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983A -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983A
KR20240042983A KR1020220121943A KR20220121943A KR20240042983A KR 20240042983 A KR20240042983 A KR 20240042983A KR 1020220121943 A KR1020220121943 A KR 1020220121943A KR 20220121943 A KR20220121943 A KR 20220121943A KR 20240042983 A KR20240042983 A KR 2024004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oilet paper
natural fragrance
natural
o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펄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펄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펄프
Priority to KR102022012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983A/ko
Publication of KR2024004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98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21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f natural origin; Derivatives thereof
    • D21H17/24Polysaccharides
    • D21H17/28Starch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 D21H25/06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of impregnated or coat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Abstract

본 발명은,식물성 천연향료를, 인쇄부를 통하여 시트지 표면에 합침하고, 권취부를 통하여 지관에 합침하고, 하나 이상의 화장지를 묶음 랩핑 시, 부풀려진 합성수지 빈 공간에 도포하여 합침하는 3단 구조로 합침이 가능한 식물성 천연향료를 합침한 방향 및 탈취 기능이 있는 화장지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TOILET ROLL INCLUDING VEGETABLE NATURAL PERFUMER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방향(芳香) 및 탈취 효과가 있는 화장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방향 및 탈취 효과가 있는 화장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방향 및 탈취 효과가 있는 화장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0.04.08. 한국 특허등록 제0953123호 "은나노-쑥이 함유된 복층 페이퍼 시트지의 제조방법" 및 2021.11.05. 한국 특허등록 제2324915호 "애완동물용 천연성분 페이퍼 시트지 및 그 제조방법"에서 제조설비를 크게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효과를 가진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 냄새를 제거하고 좋은 향기를 남기기 위하여 화장지에 방향 또는 탈취 기능을 더하는 기술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방향으로 개발되었으며, 오늘날에도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 탈취 및 방향을 위해 화장지에 합침되는 성분은 주로 합성향료가 쓰인다. 합성향료는 석유 화학제품인 정유나 벤젠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피부염, 호흡기 질환, 신경 질환, 알레르기 및 암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또한, 합성향료는 정유산업 특성상, 환경 오염 문제에 자유롭지 못하며, 특히 최근 글로벌 쟁점이 된 탄소 배출 문제에 폭넓은 영향을 끼치는 품목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성향료가 계속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보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실제 천연향료가 사용된 화장지를 검색해보면, 의료용, 산업용, 특수 목적 등 고부가가치 상품이 절대다수인데, 이는 그만큼 천연향료가 고가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합성향료는 성분 특정 및 계량이 비교적 명확하여 불확실성이 적다. 성분의 배합을 명료하게 알 수 있으므로, 개발자가 의도한 향의 강도, 균형 및 지속성 등 기능의 구현이 천연향료 대비 쉬운 편이다.
그러나, 새집증후군, 아토피, 알레르기 등 화학제품에 대한 민감하게 반응하는 환자가 늘어나면서, 이러한 흐름에도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 과거에 이러한 질병은 개인의 유전적 질환으로 취급되었으나, 전에는 없던 질병이 현대 들어 늘어난 원인에 대하여, 산업화로 인한 지구의 온난화, 프레온 가스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 미세먼지, 폐수 등 글로벌 환경 오염이 원인으로 지목되었고, 또한, 분별하게 사용된 화학 성분의 독소가 주범으로 꼽히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과 함께 시장에도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 과거 소비자들이 단순히 향기가 접목된 제품에 관심을 가졌다면, 현대 소비자들은 가격이 비싸더라도 식물성, 자연 유래 추출물 등 천연성분으로 구성된 향기 제품에 더 호응한다. 이는 특히 지속 가능한 개발과 친환경에 관심이 많은 유럽 소비자를 중심으로 선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하였듯, 천연향료를 합성향료 대비 성분의 명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개발자의 의도대로 제품이 생산되기 위해선 투입된 천연향료의 종류와 성분을 명확하게 밝혀 품질의 일관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대하여,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0-0056964호(공개일: 2000.09.15) "천연 정유를 함유하는 소변후처리용 티슈는 일랑일랑(Ylang-ylang), 라벤다 및 티트리로 구성되는 조합 천연 정유 또는 일랑일랑, 라벤다 및 로즈우드로 구성되는 조합 천연 정유를 함유하는 여성의 소변후처리용 티슈를 개시하였고,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848544호(등록일: 2018.04.06) "피톤치드 함유 티슈의 제조방법"은 티슈에 피톤치드를 높은 보유력으로 함유하여 피톤치드의 효과를 극대화한 티슈를 제조하는 피톤치드 함유 티슈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였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9023호(등록일: 2018.09.19) "쑥을 함유한 화장지 제조방법"은 치네올 향을 방사시켜 질 내 세균 번식을 막는 효과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화장실 냄새 제거보다는 주로 헬스 케어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 내 방향 및 탈취 효과가 있는 화장지를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4877호 (공개일 : 2016.06.2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6964호 (공개일 : 2000.09.1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53123호 (등록일 : 2010.04.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324915호 (등록일 : 2021.11.0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544호 (등록일: 2018.04.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23호 (등록일 : 2018.09.19)
본 발명은, 합성향료가 아닌 식물성 천연향료를 합침한 방향 및 탈취 기능이 있는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물성 천연향료를, 인쇄부를 통하여 시트지 표면에 합침하고, 권취부를 통하여 지관에 합침하고, 하나 이상의 화장지를 묶음 랩핑(wrapping) 시 부풀려진 합성수지 공간에 도포하여 합침하는 3단 구조로 합침 가능한 식물성 천연향료를 합침한 방향 및 탈취 기능이 있는 화장지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국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53123호 및 제2324915호의 기존 공장 설비에서 큰 변경 없이 새로운 제품을 생산 가능한 식물성 천연향료를 합침한 방향 및 탈취 기능이 있는 화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는,
파촐리 추출물 20.0∼40.0wt%;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25.0∼50.0wt%; 오렌지 추출물 1.0∼20.0wt%;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0.3∼15.0wt%; 라반딘 추출물 0.3∼10.0wt%; 및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0.3∼10.0wt%를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로 데코무늬가 인쇄 형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장치는,
제1엠보싱 실린더(12)와 제1압력 로울러(14)가 구비되어 이 제1엠보싱 실린더와 제1압력 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지(P1)를 가압하여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제1패턴 성형부(10)와;
제2엠보싱 실린더(22)와 제2압력 로울러(24)가 구비되어 이 제2엠보싱 실린더와 제2압력 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지(P2)를 가압하여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제2패턴 성형부(20)와;
상기 제2패턴 성형부에 의해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 시트지(P2)의 일측에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라반딘 추출물,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구성되는 천연향료 조성물 또는 천연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잉크로 천연향료 데코무늬를 인쇄 형성하는 천연향료 데코무늬 인쇄부(30)와;
상기 데코무늬가 인쇄 형성된 시트지의 인쇄면 내부측에 접착성 향료 고착제를 도포하여 인쇄용 조성물의 향기를 고착시키는 제1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부(41)와;
상기 데코무늬가 인쇄된 면이 내측이 되도록 상기 제1패턴 성형부에 의해 엠보싱무늬가 형성된 시트지(P1)와 합지하는 합지부(40)와;
상기 합지된 시트지에 투입될 지관에 접착성 고착제를 고르게 도포하는 제2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부(51)와;
상기 합지된 시트지가 지관에 권취되는 권취부(50)와;
상기 권취된 화장지가 더 도톰해지고 고르게 되도록 상하 또는 하상방향으로 복수회로 승하강하면서 권취된 화장지가 다져지는 승하강 다짐 구동부(60)와;
상기 권취된 화장지를 커팅하여, 두루마리 화장지 형태로 형성하는 절단부(70)와;
상기 절단된 하나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가 묶여 압축 랩핑되도록 부풀려진 합성수지 사이로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라반딘 추출물,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구성되는 천연향료 조성물이 분사되는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도포부(81)와,
상기 부풀려진 합성수지가 수축되면서 두루마기 화장지에 맞게 랩핑되는 랩핑부(80)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방법은,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라반딘 추출물,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구성되는 천연향료 조성물로 상기 제2패턴 성형부에 의해 엠보싱무늬가 형성된 시트지의 일측에 천연향료 데코무늬를 인쇄 형성하는 천연향료 데코무늬 인쇄 단계(S1)와;
데코무늬가 인쇄 형성된 시트지의 인쇄면 내부측에 접착성 향료 고착제를 도포하여 인쇄용 조성물의 향기를 고착시키는 제1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단계(S2)와;
상기 시트지를 권취하기 위한 지관에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가 지관을 둘러싸듯 도포되는 제2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지관 도포단계(S3)와,
상기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가 도포된 시트지를 권취하는 권취부(S4)와,
상기 권취된 화장지를 상하 또는 하상방향으로 복수회로 승하강하면서 다지는 승하강 다짐 구동단계(S5)와,
상기 지관에 권취된 시트지를 절단하여 두루마기 화장지를 성형하는 절단단계(S6)와,
상기 두루마리 화장지를 일정 갯수로 묶어 합성수지로 압축 포장하기 위하여 부풀려진 합성수지 사이로 천연향료 조성물이 도포되는 천연향료 도포 단계(S7)와,
상기 천연향료 조성물이 도포된 두루마기 화장지를 랩핑하는 랩핑단계(S8)를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방법으로 이루어져 달성된다.
