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968A -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968A
KR20240042968A KR1020220121910A KR20220121910A KR20240042968A KR 20240042968 A KR20240042968 A KR 20240042968A KR 1020220121910 A KR1020220121910 A KR 1020220121910A KR 20220121910 A KR20220121910 A KR 20220121910A KR 20240042968 A KR20240042968 A KR 20240042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ape
door glass
glass ru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
김정엽
천성찬
Original Assignee
유일고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고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일고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1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968A/ko
Publication of KR2024004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2/00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14Door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는 흡착 금형부의 테이프 좌면 상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 스토퍼의 일부 구간을 삭제하여 연결 스트립의 사출 성형을 위한 고무 소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측부 스토퍼로 인한 연결 스트립과 압출 스트립간의 갭을 최소화하고, 연결 스트립과 플로킹 테이프 간의 접착력 향상 및 전체적인 도어 글라스 런의 내구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Molding device for door glass run forming}
본 발명은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 내에서 2개의 압출 스트립을 연결하여 도어 프레임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연결 스트립을 플로킹 테이프와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글라스 런(door glass run)은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 상에 기존의 웨더 스트립과 같은 구조로 설치되어 도어 글라스의 열림 및 닫힘 작동을 안내한다.
즉, 도어 글라스 런은 도어 글라스를 닫은 상태로, 도어 글라스와 도어 프레임 사이로 비와 바람, 먼지 등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하며, 차량의 주행 중에는 도어 글라스의 진동을 흡수하면서 풍절음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어 글라스 런은 고무 소재로 압출 성형되어 도어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끼워져 설치되는 다수의 압출 스트립과, 2개의 압출 스트립이 금형 내에 설치된 상태로 금형 내에 주입된 고무 소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도어 프레임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연결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 글라스 런은 도어 프레임의 코너부에 대응하기 위해 2개의 압출 스트립이 일정각을 가지며 연결 스트립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 스트립은 금형 내에서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를 위한 금형 장치를 통상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라고 한다.
통상의 도어 글라스 런 성형을 위한 금형 장치는 웨더 스트립의 코너부 성형을 위한 금형 장치와 유사하다. 즉, 상호 분리 및 밀착/결합 가능한 상형 다이와 하형 다이 사이에 2개의 압출 스트립을 셋팅하고, 상형 다이를 통하여 고온의 고무 재료를 주입하여 도어 프레임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연결 스트립을 2개의 압출 스트립과 일체로 사출 형태로 성형한다.
이러한 도어 글라스 런은 아래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도어 글라스와 접촉되는 단면상에 플로킹 테이프(flocking tape)를 부착하여 도어 글라스와의 슬립성과 밀착성을 유지시켜 준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10-0474230 (등록일자 2005년02월22일) 그런데, 도어 글라스 런에 부착되는 플로킹 테이프는 압출 스트립의 경우, 압출 과정에 일체로 부착되어 제공되나, 2개의 압출 스트립을 연결하는 연결 스트립에는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 스트립에 부착되는 플로킹 테이프의 부착 위치가 불균일하고,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함에 따라 접착 강도가 부족하여 연결 스트립으로부터 플로킹 테이프가 들뜨거나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연결 스트립에 부착되는 플로킹 테이프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플로킹 테이프를 부착한 후, 열건조 공정을 추가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열건조 공정으로 인해 연결 스트립의 물성이 변하여 미세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2021년8월27일자로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가 특허 출원된 바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 10-2021-0113837(출원일자 2021년08월27일)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글라스 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의 이형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의 이형 상태의 반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적용되는 후방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적용된 후방 코어 상의 흡착 금형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의해 제조된 도어 글라스 