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132A -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132A
KR20240041132A KR1020220120287A KR20220120287A KR20240041132A KR 20240041132 A KR20240041132 A KR 20240041132A KR 1020220120287 A KR1020220120287 A KR 1020220120287A KR 20220120287 A KR20220120287 A KR 20220120287A KR 20240041132 A KR20240041132 A KR 20240041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unit
traveling unit
trave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만
이성후
Original Assignee
대명지이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지이씨(주) filed Critical 대명지이씨(주)
Priority to KR102022012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132A/ko
Publication of KR2024004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ork, comb or plate shaped means for engaging the lower surface on a object to be trans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23Cartesian coordinat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을 위해 트레이 위를 주행하는 주행유닛을 트레이 위에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장치는 트레이(tray)의 측부에서 지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팅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장치에 의해 상기 트레이의 측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와 수직하게 이동하여 케이블 포설을 위해 상기 트레이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유닛을 상기 트레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와 수평하게 상기 주행유닛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이동부를 중심으로 상기 주행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행유닛을 파지하여 상기 트레이에 안착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Device for mounting of the driving unit for cable laying}
본 발명은 전력 설비 공사(electric power facility construction)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포설을 위해 트레이 위를 주행하는 주행유닛을 트레이 위에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등의 제조 공장을 신규 건축하거나 중축, 설계 변경 등의 과정에서 반도체 장비에 전력 등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케이블(cable)을 포설(laying)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밖에도, 도로의 터널 벽면이나 천정에는 각종 조명설비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여러 종류, 여러 가닥의 케이블이 트레이 위로 포설된다.
이 중, 반도체 제조 공장의 케이블 포설은 구조물의 천정이나 옥외에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tray)를 미리 설치하고, 설치된 트레이 상 측에 케이블을 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반도체 제조 공장은 반도체 장비에 요구되는 전압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송전하기 위한 케이블의 중량 또한 매우 크며, 규모도 거대하여 많은 개수의 케이블을 필요로 한다.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의 일단에서 케이블에 로프를 연결하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타단에서 로프를 당기는 과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이 트레이에 마찰되어 피복이 손상되거나 케이블이 서로 엉켜 꼬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파지한 상태로 트레이를 주행하면서 케이블을 이동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 포설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포설 장치는 고하중의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고하중의 케이블 포설 장치를 지면과 이격되어 설치된 트레이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작업자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트레이는 다단으로 설치되고, 다단으로 설치된 트레이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기 때문에, 케이블 포설 장치를 트레이에 안착시키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12204호 '케이블 당김구', (2001.10.06.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케이블 포설을 위해 트레이 위를 주행하는 주행유닛을 트레이 위에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을 위해 트레이 위를 주행하는 주행유닛을 트레이 위에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장치는 트레이(tray)의 측부에서 지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팅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장치에 의해 상기 트레이의 측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와 수직하게 이동하여 케이블 포설을 위해 상기 트레이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유닛을 상기 트레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와 수평하게 상기 주행유닛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이동부를 중심으로 상기 주행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행유닛을 파지하여 상기 트레이에 안착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리프팅장치를 상기 트레이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상기 트레이와 가장 인접한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의 양측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행유닛을 지지하는 받침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장치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이 상기 받침구에 걸림 결합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주행유닛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주행유닛의 측부에서 상기 주행유닛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리에 삽입되는 복수의 포크, 상기 복수의 포크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고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주행유닛의 파지 지점을 가이드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복수의 고리가 상기 파지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주행유닛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가 