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637A -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637A
KR20240044637A KR1020220123890A KR20220123890A KR20240044637A KR 20240044637 A KR20240044637 A KR 20240044637A KR 1020220123890 A KR1020220123890 A KR 1020220123890A KR 20220123890 A KR20220123890 A KR 20220123890A KR 20240044637 A KR20240044637 A KR 20240044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um
eye drop
bag
serum eye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숙
한애경
박혜경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2012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637A/ko
Priority to PCT/KR2023/013575 priority patent/WO2024071735A1/ko
Publication of KR2024004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6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2Compounding apparatus specially for enteral or parenteral nutritive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61J1/165Cooled holders, e.g. for medications, insulin, blood,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6Blood plasma; Blood se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7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e.g. endless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청안약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A MANUFACTURING K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UTOLOGOUOS SERUM EYE DROPS}
본 발명은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청은 눈물과 구성 성분이 유사하고 일부 성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 성분의 농도가 동일하다. 이에 눈물의 대체제로 사용되는 안약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혈청안약이라 한다. 혈청안약은 심한 안구건조증이나 결막 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혈청안약은 환자의 혈액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므로 혈청에 포함된 상피세포성장인자, 조직성장인자, 비타민 A, 콜라겐섬유와 세포를 연결하는 피브로넥틴, 베타-글로불린 등이 풍부하다. 이에 따라 혈청안약은 난치성 각막상피질환, 건성 각막상피질환, 신경이영양증 또는 기저막 손상 때문에 상처치유가 지연되는 경우에 성장인자 또는 피브로넥틴 등의 회복을 위해 필요한 물질을 보충하기 위한 약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라식, 라섹 등의 시력교정술 후 상처치유가 심각하게 지연되는 경우 통증을 줄이고 안구건조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혈청안약은 방부제가 들어있지 않고 주성분이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어 세균이 쉽게 번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반드시 냉장 보관해야 하고 제조일로부터 3개월 이후에는 폐기해야 하는 등 보관방법 및 사용기간 등에 있어서 몇 가지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제조과정에서 세균이 침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이고 사용자의 편이를 증가시키며 혈청의 불필요한 폐기량을 줄일 수 있는 키트를 개발하여 안전성이 높고, 제조가 쉬운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혈액을 내부로 주입하는 제1 주입부 및 상기 혈액으로부터 분리되는 혈청을 배출하는 제1 배출부를 구비하는 혈액주머니; 상기 혈액주머니의 제1 배출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탈장착 가능하며 상기 혈액주머니에서 배출되는 혈청을 내부로 주입하는 제2 주입부, 첨가물을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제3 주입부, 및 혈청과 첨가물이 혼합된 혈청안약을 배출하는 제2 배출부를 구비하는 혈청주머니; 및 상기 혈청주머니의 제2 배출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탈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혈청안약을 저장하는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하는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를 포함하는 혈청안약 제조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액주머니의 제1 배출부와 상기 혈청주머니의 제2 주입부는 별도의 연결관 없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는, 상기 혈액주머니의 제1 배출부와 상기 혈청주머니의 제2 주입부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는, 상기 혈청주머니의 제2 배출부에 탈장착 가능하며 혈청안약을 이송 받는 제4 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혈청주머니의 제2 배출부와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의 제4 주입부는 별도의 연결관 없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는, 혈청안약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복수로 구비된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는,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는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과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을 접합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하판;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 상기 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실링부를 제어하는 실링부 제어부; 및 상기 실링부 제어부에 대향하여 구비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 및 상판은 상기 실링부 제어부와 상기 지지기둥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는, 하판 및 상기 하판과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판은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과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을 접합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 상기 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는 혈청안약의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 또는 혈청안약을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는, 제조된 혈청안약주머니를 보관하는 보냉 보관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냉 보관용기는 상기 혈청안약주머니를 보관하는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 및 냉각제를 수납하는 냉각제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를 이용한 혈청안약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혈액주머니에 혈액을 수용하고,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는 혈청분리단계; 분리된 혈청을 상기 혈액주머니에서 상기 혈청주머니로 이송시키고, 첨가물을 상기 혈청주머니에 주입하여 혈청안약을 제조하는 혈청안약 제조단계; 제조된 혈청안약을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에 포함된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의 