본 발명은, 합성향료가 아닌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를 제시함으로써, 탄소 배출 저감 및 환경 친화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물성 천연향료로 밀폐공간인 화장실에서 탈취 및 방향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합성향료로 인한 독소 위험 우려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물성 천연향료를 화장지 표면, 지관 및 포장 전 화장지 전체에 3단 구조로 분사하여, 부향율과 지속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품을 뜯지 않고도 외부에서 향을 느낄 수 있도록 랩핑 전 합성 수지 내부에 식물성 천연향료를 도포함으로써,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살균, 소독, 방부작용, 피로회복 효과 등 건강 관리와 심신안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국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53123호 및 제2324915호의 기존 공장 설비에서 큰 변경없이 새로운 제품을 생산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53123호 및 제2324915호의 권리자로써, 상기 특허 발명의 생선설비를 갖추고 있는바, 공장의 제조설비는 한번 시공하면 시설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시설을 추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기존 설비를 크게 바꾸지 않으면서 기존과 다른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원가 절감에 매우 중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랩핑부에서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는 탈취 및 방향 효과가 있는 화장지이다.
상기 "탈취"는 악취 성분을 없애거나 종래보다 저감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통상 악취를 유발하는 분자를 화학 분해를 통하여 제거하거나, 악취를 유발하는 분자보다 더 밀도가 높은 향을 내뿜어 이를 밀어내거나, 악취가 흡착될만한 성분을 제공하여 공기중의 악취 농도를 낮춤으로써 구현된다. 한편, 화장실 냄새는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에틸아민(CH3CH2NH2), 포름알데히드(CH2O), 메틸머캅탄(CH3SH)이 주 원인으로 이들 성분의 분해, 이동 및 흡착이 화장실 냄새의 제거 또는 저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방향"이란 향을 풍기는 것을 의미하며, 방향 기능이 있는 항료를 통해 구현된다. 방향은 발향이 강할수록 화장실 냄새의 원인이되는 분자를 더 강력하게 밀어내므로 탈취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수요자로 하여금 화장실 냄새 대신 향기를 맡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화장실 냄새가 덜 나거나 안나는 것처럼 인지하게 만드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발향이 너무 강하면 향기 성분이 쉽게 휘발되어 지속성이 떨어지고, 수요자의 입장에서 지나치게 강한 향기는 불쾌한 자극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발향 및 지속성 사이에는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향기 성분을 오랜 시간 붙드는 성질이 있는 향료 고착제와 휘발성이 강한 탑노트 향이 적절하게 조합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는 제조과정에서 탈취 및 방향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을 함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은, 향료 고착제와,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및 라반딘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추출액의 추출 방법은, 일반적으로 압착법, 증류법, 용제추출법, 초임계 추출(CO2 Extraction)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성분의 조합에 의미가 있으므로, 상기 추출액의 추출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후 예시될 모든 추출액에 전부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라반딘 추출물 및 향료 고착제에 관하여 살펴본다.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실시예]
[실시예 1. 파촐리 추출물]
파촐리(Patchouli)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상록초본성 관목으로, 주로 파촐리유 등으로 가공해서 이용되며 옛날부터 향수 등으로 사용되어왔으며, 톡 쏘는 향신료 계열의 향이 특징이다. 파촐리는 향수에 고착제로도 쓰였을 정도로 향이 오래가므로, 주로 다른 향과 섞어서 사용되며, 베이스 노트에 사용된다. 파촐리 잎에 있는 포고스톤(pogostone) 성분은 방부 및 탈취에 효과가 있으며,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냄새 제거에 효과적이다.
상기 파촐리 추출물은, 파촐리 또는 상기 파촐리에 레몬(lemon), 오렌지(orange), 베르가못(Bergamot), 바닐린(vanillin), 레드 베리(red berries), 로즈(rose), 바이올렛(violet), 라다넘(labdanum), 서양때죽나무(styrax levant), 벤조인(benzoin) 및 마다가스카르 바닐라 빈(madagascar vanilla bean), 모스(moss)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촐리 추출물은, 수확한 파촐리의 어린 잎을 잘 말린 뒤 옥수수 가루 등 전분을 넣고 발효한 후, 수증기 증류법을 통하여 얻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기 언급하였듯 추출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촐리 추출물은, 파촐리 20.0~65.0wt%, 레몬 20.0~40.0wt%, 오렌지 3.0~20.0wt%, 베르가못 2.0~15.0wt%, 바닐린 1.0~5.0wt%로 부터 얻은 1차 파촐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촐리 추출물은, 상기 1차 파촐리 추출물 40.0~60.0wt%,; 레드 베리 1.0~5.0wt%,; 로즈 20.0~50.0wt%,; 바이올렛 3.0~10wt%,; 모스 1.0~3.0wt%; 및 라다넘(labdanum), 서양때죽나무(styrax levant), 벤조인(benzoin) 및 마다가스카르 바닐라 빈(madagascar vanilla bean)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 2.0~ 5.0wt%,;로 부터 얻은 2차 파촐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촐리 추출물은, 상기 2차 파촐리 추출물 70.0~90.0wt%, 히노키티올 1.0~10wt%, 부처손 1.0~10wt%, 클로로피텀(spider plant) 1.0~10wt%, 스위치 그레스(switchgrass) 1.0~10wt%로부터 얻은 3차 파촐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레몬은 아열대성 기후에서 잘 자라는 감귤류 중의 하나로써 레몬, 라임 등 감귤류에서 추출한 구연산은 냄새 분자를 중화시켜 냄새를 없애는 역할을 한다.