상기 주행유닛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수직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행유닛을 상기 트레이에 안착시키거나, 상기 트레이에 안착된 상기 주행유닛을 분리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부는 상기 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팅장치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승되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트레이의 특정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감지되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위치에 상기 이탈방지부가 위치한 상태로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래치부를 동작시켜 상기 트레이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트레이를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트레이와 수직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인접한 지지대 사이에 상기 주행유닛이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유닛이 상기 지지대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트레이와의 거리를 통해 상기 주행유닛이 상기 트레이의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 및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1 고정편 및 상기 제1 고정편과 대향하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편이 상기 프레임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 및 타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 고정편과 함께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제2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고정편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유닛이 상기 트레이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행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를 압박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는 주행유닛을 파지한 상태로, 트레이의 측부에서 주행유닛을 이동시켜 트레이에 안착시킴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주행유닛을 용이하게 트레이 위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는 기존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리프팅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별도의 인프라 구축을 하지 않고도 현장 도입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유닛의 트레이가압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및 수직이동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의 일단에서 케이블에 로프를 연결하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타단에서 로프를 당기는 과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이 트레이에 마찰되어 피복이 손상되거나 케이블이 서로 엉켜 꼬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파지한 상태로 트레이를 주행하면서 케이블을 이동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 포설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포설 장치는 고하중의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고하중의 케이블 포설 장치를 천정에 설치된 트레이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작업자가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트레이는 다단으로 설치되고, 다단으로 설치된 트레이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기 때문에, 케이블 포설 장치를 트레이에 안착시키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을 위해 트레이 위를 주행하는 주행유닛을 트레이 위에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유닛의 트레이가압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시스템(50)은 트레이(10), 주행유닛(20), 안착장치(30) 및 리프팅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10)는 케이블 배선을 지지하기 위한 'ㄷ'형 단면의 금속판이다. 트레이(10)는 케이블을 지지함과 동시에 주행유닛(20)이 이동하기 위한 레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10)는 사다리형, 바닥밀폐형, 펀칭형, 메시형 등 다양한 형태의 트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0)는 복수의 단위 트레이를 포함하며, 복수의 단위 트레이가 결합되어 레일을 형성한다. 복수의 단위 트레이는 직선 형태의 단위 트레이 또는 곡선 형태의 단위 트레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구조물의 구조와, 전기 설비들의 설비 구조에 따른 케이블의 경로에 따라 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0)는 양측에 받침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구는 양측이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주행유닛(20)의 이동을 위해 주행유닛(2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구의 상면에는 주행유닛(20)의 구동피니언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기어 치가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다음 구성으로, 주행유닛(20)은 트레이(10) 위에 안착되어, 케이블을 파지한 상태에서 트레이(10)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행유닛(20)은 주행몸체(21), 복수의 구동피니언(22), 복수의 트레이가압부재(23) 및 케이블파지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행몸체(21)는 트레이(10)의 양측 받침구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트레이(10)의 양측 받침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주행몸체(21)는 트레이(10)의 양측 받침구 사이에 위치하되, 케이블이 포설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구동피니언(2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트레이(10)의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몸체(21)는 복수의 구동피니언(22), 복수의 트레이가압부재(23) 및 케이블파지부(24)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frame)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몸체(21)의 재질은 특정 재질로 한정된 것은 아니나, 케이블의 무게를 고려하여 금속 재질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주행몸체(21)는 안착장치(30)에 의해 파지되기 위하여 상부면에 복수의 고리(2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고리(21a)는 