런의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종래 기술의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는 하형 유닛(10), 코어 유닛(20), 상형 유닛(30), 및 흡착 금형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하형 유닛(10)은 하판(11) 상에 지지 다이(13)를 통하여 하형 다이(15)가 설치되고, 상기 하형 다이(15) 상에 전방 하형(17)과 후방 하형(19)이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 유닛(20)은 상기 전방 하형(17)과 후방 하형(19) 상에 전방 코어(21) 및 후방 코어(23)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방 하형(17) 및 후방 하형(19) 사이의 성형부(F)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 코어(21) 양측에 2개의 압출 스트립(S1)이 일정 각도로 끼워져 안착되는 제1, 제2 스트립 코어(25)(27)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형 유닛(30)은 코어 유닛(20)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판(31)의 하부에 상형(33)이 설치되고, 상기 상형(31)은 상기 성형부(F)에 대응하여 소재 주입구(35)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 유닛(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형 유닛(10)과 합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 금형부(40)는 상기 후방 코어(23)의 중앙부 일측에 복수의 에어홀(41)을 통해 플로킹 테이프(FT)를 미리 흡착시켜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는 연결 스트립(S2)의 성형 전에 흡착 금형부(40)에 플로킹 테이프(FT)를 미리 흡착시켜 고정한 상태로, 2개의 압출 스트립(S1)을 연결하는 연결 스트립(S2)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 금형 내에서 열융착에 의해 플로킹 테이프(FT)가 연결 스트립(S2)에 일체로 융착된 상태로 성형한다. 즉, 상기 흡착 금형부(40)는 연결 스트립(S2)이 사출 성형되는 과정에, 테이프 좌면(43)상에 형성되어 내부의 배기 챔버(45)와 연결된 복수의 에어홀(41)이 진공에 의한 흡착력으로 플로킹 테이프(FT)를 흡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흡착 금형부(40)는 상기 테이프 좌면(53)의 하부와 양 측부에 하부 스토퍼(51)와 측부 스토퍼(53)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스토퍼(51)와 측부 스토퍼(53)는 테이프 좌면(43)에 흡착할 플로킹 테이프(FT)의 외면이 정확한 위치에 놓여 흡착되도록 안내한다. 이때, 상기 하부 스토퍼(51)와 측부 스토퍼(53)는 상기 테이프 좌면(43)으로부터 플로킹 테이프(FT)의 두께보다 더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성형과정에 플로킹 테이프(FT)가 흡착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해준다. 그러나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테이프 좌면(43)의 양 측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측부 스토퍼(53)에 의해, 양측 압출 스트립(S1)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스트립(S2) 사이에는 측부 스토퍼(53)가 제거된 후, 고무 소재가 채워지지 않는 불필요한 갭(G)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갭(G)으로 인해 연결 스트립(S2)과 플로킹 테이프(FT) 간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전체적으로는 도어 클라스 런(GR)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내고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흡착 금형부의 테이프 좌면 상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 스토퍼의 일부 구간을 삭제하여 연결 스트립의 사출 성형을 위한 고무 소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측부 스토퍼로 인한 연결 스트립과 압출 스트립간의 갭을 최소화하고, 연결 스트립과 플로킹 테이프 간의 접착력 향상 및 전체적인 도어 글라스 런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하판 상에 지지 다이를 통하여 하형 다이가 설치되고, 상기 하형 다이 상에 전방 하형과 후방 하형이 각각 설치되는 하형 유닛과, 상기 전방 하형과 후방 하형 상에 전방 코어 및 후방 코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방 하형 및 후방 하형 사이의 성형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 코어 양측에 2개의 압출 스트립이 일정 각도로 끼워져 안착되는 제1, 제2 스트립 코어가 형성되는 코어 유닛과, 상기 코어 유닛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판의 하부에 상형이 설치되고, 상기 상형은 상기 성형부에 대응하여 소재 주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형 유닛과 합형되는 상형 유닛과, 상기 후방 코어의 중앙부 일측에 복수의 에어홀을 통해 플로킹 테이프를 미리 흡착시켜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흡착 금형부를 포함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 금형부는 상기 제1, 제2 스트립 코어에 끼워진 2개의 압출 스트립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후방 코어의 중앙부 일정구간에 형성되어 흡착할 상기 플로킹 테이프의 외면이 놓이는 테이프 좌면; 상기 테이프 좌면에 대응하여 상기 후방 코어의 중앙부 내부에 공간부로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배기 챔버; 상기 테이프 좌면에서 상기 배기 챔버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에어홀; 및 상기 테이프 좌면의 하부와 양 측부 일정구간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스토퍼 및 측부 스토퍼를 포함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스토퍼와 측부 스토퍼는 상기 테이프 좌면으로부터 플로킹 테이프의 두께보다 더 높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부 스토퍼는 상기 테이프 좌면의 양 측부의 각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의 