바닐린은 바닐라 빈(vanilla bean)으로부터 알코올 추출을 통해 바늘모양의 결정으로 방향족 알데하이드(aldehyde)이다. 향이 나는 방향족의 특성 중에서도 바닐라 향이 나는 이 물질은 바닐라 열매와 향기에 천연 상태로 존재하는 단일 착향료로 유기 용매에 잘 녹고 고체에서 기체로 즉시 변화하는 승화성이 있다.
히노키티올(hinokitiol)은, 큐프러스과(cupressaceae) 계열의 나무 숲에서 발견되는 천연 모노테르페노이드(mono-terpenoid)로, 티로솔(tyrosol) 파생 성분이며 투자플리신(isopropyl cycloheptatatrienolones) 중 하나이다. 히노키티올은 편백나무(khamaecyparis obtusa), 서양 적삼나무, 히바-레벤스바움(hiba-Lebensbaum) 등 에서 발견된다. 히노키티올(Hinokitiol)은, 천연 폴리페놀 계통으로 강력한 탈취기능이 있다.
베르가못은 운향과의 상록 교목이다. 귤속의 잡종 재배식물로, 쓴귤(aurantium)과 레몬(maxima)의 자연교잡을 통해 처음 생겨났다. 레몬은 쓴귤과 시트론의 교잡종이기 때문에, 베르가못도 감귤나무 DNA와 포멜로 DNA, 시트론 DNA를 보유하며, 상기 식물들이 가진 성분을 포함한다. 베르가못은 시트로네롤(citronellol), 네롤(nellol), 리모넨(limonene) 및 알칼로이드(alkaloid)와 같은 정유성분이 풍부하고 풍미가 강하다. 그 중 리모넨(limonene) 성분은 살균력과 탈취, 표백력이 뛰어난 수용성 산화제이다.
라브다넘(labdanum)은 반일화과 시스투스(cistus ladanifer) 속 여러 종에서 얻어지는 천연 수지로 지중해 지역에서 산출된다. 라브다넘은 나무의 가지를 삶아 표면에 뜨는 수지를 모아 활용하기도 하고, 용제 추출하기도 한다. 성경에서 몰약은 라브다넘을 뜻하는 것으로, 오랜 시간 인류와 함께해 온 오래된 천연 향료로써, 스모키한 향이 특징이며, 다른 향료 성분이 지속되도록 돕는 고착제로도 쓰인다.
서양때죽나무(styrax levant)는 달래목 때죽나무과의 나무로써 온대 지방에 자생한다. 서양때죽나무 잎은 방향족인 폴리아민(polyamine)을 포함하는데, 구체적으로 갈산(gallic acid), (+)-카테킨((+)-catechin), p-쿠마린산(p-coumaric), 시나핀산(sinapic acid), 나린긴(naringin)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페놀류는 악취를 흡착하여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벤조인(benzoin)은, 레진 또는 스타이랙스 레진이라고하는 때죽나무 속하는 몇 종의 나무 껍질에서 얻을 수있는 방향성 수지로, 나무껍질의 상처에서 흘러나온 유액을 회갈색으로 고형화한 수지에서 정유를 얻는다. 방향족으로 시성식이 C6H5C(=O)CH(OH)C6H5로 표시되는 유기화합물의 일종이다. 신남산(Cinnamic), 벤조산 및 수마레시놀산 에스테르(benzoic and sumaresinolic acid esters), 벤조산(benzoic acid), 신남산(cinnamic acid), 수마레시놀산(sumaresinolic acid),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바닐린(vanillin)을 포함한다. 벤조인은 방부제, 항우울제, 항염증제, 구충제, 탈취제, 이뇨제 및 거담제 특성이 있다.
마다가스카르 바닐라 빈(madagascar vanilla bean)은 마다가스카르 원산지인 바닐라 빈으로 다른 바닐라빈보다 통통한 특징이 있다. 버터처럼 묵직한 향이 일품으로 다른 향료 성분이 지속되도록 돕는 고착제로도 쓰인다. 열매의 향료 성분은 바닐린이며, 수확한 바닐라콩을 70℃ 정도의 온수에 단시간 담근 후 발효와 건조를 2주간 정도 되풀이하여 얻게된다.
모스(moss)는 북유럽에서 자생하는 이끼인 모스로부터 추출되며, 나무에 낀 이끼류의 향취이다. 모스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유해물질을 흡수하고 제습·탈취 효과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떠다니는 유해물질을 흡수하여 정화하는 기능이 있어 가정에서도 널리 사랑받아 왔다. 모스는 수증기 증류법으로 주로 추출된다.
부처손은 건조한 바위 겉에서 자생하는 양치식물로 포름알데히드 제거 능력이 우수하다. 부처손은 스파이시한 향이 있으며, 플라본(flavone), 페놀류, 아미노산 등의 다당류와 소량의 탄닌(tannin)이 포함되어 있다.
클로로피텀(chlorophytum)은, 백합과 식물로 클로로피텀의 클로로필 (chlorophyll)은 특히 유해 성분인 포름알데히드 및 가스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위치 그레스(switchgrass)는, 북미 원산지의 다년생 식물로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며, 셀룰로오스 및 정유 성분이 풍부하여 대체 에너지로도 개발 중인 식물로써, 활성탄이나 토탄처럼 냄새를 흡착하는 성질이 있다.
[실시예 2. 오렌지 추출물]
오렌지는 주황색의 둥근 과일로, 감귤류에 속하는 열매의 하나로 모양이 둥글고 주황빛이며 껍질이 두껍고 즙이 많다. 오렌지향은 특유의 상큼하고 시원한 향기와 함께 달콤한 향이 어우러진 것이 특징으로, 특히 껍질에 구연산이 많아 오랜시간 탈취제로 사랑받아 왔다. 향수에서는 탑노트에 주로 쓰이는데, 휘발성이 강하여 처음에 강렬한 향을 내뿜지만 지속성이 짧아 주로 지속성이 베이스 계열 향료와 같이 조합된다.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오렌지 껍질 및 과육 혼합 추출물 또는 오렌지 껍질 및 과육 혼합 추출물에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라임(lime), 민트(mentha), 피치(peach), 오렌지 블로섬(orange blossom), 시더우드(cedarwood), 머스크(musk)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오렌지 껍질 20.0~40.0wt%, 오렌지 과육 10.0~20.0wt%, 리세아 쿠베바 25.0~40.0wt%, 라임 5.0~30.0wt%, 민트 3.0~10.0wt% 부터얻은 1차 오렌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1차 오렌지 추출물 40.0~60.0wt%, 피치 20.0~ 50.0wt%, 오렌지 블로섬 4.0~15.0wt%, 시더우드 3.0~10.0wt%, 머스크 1.0~3.0wt%로 부터 얻은 2차 오렌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2차 오렌지 추출물 70.0~90.0wt%, 바라키스(baccharis) 5~10wt%, 틸란드시아(tillandsia) 5.0~10.0wt%, 백미 1~10.0wt%로부터 얻은 3차 오렌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세아 쿠베바는 열대 지역에서 번성하는 작은 나무로, 키가 작고 무성한 폭죽 녹색 잎과 꽃과 과실에서 레몬그라스와 비슷한 향기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전통적으로 잘 익은 열매를 수증기 증류하여 연한 황색의 유동성 액체인 정유를 얻는 방법으로 향료를 추출하였으며, 땀 냄새를 억제하는 탈취제로 사용되어 왔다.