복수의 수용홈에 일정한 용량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혈청안약 분할단계; 및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을 접합시키고, 각각의 혈청안약주머니로 절단하여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하는 혈청안약주머니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액주머니에서 분리된 혈청은 별도의 연결관 없이 상기 혈청주머니로 이송되고, 상기 혈청주머니에서 제조된 혈청안약은 별도의 연결관 없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은, 혈청안약 제조과정에서 세균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어 혈청안약 제조과정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는, 혈액주머니와 혈청주머니가 서로 별도의 연결관 없이 연결될 수 있고, 혈청주머니와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가 서로 별도의 연결관 없이 연결될 수 있어, 혈청안약 제조 시에 혈청 및 혈청안약이 손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는, 혈액주머니와 혈청주머니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고, 혈청주머니와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여 혈청안약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의 혈액주머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의 혈청주머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의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를 이용하여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를 이용하여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주머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보냉 보관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휴대용 보냉 보관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휴대용 보냉 보관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여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제1"및 "제2"와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혈액을 내부로 주입하는 제1 주입부(110) 및 상기 혈액으로부터 분리되는 혈청을 배출하는 제1 배출부(120)를 구비하는 혈액주머니(100); 상기 혈액주머니(100)의 제1 배출부(1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탈장착 가능하며 상기 혈액주머니(100)에서 배출되는 혈청을 내부로 주입하는 제2 주입부(210), 첨가물을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제3 주입부(220), 및 혈청과 첨가물이 혼합된 혈청안약을 배출하는 제2 배출부(230)를 구비하는 혈청주머니(200); 및 상기 혈청주머니(200)의 제2 배출부(2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탈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배출부(230)에서 배출되는 혈청안약을 저장하는 혈청안약주머니(600)를 제조하는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를 포함하는 혈청안약 제조 키트(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1)는, 혈청안약 제조과정에서 세균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어 혈청안약 제조과정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1)는, 혈액주머니(100)와 혈청주머니(200)가 서로 별도의 연결관 없이 연결될 수 있고, 혈청주머니(200)와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가 서로 별도의 연결관 없이 연결될 수 있어, 혈청안약 제조 시에 혈청 및 혈청안약이 손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1)는, 혈액주머니(100)와 혈청주머니(200)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고, 혈청주머니(200)와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여 혈청안약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혈청안약 제조 키트(1)는, 혈액주머니(100), 혈청주머니(200) 및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액주머니(100)는 고분자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혈액주머니(100)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및 폴리아미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혈액주머니(10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의 혈액주머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혈액주머니(100)는 제1 주입부(110)와 제1 배출부(120)을 포함한다. 제1 주입부(110)는 채취된 혈액을 혈액주머니(100) 내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주입부(110)는 제1 주입구(111)와 제2 주입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입구(111)의 일단은 채혈용 바늘(113)과 연결될 수 있으며, 환자로부터 직접 채혈하여 혈액을 혈액주머니(1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주입구(112)의 일단은 제1 투입포트(114)와 연결될 수 있다. 혈관이 좋지 않은 환자의 경우에 굵은 채혈용 바늘을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어, 이러한 환자들은 주사기(Syringe)를 이용하여 채혈한 후에 제1 투입포트(114)를 통해 혈액을 혈액주머니(1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주입구(111)와 제2 주입구(112)의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액주머니(100)에 주입된 혈액은 원심분리기를 통해 혈청과 혈액 덩어리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무거운 혈구 덩어리는 혈액주머니(100) 하부에 존재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혈청은 상부에 존재하게 된다.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혈청은 상기 제1 배출부(1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 배출부(120)에는 탈장착부(500a)가 구비될 수 있다. 탈장착부(500a)는 후술하는 필터(400)의 일측과 탈장착되거나, 또는 혈청주머니(200)의 제2 주입부(210)와 탈장착될 수 있다. 또한, 탈장착부(500a)는 제1 배출부(120)를 밀봉시키는 캡과 탈장착될 수 있다. 탈장착부(500a)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클램프, 스크류 형태로 나선 체결되는 체결부, 또는 끼움 형태로 체결되는 체결부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의 혈청주머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주머니(200)는 고분자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혈청주머니(200)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및 폴리아미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혈청주머니(20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혈청주머니(200)는 상기 혈액주머니(100)와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혈청주머니(200)는 제2 주입부(210), 제3 주입부(220) 및 제2 배출부(230)을 포함한다. 제2 주입부(210)에는 탈장착부(500b)가 구비될 수 있다. 탈장착부(500b)는 후술하는 필터(400)의 타측과 탈장착되거나, 또는 혈액주머니(100)의 제1 배출부(120)와 탈장착될 수 있다. 또한, 탈장착부(500b)는 제2 주입부(210)를 밀봉시키는 캡과 탈장착될 수 있다. 탈장착부(500b)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클램프, 스크류 형태로 나선 체결되는 체결부, 또는 끼움 형태로 체결되는 체결부 등일 수 있다.