일정구간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스토퍼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부 스토퍼는 상기 테이프 좌면의 양 측부의 전체 길이의 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흡착 금형부의 테이프 좌면 상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 스토퍼의 일부 구간을 삭제하여 연결 스트립의 사출 성형을 위한 고무 소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측부 스토퍼로 인한 연결 스트립과 압출 스트립간의 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스트립과 플로킹 테이프 간의 접착력 향상 및 전체적인 도어 글라스 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글라스 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의 이형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의 이형 상태의 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적용되는 후방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적용된 후방 코어 상의 흡착 금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의해 제조된 도어 글라스 런의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적용된 후방 코어 상의 흡착 금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의해 제조된 도어 글라스 런의 도 7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글라스 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의 이형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의 이형 상태의 반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적용되는 후방 코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적용된 후방 코어 상의 흡착 금형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의해 제조된 도어 글라스 런의 도 7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는 흡착 금형부(40)를 제외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에 의해 성형되는 도어 글라스 런(GR)은 다수개의 압출 스트립(S1)이 각각 연결 스트립(S2)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도어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어 도어 글라스의 열림 및 닫힘 작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는 금형 내에서 2개의 압출 스트립(S1)을 연결하여 도어 프레임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연결 스트립(S2)을 플로킹 테이프(FT)와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금형 장치이다.
이러한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는 하형 유닛(10), 코어 유닛(20), 상형 유닛(30) 및 흡착 금형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하형 유닛(10)은 하부에 하판(11)이 구비된다.
상기 하판(11) 상에는 지지 다이(13)가 블록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 다이(13)의 상부에는 하형 다이(15)가 설치된다.
상기 하형 다이(15) 상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 하형(17)과 후방 하형(19)이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하형(17)과 후방 하형(19) 사이에는 성형부(F)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 유닛(20)은 하형 유닛(10)의 전방 하형(17)과 후방 하형(19) 상에 전방 코어(21) 및 후방 코어(23)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방 하형(17) 및 후방 하형(19) 사이의 성형부(F)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 코어(21) 양측에 상기 2개의 압출 스트립(S1)이 일정 각도로 끼워져 안착되는 제1, 제2 스트립 코어(25)(27)가 형성된다.
상기 상형 유닛(30)은 코어 유닛(20)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판(31)의 하부에 상형(33)이 설치된다.
상기 상형(33)은 상기 성형부(F)에 대응하여 소재 주입구(3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소재 주입구(35)는 코어 유닛(20)을 사이에 두고, 상형 유닛(30)이 하형 유닛(10)과 합형된 상태로, 고온의 고무 소재가 주입되도록 하여 2개의 압출 스트립(S1)을 연결하도록 연결 스트립(S2)을 사출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흡착 금형부(40)는 상기 후방 코어(23)의 중앙부 일측에 복수의 에어홀(41)을 통해 플로킹 테이프(FT)를 미리 흡착시켜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의 흡착 금형부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인 도 2의 흡착 금형부(40) 대신 도 7의 흡착 금형부(40)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흡착 금형부(40)는 테이프 좌면(43), 배기 챔버(45), 복수의 에어홀(41) 및 하부 및 측부 스토퍼(51)(55)로 형성된다.
상기 테이프 좌면(53)은 제1, 제2 스트립 코어(25)(27)에 끼워진 2개의 압출 스트립(S1) 사이에 대응하는 후방 코어(23)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흡착할 플로킹 테이프(FT)의 외면이 놓여 흡착되도록 한다.
상기 테이프 좌면(53)은 하부의 전체 길이와 양 측부의 일정 길이에 하부 스토퍼(51)와 측부 스토퍼(55)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스토퍼(51)와 측부 스토퍼(55)는 테이프 좌면(43)에 흡착할 플로킹 테이프(FT)의 외면이 정확한 위치에 놓여 흡착되도록 안내한다.
이때, 상기 하부 스토퍼(51)와 측부 스토퍼(55)는 상기 테이프 좌면(53)으로부터 플로킹 테이프(FT)의 두께보다 더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성형과정에 플로킹 테이프(FT)가 흡착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해준다.
