5b를 참조하면,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벽체를 형성해 나가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는 최초 선시공 굴착구(9)에 선시공 벽체(10)를 형성하는 경우 선시공 철근망(10a)의 양쪽 가장자리 부근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배치되도록 하고, 이후 진행에 따라 전과정에서 형성된 후시공 벽체(20)가 연속된 다음과정에서는 선시공 벽체(10)에 해당되므로 후시공 벽체(20) 형성 시 및 최초 이후 두 번째 선시공 벽체(10) 형성 시 벽체 철근망의 한쪽 가장자리(즉, 벽체가 이웃하지 않는 가장자리) 부근에만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5e의 후시공벽체 형성단계(S500) 이후 다시 도 15c에서와 같이 후시공 굴착구(19)를 형성하며 도 15c 및 15d의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 도 15e의 후시공벽체 형성단계(S500) 및 또 다시 도 15c 및 15d의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300, S1300, S2300)를 반복하게 된다. 이때, 현재 후시공 굴착구(19) 또는 후시공 벽체(20)를 기준으로 직전에 형성된 벽체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를 때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00, S1100)에서 형성된 벽체가 된다.
도 15b에서는 벽체 패널구간 중 최초 선시공 굴착구(9)에 벽체 패널을 형성하므로 예컨대 최초 선시공 굴착구(9)의 양단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삽입한 후 그 사이에 선시공 철근망(10a)을 설치하고 예컨대 트레미공법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직 이음부(300)에 전단키가 형성된 선시공 벽체(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5e 단계 이후에는 도면부호 ③ 구간이 후시공 굴착구(19) 구간이 되며 도 15e에서의 도면부호 ②의 구간의 기존 후시공 벽체(20)가 선시공 벽체(10)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때 선시공 벽체(10) 및 이후의 후시공 벽체(20)의 형성과정에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선행벽체가 이웃하지 않는 쪽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6b를 참조하면, 후시공 벽체(20)에 이웃하는 패널구간을 한칸 건너뛰며 선시공 굴착구(9)를 굴착하여 선시공 벽체(10)를 형성한 후 그 사이에 후시공 벽체(20)를 형성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경우, 선시공벽체 형성단계에서 선시공 철근망(10a)의 양쪽 가장자리(양쪽 모두 벽체가 이웃하지 않음) 부근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배치되도록 하고 후시공벽체 형성단계에서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 없이 후시공 철근망(20a)만 후시공 굴착구(19) 내로 삽입하여 후시공 벽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b에서는 도면부호 ①과 ② 구간에서 선시공 굴착구(9)의 양단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삽입한 후 그 사이에 선시공 철근망(10a)을 설치하고 예컨대 트레미공법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직 이음부(300)에 전단키가 형성된 선시공 벽체(10)를 형성할 수 있고, 그 후 도면부호 ③ 구간에서 후시공 벽체(20)의 형성 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 없이 후시공 철근망(20a)만 도면부호 ③ 구간의 후시공 굴착구(19) 내로 삽입되게 된다.
예컨대 도 11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100)에서, 선시공 굴착구(9) 내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삽입하는 것을 살펴본다. 이때,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수직 이음부(300)에 전단키를 형성하기 위하여 설계 내지 목적에 맞게 전단키 형성부(110)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에 결합되는 전단키 형성부(110)는 수직 이음부(300)에 다수의 수평방항 전단키(310)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키 형틀돌부(111)와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키 형틀부(113, 114)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수직키 형틀부(113, 114)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11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로 전단키 형성부(110)가 수직 이음부(300)의 중앙부를 따라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그리고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킬 수 있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준비하거나(S1110a), 다른 예로 전단키 형성부(110)가 수직 이음부(300)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그리고 가장자리 내측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킬 수 있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준비하거나(S1110b), 또 다른 예로 수직 이음부의 센터를 벗어나 일측에 치우치게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수직방향 전단키를 기준으로 센터 방향에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킬 수 있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준비할 수 있다(S1110c).