트레이(10)와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안착장치(30)의 파지부(5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복수의 구동피니언(22)은 주행몸체(21)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트레이(10)의 양측 받침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구동피니언(22)은 주행몸체(21)의 양측부에 설치되되, 전방 및 후방에 두 개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구동피니언(22)은 구동휠과, 구동휠을 감싸고 있는 바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퀴는 트레이(10)의 양측 받침구 상면에 형성된 기어 치와 대응되는 피니언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 치와 맞물려 고중량의 케이블을 파지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는 복수의 구동피니언(22) 각각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일측부가 연결축(2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23a)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23a)는 특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연결축(2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트레이가압롤러(23)가 결합되며, 트레이가압롤러(23)와 인접한 위치에 실린더(23b)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가압롤러(23)는 실린더(23b)가 지지대(23a)를 가압하는 경우, 지지대(23a)의 연결축(22a)과의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트레이(10)에 밀착되어, 구동피니언(22)이 트레이(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는 복수의 구동피니언(22)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트레이(10)의 받침구 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1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는 후술할 안착장치(30)의 누름판(800)에 의해 트레이(10)의 내측 벽면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주행유닛(20)이 트레이(10)에 안착된 후에 누름판(800)의 결합이 해제되면, 실린더(23b)에 의해 트레이(10)에 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블파지부(24)는 가이드바(24a), 파지롤러(24b) 및 파지구동부(24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바(24a)는 트레이(10)의 받침구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바(24a)는 파지롤러(24b)가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파지롤러(24b)는 가이드바(24a)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바디프레임(21)의 하부에서 케이블(cable)을 파지한 상태로 가이드바(24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파지구동부(24c)는 가이드바(24a)의 일측에 설치되어, 파지롤러(24b)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구동부(24c)는 가이드바(24a)와 수평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축을 회전시켜 파지롤러(24b)가 가이드바(24a)를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구성으로, 안착장치(30)는 리프팅장치(4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장치(30)는 주행유닛(20)을 파지하여 리프팅장치(40)에 의해 트레이(10)의 측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주행유닛(20)을 트레이(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특히, 안착장치(30)는 주행유닛(20)을 파지한 상태로, 트레이(10)의 측부에서 주행유닛(20)을 이동시켜 트레이(10)에 안착시킴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주행유닛(20)을 용이하게 트레이(10) 위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안착장치(30)는 기존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리프팅장치(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별도의 인프라 구축을 하지 않고도 현장 도입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안착장치(3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리프팅장치(40)는 상부에 안착장치(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안착장치(30)를 지면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팅장치(40)는 지면을 따라 주행하는 이동부(41), 이동부(41)의 상부에 형성되어, 안착장치(30)가 결합되는 탑승부(43)를 지면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부(42) 및 작업자가 탑승하며 안착장치(30)가 결합되는 탑승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리프팅장치(40)는 탑승부(43)에 작업자의 안전 및 적재물의 적재를 위해 설치되는 프레임(43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43a)은 최상부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단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프레임의 단면은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는 리프팅장치(40)에 의해 단위 프레임과 트레이(10)가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리프팅장치(40)는 탑승부(43)에 프레임(43a)이 형성된 기존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리프팅장치가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장치(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및 수직이동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장치(30)는 몸체부(100), 수직이동부(200), 수평이동부(300), 상하이동부(400), 파지부(500), 이탈방지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트레이(10)의 측부에서 지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팅장치(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0)는 제1 고정부(110), 제1 바디프레임(120) 및 제1 가이드레일(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0)는 리프팅장치(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43a)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110)는 제1 고정편(111) 및 제2 고정편(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편(111)은 제1 바디프레임(12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프레임(43a)의 상부면 및 일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고정편(112)은 제1 고정편(111)과 대향하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고정편(111)이 프레임(43a)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43a)의 하부면 및 타측면에 밀착되어, 제1 고정편(111)과 함께 프레임(43a)을 