여기서, 상기 측부 스토퍼(55)는 종래 기술과 달리, 테이프 좌면(43)의 양 측부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상부의 일부구간이 삭제된 삭제구간(D)을 두어 상기 테이프 좌면(43)의 양 측부의 각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의 일정구간에만 돌출되어 상기 하부 스토퍼(51)와 연결된다.
즉, 상기 측부 스토퍼(55)는 테이프 좌면(43)의 양 측부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상 형성되나, 2/3 구간을 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챔버(45)는 테이프 좌면(43)에 대응하여 상기 후방 코어(23)의 중앙부 내부에 공간부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 좌면(43)에 플로킹 테이프(FT)가 흡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배기에 의해 진공압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 챔버(45)는 후방 코어(23)의 측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기홀(47)을 통하여 외부의 배기 관로(49)와 연결된다.
즉, 상기 배기 관로(49)는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펌프(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공정 진행 중에, 상기 배기홀(47)을 통해 배기 챔버(45)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에어홀(41)은 테이프 좌면(43)에서 배기 챔버(45)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는 연결 스트립(S2)의 성형 전에 상기 후방 코어(23)의 중앙부에 형성된 흡착 금형부(40)에 하부 및 측부 스토퍼(51)(55)에 지지되도록 플로킹 테이프(FT)를 먼저 흡착시켜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로, 2개의 압출 스트립(S1)을 연결하는 연결 스트립(S2)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 소재 주입구(35)를 통해 성형부(F)로 주입되는 고온의 고무 소재와 열융착에 의해 플로킹 테이프(FT)가 연결 스트립(S2)에 일체로 융착되어 성형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 스트립(S2)은 고온의 고무 소재가 주입되어 2개의 압출 스트립(S1)과 연결되어 사출 성형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열융착에 의해 플로킹 테이프(FT)가 일체로 융착된 상태로 성형된다.
또한, 성형된 연결 스트립(S2)은 흡착 금형부(40)의 테이프 좌면(43) 상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 스토퍼(55)의 일부 삭제구간(D)에도 고무 소재가 채워진 상태로 사출 성형되어 종전의 측부 스토퍼(55)로 인한 연결 스트립(S2)과 압출 스트립(S21)간의 갭(G) 량을 더 줄여주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글러스 런 성형 장치(1)는 연결 스트립(S2)과 플로킹 테이프(FT) 간의 접착력 향상은 물로느 전체적인 도어 글라스 런(GR)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1: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FR: 플로킹 테이프
GR: 클라스 런
S1: 압출 스트립
S2: 연결 스트립
10: 하형 유닛
11: 하판
13: 지지 다이
15: 하형 다이
17: 전방 하형
19: 후방 하형
20: 코어 유닛
21: 전방 코어
23: 후방 코어
25, 27: 제1, 제2 스트립 코어
30: 상형 유닛
31: 상판
33: 상형
35: 소재 주입구
40: 흡착 금형부
41: 에어홀
43: 테이프 좌면
51: 하부 스토퍼
53,55: 측부 스토퍼
45: 배기챔버
47: 배기홀
49: 배기 관로
G: 갭

Claims (8)

  1. 하판 상에 지지 다이를 통하여 하형 다이가 설치되고, 상기 하형 다이 상에 전방 하형과 후방 하형이 각각 설치되는 하형 유닛과, 상기 전방 하형과 후방 하형 상에 전방 코어 및 후방 코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방 하형 및 후방 하형 사이의 성형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 코어 양측에 2개의 압출 스트립이 일정 각도로 끼워져 안착되는 제1, 제2 스트립 코어가 형성되는 코어 유닛과, 상기 코어 유닛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판의 하부에 상형이 설치되고, 상기 상형은 상기 성형부에 대응하여 소재 주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형 유닛과 합형되는 상형 유닛과, 상기 후방 코어의 중앙부 일측에 복수의 에어홀을 통해 플로킹 테이프를 미리 흡착시켜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흡착 금형부를 포함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 금형부는
    상기 제1, 제2 스트립 코어에 끼워진 2개의 압출 스트립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후방 코어의 중앙부 일정구간에 형성되어 흡착할 상기 플로킹 테이프의 외면이 놓이는 테이프 좌면;
    상기 테이프 좌면에 대응하여 상기 후방 코어의 중앙부 내부에 공간부로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배기 챔버;
    상기 테이프 좌면에서 상기 배기 챔버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에어홀; 및
    상기 테이프 좌면의 하부와 양 측부 일정구간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스토퍼 및 측부 스토퍼;
    를 포함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토퍼와 측부 스토퍼는
    상기 테이프 좌면으로부터 플로킹 테이프의 두께보다 더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스토퍼는
    상기 테이프 좌면의 양 측부의 각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의 일정구간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스토퍼와 연결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스토퍼는