예컨대, 전단키 형성부(110)는 선시공 벽체(10)의 수직 이음부(300) 측에 수평방향 전단키(310)를 형성시키는 수평키 형틀돌부(111) 및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키는 수직키 형틀부(113, 114)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전단키 형성부(110)가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 및 가장자리 양측에 수직키 형틀부(114)를 구비하는 예는 도 3a 및 3b를 통해 이해될 수 있고, 전단키 형성부(110)가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 및 중앙부에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를 구비하는 예는 도 4a 및 4b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전단키 형성부(110)가 센터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져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와 수직키 형틀부(113)를 기준으로 센터 방향에 다수의 수평키 형틀돌부(111)를 구비하는 예는 도 5a 및 5b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a 및 4b, 도 5a 및 5b,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선시공 벽체(10)의 수직 이음부(300) 측 중앙부를 따라 또는 센터를 벗어나 일측으로 치우치게 수직방향 전단키(330)를 형성시키는 수직키 형틀부(113)는 수직키 형틀부(113) 중앙을 따라 지수판 홈(113a)을 구비하되 지수판 홈(113a)에 지수판(12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S1115). 예컨대 이때,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100)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도 4a의 경우 선시공 벽체(10)의 수직 이음부(300)의 중앙부를 따라 또는 도 5a의 경우 수직 이음부(300)의 센터에서 벗어나 일측으로 치우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수판(120)이 선시공 벽체(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S1130). 이때, 후시공벽체 형성단계(S1500)에서 지수판(120)이 후시공 벽체(20)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전단키 형성부(110)는 하나의 형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수의 형틀로 이루어져 제1 플레이트(1301) 상에서 연속되게 연결되거나 불연속될 수 있다.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300, S1300, S2300)
다음으로 도 10 내지 14, 도 15c 및 15d, 도 16c 및 16d, 도 17, 도 18a 내지 18c, 도 19a 내지 19c, 및/또는 도 20a 내지 20b를 참조하여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를 살펴본다. 도 10 내지 14, 15c, 16c 및/또는 17을 참조하면,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먼저 선시공 벽체(10)에 이웃하는 후시공 굴착구(19)를 형성한다. 예컨대 도 15c에서는 후시공 굴착구(19)의 일측만 선시공 벽체(10)에 이웃하고, 도 16c에서는 후시공 굴착구(19)의 양측이 선시공 벽체(10)에 이웃하게 된다. 도 17의 A과정은 선시공 벽체(10)에 이웃하는 후시공 굴착구(19)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계속하여 도 10 내지 14, 15d, 16d, 17, 18a 내지 18c, 19a 내지 19c, 및/또는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300, S1300, S2300)에서, 횡력을 가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한다. 이때, 횡력의 작용점 영역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제1 또는 제2 플레이트(1301, 1302)에 또는 지지부(130, 130a-d)의 상단에 형성된다.
도 17을 참조하여 횡력을 가하여 분리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예컨대 이때, A과정 이후 B과정-D과정 방식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C과정-D과정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7의 B과정 및 C과정은 각각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17의 D과정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7의 B과정에서는 지지부 상단부에서만, 예컨대 제1 또는 제2 플레이트(1301, 1302)의 상부측에 또는 지지부(130, 130a-d)의 상단에 횡력을 가하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하고, 도 17의 C과정에서는 제2 플레이트(1302) 상에 형성되거나 제2 플레이트(1302)에 의해 형성되는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를 따라 횡력의 작용점을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시키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한다. 도 17의 B과정 또는 C과정에서 분리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도 17의 D과정에서 크레인 등과 같은 양중장비에 의해 지상으로 끌어올려진다. 예컨대 지상으로 끌어올려진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청소된 후 다른 벽체패널의 시공에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5c 및 15d를 참조하여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300, S1300, S2300)를 살펴보면, 도 15c에서 도면부호 ② 구간은 후시공 굴착구(19)로서 안정액이 채워지고 이후 도 15d 단계에서 도면부호 ② 구간 후시공 굴착구(19)의 왼쪽 단부에 있는 도면부호 ① 구간 선시공 벽체(10)에 부착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제거된다. 이때, 제거되어 지상으로 끌어올려진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청소된 후 다른 벽체패널의 시공에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6c 및 16d를 참조하여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300, S1300, S2300)를 살펴보면, 도 16c에서 도면부호 ③ 구간은 후시공 굴착구(19)로서 안정액이 채워지고 이후 도 16d 단계에서 도면부호 ③ 구간 후시공 굴착구(19)의 양쪽 단부에 있는 도면부호 ①과 ② 구간의 선시공 벽체(10)에 부착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순차로 제거된다. 이때, 제거되어 지상으로 끌어올려진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은 청소된 후 다른 벽체패널의 시공에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300, S1300, S2300)에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하는 두 가지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때,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제1 또는 제2 플레이트(1301, 1302)에 또는 지지부(130, 130a-d)의 상단에 형성되는 횡력의 작용점이 고정된 방법과 횡력의 작용점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 12에서는 횡력의 작용점이 고정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도 13에서는 횡력의 작용점이 이동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12, 도 17의 B과정 및/또는 도 18a 내지 18c를 참조하여 지지부 상단부에서만 횡력을 가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분리를 위한 횡력의 작용점이 지상 위로 돌출된 제1 플레이트(1301)의 상부측에 또는 지지부(130, 130a-d)의 상단에 고정되는 경우이다. 예컨대 지상 위로 돌출된 제1 플레이트(1301)의 상부측은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되는 제1 플레이트(1301)의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적어도 상측 일부이고, 지지부(130, 130a-d)의 상단은 예컨대 리프팅용 구멍(131a)일 수 있다.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130, 130a-d) 상에서의 횡력 작용점 위치를 먼저 살펴본다. 예컨대 도 1b, 1c 및/또는 17을 참조하면, 지지부(130, 130a-d)의 제1 플레이트(1301)는 상부측에 전단키 형성부(110)가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노출면(1301a)을 구비할 수 있고, 도 17의 B과정에서와 같이 횡력이 지지부 상부측에 가해질 수 있도록 지지부(130, 130a-d)는 연속벽체 굴착용 가이드 월(5)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즉, 제1 플레이트(1301)의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적어도 상측 일부가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된다. 