혈액주머니(100)에서 분리되는 혈청은 제2 주입부(210)를 통해 혈청주머니(200)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혈액주머니(100)에서 혈청주머니(200)로 혈청을 이송하기 위하여, 혈액주머니(100)를 가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1)는, 상기 혈액주머니(100)의 제1 배출부(120)와 상기 혈청주머니(200)의 제2 주입부(210)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0)는 혈액주머니(100) 내부에서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혈액 덩어리들이 혈청주머니(200)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400)는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필터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 ㎛ 이상 200 ㎛ 이하 크기 메쉬를 가지는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3 주입부(220)는 제2 투입포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투입포트(221)를 통해, 혈청안약의 제조에 필요한 첨가물을 혈청주머니(200) 내부로 투입시킬 수 있다. 이때, 혈청에 첨가되는 첨가물에는 생리 식염수, 비타민, 단백질 및 그 외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혈청주머니(200)의 외면에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혈청에 주입되는 첨가물의 양을 조절하여 혈청안약의 희석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2 주입부(210)와 제3 주입부(220)의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액주머니(100)의 제1 배출부(120)와 상기 혈청주머니(200)의 제2 주입부(210)는 별도의 연결관 없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혈액주머니(100)와 상기 혈청주머니(200)는 튜브, 관 등의 열결관 없이 제1 배출부(120)와 제2 주입부(21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필터(400)의 일측이 상기 혈액주머니(100)의 제1 배출부(120)와 결합되고 필터(400)의 타측이 상기 혈청주머니(200)의 제2 주입부(210)에 결합되어 혈액주머니(100)와 혈청주머니(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혈액주머니(100)에서 상기 혈청주머니(200)로 이송되는 혈청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혈청안약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액주머니(100)와 상기 혈청주머니(200)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청안약 제조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기 위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할 시에, 상기 혈액주머니(100)만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원심분리할 수 있다. 원심분리를 통해 혈청 분리가 완료된 후에, 혈액주머니(100)의 제1 배출부(120)에 필터(400)의 일측을 체결하고, 필터(400)의 타측에 혈청주머니(200)의 제2 주입부(210)를 체결할 수 있다. 이후, 혈액주머니(100)를 가압하여 혈액주머니(100)의 혈청을 혈청주머니(200) 내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혈청주머니(200)의 제2 배출부(230)를 통해 제조된 혈청안약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배출부(230)에는 탈장착부(500c)가 구비될 수 있다. 탈장착부(500c)는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의 제4 주입부(310)와 탈장착되거나, 제2 배출부(230)를 밀봉시키는 캡과 탈장착될 수 있다. 탈장착부(500c)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클램프, 스크류 형태로 나선 체결되는 체결부, 또는 끼움 형태로 체결되는 체결부 등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의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는, 상기 혈청주머니(200)의 제2 배출부(230)에 탈장착 가능하며 혈청안약을 이송 받는 제4 주입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의 제4 주입부(310)는 혈청주머니(200)의 제2 배출부(230)에 구비된 탈장착부(500c)를 통해, 제2 배출부(230)에 탈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주머니(200)의 제2 배출부(230)와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의 제4 주입부(310)는 별도의 연결관 없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혈청주머니(200)와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는 튜브, 관 등의 열결관 없이 제2 배출부(230)와 제4 주입부(3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혈청주머니(200)에서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로 이송되는 혈청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혈청안약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주머니(200)와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청안약 제조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와 혈청주머니(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혈액주머니(100)에서 혈청주머니(200)로 혈청을 이송시키고 혈청주머니(200) 내부에서 혈청안약의 제조할 수 있다. 이후, 혈청주머니(200)와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를 연결하고, 제조된 혈청안약을 혈청주머니(200)로부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는, 혈청안약을 수용하는 수용홈(321)이 복수로 구비된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은, 제4 주입부(310), 복수개의 수용홈(321), 연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에 구비되는 수용홈(321)의 개수는 도 1에 도시된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수용홈(321)의 수를 증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혈청주머니(200)의 제2 배출부(230)와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의 제4 주입부(310)를 연결한 후, 혈청주머니(200)에서 제조된 혈청안약을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에 구비된 복수개의 수용홈(321)에 분할하여 수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를 이용하여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는,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에 접합되어 상기 수용홈(321)을 커버하는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은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일체로 구비되어 밀봉된 백(bag)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는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과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이 일체로 구비된 밀봉된 백의 형태로, 혈청주머니(200)에서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로 혈청안약의 이송 시에 세균,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은, 제4 주입부(310), 복수개의 커버(331), 연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331)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홈(321)을 밀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331)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331)는 상기 수용홈(321)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거나, 상기 수용홈(321)을 밀봉시킬 수 있는 막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331)는 상기 수용홈(321)에 수용된 혈청안약(L)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332), 상기 