    상기 테이프 좌면의 양 측부의 전체 길이의 반 이상 형성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5. 하판 상에 지지 다이를 통하여 하형 다이가 설치되고, 상기 하형 다이 상에 전방 하형과 후방 하형이 각각 설치되는 하형 유닛과, 상기 전방 하형과 후방 하형 상에 전방 코어 및 후방 코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방 하형 및 후방 하형 사이의 성형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 코어 양측에 2개의 압출 스트립이 일정 각도로 끼워져 안착되는 제1, 제2 스트립 코어가 형성되는 코어 유닛과, 상기 코어 유닛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판의 하부에 상형이 설치되고, 상기 상형은 상기 성형부에 대응하여 소재 주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형 유닛과 합형되는 상형 유닛과, 상기 후방 코어의 중앙부 일측에 복수의 에어홀을 통해 플로킹 테이프를 미리 흡착시켜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흡착 금형부를 포함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 금형부는 테이프 좌면 상에 배기 챔버와 연결되는 복수의 에어홀을 형성하며, 상기 테이프 좌면의 하부 전체 길이와 양 측부의 일정 길이에 각각 돌출되는 하부 스토퍼 및 측부 스토퍼를 형성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토퍼와 측부 스토퍼는
    상기 테이프 좌면으로부터 플로킹 테이프의 두께보다 더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스토퍼는
    상기 테이프 좌면의 양 측부의 각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의 일정 길이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스토퍼와 연결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스토퍼는
    상기 테이프 좌면의 양 측부의 전체 길이의 반 이상 형성되는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KR1020220121910A 2022-09-26 2022-09-26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KR20240042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910A KR20240042968A (ko) 2022-09-26 2022-09-26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910A KR20240042968A (ko) 2022-09-26 2022-09-26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968A true KR20240042968A (ko) 2024-04-02

Family

ID=9071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910A KR20240042968A (ko) 2022-09-26 2022-09-26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296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30B1 (ko) 2002-03-19 2005-03-09 오성국 자동차 도어 벨트 웨더 스트립 및 글라스 런의 플로킹 부재
KR20210113837A (ko) 2020-03-09 2021-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30B1 (ko) 2002-03-19 2005-03-09 오성국 자동차 도어 벨트 웨더 스트립 및 글라스 런의 플로킹 부재
KR20210113837A (ko) 2020-03-09 2021-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

Non-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그러나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테이프 좌면(43)의 양 측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측부 스토퍼(53)에 의해, 양측 압출 스트립(S1)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스트립(S2) 사이에는 측부 스토퍼(53)가 제거된 후, 고무 소재가 채워지지 않는 불필요한 갭(G)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도어 글라스 런에 부착되는 플로킹 테이프는 압출 스트립의 경우, 압출 과정에 일체로 부착되어 제공되나, 2개의 압출 스트립을 연결하는 연결 스트립에는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부착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종래 기술의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는 하형 유닛(10), 코어 유닛(20), 상형 유닛(30), 및 흡착 금형부(40)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글라스 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의 이형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의 이형 상태의 반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적용되는 후방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적용된 후방 코어 상의 흡착 금형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에 의해 제조된 도어 글라스 런의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흡착 금형부(40)는 상기 테이프 좌면(53)의 하부와 양 측부에 하부 스토퍼(51)와 측부 스토퍼(53)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갭(G)으로 인해 연결 스트립(S2)과 플로킹 테이프(FT) 간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전체적으로는 도어 클라스 런(GR)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내고하고 있다.