이때,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분리를 위한 횡력의 작용점이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되는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상부측 일부에 또는 지지부(130, 130a-d)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2, 17 및/또는 18a 내지 18c를 참조하면,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1300)에서,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되는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일부에 또는 지지부(130, 130a-d) 상단에 횡력이 작용하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점차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월(50) 상에 설치된 반력대(2500)에 의해 지지된 유압잭(2000)의 스트로킹에 의해(S1330a) 또는 견인가능장비(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한 수평방향 견인에 의해(S1330b) 횡력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의 B과정에서와 같이 가이드 월(5) 상에 설치된 반력대(2500)에 지지된 유압잭(2000)에 의한 횡력을 가하는 경우 횡력의 작용점은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된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상에서 굴삭기, 윈치, 크레인 등의 견인가능장비를 이용한 수평방향 견인으로 횡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횡력의 작용점이 가이드 월(5) 상측으로 노출된 비결합 노출면(1301a)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거나 또는 지지부(130, 130a-d)의 상단, 예컨대 리프팅용 구멍(131a)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의 B과정 및/또는 도 18a 내지 18c를 참조하면, 유압잭(2000)의 스트로킹에 의해, 또는 견인가능장비(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한 수평방향 견인에 의해 지상 위로 돌출된 제1 플레이트(1301)의 상부측에 또는 지지부(130, 130a-d)의 상단에 횡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8b는 도 18a에 따른 횡력을 가하는 방법의 하나로 양쪽 유압잭(2000)을 동시에 스트로킹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도 18c는 도 18a에 따른 횡력을 가하는 방법의 하나로 각 유압잭(2000)을 번갈아 스트로킹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8a에 나타낸 역학적 특성 때문에 유압잭(2000)을 장착한 반력대(2500)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매우 효과적이다. 도 17의 B과정 및 도 18a는 반력대(2500)에 장착한 유압잭(2000) 또는 견인가능장비(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 상단부에 횡력(F-1)을 가하여 지상에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7의 B과정 및 도 18a에서 F-1, F-2, F-3, F-4와 화살표는 지상에서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힘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며, 도 18a는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8a에서 T와 C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렛대 역할에 의해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 단부면에 발생되는 반력들이며, T는 국부 부착길이 에 해당하는 수평 인장부착력을 나타내고, C는 수평 압축력을 나타낸다. 도 18a에서 지지부 상단부에 횡력은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상부 수평변위는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도 25는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스톱-엔드 강관을 리프팅으로 제거하거나 분리시키는 역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에서 [A방법]은 도 23에 도시된 종래의 스톱-엔드 강관을 리프팅하는 역학상태를 나타내고, [B방법]은 도 24에 도시된 형틀 내부에 설치된 유압잭(2000)을 이용하여 지중에서 형틀을 동시에 수평으로 밀어 분리하는 역학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25의 [A방법]은 콘크리트에 부착된 전 길이 에 해당하는 전단 부착력(F1)만큼의 끌어 올리는 힘(F1)이 필요하고, 도 25의 [B방법]에서는 지중에서 형틀을 동시에 수평으로 미는 힘은 콘크리트에 부착된 전 길이 에 해당하는 인장 부착력(F2)만큼이 필요하다. 다만, 도 25의 [B방법]에서는 지중에 도 24에 도시된 유압잭(2000)이 n개 설치되어 모두 작동하는 경우 유압잭(2000) 갯수(n)만큼 작용력이 분할되며 각 유압잭별로 분산된 힘(F2/n)이 필요하다.
반면에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는 도 18a를 참조하면, 국부적인 길이 에 해당하는 인장 부착력을 뜯어내는 힘(T)이 발생하도록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휘게 하는 힘(F4-1)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도 18a의 방법은 도 25의 [A방법] 또는/및 [B방법]보다 적은 힘으로 형틀을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8a에서 지지부 상단부에 가해지는 횡력의 크기는 F-1 > F-2 > F-3 > F-4 의 관계에 있다.
도 18b 및 18c는 도 17에서 유압잭(2000)을 장착한 반력대(2500)를 이용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분리과정(S1300)에 대한 세부 단계를 2가지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B과정에 나타낸 것처럼 가이드 월(5)의 상부에 설치한 반력대(2500) 하부는 수평반력 및 수직반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시키고, 반력대(2500)는 강재틀로 만들거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 18b에서와 같이 지상에 노출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상부를 양쪽의 유압잭(2000)으로 동시에 점차적으로 스트로킹(stroking)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수평으로 분리시키거나, 또는 도 18c에서와 같이 지상에 노출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상부를 각 유압잭(2000)으로 번갈아 가며 점차적으로 스트로킹(stroking)하여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수평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7의 D과정에서 분리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크레인 등과 같은 양중장비를 이용하여 들어올림으로써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제거하게 된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130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1 및/또는 14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도 17의 C과정, 도 19a 내지 19c, 및/또는 도 20a 내지 20c를 참조하여 지지부(130, 130a-d)에 가해지는 횡력의 작용점을 점차 아래로 이동시키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분리하는 과정(S2300)을 살펴본다.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분리를 위한 횡력의 작용점이 지지부(130, 130a-d)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를 따라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도 13, 17, 19a, 19b, 19c, 20a 및/또는 20b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2300)에서,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장치틀(3300)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 설치된 분리용 툴(3300a)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1302, 1303)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리거나 지지되며 형성되는 횡력의 작용점을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시키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그랩(grab), 트렌치 커터, 하이드로밀 등으로 불리는 연속벽 굴착장비(3000)는 하단부에 그랩(gab) 또는 회전식 커터 등의 작동장치(3100)가 있고 그의 상측에 각종 장치나 배관 등이 장치틀(3300) 내지 프레임 내측에 설치되어 보호되는데, 지지부(130, 130a-d)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리거나 지지되는 분리용 툴(3300a)이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장치틀(3300)의 가장자리에 조립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b 내지 6d, 및/또는 도 20a 내지 20b에 도시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뿐만 아니라 도 6a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에 의한 단턱구조도 분리용 툴(3300a)이 걸리거나 지지되는 툴받침요소(1302c)로 작용할 수 있고, 게다가 도 20c에 도시된 바(bar) 형상의 분리용 툴(3300a)의 경우에는 제2 플레이트(1302)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2 플레이트(1302)에 압축력을 제공하므로 이 경우 제2 플레이트(1302)의 후시공 굴착측 노출면이 툴받침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
지지부(130, 130a-d)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리거나 지지되는 분리용 툴(3300a)의 위치를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내려며 횡력을 가하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점차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플레이트(1302) 상에 형성되는 예컨대 ┣형홈 툴받침요소(1302a), 제2 플레이트(1302)에 의해 예컨대 일측벽이 형성되는 ∪형홈(상하대칭구조 포함) 툴받침요소(1303a) 또는 도 6a에서 같은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에 의해 형성되는 예컨대 단턱구조 툴받침요소(1302c)를 따라 분리용 툴(3300a)이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한다.
