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598A -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5598A KR20240045598A KR1020220125108A KR20220125108A KR20240045598A KR 20240045598 A KR20240045598 A KR 20240045598A KR 1020220125108 A KR1020220125108 A KR 1020220125108A KR 20220125108 A KR20220125108 A KR 20220125108A KR 20240045598 A KR20240045598 A KR 202400455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carbonate copolymer
- mol
- astm
- measured according
- in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29920006026 co-polymeric resin Polymer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GHMLBKRAJCXXBS-UHFFFAOYSA-N resorcinol Chemical compound OC1=CC=CC(O)=C1 GHMLBKRAJCXXB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1 diol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VCCBEIPGXKNHFW-UHFFFAOYSA-N biphenyl-4,4'-diol Chemical compound C1=CC(O)=CC=C1C1=CC=C(O)C=C1 VCCBEIPGXKNHF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09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YMTYZTXUZLQUSF-UHFFFAOYSA-N 3,3'-Dimethylbisphenol A Chemical compound C1=C(O)C(C)=CC(C(C)(C)C=2C=C(C)C(O)=CC=2)=C1 YMTYZTXUZLQUS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281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IISBACLAFKSPIT-UHFFFAOYSA-N bisphenol A Chemical compound C=1C=C(O)C=CC=1C(C)(C)C1=CC=C(O)C=C1 IISBACLAFKSP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ROORDVPLFPIABK-UHFFFAOYSA-N diphen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OC(=O)OC1=CC=CC=C1 ROORDVPLFPIA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668 polycarbonat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431 polycarbona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29940106691 bisphenol a Drug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WMFOQBRAJBCJND-UHFFFAOYSA-M Lith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Li+].[OH-] WMFOQBRAJBCJN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HIVVAPYMSGYDF-UHFFFAOYSA-N cyclohexanone Chemical compound O=C1CCCCC1 JHIVVAPYMSGY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09 d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PFJHNSSBHPYJK-UHFFFAOYSA-N (3-methylphenyl) hydrogen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C=CC(OC(O)=O)=C1 GPFJHNSSBHPY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GRBYDKOBBBPOI-UHFFFAOYSA-N 10,10-dioxo-2-[4-(N-phenylanilino)phenyl]thioxanthen-9-one Chemical compound O=C1c2ccccc2S(=O)(=O)c2ccc(cc12)-c1ccc(cc1)N(c1ccccc1)c1ccccc1 FGRBYDKOBBBPO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NQVEEAIQZEUHB-UHFFFAOYSA-N 2-eth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COCCO ZNQVEEAIQZEU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5 2-ethoxyetha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9 Impact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TIZESTWPVYFNL-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 NTIZESTWPVYF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HCLUNTQKBZGK-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C(C)=O UIHCLUNTQKB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GYAWVDWMABLBF-UHFFFAOYSA-N Phosgene Chemical compound ClC(Cl)=O YGYAWVDWMABL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2 alkalin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90 bipheny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267 biph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MUCRFDZUHPMASM-UHFFFAOYSA-N bis(2-chlorophen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OC(=O)OC1=CC=CC=C1Cl MUCRFDZUHPMAS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82 conden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YIBPWZEZWVDQB-UHFFFAOYSA-N dicyclohex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OC(=O)OC1CCCCC1 FYIBPWZEZWVD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53 environment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82 mold releas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67 nucle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UOUZKKEUPVFJK-UHFFFAOYSA-N phenylbenzene Natural products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32 reaction spe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CPYLLCMEDAXFR-UHFFFAOYSA-N triphosgene Chemical compound ClC(Cl)(Cl)OC(=O)OC(Cl)(Cl)Cl UCPYLLCMEDAX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 C08G64/307—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and phen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 내지 35 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 내지 25 몰%;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55 내지 95 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사출 열안정성, 내화학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사출 열안정성, 내화학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열변형온도가 135℃ 이상인 대표적 열가소성 수지로 투명성, 기계적 물성, 내충격성, 치수안정성,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전기, 전자, 자동차, 건축 부품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A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우수한 투명성과 기계적 