상기 상형 유닛(30)은 코어 유닛(20)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판(31)의 하부에 상형(33)이 설치되고, 상기 상형(31)은 상기 성형부(F)에 대응하여 소재 주입구(35)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 유닛(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형 유닛(10)과 합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 유닛(20)은 상기 전방 하형(17)과 후방 하형(19) 상에 전방 코어(21) 및 후방 코어(23)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방 하형(17) 및 후방 하형(19) 사이의 성형부(F)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 코어(21) 양측에 2개의 압출 스트립(S1)이 일정 각도로 끼워져 안착되는 제1, 제2 스트립 코어(25)(27)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스토퍼(51)와 측부 스토퍼(53)는 테이프 좌면(43)에 흡착할 플로킹 테이프(FT)의 외면이 정확한 위치에 놓여 흡착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하형 유닛(10)은 하판(11) 상에 지지 다이(13)를 통하여 하형 다이(15)가 설치되고, 상기 하형 다이(15) 상에 전방 하형(17)과 후방 하형(19)이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 금형부(40)는 상기 후방 코어(23)의 중앙부 일측에 복수의 에어홀(41)을 통해 플로킹 테이프(FT)를 미리 흡착시켜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스토퍼(51)와 측부 스토퍼(53)는 상기 테이프 좌면(43)으로부터 플로킹 테이프(FT)의 두께보다 더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성형과정에 플로킹 테이프(FT)가 흡착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해준다.
이러한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1)는 연결 스트립(S2)의 성형 전에 흡착 금형부(40)에 플로킹 테이프(FT)를 미리 흡착시켜 고정한 상태로, 2개의 압출 스트립(S1)을 연결하는 연결 스트립(S2)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 금형 내에서 열융착에 의해 플로킹 테이프(FT)가 연결 스트립(S2)에 일체로 융착된 상태로 성형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2021년8월27일자로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가 특허 출원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스트립에 부착되는 플로킹 테이프의 부착 위치가 불균일하고,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함에 따라 접착 강도가 부족하여 연결 스트립으로부터 플로킹 테이프가 들뜨거나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흡착 금형부(40)는 연결 스트립(S2)이 사출 성형되는 과정에, 테이프 좌면(43)상에 형성되어 내부의 배기 챔버(45)와 연결된 복수의 에어홀(41)이 진공에 의한 흡착력으로 플로킹 테이프(FT)를 흡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연결 스트립에 부착되는 플로킹 테이프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플로킹 테이프를 부착한 후, 열건조 공정을 추가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열건조 공정으로 인해 연결 스트립의 물성이 변하여 미세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9778A1 (en) Sliding window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140053469A1 (en) Glass run with deviation prevention portion
KR20070105551A (ko) 유리선반 제조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유리선반 제조방법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유리선반
JP4258246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42968A (ko)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JPS63502023A (ja) モジュラ部品による車輌組立方法
US20120086148A1 (en) Process for molding a plastic part with an insert held in position by suction, molding device and use
CN202470596U (zh) 电冰箱门整体门框
KR20240042967A (ko)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KR102496568B1 (ko)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JP3594077B2 (ja) 取付用部材付き窓用板材の製造方法
JPH0672144A (ja) 装飾モール付き車両用窓の製造方法
JP2017505242A (ja) 閉じた挿入材を有するシール部分を備えるグレージングおよびそのグレージングの製造方法
CN103303111A (zh) 天窗玻璃防掀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天窗组合件
JPH08225019A (ja) 自動車窓の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プロテクタ
KR20240006111A (ko) 도어 글라스 런 성형용 금형 장치
CN211543224U (zh) 一种高性能易加工密封件
JP2508756B2 (ja) ガスケツト付窓ガラスの製法
BR112019011159A2 (pt) material de isolamento de teto para veículos e método de produção
CN220432646U (zh) 一种易安装夹胶玻璃
JP2006082679A (ja) ウエザストリップ
JP2531218B2 (ja) 車両用ウインドウの製造方法
CN216557902U (zh) 一种防凝露门封
CN209413722U (zh) 玻璃框架型材
JP2001277861A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