도 17의 C과정, 도 19a 내지 19c, 및/또는 도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라,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장치틀(3300)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 설치된 분리용 툴(3300a)이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1302, 1303), 예컨대 제2 플레이트(1302) 또는/및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려 횡력의 작용점이 형성되고, 이때 분리용 툴(3300a)이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려 형성되는 횡력의 작용점을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시키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7의 D과정에서 분리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크레인과 같은 양중장비에 의해 지상으로 끌어올린다. 이때 지상에 끌어올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청소하고 다른 패널의 시공에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9a에 나타낸 역학적 특성 때문에 예컨대 분리용 툴(3300a)을 장착한 연속벽 굴착장비(3000)를 이용하여 지중에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 전단키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매우 효과적이다. 도 19b 및 19c 각각은 예컨대 연속벽 굴착장비(3000)에 장착한 분리용 툴(3300a)에 의해 발생되는 힘(F1, F2, F3)을 이용하여 지중에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분리용 툴(3300a)의 내민 길이 차이에 의해 각 분리용 툴(3300a) 위치에서 수평력 F1, F2, F3가 각각 발생되고, 이 수평력들에 의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휘어지면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된다. 도 19a 내지 19c에서 F, F1, F2, F3 및 화살표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힘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낸다. 예컨대 도 19a에서의 횡력 F는 도 19b 및/또는 19c에서의 F1, F2, F3의 합과 같다. 도 19b 및/또는 19c는 분리용 툴(3300a)을 장착한 연속벽 굴착장비(3000)를 후시공 굴착구(19) 내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분리용 툴(3300a)에 의해 지렛대작용으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점차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9a에서 첫번째 단계의 수평력 F는 도 18a에서 첫번째 단계의 수평력 F-1과 같을 수 있다. 도 19a에서 T와 C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렛대 역할에 의해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 수직 단부면에 발생되는 반력들이며, T는 국부 부착길이 에에 해당하는 수평 인장부착력을 나타내고, C는 수평 압축력을 나타낸다.
전술한 도 18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예에 따라 도 19a를 참조하면, 국부적인 길이 에 해당하는 인장 부착력(T)을 뜯어내는 힘(도 18a에서의 수평력 F-1과 동일함)이 발생하도록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휘게 하는 힘(F)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도 19a의 방법은 도 25의 [A방법] 또는/및 [B방법]보다 적은 힘으로 형틀을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b 내지 6d, 도 17의 C과정, 도 19b 내지 19c, 및/또는 도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는 전단키 형성부(110)의 결합 반대쪽인 제2 플레이트(1302)에, 제2 플레이트(1302)에 수직한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또는 제2 플레이트(1302) 및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b 내지 6d, 도 19b 내지 19c, 및/또는 도 20a 내지 20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2 플레이트(1302)에 형성되는 툴받침요소(1302a)는 단면상 ┣형홈 또는 절곡형홈 구조일 수 있고,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형성되는 툴받침요소(1303a)는 단면상 ∪형홈 또는 단턱 구조일 수 있다. 도 6a에 툴받침요소가 직접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로부터 돌출된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가 단턱 구조를 가지므로 툴받침요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0a 내지 20c를 참조하면,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2300)에서, 단면상 ┣형홈(1302a) 구조에 삽입되는 ┣형상, 단면상 ∪형홈(1303a) 구조에 삽입되거나 절곡형홈 구조 또는 단턱 구조에 걸리는 ┌형상, 또는 단면상 ⊃형홈 구조(도시되지 않음)에 걸리는 ⊂형상(도시되지 않음)의 분리용 툴(3300a)의 위치를 점차 아래로 내리며 툴받침요소(1302a, 1302c, 1303a)에 걸린 상태로 후시공 굴착측으로 당기면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로부터 점차 분리시킬 수 있다. 도 20c는 ┌형상 및 ┣형상의 분리용 툴(3300a)과 제2 플레이트(1302)의 횡방향에 나란한 바(bar) 형상의 분리용 툴(3300a)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b 및 19c는 분리용 툴(3300a)을 장착한 연속벽 굴착장비(3000)를 이용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분리과정(S2300)에 대한 세부 단계를 나타내었다. 