감싼 상태로 프레임(43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편(112)은 제1 바디프레임(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홀(12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가이드홀(121)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 프레임(43a)에 말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고정부(110)는 안착장치(30)가 기존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리프팅장치(40)의 프레임(43a)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1 바디프레임(120)은 제1 고정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트레이(10)와 수평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디프레임(120)은 상부에 제1 가이드레일(13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1 바디프레임(120)은 하부면에 프레임(43a)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21)은 제2 고정편(112)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레일(130)은 제1 바디프레임(12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트레이(10)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가이드레일(130)은 수직이동부(200)를 지지하면서, 수직이동부(2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구성으로, 수직이동부(200)는 몸체부(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리프팅장치(400)에 의해 트레이(100)의 측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트레이(10)와 수직하게 이동하여 주행유닛(20)을 트레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이동부(200)는 제2 바디프레임(210) 및 제2 가이드레일(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바디프레임(210)은 제1 바디프레임(120)과 수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가이드레일(13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제1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트레이(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트레이(10)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레일(220)은 제2 바디프레임(21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트레이(10)와 수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가이드레일(220)은 수평이동부(300)를 지지하면서, 수평이동부(3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구성으로, 수평이동부(300)는 수직이동부(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트레이와 수평하게 주행유닛(20)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이동부(300)는 제3 바디프레임(310) 및 제3 가이드레일(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바디프레임(310)은 제2 가이드레일(22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제2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트레이(10)와 수평한 방향으로 트레이(20)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바디프레임(310)은 제2 바디프레임(210)과 수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판과, 하부판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측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레일(320)은 제3 바디프레임(310)의 측면판의 외측면에 트레이(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트레이(10)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가이드레일(320)은 상하이동부(400)를 지지하면서, 상하이동부(4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구성으로, 상하이동부(400)는 수평이동부(3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수평이동부(300)를 중심으로 주행유닛(2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이동부(400)는 제4 바디프레임(410) 및 파지결합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 바디프레임(410)은 몸체부(100)와 수직한 판 형태로 제3 가이드레일(320)의 전방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4 바디프레임(410)은 제3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지면으로부터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파지결합부(420)는 제4 바디프레임(4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파지부(500)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파지결합부(420)는 파지부(500)와 대응될 수 있도록 제4 바디프레임(410)의 양측부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결합부(420)는 'ㄱ'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제4 바디프레임(4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파지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음 구성으로, 파지부(500)는 상하이동부(4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주행유닛(20)을 파지하여 트레이(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500)는 복수의 포크(510), 가이드부재(520) 및 고정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포크(510)는 상하이동부(400)의 파지결합부(4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주행유닛(20)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주행유닛(20)의 측부에서, 주행유닛(20)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리(21a)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포크(510)는 복수의 고리(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이동부(200), 수평이동부(300) 및 상하이동부(400)에 의해 이동되어, 주행유닛(20)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포크(510)는 주행유닛(20)을 파지한 상태로 수직이동부(200), 수평이동부(300) 및 상하이동부(400)에 주행유닛(20)을 트레이(10) 상에 위치시키고, 수직이동부(200), 수평이동부(300) 및 상하이동부(400)에 의해 파지를 해제하여 주행유닛(20)을 트레이(10)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재(520)는 복수의 포크(510)의 상부에 복수의 고리(21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주행유닛(20)의 파지 지점을 가이드하며, 포크(5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520)는 주행유닛(20)을 파지할 경우 주행유닛(20)의 복수의 고리(21a)가 위치해야 될 지점을 가이드할 수 있다.