물성을 갖고 있으나,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 등이 부족하여, 외부의 긁힘 등 물리적 자극이나 유기 용제 등의 화학적 자극에 의해 쉽게 손상이 발생하고, 외관 특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부족한 내후성으로 인해, 자외선 등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황변에 의해 투명성 및 색상 품질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해당 물성을 개선할 수 있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나 첨가제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혼합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지간의 상용성 문제나, 첨가제의 분해 등의 문제로 다른 물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열가소성 수지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사출 열안정성, 내화학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7664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사출 열안정성, 내화학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한 관점은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 내지 35 몰%;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 내지 25 몰%;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55 내지 95 몰%;를 포함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 g/mol일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광 투과율이 88% 이상일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BSP(Ball-type Scratch Profile) 테스트에 의한 스크래치 너비(width)가 210 내지 257 ㎛이고, ASTM D3363에 의거하여 500 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연필 경도가 H 이상일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식 1에 따라 측정한 자외선(UV)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1-0)가 7 이하일 수 있다:
[식 1]
자외선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1-0)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는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황색 지수이고, YI1는 상기 시편에 313 nm, 0.63 W/m2 조건의 자외선(UV)을 60℃에서 12시간 동안 조사한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이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식 2에 따라 측정한 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2-0)가 5 이하일 수 있다:
[식 2]
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2-0) = YI2 - YI0
상기 식 2에서, YI0는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황색 지수이고, YI2는 성형 온도 320℃ 및 금형 온도 70℃로 설정된 사출기 실린더 내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2.5 mm 두께 시편을 사출하여 제조하고,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사출 체류 후 시편의 황색 지수(YI) 값이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두께 2.5 mm 시편을 신너 용액에 2분간 침지한 뒤, 80℃에서 30분 건조하고,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광 투과율이 88% 이상일 수 있다.
8.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레조시놀 2 내지 35 몰%, 4,4'-비페놀 2 내지 25 몰% 및 3,3'-디메틸 비스페놀-A 55 내지 95 몰%를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을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9. 상기 8 구체예에서, 상기 반응은 촉매 존재 하에 170 내지 300℃의 온도 조건 및 상압 조건 및 250 torr 이하의 감압 조건에서 수행되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일 수 있다.
10. 상기 8 또는 9 구체예에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디아릴 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11.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사출 열안정성, 내화학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별도의 첨가제 없이도,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사출 열안정성, 내화학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 내지 35 몰%, 예를 들면 5 내지 30 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 내지 25 몰%, 예를 들면 5 내지 20 몰%;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55 내지 95 몰%, 예를 들면 50 내지 90 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함량이 2 몰% 미만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5 몰%를 초과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내화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함량이 2 몰% 미만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5 몰%를 초과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함량이 55 몰% 미만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스크래치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5 몰%를 초과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내충격성, 내후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100,000 g/mol, 예를 들면 10,000 내지 4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레조시놀(Resorcinol), 4,4'-비페놀(BP) 및 3,3'-디메틸 비스페놀-A(DMBPA)를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을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축합 반응, 에스테르 교환 반응 등)시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조시놀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4,4'-비페놀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3,3'-디메틸 비스페놀-A는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하여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는 포스겐, 트리포스겐, 디아릴 카보네이트,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아릴 카보네이트로는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디페닐 카보네이트 등의 디아릴 카보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레조시놀은 상기 디올 화합물 100 몰% 중 2 내지 35 몰%, 예를 들면 5 내지 30 몰%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4,4'-비페놀은 상기 디올 화합물 100 몰% 중 2 내지 25 몰%, 예를 들면 5 내지 20 몰%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3,3'-디메틸 비스페놀-A는 상기 디올 화합물 100 몰% 중 55 내지 95 몰%, 예를 들면 60 내지 90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조시놀의 