도 19b 및 19c를 참조하면, 먼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연속벽 굴착장비(3000), 구체적으로는 그의 장치틀(3300)에 장착된 분리용 툴(3300a)을 도 19b의 [단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130, 130a-d) 길이방향 홈에 예컨대 하부 분리용 툴(3303a), 중간 분리용 툴(3302a), 상부 분리용 툴(3301a) 순서로 위에서부터 삽입하거나 또는 도 19c의 [단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의 지지부(130, 130a-d)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단턱구조, 예컨대 제2 플레이트(1302)의 돌출부위(1302b)에 의한 단턱구조에 의한 틀받침요소에 예컨대 하부 분리용 툴(3303a)은 돌출부위(1302b)에 걸리고 중간 분리용 툴(3302a)은 하부 분리용 툴(3303a)이 걸리는 방향과 반대쪽으로 제2 플레이트(1302)를 지지하고 이후 상부 분리용 툴(3301a) 은 하부 분리용 툴(3303a)과 마찬가지로 돌출부위(1302b)에 걸리도록 순차로 내려간다. 이 후 도 19b 및 19c 각각의 [단계-2] 및 [단계-3]에서처럼 아래로 연속벽 굴착장비(3000)를 내리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에 상부 분리용 툴(3301a)에 의한 수평력 F1, 중간 분리용 툴(3302a)에 의한 수평력 F2, 하부 분리용 툴(3303a)에 의한 수평력 F3들이 발생되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휘어지면서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수평력 F1 및 F3는 분리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되고, 수평력 F2는 인장력에 반발하여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이 된다. 수평력 F1, F2 및 F3의 합력에 의해 도 19a에 도시된 횡력(F)이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에 작용하게 된다.
수평력 F1, F2, F3들이 발생되기 위해서 도 19b 및 19c에서의 연속벽 굴착장비(3000), 구체적으로는 그의 장치틀(3300)에 예컨대 도 20c에서와 같은 분리용 툴(3300a)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0c는 예컨대 도 20a에서와 같이 단면상 ∪형홈 툴받침요소(1303a)에 삽입 내지 걸리거나 혹은 도 6a의 제2 플레이트 돌출부위(1302b)에 의한 단턱구조 틀받침요소에 걸리는 ┌형상의 분리용 툴(3300a)과, 예컨대 도 20b에서와 같이 단면상 ┣형홈 툴받침요소(1302a)에 삽입되거나 끼워지는 ┣형상의 분리용 툴(3300a)과, 그리고 제2 플레이트(1302)의 횡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2 플레이트(1302)의 후시공 굴착측 노출면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바(bar) 형상의 분리용 툴(3300a)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분리용 툴(3300a)이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장치틀(3300) 가장자리 상부, 중간 및 하부에 조립 장착되는 경우, 도 19b 및 19c에서 상부 및 하부 분리용 툴(3301a, 33003a)은 도 20a, 20b 또는 20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 내지 ┣형상의 분리용 툴(3300a)로서 수평력 F1과 F2의 인장력을 가하고, 중간 분리용 툴(3302a)은 도 20a, 20b 또는 20c에 도시된 ┌형상 내지 ┣형상의 분리용 툴(3300a)로서 또는 도 20c에 도시된 바(bar) 형상의 분리용 툴(3300a)로서 수평력 F2의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용 툴(3300a)은 도 19b에서와 같이 예컨대 상부, 중간 및 하부 위치별로 분리용 툴(3300a)의 내민 길이(돌출 길이)(L1, L2, L3)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내민 길이(돌출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한 분리용 툴(3300a)을 장착한 연속벽 굴착장비(3000)를 하부로 내리면 분리용 툴(3300a)의 내민 길이(돌출 길이) 차이로 인해 분리용 툴(3300a)은 선시공 벽체(10)의 콘크리트로부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예컨대, 상부 분리용 툴(3301a)의 돌출길이 L1, 중간 분리용 툴(3302a)의 돌출길이 L2, 하부 분리용 툴(3303a)의 돌출길이 L3 사이에 도 19b를 참조하면 L1 < L2 < L3의 관계가 형성될 수 있고, 도 19c의 경우에는 중간 분리용 툴(3302a)은 제2 플레이트(1302)의 후시공 굴착측 노출면에 지지되므로 L2 < L1 < L3의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분리용 툴(3301a)의 내민 길이는 하부 분리용 툴(3303a)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 20~30mm 차이나게 작게 제작하여 장착할 수 있다. 연속벽 굴착장비(3000)는 다양한 종류들이 있으므로, 분리용 툴(3300a)과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장비틀(3300) 사이 결합상세는 사용할 연속벽 굴착장비(3000)의 구조형상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c를 참조하면 분리용 툴(3300a)의 삽입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외측 지지 플레이트(1303)에 형성된 단면상 ∪형홈(1303a)은 상단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줄어들어 일정한 폭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S230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1 및/또는 14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후시공벽체 형성단계(S500, S1500)
다음으로 도 10 내지 14, 15e 및/또는 16e를 참조하여 후시공벽체 형성단계룰 살펴본다. 도 10 내지 14, 15e 및/또는 16e를 참조하면, 후시공벽체 형성단계(S500)에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제거된 후시공 굴착구(19) 내에 삽입된 후시공 철근망(20a)으로 콘크리트 타설하여 선시공 벽체(10)와 수직 이음부(300)를 공유하는 후시공 벽체(20)를 형성한다.