배출구(332)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캡(33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는 연결부(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322)를 통해 추가의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미도시)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청주머니(200)에서 제조된 혈청안약의 양이 많은 경우, 제1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에 제2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를 연결하여 혈청안약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제2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에도 연결부가 포함되어, 제3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를 제2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600)는 혈청안약의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 또는 혈청안약을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일 수 있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혈청안약(L)의 재사용이 가능한 혈청안약주머니(6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에 포함된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이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청주머니(200)에서 제조된 혈청안약(L)을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수용홈(321)에 각각 분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용홈(321)이 밀봉될 수 있도록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을 접하게 위치시키고 접합시킬 수 있다.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을 접합하는 방법은 열융착, 고주파 융착과 같은 당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수용홈(321)과 커버(331)가 위치하지 않은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의 접합된 부위(S)를 절단하여, 혈청안약(L)을 저장하고 있는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수용홈(321)의 테두리를 따라 접합된 부위(S)를 절단하여, 개별적인 혈청안약주머니(600)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의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과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이 접합되지 않은 상태, 즉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수용홈(321)이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의 커버(331)에 의하여 완전히 밀봉되기 전에 혈청주머니(200)에서 혈청안약을 이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에 제조된 혈청안약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복수개의 수용홈(321)에 균등한 양으로 혈청안약을 효과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의 경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 보다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의 경도가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제조된 혈청안약주머니에서,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수용홈(321) 부분을 사용자가 눌러,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의 커버(331)의 배출구(332)를 통해 혈청안약이 배출되므로,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1)는 지지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700)는, 상기 수용홈(321)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711),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을 접합시키는 실링부(712)를 포함하는 하판(710); 상기 수용홈(321)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721), 상기 홀(721)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판(7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단부(722)를 포함하는 상판(720); 상기 실링부(712)를 제어하는 실링부 제어부(730); 및 상기 실링부 제어부(730)에 대향하여 구비되는 지지기둥(740);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710) 및 상판(720)은 상기 실링부 제어부(730)와 상기 지지기둥(740)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700)는 틀(7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틀(750)은 상기 수용홈(321)의 형태와 대응하는 형태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틀(750)은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틀(750)은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일정한 무게가 있으며 투명한 재질의 유리로 제작된 틀(750)을 이용하여,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수용홈(321)에 수용되는 혈청안약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하판(710)에 구비된 복수의 홀(711)의 형태와 상기 상판(720)에 구비된 복수의 홀(721)의 형태는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에 구비된 수용홈(321)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틀(750)에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거치시키고,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수용홈(321)에 혈청안약을 수용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하판(710)을 상기 틀(75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을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에 접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하판(710)에 구비된 실링부(712)를 이용하여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과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접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712)는 열융착기 또는 고주파 융착기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링부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과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접합할 수 있는 수단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상판(720)을 상기 하판(71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절단부(722)를 이용하여 수용홈(321)의 테두리를 따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과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이 접합된 부위를 절단하여 개별적인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지지대(700)는 실링부 제어부(730)와 지지기둥(7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 제어부(730)와 지지기둥(740) 사이에 전술한 상판(720) 및 하판(710)이 구비될 수 있다. 하판(710)은 이동부(713)를 통해 실링부 제어부(730)와 지지기둥(740)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판(720)은 이동부(723)를 통해 실링부 제어부(730)와 지지기둥(740)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판(720)의 이동부(723)와 하판(710)의 이동부(713)은 유압식으로 작동하여,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과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가압하며 지지할 수 있고, 접합시킬 수 있다. 