고정부재(530)는 상단부가 가이드부재(520)에 형성된 고정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주행유닛(20)의 복수의 고리(21a)가 파지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520)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주행유닛(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주행유닛(2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530)는 주행유닛(20)을 포크(510)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부(500)는 트레이(10)를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해 트레이(10)와 수직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감지센서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복수의 지지대의 위치를 감지하고, 트레이(1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는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 구성으로, 이탈방지부(600)는 리프팅장치(40)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고, 트레이(10)에 타측이 결합되어, 리프팅장치(40)를 트레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추가로, 이탈방지부(600)는 리프팅장치(40)의 위치와 높이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부(600)는 제2 고정부(610) 및 래치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610)는 리프팅장치(40)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트레이(10)와 가장 인접한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부(620)는 단면이 하부가 개방된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상부에서 밀착 결합된 상태로 볼트 및 너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620)은 제2 고정부(62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프레임(620)은 제2 고정부(620)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래치부(630)는 지지프레임(62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래치부(630)는 제2 고정부(620)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지지프레임(620) 사이에 위치하여, 지지프레임(62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부(630)는 트레이(10)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주행유닛(20)을 지지하는 받침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걸림홈(63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래치부(630)는 리프팅장치(4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걸림홈(630a)이 받침구에 걸림 결합되어 리프팅장치(40)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이탈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600)는 트레이(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6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감지센서(640)는 트레이(10)와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고, 센싱된 정보를 제어부(7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감지센서(640)는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지점에서 트레이(1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파지부(500)가 주행유닛(20)을 파지한 상태로 수직이동부(200), 수평이동부(300) 및 상하이동부(400)를 제어하여, 주행유닛(20)을 트레이(10)에 안착시키거나, 트레이(10)에 안착된 주행유닛(20)을 분리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유닛(30)은 제어부(700)에 의해 각 구성들이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각각 수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700)는 리프팅장치(4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이탈방지부(600)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640)에 의해 이탈방지부(600)가 트레이(10)의 특정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감지되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는 경고음, 경고등, 음성 등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트레이(10)의 특정 위치에 이탈방지부(600)가 위치한 상태로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 상태를 유지하면, 래치부(630)를 동작시켜 트레이(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이탈방지부(600)가 위치감지센서(640)에 의해 특정 위치에 위치하면, 리프팅장치(4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고, 래치부(630)를 동작시켜, 트레이(10)와 리프팅장치(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복수로 구비된 위치감지센서(640)를 통해 복수의 지점에서 트레이(10) 사이의 거리를 통해, 리프팅장치(40)의 프레임과 트레이(10)와의 수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파지부(500)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복수의 지지대 중 인접한 지지대 사이에 파지된 주행유닛(20)이 위치하도록 수평이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트레이(10)는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지대에 의해 천정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안착장치(30)가 주행유닛(20)을 트레이(10)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트레이(10)의 고정을 위한 지지대가 장애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인접한 지지대 사이에 파지된 주행유닛(20)이 위치하도록 수평이동부(300)를 제어하고, 지지대 사이에 주행유닛(20)이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이동부(200)를 제어하여, 트레이(10)의 상부로 주행유닛(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주행유닛(20)이 지지대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트레이(10)와의 거리를 통해 주행유닛(20)이 트레이(10)의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수직이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장치(30)는 누름판(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누름판(800)은 주행유닛(20)에 구비된 트레이가압롤러(23)를 압박하여, 트레이가압롤러(23)를 트레이(10)의 내측 벽면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는 복수의 구동피니언(22) 각각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일측부가 연결축(2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23a)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23a)는 특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연결축(2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트레이가압롤러(23)가 결합되며, 트레이가압롤러(23)와 인접한 위치에 실린더(23b)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가압롤러(23)는 실린더(23b)가 지지대(23a)를 가압하는 경우, 지지대(23a)의 연결축(22a)과의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트레이(10)에 밀착되어, 구동피니언(22)이 트레이(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는 복수의 구동피니언(22)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트레이(10)의 받침구 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1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누름판(800)은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를 압박하여,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를 트레이(10)의 내측 벽면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시킨 상태에서, 주행유닛(20)이 트레이(10)에 안착되면,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의 압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누름판(800)은 지지대(23a)를 가압하는 가압부(810), 구동피니언(22)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820) 및 구동피니언(22)을 수용하는 공간부(83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구동피니언(22)이 안정적으로 트레이(10) 위를 주행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는 구동피니언(22)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주행유닛(20)을 트레이(10)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장치(30)는 누름판(800)을 구비하여,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23)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주행유닛(20)을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누름판(800)은 제어부(700)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수동으로 작업자에 의해 탈부착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선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트레이 20 : 주행유닛