예컨대, 도 15e를 참조하면 후시공벽체 콘크리트 타설 전에 후시공 철근망(20a)의 가장자리 일측(선시공벽체 반대측) 부근에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배치되도록 하지만, 도 16e의 경우에는 후시공벽체 콘크리트 타설 전에 후시공 철근망(20a)의 가장자리 양측에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배치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5e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5c에서 후시공 굴착구(19)로 형성되어 있던 도면부호 ② 구간에서 예컨대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오른쪽 단부에 삽입한 후 후시공 철근망(20a)을 설치하고 트레미공법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도면부호 ①과 ②사이에 완성된 수직 이음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6e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6c에서 후시공 굴착구(19)로 형성되어 있던 도면부호 ③ 구간에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이 없이 후시공 철근망(20a)을 설치하고 트레미공법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선시공 벽체(10) 사이인 도면부호 ①과 ② 사이에 도면부호 ③ 구간에 후시공 벽체(20)가 완성되며 도면부호 ①과 ③ 사이 그리고 도면부호 ③과 ② 사이에 완성된 수직 이음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을 참조하면,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100)에서 도 4a 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방향 전단키(330)와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310)가 수직 이음부(300) 상에 형성되도록 전단키 형성부(110)가 구비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100)을 선시공 굴착구(9)에 삽입 설치하는 경우, 전단키 형성부(110)의 돌출된 수직키 형틀부(113) 상에 예컨대 도 4b 또는 5b에서와 같은 지수판 홈(113a)을 구비시켜 지수판(120)을 끼워 넣어 선시공벽체 형성단계(S1100)에서 지수판(120)이 선시공 벽체(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후 후시공벽체 형성단계(S1500)에서 지수판(120)이 후시공 벽체(20)에서 공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연속벽체 구속단계(S700)
도 14 및/또는 도 21a 내지 21c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살펴본다. 도 14 및/또는 도 21a 내지 21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은 연속벽체 구속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및/또는 도 21a 내지 21c를 참조하면, 연속벽체 구속단계(S700)에서, 선시공 벽체(10)와 후시공 벽체(20)가 연속된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50) 및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보(7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도 21a 및 21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캡빔(50) 및 테두리보(70)가 형성된 정면 및 측면에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도 21a 및 21b를 참조하면, 캡빔(50) 또는/및 테두리보(70) 안에 있는 길이방향 철근(50a, 70a)의 횡구속력은 연속벽과 캡빔(50) 사이 또는/및 연속벽과 테두리보(70) 사이의 콘크리트 접촉면과 연결철근(50b, 70b)에 의한 전단마찰력을 통해 전단키를 가진 지중 연속벽체의 수직 이음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캡빔(50) 및 테두리보(7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10, 20)의 철근과 결합되고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 이음부(300)에서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50a, 70a)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1c에서 지하 연속벽체의 테두리보(70)의 개략적 평면이 도시되고 있고,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10, 20)의 철근과 연결철근(70b)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길이방향 철근(70a)이 도시되고 있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연속벽체 구속단계(S70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1 내지 13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선시공 벽체
20: 후시공 벽체
50: 캡빔 70: 테두리보
100: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110: 전단키 형성부
111: 수평키 형틀돌부 113, 114: 수직키 형틀부
120: 지수판
130, 130a, 130b, 130c, 130d: 지지부
130-1: 연결부 상측 130-2: 연결부 하측
1301: 제1 플레이트 1301a: 비결합 노출면
1301b, 1302b, 1303b: 돌출부위 1302: 제2 플레이트
1302a, 1302c, 1303a: 툴받침요소 1303, 1304: 지지 플레이트
1303c: 부재 삽입홈 1305: 말단 수직이음면
1306: 내부고정판 131: 상단 지지부
133: 몸체부 135: 하단 지지부
135a: 하부 선단부 1351: 경사 플레이트
150: 수직이음 체결부재
151: 수직이음용 강재 153: 강재 고정핀
300: 수직 이음부
310: 수평방향 전단키 330: 수직방향 전단키
2000: 유압잭 2500: 반력대
3000: 연속벽 굴착장비
3300: 굴착장비 장치틀 3300a: 분리용 툴
50: 캡빔 70: 테두리보
100: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110: 전단키 형성부
111: 수평키 형틀돌부 113, 114: 수직키 형틀부
120: 지수판
130, 130a, 130b, 130c, 130d: 지지부
130-1: 연결부 상측 130-2: 연결부 하측
1301: 제1 플레이트 1301a: 비결합 노출면
1301b, 1302b, 1303b: 돌출부위 1302: 제2 플레이트
1302a, 1302c, 1303a: 툴받침요소 1303, 1304: 지지 플레이트
1303c: 부재 삽입홈 1305: 말단 수직이음면
1306: 내부고정판 131: 상단 지지부
133: 몸체부 135: 하단 지지부
135a: 하부 선단부 1351: 경사 플레이트
150: 수직이음 체결부재
151: 수직이음용 강재 153: 강재 고정핀
300: 수직 이음부
310: 수평방향 전단키 330: 수직방향 전단키
2000: 유압잭 2500: 반력대
3000: 연속벽 굴착장비
3300: 굴착장비 장치틀 3300a: 분리용 툴
Claims (19)
- 지하 연속벽체의 선시공 벽체와 후시공 벽체 간 결합면인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음부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 외에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를 더 형성시키는 전단키 형성부; 및
상기 전단키 형성부가 결합되는 선시공 벽체측 제1 플레이트, 후시공 굴착측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시공 벽체로부터의 분리를 위한 횡력의 작용점 영역이 상기 제1 또는 제2 플레이트에 또는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1에서,
상기 전단키 형성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체결부재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는 리프팅용 구멍이 구비된 상단 지지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몸체부 및 하단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수직이음 체결부재에 의해 조립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2에서,
상기 수직이음 체결부재 각각은 2이상의 핀홀이 구비되고 원통, 사각기둥 또는 판재 형상의 수직이음용 강재 및 상기 핀홀 각각을 관통하는 2이상의 강재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음 체결부재에 의해 조립 결합되는 연결부 상측과 연결부 하측 각각은 상기 수직이음용 강재를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결합면을 형성하는 말단 수직이음면, 지지부 내측에 상기 수직이음용 강재를 고정시키는 상기 강재 고정핀이 삽입 고정되도록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핀삽입 포인트 및 상기 수직이음용 강재의 상하방향 일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강재고정홀이 구비된 내부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3에서,