함량이 2 몰% 미만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5 몰%를 초과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내화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4,4'-비페놀의 함량이 2 몰% 미만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5 몰%를 초과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3,3'-디메틸 비스페놀-A의 함량이 55 몰% 미만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스크래치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5 몰%를 초과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내충격성, 내후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올 혼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반응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일 수 있으며, 170 내지 300℃, 예를 들면 180 내지 290℃에서 상압 및 감압 조건으로 압력 조건을 달리하며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가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속도 및 부반응 감소에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상압 조건 및 250 torr 이하, 예를 들면 200 torr 이하의 감압 조건으로 압력 조건을 달리하며, 적어도 10분 이상, 예를 들면 15분 내지 24시간, 구체적으로 15분 내지 12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반응속도 및 부반응 감소에 있어 바람직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촉매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촉매로는 통상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촉매, 알칼리 토금속 촉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촉매로는 LiOH, NaOH, KOH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상기 디올 화합물 1 몰당 1×10-8 내지 1×10-3 몰, 예를 들면 1×10-7 내지 1×10-4 몰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 시 충분한 반응성을 얻을 수 있고, 부반응에 의한 부산물 생성이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올 화합물과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몰비(디올 혼합물/카보네이트 전구체)는 0.5 내지 2.0, 예를 들면 0.8 내지 1.2, 구체적으로 0.9 내지 1.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성, 열안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외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사용 시, 그 함량은 전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중 1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충격보강제, 충진제, 난연제,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전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중 0.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단독, 또는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들을 혼합한 후에,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별도의 첨가제 없이도,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사출 열안정성, 내화학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것으로서, 다양한 용도, 예를 들면, 휴대폰 외장재, 사무기기 외장재, 자동차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광 투과율이 88% 이상, 예를 들면 89 내지 92%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BSP(Ball-type Scratch Profile) 테스트에 의한 스크래치 너비(width)가 210 내지 257 ㎛, 예를 들면 215 내지 255 ㎛이고, ASTM D3363에 의거하여 500 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연필 경도가 H 이상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따라 측정한 자외선(UV)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1-0)가 7 이하, 예를 들면 2 내지 6.6일 수 있다:
[식 1]
자외선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1-0)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는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황색 지수이고, YI1는 상기 시편에 313 nm, 0.63 W/m2 조건의 자외선(UV)을 60℃에서 12시간 동안 조사한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2에 따라 측정한 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2-0)가 5 이하, 예를 들면 2 내지 4.5일 수 있다:
[식 2]
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2-0) = YI2 - YI0
상기 식 2에서, YI0는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황색 지수이고, YI2는 성형 온도 320℃ 및 금형 온도 70℃로 설정된 사출기 실린더 내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2.5 mm 두께 시편을 사출하여 제조하고,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사출 체류 후 시편의 황색 지수(YI) 값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두께 2.5 mm 시편을 신너 용액에 2분간 침지한 뒤, 80℃에서 30분 건조하고,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광 투과율이 88% 이상, 예를 들면 88.5 내지 92%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
하기 표 1 및 2의 구성 및 함량에 따라, 레조시놀(Resorcinol), 4,4'-비페놀(BP), 3,3'-디메틸 비스페놀-A(DMBPA) 및 비스페놀-A(BPA)와 디페닐 카보네이트(DPC)에 촉매로 KOH 2,000 ppb(디올 화합물 1 몰 대비)를 반응기에 차례로 첨가한 후, 180℃ 온도 조건 및 상압 조건에서 4시간, 230℃ 온도 조건 및 200 torr 감압 조건에서 1시간, 260℃ 온도 조건 및 20 torr 감압 조건에서 1시간, 290℃ 온도 조건 및 1 torr 감압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27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10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10 oz 사출기(사출 온도: 28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투명성: ASTM D1003에 의거하여, Nippon Denshoku사의 Haze meter NDH 2000 장비를 이용하여 2.5 mm 두께 시편의 광 투과율(전광선 투과율, 단위: %)을 측정하였다.
(2) 내스크래치성: BSP(Ball-type Scratch Profile) 테스트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90 mm × 50 mm × 1 mm 크기의 시편 표면에 0.7 mm 지름의 구형의 금속 팁을 사용하여 하중 1 kg, 스크래치 속도 75 mm/분으로 10 내지 20 mm의 길이의 스크래치를 가하였다. 가해진 스크래치의 프로파일을 Ambios社의 접촉식 표면 프로파일 분석기(XP-1)을 사용하여 지름 2 ㎛의 금속 스타일러스 팁으로 표면 스캔하여 내스크래치성의 척도가 되는 스크래치 너비(scratch width, 단위: ㎛)를 측정하였다.
(3) 내스크래치성: ASTM D3363에 의거하여 500 g 하중 조건에서 시편의 연필 경도(단위: 등급)를 측정하였다.
(4) 내후성: 하기 식 1에 따라 측정한 자외선(UV)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1-0)를 산출하였다.