실링부 제어부(730)는 상기 하판(710)에 구비된 실링부(7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750)은 상기 실링부 제어부(730)와 상기 지지기둥(740) 사이에 삽입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1)는, 하판(710) 및 상기 하판(710)과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판(720)을 포함하는 지지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판(710)은 상기 수용홈(321)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711),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을 접합시키는 실링부(712)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720)은 상기 수용홈(321)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721), 상기 홀(721)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판(7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단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700)는 틀(7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틀(750)은 상기 수용홈(321)의 형태와 대응하는 형태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틀(750)은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틀(750)은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일정한 무게가 있으며 투명한 재질의 유리로 제작된 틀(750)을 이용하여,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수용홈(321)에 수용되는 혈청안약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하판(710)에 구비된 복수의 홀(711)의 형태와 상기 상판(720)에 구비된 복수의 홀(721)의 형태는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에 구비된 수용홈(321)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틀(750)에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거치시키고,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수용홈(321)에 혈청안약을 수용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하판(710)을 상기 틀(75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을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에 접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하판(710)에 구비된 실링부(712)를 이용하여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과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접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712)는 열융착기 또는 고주파 융착기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링부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과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접합할 수 있는 수단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상판(720)을 상기 하판(71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절단부(722)를 이용하여 수용홈(321)의 테두리를 따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과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이 접합된 부위를 절단하여 개별적인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판(720)과 하판(710)은 연결부(76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760)를 통해 상판(720)은 하판(710)과 연결되며 하판(710)에 대하여 힌지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763)는 유압식으로 작동하여,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과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을 가압하며 지지할 수 있고, 접합시킬 수 있다. 하판(710)의 각 모서리에는 이동부(7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부(713)를 통해 하판(710)은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동부(713)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구성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치 고정이 가능한 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 제어부(730)는 상기 하판(710)에 구비된 실링부(7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조되는 상기 혈청안약주머니(600)의 용량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600)는 최대 1 mL의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0.5 mL의 혈청안약을 저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에 구비되는 수용홈(321)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90개의 수용홈(3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1번의 공정으로 90개의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상태가 앞선 실시상태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1)는, 전술한 실시상태와 동일하게 혈액주머니(100), 혈청주머니(200) 및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상태에 따른 혈액주머니(100), 혈청주머니(200) 및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는 전술한 실시상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상태에 따른 제조 키트를 통해 혈청안약을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하는 실시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를 이용하여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은 혈청안약(L)을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혈청안약주머니(600)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청주머니(200)에서 제조된 혈청안약(L)을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수용홈(321)에 각각 분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용홈(321)이 밀봉될 수 있도록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을 접하게 위치시키고 접합시킬 수 있다. 이후, 수용홈(321)과 커버(331)가 위치하지 않은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의 접합된 부위(S)를 절단하여, 혈청안약(L)을 저장하고 있는 혈청안약주머니(600)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수용홈(321)의 테두리를 따라 접합된 부위(S)를 절단하여, 개별적인 혈청안약주머니(60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9을 참고하면,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수용홈(321) 부분이 혈청안약주머니(600)의 정면 부분에 해당하고,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의 커버(331) 부분이 혈청안약주머니(600)의 후면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조된 혈청안약주머니(600)를 기준으로 보면, 측면 부분이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도 9의 (c)를 참고하면, 제조된 혈청안약주머니(600)의 A 부분을 절단하여, 저장된 혈청안약(L)을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A 부분은 사용자가 손으로 절단하거나 또는 커터를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주머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혈청안약주머니(600)의 측면도에 해당하고, 도 10의 (b)는 혈청안약주머니(600)의 정면도에 해당한다.