상기 수직이음용 강재는 상하방향 단부의 직경 내지 폭이 작아지도록 양측 말단부위에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핀삽입 포인트는 상기 강재 고정핀이 핀홀 관통 전 삽입 관통하도록 제1 외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핀 삽입구와 상기 강재 고정핀이 핀홀 관통 후 삽입 고정되도록 제2 외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핀고정홀 내지 핀고정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삽입구의 내주면과 상기 강재 고정핀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핀 삽입구에 상기 강재 고정핀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4에서,
상기 강재 고정핀의 후단면에 상기 강재 고정핀을 나사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도구용 각홈이 형성되고,
원통 형상의 상기 수직이음용 강재가 상기 말단 수직이음면 상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 시 안내되도록 상기 수직이음용 강재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도록 돌기와 홈 또는 홈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2에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하부 선단부가 뽀쪽해지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하부 선단부까지 경사진 경사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상기 전단키 형성부는 하나의 형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수의 형틀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서 연속되게 연결되거나 불연속되고,
상기 전단키 형성부는 상기 선시공 벽체의 상기 수직 이음부 측에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는 수평키 형틀돌부 및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는 수직키 형틀부를 구비하되, 상기 수직 이음부의 중앙부를 따라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좌우 양측에 다수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상기 수직 이음부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가장자리 내측에 다수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상기 수직 이음부의 센터를 벗어나 일측에 치우치게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기준으로 상기 센터 방향에 다수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7에서,
상기 전단키 형성부는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 및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 각각의 가로 및 세로 절단면 각각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의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 그리고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의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가 되도록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 및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상기 수직 이음부에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8에서,
상기 선시공 벽체의 상기 수직 이음부 측 중앙부를 따라 또는 상기 수직 이음부의 센터를 벗어나 일측에 치우치게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는 상기 수직키 형틀부는 중앙을 따라 지수판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지수판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부측에 상기 전단키 형성부가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노출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연속벽체 굴착용 가이드 월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비결합 노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가이드 월 상측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분리를 위한 상기 횡력의 작용점이 상기 가이드 월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비결합 노출면의 일부에 또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시공 벽체로부터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툴이 걸리거나 지지되도록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툴받침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툴받침요소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수직한 외측 지지 플레이트에,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 모두에 형성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툴받침요소는 단면상 ┣형홈 또는 절곡형홈 구조이고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툴받침요소는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의 바깥으로 돌출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돌출부와 함께 형성된 단면상 ∪형홈 또는 단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청구항 11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과 함께 콘크리트유입 방지부재의 삽입을 위한 부재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단면상 ∪형홈 구조의 홈폭은 지지부 상단에서부터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다가 일정해지고,
상기 단면상 ┣형홈 구조에 삽입되는 ┣형상의 또는 상기 단면상 ∪형홈 구조나 상기 절곡형홈 구조에 삽입되거나 상기 단턱 구조에 걸리는 ┌형상의 상기 분리용 툴은 연속벽 굴착장비의 장치틀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 지하 연속벽체의 선시공 벽체와 후시공 벽체 간 결합면인 수직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선시공 굴착구 내에 청구항 1 내지 9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과 선시공 철근망을 삽입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상기 선시공 벽체를 형성하는 선시공벽체 형성단계;
상기 선시공 벽체에 이웃하는 후시공 굴착구를 형성하고 횡력을 가하여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상기 선시공 벽체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하되, 상기 횡력의 작용점 영역이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상기 제1 또는 제2 플레이트에 또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 및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이 제거된 상기 후시공 굴착구 내에 삽입된 후시공 철근망으로 콘크리트 타설하여 상기 선시공 벽체와 상기 수직 이음부를 공유하는 상기 후시공 벽체를 형성하는 후시공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13에서,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부측에 상기 전단키 형성부가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노출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연속벽체 굴착용 가이드 월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비결합 노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가이드 월 상측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상기 가이드 월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비결합 노출면의 일부에 또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횡력이 작용하며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상기 선시공 벽체로부터 점차 분리시키되, 상기 가이드 월 상에 설치된 반력대에 지지된 유압잭의 스트로킹에 의해 또는 견인가능장비를 이용한 수평방향 견인에 의해 상기 횡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13에서,