민트는 식물 박하를 뜻하는 영어 단어로써,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는 식물의 속입니다. 박하의 신선한 잎은 방향유를 0.8~1%를 함유하며, 말린 줄기잎은 1.3~2%를 함유한다. 기름의 주성분은 멘톨로 약 77~78%를 함유하며, 다음이 멘톤으로 8-12%를 함유하고 다시 초산 멘톨, 캄펜, 리모넨, 이소멘톤, 피넨, 멘테논, 수지 및 소량의 타닌, 로즈메리산을 함유한다. 민트는 특유의 청량감 있는 향기가 특징이며 냄새 탈취 및 심신 진정 효과가 있다.
시더우드는 히말라야 삼나무인 시더로부터 추출되는 것으로 나무자체가 고농축 아로마향을 지닌다. 상쾌하면서 그윽한 나무향기로 오랜시간 사랑받아온 향료로 남성이 면도한 뒤 사용하는 에프터쉐이프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향을 오래 붙드는 효과가 있어 향수의 고착제로도 사용된다. 시더우드는 살균 및 탈취 기능이 강하여 그 에센셜 오일 자체가 실내 탈취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시더우드 향료는 주로 나무 심재를 증기 증류하여 추출한다.
머스크향은, 통상 사향이라고 불리며, 사향노루의 배에 있는 향낭(香囊)에서 얻는다. 그러나, 시비스커스 꽃 열매, 가시오갈피의 꽃, 약모밀, 회나무를 통하여도 머스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머스크향은 사향노루가 아닌, 상기 식물을 통하여 채취된 머스크향을 이용한다.
바라키스(baccharis)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주로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칠레 및 멕시코 의 따뜻한 지역에 분포한다. 나무의 정유성분인 테르핀(terpene)이 풍부하여 에센셜 오일로 이용된다. 테르펜 계열의 성분은 탈취 및 항균효과 우수하여 악취제거제와 소독제로 동시에 이용될 수 있다.
틸란드시아(tillandsia)는 멕시코 북부, 미국 남부,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안, 아르헨티나 중부의 삼림과 산에 자생하는, 파인애플과에 속한 다년생 상록현화식물로써, 포름 알데히드와 같은 유해 성분 흡착 및 제거 효과가 뛰어나다.
[실시예 3. 라반딘 추출물 예시]
라반딘(lavandin)은 트루 라벤더와 스파이크 라벤더를 이종 교배하여 만들어진 품종으로, 탈취효과가 있는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성분을 포함한다. 방향에 있어, 라반딘은 라벤더의 일반적인 특징을 포함하되, 라벤더 보다 향이 강하고 재배가 쉬워 비용이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라반딘 추출물은, 라반딘 또는 상기 라반딘에, 오렌지, 샌달우드(sandalwood), 레몬, 베르가못, 살구(apricot), 로즈, 그린티(green tea), 파촐리, 파우더리(powdery)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부터 얻은 라반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반딘 추출물은, 라반딘 30.0~60.0wt%, 오렌지 껍질 10.0~20.0wt%, 오렌지 과육 10.0~20.0wt%, 샌달우드 5.0~15.0wt%, 레몬 2.0~10.0wt%, 베르가못 1.0~5.0wt%로 부터 얻은 1차 라반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라반딘 추출물은 상기 1차 라반딘 추출물 40.0~60.0wt%, 살구 20.0~50.0wt%, 로즈 1.0~5.0wt%, 그린티 3.0~10.0wt%, 파촐리 2.0~5.0wt%, 파우더리 1.0~3.0wt%로 부터 얻은 2차 라반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라반딘 추출물은 상기 2차 라반딘 추출물 70.0~90.0wt%, 마조람(marjoram) 1~10.0wt%, 갓잎 1.0~10.0wt%, 알팔파(alfalfa) 1.0~10.0wt%, 티트리(Tea Tree) 1.0~10.0wt%로부터 얻은 3차 라반딘 추출물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샌달우드는 백단향이라 불리기도 하며, 특유의 부드럽고 따뜻하며 매끄러운 향이 특징이다. 정유는 나무 심재에서 증류법으로 얻는데 3-5% 들어있으며, 정유의 90%는 알파 및 베타 산탈롤(alpha-, beta-santalol)이고 그 외 산텐(santene), 산탈렌(santalene), 산탈산(santalic acid), 테레산탈산(teresantalic acid), 산테논(santenone), 산탈론(santal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향의 지속성이 길어 향수에서 베이스노트 및 고착제로 쓰여왔다.
살구는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살구나무에서 열리는 열매로 유기산과 폴리페놀 등이 풍부하고, 새콤달콤한 향이 특징이다. 이는 살구에 포함된 펜틸부트레이트 (Pentyl butyrate)에 의한 것이다.
파우더리는 1912년 개발된 파우더리 향과 유사한 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홍채를 주재료로 한다. 홍채는 글래디올러스와 크로커스를 포함하는 이리다과 식물로 달콤하고 부드러운 향이 특징이다. 파우더리는 통상 상기 홍채를 50% 이상 포함하고, 여기에 장미, 재스민, 바이올렛, 통카빈, 미모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그윽함을 더하며, 여기에 히아신스, 고수, 은방울꽃, 헬리오트로프로부터 추출된 바닐라 성분을 결합하여 부숴질 듯 가벼운 향을 구현한다. 파우더리 향은 젖내를 연상시키는 순수한 느낌 때문에 여성용 화장품 또는 배쓰 밤(bath bomb) 등 목욕 제품에 주로 쓰인다.
마조람은 지중해 연안에서 자라는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따뜻하고 나무냄새가 특징으로, 마조람의 메타진 성분은 공기중에 악취분자를 분해 하여 악취를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갓잎은 갓의 잎으로, 갓은 겨자의 한가지 변종이다. 갓 특유의 시원하고 매운 향기는 시니그린(sinigrin)에 의한 것으로 밀폐 된 공간에 두게 되면 냄새가 씻은 듯이 사라질 정도로 탈취 효과가 탁월하다. 다만, 휘발성이 강하여 갓잎 자체만으로는 향을 붙들 수 없으며 반드시 고착제가 같이 이용되어야 한다. 또한, 열에 약하므로, 갓잎 향 추출 시에는 열을 가하는 증류 방식으로는 채취가 어렵다.
알팔파는 중앙아시아의 원산인 콩과의 다년초이며, 토끼풀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다. 알팔파분말은 질 좋은 단백질과 비타민 보충사료로서 이용되고 있으나, 다공성으로 냄새를 붙드는 탈취 효과도 있다.
티트리는 도금양목 도금양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이다. 티트리 오일은 향균, 살균 효능이 있어 예로부터 무좀이나 완선 등 각종 진균성 피부질환을 치료약으로 쓰였고, 냄새 제거에 탁월하고 특유의 향이 있어 탈취제로 및 방향제로도 쓰여왔다.
[실시예 4.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예시]
클라리 세이지(clary sage)는 두해살이 또는 다년생 식물로, 탈취효과가 있는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성분을 포함한다. 부드럽고 달콤하고 따뜻한 향으로 예로부터 향료를 만들 때 미들노트(middle note)에 주로 쓰인다.