30 : 안착장치 40 : 리프팅장치
100 : 몸체부 110 : 제1 고정부
120 : 제1 바디프레임 130 : 제1 가이드레일
200 : 수직이동부 210 : 제2 바디프레임
220 : 제2 가이드레일 300 : 수평이동부
310 : 제3 바디프레임 320 : 제3 가이드레일
400 : 상하이동부 410 : 제4 바디프레임
420 : 파지결합부 500 : 파지부
510 : 복수의 포크 520 : 가이드부재
530 : 고정부재 600 : 이탈방지부
610 : 제2 고정부 620 : 래치부
700 : 제어부

Claims (10)

  1. 트레이(tray)의 측부에서 지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팅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장치에 의해 상기 트레이의 측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와 수직하게 이동하여 케이블 포설을 위해 상기 트레이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유닛을 상기 트레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와 수평하게 상기 주행유닛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이동부를 중심으로 상기 주행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행유닛을 파지하여 상기 트레이에 안착시키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리프팅장치를 상기 트레이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중 상기 트레이와 가장 인접한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의 양측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행유닛을 지지하는 받침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장치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이 상기 받침구에 걸림 결합되는 래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주행유닛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주행유닛의 측부에서 상기 주행유닛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리에 삽입되는 복수의 포크;
    상기 복수의 포크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고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주행유닛의 파지 지점을 가이드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복수의 고리가 상기 파지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주행유닛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주행유닛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수직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행유닛을 상기 트레이에 안착시키거나, 상기 트레이에 안착된 상기 주행유닛을 분리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팅장치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승되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트레이의 특정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감지되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위치에 상기 이탈방지부가 위치한 상태로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래치부를 동작시켜 상기 트레이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트레이를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트레이와 수직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인접한 지지대 사이에 상기 주행유닛이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유닛이 상기 지지대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트레이와의 거리를 통해 상기 주행유닛이 상기 트레이의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 및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1 고정편; 및
    상기 제1 고정편과 대향하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편이 상기 프레임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 및 타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 고정편과 함께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제2 고정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편은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유닛이 상기 트레이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행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트레이가압롤러를 압박하는 누름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KR1020220120287A 2022-09-22 2022-09-22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KR20240041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287A KR20240041132A (ko) 2022-09-22 2022-09-22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287A KR20240041132A (ko) 2022-09-22 2022-09-22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132A true KR20240041132A (ko) 2024-03-29

Family

ID=9048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287A KR20240041132A (ko) 2022-09-22 2022-09-22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1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04B1 (ko) 1999-03-19 2001-11-03 변정환 케이블 당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04B1 (ko) 1999-03-19 2001-11-03 변정환 케이블 당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11659A1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s
JP5127152B2 (ja) エレベータ昇降路にガイドレールを設置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961095B2 (en) Article storag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in article storage system
KR100923919B1 (ko) 천정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7490B1 (ko)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US11358834B2 (en) Elevator guide rail element
KR20180134195A (ko) 레일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 장치
EP3960677A1 (en) Modular elevator assembly and guide rail
KR102416616B1 (ko)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이 가능한 멀티 풀링 머신
US20030053897A1 (en) Lifting platform, particularly mobile lifting platform
KR20240041132A (ko) 케이블 포설용 주행유닛 안착장치
JP612748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搬送システム
GB24688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cables or pipes in tunnels
US20220185630A1 (en) Mounting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an installation process in an elevator shaft of an elevator system
KR102416617B1 (ko)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JP492904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据え付け工法
KR101733124B1 (ko) 전선의 탈부착 기능을 갖춘 송배전 연결구조
KR102081258B1 (ko) 배전선로의 작업시 안전 장치
US20040022611A1 (en) Lifting platform, particularly mobile lifting platform
KR102001404B1 (ko) 중소형 케이블 드럼의 풀링 및 커팅장치
US20100270521A1 (en) Carrier device for a hose packet of supply lines of an operating robot
KR20240041135A (ko) 케이블 드럼용 전동 대차
KR102203732B1 (ko) 전력구 모듈화 공법 공정 기술
JP2016055932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芯出し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芯出し方法
KR102118506B1 (ko) 전력구 자재 취급 시스템 및 이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