도 10를 참고하면,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의 커버(331)가 밀봉막 형태인 실시상태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밀봉막의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닐막 또는 알루미늄막일 수 있다. 도 10의 “NS” 부분은 접합이 수행되지 않은 영역으로, 혈청안약주머니(600)에서 밀봉막을 제거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한다. 혈청안약주머니(600)에서 “NS” 부분의 밀봉막 일부를 벗겨냄에 따라, “A” 부분이 개봉되어 내부에 저장된 혈청안약이 토출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보냉 보관용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휴대용 보냉 보관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1)는, 제조된 혈청안약주머니(600)를 보관하는 보냉 보관용기(8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냉 보관용기(800)는 상기 혈청안약주머니(600)를 보관하는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811), 및 냉각제를 수납하는 냉각제 수납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보냉 보관용기(800)는 제조된 혈청안약주머니(600) 모두를 병원에서 수취하여 환자의 집으로 가져가기 위한 보냉 보관용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보냉 보관용기(800)의 본체(810) 내부에는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811), 냉각제 수납부(830),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811)와 냉각제 수납부(830)를 구분하는 가림막(8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막(812)은 냉각제와 혈청안약주머니(600)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림막(812)은 본체(810)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체(810) 내부에 냉각제를 수용한 후, 가림막(812)을 통해 냉각제와 혈청안약주머니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보냉 보관용기(800)는 환자가 혈청안약주머니(600)를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보냉 보관용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2의 (a) 및 (b)를 참고하면, 보냉 보관용기(800)는 본체(810)와 연결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8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810) 내부에는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811), 냉각제 수납부(830),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811)와 냉각제 수납부(830)를 구분하는 가림막(8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막(812)은 본체(810) 내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냉각제와 혈청안약주머니(600)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820) 내부에도 냉각제 수납부(8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체(810) 또는 뚜껑(820)에는 일회용 혈청안약주머니(600)를 개방하기 위한 커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휴대용 보냉 보관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보냉 보관용기(800)는 환자가 혈청안약주머니(600)를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보냉 보관용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3를 참고하면, 보냉 보관용기(800)는 본체(810), 본체(810)와 연결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8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810)는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811), 냉각제 수납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810) 내부에는 냉각제가 수납될 수 있는 냉각제 수납부(8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810)의 외면에 냉각제 수납부(83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캡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3를 참고하면, 뚜껑(820)에는 거울(840)이 구비되어, 환자가 눈에 혈청안약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뚜껑(820) 내부에도 냉각제 수납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체(810) 또는 뚜껑(820)에는 일회용 혈청안약주머니(600)를 개방하기 위한 커터가 구비될 수도 있고, 일회용 티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811) 내에 보관되는 혈청안약주머니(600)의 개수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811) 내에 보관되는 혈청안약주머니(600)가 3개, 4개, 5개, 7개, 8개, 9개 또는 10개 등이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1)를 이용한 혈청안약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혈액주머니(100)에 혈액을 수용하고,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는 혈청분리단계; 분리된 혈청을 상기 혈액주머니(100)에서 상기 혈청주머니(200)로 이송시키고, 첨가물을 상기 혈청주머니(200)에 주입하여 혈청안약을 제조하는 혈청안약 제조단계; 제조된 혈청안약을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에 포함된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의 복수의 수용홈(321)에 일정한 용량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혈청안약 분할단계; 및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을 접합시키고, 각각의 혈청안약주머니(600)로 절단하여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하는 혈청안약주머니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1)의 제조 방법은, 혈청안약 제조과정에서 세균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어 혈청안약 제조과정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방법은, 전술한 혈청안약 제조 키트(1)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키트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혈청분리단계는 혈액주머니(100)에 수용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할 수 있다. 혈청을 분리하기 위하여 혈액을 원심분리할 수 있다. 