상기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은, 클라리 세이지 또는 클라리 세이지에 파촐리, 오렌지, 유칼립투스(eucalyptus), 바닐린, 베르가못, 페티그레인(petitgrain), 은방울꽃, 피오니(peony), 오렌지블로섬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부터 얻은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은 클라리 세이지 20.0~70.0wt%, 파촐리 10.0~40.0wt%, 오렌지 과육 3.0~20wt%, 유칼립투스 2.0~15.0wt%, 바닐린 1.0~5.0wt%로 부터 얻은 1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은 상기 1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40.0~60.0wt%, 은방울꽃 20.0~50.0wt%, 페티그레인 1.0~5.0wt%, 베르가못 3.0~10wt%, 피오니 2.0~5.0wt%, 오렌지블로섬(Orange Blossom) 1.0~3.0wt%로 부터 얻은 2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은 상기 2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70.0~90.0wt%, 네롤리(neroli bigarade) 1.0.0~10.0wt%, 쟈스민 1.0~10.0wt%, 곰솔잎 1.0~10.0wt%, 발삼(balsam) 1.0~10.0wt%로부터 얻은 3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칼립투스는 떡잎식물 도금양목 도금양과의 상록교목으로, 깨끗하고 예리하게 스며드는 시원한 향기가 특징이다. 손으로 만지면 잎에 점질의 향기 나는 액이 묻어나오며, 휘발성 물질로 불에 잘 타는 특징이 있다. 실내의 살균소독에도 효과가 있어 탈취제로도 쓰인다.
페티그레인와 네롤리는 모두 비터 오렌지에서 얻어진다. 페티그레인은 비터 오렌지의 잎과 잔가지를 증류해 얻는 반면, 네롤리는 비터오렌지의 꽃에서 추출되는 것이다. 페티그레인은 시큼하면서도 쌉싸름한 이파리향이지만, 네롤리는 고급스러운 플로럴 향이 난다.
은방울꽃은 작고 아름다운 흰 꽃이 피는 백합과의 다년생 식물로 클래식하고 모던한 향이 특징이다. 너무 가볍게 표현되는 노트의 향기를 차분하게 만들어주어 그윽한 분위기를 연출하므로, 현대 여성용 고급 향수 거의 대부분에 포함된다.
피오니는 우리말로 작약이라 불린다. 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아시아와 남부 유럽 그리고 서부 북아메리카에서 자생한다. 5월과 6월 사이에 꽃을 피우는 작약꽃은 꽃향기가 장미꽃처럼 달고 상쾌한 향기가 난다.
쟈스민은 영춘화속은 물푸레나무과의 속으로, 구세계의 열대와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쟈스민은 고혹적이고 달콤한 향이 특징이다. 그 자체로도 매력 넘치는 향이지만. 다른 향들과 조화되었을 때, 더욱 풍성하고 아름다운 향을 내뿜는다. 쟈스민 향기를 성격을 나타내는 유일한 향기 성분인 시스-자스몬(cis-jasmone)은 아직 공업적 생산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자연의 꽃에서 추출, 정제하는 방법 밖에 없다.
곰솔잎은 곰송의 잎으로, 곰송은 줄기와 가지가 검은 빛을 띠는 소나무속의 종이다. 곰솔잎은 바람을 연상시키는 청량한 향과 숲에 들어온 듯한 특유의 나무 냄새가 특징이다. 곰솔잎은 올리보노이드, 탄닌, 펙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5.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예시]
우묵사스레피는 바닷가에서 자라는 늘푸른떨기나무로 갯쥐똥나무 또는 섬쥐똥나무라고도 한다. 우묵사스레피는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이 좋아 공기정화식물로소개되어 있으며, 리날로올(linalool), 9Z-트리코센(9Z-tricosene), 노난알(nonanal), α-테르피네올(a-terpineol), 게라니올(geraniol) 등 탈취 및 방향 성분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
상기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은, 우묵사스레피 또는 우묵사스레피에 까마귀쪽나무 열매, 백량금, 연봉, 안스리움(anthurium), 그레이프프룻(grapefruit), 펜넬(fennel), 바닐린, 팔마로사(palmarosa)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부터 얻은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은, 우묵사스레피 20.0~70.0wt%, 까마귀쪽나무 열매 10.0~40.0wt%, 백량금 3.0~20wt%, 연봉 2.0~15.0wt%, 바닐린 1.0~5.0wt%로 부터 얻은 1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은 상기 1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40.0~60.0wt%, 안스리움 20.0~50.0wt%, 그레이프프룻 1.0~5.0wt%, 펜넬 3.0~10wt%, 바닐린 2.0~5.0wt%, 팔마로사(Palmarosa) 1.0~3.0wt%로 부터 얻은 2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은 상기 2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70.0~90.0wt%, 파촐리 1.0.0~10.0wt%, 베티버(vetyver) 1.0~10.0wt%, 블랙커런트(Cassis) 1.0~10.0wt%, 백미 1.0~10.0wt%로부터 얻은 3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까마귀쪽나무 열매는 까마귀쪽나무에서 열리는 열매로 익으면 까마귀와 같은 쪽빛이 된다. 까마귀쪽나무는 제주도 해안가에서 자생한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성분 중 항염증 효과가 있는 틸리로사이드(tiliroside)를 포함하고 있다. 틸리로사이드(tiliroside)는 탈취 및 발한 억제 효과가 있어 데오도란트나 바디워시에도 쓰인다.
백량금은 쌍떡잎식물 앵초목 자금우과의 상록 소관목으로, 붉은 열매가 백냥(百兩)이나 될 만큼 많이 달리고 오랫동안 맺혀 있어. 백만 냥의 가치만큼이나 아름답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백량금은 유제놀(eugenol), 티몰(Thymol) 및 리날로올(Linalool) 등 정유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좋은 향기가 날 뿐만 아니라, 포름알데히드 제거 능력이 매우 우수한 목본성 실내식물로 공기정화용으로도 길러진다.
연봉은 그라프토베리아(graptoveria)속 다육식물로 포름알데히드 제거 능력이 우수하다.
안스리움은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관엽식물로 아메리카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다. 꽃이 아름답고 오래 지속되지만, 안스리움의 잎과 꽃은 향기가 거의 없다. 다만, 일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제거 능력이 뛰어난 특성이 있다. 안스리움은 옥살산칼륨이라는 독성 성분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야 한다. 옥살산칼륨은 수용성이므로, 물에 넣고 데치는 간단한 공정으로도 제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스리움은 상기 옥살산칼륨을 제거한 것으로 한정된다.
그레이프프룻(grapefruit)은 우리말로 자몽이라 불리며 운향과의 과일 나무이다. 귤속의 잡종 재배식물로, 바베이도스에서 당귤나무와 포멜로의 자연교잡을 통해 처음 생겨났다. 당귤나무 자체가 감귤나무와 포멜로의 교잡종이기 때문에, 그레이프프루트도 감귤나무 DNA와 포멜로 DNA를 보유한다. 그레이프프룻에 보유된 구연산은 탈취 및 방향 효과가 있어 향수 중 탑노트에 주로 쓰인다.
펜넬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회향속의 유일한 종이다. 잎에는 솜털이 나고 노란 꽃이 피며,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아네톨(anethole) 성분이 있어 향이 강하여 향신료로도 이용되어 왔다. 마른 풀 냄새를 맡는 듯한 청량한 향기가 특징이다. 펜넬은 악취 중에서도 트라이메틸아민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팔마로사는 벼과로 여러 개의 뻣뻣한 줄기들이 무더기로 자라나 뭉치를 형성하며 자라는 잎이 좁은 영년생 풀이다. 달콤하고 장미 같은 냄새가 나므로, 주로 아로마 오일로 재배된다. 제라놀(zearano) 성분을 포함하여 항균 작용이 뛰어나다.