[식 1]
자외선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1-0)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는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황색 지수이고, YI1는 상기 시편에 313 nm, 0.63 W/m2 조건의 자외선(UV)을 60℃에서 12시간 동안 조사한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이다.
(5) 사출 열안정성: 하기 식 2에 따라 측정한 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2-0)를 산출하였다.
[식 2]
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2-0) = YI2 - YI0
상기 식 2에서, YI0는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황색 지수이고, YI2는 성형 온도 320℃ 및 금형 온도 70℃로 설정된 사출기 실린더 내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2.5 mm 두께 시편을 사출하여 제조하고,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사출 체류 후 시편의 황색 지수(YI) 값이다.
(6) 내화학성(도장액 침지 후 광 투과율): 두께 2.5 mm 시편을 신너 용액(주성분: 메틸이소부틸케톤, 씨클로헥사논 및 2-에톡시 에탄올)에 2분간 침지한 뒤, 80℃에서 30분 건조한 다음, ASTM D1003에 의거하여, Nippon Denshoku사의 Haze meter NDH 2000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시편의 광 투과율(전광선 투과율, 단위: %)을 측정하였다.
(7) 내화학성(알콜류): ASTM D638의 규격에 맞는 인장강도 측정 시편을 사출한 후, 내환경 응력 균열성(Environmental Stress Crack Resistance) 기준 ASTM D543에 따라, 상기 시편에 2.1% 스트레인(strain)을 가한 상태에서 메탄올과 이소프로필알콜을 떨어뜨리고, 10분 후 굴곡면에 나타난 시편의 크랙(crack) 상태를 관찰하였다. (◎: 크랙 미발생, ○: 미세 크랙 발생, ×: 크랙으로 인한 헤이즈(haze) 관찰됨)
실시예 | ||||||
1 | 2 | 3 | 4 | 5 | ||
디올 화합물 | Resorcinol (몰%) | 30 | 20 | 20 | 10 | 5 |
BP (몰%) | 10 | 20 | 10 | 10 | 5 | |
DMBPA (몰%) | 60 | 60 | 70 | 80 | 90 | |
BPA (몰%) | - | - | - | - | - | |
디올 화합물/DPC (몰비) | 0.99 | 0.99 | 0.99 | 0.99 | 0.99 | |
중량평균분자량 (g/mol) | 28,000 | 28,000 | 28,000 | 28,000 | 28,000 | |
광 투과율 (%) | 89.1 | 89.3 | 89.4 | 89.7 | 90.3 | |
스크래치 너비 (㎛) | 254 | 255 | 246 | 231 | 225 | |
연필 경도 (등급) | H | H | H | 2H | 2H | |
자외선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1-0) | 3.3 | 4.5 | 4.3 | 5.7 | 6.6 | |
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2-0) | 4.1 | 2.9 | 3.8 | 3.2 | 3.1 | |
도장액 침지 후 광 투과율 (%) | 89.0 | 89.1 | 89.3 | 89.5 | 88.9 | |
내화학성(알콜류) | ◎ | ◎ | ◎ | ◎ | ○ |
비교예 | ||||||||
1 | 2 | 3 | 4 | 5 | 6 | 7 | ||
디올 화합물 | Resorcinol (몰%) | 1 | 9 | 30 | 40 | 15 | 2 | - |
BP (몰%) | 9 | 1 | 20 | 5 | 30 | 2 | - | |
DMBPA (몰%) | 90 | 90 | 50 | 55 | 55 | 96 | - | |
BPA (몰%) | - | - | - | - | - | - | 100 | |
디올 화합물/DPC (몰비) | 0.99 | 0.99 | 0.99 | 0.99 | 0.99 | 0.99 | 0.99 | |
중량평균분자량 (g/mol) | 28,000 | 28,000 | 28,000 | 28,000 | 28,000 | 28,000 | 28,000 | |
광 투과율 (%) | 90.0 | 89.5 | 89.5 | 89.4 | 89.7 | 90.8 | 91.0 | |
스크래치 너비 (㎛) | 226 | 224 | 276 | 252 | 273 | 223 | 345 | |
연필 경도 (등급) | 2H | 2H | HB | H | HB | 2H | 2B | |
자외선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1-0) | 10.1 | 6.0 | 3.5 | 3.4 | 5.5 | 6.8 | 10.3 | |
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2-0) | 3.2 | 3.3 | 3.9 | 4.5 | 3.1 | 3.5 | 3.1 | |
도장액 침지 후 광 투과율 (%) | 88.5 | 13.3 | 88.9 | 17.0 | 89.0 | 15.8 | 8.8 | |
내화학성(알콜류) | ◎ | × | ◎ | × | ◎ | × | ×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광 투과율), 내스크래치성(스크래치 너비, 연필 경도), 내후성(자외선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 사출 열안정성(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 내화학성(도장액 침지 후 광 투과율, 알콜류 적용 평가),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레조시놀(Resorcinol)을 소량 적용한 비교예 1의 경우, 내후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4,4'-비페놀(BP)을 소량 적용한 비교예 2의 경우, 내화학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3,3'-디메틸 비스페놀-A(DMBPA)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3의 경우, 내스크래치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레조시놀(Resorcinol)을 과량 적용한 비교예 4의 경우, 내화학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4,4'-비페놀(BP)을 과량 적용한 비교예 5의 경우, 내스크래치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3,3'-디메틸 비스페놀-A(DMBPA)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6의 경우, 내화학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대신에, 디올 화합물로 BPA만을 적용한 통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경우(비교예 7),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내화학성 등이 크게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 내지 35 몰%;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 내지 35 몰%;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55 내지 95 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광 투과율이 8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BSP(Ball-type Scratch Profile) 테스트에 의한 스크래치 너비(width)가 210 내지 257 ㎛이고, ASTM D3363에 의거하여 500 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연필 경도가 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식 1에 따라 측정한 자외선(UV)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1-0)가 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식 1]