다만, 혈청을 분리하는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혈청안약 제조단계는 혈액주머니(100)에서 분리된 혈청을 혈청주머니(200)로 이송시키고, 첨가물과 혈청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혈청안약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청과 첨가물을 1:3 내지 1:4의 부피비로 혼합할 수 있다. 다만, 혈청과 첨가물의 혼합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혈청안약 분할단계는 혈청안약이 혈청안약주머니(600)에 일정한 용량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수용홈(321)에 혈청안약을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혈청안약주머니 제조단계는, 헐??안약이 수용된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320)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330)을 접합시켜 혈청안약을 밀봉하고, 수용홈(321)의 테두리를 따라 접합된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개별적인 혈청주머니(20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혈액주머니(100)에서 분리된 혈청은 별도의 연결관 없이 상기 혈청주머니(200)로 이송되고, 상기 혈청주머니(200)에서 제조된 혈청안약은 별도의 연결관 없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혈액주머니(100)와 상기 혈청주머니(200)는 튜브, 관 등의 열결관 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혈액주머니(100)에서 상기 혈청주머니(200)로 이송되는 혈청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혈청안약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청주머니(200)와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는 튜브, 관 등의 열결관 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혈청주머니(200)에서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300)로 이송되는 혈청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혈청안약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전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혈청안약 제조 키트 100: 혈액주머니
110: 제1 주입부 111: 제1 주입구
112: 제2 주입구 113: 바늘
114: 제1 투입포트 120: 제1 배출부
200: 혈청주머니 210: 제2 주입부
220: 제3 주입부 221: 제2 투입포트
230: 제2 배출부 300: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
310: 제4 주입부 320: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
321: 수용홈 322: 연결부
330: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 331: 커버
332: 배출구 333: 캡
400: 필터 500a, 500b, 500c, 500d: 탈장착부
600: 혈청안약주머니 700: 지지대
710: 하판 711: 홀
712: 실링부 713: 이동부
720: 상판 721: 홀
722: 절단부 723: 이동부
730: 실링부 제어부 740: 지지기둥
750: 틀 760: 연결부
800: 보냉 보관용기 810: 본체
811: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 812: 가림막
820: 뚜껑 830: 냉각제 수납부
840: 거울

Claims (12)

  1. 혈액을 내부로 주입하는 제1 주입부 및 상기 혈액으로부터 분리되는 혈청을 배출하는 제1 배출부를 구비하는 혈액주머니;
    상기 혈액주머니의 제1 배출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탈장착 가능하며 상기 혈액주머니에서 배출되는 혈청을 내부로 주입하는 제2 주입부, 첨가물을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제3 주입부, 및 혈청과 첨가물이 혼합된 혈청안약을 배출하는 제2 배출부를 구비하는 혈청주머니; 및
    상기 혈청주머니의 제2 배출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탈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혈청안약을 저장하는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하는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를 포함하는 혈청안약 제조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주머니의 제1 배출부와 상기 혈청주머니의 제2 주입부는 별도의 연결관 없이 연결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는,
    상기 혈액주머니의 제1 배출부와 상기 혈청주머니의 제2 주입부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는,
    상기 혈청주머니의 제2 배출부에 탈장착 가능하며 혈청안약을 이송 받는 제4 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혈청주머니의 제2 배출부와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의 제4 주입부는 별도의 연결관 없이 연결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는,
    혈청안약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복수로 구비된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는,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는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과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을 접합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하판;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 상기 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실링부를 제어하는 실링부 제어부; 및
    상기 실링부 제어부에 대향하여 구비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 및 상판은 상기 실링부 제어부와 상기 지지기둥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키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는,
    하판 및 상기 하판과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판은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과 상기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을 접합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 상기 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안약주머니는 혈청안약의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 또는 혈청안약을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인 것인 혈청안약 제조 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안약 제조 키트는,
    제조된 혈청안약주머니를 보관하는 보냉 보관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냉 보관용기는 상기 혈청안약주머니를 보관하는 혈청안약주머니 보관부, 및 냉각제를 수납하는 냉각제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키트.