베티버는 인도와 벵골이 원산지로 땅속 줄기와 뿌리로부터 향을 얻으며, 통상 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한다. 베티벤, 베티베놀, 베티웬 등이 주요 향기 성분으로, 나무향과 젖은 흙 냄새가 연상되는 무겁고 거친 향이 특징이다. 다른 우디 계열의 향과 쉽게 결합하고 깊이 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베이스 노트에 주로 쓰인다.
블랙커런트는 북유럽과 북아시아에서 자생하는 까치밥나무과의 관목이다. 안토시아닌과 같은 폴리페놀계열의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여 톡 쏘는 듯한 독특하고 강렬한 향기가 특징이다. 블랙컨런트의 잎, 열매, 및 꽃에서 향료를 얻으며, 꽃봉오리만을 모아서 용매추출한 블랙커런트꽃 향료는 고급스러운 플로럴 향으로 고급 향수의 원료로 쓰인다. 블랙커런트 잎으로 만든 향료는 쌉싸름한 잎 향기에 더 가깝고, 열매에도 타닌 계열의 쌉싸름한 향기가 있는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위스키, 코냑 등 증류주와 커피 음료의 배합에 쓰인다.
[실시예 6.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향료에서 고착제는 향이 쉽게 휘발되지 않도록 지속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투입된다. 향료 고착제는 전통적으로 오리스 루트(orris root), 시더우드, 샌달우드, 바닐라, 오크모스(oak moss) 및 머스크 등이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는 시트지(P1)와 시트지(P2)를 접착하기 위하여,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부(41, 51)에서 도포되는 것이다.
종래 발명에선 합성물질인 인공 접착제를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천연 전분을 이용한 접착성 물질이 포함된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를 활용하여 천연 향료의 고착성과 탈취효과를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분은 점성의 특징이 있고 분자 조직이 넓은 그물망이 넓어 악취의 탈취 효과가 있으며, 막을 형성하여 발향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는 또한, 토탄(peat)을 포함하여 향의 고착성과 탈취효과를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탄은 늪지대, 호수의 물이끼나 수초, 수중미생물 등 식물성 유기물질이 분해되고 부패해 퇴적된 유기물질로써, 악취 성분을 빈 공간에 흡착시켜 공기중의 악취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는 증류수 30.0∼70.0wt%;,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및 타키오타 전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 10.0∼58.0wt%; 오크모스, 시더우드, 머스크 중 어느 하나가 선택 되는 것 3.0~20.0wt%; 레시틴(lecithin) 1.0~20.0wt%,; 토탄 1.0~2.0wt%;로 부터 얻은 1차 천연향료 고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증류수 30.0∼70.0wt%;,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및 타키오타 전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 10.0∼50.0wt%를 50 내지 80 ℃ 가열하여 점성을 이루면 식힌다.
이후, 오크모스, 시더우드, 머스크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향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베이스를 형성한 후 레시틴을 첨가하여 유화한다.
토탄은 분쇄하여 첨가하되, 0.009mm 이하의 입자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크기가 더 커지면 시트지의 질감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토탄은 2%이상을 초과하면 종이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되도록 2%를 넘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7. 복합조성물]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은 파촐리 추출물 20.0∼40.0wt%;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25.0∼50.0wt%; 오렌지 추출물 1.0∼20.0wt%;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0.3∼15.0wt%; 라반딘 추출물 0.3∼10.0wt%; 및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0.3∼10.0wt%이 혼합되어 조성된다.
상기 파촐리 추출물은 상기 1차 파촐리 추출물 또는 2차 파촐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상기 1차 오렌지 추출물 또는 2차 오렌지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은 상기 1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또는 2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라반딘 추출물은 상기 1차 라반딘 추출물 또는 2차 라반딘 추출물일 수 있다.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상기 1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또는 2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향료고착제는 상기 1차 향료고착제 또는 2차 향료고착제일 수 있다.
[실시예 8. 식물성 천연향료 잉크 조성물]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라반딘 추출물,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30.0∼60.0wt%; 및 잉크 40.0∼70.0wt%;이 혼합되어 조성된다.
상기 파촐리 추출물은 상기 1차 파촐리 추출물 또는 2차 파촐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상기 1차 오렌지 추출물 또는 2차 오렌지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은 상기 1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또는 2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라반딘 추출물은 상기 1차 라반딘 추출물 또는 2차 라반딘 추출물일 수 있다.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상기 1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또는 2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향료고착제는 상기 1차 향료고착제 또는 2차 향료고착제일 수 있다.
[실시예 9. 식물성 천연향료 복합 잉크 조성물]
파촐리 추출물 20.0∼40.0wt%; 잉크 25.0∼50.0wt%; 오렌지 추출물 1.0∼20.0wt%;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0.3∼15.0wt%;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0.3∼10.0wt%; 라반딘 추출물 0.2∼8.0wt% 및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0.1∼2.0wt%이 혼합되어 조성된다.
상기 파촐리 추출물은 상기 1차 파촐리 추출물 또는 2차 파촐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상기 1차 오렌지 추출물 또는 2차 오렌지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은 상기 1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또는 2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라반딘 추출물은 상기 1차 라반딘 추출물 또는 2차 라반딘 추출물일 수 있다.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상기 1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또는 2차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향료고착제는 상기 1차 향료고착제 또는 2차 향료고착제일 수 있다.
[식물성 천연향료 합침 지관 실시예]
[실시예 10. 식물성 천연향료 합침 지관]
본 발명의 식물성 천연향료 합침 지관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관은 지관의 원료인 펄프와; 공정수와; 솔방울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펄프를 가열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솔방울은 소나무의 열매의 송이를 의미한다. 솔방울 가루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성분이 풍부한 다공성 흡착재로써, 악취 성분을 빈 공간에 흡착시켜 기중의 악취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관 시트지는 제지 원료인 펄프 1.0~29.5wt%와, 공정수 70.0~98.5%와, 솔방울 추출물 0.5 ~ 5.0 wt%가 혼합된 혼합펄프를 가열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솔방울 추출물은 솔방울 가루 30.0~40.0wt%와 커피 찌꺼기 60.0~70.0wt%를 분쇄 및 혼합한 혼합물 45.0~55.0wt%와 전분 44.0~50.0wt% 및 토탄 1.0~5.0wt%를 혼합하여 상온의 양지에서 6~8일 동안 발효시킨 다음 여과된 탈액을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얻은 추출액이다.