자외선 조사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1-0)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는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황색 지수이고, YI1는 상기 시편에 313 nm, 0.63 W/m2 조건의 자외선(UV)을 60℃에서 12시간 동안 조사한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식 2에 따라 측정한 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2-0)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식 2]
사출 체류 전후 황색 지수 차이(ΔYI2-0) = YI2 - YI0
상기 식 2에서, YI0는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황색 지수이고, YI2는 성형 온도 320℃ 및 금형 온도 70℃로 설정된 사출기 실린더 내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2.5 mm 두께 시편을 사출하여 제조하고,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사출 체류 후 시편의 황색 지수(YI) 값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두께 2.5 mm 시편을 신너 용액에 2분간 침지한 뒤, 80℃에서 30분 건조하고,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광 투과율이 8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레조시놀 2 내지 35 몰%, 4,4'-비페놀 2 내지 25 몰% 및 3,3'-디메틸 비스페놀-A 55 내지 95 몰%를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을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촉매 존재 하에 170 내지 300℃의 온도 조건 및 상압 조건 및 250 torr 이하의 감압 조건에서 수행되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디아릴 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108A KR20240045598A (ko) | 2022-09-30 | 2022-09-30 |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108A KR20240045598A (ko) | 2022-09-30 | 2022-09-30 |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5598A true KR20240045598A (ko) | 2024-04-08 |
Family
ID=9071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5108A KR20240045598A (ko) | 2022-09-30 | 2022-09-30 |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5598A (ko) |
-
2022
- 2022-09-30 KR KR1020220125108A patent/KR20240045598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1680B1 (ko)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489952B1 (ko) | 폴리카보네이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74837B1 (ko) | 필름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 |
EP3926000B1 (en) |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film | |
KR101447269B1 (ko) | 폴리카보네이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 |
EP3628699B1 (en) | Copolycarbon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 |
KR20140075520A (ko)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 |
EP3617272B1 (en) | Glass filler-containing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thereof | |
KR20240045598A (ko) |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US9012591B2 (en) | Copolymerized polycarbonate resi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 |
KR101685245B1 (ko) |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101704896B1 (ko) |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101752093B1 (ko) |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101301605B1 (ko) | 내열성, 내가수분해성, 색조 및 정전기 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14834B1 (ko)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20240056907A (ko)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697864B1 (ko) |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 |
EP4335889A1 (en) | Polycarbonate copolymer | |
EP4234608A1 (en) | Polycarbonate copolymer | |
KR20240014713A (ko) |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230166901A (ko) |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
KR20220166115A (ko) |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
EP4194510A1 (en) | Polycarbonate compound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 |
KR20220166200A (ko) | 폴리카보네이트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240014712A (ko) | 폴리카보네이트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