  11. 제1항에 따른 혈청안약 제조 키트를 이용한 혈청안약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혈액주머니에 혈액을 수용하고,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는 혈청분리단계;
    분리된 혈청을 상기 혈액주머니에서 상기 혈청주머니로 이송시키고, 첨가물을 상기 혈청주머니에 주입하여 혈청안약을 제조하는 혈청안약 제조단계;
    제조된 혈청안약을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에 포함된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의 복수의 수용홈에 일정한 용량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혈청안약 분할단계; 및
    상기 혈청안약 수용 프레임과 혈청안약 커버 프레임을 접합시키고, 각각의 혈청안약주머니로 절단하여 혈청안약주머니를 제조하는 혈청안약주머니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주머니에서 분리된 혈청은 별도의 연결관 없이 상기 혈청주머니로 이송되고,
    상기 혈청주머니에서 제조된 혈청안약은 별도의 연결관 없이 상기 혈청안약주머니 제조기로 이송되는 것인 혈청안약 제조 방법.
KR1020220123890A 2022-09-29 2022-09-29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 KR20240044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890A KR20240044637A (ko) 2022-09-29 2022-09-29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
PCT/KR2023/013575 WO2024071735A1 (ko) 2022-09-29 2023-09-11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890A KR20240044637A (ko) 2022-09-29 2022-09-29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637A true KR20240044637A (ko) 2024-04-05

Family

ID=9047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890A KR20240044637A (ko) 2022-09-29 2022-09-29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4637A (ko)
WO (1) WO20240717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503A (ja) * 1992-05-29 1993-12-14 Japan Tobacco Inc 円筒状容器の上蓋ヒートシール装置
EP2133086A4 (en) * 2007-03-07 2011-11-30 Jms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SERUM AND APPARATUS FOR PREPARING SERUM
DE102009022793A1 (de) * 2009-05-27 2010-12-02 Justus-Liebig-Universität Giess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lutprodukten
JP2019017638A (ja) * 2017-07-14 2019-02-0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バイアル瓶の収容容器、及びその収納容器
KR102056732B1 (ko) * 2019-07-10 2019-12-17 (주)알메디카 환자 맞춤형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일회용 약액 용기,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735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008B1 (ko) 응혈인자 농축물의 제조장치
JP5345672B2 (ja) 保存していた有効成分を即座に調製して投与する装置
EP0233112B1 (en) Method for separation of blood components and apparatus therefor
EP1991292B1 (en) Adipose tissue regeneration kit and its using method
TWI273906B (en) Medical multi-chamber container
US6523698B1 (en) Bone marrow kit
US20080190857A1 (en) System and Methods of Producing Membranes
EP1499274B1 (en) Multiple-chamber medical container and bag for enclosing same
EP2769745A1 (en) A blood component separator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serum
BRPI0418262B1 (pt) Câmara e método de separação de sangue e método para coletar um componente do sangue
CN103313738A (zh) 血液处理过滤器
KR20010043639A (ko) 혈소판 수거 시스템
JPS63309263A (ja) 輸液バッグ
JP2013132240A (ja) 細胞分離装置及び遠心分離方法
JP2020081881A (ja) 幹細胞を含む体液細胞分離および濃縮キット
KR20240044637A (ko)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
KR102662061B1 (ko) 혈청안약 제조 키트 및 제조 방법
JP3245848B2 (ja) 輸液容器
US20230338234A1 (en) Disposable nasal and eye wash dispenser
EP0175274A2 (en) Method of separation of blood components
US20220096329A1 (en) Integrated Injectable Drug Packag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Use
JPH0315913B2 (ko)
US20220203628A1 (en) Flow path sealing structure, bag-shape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283641B2 (ja) 血液処理方法
CN219847062U (zh) 一次性使用白内障手术组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