상기 솔방울 추출물은 5.0wt%이상을 초과하면 판지의 질이 떨어지고, 0.5wt% 미만이 되면 탈취 효과가 거의 없으므로, 0.5 이상 55.0wt%미만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탈취 효과가 있는 천연성분을 추가 합침하여 탈취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상기 솔방울 추출물은, 밤 껍질 분말, 메밀 껍질 분말, 갈대 뿌리 분말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천연향료 합침 지관에 제2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부(51)를 통하여,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를 고르게 도포하는 작업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식물성 천연향료 합침 시트지 실시예]
[실시예 11. 파촐리 추출물 합침 시트지]
제지 원료인 펄프 1~29.5wt%와,
공정수 70~98.5%와,
파촐리, 레몬, 오렌지, 베르가못, 바닐린, 레드 베리, 로즈, 바이올렛, 라다넘, 서양때죽나무, 벤조인 및 마다가스카르 바닐라 빈, 모스를 전부 혼합하여 구성된 파촐리 추출물 0.01 ~ 28.0 wt%로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실시예 12. 오렌지 추출물 합침 시트지]
제지 원료인 펄프 1~29.5wt%와,
공정수 70~98.5%와,
오렌지 과육, 오렌지 껍질, 리세아 쿠베바, 라임, 민트, 피치, 오렌지 블로섬, 시더우드, 머스크를 전부 혼합하여 구성된 오렌지 추출물 0.01 ~ 28.0 wt% 로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실시예 13.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합침 시트지]
제지 원료인 펄프 1~29.5wt%와,
공정수 70~98.5%와,
우묵사스레피, 마귀쪽나무 열매, 백량금, 연봉, 바닐린을 전부 혼합하여 구성된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0.01 ~ 28.0 wt% 로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실시예 14. 라반딘 추출물 합침 시트지]
제지 원료인 펄프 1~29.5wt%와,
공정수 70~98.5%와,
라반딘, 오렌지, 샌달우드, 레몬, 베르가못, 살구, 로즈, 그린티, 파촐리, 파우더리를 전부 혼합하여 구성된 라반딘 추출물 0.01 ~ 28.0 wt% 로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실시예 15.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합침 시트지]
제지 원료인 펄프 1~29.5wt%와,
공정수 70~98.5%와,
클라리 세이지, 파촐리, 오렌지, 유칼립투스, 바닐린, 베르가못, 페티그레인, 은방울꽃, 피오니, 오렌지블로섬을 전부 혼합하여 구성된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0.01 ~ 28.0 wt% 로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실시예 15. 혼합 조성물 합침 시트지]
제지 원료인 펄프 1~29.5wt%와,
공정수 70~98.5%와,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라반딘 추출물 및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을 전부 혼합하여 구성된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0.01 ~ 28.0 wt% 로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장치]
본 발명의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장치에 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장치는,
제1엠보싱 실린더(12)와 제1압력 로울러(14)가 구비되어 이 제1엠보싱 실린더와 제1압력 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지(P1)를 가압하여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제1패턴 성형부(10)와;
제2엠보싱 실린더(22)와 제2압력 로울러(24)가 구비되어 이 제2엠보싱 실린더와 제2압력 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지(P2)를 가압하여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제2패턴 성형부(20)와;
상기 제2패턴 성형부에 의해 엠보싱무늬가 형성된 시트지(P2)의 일측에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또는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잉크 중 어느 하나로 천연향료 데코무늬를 인쇄 형성하는 천연향료 데코무늬 인쇄부(30)와;
상기 데코무늬가 인쇄 형성된 시트지의 인쇄면 내부측에 접착성 향료 고착제를 도포하여 인쇄용 조성물의 향기를 고착시키는 제1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부(41)와;
상기 데코무늬가 인쇄된 면이 내측이 되도록 상기 제1패턴 성형부에 의해 엠보싱무늬가 형성된 시트지(P1)와 합지하는 합지부(40)와;
상기 합지된 시트지에 투입될 지관에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를 고르게 도포하는 제2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부(51)와;
상기 합지된 시트지가 지관에 권취되는 권취부(50)와;
상기 권취된 화장지가 더 도톰해지고 고르게 되도록 상하 또는 하상방향으로 복수회로 승하강하면서 권취된 화장지가 다져지는 승하강 다짐 구동부(60)와;
상기 권취된 화장지를 커팅하여, 두루마리 화장지 형태로 형성하는 절단부(70)와;
상기 절단된 하나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가 압축 랩핑되도록 부풀려진 합성수지 사이로 천연향료 조성물이 분사되는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도포부(81)와,
상기 부풀려진 합성수지가 수축되면서 두루마기 화장지에 맞게 랩핑되는 랩핑부(80)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도포부(8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도포부(81)는 절단된 하나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가 압축 랩핑되도록 부풀려진 합성수지 사이로 천연향료 조성물이 분사되도록하는 장치이다.
두루마기 화장지는 통상 6개, 9개, 12개 등을 묶음으로 비닐 등 합성수지에 랩핑되어 제공되는데, 화장지 및 지관에 합침된 향은 고착제로 인하여 향이 랩핑된 내부에만 머무르고 외부에서는 느껴지기 어렵다.
제품을 뜯지 않고도 외부에서 향을 느낄 수 있도록 랩핑 전, 부풀려진 합성수지 사이로 천연향료 조성물을 분사하는 기술을 고안한 바, 랩핑 비닐에 향이 머무르기 때문에 다공질인 합성수지 외부에서도 적정한 향이 느껴질 수 있다.
또한, 랩핑된 비닐 외부가 아닌 내부에 향을 도포함으로 인하여, 향료가 공기 중에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지속성이 길다. 이는 향기로 인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도포 시, 상대적으로 값이 비싼 천연향료가 오롯이 제품에만 도포되도록 하기 때문에 향료의 낭비를 막음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방법]
본 발명의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방법은,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로 상기 제2패턴 성형부에 의해 엠보싱무늬가 형성된 시트지의 일측에 천연향료 데코무늬를 인쇄 형성하는 천연향료 데코무늬 인쇄 단계(S1)와;
데코무늬가 인쇄 형성된 시트지의 인쇄면 내부측에 접착성 향료 고착제를 도포하여 인쇄용 조성물의 향기를 고착시키는 제1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단계(S2)와;
상기 시트지를 권취하기 위한 지관에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가 지관을 둘러싸듯 도포되는 제2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지관 도포단계(S3)와,
상기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가 도포된 시트지를 권취하는 권취부(S4)와,
상기 권취된 화장지를 상하 또는 하상방향으로 복수회로 승하강하면서 다지는 승하강 다짐 구동단계(S5)와,
상기 지관에 권취된 시트지를 절단하여 두루마기 화장지를 성형하는 절단단계(S6)와,
상기 두루마리 화장지를 일정 갯수로 묶어 합성수지로 압축 포장하기 위하여 부풀려진 합성수지 사이로 천연향료 조성물이 도포되는 천연향료 도포 단계(S7)와,
상기 천연향료 조성물이 도포된 두루마기 화장지를 랩핑하는 랩핑단계(S8)를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방법으로 이루어져 달성된다.