상기 수직이음부 형성틀 제거단계에서, 연속벽 굴착장비의 장치틀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 설치된 분리용 툴이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지지부 외면 플레이트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툴받침요소에 걸리거나 지지되며 형성되는 횡력의 작용점을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시키며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을 상기 선시공 벽체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툴받침요소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수직한 외측 지지 플레이트에,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 모두에 형성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툴받침요소는 단면상 ┣형홈 또는 절곡형홈 구조이고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툴받침요소는 단면상 ∪형홈 또는 단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15에서,
상기 연속벽 굴착장비의 장치틀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중간 및 하부 위치에 조립 설치된 상기 분리용 툴이 상기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점차 아래로 이동되며 작용점을 형성하는 상기 툴받침요소와의 접촉영역에서 상하 양측은 분리방향으로의 인장력을 그리고 중간측은 상기 인장력에 반발하는 압축력을 제공하며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에 상기 분리방향으로의 종합 횡력을 가하여 상기 선시공 벽체로부터 점차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16에서,
상부보다 하부의 상기 분리용 툴이 상기 장치툴 가장자리로부터 길게 돌출되고,
상부, 중간 및 하부 분리용 틀은, 모두 홈 구조의 상기 툴받침요소에 끼워지거나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 양측은 상기 홈 구조의 걸리는 면에 상기 인장력을 그리고 상기 중간측은 상기 홈 구조에서 걸리는 방향의 반대쪽에 상기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상하 양측은 홈 또는 단턱 구조의 상기 툴받침요소에 걸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홈 또는 단턱 구조의 걸리는 면에 상기 인장력을 그리고 상기 중간측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횡방향으로 나란한 바(bar)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상기 압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13에서,
상기 선시공벽체 형성단계에서, 상기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의 상기 전단키 형성부는 상기 수직 이음부의 중앙부를 따라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좌우 양측에 다수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상기 수직 이음부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가장자리 내측에 다수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거나 수직 이음부의 센터를 벗어나 일측에 치우치게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그리고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기준으로 상기 센터 방향에 다수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되,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를 형성시키는 상기 전단키 형성부의 수직키 형틀부에 형성된 지수판 홈에 지수판이 끼워져 상기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상기 지수판이 상기 선시공 벽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후시공벽체 형성단계에서 상기 지수판이 상기 후시공 벽체에서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13에서,
상기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은, 상기 선시공 벽체와 상기 후시공 벽체가 연속된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 및 상기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연속벽체 구속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빔 및 상기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의 철근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수직 이음부에서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110A KR20240045600A (ko) | 2022-09-30 | 2022-09-30 |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110A KR20240045600A (ko) | 2022-09-30 | 2022-09-30 |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5600A true KR20240045600A (ko) | 2024-04-08 |
Family
ID=9071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5110A KR20240045600A (ko) | 2022-09-30 | 2022-09-30 |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5600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8504B1 (ko) | 2004-06-30 | 2007-09-14 | 박길석 | 지하 연속벽 시공방법 및 톱니형 합벽 지하 연속벽 구조 |
KR101051965B1 (ko) | 2009-04-17 | 2011-07-26 | 박길석 |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
-
2022
- 2022-09-30 KR KR1020220125110A patent/KR20240045600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8504B1 (ko) | 2004-06-30 | 2007-09-14 | 박길석 | 지하 연속벽 시공방법 및 톱니형 합벽 지하 연속벽 구조 |
KR101051965B1 (ko) | 2009-04-17 | 2011-07-26 | 박길석 |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54641B2 (ja) | 既設港湾岸壁の補強方法 | |
KR101324173B1 (ko) | 가이드 형강을 이용한 함체 추진공법 | |
KR101168633B1 (ko) | 분리형 세그먼트 지중압입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 |
KR102082333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1열 자립식 흙막이공법 | |
KR100904857B1 (ko) | 강관과 세그먼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축조방법 | |
KR20150060079A (ko) | 흙막이 구조체 | |
KR102081574B1 (ko) | 흙막이 지보공의 띠장 조립체 | |
JP4028831B2 (ja) | 取り外し可能支保工梁 | |
JP4914062B2 (ja) | 二段山留め壁とその構築方法 | |
KR101415694B1 (ko) | 부력방지 앵커가 설치된 기존 구조물의 하부에 신규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 |
JP5038170B2 (ja) | 構造物の建て替え方法 | |
JP6865518B1 (ja) | 山留壁及びその形成方法 | |
KR102208236B1 (ko) | 터널 반개착 지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터널 시공방법 | |
KR101061516B1 (ko) | 아치형 강판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구조 | |
KR20240045600A (ko) | 연속벽 수직이음부 형성틀 및 그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
JP4389570B2 (ja) | 鋼製壁と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との結合構造 | |
JP3735273B2 (ja) | 水中基礎の設置方法 | |
JP6710999B2 (ja) | 既設構造物の仮受け工法 | |
JP2006057253A (ja) | 鋼矢板併用式直接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鋼矢板併用式直接基礎 | |
CN113605367B (zh) | 一种跨越既有管廊的地下连续墙的施工方法 | |
KR101707376B1 (ko) |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JP2006022565A (ja) | 地下連続壁の応力負担材および施工方法 | |
JP6925091B1 (ja) | ボックスカルバート | |
JP4840297B2 (ja) | 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地中構造物 | |
JP2019183437A (ja) | 腹起し設置具及び腹起し設置構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