제1패턴 성형부(10)
제2패턴 성형부(20)
천연향료 데코무늬 인쇄부(30)
합지부(40)
제1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부(41)
권취부(50)
제2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부(51)
승하강 다짐 구동부(60)
절단부(70)
랩핑부(80)
식물성 천연향료 도포부(81)

Claims (14)

  1. 파촐리 추출물 20.0∼40.0wt%;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25.0∼50.0wt%; 오렌지 추출물 1.0∼20.0wt%;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0.3∼15.0wt%; 라반딘 추출물 0.3∼10.0wt%; 및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0.3∼10.0wt%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로 데코무늬가 인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파촐리 추출물은,
    파촐리, 레몬, 오렌지, 베르가못, 바닐린, 레드 베리, 로즈, 바이올렛, 벤조인, 모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3. 제1항에 있어서,
    오렌지 추출물은,
    오렌지 과육, 오렌지 껍질, 리세아 쿠베바, 라임, 민트, 피치, 오렌지 블로섬, 시더우드, 머스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4. 제1항에 있어서,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은,
    우묵사스레피 20.0~70.0wt%, 까마귀쪽나무 열매 10.0~40.0wt%, 백량금 3.0~20wt%, 연봉 2.0~15.0wt%, 바닐린 1.0~5.0wt%로 부터 얻은 1차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5. 제1항에 있어서,
    라반딘 추출물은,
    라반딘, 오렌지, 샌달우드, 레몬, 베르가못, 살구, 로즈, 그린티, 파촐리, 파우더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6. 제1항에 있어서,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은,
    클라리 세이지, 파촐리, 오렌지, 유칼립투스, 바닐린, 베르가못, 페티그레인, 은방울꽃, 피오니, 오렌지블로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7. 제1항에 있어서,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는,
    증류수 30.0∼70.0wt%;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및 타키오타 전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 10.0∼58.0wt%;
    오크모스, 시더우드, 머스크 중 어느 하나가 선택 되는 것 3.0~20.0wt%;
    레시틴 1.0~20.0wt%;
    토탄 1.0~2.0wt%로 구성된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8. 제1항에 있어서,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는,
    제지 원료인 펄프 1~29.5wt%;
    공정수 70~98.5%;
    솔방울 가루 30.0~40.0wt%와 커피 찌꺼기 60.0~70.0wt%를 분쇄 및 혼합한 혼합물 45.0~55.0wt%, 전분 44.0~50.0wt% 및 토탄 1.0~5.0wt%로 이루어진 솔방울 추출물 5.0wt%;가 혼합된 혼합펄프가 가열 건조되어 구성된 지관을 더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9. 파촐리 추출물 20.0∼40.0wt%;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25.0∼50.0wt%; 오렌지 추출물 1.0∼20.0wt%;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0.3∼15.0wt%; 라반딘 추출물 0.3∼10.0wt%; 및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0.3∼10.0wt%를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로 시트지 일측면에 데코무늬를 인쇄 형성하는 천연향료 데코무늬 인쇄부와;
    증류수 30.0∼70.0wt%;, 옥수수 전분 10.0∼58.0wt%; 시더우드 3.0~20.0wt%; 레시틴 1.0~20.0wt%,; 토탄 1.0~2.0wt%;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향료 고착제를 상기 데코무늬가 인쇄 형성된 시트지의 인쇄면 내부측에 도포하는 제1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부와;
    상기 데코무늬가 인쇄된 면이 내측이 되도록 하나 이상의 시트지를 합지하는 합지부와;
    상기 합지된 시트지에 투입될 지관에 식물성 천연향료 고착제를 고르게 도포하는 제2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부와;
    상기 합지된 시트지가 지관에 권취되는 권취부로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장치
  10. 상기 제8항에 있어서,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장치는,
    상기 권취된 시트지를 커팅하여, 두루마리 화장지 형태로 형성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된 하나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가 압축 랩핑되도록 부풀려진 합성수지 사이로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라반딘 추출물,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이 분사되는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도포부와,
    상기 부풀려진 합성수지가 수축되면서 두루마기 화장지에 맞게 랩핑되는 랩핑부를 더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장치
  11.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라반딘 추출물,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구성되는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로 시트지의 일측에 데코무늬를 인쇄 형성하는 천연향료 데코무늬 인쇄 단계와;
    증류수 30.0∼70.0wt%;, 옥수수 전분 10.0∼58.0wt%; 시더우드 3.0~20.0wt%; 레시틴 1.0~20.0wt%,; 토탄 1.0~2.0wt%;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향료 고착제가 상기 데코무늬가 인쇄 형성된 시트지의 인쇄면 내부측에 도포되는 제1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데코무늬가 인쇄된 면이 내측이 되도록 하나 이상의 시트지를 합지하는 합지단계와;
    증류수 30.0∼70.0wt%;, 옥수수 전분 10.0∼58.0wt%; 시더우드 3.0~20.0wt%; 레시틴 1.0~20.0wt%,; 토탄 1.0~2.0wt%;를 포함하는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가 지관을 둘러싸듯 도포되는 제2 접착성 천연향료 고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시트지가 지관에 권취되는 권취구동 단계로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방법
  12. 상기 제11항에 있어서,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방법은,
    권취된 시트지를 커팅하여, 두루마리 화장지 형태로 형성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된 하나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가 압축 랩핑되도록 부풀려진 합성수지 사이로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라반딘 추출물,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도포 단계와,
    상기 부풀려진 합성수지가 수축되면서 두루마기 화장지에 맞게 랩핑되는 랩핑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제조방법
  13. 제지 원료인 펄프 1~29.5wt%와,
    공정수 70~98.5%와,
    파촐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라반딘 추출물 및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을 전부 혼합하여 구성된 식물성 천연향료 조성물 0.01~28.0 wt% 로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14. 제지 원료인 펄프 1~29.5wt%와,
    공정수 70~98.5%와,
    파촐리, 레몬, 오렌지, 베르가못, 바닐린, 레드 베리, 로즈, 바이올렛, 벤조인, 모스을 전부 혼합하여 구성된 파촐리 추출물 0.01~28.0 wt% 로 구성되는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KR1020220121943A 2022-09-26 2022-09-26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40042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943A KR20240042983A (ko) 2022-09-26 2022-09-26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943A KR20240042983A (ko) 2022-09-26 2022-09-26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983A true KR20240042983A (ko) 2024-04-02

Family

ID=9071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943A KR20240042983A (ko) 2022-09-26 2022-09-26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298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964A (ko) 1999-02-04 2000-09-15 윤광렬 천연 정유를 함유하는 소변후처리용 티슈
KR100953123B1 (ko) 2007-10-25 2010-04-19 주식회사 한국펄프 은나노-쑥이 함유된 복층 페이퍼 시트지의 제조방법
KR20160074877A (ko) 2014-12-18 2016-06-29 박경민 세제와 향을 첨가한 수용성 휴지심
KR101848544B1 (ko) 2015-10-30 2018-05-25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피톤치드 함유 티슈의 제조방법
KR102324915B1 (ko) 2021-06-22 2021-11-12 주식회사 한국펄프 애완동물용 천연성분 페이퍼 시트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964A (ko) 1999-02-04 2000-09-15 윤광렬 천연 정유를 함유하는 소변후처리용 티슈
KR100953123B1 (ko) 2007-10-25 2010-04-19 주식회사 한국펄프 은나노-쑥이 함유된 복층 페이퍼 시트지의 제조방법
KR20160074877A (ko) 2014-12-18 2016-06-29 박경민 세제와 향을 첨가한 수용성 휴지심
KR101848544B1 (ko) 2015-10-30 2018-05-25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피톤치드 함유 티슈의 제조방법
KR102324915B1 (ko) 2021-06-22 2021-11-12 주식회사 한국펄프 애완동물용 천연성분 페이퍼 시트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ya et al. An introduction to patchouli (Pogostemon cablin Benth.)–A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It’s importance to mankind
KR101779007B1 (ko)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94043A (zh) 一种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KR20170122383A (ko) 식물정유물질을 이용한 VOCs 및 악취 탈취제
CN111480647A (zh) 一种杀菌类天然植物精油香薰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20051443A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645478B1 (ko) 탈취제
KR102183861B1 (ko)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CN1994269A (zh) 芳香植物薰衣草水的制备方法
KR20140091920A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체형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3357A (ko) 효과 유효성 판단 가능한 항균성 마스크
KR102176499B1 (ko) 항균성 방향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방향제
KR20180064643A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만들어진 섬유향수
KR20240042983A (ko) 식물성 천연향료가 합침된 화장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229621B1 (ko) 친환경 목화섬유를 함유한 담배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Lis-Balchin History of nomenclature, usage and cultivation of Geranium and Pelargonium species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KR102273806B1 (ko)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스크럽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06243A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Sharma et al. Role of Essential Oil Used Pharmaceutical Cosmetic Product
Nigam et al. Extraction of essential oil from seasonal fruit rind: a review
JP2003000691A (ja) 消臭組成物
KR20070059775A (ko) 한방 방향제 조성물
KR101739196B1 (ko) 아로마 컬러 테라피를 위한 천일염 입욕제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